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069B1 -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방법 - Google Patents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069B1
KR101895069B1 KR1020170052813A KR20170052813A KR101895069B1 KR 101895069 B1 KR101895069 B1 KR 101895069B1 KR 1020170052813 A KR1020170052813 A KR 1020170052813A KR 20170052813 A KR20170052813 A KR 20170052813A KR 101895069 B1 KR101895069 B1 KR 101895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supply
stopper
unit
pip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상권
이상명
김양원
김동현
최욱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052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069B1/ko
Priority to PCT/KR2018/004788 priority patent/WO201819962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42Waste feed arrangements
    • F23G5/444Waste feed arrangements for solid was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10Under-feed arrangements
    • F23K3/12Under-feed arrangements feeding by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2203/00Feeding arrangements
    • F23K2203/20Feeding/conveying devices
    • F23K2203/203Feeding/conveying devices using pistons or 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는, 일단은 연소기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하도록 연장되어 배치되며, 측단부에 형성된 연료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연료가 상기 연소기 내부의 연소실로 이동하도록 상기 연료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공급배관부재; 상기 공급배관부재의 하부측 내부에서 승강이동하여 상기 연료의 상승이동 추진력을 제공 가능한 피스톤부재를 구비하는 추진력제공유닛; 및 상기 공급배관부재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공급배관부재 외측의 대기위치 및 상기 공급배관부재 내측의 지지위치 사이를 전환이동 가능한 스토퍼프레임을 구비하는 스토퍼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위치로 전환이동한 스토퍼프레임은 상기 추진력제공유닛에 의해 상승이동된 상기 연료의 하강이동을 제한한다.

Description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방법{Fuel feeding apparatus for combustor and fuel feed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연소기에 연료를 효과적으로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연소기에 연료를 효과적으로 공급하는 연료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산업 폐기물 및 생활 폐기물 등의 폐기물들을 처리하기 위하여 지하에 매립하는 매립방법이 주로 이용되었으나, 이러한 매립방법은 환경오염을 수반하게 되는바, 최근에는 이들 폐기물을 소각하여 처리하는 소각방법 등이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수거된 폐기물들은 분쇄 및 파쇄된 후 건조되어 연소기에 공급되며, 이들 폐기물들은 연소기 내에서 연소되어 소각 처리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037334호(2007.01.05.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소기에 연료를 효과적으로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연소기에 연료를 효과적으로 공급하는 연료공급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는, 일단은 연소기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하도록 연장되어 배치되며, 측단부에 형성된 연료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연료가 상기 연소기 내부의 연소실로 이동하도록 상기 연료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공급배관부재; 상기 공급배관부재의 하부측 내부에서 승강이동하여 상기 연료의 상승이동 추진력을 제공 가능한 피스톤부재를 구비하는 추진력제공유닛; 및 상기 공급배관부재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공급배관부재 외측의 대기위치 및 상기 공급배관부재 내측의 지지위치 사이를 전환이동 가능한 스토퍼프레임을 구비하는 스토퍼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위치로 전환이동한 스토퍼프레임은 상기 추진력제공유닛에 의해 상승이동된 상기 연료의 하강이동을 제한한다.
상기 피스톤부재는 상기 피스톤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연료공급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강위치 및 상기 피스톤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연료공급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승위치 사이를 전환이동 가능하며, 상기 상승위치로 전환이동된 상기 피스톤부재의 선단면은 상기 지지위치로 전환이동된 상기 스토퍼프레임의 직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유닛은, 상부측의 상부스토퍼유닛; 및 하부측의 하부스토퍼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공급배관부재는 상기 상부스토퍼유닛 및 상기 하부스토퍼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료의 이동경로를 선택적으로 단절 가능한 분리형배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스토퍼유닛은, 상기 분리형배관부재 직상부의 상기 공급배관부재의 외측인 상부대기위치 및 상기 상부대기위치로부터 상기 공급배관부재의 내부로 수평 이동한 상부지지위치 사이를 전환이동 가능한 상부스토퍼프레임; 및 상기 상부스토퍼프레임에 연결되어 전환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상부구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스토퍼유닛은, 상기 분리형배관부재의 외측인 하부대기위치 및 상기 하부대기위치로부터 상기 공급배관부재의 내부로 수평이동한 하부지지위치 사이를 전환이동 가능한 하부스토퍼프레임; 및 상기 하부스토퍼프레임에 연결되어 전환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하부구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배관부재는, 상기 연소기의 하단에 상단이 연결되는 상부배관부재; 상단이 상기 상부배관부재의 하단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측에 상기 연료공급부가 형성된 하부배관부재; 및 상기 상부배관부재 및 상기 하부배관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분리형배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분리형배관부재는, 상기 하부배관부재의 상단에 고정배치되는 내관부재; 및 상기 내관부재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내관부재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선단이 상기 상부배관부재의 하단에 연결되는 연결위치 및 상기 연결위치로부터 하부측으로 이격된 개방위치 사이를 전환이동 가능한 외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관부재는 상기 내관부재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하부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돌출부는 상기 외관부재의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외관부재의 하방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공급배관부재는 상부를 향해 내경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프레임은, 상기 스토퍼프레임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공급배관부재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들; 상기 각각의 지지프레임들의 일단부가 고정배치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들과 대응하는 상기 공급배관부재의 일측벽에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대응하는 형상의 가이드홀들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들은 상기 가이드홀들을 통해 상기 대기위치로부터 상기 지지위치로 전환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유닛은, 상기 공급배관부재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공급배관부재 외측의 제1 대기위치 및 상기 공급배관부재 내측의 제1 지지위치 사이를 전환이동 가능한 제1 스토퍼프레임을 구비하는 제1 스토퍼유닛; 및 상기 공급배관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스토퍼유닛 맞은편의 상기 공급배관부재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공급배관부재 외측의 제2 대기위치 및 상기 공급배관부재 내측의 제2 지지위치 사이를 전환이동 가능한 제2 스토퍼프레임을 구비하는 제2 스토퍼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토퍼프레임의 선단부 및 상기 제2 스토퍼프레임의 선단부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기 제1 지지위치로 전환이동된 상기 제1 스토퍼프레임의 선단부 및 상기 제2 지지위치로 전환이동된 상기 제2 스토퍼프레임의 선단부는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퍼프레임은, 상기 제1 스토퍼프레임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지지프레임들; 및 상기 각각의 제1 지지프레임들의 일단부가 고정배치되는 제1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스토퍼프레임은, 상기 제2 스토퍼프레임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지지프레임들; 및 상기 각각의 제2 지지프레임들의 일단부가 고정배치되는 제2 고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토퍼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공급배관부재의 일측벽에는 상기 제1 지지프레임들에 대응하는 제1 가이드홀들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프레임들은 상기 제1 가이드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대기위치 및 상기 제1 지지위치 사이를 전환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2 스토퍼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공급배관부재의 타측벽에는 상기 제2 지지프레임들에 대응하는 제2 가이드홀들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프레임들은 상기 제2 가이드홀들을 통해 상기 제2 대기위치 및 상기 제2 지지위치 사이를 전환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위치로 전환이동된 상기 제1 지지프레임들의 선단부는 상기 제2 지지위치로 전환이동된 상기 제2 지지프레임들의 이격거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배관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료공급부를 향해 상기 연료를 공급 가능한 공급유닛; 상기 공급유닛에 기 설정된 공급량으로 상기 연료를 분할공급 가능한 공급량 조절유닛; 및 상기 연료가 저장된 연료저장조로부터 상기 공급량조절유닛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연료를 상기 공급량조절유닛으로 이송 가능한 이송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유닛은, 일측은 상기 연료공급부와 연통되며 상부는 개방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부재; 상기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연료공급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및 상기 연료공급부로부터 이격된 공급위치 사이를 전환이동 가능한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에 전환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가압구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량조절유닛은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공급위치로 전환이동된 경우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연료공급부와 상기 가압부재 사이의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연소기의 하단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연장된 공급배관부재를 통해 상기 연소기에 연료를 공급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료공급방법은, 상기 공급배관부재의 내측 하부의 제1 위치에 상기 연료를 공급하고, 상기 연료의 하부측에서 상부측을 향해 추진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1 위치 상부의 제2 위치로 상기 연료를 이동시키며, 상기 제2 위치의 하단부에 하부스토퍼프레임을 제공하여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한 상기 연료가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상기 연소기에 연료를 공급한다.
상기 연료공급방법은, 상기 연소기 직하단부의 상기 공급배관부재의 내측에 상부스토퍼프레임을 제공하여 상기 연소기 내의 상기 연료가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상부스토퍼프레임 하부의 상기 공급배관부재를 단절시켜 상기 연료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방법은 연소실 내부로 연료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연소실 내부로의 연료 공급을 즉각적이고 효과적으로 중단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의 부분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를 이용한 연료의 공급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의 연료 공급 중단 작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상부스토퍼유닛의 전환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상부스토퍼프레임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료공급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언급되는 연결은 두 개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매개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의 부분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1)는 연소실(102)을 구비하는 연소기(100)의 하단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공급배관부재(200)를 포함한다. 연료(X)는 공급배관부재(200)의 내부를 통해 연소실(102)로 공급되며, 연소기(100)로 공급된 연료(X)는 연소실(102) 내에서 연소되어 소각되어나 에너지원으로 회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소기(100)는 내부에 원통형의 연소실(102)을 구비하며, 연소실(102)의 외측벽에 대한 접선 방향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환형연소기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연소기(100)는 반드시 환형의 연소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소기(100)의 하부측에서 연료(X)를 주입되어 연소 가능한 모든 유형의 연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료(X)는 산업 폐기물 또는 생활 폐기물 등을 건조 처리한 고체 연료인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연료(X)가 반드시 이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점성이 큰 액체 연료도 본 발명의 연료(X)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공급배관부재(200)는 상단부가 연소기(10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상부배관부재(210), 상부배관부재(210)의 하단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이격되어 상단부가 배치되는 하부배관부재(230) 및 상부배관부재(210) 및 하부배관부재(230)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형배관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배관부재(210), 하부배관부재(230) 및 분리형배관부재(220)의 내부에는 각각 공급배관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공간(212), 하부공간(232) 및 분리형공간(2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상부공간(212), 하부공간(232) 및 분리형공간(222)은 서로 연결되어 연료(X)의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연소기(100)의 하단부에는 연소실(102)과 연통된 개구(10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배관부재(210)는 개구(104)를 통해 상부공간(212)과 연소실(102)이 연통되도록 연소기(100)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배관부재(230)의 하부 일측에는 연료공급부(23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연료공급부(234)를 통해 공급된 연료(X)는 하부배관부재(230), 분리형배관부재(220) 및 상부배관부재(220)의 내부를 따라 순차적으로 상부를 향해 이동하여 연소실(102)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급배관부재(200)는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내경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부배관부재(230), 분리형배관부재(220) 및 상부배관부재(210)는 단계적으로 내경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하부배관부재(230), 분리형배관부재(220) 및 상부배관부재(210)는 하단부에 비해 상단부가 더 큰 내경을 가지도록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공급배관부재(200)는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내경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바, 공급배관부재(200)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연료(X)와 공급배관부재(200)의 내벽 사이의 마찰력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공급배관부재(200) 내부에서 연료(X)가 이동 중 막히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연료공급부(234)가 형성된 하부배관부재(230)의 일측에는 공급유닛(500)이 배치될 수 있으며, 공급유닛(500)에 의해 연료(X)는 연료공급부(234)를 통해 공급배관부재(20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1)는 공급유닛(500)에 일정한 공급량으로 연료(X)를 분할하여 공급 가능한 공급량 조절유닛(600), 연료(X)가 저장된 연료저장조(도시 안함)로부터 공급량 조절유닛(600)을 향해 연장되어 공급량 조절유닛(600)으로 연료(X)를 이송 가능한 이송유닛(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3에는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되는 이송유닛(700)을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이송유닛(700)은 반드시 컨베이어 벨트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연료저장조로부터 공급량 조절유닛(600)에 연료(X)를 이송 가능한 모든 수단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공급유닛(500)은 상부가 개방되고 일단이 연료공급부(234)와 연통되는 수용공간(512)을 내부에 구비하는 하우징부재(510) 및 수용공간(512)의 내부로 유입된 연료(X)를 연료공급부(234)를 향해 가압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가압유닛(52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공간(512)은 연료공급부(234)의 폭 및 높이에 대응하는 폭 및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수용공간(512)의 수직단면은 연료공급부(23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가압유닛(520)은 하우징부재(510)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가압부재(524) 및 가압부재(524)에 전환이동력을 제공 가능한 가압구동부재(52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524)는 수용공간(512)의 폭 및 높이에 대응하는 폭 및 높이로 구비되는 것이 가압 효율상 바람직하며, 가압구동부재(524)의 구동축은 하우징부재(510)에 형성된 관통홀(514)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일단이 가압부재(524)에 연결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압부재(524)는 연료공급부(234)가 형성된 하부배관부재(230)의 내주면과 대응하는 가압면을 구비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가압부재(524)는 연료공급부(234)를 폐쇄하는 폐쇄위치(E) 및 폐쇄위치(E)와 대향되는 수용공간(512)의 타단부측의 개방위치(F)를 전환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공급량 조절유닛(600)은 가압부재(524)가 개방위치(F)로 이동한 경우 수용공간(512) 내부로 연료(X)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 내지 3에는 실린더형으로 구비되는 가압구동부재(524)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가압구동부재(524)는 반드시 실린더형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가압부재(524)에 전환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모든 수단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공급량 조절유닛(600)은 버퍼공간(612)을 구비하는 버퍼하우징(610) 및 버퍼하우징(610)의 하부에서 하우징부재(510)의 상부측을 향해 연장되는 보조 컨베이어 벨트(620)를 포함할 수 있다. 버퍼공간(612)에는 일정량의 연료(X)가 수용될 수 있으며, 버퍼공간(612)에 수용된 연료(X)는 일정한 공급 주기 및 공급량으로 보조 컨베이어벨트(620) 상에 공급될 수 있다. 즉, 공급량 조절유닛(600)은 연료저장조로부터 공급되는 연료(X)의 버퍼링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공급배관부재(200)에 일정한 주기 및 공급량으로 연료(X)가 공급되도록 연료(X)의 공급 주기 및 공급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1)는 하부배관부재(230)의 하단부측에 배치되어 연료공급부(234)를 통해 유입된 연료(X)의 상승 이동에 추진력을 제공 가능한 추진력제공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진력제공유닛(400)은 하부배관부재(230)의 개방된 하부(236)를 폐쇄하도록 배치되는 피스톤부재(412) 및 피스톤부재(412)에 승강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승강구동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부재(412)는 상단부가 연료공급부(234)의 하단부보다 더 낮은 위치 또는 연료공급부(234)의 하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인 하강위치(D) 및 상단부가 연료공급부(234)의 상단부보다 더 높은 위치 또는 연료공급부(234)의 상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인 상승위치(C) 사이를 전환이동 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피스톤부재(412)가 상승위치(C)로 전환이동함에 따라 피스톤부재(412) 상부의 연료(X)는 공급배관부재(200) 내부에서 상부측을 향해 상승 이동하게 된다. 피스톤부재(412)는 하부배관부재(230)의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도록 구비됨이 연료(X)의 승강 효율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3에서는 실린더형의 승강구동부재(410)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승강구동부재(410)는 반드시 실린더형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피스톤부재(412)에 승강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로기의 연료공급장치(1)는 공급배관부재(200)의 일측에 배치되며, 공급배관부재(200) 내부에서 연료(X)가 하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 가능한 스토퍼유닛(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유닛(300)은 분리형배관부재(220)를 기준으로 분리형배관부재(220)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상부스토퍼유닛(300a) 및 분리형배관부재(220)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하부스토퍼유닛(300b)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부스토퍼유닛(300a)은 상부배관부재(210)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부배관부재(210) 외부의 상부대기위치(Aa) 및 상부배관부재(210) 내부의 상부지지위치(Ba) 사이를 전환이동 가능한 상부스토퍼프레임(314a) 및 상부스토퍼프레임(314a)에 전환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상부구동부재(31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배관부재(210)의 일측에는 상부가이드홀(216)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스토퍼프레임(314a)은 상부가이드홀(216)을 통해 상부대기위치(Aa) 및 상부지지위치(Ba) 사이를 전환이동할 수 있다. 상부대기위치(Aa)에서 상부스토퍼프레임(314a)의 선단부는 상부가이드홀(216)을 폐쇄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부가이드홀(216)을 통해 상부배관부재(210) 내부의 연료(X)가 상부배관부재(21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부스토퍼프레임(314a)은 단일의 플레이트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상부스토퍼프레임(314a)은 복수의 바 형상으로 분할 제공되어 상부배관부재(210)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가이드홀(216) 역시 각각의 상부스토퍼프레임(314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 형상으로 제공되는 상부스토퍼프레임들(314a)은 단일의 플레이트형의 상부스토퍼프레임(314a)에 비해 상부지지위치(Ba)로의 전환이동시 연료(X)에 의한 마찰저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바 형상으로 제공되는 상부스토퍼프레임들(314a) 상에서 고체 연료(X)는 각각의 상부스토퍼프레임들(314a)의 이격거리 내에서 아치형의 하단면을 가지도록 구비되는바, 상부스토퍼프레임(314a)의 하부로 연료(X)가 낙하되는 것 역시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상부스토퍼프레임들(314a)의 후단은 상부고정프레임(312a)의 일단에 고정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고정프레임(312a)의 타단에 상부구동부재(310a)의 축이 연결됨으로써 상부스토퍼프레임들(314a)은 상부고정프레임(312a)과 함께 전환이동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에는 실린더형의 상부구동부재(310a)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상부구동부재(310a)는 반드시 실린더형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스토퍼프레임(314a)에 전환이동력을 제공 가능한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스토퍼유닛(300b)은 하부배관부재(230)의 일측에 배치되며, 하부배관부재(230) 외부의 하부대기위치(Ab) 및 하부배관부재(230) 내부의 하부지지위치(Bb) 사이를 전환이동 가능한 하부스토퍼프레임(314b) 및 하부스토퍼프레임(314b)에 전환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하부구동부재(310b)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스토퍼유닛(300b)은 하부지지위치(Bb)로 이동한 하부스토퍼프레임(314b)이 상승위치(C)로 이동한 피스톤부재(412) 상단부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하부배관부재(230)의 일측에는 하부가이드홀(236)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스토퍼프레임(314b)은 하부가이드홀(236)을 통해 하부대기위치(Ab) 및 하부지지위치(Bb) 사이를 전환이동할 수 있다. 하부대기위치(Ab)에서 하부스토퍼프레임(314b)의 선단부는 하부가이드홀(236)을 폐쇄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하부가이드홀(236)을 통해 하부배관부재(230) 내부의 연료(X)가 하부배관부재(23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하부스토퍼프레임(314b)은 단일의 플레이트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복수의 바 형상으로 분할 제공되어 하부배관부재(230)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하부가이드홀(236) 역시 각각의 하부스토퍼프레임(314b)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 형상으로 제공되는 하부스토퍼프레임들(314b)은 단일의 플레이트형의 하부스토퍼프레임(314b)에 비해 하부지지위치(Bb)로의 전환이동시 연료(X)에 의한 마찰저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바 형상으로 제공되는 하부스토퍼프레임들(314b) 상에서 고체 연료(X)는 각각의 하부스토퍼프레임들(314b)의 이격거리 내에서 아치형의 하단면을 가지도록 구비되는바, 하부스토퍼프레임(314b)의 하부로 연료(X)가 낙하되는 것 역시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하부스토퍼프레임들(314b)의 후단은 하부고정프레임(312b)의 일단에 고정 배치될 수 있으며, 하부고정프레임(312b)의 타단에 하부구동부재(310b)의 축이 연결됨으로써 하부스토퍼프레임들(314b)은 하부고정프레임(312b)과 함께 전환이동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에는 실린더형의 하부구동부재(310b)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하부구동부재(310b) 역시 반드시 실린더형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하부스토퍼프레임(314b)에 전환이동력을 제공 가능한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형배관부재(220)는 하부배관부재(230)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고정배치되는 내관부재(220b) 및 내관부재(220b)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내관부재(220b)의 상부측 외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외관부재(220a)를 포함할 수 있다. 외관부재(220a)는 상단부가 상부배관부재(21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연결위치(G) 및 상단부가 상부배관부재(210)의 하단부와 이격되는 개방위치(H) 사이를 전환이동할 수 있으며, 외관부재(220a)가 개방위치(H)로 전환이동됨에 따라 공급배관부재(200)는 부분적으로 단절될 수 있다. 공급배관부재(200)의 부분적 단절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내관부재(220b)의 하단부에는 내관부재(220b)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하부돌출부(224b)가 구비될 수 있으며, 외관부재(220a)가 개방위치(H)로 전환이동시 하부돌출부(224b)에 외관부재(220a)의 하단부가 지지됨으로써 외관부재(220a)의 하방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외관부재(220a)의 상단부에는 외관부재(220a)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상부돌출부(224a)가 구비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상부돌출부(224a)를 지지 가능한 도구(도시 안함) 등을 이용하여 외관부재(220a)를 연결위치(G)로 전환이동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1)는 스토퍼유닛(300), 추진력제공유닛(400), 공급유닛(500), 공급량 조절유닛(600) 및 이송유닛(700)에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스토퍼유닛(300), 추진력제공유닛(400), 공급유닛(500), 공급량 조절유닛(60) 및 이송유닛(700)을 제어 가능한 제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분리형배관부재(2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외관부재(200a)가 개방위치(H) 및 연결위치(G) 사이를 전환이동하도록 보조하는 보조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제어유닛은 보조유닛에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보조유닛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를 이용한 연료의 공급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의 연료(X) 공급시, 이송유닛(700)은 연료저장조로부터 공급량 조절유닛(600)에 연료(X)를 공급하며, 공급량 조절유닛(600)은 기 설정된 공급 주기 및 공급량을 기초로 공급유닛(500)의 수용공간(512)에 연료(X)를 공급한다. 이때, 가압부재(514)는 공급위치(F)에 위치하여 연료공급부(234) 및 가압부재(514) 사이의 수용공간(512)에 연료(X)각 공급되며, 피스톤부재(412)는 하강위치(D)에 위치하여 수용공간(512)으로 공급된 연료(X) 중 일부는 연료공급부(234)를 통해 하부공간(232)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량 조절유닛(600)에 의해 정량의 연료(X)가 수용공간(512)에 공급된 후, 가압구동부재(522)의 구동에 의해 가압부재(524)가 폐쇄위치(E)로 전환이동하게 되며, 수용공간(512)으로 공급된 연료(X)는 연료공급부(234)를 통해 하부공간(232)으로 밀착 유입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524)가 폐쇄위치(E)로 전환이동한 후, 승강구동부재(410)의 구동에 의해 피스톤부재(412)가 상승위치(C)로 전환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연료(X)는 공급배관부재(200)의 내부에서 상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피스톤부재(412)가 상승위치(C)로 전환이동한 후, 하부구동부재(310b)의 구동에 의해 하부스토퍼프레임(314b)은 하부지지위치(Bb)로 전환이동되며, 하부스토퍼프레임(314b)은 연료(X)를 지지하여 연료(X)의 하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514) 및 피스톤부재(412)는 다시 공급위치(F) 및 하강위치(D)로 전환이동되며, 수용공간(512)을 통한 연료(X)의 공급이 다시 진행된다. 이 경우, 하부스토퍼프레임(314b)이 하부지지위치(Bb)에서 상승 이동된 연료(X)를 지지하는바, 상승 이동된 연료(X)가 하부로 낙하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512)으로의 연료(X)의 공급이 중단된 후, 가압부재(514)는 다시 폐쇄위치(F)로 전환이동하며, 하부스토퍼프레임(314b)은 하부대기위치(Ab)로 전환이동하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스토퍼프레임(314b)이 하부대기위치(Ab)로 전환이동된 후 피스톤부재(412)는 다시 상승위치(C)로 전환이동되는바, 종전에 공급배관부재(200)의 내부로 유입되었던 연료(X)와 새롭게 공급배관부재(200)의 내부로 유입된 연료(X)는 공급배관부재(200)의 내부에서 함께 상부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도 4 내지 9에 도시된 작업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종국적으로 연소실(102) 내부로 연료(X)가 공급될 수 있으며, 연소실(102) 내부로 공급된 연료(X)의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의 연료 공급 중단 작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실(102) 내부에 잔여 연료(X)가 존재하나 조업 상황 변화 등에 의해 연료(X)의 공급을 급작스럽게 중단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공급배관부재(200)의 내부에는 연소실(102)로의 공급을 위한 연료(X)가 존재하고 있는바, 이들 연료(X)를 모두 연소시켜 연소를 중단시키기까지는 과도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급작스러운 조업 상황 변화에 충분히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스토퍼프레임(314a)을 상부지지위치(Ba)로 전환이동시킨 후, 외관부재(220a)를 개방위치(H)로 전환이동시킴으로써 공급배관부재(200)를 통한 연료(X)의 이동경로를 부분적으로 단절시킬 수 있다. 상부스토퍼프레임(314a) 상부의 연료(Xa)는 상부스토퍼스레임(314a)에 의해 지지되는바, 하부로의 낙하가 제한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작업자는 스위핑유닛 등을 이용하여 연결위치(G)에 위치하던 외관부재(220a)의 내부에 존재하는 연료(Xb)를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연소실(102) 내부로의 연료(X)의 공급이 신속하게 중단될 수 있다.
도 1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상부스토퍼유닛의 전환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의 (a)는 상부대기위치(Aa)에 상부스토퍼프레임(314a)가 위치하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의 (b)는 상부지지위치(Ba)에 상부스토퍼프레임(314a)가 위치하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의 (a) 및 (b)는 상부스토퍼유닛(300a)과 상부배관부재(210)의 관계를 도시하였으나, 하부스토퍼유닛(300b) 역시 하부배관부재(230)의 일측에서 이와 유사하게 동작하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상부스토퍼유닛(300a) 및 상부배관부재(210)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하도록 한다.
하부배관부재(230)의 일측에는 상부스토퍼프레임들(314a)에 대응하는 형상의 가이드홀들(216')이 관통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배관부재(230)의 타측 내벽에는 상부스토퍼프레임들(314a)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가이드홈들(216")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부스토퍼프레임들(314a)은 가이드홀들(216')을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부스토퍼프레임(314a)이 상부지지위치(Ba)로 전환이동된 경우 상부스토퍼프레임들(314a)의 선단부는 가이드홈들(216")에 일부 삽입되며, 그에 따라 상부스토퍼프레임들(314a)은 상부스토퍼프레임들(314a) 상부측의 연료(X)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상부스토퍼프레임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스토퍼유닛(300a)은 상부배관부재(210) 일측의 제1 상부스토퍼유닛(300a') 및 상부배관부재(210)를 기준으로 제1 상부스토퍼유닛(300a')의 맞은편에 대향적으로 배치되는 제2 상부스토퍼유닛(30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스토퍼유닛(300a') 및 제2 상부스토퍼유닛(300a")은 앞서 도 12를 통해 설명한 상부스토퍼유닛(300a)과 대응하는 구성을 포함하는바, 이하에서는 이들의 차이점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부배관부재(210)의 일측에는 제1 상부스토퍼프레임들(314a')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1 가이드홀들(216')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상부스토퍼프레임들(314a')은 제1 가이드홀들(216') 상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배관부재(210)의 타측에는 제2 상부스토퍼프레임들(314a")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가이드홀들(216")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상부스토퍼프레임들(314a")은 제2 가이드홀들(216") 상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상부지지위치(Ba') 및 제2 상부지지위치(Ba")로 전환이동된 제1 상부스토퍼프레임들(314a') 및 제2 상부스토퍼프레임들(314")의 선단부는 각각 서로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부스토퍼유닛(300a)은 상부배관부재(210)의 일측의 제1 상부스토퍼유닛(300a') 및 제2 상부스토퍼유닛(300a")로 구비되는바, 보다 신속하게 상부스토퍼프레임들(314a', 314a")을 상부지지위치(Ba', Ba")로 전환이동시킬 수 있으며, 각각의 상부스토퍼프레임들(314a', 314a")에 가해지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도 13의 (a) 및 (b)에는 제1 상부스토퍼유닛(300a') 및 제2 상부스토퍼유닛(300a")으로 구비되는 상부스토퍼유닛(300a)만을 도시하였으나, 하부스토퍼유닛(300b) 역시 이와 대응하는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스토퍼프레임들(314a')은 제2 상부스토퍼프레임들(314a")의 이격거리(d2)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상부스토퍼프레임들(314a") 역시 제1 상부스토퍼프레임들(314a')의 이격거리(d1)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상부가이드홀들(216') 및 제2 상부가이드홀들(216")은 각각 제1 상부스토퍼프레임들(314a') 및 제2 상부스토퍼프레임들(314a")에 대응하는 상부배관부재(2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상부스토퍼프레임들(314a') 및 제2 상부스토퍼프레임들(314a")은 각각 제1 상부가이드홀(216') 및 제2 상부가이드홀(216") 상에서 전환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상부지지위치(Ba') 및 제2 상부지지위치(Ba")로 전환이동된 제1 상부스토퍼프레임들(314a') 및 제2 상부스토퍼프레임들(314a")의 선단부는 서로의 이격거리(d1, d2) 내에 교차 배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보다 견고하게 연료(X)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4의 (a) 및 (b)에는 제1 상부스토퍼유닛(300a') 및 제2 상부스토퍼유닛(300a")으로 구비되는 상부스토퍼유닛(300a)만을 도시하였으나, 하부스토퍼유닛(300b) 역시 이와 대응하는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1)는 연소실(102) 내부로 연료(X)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연소실(102) 내부로의 연료(X) 공급을 즉각적이고 효과적으로 중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료공급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기(100)의 하단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연장된 공급배관부재(200)를 통해 연소기(100) 내부로 연료(X)를 공급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료공급방법은, 공급배관부재(200)의 내측 하부의 제1 위치에 연료(X)를 공급하고(S100),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연료(X)의 하부측에서 상부를 향해 추진력을 제공하여 제1 위치 상부의 제2 위치로 연료(X)를 이동시키며(S200), 제2 위치의 하부에 하부스토퍼프레임(314b)를 제공하여 제2 위치로 이동한 연료(X)가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S300), 연소실(102)의 내부로 연료(X)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료공급방법은 제1 위치로의 연료(X) 공급(S100), 제1 위치 상부의 제2 위치로 연료(X)을 이동(S200), 제2 위치에 위치한 연료(300)를 지지(S300)하는 작업을 하나의 사이클로 반복 수행하여 연소실(102)의 내부로 연료(X)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료공급방법의 구체적인 구성은 앞서 설명한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1)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앞서 설명한 연소기 연료공급장치(1)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료공급방법은 연소기(100) 직하부의 공급배관부재(200)의 내부에 상부스토퍼프레임(314a)을 제공하여 연료(X)를 지지하고(S400), 상부스토퍼프레임(314a) 하부의 공급배관부재(200) 일부를 단절시킨 후(S500) 공급배관부재(200)의 단절부로부터 연료(X)를 제거하여(S600) 연료(X)의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다. 연료(X)의 공급 중단 방법은 앞서 도 10 및 도 11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이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 100: 연소기
200: 공급배관부재 210: 상부배관부재
220: 분리형배관부재 230: 하부배관부재
300: 스토퍼유닛 300a: 상부스토퍼유닛
300b: 하부스토퍼유닛 400: 추진력 제공유닛
500: 공급유닛 600: 공급량 조절유닛
700: 이송유닛

Claims (15)

  1. 일단은 연소기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하도록 연장되어 배치되며, 측단부에 형성된 연료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연료가 상기 연소기 내부의 연소실로 이동하도록 상기 연료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공급배관부재;
    상기 공급배관부재의 하부측 내부에서 승강이동하여 상기 연료의 상승이동 추진력을 제공 가능한 피스톤부재를 구비하는 추진력제공유닛; 및
    상기 공급배관부재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공급배관부재 외측의 대기위치 및 상기 공급배관부재 내측의 지지위치 사이를 전환이동 가능한 스토퍼프레임을 구비하는 스토퍼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위치로 전환이동한 스토퍼프레임은 상기 추진력제공유닛에 의해 상승이동된 상기 연료의 하강이동을 제한하는,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재는 상기 피스톤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연료공급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강위치 및 상기 피스톤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연료공급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승위치 사이를 전환이동 가능하며,
    상기 상승위치로 전환이동된 상기 피스톤부재의 선단면은 상기 지지위치로 전환이동된 상기 스토퍼프레임의 직하부에 위치하는,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유닛은,
    상부측의 상부스토퍼유닛; 및
    하부측의 하부스토퍼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공급배관부재는 상기 상부스토퍼유닛 및 상기 하부스토퍼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료의 이동경로를 선택적으로 단절 가능한 분리형배관부재를 포함하는,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스토퍼유닛은,
    상기 분리형배관부재 직상부의 상기 공급배관부재의 외측인 상부대기위치 및 상기 상부대기위치로부터 상기 공급배관부재의 내부로 수평 이동한 상부지지위치 사이를 전환이동 가능한 상부스토퍼프레임; 및
    상기 상부스토퍼프레임에 연결되어 전환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상부구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스토퍼유닛은,
    상기 분리형배관부재의 외측인 하부대기위치 및 상기 하부대기위치로부터 상기 공급배관부재의 내부로 수평이동한 하부지지위치 사이를 전환이동 가능한 하부스토퍼프레임; 및
    상기 하부스토퍼프레임에 연결되어 전환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하부구동부재를 포함하는,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배관부재는,
    상기 연소기의 하단에 상단이 연결되는 상부배관부재;
    상단이 상기 상부배관부재의 하단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측에 상기 연료공급부가 형성된 하부배관부재; 및
    상기 상부배관부재 및 상기 하부배관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분리형배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분리형배관부재는,
    상기 하부배관부재의 상단에 고정배치되는 내관부재; 및
    상기 내관부재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내관부재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선단이 상기 상부배관부재의 하단에 연결되는 연결위치 및 상기 연결위치로부터 하부측으로 이격된 개방위치 사이를 전환이동 가능한 외관부재를 포함하는,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부재는 상기 내관부재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하부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돌출부는 상기 외관부재의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외관부재의 하방이동을 제한하는,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배관부재는 상부를 향해 내경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프레임은,
    상기 스토퍼프레임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공급배관부재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들;
    상기 각각의 지지프레임들의 일단부가 고정배치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들과 대응하는 상기 공급배관부재의 일측벽에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대응하는 형상의 가이드홀들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들은 상기 가이드홀들을 통해 상기 대기위치로부터 상기 지지위치로 전환이동 가능한,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유닛은,
    상기 공급배관부재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공급배관부재 외측의 제1 대기위치 및 상기 공급배관부재 내측의 제1 지지위치 사이를 전환이동 가능한 제1 스토퍼프레임을 구비하는 제1 스토퍼유닛; 및
    상기 공급배관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스토퍼유닛 맞은편의 상기 공급배관부재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공급배관부재 외측의 제2 대기위치 및 상기 공급배관부재 내측의 제2 지지위치 사이를 전환이동 가능한 제2 스토퍼프레임을 구비하는 제2 스토퍼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토퍼프레임의 선단부 및 상기 제2 스토퍼프레임의 선단부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기 제1 지지위치로 전환이동된 상기 제1 스토퍼프레임의 선단부 및 상기 제2 지지위치로 전환이동된 상기 제2 스토퍼프레임의 선단부는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되는,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프레임은,
    상기 제1 스토퍼프레임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지지프레임들; 및
    상기 각각의 제1 지지프레임들의 일단부가 고정배치되는 제1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스토퍼프레임은,
    상기 제2 스토퍼프레임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지지프레임들; 및
    상기 각각의 제2 지지프레임들의 일단부가 고정배치되는 제2 고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토퍼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공급배관부재의 일측벽에는 상기 제1 지지프레임들에 대응하는 제1 가이드홀들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프레임들은 상기 제1 가이드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대기위치 및 상기 제1 지지위치 사이를 전환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2 스토퍼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공급배관부재의 타측벽에는 상기 제2 지지프레임들에 대응하는 제2 가이드홀들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프레임들은 상기 제2 가이드홀들을 통해 상기 제2 대기위치 및 상기 제2 지지위치 사이를 전환이동 가능한,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위치로 전환이동된 상기 제1 지지프레임들의 선단부는 상기 제2 지지위치로 전환이동된 상기 제2 지지프레임들의 이격거리 내에 배치되는,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배관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료공급부를 향해 상기 연료를 공급 가능한 공급유닛;
    상기 공급유닛에 기 설정된 공급량으로 상기 연료를 분할공급 가능한 공급량 조절유닛; 및
    상기 연료가 저장된 연료저장조로부터 상기 공급량조절유닛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연료를 상기 공급량조절유닛으로 이송 가능한 이송유닛을 더 포함하는,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은,
    일측은 상기 연료공급부와 연통되며 상부는 개방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부재;
    상기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연료공급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및 상기 연료공급부로부터 이격된 공급위치 사이를 전환이동 가능한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에 전환구동력을 제공 가능한 가압구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량조절유닛은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공급위치로 전환이동된 경우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연료공급부와 상기 가압부재 사이의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연료를 공급하는,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
  14. 연소기의 하단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연장된 공급배관부재를 통해 상기 연소기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급배관부재의 내측 하부의 제1 위치에 상기 연료를 공급하고,
    상기 연료의 하부측에서 상부측을 향해 추진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1 위치 상부의 제2 위치로 상기 연료를 이동시키며,
    상기 제2 위치의 하단부에 하부스토퍼프레임을 제공하여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한 상기 연료가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상기 연소기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방법은,
    상기 연소기 직하단부의 상기 공급배관부재의 내측에 상부스토퍼프레임을 제공하여 상기 연소기 내의 상기 연료가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상부스토퍼프레임 하부의 상기 공급배관부재를 단절시켜 상기 연료의 공급을 중단하는, 연료공급방법.
KR1020170052813A 2017-04-25 2017-04-25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방법 KR101895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813A KR101895069B1 (ko) 2017-04-25 2017-04-25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방법
PCT/KR2018/004788 WO2018199620A1 (ko) 2017-04-25 2018-04-25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813A KR101895069B1 (ko) 2017-04-25 2017-04-25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5069B1 true KR101895069B1 (ko) 2018-09-04

Family

ID=63598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813A KR101895069B1 (ko) 2017-04-25 2017-04-25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5069B1 (ko)
WO (1) WO2018199620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334A (ko) 2005-09-30 2007-04-04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장치 및 전자기기
KR20090126934A (ko) * 2008-06-05 2009-12-09 김충환 열 효율을 극대화시킨 석탄 보일러
JP4811572B2 (ja) * 2005-11-21 2011-11-09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廃タイヤ連続燃焼炉
KR101151717B1 (ko) * 2011-04-08 2012-06-15 송연희 고체 연료를 사용한 난방기의 역화방지용 연소장치
KR20140016058A (ko) * 2012-07-30 2014-02-07 정기창 펠릿 보일러
KR101726047B1 (ko) * 2015-06-08 2017-04-27 주식회사 포스코 연소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334A (ko) 2005-09-30 2007-04-04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장치 및 전자기기
JP4811572B2 (ja) * 2005-11-21 2011-11-09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廃タイヤ連続燃焼炉
KR20090126934A (ko) * 2008-06-05 2009-12-09 김충환 열 효율을 극대화시킨 석탄 보일러
KR101151717B1 (ko) * 2011-04-08 2012-06-15 송연희 고체 연료를 사용한 난방기의 역화방지용 연소장치
KR20140016058A (ko) * 2012-07-30 2014-02-07 정기창 펠릿 보일러
KR101726047B1 (ko) * 2015-06-08 2017-04-27 주식회사 포스코 연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9620A1 (ko) 2018-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6303B2 (ja) クロマトグラフィーカラム
CN101500402B (zh) 自动拆卸机
CN1198399A (zh) 用于工程车辆的车轴控制器
KR101895069B1 (ko) 연소기의 연료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방법
KR102156810B1 (ko) 무전원 구동 방식의 자동가스절단기
JP4216244B2 (ja) 鋳造設備におけるスライドバルブ装置
KR101723760B1 (ko)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
CA3058531A1 (en) Vehicle maintenance method for mobile vehicle maintenance station
KR102045022B1 (ko) 선체 블록 서포트 기구 및 그 사용방법
KR102200084B1 (ko) 소풍구 교체용 운반리프팅 장치
JP2013035617A (ja) 移動式クレーンの構成部材昇降装置
KR20100001262A (ko) 필터프레스의 여과포 분리장치
JP2006302794A (ja) 投光機
KR101854093B1 (ko) 다목적 피트잭.
CN109227637A (zh) 切割机构
JP5268269B2 (ja) 蓄電池用注液器
KR101819378B1 (ko) 용탕 샘플 채취장치
KR100779629B1 (ko) 이동식 분리형 입도 선별장치
WO2012120707A1 (ja) フィルタープレスにおけるろ板の潤滑方法、潤滑装置、及びこの潤滑装置を備えたフィルタープレス
JP5066970B2 (ja) 搬送装置
KR100677776B1 (ko) 복수 개의 유압식 전동 장치를 이용한 초대형 블록 이동공법 및 그 장치
KR20040010881A (ko) 용강래들 탑재용 가변형 수강대차
KR102384930B1 (ko) 복동식 펌프장치.
JP3015296B2 (ja) 流動床焼却炉及びその運転方法
CN109397174A (zh) 一种打泥机构的修复装置和修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