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557B1 - 재발성 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 Google Patents
재발성 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6557B1 KR101896557B1 KR1020170020215A KR20170020215A KR101896557B1 KR 101896557 B1 KR101896557 B1 KR 101896557B1 KR 1020170020215 A KR1020170020215 A KR 1020170020215A KR 20170020215 A KR20170020215 A KR 20170020215A KR 101896557 B1 KR101896557 B1 KR 1018965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yaluronidase
- radiation
- cells
- cancer
- irradiat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proteinaceous materials, e.g. enzymes, hormones, lymphoki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enzymes or isoenzym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90—Enzymes; Proenzymes
- G01N2333/914—Hydrolases (3)
- G01N2333/924—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 G01N2333/926—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acting on alpha -1, 4-glucosidic bonds, e.g. hyaluronidase, invertase, amylase
- G01N2333/928—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acting on alpha -1, 4-glucosidic bonds, e.g. hyaluronidase, invertase, amylase acting on alpha -1, 4-glucosidic bonds, e.g. hyaluronidase, invertase, amylas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2—Predicting or monitoring the response to treatment, e.g. for selection of therapy based on assay results in personalised medicine; Pro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또한, 본 발명은 히알루로니다제의 활성 억제제 또는 상기 히알루로니다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 억제제를 사용하여 재발성 암에 대한 방사선 감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사선 조사가 교모세포종 세포의 침윤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콜라겐 기반 매트릭스에서 방사선이 조사(IR)된 U87MG 교모세포종 세포(GBM cells)와 방사선이 조사되지 않은(Ctrl) U87MG 교모세포종 세포를 H&E 염색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단, 도 1의 (b)에서 스케일 바는 400㎛를 의미한다.
도 1의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사선이 조사(IR)된 U87MG 교모세포종 세포(GBM cells)와 방사선이 조사되지 않은(Ctrl) U87MG 교모세포종 세포에 있어서 침윤 세포의 수를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콜라겐 기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방사선이 조사(IR)된 U87MG 교모세포종 세포(GBM cells)와 방사선이 조사되지 않은(Ctrl) U87MG 교모세포종 세포의 스페로이드에 녹색 형광 단백질(GFP)을 형질 도입시킨 뒤 침윤성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콜라겐 기반 매트릭스에서 방사선이 조사(IR)되거나 혹은 조사되지 않은(Ctrl) U87MG 교모세포종 세포의 스페로이드부터 GFP-라벨된 U87MG 교모세포종 세포의 침윤성을 분석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단, 상기 도 2의 (b)에서 Ao는 초기 시간에서 면적을 의미하고, At는 48시간에서 침윤한 세포를 포함하는 면적을 의미한다. 또한, 스케일 바는 100㎛를 의미한다.
도 2의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콜라겐 기반 매트릭스에서 방사선 조사 후 스페로이드로부터 침윤한 GFP-라벨된 U87MG 교모세포종 세포의 침윤성을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단, 상기 도 2의 (c)에서 침윤성은 (At-Ao)/Ao로 측정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콜라겐 기반 매트릭스에서 방사선이 조사(IR)되거나 혹은 조사되지 않은(Ctrl) U87MG 교모세포종 세포의 스페로이드부터 침윤한 GFP-형질 도입된 U87MG 교모세포종 세포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단, 상기 도 3에서 Ao는 초기 시간에서 면적을 의미하고, At는 48시간에서 침윤한 세포를 포함하는 면적을 의미한다. 또한, 스케일 바는 100㎛를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사선이 조사(IR)되거나 혹은 조사되지 않은(Ctrl) U87MG 교모세포종 세포에서 간엽계 아형 마커의 웨스턴 블럿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단, 상기 도 4에서 β-액틴은 로딩 대조군으로 사용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사선이 조사(IR)되거나 혹은 조사되지 않은(Ctrl) U87MG 교모세포종 세포에서 간엽계 아형 마커의 IHC 염색 결과를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사선이 조사(IR)되거나 혹은 조사되지 않은(Ctrl) XO1 교모세포종 세포, U373MG 교모세포종 세포 및 U251MG 교모세포종 세포에서 CDH-2 및 VIM의 웨스턴 블럿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단, 상기 도 6에서 β-액틴은 로딩 대조군으로 사용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사선 조사가 생체 내에서 교모세포종 세포의 침윤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에 U87MG 교모세포종 세포를 이식하고 방사선을 조사하는 실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사선이 조사(IR)되거나 혹은 조사되지 않은(Ctrl) U87MG 교모세포종 세포를 마우스에 정위적으로 이식하여 형성된 뇌 종양을 H&E 염색하여 교모세포종 세포의 용해 정도를 확인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단, 상기 도 8에서 스케일 바는 200㎛를 의미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사선이 조사(IR)되거나 혹은 조사되지 않은(Ctrl) U87MG 교모세포종 세포를 마우스에 정위적으로 이식하여 형성된 뇌 종양에서 VIM, CDH-2, ZEB1 및 CD44 발현 수준을 qRT-PCR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단, 상기 도 9의 실험 시 각 그룹당 마우스는 6마리씩으로 수행하였으며, 데이터 값은 3회의 독립적인 실험에서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또한, *은 대조군 대비 p < 0.05인 것을 의미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사선이 조사(IR)되거나 혹은 조사되지 않은(Ctrl) U87MG 교모세포종 세포를 마우스에 정위적으로 이식하여 형성된 뇌 종양에서 ZEB1 및 VIM의 IHC 염색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사선 유도된 ECM 리모델링 시 교모세포종 세포의 침윤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 모식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사선이 조사(IR)되거나 혹은 조사되지 않은(Ctrl) U87MG 교모세포종 세포에 의해 조정된 콜라겐 기반 매트릭스에서 침윤하는 U87MG 교모세포종 세포의 H&E 염색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사선이 조사(IR)되거나 혹은 조사되지 않은(Ctrl) U87MG 교모세포종 세포에 의해 조정된 콜라겐 기반 매트릭스에서 침윤하는 U87MG 교모세포종 세포의 수를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사선이 조사(IR)되거나 혹은 조사되지 않은(Ctrl) U87MG 교모세포종에 의해 수축된 매트릭스의 스캔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사선이 조사(IR)되거나 혹은 조사되지 않은(Ctrl) U87MG 교모세포종에 의해 매트릭스의 수축 정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단, 상기 도 13의 (b)에서 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사선이 조사(IR) 시 U87MG 교모세포종 세포에서 분비된 ECM 성분의 발현 수준의 변화를 qRT-PCR로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사선이 조사(IR)된 U87MG 교모세포종 세포에서 히알루론산(HA)의 함량의 변화를 ELISA로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사선이 조사(IR)된 X01 교모세포종, U373MG 교모세포종 및 U251MG 교모세포종 세포에서 히알루론산(HA)의 함량의 변화를 ELISA로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사선 조사(IR) 후 콜라겐 기반 매트릭스로 침윤한 U87MG 교모세포종 세포에서 히알루론산(HA)을 면역 염색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단, 도 17에서 스케일 바는 200㎛를 의미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사선 조사(IR) 후 U87MG 교모세포종 세포에서 HAS1, HAS2 및 HAS3의 발현 수준을 qRT-PCR로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사선이 조사(IR)되거나, 혹은 조사되지 않은(Ctrl) X01 교모세포종, U373MG 교모세포종 및 U251MG 교모세포종 세포에서 HAS2의 발현 수준을 qRT-PCR로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사선을 다양한 치사량으로 조사한 후 U87MG 교모세포종 세포에서 HAS2의 발현 수준을 ELISA로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단, 상기 도 20에서 β-액틴은 로딩 대조군으로 사용된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siRNA를 처리한 후 방사선을 조사(IR)하거나, 혹은 방사선을 조사하지 않은 경우(Ctrl)에서 U87MG 교모세포종 세포 내 히알루론산(HA)의 발현 수준의 변화를 ELISA로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siRNA 처리 후 방사선이 조사된 U87MG 교모세포종 세포에 의해 조정된 콜라겐 기반 매트릭스에서 침윤하는 U87MG 교모세포종 세포를 H&E 염색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단, 도 22의 (a)에서 스케일 바는 200㎛를 의미한다.
도 22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siRNA 처리 후 방사선이 조사된 U87MG 교모세포종 세포에 의해 조정된 콜라겐 기반 매트릭스에서 침윤하는 U87MG 교모세포종 세포의 수를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siRNA 처리 후 방사선을 조사(IR)하거나 혹은 조사하지 않은 경우(Ctrl)에서, U87MG 교모세포종 세포에 의해 수축된 매트릭스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3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siRNA 처리 후 방사선을 조사(IR)하거나 혹은 조사하지 않은 경우(Ctrl)에서, U87MG 교모세포종 세포에 의한 매트릭스의 수축 정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단, 상기 도 23의 (b)에서 **은 대조군 대비 p < 0.001인 것을 의미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사선이 조사(IR)되거나, 혹은 조사되지 않은(Ctrl) U87MG 교모세포종 세포에서 히알루로니다제 1(HYAL-1), 히알루로니다제 2(HYAL-2) 및 히알루로니다제 3(HYAL-3)의 발현 수준을 반정량적 RT-PCR로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단, 상기 도 24에서 β-액틴은 로딩 대조군으로 사용된 것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사선이 조사(IR) 시 U87MG 교모세포종 세포에서 히알루로니다제 1(HYAL-1), 히알루로니다제 2(HYAL-2) 및 히알루로니다제 3(HYAL-3)의 발현 수준의 변화를 qRT-PCR로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단, 상기 도 25에서 **은 대조군 대비 p < 0.01인 것을 의미한다.
도 26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히알루론산의 존재 하에서 침윤하는 U87MG 교모세포종 세포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6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히알루론산의 존재 하에서 침윤하는 U87MG 교모세포종 세포의 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7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콜라겐 기반 매트릭스에서 히알루론산으로 처리하자 침윤한 GFP-형질 도입된 U87MG 교모세포종 스페로이드 세포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단, 상기 도 27의 (a)에서 Ao는 초기 시간에서 면적을 의미하고, At는 48시간에서 침윤한 세포를 포함하는 면적을 의미한다. 또한, 스케일 바는 100㎛를 의미한다.
도 27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콜라겐 기반 매트릭스에서 히알루론산으로 처리하자 침윤한 GFP-형질 도입된 U87MG 교모세포종 스페로이드 세포의 침윤성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단, 상기 도 27의 (b)에서 침윤성은 (At-Ao)/Ao로 측정하였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히알루론산으로 처리 시 U87MG 교모세포종 세포에서 YKL40, VIM 및 CDH-2의 발현 수준의 변화를 웨스턴 블럿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단, 상기 도 28에서 β-액틴은 로딩 대조군으로 사용된 것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사선이 조사(IR)되거나 방사선이 조사되지 않은(Ctrl) U87MG 교모세포종 세포를 정위 이식하여 형성된 뇌 종양에서 HAS2 및 히알루론산을 IHC로 분석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단, 상기 도 29에서 스케일 바는 200㎛를 의미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사선이 조사(IR)되거나 방사선이 조사되지 않은(Ctrl) U87MG 교모세포종 세포를 정위 이식하여 형성된 뇌 종양에서 HAS2의 발현 수준을 qRT-PCR로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단, 상기 도 30에서 *은 대조군 대비 p < 0.05인 것을 의미한다.
Claims (13)
- (a) 교모세포종 세포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
(b) 상기 방사선이 조사된 교모세포종 세포에 약물을 처리하는 단계;
(c) 상기 약물이 투여된 교모세포종 세포의 히알루로니다제 3(Hyaluronidase 3, HYAL3) 또는 이를 코딩하는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교모세포종 세포의 히알루로니다제 3 또는 이를 코딩하는 mRNA 발현 수준이 약물 처리 전에 비하여 감소된 경우, 상기 약물을 재발성 암의 방사선 감수성 증진제의 후보물질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발성 암의 방사선 감수성 증진제의 스크리닝 방법.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은 0 초과 4Gy 이하의 조사량으로 조사되는, 재발성 암의 방사선 감수성 증진제의 스크리닝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은 1회 내지 5회 조사되는, 재발성 암의 방사선 감수성 증진제의 스크리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히알루로니다제 1(Hyaluronidase 1, HYAL1) 또는 이를 코딩하는 mRNA의 발현 수준을 추가로 측정하여,
상기 (d) 단계에서 히알루로니다제 1 또는 이를 코딩하는 mRNA 발현 수준이 약물 처리 전에 비하여 감소된 경우, 상기 약물을 재발성 암의 방사선 감수성 증진제의 후보물질로 판단하는, 재발성 암의 방사선 감수성 증진제의 스크리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로니다제 3의 발현 수준은 방사능 면역 분석, 방사능 면역 침전, 면역 침전,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assay), 캡처-ELISA, 억제 또는 경재 분석, 및 샌드위치 분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면역 분석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재발성 암의 방사선 감수성 증진제의 스크리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로니다제 3을 코딩하는 mRNA의 발현 수준은 수준은 중합효소연쇄반응(PCR),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RT-PCR),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PCR), RNase 보호 분석법(RNase protection assay; RPA),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 및 노던 블롯팅(northern blotting)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에 의하여 수행되는, 재발성 암의 방사선 감수성 증진제의 스크리닝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0215A KR101896557B1 (ko) | 2017-02-14 | 2017-02-14 | 재발성 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0215A KR101896557B1 (ko) | 2017-02-14 | 2017-02-14 | 재발성 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3731A KR20180093731A (ko) | 2018-08-22 |
KR101896557B1 true KR101896557B1 (ko) | 2018-09-07 |
Family
ID=63452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0215A Expired - Fee Related KR101896557B1 (ko) | 2017-02-14 | 2017-02-14 | 재발성 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6557B1 (ko)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17386B1 (ko) * | 2014-07-02 | 2018-01-12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Elk3 단백질을 이용한 암 치료 또는 암 전이 억제제 스크리닝 방법 및 상기 elk3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포함하는 암 치료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
-
2017
- 2017-02-14 KR KR1020170020215A patent/KR10189655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Journal of Jilin University, 2012, Vol. 38, pp 393-397.* |
유기천, ‘뇌암세포에서 방사선 조사에 의한 Hyaluronan와 CD44의 생성과 그에 따른 침윤성 획득 기전 연구’, 한양대학교대학원, 2014, 석사학위논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3731A (ko) | 2018-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599334B2 (ja) | 血中循環腫瘍細胞に関する方法およびアッセイ | |
US11332540B2 (en) | Use of Circ-CDH1 inhibitors | |
KR102534098B1 (ko) | 항암제 내성 진단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TW200813231A (en) | Methods of treating, diagnosing or detecting cancer | |
EP3430404B1 (en) | Early and non invasive method for assessing a subject's risk of having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and methods of treatement of such disease | |
JP7167263B2 (ja) | Pmvk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放射線抵抗性癌診断用または放射線治療予後予測用バイオマーカー組成物 | |
WO2019158512A1 (en) | Methods for the prognosis and the treatment of glioblastoma | |
KR101896557B1 (ko) | 재발성 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 |
JP7677690B2 (ja) | Fam167aを含むbcr-abl非依存性チロシンキナーゼ阻害剤耐性を診断するためのバイオマーカーおよびfam167aをターゲットとする慢性骨髄性白血病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 |
KR101952649B1 (ko) | Lrp-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 저항성 암 진단용 또는 방사선 치료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 |
KR101943157B1 (ko) | 유방암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 |
KR101808763B1 (ko) | 방사선 피폭에 의한 심장 손상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그 예측방법 | |
US20140377288A1 (en) | Compositions and methods related to dna damage repair | |
WO2013122321A1 (ko) | Hdac6의 간암 진단용 마커 및 치료제로서의 용도 | |
EP3348641B1 (en) | Cancer marker and application thereof | |
JP7012363B2 (ja) | がん患者におけるfstl1阻害剤による治療効果を予測するためのバイオマーカー | |
WO2019103456A2 (ko) | Pmvk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 저항성 암 진단용 또는 방사선 치료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 |
WO2007117432A2 (en) |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odulating angiogenesis and tumor growth | |
US20230288399A1 (en) | Method for screening colorectal cancer metastasis inhibitor | |
EP4184166A1 (en) | Method for screening colorectal cancer metastasis inhibitor | |
US9644026B2 (en) | Antibody against mutant α-actinin-4 | |
KR102042332B1 (ko) | 간암의 재발 및 예후 예측용 tcirg1 마커 및 이의 용도 | |
KR101753457B1 (ko) | 암 줄기 유사세포 검출용 바이오마커 gpr50 및 이의 용도 | |
WO2014204261A1 (ko) | Tpl2의 발현억제제 또는 활성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세포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KR101894863B1 (ko) | 방사선 민감성 마커 조성물 및 진단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