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187B1 - Control system for CNC lathe - Google Patents

Control system for CNC lath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187B1
KR101896187B1 KR1020170106095A KR20170106095A KR101896187B1 KR 101896187 B1 KR101896187 B1 KR 101896187B1 KR 1020170106095 A KR1020170106095 A KR 1020170106095A KR 20170106095 A KR20170106095 A KR 20170106095A KR 101896187 B1 KR101896187 B1 KR 101896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contact
moving
uni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0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엄익삼
Original Assignee
엄익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익삼 filed Critical 엄익삼
Priority to KR1020170106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18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1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1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control arrangements for measuring, e.g. calibration and initialisation, measuring workpiece for machin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006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the presence of a work or tool in its hol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14Structure of the control system, e.g. common controller or multiprocessor systems, interface to servo, programmable interface controller
    • G05B19/4145Structure of the control system, e.g. common controller or multiprocessor systems, interface to servo, programmable interface controller characterised by using same processor to execute programmable controller and numerical controller function [CNC] and PC controlled NC [PCN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NC shelf control system comprises: a processing standby unit including a fixing unit, a position moving unit, a processing unit, a receiving unit, and a material moving unit; a grip unit including a contact unit and a contact unit moving unit; and a material collecting unit. The continuity of a workpiece processing operation is guaranteed to improve productivity of a workpiece.

Description

CNC 선반 제어시스템{Control system for CNC lathe}CNC lathe control system {Control system for CNC lathe}

본 발명은 CNC 선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소재 가공 작업의 연속성을 보장하여 가공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CNC 선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NC lathe contro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NC lathe control system that improves the productivity of workpieces by ensuring continuity of material processing operations.

일반적으로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선반은 컴퓨터의 수치제어에 의해서 원하는 공작물을 자동으로 가공하는 공작기계로서, 그 구성은 크게 볼 때 자동으로 기계를 동작시킬 수 있는 전자장치인 컨트롤러(controller)와, 기계본체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a CNC (Computer Numerical Control) lathe is a machine tool that automatically processes a desired workpiece by numerical control of a computer. The configuration includes a controller, which is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operating the machine, Machine body.

보다 세부적으로 보면, 상기 컨트롤러는 기계를 작동시킬 수 있는 CNC 시스템 프로그램, PLC 프로그램, 서보모터 등으로 구성되고, 기계본체는 주축대(Head Stock), 척(chuck), 공구대(turret), 심압대(Tail Stock), 베드(bed), 이송장치, 유압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In more detail, the controller comprises a CNC system program, a PLC program, and a servo motor that can operate the machine. The machine body includes a head stock, a chuck, a turret, Tail Stock, bed, conveying device, and hydraulic device.

이러한, CNC 선반을 이용해 소재를 반복 가공하기 위해서는, 첫째 가공 전 및 후 각각 소재를 척에 고정하거나 꺼내기 위하여 커버프레임의 도어를 개방 및 폐쇄해야 하고, 둘째 그 과정에서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소재를 잡고 척에 고정하거나 꺼내야 한다. In order to repeatedly process the material using the CNC lathe, the door of the cover frame must be opened and closed to fix or remove the material to and from the chuck before and after the first processing, and secondly, It should be fixed or removed from the chuck.

이 때 자동대량생산 체제하에서 작업자가 소재를 직접 잡고 고정하거나 꺼내게 되면 작업자가 언제나 CNC 선반에 붙어있어야 하므로 인건비 상승은 물론 작업의 일정한 연속성을 보장하기 어려우므로 생산성의 저하를 불러올 수 밖에 없다.At this time, if the worker directly grasps or removes the material under automatic mass production system, the worker must always be attached to the CNC lathes, so that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the constant continuity of the work as well as the increase of the labor cost.

이러한 소재의 투입과 관한 기술로는 '씨앤씨 선반의 공작물 자동 공급 및 인출 기계장치'(한국등록특허 제10-1341118호)가 있다.As a technology related to the inputting of such materials, there is a 'automatic workpiece supply and withdrawal machine device of C & C's shelf' (Korean Patent No. 10-1341118).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CNC 선반의 경우 소재를 자동으로 투입 및 인출할 수 있는 소재 투입인출부를 통해 작업자의 개입없이 자동으로 소재의 가공 전 및 후로 소재를 투입 및 인출함으로써 인건비를 저감하고, 작업의 연속성을 보장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NC lathe according to the prior art, labor is reduced by inputting and withdrawing the material before and after the processing of the material automatically without the intervention of the operator through the material input / output part capable of automatically inputting and extracting the material,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CNC 선반의 경우에도 소재 투입인출부가 커버프레임의 외부, 즉 도어 전방 또는 상방에 설치되므로 소재를 투입한 후 가공하고, 인출할 때마다 커버프레임의 도어를 개방 및 폐쇄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수반될 수밖에 없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NC lath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aterial loading / unloading portion is provided outside the cover frame, that is, in front of or above the door,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every time the material is inserted and processed. It is essential that the process of

이러한 도어의 개방 및 폐쇄과정 역시 각각의 공정단계로서, 생산성을 저하시킴은 물론 반복되는 도어의 개폐로 인해 도어의 잦은 고장이 발생하거나 파손되기 쉬운 치명적인 문제가 있었다.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is also a process step, which not only lowers the productivity but also causes frequent breakdown of the door due to repeated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which is a fatal problem.

본 발명의 목적은 소재 가공 작업의 연속성을 보장하여 가공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CNC 선반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NC lathe control system which improves the productivity of workpieces by ensuring continuity of workpiece machining operatio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C 선반 제어시스템은, 소재를 가공하기 위한 작업공간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소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소재가 상기 수용홈에 고정되도록 하거나 상기 소재가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고정부, 상기 작업공간 내에서 상기 작업공간의 길이방향 또는 상기 작업공간의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위치이동부, 상기 위치이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위치이동부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상기 소재와 인접하게 배치된 채, 상기 소재와 접촉되도록 위치 이동되어 상기 소재를 가공하는 가공부, 상기 위치이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소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소재를 그립부로 이동시키는 소재이동부를 구비하는 가공대기부, 상기 가공대기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소재를 그립하고, 상기 고정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위치에서 상기 소재를 그립 해제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와 연결된 채, 상기 접촉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시키는 접촉부이동부를 구비하는 그립부 및 상기 가공부의 하부측에 형성된 채, 상기 고정부의 하부측으로 위치 이동 되어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되어 중력 방향으로 낙하하는 상기 소재를 회수하는 소재회수부를 포함하는 CNC 선반을 제어하는 CNC 선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으로의 상기 소재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위치감지센서; 상기 접촉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 위치감지센서; 상기 제1 위치의 상기 접촉부의 그립공간으로의 상기 소재의 위치 여부를 감지하는 제3 위치감지센서; 상기 가공부와 상기 소재의 접촉 유무를 감지하는 제1 진동감지부; 및 상기 제1 위치감지센서, 상기 제2 위치감지센서, 상기 제3 위치감지센서 및 상기 제1 진동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결과를 기초로 상기 CNC 선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결과 상기 수용홈에 상기 소재가 삽입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소재가 상기 그립공간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소재이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3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결과 상기 그립공간에 상기 소재가 위치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접촉부와 상기 소재가 접촉되도록 상기 접촉부를 제어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홈을 규정하는 공간부 및 상기 공간부에 은닉되는 제3 위치에서 상기 수용홈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수용홈에 삽입된 상기 소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그립하여 고정하거나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소재의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 해제되어 상기 소재가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반경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결과 상기 수용홈에 상기 소재가 삽입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반경이동부를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 CNC lath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groove formed at one side of a work space for machining a work and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work, A movable portion that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rk space or in a width direction of the work space in the work space, and a movable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movable portion; A processing part arranged adjacent to the workpiece fixed to the fixed part according to the movement and moved to be in contact with the workpiece and processing the workpiece; a processing part connected to the positional moving part, A housing portion having a housing space formed therein and a housing for housing the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housing portion to a grip portion A contact portion for gripping the work at a first posi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machining standby portion and gripping the work at a second posi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fixed portion, A grip portion having a contact portion moving portion for moving the contact por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ocessing portion, A CNC lath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CNC lathe including a workpiece collecting part for collecting the work material falling in a gravity direction, the system comprising: a first position sensor for sensing whether the workpiece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A second position sensing sensor for sensing a position of the contact portion; A third position sensing sensor for sensing whether the material is positioned in the grip space of the contact portion in the first position; A first vibration sensing part for sensing whether the processing part and the workpiec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NC lathe based on a result sensed by the first position sensor, the second position sensor, the third position sensor, and the first vibration sensor, Controls the material moving unit such that the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unit is moved to the grip spa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aterial is not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as a result of being sensed by the first position detecting sensor, And controls the contact portion to contact the contact portion and the workpie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orkpiece is located in the grip space as a result of sensing by the detection sensor; Wherein the fixing portion is moved to a fourth position protruding inward from the receiving portion in a space portion defining the receiving portion and a third portion being concealed in the space portion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material inserted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a radial moving part for returning to the third position from the fourth position to be released from contact with at least a part of the material so that the material is released from the receiving groov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radial moving unit to move from the third position to the fourth pos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as a result of sensing by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C 선반 제어시스템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경이동부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가공부에 의해 상기 소재가 가공되도록 상기 가공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of the CNC lath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machining unit so that the machining unit processes the workpiece when the radius moving unit is moved from the third position to the fourth position, can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C 선반 제어시스템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경이동부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소재를 그립 해제하도록 상기 접촉부를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접촉부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접촉부이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of the CNC lath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contact unit to release the workpiece when the radial moving unit is moved from the third position to the fourth position, May be controlled to move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소재 가공 작업의 연속성을 보장하여 가공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ity of the material processing operation can be ensured and the productivity of the workpiece can be improved.

또한, 소재의 투입 및 인출이 자동화되어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소재의 투입 및 인출에 따른 인건비를 저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and withdrawal of the material is automated, shortening the working time, and reducing the labor cost due to the input and withdrawal of the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C 선반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C 선반의 가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C 선반의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C 선반의 그립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C 선반의 그립부 및 가공대기부를 설명하기 위한 위한 개략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C 선반의 소재회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C 선반 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C 선반 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NC lath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machining unit of a CNC lath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fixing portion of a CNC lath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grip portion of a CNC lath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grip portion and a machining waiting portion of a CNC lath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workpiece collecting unit of a CNC lath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NC lath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NC lath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readily be suggested, but are also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components 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of the embodiments.

CNC 선반CNC lath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C 선반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C 선반의 가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NC lath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ing unit of a CNC lath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C 선반(1)은 소재(M)를 가공하기 위한 작업공간이 형성되며, 소재(M)를 가공하여 가공물을 획득하는 가공 장치이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CNC lath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ork space for machining a work M, to be.

여기서 작업공간이란, 소재(M)가 위치한 채, 가공 공구에 의해 가공되는 공간을 의미한다.Here, the work space means a space processed by a processing tool while the material M is positioned.

CNC 선반(1)은 고정부(10), 위치이동부(20), 가공부(30), 가공대기부(40) 및 그립부(50)를 포함한다.The CNC lathe 1 includes a stationary portion 10, a moving portion 20, a machining portion 30, a machining standby portion 40 and a grip portion 50.

고정부(10)는, 작업공간의 일측에 형성되며, 소재(M)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수용홈(H1)을 구비하고 소재(M)가 수용홈(H1)에 고정되도록 하거나 소재(M)가 수용홈(H1)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The fixing portion 1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work space and has a receiving groove H1 for receiv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work M so that the work M is fixed to the receiving groove H1, Is released from the receiving groove H1.

위치이동부(20)는 작업공간 내에서 작업공간의 길이방향 또는 작업공간의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된다.The position shifting portion 20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rk space o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ork space in the work space.

가공부(30)는 위치이동부(20)에 연결되며 위치이동부(20)의 위치 이동에 따라 고정부(10)에 고정된 소재(M)와 인접하게 배치된 채, 소재(M)와 접촉되도록 위치 이동되어 소재(M)를 가공한다.The machining portion 30 is connected to the position shifting portion 20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workpiece M fixed to the fixing portion 10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position shifting portion 20 so as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orkpiece M So that the material M is processed.

구체적으로 가공부(30)는, 위치이동부(20)에 연결되는 연결부(32), 연결부(32)에 장착되는 복수의 장착부(34) 및 복수의 장착부(34) 각각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공구부(36)를 구비한다.More specifically, the machining portion 30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32 connected to the position shifting portion 20, a plurality of mounting portions 34 mounted on the connecting portion 32, and a tool (not shown) (36).

공구부(36)는 소재(M)의 측면 또는 밑면을 가공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tool portion 36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for machining the side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M.

가공대기부(40)는 위치이동부(20)에 연결되며 소재(M)가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가공대기부(40)는 소재(M)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수용부(42) 및 수용부(42)에 수용된 소재(M)를 그립부(50)로 이동시키는 소재이동부(44)를 구비한다.The machining standby portion 40 is connected to the position shifting portion 20, and the workpiece M is accommodated. Specifically, the machining standby portion 40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42 having a receiving space continuousl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aterial M and a material M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42 as a grip portion 50 And a moving part (44) for moving the work.

여기서, 수용부(42)는 소재(M)가 수용된 채, 그립부(50)에 의해 그립되기 위한 그립공간(S1)으로의 소재(M) 이동 경로를 가이드한다. Here, the accommodating portion 42 guides the movement path of the workpiece M to the grip space S1 to be gripped by the grip portion 50 while the workpiece M is accommodated.

또한, 수용부(42)는 가공부(30)에 의해 가공되기 위한 소재(M)가 연속적으로 수용된 채, 대기하여 본 발명의 CNC 선반(1)에 의한 소재(M) 가공의 가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The accommodating portion 42 is configured such that the machining time for machining the workpiece M by the CNC lath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rtened while the workpiece M to be machined by the machining portion 30 is continuously accommodated .

소재이동부(44)는 수용부(42)의 하부측에 위치한 채, 수용부(42)에 수용된 소재(M)의 하측면과 접촉된다. 소재이동부(44)는 일종의 컨베이어 벨트로 수용부(42)에 수용된 소재(M)가 그립부(50)에 의해 그립되기 위한 그립공간(S1)으로의 위치 이동이 구현되도록 한다.The work movable part 44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workpiece M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42 while being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42. [ The material moving part 44 is a kind of conveyor belt so that the material M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42 can be moved to the grip space S1 for gripping by the grip part 50. [

또한, 소재이동부(44)는 가공부(30)에 의해 가공되는 소재(M)의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이동하여 그립공간(S1)에 단수개의 소재(M)가 위치하도록 한다.The workpiece moving part 44 is moved by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workpiece M to be processed by the machining part 30 so that a single number of workpiece M is positioned in the grip space S1.

그립부(50)는 가공대기부(4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위치에서 소재(M)를 그립한 채, 고정부(1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소재(M)를 고정부(10)의 수용홈(H1)으로 가이드한다.The grip portion 50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adjacent to the fixed portion 10 while gripping the workpiece M at the first posi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machining standby portion 40, To the receiving groove (H1) of the fixing part (10).

구체적으로, 그립부(50)는 제1 위치에서 소재(M)를 그립하고 제2 위치에서 소재(M)를 그립 해제하는 접촉부(52) 및 접촉부(52)와 연결된 채, 접촉부(52)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시키는 접촉부이동부(54)를 구비한다.Specifically, the grip portion 50 grips the workpiece M at the first position, and contacts the contact portion 52 and the contact portion 52 that grip the workpiece M at the second position, And a contact portion moving portion (54) for moving the contact por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그립부(50)는 가공대기부(40)와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그립부(50)는 소재이동부(44)에 의한 소재(M)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어 소재이동부(44)에 의해 이동된 소재(M)를 그립하기 용이하고, 소재(M)의 이동 경로를 단축하여 CNC 선반(1)의 소재(M) 가공 시간을 단축하도록 한다.The grip portion 50 is disposed on the same line as the machining standby portion 40. The grip portion 50 is dispos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workpiece M by the workpiece moving portion 44 to easily grip the workpiece M moved by the workpiece moving portion 44 and to shorten the movement path of the workpiece M So that the machining time of the workpiece M of the CNC lathe 1 is shortened.

이하, 도 3 내지 도 9를 참조로 본 발명의 CNC 선반(1)에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9 on the CNC lathe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C 선반의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fixing part of a CNC lath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0)는 수용홈(H1)을 규정하는 공간부(12) 및 공간부(12)에 은닉되는 제3 위치(도 3의 (b) 참조)로부터 수용홈(H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4 위치(도 3의 (c) 참조)로 위치 이동되어 수용홈(H1)에 삽입된 소재(M)의 적어도 일부분을 그립하여 고정하거나 제4 위치에서 제3 위치로 복귀되어 소재(M)의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 해제되어 소재(M)가 수용홈(H1)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반경이동부(14)를 구비한다.3, the fixing par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ace 12 defining a receiving groove H1 and a third position (see Fig. 3 (c)) protruding inwardly of the receiving groove H1 from the receiving groove H1 to grip at least a part of the material M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H1 And a radial movement part 14 for returning to the third position from the fourth position so as to be released from contact with at least a part of the workpiece M so that the workpiece M is released from the receiving groove H1.

공간부(12)는 고정부(10)의 일측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된 홈 또는 홀 형상일 수 있으며, 수용홈(H1)은 공간부(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이다. 여기서, 공간부(12)는 원형의 내주면을 제공한다.The space 12 may be a groove or a hole formed by being inserted from one side of the fixing part 10 and the receiving groove H1 is a space formed by the space 12. Here, the space portion 12 provides a circular inner peripheral surface.

반경이동부(14)는 공간부(12)의 내주면에 은닉되어 제3 위치에 위치한다. 제3 위치에 위치한 반경이동부(14)에 의해 수용홈(H1) 내로의 소재(M)의 삽입은 용이해진다.The radial movement portion 14 is conceal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12 and is located at the third position. The insertion of the blank M into the receiving groove H1 by the radial movement portion 14 located at the third position is facilitated.

그리고, 반경이동부(14)가 제4 위치 즉, 공간부(12)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위치 이동되어 수용홈(H1) 내에 삽입된 소재(M)의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된 채, 소재(M)를 가압하면 소재(M)는 반경이동부(14)에 의해 그립된 채, 위치 이동이 제한된다.The radial movement part 14 is moved from the fourth position, that is, the radially inward direction from the space part 12,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t least a part of the material M inserted in the receiving groove H1, The material M is gripped by the radius shifting portion 14 and its positional movement is restricted.

이로써, 소재(M)의 가공부(30)에 의한 가공 대기 상태는 완료된다.As a result, the machining waiting state by the machining portion 30 of the work M is completed.

또한, 소재(M)의 가공부(30)에 의한 가공이 완료되면, 반경이동부(14)가 제4 위치에서 제3 위치로 복귀되어 소재(M)의 적어도 일부분과의 접촉이 해제되며 이로 인해, 소재(M)는 고정부(10)로부터 이탈된다.When the machining of the workpiece 30 of the workpiece M is completed, the radial movement part 14 returns from the fourth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and the contact with at least a part of the workpiece M is released, The material M is released from the fixing portion 10.

고정부(10)로부터 이탈된 소재(M)는 중력에 의해 중력 방향으로 낙하하며 이하 설명할 소재수용부(66)에 수용된다.The material M separated from the fixing portion 10 drops in the gravity direction due to gravity and is accommodated in the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66 to be described below.

반경이동부(14)는, 복수의 돌출부재를 포함하며 복수의 돌출부재는 공간부(12)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다.The radial movement portion 14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ding members, and the plurality of protruding members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12. [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C 선반의 그립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4 and 5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grip portions of a CNC lath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립부(50)는 접촉부(52)와 접촉부이동부(54)를 구비한다.4 and 5, the grip portion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ct portion 52 and a contact portion moving portion 54. As shown in FIG.

접촉부(52)는 접촉부이동부(54)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부(521), 제2 돌출부(522), 제3 돌출부(523) 및 제4 돌출부(524)를 구비한다.The contact portion 52 has a first projecting portion 521, a second projecting portion 522, a third projecting portion 523 and a fourth projecting portion 524 protruding from the contact portion moving portion 54.

제1 돌출부(521)와 제3 돌출부(523)는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제2 돌출부(522)와 제4 돌출부(524)는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 돌출부(521) 내지 제4 돌출부(524)는 가상의 원의 원주를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521 and the third projecting portion 523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522 and the fourth projecting portion 524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The first to fourth protrusions 521 to 524 are sequentially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virtual circle.

제1 돌출부(521), 제2 돌출부(522) 제3 돌출부(523) 및 제4 돌출부(524)가 형성하는 제1 공간(S1)(그립공간(S1)) 내에 소재이동부(44)를 통해 이동된 소재(M)가 위치하는 경우, 제1 돌출부(521)와 제3 돌출부(523)는 이격 거리가 감소하도록 위치 이동되며, 제2 돌출부(522)와 제4 돌출부(524)는 이격 거리가 감소하도록 위치 이동되어 제1 돌출부(521), 제2 돌출부(522), 제3 돌출부(523) 및 제4 돌출부(524)가 제1 공간(S1) 내의 소재(M)를 그립(grib)한다.(The grip space S1) formed by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521,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522, the third projecting portion 523 and the fourth projecting portion 524 through the material moving portion 44 in the first space S1 The first protrusion 521 and the third protrusion 523 are displaced such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is reduced while the second protrusion 522 and the fourth protrusion 52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522, the third projecting portion 523 and the fourth projecting portion 524 are moved to grip the material M in the first space S1. do.

여기서, 제1 돌출부(521) 및 제3 돌출부(523)와 소재(M)의 접촉 시점과 제2 돌출부(522) 및 제4 돌출부(524)와 소재(M)의 접촉 시점은 상이할 수 있다.The contact timing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521 and the third protrusion 523 and the material M may be different from the contact timing between the second protrusion 522 and the fourth protrusion 524 and the material M .

다시 말해, 제1 돌출부(521) 및 제3 돌출부(523)의 위치 이동과 제2 돌출부(522) 및 제4 돌출부(524)의 위치 이동은 일정 시간 차를 두고 구현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ositional shift of the first protrusion 521 and the third protrusion 523 and the positional shift of the second protrusion 522 and the fourth protrusion 524 can be realized with a certain time difference.

구체적으로, 각 돌출부의 위치 이동 속도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제1 돌출부(521)와 제3 돌출부(523)의 위치 이동이 시작된 후, 일정 시간이 흐른 뒤, 제2 돌출부(522)와 제4 돌출부(524)의 위치 이동이 구현될 수 있다.Specifically, assuming that the position moving speeds of the respective protruding portions are the same,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521 and the third protruding portion 523 starts,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522 and the fourth The movement of the protrusion 524 can be realized.

이로 인해, 제1 돌출부(521)와 제3 돌출부(523)가 제2 돌출부(522)와 제4 돌출부(524)보다 먼저 소재(M)에 접촉될 수 있으며, 제1 돌출부(521)와 제3 돌출부(523)와의 접촉에 따라 소재(M)의 제1 공간(S1) 내의 위치 교정이 진행된 채, 제2 돌출부(522)와 제4 돌출부(524)에 의해 제1 공간(S1) 내에서의 자리 교정이 완료될 수 있다.The first projecting portion 521 and the third projecting portion 523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ork M before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522 and the fourth projecting portion 524, The second protrusion 522 and the fourth protrusion 524 move in the first space S1 in the first space S1 of the work M in accordance with the contact with the third protrusion 523, Can be completed.

일례로 만약, 제1 공간(S1) 내의 소재(M)의 위치가 불안정한(틀어지게) 경우, 제1 돌출부(521) 내지 제4 돌출부(524)의 위치 이동이 동시에 구현된다면, 불안정하게 배치된 소재(M)를 제1 돌출부(521) 내지 제4 돌출부(524)가 무리하게 가압하게 되어 소재(M) 또는 각 돌출부가 파손 또는 손상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돌출부(521) 및 제3 돌출부(523)의 위치 이동과 제2 돌출부(522) 및 제4 돌출부(524)의 위치 이동을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구현하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position of the workpiece M in the first space S1 is unstable, the movement of the first to fourth projections 521 to 524 is realized at the same time, The first protrusions 521 to the fourth protrusions 524 press the material M forcibly and the material M or the protrusions may be damaged or damaged. To solve this problem, the first protrusions 521, And the third protrusion 523 and the second protrusion 522 and the fourth protrusion 524 with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또한, 제1 돌출부(521) 및 제3 돌출부(523)의 대향면 또는 제2 돌출부(522) 및 제4 돌출부(524)의 대향면 각각에는 소재(M)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대응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opposing faces of the first protrusion 521 and the third protrusion 523 or the opposing faces of the second protrusion 522 and the fourth protrusion 524 ar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terial M A contact corresponding portion can be formed.

접촉대응부는 제1 공간(S1) 내의 소재(M)가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 소재(M)의 외면과 접촉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접촉된 소재(M)가 접촉대응부의 형상에 따라 정위치로 가이드 될 수 있다.The contact counterpart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workpiece M when the workpiece M in the first space S1 is in the correct position, Can be guided.

또한, 각각의 접촉대응부에는 요철형상의 미세한 돌기가 형성되어 소재(M)와의 접촉 시, 마찰력을 높여 소재(M)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fine protrusions having concave and convex shapes are formed on the respective contact-corresponding portions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when the material M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aterial M, thereby preventing slippage of the material M.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C 선반의 그립부 및 가공대기부를 설명하기 위한 위한 개략도이다.6 and 7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grip part and a machining waiting part of a CNC lath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C 선반(1)의 가공대기부(40)는 수용부(42) 및 소재이동부(44)를 구비한다.6 and 7, the machining standby portion 40 of the CNC lath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42 and a workpiece moving portion 44.

수용부(42)는 소재(M)와 동일한 크기의 복수의 소재(M)가 연속적으로 수용된다.The accommodating portion 42 is continuously accommodated with a plurality of materials M having the same size as the material M. [

소재이동부(44)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소재(M)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만큼 위치 이동된다.The work moving part 44 is moved by the same length as the length of the work M at regular time intervals.

수용부(42)에 수용된 복수의 소재(M)는 소재이동부(44)에 의해 동시에 위치 이동되며, 소재이동부(44)의 끝단에 위치한 소재(M)는 제1 공간(S1)(그립공간(S1)) 상에 위치하게 된다.The plurality of workpieces M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42 are simultaneously moved by the workpiece moving portion 44 and the workpiece M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workpiece moving portion 44 is moved in the first space S1 S1).

이 때, 제1 돌출부(521) 및 제3 돌출부(523)와 제2 돌출부(522) 및 제4 돌출부(524)는 이격 거리가 감소하도록 위치 이동되어 제1 공간(S1)에 위치한 소재(M)를 그립한다.At this time, the first protrusion 521 and the third protrusion 523, the second protrusion 522, and the fourth protrusion 524 are moved to reduce the separation distance, and the material M located in the first space S1 ).

접촉부(52)에 의한 소재(M)의 그립이 진행된 후, 소재(M)를 그립한 접촉부(52)는 접촉부이동부(54)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된다. After the grip of the work M is advanced by the contact portion 52, the contact portion 52 gripping the work M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contact portion moving portion 54. [

그립부(50)의 제2 위치 상에서의 접촉부(52)에 그립된 소재(M)는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홈(H1)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At least a part of the material M gripped on the contact portion 52 on the second position of the grip portion 5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H1.

수용홈(H1)으로 소재(M)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면, 고정부(10)의 반경이동부(14)가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소재(M)를 그립하여 고정한다.When at least a part of the workpiece M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H1, the radius of the fixed portion 10 is moved from the third position to the fourth position to grip and fix the workpiece M .

이 때, 그립부(50)의 제1 돌출부(521) 및 제3 돌출부(523)와, 제2 돌출부(522) 및 제4 돌출부(524)는 각각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도록 위치 이동되며 이로 인해 돌출부와 소재(M)는 접촉 해제된다.At this time,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521 and the third projecting portion 523 of the grip portion 50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522 and the fourth projecting portion 524 are moved so as to increase their respective separation distances, And the material (M) are released from contact.

소재(M)와 접촉 해제된 그립부(50)는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된다.The grip portion 50 that is released from contact with the material M is 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그리고, 고정부(10)에 고정된 소재(M)는 가공부(30)에 의해 가공된다. 고정부(10)에 고정된 소재(M)의 가공 형태에 따라 복수의 장착부(34) 중 각 공구부(36)와 소재(M)의 측면 또는 밑면이 대향하도록 하여 공구부(36)에 의해 소재(M)의 가공이 구현된다.Then, the workpiece M fixed to the fixing portion 10 is processed by the machining portion 30. The tool portions 36 of the plurality of mounting portions 34 and the side surfaces or bottom surfaces of the workpiece M are opposed to each other depending on the processing form of the workpiece M fixed to the fixed portion 10, The processing of the material M is implemented.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C 선반의 소재회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8 and 9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material collecting unit of a CNC lath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C 선반(1)은 소재회수부(60)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8 and 9, the CNC lath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material recovery unit 60.

먼저, 고정부(10)에 고정된 채, 가공부(30)에 의해 가공된 소재(M)는 반경이동부(14)의 제4 위치에서 제3 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반경이동부(14)와 접촉이 해제된다.First, the workpiece M processed by the machining portion 30 while being fixed to the fixing portion 10 is mov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workpiece W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radial movement portion 14 from the fourth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14 is released.

소재회수부(60)는 가공부(30)의 하부측에 형성된 채, 고정부(10)의 하부측으로 위치 이동되어 수용홈(H1)으로부터 이탈되어 중력 방향으로 낙하는 소재(M)를 회수한다.The material recovery unit 6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rocessing unit 30 and is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unit 10 to be removed from the receiving groove H1 to recover the material M falling in the gravitational direction .

구체적으로, 소재회수부(60)는 가공부(30)의 하부측에 연결된 채, 가공부(30)의 하부측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회동되는 제1 회동부(62), 제1 회동부(62)로부터 가공부(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 회동부(64) 및 제2 회동부(64)에 연결된 채, 고정부(10)로부터 이탈된 소재(M)를 수용하는 소재수용부(66)를 구비한다.Specifically, the material recovery unit 60 includes a first rotation unit 62, a second rotation unit 62, and a second rotation unit 62, which ar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processing unit 30 and are rotated down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processing unit 30, A material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material M separated from the fixing portion 1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econd turning portion 64 and the second turning portion 64 which are rota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rocessing portion 30, (66).

제1 회동부(62)는 연결부(32)의 저면측에 제1 힌지부에 의해 연결된다. 제1 회동부(62)는 제1 힌지부에 의해 연결부(32)의 하부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회동된다.The first rotary part (62)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connection part (32) by a first hinge part. The first turning portion 62 is rot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32 by the first hinge portion.

또한, 제2 회동부(64)는 제1 회동부(62)와 제2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제1 회동부(62)로부터 가공부(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된다.The second turning portion 64 is connected to the first turning portion 62 by the second hinge portion and is rota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chining portion 30 from the first turning portion 62. [

소재수용부(66)는 제2 회동부(64)에 연결되며, 제2 회동부(64)가 제1 회동부(62)를 기준으로 회동되면 소재수용부(66)는 고정부(10)의 하부측에 위치하게 된다.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66 is connected to the second rotary portion 64. When the second rotary portion 64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rotary portion 62, As shown in FIG.

또한,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동되는 제1 회동부(62)는, 고정부(10)에 고정된 소재(M)가 가공부(30)에 의해 가공되는 중에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turning portion 62 rotated about the first hinge portion can be realized while the workpiece M fixed to the fixed portion 10 is being machined by the machining portion 30. [

다시 말해, 가공부(30)에 의한 소재(M) 가공 중에, 제1 회동부(62) 및 제2 회동부(64)가 회동되어 소재수용부(66)가 고정부(10)에 하부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가공이 완료된 순간 낙하하는 소재(M)가 소재수용부(66)에 수용되도록 한다.In other words, during processing of the workpiece M by the machining portion 30, the first turning portion 62 and the second turning portion 64 are rotated so that the work receiving portion 66 is fixed to the fixed portion 10 on the lower side So that the material M falling down at the completion of the machining is received in the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66.

또한, 소재수용부(66)는, 상측 방향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측면을 형성하여 소재(M)가 바닥면에 수용되도록 가이드한다.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66 is formed with a side surface whose sectional area decreases from the upper side toward the lower side to guide the material M to be received on the bottom surface.

구체적으로, 고정부(10)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낙하하는 소재(M)가 소재수용부(66)의 측면에 접촉되면 소재수용부(66)의 바닥면으로 가이드 되어 낙하하는 소재(M)의 외부로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material M falling downward from the fixing portion 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66, the outside of the material M which is guid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66 and falls Can be prevented.

그리고, 소재수용부(66)의 바닥면에는 소재(M)의 중력 방향으로의 낙하 충격으로 소재수용부(66)와 접촉된 후, 소재수용부(66)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부재(68)가 구비된다.The bottom surface of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66 is in contact with the material receiving portion 66 by a drop impact in the gravitational direction of the material M and thereafter, (68).

쉽게 말해, 소재수용부(66)의 바닥면에 낙하한 소재(M)가 바닥면에 접촉된 후, 튕겨져 외부로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재수용부(66)의 바닥면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부재(68)가 구비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prevent the material M falling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66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nd then being repelled out, the bottom surface of the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66 can absorb the impact A buffer member 68 is provided.

CNC 선반 제어시스템CNC lathe control system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C 선반 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C 선반 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 10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NC lath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NC lath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C 선반 제어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CNC 선반(1)을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0 and 11, the CNC lath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CNC lathe 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간략히, CNC 선반(1)은 고정부(10), 위치이동부(20), 가공부(30), 가공대기부(40), 그립부(50) 및 소재회수부(60)를 포함한다.Briefly, the CNC lathe 1 includes a stationary portion 10, a moving portion 20, a machining portion 30, a machining standby portion 40, a grip portion 50, and a material collecting portion 60.

고정부(10)는, 소재(M)를 가공하기 위한 작업공간의 일측에 형성되며, 소재(M)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수용홈(H1)을 구비하고, 소재(M)가 수용홈(H1)에 고정되도록 하거나 소재(M)가 수용홈(H1)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The fixing portion 1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work space for machining the work M and has a receiving groove H1 for receiv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work M, H1, or the material M is released from the receiving groove H1.

위치이동부(20)는, 작업공간 내에서 작업공간의 길이방향 또는 작업공간의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된다.The movable portion 20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rk space o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ork space in the work space.

가공부(30)는, 위치이동부(20)에 연결되며, 위치이동부(20)의 위치 이동에 따라 고정부(10)에 고정된 소재(M)와 인접하게 배치된 채, 소재(M)와 접촉되도록 위치 이동되어 소재(M)를 가공한다.The machining portion 30 is connected to the position shifting portion 20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workpiece M fixed to the fixing portion 10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position shifting portion 20, So that the workpiece M is processed.

가공대기부(40)는, 위치이동부(20)에 연결되며, 소재(M)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수용부(42) 및 수용부(42)에 수용된 소재(M)를 그립부(50)로 이동시키는 소재이동부(44)를 구비한다.The machining standby portion 40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42 connected to the position shifting portion 20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formed continuously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aterial M and a material M ) To the grip portion (50).

그립부(50)는, 가공대기부(4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위치에서 소재(M)를 그립하고, 고정부(1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위치에서 소재(M)를 그립 해제하는 접촉부(52) 및 접촉부(52)와 연결된 채, 접촉부(52)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시키는 접촉부이동부(54)를 구비한다. The grip portion 50 grips the workpiece M at a first posi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machining standby portion 40 and disengages the workpiece M at a second posi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fixed portion 10, And a contact portion moving portion 54 for moving the contact portion 52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contact portion 52 and the contact portion 52.

소재회수부(60)는 가공부(30)의 하부측에 형성된 채, 고정부(10)의 하부측으로 위치 이동 되어 수용홈(H1)으로부터 이탈되어 중력 방향으로 낙하하는 소재(M)를 회수한다.The material recovery unit 6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rocessing unit 30 and is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unit 10 to be removed from the receiving groove H1 to recover the material M falling in the gravity direction .

본 발명의 CNC 선반 제어시스템(이하, 제어시스템)은 제1 위치감지센서(100), 제2 위치감지센서(200), 제3 위치감지센서(300), 제1 진동감지부(400) 및 제1 위치감지센서(100), 제2 위치감지센서(200), 제3 위치감지센서(300), 제1 진동감지부(400)에 의해 감지된 결과를 기초로, CNC 선반(1)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The CNC lath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osition sensing sensor 100, a second position sensing sensor 200, a third position sensing sensor 300, a first vibration sensing part 400, Based on the results detected by the first position detecting sensor 100, the second position detecting sensor 200, the third position detecting sensor 300 and the first vibration detecting unit 400, the CNC lathe 1 And a control unit 500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제어부(500)는 제1 위치감지센서(100)에 의해 감지된 결과 수용홈(H1)에 소재(M)가 삽입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수용부(42)에 수용된 소재(M)가 그립공간(S1)(제1 공간(S1))으로 이동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500 determines that the material M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42 is not inserted into the grip space H1 when the resultant accommodation groove H1 sensed by the first position sensing sensor 100 determines that the material M is not inserted. S1) (the first space S1).

여기서, 제1 위치감지센서(100)란, 수용홈(H1) 내로의 소재(M)의 삽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로, 기계식, 전기식, 자기식, 광학식의 통상의 위치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할 제2 위치감지센서(200) 및 제3 위치감지센서(300)도 제1 위치감지센서(100)와 동일한 위치 센서일 수 있다.Here, the first position detecting sensor 100 is a sensor that can confirm whether or not the material M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H1, and it can be any one of mechanical, electric, magnetic, and optical position sensors . Also, the second position sensing sensor 200 and the third position sensing sensor 30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may be the same position sensor as the first position sensing sensor 100.

또한, 제어부(500)는 제3 위치감지센서(300)에 의해 감지된 결과 그립공간(S1)에 소재(M)가 위치하였다고 판단되면, 접촉부(52)와 소재(M)가 접촉되도록 접촉부(52)를 제어한다.When the controller 500 determines that the workpiece M is positioned in the grip space S1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by the third position sensor 300, the controller 500 controls the contact portion 52 to contact the workpiece M 52).

여기서, 제어부(500)는 접촉부(52)와 소재(M)가 접촉되도록 접촉부(52)를 제어하기 전, 제2 위치감지센서(200)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접촉부(52)의 위치가 제2 위치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접촉부(52)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접촉부이동부(54)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contact unit 52 based on a result sensed by the second position sensor 200 before the contact unit 52 is controlled so that the contact unit 52 and the workpiece M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ontact portion 54 is controlled so that the contact portion 52 is 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이해를 돕기 위해, CNC 선반(1)에 의한 소재(M)의 가공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우선 수용부(42)에 수용된 소재(M)가 소재이동부(44)를 통해 이동되고, 이동된 소재(M)는 그립부(50)에 의해 그립된 채, 이동되어 고정부(10)에 안착된다. 이 때, 소재(M)는 고정부(10)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부(10)에 고정된 소재(M)는 가공부(30)에 의해 가공되고, 가공이 완료되면 소재회수부(60)로 이동되어 회수된다.The material M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42 is first moved through the material moving portion 44 and the moved material (M) is gripped by the grip portion (50) and moved to be seated on the fixing portion (10). At this time, the workpiece (M) is fixed by the fixing portion (10). The workpiece M fixed to the fixing portion 10 is processed by the machining portion 30. When the machining is completed, the workpiece M is moved to the material recovery portion 60 and recovered.

즉, 접촉부(52)를 통해 소재(M)를 그립한 채, 이동시키기 전에 제2 위치감지센서(200)에 의해 감지된 결과, 접촉부(52)가 제2 위치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록 하여 접촉부(52)에 의한 소재(M)의 그립이 구현되도록 한다.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act portion 52 is located at the second position as a result of being sensed by the second position detecting sensor 200 before moving the material M while gripping the contact portion 52 through the contact portion 52, So that the grip of the workpiece M by the contact portion 52 can be realized.

접촉부(52)는 접촉부이동부(54)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부(521), 제2 돌출부(522), 제3 돌출부(523) 및 제4 돌출부(524)를 구비하며, 제1 돌출부(521)와 제3 돌출부(523)는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제2 돌출부(522)와 제4 돌출부(524)는 대향하도록 배치된다.The abutting portion 52 has a first projecting portion 521, a second projecting portion 522, a third projecting portion 523 and a fourth projecting portion 524 protruding from the contact portion moving portion 54, 521 and the third projection 523 are arranged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the second projection 522 and the fourth projection 524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여기서, 제어부(500)는 제3 위치감지센서(300)에 의해 감지된 결과, 그립공간(S1)에 소재(M)가 위치하였다고 판단되면, 제1 돌출부(521)와 제3 돌출부(523)의 이격거리 및 제2 돌출부(522)와 제4 돌출부(524)의 이격거리가 감소하도록 접촉부이동부(54)를 제어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orkpiece M is positioned in the grip space S1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by the third position sensor 300, the controller 500 determines that the first protrusion 521 and the third protrusion 523,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522 and the fourth projecting portion 524 is reduced.

이 때, 제1 돌출부(521)와 제3 돌출부(523)의 소재(M) 접촉 시점과 제2 돌출부(522)와 제4 돌출부(524)의 소재(M) 접촉 시점은 상이하다.At this time,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material M of the first protrusion 521 and the third protrusion 523 and the contact point of the material M of the second protrusion 522 and the fourth protrusion 524 are different.

이를 위해, 제1 돌출부(521)와 제3 돌출부(523)의 위치 이동과 제2 돌출부(522) 및 제4 돌출부(524)의 위치 이동은 일정 시간 차를 두고 구현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movement of the first protrusion 521 and the third protrusion 523 and the movement of the second protrusion 522 and the fourth protrusion 524 can be realized with a certain time difference.

또는, 제1 돌출부(521)와 제3 돌출부(523)의 위치 이동 속도와 제2 돌출부(522)와 제4 돌출부(524)의 위치 이동 속도가 상이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position moving speed of the first protrusion 521 and the third protrusion 523 and the position moving speed of the second protrusion 522 and the fourth protrusion 524 may be different.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521)와 제3 돌출부(523)의 위치 이동 속도는 제1 속도이며, 제2 돌출부(522)와 제4 돌출부(524)의 위치 이동 속도는 제2 속도이고, 제1 속도와 제2 속도는 상이하여 제1 돌출부(521)와 제3 돌출부(523)가 소재(M)와 접촉되는 시점과 제2 돌출부(522)와 제4 돌출부(524)가 소재(M)와 접촉되는 시점이 상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521 and 523 move at a first speed, the second and fourth protrusions 522 and 524 move at a second speed, The first protrusion 521 and the third protrusion 523 are in contact with the work M and the second protrusion 522 and the fourth protrusion 524 are in contact with the work M, May be different.

이로 인해, 제1 돌출부(521)와 제3 돌출부(523)가 제2 돌출부(522)와 제4 돌출부(524)보다 먼저 소재(M)에 접촉될 수 있으며, 제1 돌출부(521)와 제3 돌출부(523)와의 접촉에 따라 소재(M)의 그립 공간 내의 위치 교정이 진행된 채, 제2 돌출부(522)와 제4 돌출부(524)에 의해 그립공간(S1) 내에서의 자리 교정이 완료될 수 있다.The first projecting portion 521 and the third projecting portion 523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ork M before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522 and the fourth projecting portion 524, The position correction in the grip space S1 is progressed by the second protrusion 522 and the fourth protrusion 524 while the position correction in the grip space of the work M is progress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act with the third protrusion 523, .

일례로 만약, 그립공간(S1) 내의 소재(M)의 위치가 불안정한(틀어지게) 경우, 제1 돌출부(521) 내지 제4 돌출부(524)의 위치 이동이 동시에 구현된다면, 불안정하게 배치된 소재(M)를 제1 돌출부(521) 내지 제4 돌출부(524)가 무리하게 가압하게 되어 소재(M) 또는 각 돌출부가 파손 또는 손상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돌출부(521) 및 제3 돌출부(523)의 위치 이동 속도와 제2 돌출부(522) 및 제4 돌출부(524)의 위치 이동 속도가 상이하도록 하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position of the workpiece M in the grip space S1 is unstable, the position of the first to fourth projections 521 to 524 is simultaneously realized, The first protrusions 521 through the fourth protrusions 524 press the first protrusions 521 and the second protrusions 521 against the first protrusions 521 and the second protrusions 524 to prevent the material M or the protrusions from being damaged or damaged. The position moving speed of the third projection 523 and the position moving speed of the second projection 522 and the fourth projection 524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제어부(500)는 제1 속도 및 제2 속도를 기초로 접촉부(52)와 소재(M)의 접촉 완료 시간을 획득하고, 접촉 완료 시간이 도달하면 접촉부(52)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접촉부이동부(54)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500 acquires the contact completion time of the contact portion 52 and the work M based on the first speed and the second speed and when the contact completion time reaches the contact portion 52, And controls the contact moving portion 54 to be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구체적으로, 제1 속도와 제2 속도 중 상대적으로 느린 제2 속도를 기준으로 제2 돌출부(522)와 제4 돌출부(524)의 소재(M) 접촉 완료 시간을 산출하여 획득한다.Specifically, the contact completion time of the material (M) between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522 and the fourth projecting portion 524 is calculated and obtained on the basis of a relatively slow second speed among the first speed and the second speed.

제어부(500)는 산출된 소재(M) 접촉 완료 시간이 도달하면 접촉부(52)에 의한 소재(M)의 그립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접촉부이동부(54)를 통한 접촉부(52)의 위치 이동이 구현되도록 한다. 이 때, 접촉부이동부(54)는 접촉부(52)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시킨다.The control unit 500 determines that the gripping of the workpiece M by the contact unit 52 is completed when the calculated contact completion time of the workpiece M has reached and the movement of the contact unit 52 through the contact unit moving unit 54 is implemented . At this time, the contact portion moving portion 54 moves the contact portion 52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고정부(10)는 수용홈(H1)을 규정하는 공간부(12) 및 공간부(12)에 은닉되는 제3 위치에서 수용홈(H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수용홈(H1)에 삽입된 소재(M)의 적어도 일부분을 그립하여 고정하거나 제4 위치에서 제3 위치로 복귀되어 소재(M)의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 해제되어 소재(M)가 수용홈(H1)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반경이동부(14)를 구비한다.The fixing portion 10 is moved to the fourth position protruding inward from the receiving recess H1 at the third position concealed in the space portion 12 defining the receiving recess H1 and the space portion 12 At least a part of the material M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H1 is gripped and fixed or is returned to the third position from the fourth position so that it is released from contact with at least a part of the material M, And a radial movement portion 14 for releasing the radial movement portion from the radial movement portion.

제어부(500)는, 제1 위치감지센서(100)에 의해 감지된 결과 수용홈(H1)에 소재(M)가 삽입되었다고 판단되면, 반경이동부(14)를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radial moving unit 14 from the third position to the fourth pos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aterial M is inserted into the result receiving groove H1 sensed by the first position detecting sensor 100 So as to be moved to a position.

또한, 제어부(500)는 반경이동부(14)가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접촉부(52)의 제1 돌출부(521) 및 제3 돌출부(523)의 이격 거리 및 제2 돌출부(522)와 제4 돌출부(524)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도록 접촉부(52)를 제어한다.When the radial movement part 14 is moved from the third position to the fourth position, the control part 500 control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rojecting part 521 and the third projecting part 523 of the contact part 52, The contact portion 52 is controll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protrusion 522 and the fourth protrusion 524 increases.

여기서, 제어부(500)는 접촉부(52)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접촉부이동부(54)를 제어하여 접촉부(52)가 수용부(42)에 수용된 소재(M)를 그립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contact unit moving unit 54 such that the contact unit 52 moves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so that the contact unit 52 grips the material M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unit 42 can do.

또한, 제어부(500)는 반경이동부(14)가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가공부(30)에 의해 소재(M)가 가공되도록 가공부(30)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machining unit 30 so that the workpiece M is processed by the machining unit 30 when the radial movement unit 14 is moved from the third position to the fourth position.

이 때, 가공부(30)를 구성하는 복수의 공구부(36)는 소재(M)의 가공 형태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tool portions 36 constituting the machining portion 30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machining shape of the work M.

그리고, 제어부(500)는 가공부(30)에 의해 소재(M)가 가공되는 중에, 고정부(10)의 하부측에 소재회수부(60)가 위치하도록 소재회수부(60)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material recovery unit 60 such that the material recovery unit 60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unit 10 while the material M is being processed by the processing unit 30 .

소재회수부(60)는, 가공부(30)의 하부측에 연결된 채, 가공부(30)의 하부측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회동되는 제1 회동부(62), 제1 회동부(62)로부터 가공부(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 회동부(64) 및 제2 회동부(64)에 연결된 채, 고정부(10)로부터 이탈된 소재(M)를 수용하는 소재수용부(66)를 구비한다.The material recovery unit 60 includes a first rotation unit 62 and a second rotation unit 62 which ar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processing unit 30 and are rotated down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processing unit 30, A material receiving portion 66 for receiving the material M separated from the fixing portion 1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econd turning portion 64 and the second turning portion 64 which are rotat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processing portion 30 .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가공부(30)에 의해 소재(M)가 가공되는 중에, 제1 회동부(62) 및 제2 회동부(64)가 순차적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소재수용부(66)가 고정부(10)의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소재회수부(60)를 제어한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500 causes the first rotary unit 62 and the second rotary unit 64 to sequentially rotate while the workpiece M is being machined by the processing unit 30,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part (10).

또한, 제어부(500)는 제1 진동감지부(400)에 의해 감지된 결과, 가공부(30)와 소재(M)의 접촉이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으면, 가공부(30)에 의한 소재(M)의 가공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반경이동부(14)를 제4 위치에서 제3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여 반경이동부(14)와 접촉 해제된 소재(M)가 소재회수부(60)로 낙하하도록 한다.If the contact between the processing portion 30 and the workpiece M is not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by the first vibration sensing portion 400, M is completed and the radial moving part 14 is returned from the fourth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so that the material M that has been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adial moving part 14 is dropped to the material collecting part 60 .

가공부(30)에 의해 가공된 소재(M)가 소재회수부(60)로 회수된 상태가 되면, 제어부(500)는 제1 위치감지센서(100)에 의해 감지된 결과 수용홈(H1)에 소재(M)가 삽입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수용부(42)에 수용된 소재(M)가 그립공간(S1)으로 이동되도록 한다.When the material M processed by the machining unit 30 is returned to the material collecting unit 60, the control unit 500 determines whether the resultant receiving groove H1 sensed by the first position detecting sensor 100, It is determined that the material M is not inserted into the gripping space S1 and the material M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42 is moved to the gripping space S1.

다시 말해, 상술한 일련의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수용부(42)에 수용된 복수의 소재(M)가 각각 가공부(30)에 의해 가공되도록 한다.In other words, the series of processes described above are repeatedly performed so that the plurality of workpieces M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42 are processed by the processing portion 30, respectively.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CNC 선반
10: 고정부
20: 위치이동부
30: 가공부
40: 가공대기부
50: 그립부
60: 소재회수부
100: 제1 위치감지센서
200: 제2 위치감지센서
300: 제3 위치감지센서
400: 제1 진동감지부
500: 제어부
1: CNC lathe
10:
20: Location East
30:
40:
50: grip portion
60: Material recovery unit
100: first position detection sensor
200: second position detection sensor
300: Third position detection sensor
400: first vibration sensor section
500:

Claims (3)

소재를 가공하기 위한 작업공간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소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소재가 상기 수용홈에 고정되도록 하거나 상기 소재가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고정부, 상기 작업공간 내에서 상기 작업공간의 길이방향 또는 상기 작업공간의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위치이동부, 상기 위치이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위치이동부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상기 소재와 인접하게 배치된 채, 상기 소재와 접촉되도록 위치 이동되어 상기 소재를 가공하는 가공부, 상기 위치이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소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소재를 그립부로 이동시키는 소재이동부를 구비하는 가공대기부, 상기 가공대기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소재를 그립하고, 상기 고정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위치에서 상기 소재를 그립 해제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와 연결된 채, 상기 접촉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시키는 접촉부이동부를 구비하는 그립부 및 상기 가공부의 하부측에 형성된 채, 상기 고정부의 하부측으로 위치 이동 되어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되어 중력 방향으로 낙하하는 상기 소재를 회수하는 소재회수부를 포함하는 CNC 선반을 제어하는 CNC 선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으로의 상기 소재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위치감지센서; 상기 접촉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 위치감지센서; 상기 제1 위치의 상기 접촉부의 그립공간으로의 상기 소재의 위치 여부를 감지하는 제3 위치감지센서; 상기 가공부와 상기 소재의 접촉 유무를 감지하는 제1 진동감지부; 및 상기 제1 위치감지센서, 상기 제2 위치감지센서, 상기 제3 위치감지센서 및 상기 제1 진동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결과를 기초로, 상기 CNC 선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결과 상기 수용홈에 상기 소재가 삽입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소재가 상기 그립공간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소재이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3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결과 상기 그립공간에 상기 소재가 위치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접촉부와 상기 소재가 접촉되도록 상기 접촉부를 제어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홈을 규정하는 공간부 및 상기 공간부에 은닉되는 제3 위치에서 상기 수용홈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수용홈에 삽입된 상기 소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그립하여 고정하거나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소재의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 해제되어 상기 소재가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반경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결과 상기 수용홈에 상기 소재가 삽입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반경이동부를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 선반 제어시스템.
A fixing part formed at one side of a work space for machining a material and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at least a part of the material and fixing the material to the receiving groove or allowing the material to be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groove; A moving part which is mov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rk space or a width direction of the work space in the work space 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and is adjacent to the material fixed to the fixing part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An accommoda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position shifting portion and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continuousl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aterial, and a receiving portion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A machining standby portion including a workpiece moving portion for moving the workpiece to a grip portion, A contact portion for gripping the workpiece at a first posi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workpiece and gripping the workpiece at a second posi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fixed portion and a contact portion for gripping the workpiec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contact portion, A grip portion having a contact portion moving portion for moving the contact portion moving means to the position 2 and a material recovery portion which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rocessing portion and is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xed portion and removed from the receiving groove to recover the material falling in the gravity direction 1. A CNC lath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CNC lathe comprising:
A first position detecting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A second position sensing sensor for sensing a position of the contact portion; A third position sensing sensor for sensing whether the material is positioned in the grip space of the contact portion in the first position; A first vibration sensing part for sensing whether the processing part and the workpiec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NC lathe based on the results detected by the first position detecting sensor, the second position detecting sensor, the third position detecting sensor, and the first vibration detecting unit,
Wherein,
And controls the material moving unit to move the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unit to the grip spa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aterial is not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groove as a result of being sensed by the first position detecting sensor, And controls the contact portion to contact the contact portion and the workpie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orkpiece is positioned in the grip space as a result of sensing by the contact portion.
The fixing unit includes:
A third position protruding inward from the receiving recess at a third position that is hidden in the space, and grips at least a part of the material inserted in the receiving recess to be fixed Or returning from the fourth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to be released from contact with at least a part of the workpiece so that the workpiece is released from the receiving groove,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adial moving unit to move from the third position to the fourth pos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as a result of being sensed by the first position detecting sensor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경이동부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가공부에 의해 상기 소재가 가공되도록 상기 가공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 선반 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controls the machining portion so that the workpiece is machined by the machining portion when the radial moving portion is moved from the third position to the fourth posi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경이동부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소재를 그립 해제하도록 상기 접촉부를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접촉부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접촉부이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 선반 제어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When the radius moving part is moved from the third position to the fourth position, the contact part is controlled so as to release the workpiece, and the contact part is 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NC lathe.
KR1020170106095A 2017-08-22 2017-08-22 Control system for CNC lathe KR1018961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095A KR101896187B1 (en) 2017-08-22 2017-08-22 Control system for CNC lath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095A KR101896187B1 (en) 2017-08-22 2017-08-22 Control system for CNC lath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633A Division KR101772128B1 (en) 2017-04-04 2017-04-04 Control system for CNC lath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187B1 true KR101896187B1 (en) 2018-09-06

Family

ID=63593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095A KR101896187B1 (en) 2017-08-22 2017-08-22 Control system for CNC lath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18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977B1 (en) * 2009-03-25 2011-05-25 주대진 Centering machine
KR20130021595A (en) * 2011-08-23 2013-03-06 구재문 Apparatus of automatic supplying material for cnc lathe
KR101490078B1 (en) * 2014-04-11 2015-02-04 김천일 Cnc lathe for manufacturing nipp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977B1 (en) * 2009-03-25 2011-05-25 주대진 Centering machine
KR20130021595A (en) * 2011-08-23 2013-03-06 구재문 Apparatus of automatic supplying material for cnc lathe
KR101490078B1 (en) * 2014-04-11 2015-02-04 김천일 Cnc lathe for manufacturing nipp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1825B1 (en) Machine tool
US6937942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detecting tool abnormality in a machine tool
CN102667650B (en)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KR200424966Y1 (en) Auto loader of cnc lathe
JP2009066751A6 (en) Automatic feeder for machine tool and operation method of automatic feeder
JP2009066751A (en) Automatic feeder for machine too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7068317B2 (en) How to control a machine tool
EP3363567A1 (en) Machine tool and method for machining using machine tool
KR101772128B1 (en) Control system for CNC lathe
JP4456455B2 (en) Collision prevention method for machine operating part in lathe
KR101316528B1 (en) Apparatus of automatic supplying material for CNC lathe
KR101896187B1 (en) Control system for CNC lathe
KR101864083B1 (en) Control system for CNC lathe
EP1488875B1 (en) Inverted vertical lathe
KR102435247B1 (en) TURNING MACHINE AND METHOD FOR TURNING WORKPIECES
KR20220038984A (en) Control method of Lathe for robot automation
EP0067882A1 (en) System for detecting workpiece holding state
KR101450194B1 (en)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for CNC-lathe
JP2020078847A (en) Loading device and machine tool internally provided with the same
US5207135A (en) Multispindle lathe and method for machining workpieces
KR101731324B1 (en) Automatic loading device for cnc lathe
US11911864B2 (en) Machine tool for processing a workpiece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 workpiece
US11794231B2 (en) Divided tool attachment method and press brake
JP6779107B2 (en) Tool defect detection device and machine tools equipped with it
KR101747087B1 (en) workpiece supplying apparatus for CNC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