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463B1 - 배선 접속박스 연결용 커넥터의 자동화 조립설비 - Google Patents

배선 접속박스 연결용 커넥터의 자동화 조립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463B1
KR101895463B1 KR1020180003329A KR20180003329A KR101895463B1 KR 101895463 B1 KR101895463 B1 KR 101895463B1 KR 1020180003329 A KR1020180003329 A KR 1020180003329A KR 20180003329 A KR20180003329 A KR 20180003329A KR 101895463 B1 KR101895463 B1 KR 101895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jig
connector
fixing memb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희인
Original Assignee
노희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희인 filed Critical 노희인
Priority to KR1020180003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4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커넥터를 구성하는 각 커플러, 연결본체 및 고정부재를 각각의 정렬 공급에서부터 자동으로 체결 조립한 1셋트화 된 커넥터로 제공할 수 있도록 턴테이블; 커플러 공급부; 연결본체 공급부; 고정부재 공급부; 및 배출부;를 포함하는 배선 접속박스 연결용 커넥터의 자동화 조립설비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최소한의 인력과 최단시간 내에 높은 조립효율성으로 인한 경제성이 뛰어난 효과와 함께 조립 생산효율성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Description

배선 접속박스 연결용 커넥터의 자동화 조립설비{Automation assembly equipment of connector for wiring connection box}
본 발명은 배선 접속박스에 전선관을 연결하기 위해 조립되는 커넥터의 자동화 조립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커넥터를 구성하는 각 커플러, 연결본체 및 고정부재를 각각의 정렬 공급에서부터 자동으로 체결 조립한 1셋트화 된 커넥터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배선 접속박스 연결용 커넥터의 자동화 조립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면이나 천장에는 배선을 위한 각종 접속박스가 매입되는데, 이러한 접속박스에는 각각의 전선관을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커넥터가 연결된다.
배선 접속박스에 연결되는 커넥터는 상기 배선 접속박스의 외부 측에 위치하여 전선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가 나사 결합되면서 배선 접속박스에 고정되는 연결본체 및 상기 배선 접속박스의 내부 측에서 상기 연결본체와 나사 결합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된다.
이렇게, 배선 접속박스에 전선관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넥터는 3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바, 이를 각각 개별적으로 보관 또는 휴대하기에는 여러 불편한 단점은 물론 각 부품의 분실 우려가 큰 관계로, 대부분이 3개의 부품을 1 셋트로 체결한 상태로 보관 또는 휴대하여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여기서, 배선 접속박스에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3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커넥터는 연결본체에 커플러와 고정부재를 각각 나사 결합하여 1셋트로 사용하는 데, 이러한 연결본체에 각 커플러와 고정부재를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일일이 나사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로 인해 조립작업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은 물론 많은 인력이 동원되어야 하는 단점과 함께 인건비 상승이라는 문제점도 초래되었다.
상기와 같이 배선 접속박스에 사용되는 커플러와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302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4527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42713호 등에 게시된 바 있다(이하 '선행기술문헌들'이라 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302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452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42713호
그러나 선행기술문헌들에 구비되는 커넥터 역시 3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이 기재한 바와 같이 동일한 문제점을 그대로 가진다.
즉, 3개의 부품을 1셋트로 체결한 상태로 사용하기 위한 조립작업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은 물론 많은 인력이 동원되어야 하는 단점과 함께 인건비 상승이라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커넥터를 구성하는 각 커플러, 연결본체 및 고정부재를 각각의 정렬 공급에서부터 자동으로 체결 조립한 1셋트화 된 커넥터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배선 접속박스 연결용 커넥터의 자동화 조립설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커넥터의 연결본체를 체결시 커플러 지그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수단은 상면의 테두리 측에 커넥터의 구성품인 커플러가 꽂아질 수 있게 일정 간격을 두고 밑면에 구비된 각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각각의 커플러 지그가 마련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소정 간격으로 회전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의 일측에 정렬공급기에 수용된 복수의 커플러를 정렬한 후 각각의 커플러를 제1 가이드레일 상으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킨 다음 상기 커플러 지그에 꽂아 놓도록 공급하는 커플러 공급부; 상기 커플러 공급부 측에 정렬공급기에 수용된 커넥터의 구성품인 복수의 연결본체를 정렬한 후 각각의 연결본체를 제2 가이드레일 상에 순차적으로 이송시킨 다음 상기 커플러 지그에 올려진 커플러에 연결본체를 공급하는 연결본체 공급부; 상기 연결본체 공급부의 측에 정렬공급기에 수용된 커넥터의 구성품인 복수의 고정부재를 정렬한 후 각각의 고정부재를 제3 가이드레일 상에 순차적으로 이송시킨 다음 상기 연결본체에 공급하는 고정부재 공급부; 및 상기 고정부재 공급부 측에 승강과 커플러 지그 측으로 왕복되면서 상기 커플러 지그 상에 조립된 커넥터를 분리시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 척을 포함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커플러 공급부는 승강과 커플러 지그 측으로 왕복하면서 제1 가이드레일 상의 커플러를 잡아 커플러 지그에 꽂는 제1 공급 척을 포함하는 제1 공급척부, 상기 제1 공급척부의 측에 커플러 지그에 꽂아진 커플러를 승강에 의해 재차 커플러 지그로 가압하는 제1 승강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본체 공급부는 커플러 지그에 꽂아져 턴테이블에 의해 회전된 커플러의 상부로 승강과 커플러 지그 측으로 왕복하면서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의 연결본체를 꽂이축이 꽂은 후 상기 커플러 지그에 꽂아져 회전되는 커플러에 꽂는 연결본체 꽂이축부, 상기 연결본체 꽂이축부의 측에 상기 커플러에 연결본체가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되고 있는 커플러 지그 상의 연결본체를 다시 승강에 의해 재차 체결되도록 승강되는 제2 승강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본체 꽂이축부에는 꽂이축의 외측을 감싸 꽂이축에 의해 연결본체를 커플러에 꽂은 직후 상기 꽂이축이 상승한 다음 상승되는 지지블록이 더 마련된다.
상기 고정부재 공급부는 커플러에 체결된 연결본체의 상부로 승강과 커플러 지그 측으로 왕복하면서 상기 제3 가이드레일의 고정부재를 잡아 상기 커플러 지그에서 회전되는 연결본체로 공급하는 제2 공급 척을 포함하는 제2 공급척부, 상기 제2 공급척부의 측에 연결본체에 체결된 고정부재를 승강에 의해 재차 체결되도록 하는 제3 승강로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커넥터를 구성하는 각 커플러, 연결본체 및 고정부재를 각각의 정렬 공급에서부터 자동으로 체결 조립한 1셋트화 된 커넥터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소한의 인력과 최단시간 내에 높은 조립효율성으로 인한 경제성이 뛰어난 효과와 함께 조립 생산효율성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한, 커넥터의 연결본체를 체결시 커플러 지그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작업시 안정적인 조립작업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조립 효율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커플러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연결본체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공급부재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배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커플러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연결본체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공급부재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배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배선 접속박스 연결용 커넥터(100)는 3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즉 배선 접속박스(도시하지 않음)의 외부 측에 위치하여 전선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커플러(110)와, 상기 커플러(110)가 나사 결합되면서 배선 접속박스에 고정되는 연결본체(120) 및 상기 배선 접속박스의 내부 측에서 상기 연결본체(120)와 나사 결합되는 고정부재(130)로 구성된다.
이러한 3개의 부품을 구성되는 배선 접속박스 연결용 커넥터는 각 부품을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체결하여 사용하는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한 바와 같이 조립작업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은 물론 많은 인력이 동원되어야 하는 단점과 함께 인건비 상승이라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배선 접속박스 연결을 위한 커넥터를 구성하는 각 커플러, 연결본체 및 고정부재를 각각의 정렬 공급에서부터 자동으로 체결 조립한 1셋트화 된 커넥터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배선 접속박스 연결용 커넥터의 자동화 조립설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선 접속박스 연결용 커넥터의 자동화 조립설비(1)는 커넥터의 조립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턴테이블(10), 커플러 공급부(20), 연결본체 공급부(30), 고정부재 공급부(40) 및 배출부(50)로 구성된다.
턴테이블(10)은 상면의 테두리 측에 커넥터의 구성품인 커플러(110)가 꽂아질 수 있게 각각의 꽂이구(12)가 형성되어 일정 간격을 두고 밑면에 구비된 통상적인 각 회전모터(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각각의 커플러 지그(15)가 마련되어 통상적인 인덱스모터와 감속기 등을 포함하는 구동수단(16)에 의해 소정 간격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턴테이블은 커넥터의 각 구성품을 순차적으로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회전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커플러 지그(15)는 상부에 커플러(110)가 꽂아지는 꽂이구(12)가 형성됨은 물론 통상적인 제어방식에 의해 후술하는 커플러 공급부와 배출부를 제외한 연결본체 공급부 및 고정부재 공급부에 위치하였을 때, 커플러에 연결본체 및 고정부재를 순차적으로 체결하기 위해 회전모터(14)에 의해 턴테이블(10) 상에서 회전되어 진다.
커플러 공급부(20)는 상기 턴테이블(10)의 일측에 통상적인 정렬공급기(F)에 수용된 복수의 커플러(110)를 정렬한 후 각각의 커플러(110)를 통상적인 제1 가이드레일(21) 상으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킨 다음 상기 커플러 지그(15)에 꽂아 놓도록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가이드레일(21)은 커플러(110)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어 정렬 공급되는 커플러(110)가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커플러 공급부(20)는 통상적인 실린더와 가이드 또는 레일 등 상에서 승강과 커플러 지그(15) 측으로 왕복하면서 제1 가이드레일(21) 상의 커플러(110)를 잡아 커플러 지그(15)에 꽂는 통상적인 에어 척 등과 같은 제1 공급 척(22A)을 포함하는 제1 공급척부(22)와, 상기 제1 공급척부(22A)의 측에 커플러 지그(15)에 꽂아진 커플러(110)를 상기 제1 공급 척(22A)과 같이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연동되거나 또는 별도의 실린더 등을 통하여 승강에 의해 재차 커플러 지그(15)로 가압하는 제1 승강로드(2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승강로드(24)는 밑단에 커플러(110)의 상단을 가압할 수 있는 가압구(24A)가 형성되어, 커플러 지그의 꽂이구로 꽂아진 커플러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긴밀하게 삽입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상기 커플러 공급부는 소정 간격으로 회전되는 턴테이블의 각 커플러 지그에 형성된 꽂이구에 커넥터 조립을 위한 커플러를 순차적으로 안정적으로 공급한다.
연결본체 공급부(30)는 상기 커플러 공급부(20) 측에 통상적인 정렬공급기(F)에 수용된 커넥터의 구성품인 복수의 연결본체(120)를 정렬한 후 각각의 연결본체(120)를 통상적인 제2 가이드레일(31) 상에 순차적으로 이송시킨 다음 상기 커플러 지그(15)에 올려진 커플러(110)에 연결본체(120)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가이드레일(31)은 연결본체(120)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어 정렬 공급되는 연결본체를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연결본체 공급부(30)는 커플러 지그(15)에 꽂아져 턴테이블(10)에 의해 회전된 커플러(110)의 상부로 통상적인 실린더와 가이드 또는 레일 등 상에서 승강과 커플러 지그(15) 측으로 왕복하면서 상기 제2 가이드레일(31)의 연결본체(120)를 꽂이축(32A)이 꽂은 후 상기 커플러 지그(15)에 꽂아져 회전되는 커플러(110)에 꽂는 연결본체 꽂이축부(32)와, 상기 연결본체 꽂이축부(32)의 측에 상기 커플러(110)에 연결본체(120)가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되고 있는 커플러 지그(15) 상의 연결본체(120)를 다시 통상적인 실린더 등의 승강에 의해 재차 체결되도록 승강되는 제2 승강로드(34)를 포함한다. 상기 꽂이축(32A)은 연결본체(120)의 내경과 대응되는 축 형태로 연결본체와 억지끼움되는 형태로 삽입된다. 상기 제2 승강로드(34)의 밑단에는 연결본체(120)의 상부를 가압하도록 그와 대응되는 통상적인 가압구(34A)가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에 1차적으로 체결된 연결본체를 상단을 가압함에 따라 회전되는 커플러 지그에 의해 재차 커플러에 연결본체가 긴밀하게 체결되도록 역할을 한다.
그에 따라 커플러 지그에 꽂아져 이송된 커플러에 연결본체 꽂이축부의 꽂이축에 의해 연결본체를 꽂음에 따라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커플러 지그에 의해 자연스럽게 나사 결합되도록 체결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본체 꽂이축부에 의해 1차적으로 커플러와 체결되는 연결본체는 그 측에 위치한 제2 승강로드에 의해 재차 2차적으로 커플러와 체결되도록, 즉 상기 제2 승강로드의 가압구가 하강하여 연결본체를 가압함에 따라 회전되고 있는 커플러 지그에 의해 연결본체는 커플러에 재차 나사 결합되도록 체결되어 지게 된다.
그로 인해 커플러에 연결본체의 체결이 1차와 2차에 걸쳐 긴밀하게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본체 꽂이축부(32)에는 꽂이축(32A)의 외측을 감싸 꽂이축(32A)에 의해 연결본체(120)를 커플러(110)에 꽂은 직후 상기 꽂이축(32A)이 상승한 다음 상승되는 지지블록(33)이 더 마련된다. 상기 지지블록은 실린더 등에 의해 지지되어 꽂이축이 실린더 등에 의해 상승된 직 후 상승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꽂이축은 연결본체에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꽂아지는 관계로, 상기 커플러에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체결된 후 바로 상승할 경우, 체결된 커플러와 연결본체가 커플러 지그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관계로, 상기 커플러에 1차적으로 꽂이축에 의해 체결본체가 체결된 후 지지블록이 연결본체를 지지된 상태에서 꽂이축이 먼저 상승한 다음 지지블록이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커플러에 체결된 연결본체가 커플러 지그에서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꽂아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고정부재 공급부(40)는 상기 연결본체 공급부(30)의 측에 통상적인 정렬공급기(F)에 수용된 커넥터의 구성품인 복수의 고정부재(130)를 정렬한 후 각각의 고정부재(130)를 통상적인 제3 가이드레일(41) 상에 순차적으로 이송시킨 다음 상기 연결본체(12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가이드레일(41)은 고정부재(130)의 폭과 대응되는 형태로 정렬되어 이송되는 고정부재를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고정부재 공급부(40)는 커플러에 체결된 연결본체(120)의 상부로 통상적인 실린더와 가이드 또는 레일 등 상에서 승강과 커플러 지그(15) 측으로 왕복하면서 상기 제3 가이드레일(41)의 고정부재(130)를 잡아 상기 커플러 지그(15)에서 회전되는 연결본체(120)로 공급하는 통상적인 에어 척 등과 같은 제2 공급 척(42A)을 포함하는 제2 공급척부(42)와, 상기 제2 공급척부(42)의 측에 연결본체(120)에 체결된 고정부재(130)를 통상적인 실린더 등에 의한 승강에 의해 재차 체결되도록 하는 제3 승강로드(44)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승강로드(44)의 밑단에는 고정부재(130)의 상면을 가입할 수 있는 통상적인 가압구(44A)가 마련된다.
즉, 커플러에 연결본체가 체결된 후 턴테이블이 회전됨에 따라 고정부재 공급부의 제2 공급척부의 제2 공급 척이 제3 가이드레일 상에서 정렬 이송되어 있는 고정부재를 이송시켜 연결본체의 상부로 공급함에 따라 회전되고 있는 커플러 지그에 의해 자연스럽게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1차적으로 체결이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 턴테이블의 회전에 의해 연결본체에 고정부재가 1차적으로 체결된 상태에서 제3 승강로드의 가압구가 하강하여 다시 고정부재를 가압함에 따라 회전되는 커플러 지그에 의해 연결본체 상으로 고정부재가 긴밀하게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2차적으로 체결되는 것이다.
그로 인해 고정부재 공급부 또한 1차와 2차에 걸쳐 연결본체로의 체결이 긴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하게 체결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배출부(50)는 상기 고정부재 공급부(40) 측에 통상적인 실린더와 가이드 또는 레일 등 상에서 승강과 커플러 지그(15) 측으로 왕복되면서 상기 커플러 지그(15) 상에 조립된 커넥터(100)를 분리시켜 배출하는 통상적인 에어 척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 척(52)을 포함한다. 상기 배출부 측에는 배출되는 커넥터가 수용되는 포대 또는 박스 등이 배치된다.
즉, 상기 배출부는 커플러 공급부와 연결본체 공급부 및 고정부재 공급부를 거쳐 체결 고정된 최종 커넥터를 커플러 지그 상에서 분리시켜 배출하는 것으로, 1개의 배출 척을 마련할 수 있으나, 적어도 2개의 배출 척을 배치하여 배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3개의 부품을 구성되는 커넥터를 작업자의 수작업이 아닌 자동화 조립설비에 의해 각 부품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면서 순차적으로 체결이 이루어짐으로써, 커넥터를 구성하는 3개의 부품이 최종 1셋트화된 하나의 커넥터로의 조립이 단시간 내에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에 따라 커넥터 조립에 따른 최소한의 인력은 물론 조립시간 또한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짐으로써, 경제성이 우수한 조건은 물론 조립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1 : 커넥터의 자동화 조립설비
10 : 턴테이블 12 : 꽂이구
14 : 회전모터 15 : 커플러 지그
16 : 구동수단 20 : 커플러 공급부
21 : 제1 가이드레일 22 : 제1 공급척부
22A : 제1 공급 척 24 : 제1 승강로드
24A,34A,44A : 가압구 30 : 연결본체 공급부
31 : 제2 가이드레일 32 : 연결본체 꽂이축부
32A : 꽂이축 33 : 지지블록
34 : 제2 승강로드 40 : 고정부재 공급부
42 : 제2 공급척부 42A : 제2 공급 척
44 : 제3 승강로드 50 : 배출부
52 : 배출척
100 : 커넥터
110 : 커플러 120 : 연결본체
130 : 고정부재

Claims (5)

  1. 상면의 테두리 측에 커넥터의 구성품인 커플러가 꽂아질 수 있게 일정 간격을 두고 밑면에 구비된 각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각각의 커플러 지그가 마련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소정 간격으로 회전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의 일측에 정렬공급기에 수용된 복수의 커플러를 정렬한 후 각각의 커플러를 제1 가이드레일 상으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킨 다음 상기 커플러 지그에 꽂아 놓도록 공급하는 커플러 공급부;
    상기 커플러 공급부 측에 정렬공급기에 수용된 커넥터의 구성품인 복수의 연결본체를 정렬한 후 각각의 연결본체를 제2 가이드레일 상에 순차적으로 이송시킨 다음 상기 커플러 지그에 올려진 커플러에 연결본체를 공급하는 연결본체 공급부;
    상기 연결본체 공급부의 측에 정렬공급기에 수용된 커넥터의 구성품인 복수의 고정부재를 정렬한 후 각각의 고정부재를 제3 가이드레일 상에 순차적으로 이송시킨 다음 상기 연결본체에 공급하는 고정부재 공급부; 및
    상기 고정부재 공급부 측에 승강과 커플러 지그 측으로 왕복되면서 상기 커플러 지그 상에 조립된 커넥터를 분리시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 척을 포함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본체 공급부는 커플러 지그에 꽂아져 턴테이블에 의해 회전된 커플러의 상부로 승강과 커플러 지그 측으로 왕복하면서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의 연결본체를 꽂이축이 꽂은 후 상기 커플러 지그에 꽂아져 회전되는 커플러에 꽂는 연결본체 꽂이축부, 상기 연결본체 꽂이축부의 측에 상기 커플러에 연결본체가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되고 있는 커플러 지그 상의 연결본체를 다시 승강에 의해 재차 체결되도록 승강되는 제2 승강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본체 꽂이축부에는 꽂이축의 외측을 감싸 꽂이축에 의해 연결본체를 커플러에 꽂은 직후 상기 꽂이축이 상승한 다음 상승되는 지지블록이 더 마련되는 배선 접속박스 연결용 커넥터의 자동화 조립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 공급부는 승강과 커플러 지그 측으로 왕복하면서 제1 가이드레일 상의 커플러를 잡아 커플러 지그에 꽂는 제1 공급 척을 포함하는 제1 공급척부, 상기 제1 공급척부의 측에 커플러 지그에 꽂아진 커플러를 승강에 의해 재차 커플러 지그로 가압하는 제1 승강로드를 포함하는 배선 접속박스 연결용 커넥터의 자동화 조립설비.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공급부는 커플러에 체결된 연결본체의 상부로 승강과 커플러 지그 측으로 왕복하면서 상기 제3 가이드레일의 고정부재를 잡아 상기 커플러 지그에서 회전되는 연결본체로 공급하는 제2 공급 척을 포함하는 제2 공급척부, 상기 제2 공급척부의 측에 연결본체에 체결된 고정부재를 승강에 의해 재차 체결되도록 하는 제3 승강로드를 포함하는 배선 접속박스 연결용 커넥터의 자동화 조립설비.
KR1020180003329A 2018-01-10 2018-01-10 배선 접속박스 연결용 커넥터의 자동화 조립설비 KR101895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329A KR101895463B1 (ko) 2018-01-10 2018-01-10 배선 접속박스 연결용 커넥터의 자동화 조립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329A KR101895463B1 (ko) 2018-01-10 2018-01-10 배선 접속박스 연결용 커넥터의 자동화 조립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5463B1 true KR101895463B1 (ko) 2018-09-05

Family

ID=63594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329A KR101895463B1 (ko) 2018-01-10 2018-01-10 배선 접속박스 연결용 커넥터의 자동화 조립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46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8094U (ja) * 1993-06-03 1994-12-22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圧着装置の電線ガイド
CN2503503Y (zh) * 2001-09-18 2002-07-31 台精科技股份有限公司 光纤连接器自动组装装置
KR200323020Y1 (ko) 2003-05-06 2003-08-14 조추희 지지벽이 형성된 커넥터 커플링
KR200362471Y1 (ko) * 2004-06-15 2004-09-21 김진철 커넥터 조립장치
KR200474527Y1 (ko) 2014-05-13 2014-09-25 대승공업 주식회사 기밀성이 향상된 전선관 커넥터
KR20150142713A (ko) 2014-06-11 2015-12-23 김경복 전선관 및 배선박스 연결용 커넥터와 카푸링을 겸용한 연결체
KR20160036211A (ko) * 2014-09-25 2016-04-04 유재경 모터 액추에이터 조립 장치를 위한 부품 이송 모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8094U (ja) * 1993-06-03 1994-12-22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圧着装置の電線ガイド
CN2503503Y (zh) * 2001-09-18 2002-07-31 台精科技股份有限公司 光纤连接器自动组装装置
KR200323020Y1 (ko) 2003-05-06 2003-08-14 조추희 지지벽이 형성된 커넥터 커플링
KR200362471Y1 (ko) * 2004-06-15 2004-09-21 김진철 커넥터 조립장치
KR200474527Y1 (ko) 2014-05-13 2014-09-25 대승공업 주식회사 기밀성이 향상된 전선관 커넥터
KR20150142713A (ko) 2014-06-11 2015-12-23 김경복 전선관 및 배선박스 연결용 커넥터와 카푸링을 겸용한 연결체
KR20160036211A (ko) * 2014-09-25 2016-04-04 유재경 모터 액추에이터 조립 장치를 위한 부품 이송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41898A1 (ko) 자동 기계 가공 장치
CN108723765B (zh) 一种插头全自动装配一体机
KR101525540B1 (ko) 모터 액추에이터의 조립 장치
CN106002285A (zh) 一种煮锅的自动装配线
CN109108629B (zh) 高铁轨枕套管螺旋筋自动安装系统
KR101895463B1 (ko) 배선 접속박스 연결용 커넥터의 자동화 조립설비
CN108747349A (zh) 一种电机转子的轴承或齿轮零件的压合装配装置
CN115241781A (zh) 一种控制柜或电气柜背板装配生产线及其装配工艺
CN115958405A (zh) 一种电机转子外壳自动组装方法
WO2021022756A1 (zh) 一种电机定子铁芯的注油松动系统
KR101867538B1 (ko) 커버를 포함하는 배선 접속박스의 자동화 조립설비
US20210339351A1 (en) Part positioning jig and part position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1086988B1 (ko) 클램프 장입부가 구비된 클램프 너트 자동체결장치
CN109702482B (zh) 暗盒组装设备
JPS63272436A (ja) 部品搭載装置
KR101895465B1 (ko) 배선 접속박스의 자동화 조립설비
KR102058508B1 (ko) 파이프 서포트 행거 조립장치
CN217890142U (zh) 一种磁性工件的自动组装设备
CN113146210B (zh) 一种杆件定位装置及拧紧组装设备
CN112372291A (zh) 一种油锯离合器拼接装置
CN219078396U (zh) 一种钻杆组装生产流水线
CN219310609U (zh) 一种螺母组装设备
CN112296663A (zh) 电磁阀的阀芯体与阀体的组装成型机构
KR200349063Y1 (ko) 오링 자동 삽입장치
CN112027633A (zh) 一种旋转翻料错位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