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994B1 - 유리섬유 플랜지를 포함하는 내부평활 파형강관 - Google Patents

유리섬유 플랜지를 포함하는 내부평활 파형강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994B1
KR101893994B1 KR1020180015187A KR20180015187A KR101893994B1 KR 101893994 B1 KR101893994 B1 KR 101893994B1 KR 1020180015187 A KR1020180015187 A KR 1020180015187A KR 20180015187 A KR20180015187 A KR 20180015187A KR 101893994 B1 KR101893994 B1 KR 101893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glass fiber
zinc
corrugated steel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억
이민철
Original Assignee
대한강관 주식회사
신한스틸파이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강관 주식회사, 신한스틸파이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강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5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 F16L9/06Corrug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섬유 플랜지를 포함하는 내부평활 파형강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연결되어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파형강관에 있어서, 내외주면에 나선형 파형이 형성되는 아연도강관, 상기 아연도강관 내부에 삽입되어 내부가 평활한 유로를 형성하는 유리섬유관, 및 상기 복수개의 파형강관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의 흐름이 보다 원활해질 수 있고, 유리섬유관의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내부 유체에 의한 아연도강관의 부식이 방지될 수 있고, 연결부를 통하여 내부 유체가 누설될 위험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유리섬유 플랜지를 포함하는 내부평활 파형강관{Corrugated steel pipe}
본 발명은 유리섬유 플랜지를 포함하는 내부평활 파형강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상기 파형강관을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관의 양단에 설치되는 좌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으로 복수 개의 상기 파형강관끼리의 볼트 체결 위치를 맞추어 체결할 수 있는 파형강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형강관은 파형강관의 강판에 골을 형성하여 내하력을 부여한 연성관으로서, 하중 및 반력이 관둘레에 균등하게 분포되어 내하력이 매우 크다. 따라서 같은 관경은 흄관보다 얇은 두께로 시공이 가능하여, 중량도 그만큼 줄어들어 공사비가 절감되고, 작업자가 작업이 용이하여 약간의 수작업으로도 공사가 단기간에 완료되기도 한다. 이러한 경량의 파형강관은 각종 토목공사의 배수관으로 주로 사용되며, 도로나 철도를 횡단하는 통로용과 배수용 암거로도 사용된다. 특히, 운반이 곤란한 산간 지역 등의 공사에도 효과적이라 그 쓰임이 광범위하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파형강관은 접합부위 안정성에 미흡한 면이 있었다. 산간지역 관로 이탈이나 부동침하에 대해서도 강한 내구성과 긴 수명을 지닌 파형강관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파형강관은 파형강관끼리의 연결 작업시에 접합하는 방향이나 결합면의 위치를 정확히 맞추기가 까다로워, 운반과 부설이 번거로워지고 공기가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파형강관의 연결부 및 접합면을 통하여 내부 유체가 누설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28386호(2006.10.02)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파형 강관이 연결된 상태에서도, 유동하는 유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파형강관 연결 작업이 보다 간편하고 용이해질 수 있어,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작업 효율이 높아질 수 있는 데 목적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유리섬유 플랜지를 포함하는 내부평활 파형강관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연결되어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파형강관에 있어서, 내외주면에 나선형 파형이 형성되는 아연도강관; 상기 아연도강관 내부에 삽입되어 내부가 평활한 유로를 형성하는 유리섬유관; 및 상기 복수개의 파형강관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복수개의 파형강관 중 제1파형강관의 아연도강관에 연결되는 제1아연도강관플랜지; 상기 제1파형강관의 유리섬유관에 연결되는 제1유리섬유보조플랜지; 상기 복수개의 파형강관 중 제2파형강관의 아연도강관에 연결되는 제2아연도강관플랜지; 상기 제2파형강관의 유리섬유관에 연결되는 제2유리섬유보조플랜지; 상기 제1아연도강관플랜지 및 상기 제1유리섬유보조플랜지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외측수밀재; 상기 제2아연도강관플랜지 및 상기 제2유리섬유보조플랜지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외측수밀재; 및 상기 제1유리섬유보조플랜지 및 상기 제2유리섬유보조플랜지의 사이인 상기 복수 개의 파형강관 외주면에 설치되는 중심수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아연도강관플랜지와 상기 제2아연도강관플랜지 사이에 상기 제1외측수밀재, 상기 제1유리섬유보조플랜지, 상기 중심수밀재, 상기 제2유리섬유보조플랜지, 상기 제2외측수밀재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아연도강관플랜지, 상기 제1유리섬유보조플랜지, 상기 중심수밀재, 상기 제2유리섬유보조플랜지, 상기 제2아연도강관플랜지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을 고정볼트가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파형강관 및 상기 제2파형강관을 연결 고정하고; 상기 제1아연도강관플랜지 및 상기 제2아연도강관플랜지는, 상기 제1파형강관 및 상기 제2파형강관의 아연도강관 양단부에 각각 1개씩 설치되는 좌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로 각각 구비되고, 상기 좌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의 체결공이 상기 아연도강관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좌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의 내경이 상기 아연도강관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아연도강관 양단부에 상기 좌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를 접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좌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레이저조사체를 놓고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상기 좌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의 체결공 간의 위치를 맞춘 후 상기 아연도강관 양단부에 상기 좌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를 용접 접합하여, 상기 복수 개의 파형강관 연결을 위해 이송 시, 상기 제1아연도강관플랜지의 체결공이 상기 제2아연도강관플랜지의 체결공과 일직선상에 자동으로 정렬되어 상기 복수개의 파형강관을 보다 간편하게 연결 가능하며; 상기 제1유리섬유보조플랜지 및 상기 제2유리섬유보조플랜지는, 상기 유리섬유관에 접합되기 위하여 관형으로 형성되는 관측접합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관측접합부는, 상기 유리섬유관의 내주면에 상기 관측접합부의 외주면이 접합되도록 상기 유리섬유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파형강관 간의 밀폐성을 보다 높일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리섬유 플랜지를 포함하는 내부평활 파형강관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관, 상기 제1유리섬유보조플랜지 및 상기 제2유리섬유보조플랜지는, 유리섬유를 강화재로 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경화제를 포함하는 복합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리섬유 플랜지를 포함하는 내부평활 파형강관에 있어서, 상기 제1유리섬유보조플랜지 및 상기 제2유리섬유보조플랜지가 각각 상기 제1파형강관 및 상기 제2파형강관의 유리섬유관에 접합되는 과정은, 유리섬유 조직에 폴리에스테르수지, 경화제를 배합한 복합재료를 상기 제1유리섬유보조플랜지 및 상기 제2유리섬유보조플랜지와 상기 유리섬유관이 접합되는 면을 따라 도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리섬유 플랜지를 포함하는 내부평활 파형강관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관을 이송하기 위하여 리프팅 장비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아연도강관의 상단에 형성되는 리프팅 러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러그는 상기 파형강관의 길이방향으로 볼 때, 상기 체결공과 중첩되는 지점 또는 상기 체결공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만큼 이격된 지점에 위치되어, 상기 파형강관을 다른 파형강관에 인접하게 상기 리프팅 러그를 이용하여 이송 및 안착시키면, 상기 이송된 파형강관의 체결공이 다른 파형강관의 체결공과 일직선상에 자동으로 정렬되어 상기 복수개의 파형강관을 보다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리섬유 플랜지를 포함하는 내부평활 파형강관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러그는 상기 아연도강관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파형강관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인 파형강관은, 내부에 놓여지는 유리섬유관에 의하여 표면조도 계수가 보다 낮아지게 되어 내부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흐름이 원활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유리섬유관의 외부를 아연도강관이 보호하는 형태이므로, 유리섬유관의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내부 유로를 따라 흐르는 유체가 유리섬유관에 접촉되고, 아연도강관에 대한 접촉은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내부 유체에 의한 아연도강관의 부식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파형강관의 연결부에 수밀재가 이중으로 구비되어 있어, 연결부의 기밀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으므로, 연결부를 통하여 내부 유체가 누설될 위험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리프팅 장비에 의하여 이송되어 놓여지게 되면, 자연스럽게 복수개의 파형강관에 형성된 체결공이 서로 일직선 상에 위치되도록 배열되므로, 복수개의 파형강관을 체결하는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파형강관의 플랜지부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되어 있어서, 별도의 체결공 맞춤작업 없이, 편리한 이송 후 즉각적인 조립이 가능하여 시공 현장에서 공사 기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파형강관이 보다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으므로, 관의 이탈이나 부동침하 등에 매우 강하여 누수가 완전히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인 파형강관은 복수 개의 파형강관 연결시, 복수개의 파형강관의 체결공 위치를 서로 맞추는 작업이 필요없으므로, 시공 현장에서 작업자들의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인 파형강관에는 리프팅 러그가 구비되어 있어 안정감있는 리프팅이 가능하여, 시공작업시 편리하고 빠른 작업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이 복수개로 연결되는 경우에 연결부의 모습을 보인 분해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이 복수개로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부의 모습을 보인 결합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의 각 구성요소를 보인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이 복수개로 배열 및 체결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이 복수개로 연결되는 경우에 연결부의 모습을 보인 분해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이 복수개로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부의 모습을 보인 결합단면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일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섬유 플랜지를 포함하는 내부평활 파형강관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연결되어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내외주면에 나선형 유로가 형성되는 아연도강관(20)과, 상기 아연도강관(20) 내부에 삽입되어 내부가 평활한 유로를 형성하는 유리섬유관(30)과, 상기 복수개의 파형강관을 연결하는 연결부(10)를 포함한다.
상기 아연도강관(20)은 강판에 골을 형성하여 내하력을 부여한 연성관으로서, 일단과 타단의 지름이 동일한 관형의 유로이다. 양질의 아연도금을 하기 때문에 긴 내구수명을 지니고, 하중 및 반력이 관둘레에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어 내하력이 크다.
상기 파형강관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개의 파형강관은 제1파형강관(1) 및 제2파형강관(2)으로써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부(10)는 상기 제1파형강관(1) 및 제2파형강관(2)을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10)는, 상기 복수개의 파형강관 중 제1파형강관(1)의 아연도강관에 연결되는 제1아연도강관플랜지(110), 상기 제1파형강관(1)의 유리섬유관에 연결되는 제1유리섬유보조플랜지(120), 상기 복수개의 파형강관 중 제2파형강관(2)의 아연도강관에 연결되는 제2아연도강관플랜지(210), 상기 제2파형강관(2)의 유리섬유관에 연결되는 제2유리섬유보조플랜지(2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10)는, 상기 제1아연도강관플랜지(110) 및 상기 제1유리섬유보조플랜지(120)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외측수밀재(130), 상기 제2아연도강관플랜지(210) 및 상기 제2유리섬유보조플랜지(220)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외측수밀재(230), 및 상기 제1유리섬유보조플랜지(120) 및 상기 제2유리섬유보조플랜지(220)의 사이인 상기 복수 개의 파형강관 외주면에 설치되는 중심수밀재(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플랜지를 포함하는 내부평활 파형강관은, 상기 제1아연도강관플랜지(110)와 상기 제2아연도강관플랜지(210) 사이에 상기 제1외측수밀재(130), 상기 제1유리섬유보조플랜지(120), 상기 중심수밀재(140), 상기 제2유리섬유보조플랜지(220), 상기 제2외측수밀재(230)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아연도강관플랜지(110), 상기 제1유리섬유보조플랜지(120), 상기 중심수밀재(130), 상기 제2유리섬유보조플랜지(220), 상기 제2아연도강관플랜지(210)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H)을 고정볼트(B)가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파형강관(1) 및 상기 제2파형강관(2)을 연결 고정하도록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아연도강관플랜지(110, 210) 및 상기 유리섬유보조플랜지(120, 22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1아연도강관플랜지(110) 및 상기 제2아연도강관플랜지(210)는 링 형상으로, 상기 제1파형강관(1) 및 상기 제2파형강관(2)의 아연도강관(20) 양단부에 각각 1개씩 설치되는 좌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110a-110b, 210a-210b)로 각각 구비되어, 복수 개의 파형강관을 연결하는 중간 이음재와 같은 역할을 하고, 상기 아연도강관(20)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아연도강관플랜지(110) 및 상기 제2아연도강관플랜지(210)는 복수 개의 파형강관이 서로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체결공(H)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좌측아연도강관플랜지(110a, 210a) 및 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110b, 210b)의 형상과 크기는 각각 동일하며, 동일한 형상과 크기의 상기 좌측아연도강관플랜지(110a, 210a) 및 상기 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110b, 210b)에는 동일한 개수만큼의 체결공(H)이 구비된다.
상기 좌측아연도강관플랜지(110a, 210a) 및 상기 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110b, 210b)를 상기 아연도강관(20)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좌측아연도강관플랜지(110a, 210a) 및 상기 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110b, 210b)는 마주보고 대응되는 위치에 있다. 또한, 상기 좌측아연도강관플랜지(110a, 210a) 및 상기 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110b, 210b)에 형성되는 체결공(H)도 마주보고 대응되는 위치에 있다. 즉, 상기 좌측아연도강관플랜지(110a, 210a) 및 상기 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110b, 210b)는 상기 아연도강관(20)의 중심을 지나는 횡단면을 중심으로 면대칭을 이루는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체결공(H)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볼트(B)가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상기 파형강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체결공(H)과, 다른 상기 파형강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체결공(H)을, 상기 고정볼트(B)가 동시에 관통하여 너트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복수개의 파형강관이 상기 고정볼트(B)로 체결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상기 아연도강관 양단부에 상기 좌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를 접합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우선, 상기 아연도강관(20)의 일단부에 상기 좌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110a-110b) 중 하나를 위치시키고, 상기 좌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110a-110b)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레이저조사체(50)를 놓고 상기 위치된 아연도강관플랜지의 체결공을 관통하고 상기 아연도강관(2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레이저빔(51)을 조사한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빔(51)이 상기 좌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110a-110b) 중 다른 하나의 체결공을 동시에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다른 하나의 좌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110a-110b)를 상기 아연도강관(20)의 타단부에 위치시킨다. 상기 좌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110a-110b)의 체결공 간의 위치를 맞춘 후에는, 상기 아연도강관(20) 양단부에 상기 좌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110a-110b)를 용접 접합한다.
위와 같은 접합 과정을 통해, 상기 파형강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좌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110a-110b)의 체결공 위치는 가상의 일직선상에서 정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파형강관의 연결을 위해 인접하게 위치될 때, 각각의 체결공 간의 위치도 일직선상에 자동으로 정렬될 수 있어, 체결공 간에 별도의 맞춤작업 없이 복수 개의 파형강관끼리의 접합이 보다 간편하고 용이해지는 것이다. 즉, 상기 복수 개의 파형강관 연결을 위해 이송 시, 상기 제1아연도강관플랜지(110)의 체결공이 상기 제2아연도강관플랜지(120)의 체결공과 일직선상에 자동으로 정렬되어 상기 복수개의 파형강관을 보다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110a-110b)는 체결공(H)이 상기 아연도강관(20)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아연도강관(2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는, 다수 개의 상기 파형강관끼리 연결할 때, 상기 체결공(H)이 상기 아연도강관(20)의 외주면의 바깥에 위치되어 있어야 두 개의 상기 파형강관을 접합할 때 상기 체결공(H)끼리 일직선상에 놓이게 되어 상기 체결공(H)끼리의 볼트 접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복수 개의 파형강관을 이어서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파형강관을 옮길 리프팅 장비가 필요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은 이송을 위하여 기중기와 같은 리프팅 장비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아연도강관(20)의 상단에 형성되는 리프팅 러그(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리프팅 러그(30)는 반원 형상으로, 가운데 홀(41)이 뚫려 있어서 체결 고리나 밧줄을 끼울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파형강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파형강관을 기중기와 같은 리프팅 장비로 들어서 다른 상기 파형강관의 옆에 놓게 되면, 상기 레이저빔(51)을 통해 미리 체결공 위치를 정렬한 상태로 상기 아연도강관플랜지(110, 210)를 상기 아연도강관(110)에 접합하였기 때문에, 들어올린 파형강관의 일측 아연도강관플랜지의 체결공(H)과, 놓여 있던 파형강관의 일측 아연도강관플랜지의 체결공(H)의 위치가 서로 들어맞도록 되면서, 별도의 체결공 맞춤작업 없이, 체결공 간의 고정볼트(B)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파형강관을 다른 파형강관에 인접하게 상기 리프팅 러그(40)를 이용하여 이송 및 안착시키면 자연스럽게 상기 이송된 파형강관의 체결공(H)이 다른 파형강관의 체결공(H)과 일직선상에 정렬되기에 파형강관 간에 연결이 쉽고, 시공이 간단해져서 작업의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은, 레이저조사체(50)로 레이저빔(51)을 조사하여 상기 아연도강관플랜지(110, 210)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H)의 위치가 일정한 위치에 배열되도록 상기 아연도강관플랜지와 상기 아연도강관을 접합하기 때문에, 별도의 체결공 맞춤 작업 없이 리프팅 러그(40)에 리프팅 장비를 연결하여 이송 및 안착시키는 작업만으로 체결공이 자연스럽게 정렬되고 바로 볼트 작업이 가능하므로, 숙련공이나 비숙련공 상관없이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고, 이송 후 즉각적인 조립이 가능하여 시공 현장에서 공사 기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리프팅 러그(40)는 상기 파형강관의 길이방향으로 볼 때, 상기 체결공(H)과 중첩되는 지점 또는 상기 체결공(H)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만큼 이격된 지점에 위치된다. 이는 기중기와 같은 리프팅 장비로 상기 리프팅 러그(40)의 홀(41)에 리프팅 장비를 걸어서 들어올릴 때, 상기 파형강관이 움직이지 않고, 무게 중심을 잡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리프팅 러그(30)는 상기 아연도강관(20)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일실시예에서는 두개의 상기 리프팅 러그(40)가 무게 중심을 잡는 곳에 위치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파형강관을 이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유리섬유보조플랜지(120) 및 상기 제2유리섬유보조플랜지(2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섬유관(20)에 접합되기 위하여 관형으로 형성되는 관측접합부(121, 221)와, 상기 관측접합부(121, 221)의 일단부에 평판형 고리 형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고리플랜지부(122, 222)를 각각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리섬유관(20), 상기 제1유리섬유보조플랜지(120) 및 상기 제2유리섬유보조플랜지(220)는, 유리섬유를 강화재로 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경화제를 포함하는 복합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리섬유보조플랜지(120) 및 상기 제2유리섬유보조플랜지(220)의 관측접합부(121, 221)는, 각각 상기 제1파형강관(1) 및 상기 제2파형강관(2)의 유리섬유관(2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파형강관(1) 및 상기 제2파형강관(2)의 유리섬유관(20)의 내주면에 상기 제1유리섬유보조플랜지(120) 및 제2유리섬유보조플랜지(220)의 관측접합부(121, 221)의 외주면이 접합되게 된다. 즉, 상기 유리섬유관(20)의 내부에 상기 관측접합부(121, 221)가 삽입되는 형태로 마련되는데, 이는 일반적인 종래의 파형강관 연결부에 비해, 상기 파형강관(1, 2)과 상기 연결부(10)를 완전 밀폐시킬 수 있어 누수를 최대한 차단해야 하는 유해물질을 이송시키는데도 효과적일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일실시예와 비교하자면, 상기 유리섬유보조플랜지(120, 220)가 상기 유리섬유관(20)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단부가 접합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일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일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본 실시예의 제1유리섬유보조플랜지(120) 및 제2유리섬유보조플랜지(220)의 관측접합부(121, 221)는, 각각 제1파형강관(1) 및 상기 제2파형강관(1)의 유리섬유관(20)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파형강관(1) 및 상기 제2파형강관(2)의 유리섬유관(20)의 단부에 상기 제1유리섬유보조플랜지(120) 및 제2유리섬유보조플랜지(220)의 관측접합부(121, 221)의 단부가 연장면을 이루도록 접합되어 서로 연결된다. 즉, 상기 유리섬유관(20)의 단부에 상기 관측접합부(121, 221)의 단부가 접합되는 형태로써, 상기 관측접합부(121, 221)의 길이만큼 상기 유리섬유관(20)의 단부가 축소되어 상기 파형강관(1, 2)을 연결하였을 때 전체 길이가 연결된 파형강관의 길이의 합과 동일하도록 마련되는데, 이는 특수한 경우 상기 파형강관의 전체 연결길이가 정확하게 시공되어야 할 때 효과적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제1파형강관
2: 제2파형강관
10: 연결부
110: 제1아연도강관플랜지
210: 제2아연도강관플랜지
110a, 110b, 210a, 210b: 좌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
120: 제1유리섬유보조플랜지
220: 제2유리섬유보조플랜지
121, 221: 관측접합부
122, 222: 고리플랜지부
130: 제1외측수밀재
230: 제2외측수밀재
140: 중심수밀재
20: 아연도강관
30: 유리섬유관
40: 리프팅 러그
41: 홀
50: 레이저조사체
51: 레이저빔
B: 고정볼트
H: 체결공

Claims (10)

  1.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연결되어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파형강관에 있어서,
    내외주면에 나선형 파형이 형성되는 아연도강관;
    상기 아연도강관 내부에 삽입되어 내부가 평활한 유로를 형성하는 유리섬유관; 및
    상기 복수개의 파형강관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복수개의 파형강관 중 제1파형강관의 아연도강관에 연결되는 제1아연도강관플랜지;
    상기 제1파형강관의 유리섬유관에 연결되는 제1유리섬유보조플랜지;
    상기 복수개의 파형강관 중 제2파형강관의 아연도강관에 연결되는 제2아연도강관플랜지;
    상기 제2파형강관의 유리섬유관에 연결되는 제2유리섬유보조플랜지;
    상기 제1아연도강관플랜지 및 상기 제1유리섬유보조플랜지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외측수밀재;
    상기 제2아연도강관플랜지 및 상기 제2유리섬유보조플랜지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외측수밀재; 및
    상기 제1유리섬유보조플랜지 및 상기 제2유리섬유보조플랜지의 사이인 상기 복수 개의 파형강관 외주면에 설치되는 중심수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아연도강관플랜지와 상기 제2아연도강관플랜지 사이에 상기 제1외측수밀재, 상기 제1유리섬유보조플랜지, 상기 중심수밀재, 상기 제2유리섬유보조플랜지, 상기 제2외측수밀재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아연도강관플랜지, 상기 제1유리섬유보조플랜지, 상기 중심수밀재, 상기 제2유리섬유보조플랜지, 상기 제2아연도강관플랜지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을 고정볼트가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파형강관 및 상기 제2파형강관을 연결 고정하고;
    상기 제1아연도강관플랜지 및 상기 제2아연도강관플랜지는,
    상기 제1파형강관 및 상기 제2파형강관의 아연도강관 양단부에 각각 1개씩 설치되는 좌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로 각각 구비되고, 상기 좌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의 체결공이 상기 아연도강관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좌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의 내경이 상기 아연도강관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아연도강관 양단부에 상기 좌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를 접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좌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레이저조사체를 놓고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상기 좌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의 체결공 간의 위치를 맞춘 후 상기 아연도강관 양단부에 상기 좌우측아연도강관플랜지를 용접 접합하여, 상기 복수 개의 파형강관 연결을 위해 이송 시, 상기 제1아연도강관플랜지의 체결공이 상기 제2아연도강관플랜지의 체결공과 일직선상에 자동으로 정렬되어 상기 복수개의 파형강관을 보다 간편하게 연결 가능하며;
    상기 제1유리섬유보조플랜지 및 상기 제2유리섬유보조플랜지는,
    상기 유리섬유관에 접합되기 위하여 관형으로 형성되는 관측접합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관측접합부는,
    상기 유리섬유관의 내주면에 상기 관측접합부의 외주면이 접합되도록 상기 유리섬유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파형강관 간의 밀폐성을 보다 높일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플랜지를 포함하는 내부평활 파형강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관 및 제1유리섬유보조플랜지, 제2유리섬유보조플랜지는, 유리섬유를 강화재로 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경화제를 포함하는 복합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플랜지를 포함하는 내부평활 파형강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관을 이송하기 위하여 리프팅 장비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아연도강관의 상단에 형성되는 리프팅 러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러그는 상기 파형강관의 길이방향으로 볼 때, 상기 체결공과 중첩되는 지점 또는 상기 체결공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만큼 이격된 지점에 위치되어,
    상기 파형강관을 다른 파형강관에 인접하게 상기 리프팅 러그를 이용하여 이송 및 안착시키면, 상기 이송된 파형강관의 체결공이 다른 파형강관의 체결공과 일직선상에 자동으로 정렬되어 상기 복수개의 파형강관을 보다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플랜지를 포함하는 내부평활 파형강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러그는 상기 아연도강관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파형강관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플랜지를 포함하는 내부평활 파형강관.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15187A 2018-02-07 2018-02-07 유리섬유 플랜지를 포함하는 내부평활 파형강관 KR101893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187A KR101893994B1 (ko) 2018-02-07 2018-02-07 유리섬유 플랜지를 포함하는 내부평활 파형강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187A KR101893994B1 (ko) 2018-02-07 2018-02-07 유리섬유 플랜지를 포함하는 내부평활 파형강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994B1 true KR101893994B1 (ko) 2018-09-04

Family

ID=63598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187A KR101893994B1 (ko) 2018-02-07 2018-02-07 유리섬유 플랜지를 포함하는 내부평활 파형강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9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785A (ko) * 2020-07-27 2022-02-04 남만우 오정렬 배관 플랜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8933B2 (en) * 2000-06-19 2005-09-06 Joseph M. Starita Corrugated plastic pipe sections having flanged ends and structurally tight joints thereof
KR200428386Y1 (ko) 2006-07-06 2006-10-16 서명호 내면이 매끈한 파형강관
KR20130032972A (ko) * 2011-09-26 2013-04-03 동원철강 주식회사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 강관의 연결구조
CN105805434A (zh) * 2016-05-20 2016-07-27 海安县区域供水有限公司 衬里管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8933B2 (en) * 2000-06-19 2005-09-06 Joseph M. Starita Corrugated plastic pipe sections having flanged ends and structurally tight joints thereof
KR200428386Y1 (ko) 2006-07-06 2006-10-16 서명호 내면이 매끈한 파형강관
KR20130032972A (ko) * 2011-09-26 2013-04-03 동원철강 주식회사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 강관의 연결구조
CN105805434A (zh) * 2016-05-20 2016-07-27 海安县区域供水有限公司 衬里管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785A (ko) * 2020-07-27 2022-02-04 남만우 오정렬 배관 플랜지
KR102364698B1 (ko) * 2020-07-27 2022-02-17 남만우 오정렬 배관 플랜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830881U (zh) 一种方便拼接的铁皮风管
CN106032867A (zh) 用光固化纤维增强复合材料进行管道非开挖修复补强的方法及其管路
KR101893994B1 (ko) 유리섬유 플랜지를 포함하는 내부평활 파형강관
CN210686049U (zh) 一种承接稳固的逃生管道
GB2315835A (en) Method for producing pipeline by assembly at sea of successive pipes, and pip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is method
CN110629922A (zh) 一种管道建筑砌块及其施工方法
CN212960347U (zh) 一种基于负泊松比材料的自密实柔性管涵接口装置
CN110629930A (zh) 四周带连接法兰的厚壁玻璃钢波纹板及其拼接方法
CN210344658U (zh) 一种碳化耐磨弯头
CN210439540U (zh) 一种管道建筑砌块
CN211421583U (zh) 四周带连接法兰的厚壁玻璃钢波纹板
CN204004911U (zh) 一种用于波纹钢管涵洞连接的半波形管箍结构
RU2727545C1 (ru) Трубопровод из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ых труб
CN220957197U (zh) 埋地排水用钢带三层聚乙烯耐磨波纹管
RU99098U1 (ru) Конструкция стыка труб с внутренним покрытием
US3453004A (en) Apparatus for welding internally-coated tubular members
RU199972U1 (ru) Муфта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а
CN215763888U (zh) 一种管道连接器
CN208138626U (zh) 一种新型耐磨陶瓷异径管
KR200255556Y1 (ko)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장치
CN210218954U (zh) 螺旋波纹管构造
CN217328806U (zh) 一种多管道河道输送安装固定装置
RU2236630C1 (ru) Способ присоединения отвода к действующему газопроводу
KR200191989Y1 (ko) 이중 피이 시이트피복 파형강관의 플랜지 접합구조
CN213982458U (zh) 一种增强热塑性塑料管凸台卡箍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