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205B1 - Concrit pole diagnostic apparatus - Google Patents

Concrit pole diagnostic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205B1
KR101895205B1 KR1020160156164A KR20160156164A KR101895205B1 KR 101895205 B1 KR101895205 B1 KR 101895205B1 KR 1020160156164 A KR1020160156164 A KR 1020160156164A KR 20160156164 A KR20160156164 A KR 20160156164A KR 101895205 B1 KR101895205 B1 KR 101895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portion
base
magnetic sensor
coupled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1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58240A (en
Inventor
이우상
장선재
이우창
한성진
Original Assignee
(주)스마트 제어계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마트 제어계측 filed Critical (주)스마트 제어계측
Priority to KR1020160156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205B1/en
Publication of KR20180058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2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2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7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of fluids
    • G01N27/7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of fluids by investigating susceptibil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7/00Compasses; Devices for ascertaining true or magnetic north for navigation or surveying purposes
    • G01C17/38Testing, calibrating, or compensating of compas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3/00Indicating or recording apparatus with provision for the special purposes referred to in the subgroups
    • G01D3/028Indicating or recording apparatus with provision for the special purposes referred to in the subgroups mitigating undesired influences, e.g. temperature, pressure
    • G01D3/036Indicating or recording apparatus with provision for the special purposes referred to in the subgroups mitigating undesired influences, e.g. temperature, pressure on measuring arrangements themselves
    • G01D3/0365Indicating or recording apparatus with provision for the special purposes referred to in the subgroups mitigating undesired influences, e.g. temperature, pressure on measuring arrangements themselves the undesired influence being measured using a separate sensor, which produces an influence related sign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38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permanent magnets, e.g. balances, tors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12Measuring magnetic properties of articles or specimens of solids or flui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설되어 있는 철근의 파단을 진단하는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콘크리트 전주 등 내부에 철근이 매설된 구조물에서 철근이 파단된 부위 특히, 지표면 하부의 철근이 파단된 부위를 진단하여 전주의 구조적 안전성을 평가하고 보강할 수 있고, 지속적으로 전주를 유지관리하여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전주 진단장비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P.S 콘크리트 전주의 내부에 투입되어 자기장을 측정함으로써, 높은 신뢰도로 측정할 수 있는 효과와, 측정된 정보를 데이터 로거로 전송하여 패턴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자동으로 파단된 철근과 파단된 위치를 쉽게 확인 및 기록할 수 있는 효과와 지표면 하부의 철근의 상태도 쉽고 정확하게 측정 가능한 효과 및 이에 따라 매설된 철근이 파단된 P.S 콘크리트 전주의 유지관리가 용이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diagnosing failure of a buried reinforcing ba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bar embedded in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such as a concrete pole, The technical field of the electrophoresis diagnostic equipment which can diagnose and improve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electrophoresis and maintain the integrity and maintenance of the electrophoresis can be disclos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measure a high reliability by measuring a magnetic field by being inserted into a PS concrete electric pole, and to transmit the measured information to a data logger, The effect of easily recognizing and recording the position and the condition of the reinforcing bar under the ground surface can be measured easily and accurately,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by easy maintenance of PS Concrete pole with broken reinforced concrete Can be obtained.

Description

전주 진단장비{Concrit pole diagnostic apparatus}Concurrent pole diagnostic apparatus

본 발명은 매설되어 있는 철근의 파단을 진단하는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콘크리트 전주 등 내부에 철근이 매설된 구조물에서 철근이 파단된 부위 특히, 지표면 하부의 철근이 파단된 부위를 진단하여 전주의 구조적 안전성을 평가하고 보강할 수 있고, 지속적으로 전주를 유지관리하여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전주 진단장비에 관한 기술분야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diagnosing failure of a buried reinforcing ba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bar embedded in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such as a concrete pole, It is a technical field of Jeonju diagnostic equipment that enables diagnosis and reinforcement of the structural safety of Jeonju and maintenance of Jeonju continuously to ensure soundness.

일반적으로, 배전선로에 이용되는 지지물은 대부분이 콘크리트 전주로서, 프리스트레스트(P.S) 콘크리트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P.S 콘크리트 전주는 오랜 기간 사용시 전주 내부의 철근이 파단되는 원인에 의해 외력의 작용 없이도 전도되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Generally, most of the supports used in the distribution line are concrete poles, which are made of a prestressed (PS) concrete structure. The PS concrete pavement has a problem in that,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re is an accident happening.

상기와 같은 P.S 콘크리트 전주는 휨모멘트를 철근의 인장력으로 지지하도록 설계되므로 내부의 철근이 파단되어 인장력을 읽게되면 전도되는 사고가 발생된 사례가 있고, 특히, 전국적으로 70년대에 도입되어 약 40년 이상 사용된 전주에서 전도 사고가 발생되고 있다.Since the PS concrete pole as described above is designed to support the bending moment by the tensile force of the reinforcing bar, there is a case where the inner reinforcing bar is broken and the tensile force is read, thereby leading to an accident that is conducted. Particularly, Conduction accidents are occurring in the used pole.

상기 P.S 콘크리트 전주를 사용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전주에 통신선, 변압기 등 다양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콘크리트 내부 철근이 파단되는 것에 의해 2차 사고 발생 위험이 매우 높고, 이에 따라 콘크리트 내부 철근이 파단되는 것을 비파괴 방법에 의해 진단하여 전도가소가 발생하기 전에 전주를 교체 또는 보강하는 유지보수 작업이 필요한 실정이다.In Korea, where the PS concrete pole is used, various devices such as a communication line and a transformer are installed in the pole, so that the risk of secondary accident is very high due to the breakage of the inner reinforcing concrete,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maintenance work to replace or reinforce the pole before the conduction occurs.

상기와 연관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42240호에는 콘크리트 전주 내의 철근을 영구 자석으로 자화하여 지자기 센서가 내장된 휴대용 전화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전주 내의 철근의 단락 상태 혹은 이상 상태를 탐지하기 위한 영구 자것과 지자기 센서가 내장된 휴대용 전화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의 철근 단락 검사방법이 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4-0042240 discloses a method for detecting a short-circuit or abnormal state of a reinforcing bar in a concrete pole by magnetizing a reinforcing bar in a concrete pole with a permanent magnet and using a portable telephone having a geomagnetic sensor built therein A method of inspecting a reinforced concrete short circuit of a concrete pole using a portable telephone having a permanent magnet and a geomagnetic sensor is disclosed.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스마트폰 기능의 하나인 센서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전주 내 철근의 파단부위를 진단하는 방법으로 파단부 가까이에서만 철근의 파단을 진단할 수 있고, 원격지에서는 철근의 파단을 진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it is possible to diagnose the fracture of a reinforcing bar near a fracture portion by using a sensor, which is one of smart phone functions, to diagnose a fracture portion of a reinforcing bar in a concrete pole. .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037602호에는 내부에 철근이 매설된 큰크리트 전주에서 철근 파단을 비파괴 방법으로 진단하되, 지표면 하부 철근의 파단 여부도 지표면 상부 원격지에서 진단 가능하도록 한 철근 파단 진단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철근파단 진단방법 및 장치가 제시되어 있다.As 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6-0037602 discloses a method of diagnosing a reinforcing bar fracture using a non-destructive method in a large cracked electric pole having a reinforcing bar embedded therein, There is proposed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iagnosing a fracture of a steel bar that provides a method of and a method for diagnosing a fracture.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 제2014-0042240호와 공개특허 제2016-0037602호에는 철근을 자화시킨 뒤 자화시킨 철근 부근에 자기장 센서를 이용하여 철근의 파단부위를 파악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자화된 철근을 측정하는 장치가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아 측정오차 및 측정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어, 전주의 유지보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atents Nos. 2014-0042240 and 2016-0037602 disclose a method of grasping the fracture site of a reinforcing bar by using a magnetic field sensor near a magnetized reinforcing bar after magnetizing the reinforcing bar, There is a problem that a measuring error and a measurement failure may occur because the measuring device is not specifically shown, and maintenance of the electric pole may not be efficiently performed.

즉, P.S 콘크리트 전주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철근의 파단 위치 및 상태를 더욱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사용자 즉, 철근의 파단을 측정하는 작업자가 철근의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비파괴 진단장비가 필요한 실정이다.That is,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and efficiently grasp the position and state of breakage of the reinforcing bar embedded in the PS concrete pole, and a non-destructive diagnostic device that allows the user who measures the breakage of the reinforcing bar to easily grasp the state of the reinforcing bar It is necessary.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03760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6-003760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03749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6-003749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4224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4-0042240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P.S 콘크리트 전주를 용이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도록 P.S 콘크리트 전주의 내부에 투입되어 내주면에 밀착되는 장비를 이용하여 철근의 상태를 높은 신뢰도로 측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패턴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파단된 철근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지표면 하부의 철근 또한 측정이 가능함으로써, 파단된 철근과 파단된 위치를 파악 및 기록할 수 있는 신뢰도 높은 전주 진단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S concrete pole which is inserted into the PS concrete pole and closely contacted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S concrete pole,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measure with reliability, it can easily confirm the broken steel bars automatically by using the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and also can measure the steel bars under the ground surface, so that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broken steel bars and the reliable position The main objective is to provide a diagnostic device for electrophores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평단면이 원형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전주의 중공에 인입되어 타원형상을 이루는 복수 개의 자기센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진단장비를 제시한다.In order to realiz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phoresis diagnostic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magnetic sensor members which are arranged so as to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and have an elliptical shape drawn into the hollow of a pole. present.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자기센서부재는 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의 제1베이스와 제1베이스의 외주연에 상부가 결합되는 자기센서부와 자기센서부의 하부가 외주연에 결합되는 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의 제2베이스와 제1베이스의 상부 일측에 하부 일측이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제1베이스의 상부 타측에 하부 타측이 제1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는 롤러부와 상기 제1베이스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는 제2스프링 및 제2스프링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고, 제2베이스를 관통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gnetic sensor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ylindrical or polygonal tubular first base, a magnetic sensor portion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base, and a cylindrical or polygonal tubular And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base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ase by a first spring, and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base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base by a hinge, And a wir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pring and the second spring and passing through the second base.

또한, 본 발명은 제2베이스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고, 중공이 형성되는 유연한 재질의 케이블커버와 케이블커버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되,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 와이어의 하부가 내입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ble connector comprising: a cable cover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an upper portion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a second base and formed with a hollow, and a hollow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ortion, And a handle to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handle is inserte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손잡이는 자기센서부재에서 감지된 정보를 수집하는 저장부와 상기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구비하는 제어부와 중공의 하부로부터 내입되어 상부가 와이어의 하부와 연결되는 가이드샤프트가 상부에 결합되는 이동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샤프트는 외주연 타측에 형성되는 톱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는 하부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톱니부에 착탈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 unit including a storage unit for collect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magnetic sensor member and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ire, Wherein the guide shaft further comprises a toothed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periphery, and the handle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ortion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toothed portion, .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전주 진단장비는 P.S 콘크리트 전주의 내부에 투입되어 자기장을 측정함으로써, 높은 신뢰도로 측정할 수 있는 효과와, 측정된 정보를 데이터 로거로 전송하여 패턴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자동으로 파단된 철근과 파단된 위치를 쉽게 확인 및 기록할 수 있는 효과와 지표면 하부의 철근의 상태도 쉽고 정확하게 측정 가능한 효과 및 이에 따라 매설된 철근이 파단된 P.S 콘크리트 전주의 유지관리가 용이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electrophoresis diagnost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PS concrete pole to measure the magnetic field to measure the reliability with high reliability and to transmit the measured information to the data logger, ,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and record the position of the reinforced bar broken and broken, and the condition of the reinforcing bar under the ground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measured, and the maintenance of the reinforced concrete block,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도 1은 철근이 파단되지 않은 전주와 철근이 파단된 전주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철근이 매설되어 있는 전주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3은 철근을 착자시키는 상태와 철근이 파단된 경우의 자속밀도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진단장비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진단장비를 나타낸 좌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진단장비를 나타낸 좌(a)우(b)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진단장비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7의 "A", "B" 부분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진단장비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C", "B" 부분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진단장비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
Fig. 1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le where the reinforcing bars are not broken and a pole where the reinforcing bars are broke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lectric pole in which the reinforcing bars are embedded. Fig.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inforcing bar is magnetized and a magnetic flux density in a case where a reinforcing bar is broke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agnostic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diagnostic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eft side (a) and a right side (b) showing a diagnostic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ly enlarged sectional view showing a diagnostic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view of the "A" and "B" portions of FIG.
9 is a partially enlarged sectional view showing a diagnostic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and "B" in FIG.
11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agnostic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매설되어 있는 철근의 파단을 진단하는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콘크리트 전주 등 내부에 철근이 매설된 구조물에서 철근이 파단된 부위를 진단하여 전주의 구조적 안전성을 평가하고 보강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전주를 유지관리하여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전주 진단장비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diagnosing failure of a reinforced concrete buried in a concrete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n apparatus for diagnosing a fracture of a reinforcing bar in a structure having a reinforced concrete embedded therein, And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Jeonju diagnostic equipment that can maintain the integrity and maintenance of the Jeonju continuously.

최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40년 이상 즉, 오랜기간 동안 사용된 전주 특히, P.S 콘크리트 전주(이하, '전주'라 통칭한다.) 내부의 철근이 파단되는 원인에 의해 외력의 작용이 없어도 전주가 전도되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고, 이에 따라 전주에 설치되어 있는 통신선, 변압기 등 다양한 장치에 의해 2차 사고 발생위험이 매우높다.In recent years, as shown in FIG. 1, due to the reason that the reinforcing bars inside the PS concrete po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ole pole') are broken for about 40 years or more, There is an accident that the Jeonju is evacuated even though it is not there. Therefore, the risk of secondary accident is very high due to various devices such as a communication line and a transformer installed in Jeonju.

상기와 같은 전주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1) 내부에는 통상 16개의 철근(2)이 원형형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매설되어 있고, 상기 매설된 철근(2)의 길이는 지표면에서 바닥까지 대략 2.5m(16m 전주의 경우)가 되고, 지표면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2, sixteen reinforcing rods 2 are embedded in a circular shape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length of the embedded reinforcing rods 2 is set to be the same as that of the ground surface 1, (In the case of a 16m electric pole) to the bottom, and is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surface of the earth.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철근파단의 진단 원리는 전주(1)의 일측 외주연에 진단장비(10)를 밀착시킨 후 상하로 이동되면서 전주(1) 내부에 매설된 예를 들어, 16개의 철근(2) 중에 8개의 철근(2)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측정하고, 전주(1)의 타측 외주연에 진단장비(10)를 밀착시킨 후 상하로 이동되면서 전주(1) 내부에 매설된 나머지 즉, 자기장이 측정되지 않은 8개의 철근(2)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측정하며, 측정된 자기장 세기의 정보는 제어부(310)로 이동되어 저장된다.The diagnosis principle of the reinforcing bar fra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diagnosis equipment 10 is closely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y of one side of the electric pole 1,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eight reinforcing bars 2 in the reinforcing bar 2 was measured and the diagnostic equipment 10 wa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other side of the electric pole 1, That is,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eight reinforcing bars 2 whose magnetic field is not measured is measured, and the information of the measured magnetic field strength is transferred to the controller 310 and stored.

아울러, 상기 제어부(3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법으로 데이터 로거에 측정된 자기장 세기의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데이터 로거는 전달받은 자기장 세기의 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와 비교하여 그래프 또는 보고서 형식으로 표시 및 출력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10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measured magnetic field strength to the data logger using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 data logger stores information on the transmitted magnetic field strength, It can be displayed and output in report format.

이때, 진단장비(10)를 이용하여 철근(2)의 파단을 진단하기 전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1) 내부에 매설된 철근(2)을 먼저 자성체를 이용하여 자화시켜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3, before the diagnosis of the fracture of the reinforcing bar 2 is made using the diagnostic equipment 10, the reinforcing bars 2 embedded in the electric pole 1 must first be magnetized using a magnetic body It will be self-eviden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평단면이 원형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전주의 중공에 인입되어 타원형상을 이루는 복수 개의 자기센서부재(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magnetic sensor members (100)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with a flat cross section and drawn into the hollow of the pole to form an elliptical shap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자기센서부재(100)는 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의 제1베이스(110);와 제1베이스(110)의 외주연에 상부가 결합되는 자기센서부(120);와 자기센서부(120)의 하부가 외주연에 결합되는 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의 제2베이스(130);와 제1베이스(110)의 상부 일측에 하부 일측이 힌지(101)에 의해 결합되고, 제1베이스(110)의 상부 타측에 하부 타측이 제1스프링(102)에 의해 연결되는 롤러부(140);와 상기 제1베이스(110)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는 제2스프링(150); 및 제2스프링(150)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고, 제2베이스(130)를 관통하는 와이어(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gnetic sensor memb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ase 110 having a cylindrical or polygonal cylindrical shape, a magnetic sensor 120 coupled to an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base 110, A second base 130 having a cylindrical or polygonal tubular shape in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sensor unit 120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nsor unit 120, a hinge 101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ase 110, A roller part 14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base 110 by a first spring 102 and a second spring 150 coupled to a lower part of the first base 110; And a wire 16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pring 150 and passing through the second base 130.

또한, 본 발명은 제2베이스(130)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고, 중공(210)이 형성되는 유연한 재질의 케이블커버(200);와 케이블커버(200)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되, 상기 중공(210)과 연통되는 중공(320)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320)에 와이어(160)의 하부가 내입되는 손잡이(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300)는 자기센서부재(100)에서 감지된 정보를 수집하는 저장부와 상기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구비하는 제어부(3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lexible cable cover 200 having an upper portion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ase 130 and having a hollow 210 i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able cover 200, And a handle 300 formed with a hollow 320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210 and a lower portion of the wire 160 inserted into the hollow 320. The handle 300 includes a magnetic sensor And a control unit 310 having a storage unit for collect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storage unit 100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손잡이(300)는 중공(320)의 하부로부터 내입되어 상부가 와이어(160)의 하부와 연결되는 가이드샤프트(332)가 상부에 결합되는 이동손잡이(3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샤프트(332)는 외주연 타측에 형성되는 톱니부(332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300)는 하부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톱니부(332a)에 착탈되는 조절부(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andl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ing handle 330 that is inserted into a lower portion of the hollow 320 and has a guide shaft 332 whose upper portion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wire 160, And the guide shaft 33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handle 300. The handle 30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shaft 332 so as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tooth 332a (340) which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4 내지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1 sh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자기센서부재(100)는The magnetic sensor member 100, which is a main component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평단면이 원형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전주(1)의 중공(미표시)에 인입되어 타원형상을 이루도록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전주(1)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중공에 인입되어 전주(1)의 내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전자기 유도현상에 의해 자화된 철근(2)에서 발생되는 전류인 자기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Not shown) of the electric pole 1 to form an elliptical shape. The electric pole 1 is drawn into the hollow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electric pole 1, And the magnetic field, which is a current generated in the reinforcing bar 2 magnetized by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is measured.

특히, 본 발명의 자기센서부재(100)는 전주(1)의 중공에 인입되기 전에 일자형태로 펼쳐져 있다가 전주(1)의 중공에 인입된 후 구부러져 타원형상을 이루면서 전주(1)의 내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전주(1)의 중공에서 이동이 가능하고, 자화된 철근(2)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magnetic sensor memb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before being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electric pole 1, is bent into an elliptical shape after being drawn into the hollow of the electric pole 1, So that it is possible to stably move in the hollow of the electric pole (1), and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magnetized reinforcing bar (2) can be effectively measur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자기센서부재(100)는 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의 제1베이스(110)와 상기 제1베이스(110)의 외주연에 상부가 결합되는 자기센서부(120)와 상기 자기센서부(120)의 하부가 외주연에 결합되는 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의 제2베이스(130) 및 상기 제1베이스(110)의 상부 일측에 하부일측이 힌지(101)에 의해 결합되고, 제1베이스(110)의 상부 타측에 하부 타측이 제1스프링(102)에 의해 연결되는 롤러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gnetic sensor member 100 includes a first base 110 in the form of a cylinder or a polygonal cylinder, a magnetic sensor 120 coupled to an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base 110, A second base 130 having a cylindrical or polygonal tubular shape in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sensor unit 120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nsor unit 120 and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base 11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ase 110 by a hinge 101, And a roller unit 14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base 110 by a first spring 102. [

상기 제1베이스(110)와 제2베이스(130)는 다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자기센서부(120)의 상부와 하부가 각각의 외주연에 결합됨으로써, 자기센서부(120)가 이후에 전주(1)의 중공에서 구부러져 타원형상을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도 4의 확대된 부분은 하나의 자기센서부(120)를 제거하여 내측을 확인할 수 있는 도면이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and second bases 110 and 13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agnetic sensor unit 120 So that the magnetic sensor unit 120 can be effectively bent in the hollow of the electric pole 1 to effectively form an elliptical phase. In addition, the magnified portion of FIG. 4 is a view in which one magnetic sensor portion 120 is removed to confirm the inside.

이때, 상기 제1베이스(110)와 제2베이스(120)는 각각 외주연 상부와 하부에 자기센서부(1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수평으로 형성되는 결합홈(미표시)이 형성되어 있어 자기센서부(120)가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first base 110 and the second base 120 have coupling grooves (not shown) formed horizontally so that the magnetic sensor part 120 can b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outer peripheral parts, respectively, (120) are combined.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자기센서부(120)는 상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링(121)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링(121)이 제1베이스(110)와 제2베이스(130)의 외주연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어 이후에 전주(1)의 중공에 인입된 후 구부러질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More specifically, the magnetic sensor unit 120 is coupled to the stationary ring 121 such that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rotatable, and the stationary ring 121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bases 110 and 130 So as to realize the effect of being bent into the hollow of the electric pole (1)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electric pole (1).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제1베이스(110)는 하부에 돌출형성되고, 관통홀(미표시)이 형성된 하부결합돌기(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결합돌기는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제2스프링(150)의 상부가 결합된다.The first base 110 includes a lower coupling protrusion (not shown) protruding downward and formed with a through hole (not shown), and the lower coupling protrusion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The upper portion of the spring 150 is engaged.

아울러, 상기 제1베이스(110)는 상부면 일측에 돌출형성되고, 핀홀(미표시)이 형성되는 상부결합돌기(미표시)와 제1스프링(102)의 하부가 내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면 타측에 형성되는 제1고정홀(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결합돌기는 상기 롤러부(140)의 하부 일측이 힌지(101)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롤러부(140)가 힌지(101)를 축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In addition, the first base 110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has an upper coupling protrusion (not shown) in which a pinhole is formed and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pring 102, And the upper coupling protrusion is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roller unit 140 is coupled by the hinge 101. The roller unit 140 includes a first fixing hole Thereby realizing the effect that the hinge 101 can be rotated around the axis.

또한, 상기 제1고정홀은 상기 제1스프링(102)의 하부가 내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스프링(102)에 의해 롤러부(140)의 하부 타측과 연결됨으로써, 힌지(101)를 축으로 회전되는 롤러부(140)를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The first fixing hole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roller portion 140 by the first spring 102 by fixing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pring 102 inside and fixing the hinge 101, Thereby realizing the effect of restoring the roller portion 140 rotated to the original position.

부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진단장비(10)는 전주(1)의 중공으로 인입되기 위해서 전주(1)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있는 발판볼트를 제거하고, 상기 발판볼트가 제거된 발판홀을 천공한다.In addition, in the diagnostic equipmen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estal bolt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electric pole 1 are removed in order to enter the hollow of the electric pole 1, and the pedestal holes It punches.

이때, 본 발명의 진단장비(10) 즉, 자기센서부재(100)의 상부를 상기 발판홀에 인입시키면 상부가 상기 발판홀과 대향되는 전주(1)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롤러부(140)를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파손되지 않으며 전주(1)의 중공으로 내입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When the upper part of the magnetic sensor member 100 is pulled into the foot plate hole, the upper par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1 facing the foot plate hole, 140),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being hollowed into the hollow of the electric pole (1) without being broken naturally.

아울러, 상기 제2베이스(130)는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케이블커버(200)의 상부가 하부에 결합된다.In addition, the second base 13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ble cover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롤러부(140)는 제1베이스(110)의 상부 일측에 하부 일측이 힌지(10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면 일측에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미표시)와 제1스프링(102)의 상부가 내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면 타측에 형성되는 제2고정홀(미표시) 및 상부에 롤러(142)가 결합될 수 있는 한쌍의 수직돌기(미표시)가 형성된 롤러가이드(14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ller unit 140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not show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so that the lower one side of the roller unit 140 can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ase 110 by the hinge 101, A roller guide (not shown) having a second fixing hole (not show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urface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spring 102 can be inserted and fixed and a pair of vertical protrusions 144).

즉, 상기 롤러부(140)의 롤러가이드(144)는 상기 롤러(142)가 전주(1)의 내측면에 접촉되면 상기 롤러(142)에 의해 자연스럽게 힌지(101)를 축으로 회전되고, 회전후 상기 제1스프링(102)에 의해 원상태로 원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the roller guide 144 of the roller 140 is naturally rotated around the hinge 101 by the roller 142 when the roller 142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1, And is then undone by the first spring (102).

상기 자기센서부(120)는 내부에 자기센서(미도시)가 내입되어 설치되어 철근(2)의 자기장의 세기를 측정하고, 특히, 복수 개의 자기센서부(120)가 전주(1)의 중공에 인입된 후 타원형태를 이루도록 구부러지기 때문에 중앙에 자기센서가 내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강성이 강하고 탄성력을 가지며 구부러질 수 있도록 Polycrbonat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gnetic sensor part 120 measures the magnetic field strength of the reinforcing bar 2 and measures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of the reinforcing bar 2. The magnetic sensor part 120 measures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of the reinforcing bar 2, It is preferable that the magnetic sensor is inserted in the center,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magnetic sensor is made of a polycycarbonate material so that it has a strong rigidity and an elasticity and can bend.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자기센서부(120)는 연을 만들 때 사용되는 연의 살대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자기센서가 내입되는 본체(미표시)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하부가 결합되되, 상부에 고정링(121)이 회전가능 하도록 결합되는 링홀(미표시)이 형성되는 상부브라켓(122)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상부가 결ㅎ바되되, 하부에 고정링(121)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링홀(미표시)이 형성되는 하부브라켓(12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gnetic sensor unit 120 has a shape similar to that of a knife used to make a kite, and includes a main body (not shown) into which the magnetic sensor is inserted and a lower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 upper bracket 122 formed with a ring hole (not shown) to which the stationary ring 121 is rotatably coupled, and a ring hole 125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lower bracket 123 on which an undersubstrate (not shown) is formed.

즉, 상기 자기센서부(120)는 상기 상부브라켓(122)과 하부브라켓(123) 및 고정링(121)에 의해 제1베이스(110)와 제2베이스(120)에 각각 상부말단과 하부말달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이동손잡이(330)에 의해 상부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어 구부러져 타원형태를 이루고, 이에 따라 전주(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at is, the magnetic sensor unit 120 is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bases 110 and 120 by the upper bracket 122, the lower bracket 123, and the fixing ring 121, The upper part is moved downward by the moving knob 3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and is bent to form an elliptical shape,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1. [

본 발명의 자기센서부재(100)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자기센서부(120)의 상부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제1베이스(110)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는 제2스프링(150)과 상기 제2스프링(150)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고, 제2베이스(130)를 관통하는 와이어(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agnetic sensor memb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for mov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agnetic sensor unit 120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a wire 16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pring 15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pring 150 and passing through the second base 130.

즉, 본 발명의 자기센서부재(100)는 전주(1)의 중공에 인입된 후 타원형태를 이루기 위해 상기 와이어(160)가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이동손잡이(330)에 의해 하부방향 즉, 제2베이스(130)의 하부방향으로 잡아당겨지면 와이어(160)의 상부에 결합된 제2스프링(150)이 하부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자기센서부(120)가 구부러지며 자기센서부재(100)의 상부 즉, 상부브라켓(122)부터 제1베이스(110), 최상단에 위치한 롤러(142)까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자기센서부(120)는 이동되지 않는 제2베이스(130)에 의해 구부러져 타원형태를 이루게 된다.In other words, the magnetic sensor memb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wire 160 is moved downward by the moving handle 3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The second spring 150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wire 160 is pressed downward so that the magnetic sensor part 120 is bent and the magnetic sensor part 100 is bent. The magnetic sensor portion 120 is moved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bracket 122 to the first base 110 and the roller 142 located at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first base 110. The magnetic sensor portion 120 is bent by the second base 130, It becomes an elliptical shape.

이때, 상기 자기센서부(120)는 자체적인 탄성에 의해 원상 복귀 되려고 하지만 원복되는 것이 미미하여 본 발명의 진단장비(10)가 발판홀로 수거가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자기센서부(120)는 상기 제2스프링(150)에 의해 와이어(160)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더욱더 효과적으로 상기 자기센서부(120)를 원상태 즉, 판형태로 원복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At this time, the magnetic sensor unit 120 tries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due to its own elasticity, but it is difficult to recover the diagnostic equipmen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a small amount of turning. Thus, By moving the wire 160 in the upward direction by the second spring 150, the magnetic sensor unit 120 can be more effectively rewound into a plate shape.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자기센서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어부(310)와 연결되어 측정된 자기장의 세기 정보를 제어부(310)로 전달하고, 제어부(310)로 전달된 자기장의 세기 정보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 로거에 전달됨으로써, 철근(2)의 파단된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In connection with the above, the magnetic sensor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and transmits the measured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magnetic field to the controller 310. The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magnetic fiel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310 may be wireless And transmitted to the data logger through the wired communication, whereby the broken position of the reinforcing bar 2 can be grasped.

즉, 본 발명의 자기센서부재(100)는 내부에 자기센서가 내장되어 자화된 철근(2)의 자기장의 세기를 측정하고, 작업자가 상부 또는 하부로 진단장비(10)를 이동시에 복수 개의 자기센서부(120)가 타원형태를 이룸으로써, 전주(1)의 내측면 즉, 내주연에 최대한 밀접된 상태로 이동된다.That is, in the magnetic sensor memb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gnetic sensor is embedded therein to measure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ized reinforcing bar 2, and when the operator moves the diagnostic equipment 10 to the upper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The sensor unit 1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ellipse so as to be mov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lectric pole 1, that is, to the inner periphery.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진단장비(10)는 철근(2)의 손상 즉, 파단된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으로서, 제어부(310)와 데이터 로거에 패턴인식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는데, 샘플데이터와 실제로 측정된 철근(2)의 자기장 세기를 비교하여 패턴을 비교한 후 상기 샘플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측정되는 자기장 세기의 패턴과 일치시킨 후 철근(2)의 파단된 위치를 자동으로 표시하기 때문에 더욱더 신뢰도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The diagnostic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attern recognition system for the controller 310 and the data logger as a method of recognizing the damage of the reinforcing bar 2, that is, Since the magnetic field intensity of the measured reinforcing bar 2 is compared to compare the patterns and the sample data is matched with the pattern of the magnetic field intensity normally measured and the broken position of the reinforcing bar 2 is automatically displayed, Results can be obtained.

[그림 1] : 패턴인식 알고리즘Figure 1: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Figure 112016114371424-pat00001
Figure 112016114371424-pat00001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케이블커버(200)는The cable cover 200, which is a main component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자기센서부재(100)의 제2베이스(130)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고, 중공(210)이 형성되며,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전주(1)의 중공으로 인입되는 자기센서부재(100)가 이동되는 거리를 고려하여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길이가 형성되고,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쉽게 구부러짐으로써, 자기센서부재(100)가 전주(1)의 중공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측정지점으로부터 원거리에서도 철근(2)의 자기장 세기를 측정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gnetic sensor member 10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ase 130 of the magnetic sensor member 100 and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has a hollow 210. The magnetic sensor member 100, The magnetic sensor member 100 can be moved in the hollow of the electric pole 1 so that the magnetic sensor member 100 can be moved in the hollow of the electric pole 1 even at a long distance from the measurement point, The magnetic field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sensor 2 can be measured.

즉, 본 발명의 케이블커버(200)는 지면에 매립되어 있는 전주(1)의 하부의 철근(2)의 파단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자기센서부재(100)를 전주(1)의 내부 즉, 중공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in the cable cov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ic sensor member 10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electric pole 1, that is, the hollow portion of the electric pole 1, So as to be able to be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이때, 본 발명의 케이블커버(200)는 유연한 재질이되, 너무 무르지 않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너무 무른 재질로 이루어지면 전주(1) 내부에서 자기센서부재(100)를 이동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너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면 발판홀로 인입시 꺽여 파손될 수 있으므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바라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ble cov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not too much synthetic resin material. If the cable cover 200 is made of a too soft material, it is difficult to move the magnetic sensor member 100 in the electric pole 1 If it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too strong, it may be bent and broken when it is introduced into a footstool, an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bellows tube generally used conventionally.

부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케이블커버(200)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된 제2베이스(130)의 하부에 돌출형성되되,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케이블커버(200)의 상부가 내측 하부에 끼움결합되되, 내측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소켓(220)이 상기 제2베이스(230)의 나사결합부와 결합되어 제2베이스(130)의 하부에 결합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cable cov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ble cover 200, which is protrud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ase 130 described above, And a socket 220 having a threaded port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able cover 200 is coupled with a threaded portion of the second base 230 And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ase 130.

이때, 상기 소켓(220)은 하부에 케이블커버(200)의 상부 내측에 인입되어 끼움결합되는 하부소켓(미표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하부소켓에 의해 케이블커버(220)의 상부가 구부러질 때, 소켓(220)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In this case, the socket 220 may further include a lower socket (not shown) which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able cover 200 to be fit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ble cover 200, The socket 2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when it is bent.

아울러, 본 발명의 케이블커버(200)는 하부에 상기 소켓(220)과 하부소켓과 같은 구성이 대향되도록 구성되어 결합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케이블커버(200)의 하부에 결합된 소켓(220)의 하부에는 상부가 상기 하부에 결합된 소켓(220)의 하부와 나사결합되고, 하부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손잡이(300)의 중공 상부에 나사결합되는 제3베이스(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able cov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ocket 220 and the lower socket are opposed to each other at a lower portion thereof. This is because the socket 220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ble cover 200 And a third base 230 having an upper portion threadedly engaged with a lower portion of the socket 220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threadably coupled to a hollow portion of the handle 300 to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손잡이(300)는The handle 300, which is a main component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케이블커버(200)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되, 케이블커버(200)의 중공(210)과 연통되는 중공(320)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중공(320)에 와이어(160)의 하부가 내입되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고,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이동손잡이(330)의 가이드샤프트(332)의 상부가 상기 와이어(160)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160)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hollow portion 320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ortion 210 of the cable cover 200 is formed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cable cover 20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wire 16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320 The upper part of the guide shaft 332 of the moving handle 330 which can be grasped by an operator and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ire 160 to move the wire 160 downward .

아울러, 본 발명의 손잡이(300)는 자기센서부재(100)에서 감지된 정보를 수집하는 저장부와 상기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구비하는 제어부(3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어부(310)는 PCB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베이스(130)의 상부에 결합되는 자기센서부(120)와 자연스럽고 간결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손잡이(3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andl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310 having a storage unit for collect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magnetic sensor member 100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10, the control unit 310 includes a magnetic sensor unit 12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ase 130, and a magnetic sensor unit 120 coupled to the handle 300 so as to be connected in a natural and simple manner. It is preferable to be coupled to the upper part.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손잡이(300)는 상부에 제어부(310)가 내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3100)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미표시)가 손잡이(300)의 양측 상부에 결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1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300 and the cover (not shown) for protecting the control unit 310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handle 300.

또한, 상기 제어부(310)는 측정된 철근(2)의 자기장의 세기를 측정과 동시에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표시등(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등은 자기장의 세기가 변화하는 곳에서 철근(2)이 파단되어 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점등됨으로써, 작업자가 측정과 동시에 철근(2)이 파단된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작업자는 이후에 데이터 로거에서 기록된 철근(2)의 파단 위치와 비교하여 진단장비(10)의 신뢰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The controller 310 may further include an indicator lamp (not shown) to measure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of the reinforcing bar 2 and notify the operator of the strength of the measured magnetic field, The worker can confirm the position where the reinforcing bars 2 are broken at the same time of measurement and the operator can confirm the position of the reinforcing bars 2 recorded in the data logger The reliability of the diagnostic equipment 10 can be further enhanced compared to the position of the breakage.

또한, 상기 제어부(310)는 측정된 철근(2)의 자기장 세기를 저장함과 동시에 통신부를 이용하여 원격지에 있는 데이터 로거에 측정된 자기장 세기의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함으로써, 데이터 로거에 측정된 자기장 세기의 정보가 수집되고, 상기 데이터 로거에서는 측정하고 있는 전주(1)의 고유번호에 따라 자료가 수집될 수 있으며, 이는 복수 개의 진단장비(10)에 장비번호를 부여함으로써, 한번에 다수의 전주(1)를 진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10 stores the magnetic field strength of the measured reinforcing bars 2 and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measured magnetic field intensity to a data logger located at a remote place using a communication unit by wire or wireless, Information of the magnetic field strength is collected and data can be collected according to the unique number of the electric pole 1 measured by the data logger. By providing the equipment numbers to the plurality of diagnostic equipments 10, (1) can be diagnosed.

아울러, 본 발명의 데이터 로거는 측정된 자기장의 세기를 표시하는 표시화면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표시화면에는 철근(2)의 자기장 세기를 시간별, 거리별로 그래프화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표시된 철근(2)의 자기장 세기는 보고서 양식으로 변환되어 저장되어 철근(2)의 파단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logg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screen for displaying the intensity of the measured magnetic field, and the display screen may display the magnetic field strength of the reinforcing bar 2 by time and distance, The magnetic field strength of the reinforcing bar 2 can be converted into a report form and stor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rebar 2 can be easily confirmed.

또한, 데이터 로거는 진단장비(1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자기센서부(120) 각각에서 측정되는 철근(2)의 자기장 세기 정보를 기록하여 표시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자기센서부(120)에서 측정되는 철근(2)의 자기장 세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한편, 철근(2)의 파단된 위치를 측정거리를 이용하여 표시화면에 별도로 표시함으로써, 표시화면을 보고도 쉽게 철근(2)의 파단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The data logger can record the magnetic field strength information of the reinforcing bar 2 measur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sensor units 120 provided in the diagnostic equipment 10 and display the information on the display screen,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magnetic field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reinforcing bar 2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120 while displaying the broken position of the reinforcing bar 2 separately on the display screen using the measuring distance,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fracture position of the substrate 2.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손잡이(3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케이블커버(200)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되, 케이블커버(200)의 중공(210)과 연통되는 중공(320)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중공(320)에 와이어(160)의 하부가 내입되는 본체(미표시)와, 상기 본체의 중공(320)의 하부로부터 내입되어 상부가 와이어(160)의 하부와 연결되는 가이드샤프트(332)가 상부에 결합되는 이동손잡이(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hollow portion 320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ortion 210 of the cable cover 200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ble cover 200 to be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320 of the cable cover 200, (Not shown)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wire 16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320 and a guide shaft (not shown) which is insert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hollow 320 of the body and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ire 160 And a moving handle 33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332.

또한, 상기 가이드샤프트(332)는 외주연 타측에 형성되는 톱니부(332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300) 즉, 본체는 하부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톱니부(332a)에 착탈되는 조절부(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uide shaft 332 further includes a toothed portion 332a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periphery, and the handle 300, that is, the main body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ortion to be detached and detached from the toothed portion 332a And a control unit 340. [0031]

즉, 본 발명의 손잡이(300)는 중공(320)으로 내입된 와이어(160)의 하부가 상기 가이드샤프트(332)의 상부와 연결되어 작업자가 상기 가이드샤프트(332)가 결합되어 있는 이동손잡이(330)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와이어(160)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와이어(160)는 자기센서부재(100)의 제1베이스(110)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자기센서부(120)를 구부리게 된다.That is, in the handl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wire 160, which is inserted into the hollow 320,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shaft 332 so that the worker moves the moving handle The wire 160 is moved downward by moving the first base 110 of the magnetic sensor member 100 in the downward direction by moving the first base 110 of the magnetic sensor member 100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reby causing the portion 120 to bend.

아울러, 상기 가이드샤프트(332)는 이동손잡이(330)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이동 후 외주연 타측에 형성되는 톱니부(332a)가 손잡이(330)의 하부 타측에 구비된 조절부(340)에 걸림으로써, 복수 개의 자기센서부(120)가 구부러져 타원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The guide shaft 332 is moved in the downward direction by the moving knob 330 and the toothed portion 332a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is caught by the adjusting portion 34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knob 330 Thereby realizing the effect that the plurality of magnetic sensor portions 120 can be bent and the elliptical shape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구체적으로, 상기 조절부(340)는 손잡이(300)의 하부 타측에 관통형성된 조절홀(미표시)에 하부중앙(도면 10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타측면 중앙)이 힌지(341)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몸체(342)와 상기 몸체(342)의 타측면 하부(도면 10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또는 타측면 상부(도면 10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에 손잡이(30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343) 및 상기 몸체(342)의 타측면 상부(도면 10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또는 타측면 하부(도면 10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와 손잡이(300)의 본체에 연결되어 일측방향(도면 10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3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adjusting portion 340 is rotatable by a hinge 341 at a lower center (the other side center with respect to the side shown in FIG. 10) on an adjustment hole (not shown) formed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300 (On the basis of the bar shown in Fig. 10) or on the upper side of the other side (on the basis of the bar shown in Fig. 10) of the body 342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knob 300 (Refer to FIG. 10) or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with reference to FIG. 10) of the body 342 and the main body of the handle 300 And a spring 344 which is connected and has an elastic force in one direction (based on the bar shown in Fig. 10).

이때, 상기 걸림돌기(343)는 말단에 일측방향(도면 10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미표시)이 형성되어 가이드샤프트(332)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될 때는 쉽게 이동되나, 상부방향으로 움직일 때는 톱니부(332a)가 걸려 쉽게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여 자기센서부(120)의 형태를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ngaging protrusion 343 is easily moved when the guide shaft 332 is moved in the downward direction because the inclined surface (not shown) which is lowered toward one end side (as viewed in FIG. 10) The teeth portion 332a is caught and prevented from being easily moved to move the magnetic sensor portion 120 in the upward direction.

즉, 상기 조절부(340)는 전주(1)의 중공으로 인입된 후 타원 형태를 이루는 복수 개의 자기센서부(120) 즉, 자기센서부재(100)가 중공에서 이동되지 않으면, 작업자는 조절부(340)를 이용하여 타원의 직경을 조절함으로써, 전주(1)의 중공의 크기에 따라 타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when the plurality of magnetic sensor units 120, that is, the magnetic sensor member 100, which is in the shape of an ellipse after the magnetic pole member 1 is pulled into the hollow of the electric pole 1, The size of the ellips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hollow of the electric pole 1 by adjusting the diameter of the ellipse by using the ellipse 340.

아울러, 상기 손잡이(300)의 본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타측방향에 형성되는 가이드홀(3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이동손잡이(330)는 상기 가이드홀(350)에 내입되되 상부면 타측에 결합되는 가이드핀(33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홀(350)과 가이드핀(333)에 의해 이동손잡이(330)를 안정적으로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와이어(160)를 안정적으로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9, the handle 300 may further include a guide hole 350 formed i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moving handle 330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guide And a guide pin 333 inserted into the hole 350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The guide pin 350 and the guide pin 333 can stably support the moving handle 330. By moving vertically, the wire 160 can be stably moved up and down.

이때, 상기 가이드홀(350)과 가이드핀(333)의 형성위치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제어부(310)와 가이드샤프트(332)와 겹치지 않도록 형성시킬 수 있어 형성위치가 국한되지 않음은 자명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guide hole 350 and the guide pin 333 may be formed so as not to overlap the control unit 310 and the guide shaft 332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

아울러, 본 발명의 손잡이(300)는 중공(320)이 형성된 일측면에 장공 형태로 관통형성되는 확인홀(미표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확인홀은 와이어(160) 및 가이드샤프트(332)의 작동확인과 간단한 유지보수를 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In addition, the handl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firmation hole (not shown) formed in a shape of a long hole on one side where the hollow 320 is formed. The confirmation hole may include a wire 160 and a guide shaft (332) and simple maintenance can be realized.

또한, 본 발명의 손잡이(300)는 중공(320)과 가이드홀(350)에 내입된 가이드샤프트(332)와 가이드핀(33)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하부에 결합되는 손잡이커버(미표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handl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 cover 320 and a handle cover (not shown)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shaft 332 to prevent the guide pin 332 from being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guide pin 33, As shown in FIG.

종합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진단장비(10)는 전주(1)의 발판홀을 통해 내부로 인입된 후 이동되기 때문에 지표면 하부에 매립된 전주(1)의 철근(2)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패턴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파단된 철근(2)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주(1)의 내부에 매설된 철근(2) 각각에 자기센서를 각각 대응하여 측정함으로써, 더욱더 신뢰도가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The diagnostic equipmen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into the interior of the electric pole 1 through the foot hole of the electric pole 1 and then moved to the interior of the electric pole 1 to grasp the state of the reinforcing bars 2 of the electric pole 1 And the position of the reinforcing bar 2 that is automatically broken can be confirmed by using the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By measuring each of the magnetic senso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reinforcing bars 2 embedded in the pole 1, High results can be obtained.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possible to carry out various changes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 자기센서부재 101, 341 : 힌지
102 : 제1스프링 110 : 제1베이스
120 : 자기센서부 121 : 고정링
122 : 상부브라켓 123 : 하부브라켓
130 : 제2베이스 140 : 롤러부
150 : 제2스프링 160 : 와이어
200 : 케이블커버 210, 320 : 중공
220 : 소켓 230 : 제3베이스
300 : 손잡이 310 : 제어부
330 : 이동손잡이 332 : 가이드샤프트
332a : 톱니부 333 : 가이드핀
340 : 조절부 342 : 몸체
343 : 걸림돌기 344 : 스프링
350 : 가이드홀
100: magnetic sensor member 101, 341: hinge
102: first spring 110: first base
120: magnetic sensor part 121: stationary ring
122: upper bracket 123: lower bracket
130: second base 140: roller portion
150: second spring 160: wire
200: cable cover 210, 320: hollow
220: Socket 230: Third base
300: handle 310:
330: shift knob 332: guide shaft
332a: serration 333: guide pin
340: regulator 342: body
343: locking protrusion 344: spring
350: Guide hole

Claims (7)

평단면이 원형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전주의 중공에 인입되어 타원형상을 이루는 복수 개의 자기센서부재(1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기센서부재(100)는
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의 제1베이스(110);와
제1베이스(110)의 외주연에 상부가 결합되는 자기센서부(120);와
자기센서부(120)의 하부가 외주연에 결합되는 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의 제2베이스(130); 및
제1베이스(110)의 상부 일측에 하부 일측이 힌지(101)에 의해 결합되고, 제1베이스(110)의 상부 타측에 하부 타측이 제1스프링(102)에 의해 연결되는 롤러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진단장비.
And a plurality of magnetic sensor members (100) arranged so as to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having an elliptical shape drawn into the hollow of the pole,
The magnetic sensor member (100)
A first base 110 having a cylindrical or polygonal tubular shape;
A magnetic sensor part 120 coupled to an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base 110,
A second base 130 having a cylindrical or polygonal tubular shape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magnetic sensor unit 120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And
A roller unit 140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base 110 by a hinge 101 at the lower side and a first spring 102 at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ase 110, Wherein the electrophoresis diagnostic device further compris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센서부재(100)는
상기 제1베이스(110)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는 제2스프링(150);과
제2스프링(150)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고, 제2베이스(130)를 관통하는 와이어(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진단장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gnetic sensor member (100)
A second spring 15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base 110;
And a wire (16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pring (150) and passing through the second base (13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주 진단장비는
제2베이스(130)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고, 중공(210)이 형성되는 유연한 재질의 케이블커버(200);와
케이블커버(200)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되, 상기 중공(210)과 연통되는 중공(320)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320)에 와이어(160)의 하부가 내입되는 손잡이(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진단장비.
The method of claim 3,
The electrophoresis diagnostic equipment
A flexible cable cover 200 having an upper portion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ase 130 and formed with a hollow 210;
A handle 300 having an upper portion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able cover 200 and formed with a hollow 320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210 and a lower portion of the wire 160 inserted into the hollow 320; Wherein the electrophoresis diagnostic device compris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00)는
자기센서부재(100)에서 감지된 정보를 수집하는 저장부와 상기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구비하는 제어부(3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진단장비.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andle (300)
And a control unit (310) having a storage unit for collect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magnetic sensor member (100) and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00)는
중공(320)의 하부로부터 내입되어 상부가 와이어(160)의 하부와 연결되는 가이드샤프트(332)가 상부에 결합되는 이동손잡이(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진단장비.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andle (300)
And a moving handle (330) having a guide shaft (332) inserted into a lower portion of the hollow (320) and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wire (160) at an upper portion thereof.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샤프트(332)는
외주연 타측에 형성되는 톱니부(332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300)는
하부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톱니부(332a)에 착탈되는 조절부(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진단장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guide shaft 332
And a tooth portion (332a)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periphery,
The handle (300)
And an adjuster (34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ortion and detachable from the tooth portion (332a).
KR1020160156164A 2016-11-23 2016-11-23 Concrit pole diagnostic apparatus KR1018952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164A KR101895205B1 (en) 2016-11-23 2016-11-23 Concrit pole diagnostic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164A KR101895205B1 (en) 2016-11-23 2016-11-23 Concrit pole diagnostic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240A KR20180058240A (en) 2018-06-01
KR101895205B1 true KR101895205B1 (en) 2018-09-10

Family

ID=62635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164A KR101895205B1 (en) 2016-11-23 2016-11-23 Concrit pole diagnostic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20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658A (en) * 2019-08-16 2021-02-24 한국전력공사 Breakage diagnosis device of steel reinforcement for electric pole and diagnosis method using the same
KR102546010B1 (en) 2023-01-19 2023-06-22 (주)스마트 제어계측 Diagnostic equipment for rebar fracture of concrete po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80924B (en) * 2017-12-11 2020-11-27 歌尔科技有限公司 Magnetometer calibration updating method and device
KR102639931B1 (en) * 2022-07-15 2024-02-23 주식회사 파워플러스이앤씨 Apparatus for breakage detection of steel reinforce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8249A (en) 2007-11-26 2009-06-11 Fujikura Ltd Magnetic particle inspection device
JP2014202483A (en) 2013-04-01 2014-10-27 大阪瓦斯株式会社 Inspection equipment and inspection method
KR101693437B1 (en) * 2015-09-11 2017-01-05 한국전력공사 Apparatus for breakage detection of steel reinforcem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8191B2 (en) * 1997-08-29 2003-09-1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Rebar break detector and rebar break detection method
KR101094667B1 (en) * 2009-09-04 2011-12-2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detecting cracks on the inside wall of quill shaft using magnetic sensor array
KR20140042240A (en) 2012-09-28 2014-04-07 조명기 How to detect damaged steel reinforcement of concrete electric pole using magnetizer and mobile phone
KR102302566B1 (en) 2014-09-29 2021-09-16 한국전력공사 Dignosis method and apparatus of steel bar cracking
KR20160037494A (en) 2014-09-29 2016-04-06 한국전력공사 Concrete Pole Diagnostic Tes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8249A (en) 2007-11-26 2009-06-11 Fujikura Ltd Magnetic particle inspection device
JP2014202483A (en) 2013-04-01 2014-10-27 大阪瓦斯株式会社 Inspection equipment and inspection method
KR101693437B1 (en) * 2015-09-11 2017-01-05 한국전력공사 Apparatus for breakage detection of steel reinforce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658A (en) * 2019-08-16 2021-02-24 한국전력공사 Breakage diagnosis device of steel reinforcement for electric pole and diagnosis method using the same
KR102361166B1 (en) * 2019-08-16 2022-02-11 한국전력공사 Breakage diagnosis device of steel reinforcement for electric pole and diagnosis method using the same
KR102546010B1 (en) 2023-01-19 2023-06-22 (주)스마트 제어계측 Diagnostic equipment for rebar fracture of concrete po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240A (en) 2018-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5205B1 (en) Concrit pole diagnostic apparatus
KR101895206B1 (en) Concrit pole diagnostic apparatus
KR101546367B1 (en) Device for realtime measuring proceeding concrete crack
KR102337770B1 (en) Dignosis method by apparatus of steel bar cracking
KR101693437B1 (en) Apparatus for breakage detection of steel reinforcement
KR20210020658A (en) Breakage diagnosis device of steel reinforcement for electric pole and diagnosis method using the same
CN104234094A (en) Underwater concrete spouting-height detecting device
US20150300988A1 (en) Psc anchorage for monitoring a status change of ps steel member and psc girder using the same
CN113898372A (en) Full life cycle health monitoring system of deep tunnel of sewage
KR102300063B1 (en) Breakage diagnosis device of steel reinforcement for electric pole and diagnosis method using the same
JP2018119970A (en) Diagonal inspection method for cable-stayed bridge
KR101692640B1 (en) Apparatus for breakage detection of steel reinforcement
EP2835657A1 (en) Cable system and test cable therefore
CN111918751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n-situ elongation measurements
CN105136112A (en) 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settlement in soil
CN216289050U (en) Intelligent grounding seal wire
KR101757590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fects diagnosis of construction strengthening material
CN211498803U (en) Road subgrade settlement monitoring system
JP6308529B2 (en) Cable stay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for cable stay inspection of cable stayed bridge
KR101896915B1 (en) Sensor for monitoring tendon force, and system for analyzing tendon force using the same
KR100522935B1 (en) Instrumentation for the ground displacement and alarm system for wide area
KR200410496Y1 (en) Air Gap Measuring Tool
JP2019113569A (en) Inspection method and inspection system of reinforcing bar in concrete pole
KR20110125760A (en) Strain measuring apparatus
CN214470658U (en) Actual buried depth measuring device for conical electric p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