KR101896989B1 - 튜브를 이용한 관로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튜브를 이용한 관로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989B1
KR101896989B1 KR1020160178863A KR20160178863A KR101896989B1 KR 101896989 B1 KR101896989 B1 KR 101896989B1 KR 1020160178863 A KR1020160178863 A KR 1020160178863A KR 20160178863 A KR20160178863 A KR 20160178863A KR 101896989 B1 KR101896989 B1 KR 101896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member
bracket
screw
tube
rotary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5004A (ko
Inventor
최원석
이관용
이용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포텍디에스
한국환경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포텍디에스, 한국환경공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포텍디에스
Priority to KR1020160178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989B1/ko
Publication of KR20180075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inflata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36Diaphragm cut-of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with a mechanism, other than pulling-or pushing-rod, between fluid motor and closure member
    • F16K31/165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with a mechanism, other than pulling-or pushing-rod, between fluid motor and closure member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2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 F16L55/128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introduced axially into the pipe or 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 내에 튜브를 구비하고 상기 튜브의 수축 또는 팽창을 통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튜브를 이용한 관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관로 상부의 일부 영역을 폐쇄하는 측판 및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측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판에 결합되는 밑판을 포함하며, 상기 관로의 내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밑판 저면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수축 또는 팽창하여 상기 브라켓의 밑판 저면부에 대한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튜브부재; 및 상기 튜브부재의 일측 및 타측과 상기 브라켓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튜브부재의 위치 이동에 따라 연동하는 유동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튜브를 이용한 관로 개폐장치{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pipeline by tube}
본 발명은 관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관로 내에 튜브를 구비하고 상기 튜브의 수축 또는 팽창을 통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튜브를 이용한 관거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로의 개폐 방식은 기계식 또는 전자식 밸브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밸브는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생산 단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좁은 관체 내부에 설치하기 불편하며, 또한 관로가 하폐수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밸브의 구조물이 쉽게 산화 및 부식되어 작동이 원활하지 않으며 밸브의 기밀성 저하로 개폐 기능의 신뢰성을 기대하기 어려워 유지보수 측면에서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관로의 개폐 방식에 있어 튜브의 수축 및 팽창 작용을 이용하여 관로 개폐장치가 제시되었다.
종래 튜브를 이용한 관로 개폐장치는 관로 내부에 설치된 튜브에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팽창시킴으로써 관로 내에 막을 형성시켜 유체의 흐름을 막는 기술이다. 즉, 튜브가 유수면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관로의 폐쇄 시에는 압축 공기로 튜브를 팽창시키고, 개방 시에는 튜브와 유체의 자중에 의해 바닥에 밀착되도록 하여 유체의 흐름을 제어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튜브를 이용한 관로 개폐장치는 통상 튜브 구조물이 관로의 바닥면에 설치됨에 따라 관로의 개방시에도 일부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고, 특히 하폐수용 관로에 적용될 경우 장기적으로 상기 튜브 구조물에 의해 고형물의 퇴적을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68043호(2000.03.02. 공고일자)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로의 개방 상태에서 유체 흐름의 방해 요소를 최소화하고 고형물이 퇴적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튜브를 이용한 관로 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튜브를 이용한 관로 개폐장치는, 관로 상부의 일부 영역을 폐쇄하는 측판 및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측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판에 결합되는 밑판을 포함하며, 상기 관로의 내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밑판 저면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수축 또는 팽창하여 상기 브라켓의 밑판 저면부에 대한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튜브부재; 및 상기 튜브부재의 일측 및 타측과 상기 브라켓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튜브부재의 위치 이동에 따라 연동하는 유동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브라켓은 상기 측판과 밑판에 의한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에서 관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브라켓의 측판에 고정되는 복원스프링과, 상기 복원스프링의 타측과 상기 튜브부재의 타측에 연결된 하나의 유동 와이어를 상호 연결하는 복원와이어 및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복원스프링의 타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복원 와이어의 방향을 상기 튜브부재 방향으로 전환하는 도르래를 포함하는 복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튜브부재와 유동 와이어 간의 접속 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튜브부재의 수축 시 튜브부재의 외형을 비틀어 꼬는 회전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회전커넥터는, 일측이 상기 튜브부재와 연결되고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구성되는 스크류 및 타측이 상기 유동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의 숫나사산과 대응하는 암나사산이 구성되고 상기 복원 스프링의 복원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크류가 수용공간으로부터 인출되면서 회전하도록 하는 고정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회전커넥터는, 상기 튜브부재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된 하나의 접속 부위에 구비되며 선택된 튜브부재의 일측 또는 타측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회전커넥터는, 상기 튜브부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되 튜브부재의 일측과 타측이 상호 상대 회전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회전커넥터는, 상기 고정블록의 수용공간의 일면과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스크류의 단부 간에 연결되어 스크류에 복원력을 부여하며 상기 스크류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튜브를 이용한 관로 개폐장치는 관로 내부의 상부에 튜브가 장착 및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유체의 흐름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관로에 고형물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튜브부재는 팽창 과정에서 힌지 연결된 유동와이어에 의해 관로의 중심측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개폐장치를 적용함에 있어 관로의 형상에 제약 사항이 줄어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튜브를 이용한 관로 개폐장치는 튜브부재와 유동 와이어 간의 접속 부위에 구비되어 튜브부재의 수축 시 튜브부재의 외형을 비틀어 꼬는 회전커넥터를 포함하여 튜브부재의 수축 상태에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튜브부재의 노후화에 따른 형상 변화에도 유체 흐름에 영향으로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튜브를 이용한 관로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a 및 도 2c는 본 발명의 튜브를 이용한 관로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회전 커넥터가 적용된 튜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튜브를 이용한 관로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2a 및 도 2c는 본 발명의 튜브를 이용한 관로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튜브를 이용한 관로 개폐장치(이하 '개폐장치'라 칭함)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작동하게 되는 튜브부재(200)를 관로(10) 내에 구비하고 상기 튜브부재(200)의 작동에 따른 수축 또는 팽창을 통해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10) 내부에 설치되는 브라켓(100)과 상기 브라켓(100)에 의하여 관로(10) 내부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튜브부재(200) 및 상기 브라켓(100)과 튜브부재(200)를 상호 연결시키는 유동와이어(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100)은 관로(10) 내부의 상부 일부 영역을 폐쇄하는 측판(110) 및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측판(1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판(110)에 결합되는 밑판(120)을 포함하며 상기 관로(10)의 내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관로(10)는 그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와 사용 용도에 따라 그 단면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측판(110)의 형상은 관로(10)의 단면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관로(10)가 원형 단면을 가질 경우 상기 측판(110)은 호 형상을 갖는 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관로(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관로(10)의 상부 내면에 설치됨으로써 관로(10)의 상부 일부 영역을 폐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100)은 수중 환경에서 취약할 수 있는 부식 문제를 고려하여 합성수지 소재 또는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튜브부재(200)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 재질로 내부에 압축 공기 등이 공급됨으로써 수축 또는 팽창하는 등 형상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튜브부재(200)는 하, 폐수 등이 관로(10) 내에서 저류하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수축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브라켓(100)의 밑판(120) 저면에 위치함으로써 하, 폐수 등을 포함한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고형물 내지 슬러지의 퇴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튜브부재(200)는 상기 브라켓(100)의 측판(110)이 폐쇄하지 않은 영역에 대한 관로(10) 즉, 상기 브라켓(100)의 밑판(120) 저면부에 대한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한다.
상기 튜브부재(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10)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압축공기 공급관(210)과 연통하며,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210)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수축 또는 팽창하게 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본 발명의 개폐장치는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210)과 연결되어 튜브부재(200)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펌프, 상기 튜브부재(200)의 압력값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값을 수신 및 분석하여 튜브부재(200)의 상태와 관로(10)의 개폐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외부의 입력신호 또는 관리자의 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압축공기 펌프를 작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압축공기 펌프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와이어(300)는 상기 튜브부재(200)의 일측 및 타측과 상기 브라켓(10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튜브부재(200)의 위치 이동에 따라 연동한다.
즉, 상기 유동와이어(300)는 상기 튜브부재(200)가 수축 상태에서 브라켓(100)의 밑판(120) 저면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튜브부재(200)의 팽창 과정에서는 튜브부재(200)가 브라켓(100)의 밑판(120) 저면부로부터 관거(10)의 중심부로 위치 이동함에 따라 힌지 연동하여 튜브부재(200)와 연결된 일측이 기울어지도록 유동하는 등 튜브부재(200)의 수축과 팽창 과정에서 튜브부재(200)의 위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상기 튜브부재(200)는 팽창 과정에서 상기 유동와이어(300)에 의해 관로(10)의 중심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개폐장치를 적용함에 있어 관로의 형상에 제약 사항이 줄어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는 상기 브라켓(100)이 상기 측판(110)과 밑판(120)에 의한 내부공간(130)을 갖게 되며, 상기 내부공간(130)에는 상기 튜브부재(200)가 팽창 후 수축되는 과정에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복원수단을 더 포함하게 된다.
상기 복원수단은 상기 내부공간(130)에서 관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브라켓(100)의 측판(110)에 고정되는 복원스프링(410)과, 상기 복원스프링(410)의 타측과 상기 튜브부재(200)의 타측에 연결된 하나의 유동 와이어(300)를 상호 연결하는 복원와이어(420) 및 상기 내부공간(130)에서 상기 복원스프링(410)의 타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복원와이어(420)의 방향을 상기 튜브부재(200) 방향으로 전환하는 도르래(430)를 포함한다.
이하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관로(10)의 폐쇄가 요구되는 경우 앞서 언급된 압축공기 펌프가 작동하여 압축공기가 생성되고, 생성된 압축공기는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210)을 통해 튜브부재(200)로 공급된다.
압축공기를 공급받은 상기 튜브부재(20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0)의 밑판(120) 저면에서부터 하부방향으로 팽창하게 되고, 이와 함께 상기 유동와이어(300)도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 튜브부재(200)를 따라 유동하면서 튜브부재(200)를 위치를 가이드하게 된다.
이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부재(200)가 점차 팽창하는 과정에서 그 타측에 연결된 유동와이어(300)와 복원와이어(420)도 튜브부재(200)와 함께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복원스프핑(410)은 복원와이어(420)가 이동된 길이만큼 팽창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튜브부재(200)가 관로(10)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일정한 복원력을 갖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관로(10)의 개방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부재(200)에 수용된 압축공기를 외부에서 흡입함으로써 팽창된 튜브부재(200)는 압축공기가 빠져나간 만큼 수축하면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팽창 과정에서 부여된 복원스프링(410)의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는 바, 복원스프링(410)과 연결된 복원와이어(420) 및 유동와이어(300)는 복원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어 상기 튜브부재(200)는 원래의 위치 즉 상기 브라켓(100)의 밑판(120) 저면 위치로 이동함과 더불어 밑판(120)에 밀착하게 됨으로써 관로(10)의 개방 시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회전 커넥터가 적용된 튜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는 상기 튜브부재(200)가 고무 재질로 구성됨에 따라 고무의 특성상 튜브부재(200)의 형상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튜브부재(200)의 형상 변화는 관로(10)의 개방 시 유체의 흐름에 방해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튜브부재(200)는 수축과 팽창을 장기간 반복하는 과정에서 형상 변화가 발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형상 변화가 가장 심하게 발생할 수 있는 중앙부위에 쳐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일측과 타측 부위는 늘어나게 되어 결과적으로 관로(10) 내에서 상기 튜브부재(200)가 차지하는 부피가 증가하게 됨으로써 유체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부재(200)와 유동 와이어(300) 간의 접속 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튜브부재(200)의 수축 시 튜브부재(200)의 외형을 비틀어 꼬도록 하는 회전커넥터(500)를 더 포함하여 튜브부재(200)가 수축 상태에서 부피를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커넥터(50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튜브부재(200)와 연결되고 외주면에는 숫나사산(511)이 구성되는 스크류(510) 및 타측이 상기 유동와이어(300)와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51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530)을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530)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510)의 숫나사산(511)과 대응하는 암나사산(531)이 구성되고 상기 복원스프링(410)의 복원력(F1)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크류(510)가 수용공간(530)으로부터 인출되면서 회전하도록 하는 고정블록(5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전커넥터(50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부재(2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면서 튜브부재(200)의 일측과 타측이 상호 상대 회전하는 방향으로 구비되어 효율적으로 튜브부재(200)가 트위스터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튜브부재(200)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된 하나의 접속 부위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튜브부재(200)의 일측 또는 타측에 하나의 회전커넥터(500)만 존재하는 경우, 상기 회전커넥터(500)는 회전커넥터(500)가 장착되는 튜브부재(200)의 일측 또는 타측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다른 하나의 고정된 일측 또는 타측은 고정됨으로써 상기 튜브부재(200)가 트위스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커넥터(500)는 상기 고정블록(530)의 수용공간(520)의 일면과 상기 수용공간(520)에 수용된 스크류(510)의 단부 간에 연결되어 스크류(510)에 복원력을 부여하며 상기 스크류(510)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540)을 더 포함하여 스크류(510)가 상기 고정블록(530)의 수용공간(520)으로 삽입되는 과정이 보다 수월해질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상기 회전커넥터(5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부재(200)가 수축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복원스프링(410)의 복원력(F1)이 작용하는 방향 즉 상기 튜브부재(200)의 일측 및 타측을 상기 유동와이어(300)가 잡아당기는 방향의 힘(F1)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블록(520)은 상기 유동와이어(300)의 당기는 힘(F1)에 의해 수용공간(530)에 수용된 스크류(510)를 인출시키게 되며, 이때 일측 및 타측의 각 스크류(510)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나사산 구조에 의하여 상기 고정블록(520)으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에서 반대 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하게 되고, 그 결과 튜브부재(200)의 일측과 타측 각 부위에서 작용하는 회전력에 의해 비틀어지면서 외형이 꼬아지게 된다.
반대로 상기 튜브부재(200)의 팽창 과정에서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부재(200)의 일측 및 타측이 각각 팽창력에 의해 유동와이어(300)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F2)이 작용하게 되는 바, 수축 시 인출되어 있던 상기 스크류(510)는 상기 고정블록(520)의 수용공간(530)으로 삽입된다.
이때 일측 및 타측의 각 스크류(510)는 고정블록(53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앞서 인출 시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수축 상태에서 꼬아져 있던 튜브부재(200)의 외형이 원래의 외형으로 복귀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는 튜브부재(200)의 노후화에 따른 형상 변화를 고려하여 튜브부재(200)의 수축 시에만 튜브부재(200)가 꼬아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관로(10)의 개방 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유체 흐름의 방해 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 관로
100 : 브랏켓 110 : 측판
120 : 밑판 130 : 내부공간
200 : 튜브부재 300 : 유동와이어
410 : 복원스프링 420 : 복원와이어
430 : 도르래 500 : 회전커넥터
510 : 스크류 520 : 고정블록

Claims (7)

  1. 관로 상부의 일부 영역을 폐쇄하는 측판 및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측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판에 결합되는 밑판을 포함하며, 상기 관로의 내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밑판 저면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수축 또는 팽창하여 상기 브라켓의 밑판 저면부에 대한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튜브부재; 및
    상기 튜브부재의 일측 및 타측과 상기 브라켓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튜브부재의 위치 이동에 따라 연동하는 유동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이용한 관로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측판과 밑판에 의한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에서 관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브라켓의 측판에 고정되는 복원스프링과, 상기 복원스프링의 타측과 상기 튜브부재의 타측에 연결된 하나의 유동 와이어를 상호 연결하는 복원와이어 및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복원스프링의 타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복원 와이어의 방향을 상기 튜브부재 방향으로 전환하는 도르래를 포함하는 복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이용한 관로 개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재와 유동 와이어 간의 접속 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튜브부재의 수축 시 튜브부재의 외형을 비틀어 꼬는 회전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이용한 관로 개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커넥터는,
    일측이 상기 튜브부재와 연결되고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구성되는 스크류 및 타측이 상기 유동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의 숫나사산과 대응하는 암나사산이 구성되고 상기 복원 스프링의 복원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크류가 수용공간으로부터 인출되면서 회전하도록 하는 고정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이용한 관로 개폐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커넥터는,
    상기 튜브부재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된 하나의 접속 부위에 구비되며 선택된 튜브부재의 일측 또는 타측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이용한 관로 개폐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커넥터는,
    상기 튜브부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되 튜브부재의 일측과 타측이 상호 상대 회전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이용한 관로 개폐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커넥터는,
    상기 고정블록의 수용공간의 일면과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스크류의 단부 간에 연결되어 스크류에 복원력을 부여하며 상기 스크류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이용한 관로 개폐장치.
KR1020160178863A 2016-12-26 2016-12-26 튜브를 이용한 관로 개폐장치 KR101896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863A KR101896989B1 (ko) 2016-12-26 2016-12-26 튜브를 이용한 관로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863A KR101896989B1 (ko) 2016-12-26 2016-12-26 튜브를 이용한 관로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004A KR20180075004A (ko) 2018-07-04
KR101896989B1 true KR101896989B1 (ko) 2018-09-11

Family

ID=62912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863A KR101896989B1 (ko) 2016-12-26 2016-12-26 튜브를 이용한 관로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9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797B1 (ko) * 2019-01-07 2020-01-22 주식회사 엔포텍디에스 튜브를 이용한 관로 개폐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8270A (en) 1992-10-20 1994-09-20 Khanh Dinh Bladder damper
JP2005121057A (ja) 2003-10-14 2005-05-12 Shigenobu Sato バルーン式管路開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2484B2 (ja) * 1995-05-25 2001-09-25 株式会社クボタ 遮断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8270A (en) 1992-10-20 1994-09-20 Khanh Dinh Bladder damper
JP2005121057A (ja) 2003-10-14 2005-05-12 Shigenobu Sato バルーン式管路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004A (ko)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39150A (en) Fluid valve
KR101896989B1 (ko) 튜브를 이용한 관로 개폐장치
US9791066B2 (en) Valve for controlling fluid flow using an inner collapsible bellows
BR112013027646B1 (pt) método para reter a temperatura de um líquido em um sistema de distribuição de líquido, e, sistema de distribuição de líquido
WO2008140189A1 (en) Flow control valve assembly with low noise
US10907760B2 (en) Installation device
CN100414157C (zh) 拉杆连接器
FI110538B (fi) Alipaineviemärijärjestelmä
CN109235551A (zh) 浴缸排水器及浴缸
JP2002004376A (ja) 排水弁
US5042526A (en) Valveless toilet
JP2017133333A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US6883773B1 (en) Pinch valve
KR102068797B1 (ko) 튜브를 이용한 관로 개폐장치
JP5356660B2 (ja) 洗面ボウルの排水孔のシール構造
KR101132224B1 (ko) 비데 호스 장착이 가능한 수전금구용 밸브
JP3212334U (ja) 灌漑用水止水栓
JP4230502B2 (ja) 弁装置
JP3854001B2 (ja) 排水栓装置
US5421546A (en) Eccentrically displaceable sleeve type control valve
KR102224605B1 (ko) 급수설비용 개폐장치
US11268360B1 (en) Dynamic positioning gas lift (DPGL) system
JP7300299B2 (ja) 水栓用ダンパー構造、水栓用ダンパー構造を備える水栓、及び水栓における音の低減方法
JP4200065B2 (ja) 量水器筐
JP7345216B2 (ja) 排水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