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725B1 - 간이 건축용물 용마루 - Google Patents
간이 건축용물 용마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3725B1 KR101893725B1 KR1020180007779A KR20180007779A KR101893725B1 KR 101893725 B1 KR101893725 B1 KR 101893725B1 KR 1020180007779 A KR1020180007779 A KR 1020180007779A KR 20180007779 A KR20180007779 A KR 20180007779A KR 101893725 B1 KR101893725 B1 KR 1018937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ridge
- rafter
- sides
- w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1/3402—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for ridge or roofhip t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04D2001/304—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at roof intersections, e.g. valley tiles, ridge tiles
- E04D2001/305—Ridge or hip 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이 건축물용 용마루에 관한 것이다.
구성을 살펴보면, 사각파이프 형태로 된 프레임(11) 양 측면에 5°~ 15°의 경사각을 유지하여 소정의 너비를 가진 상하 익편(11a)(11b)을 일체로 되게 돌출 형성하되, 상기 상하 익편(11a)(11b) 중 상부 익편(11a)은 상단에서10~15mm 하측에 형성하고, 하부 익편(11b)은 프레임(11) 하단과 동일면으로 되게끔 양측에 일체로 형성하며, 하부 익편(11b)의 저면에는 하부에서 볼 때 프레임(11)이 실제 폭(w)보다 더욱 넓게 보이게끔 양측에 라인(11b')을 형성하며, 상하 익편(11a)(11b) 사이의 프레임(11) 벽면(11') 소정 위치에 서까래(3)를 연결 조립하는 ㄷ형 서까래 지지구(2)를 정확한 위치에 조립 장착할 수 있도록 체결라인(L)을 형성하여 간이 건축물용 용마루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용마루(1)에 서까래(3)를 조립 시공할 때 나사머리 등의 체결부재가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깔끔하게 유지되며, 또 차양이나 주차부스 등을 설치 시공하고자 할 때 현장 상황에 따라 다양한 경사각도로 조절 설치할 수 있어 호환성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신뢰성을 극대화시켜줄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가 따르는 것이다.
구성을 살펴보면, 사각파이프 형태로 된 프레임(11) 양 측면에 5°~ 15°의 경사각을 유지하여 소정의 너비를 가진 상하 익편(11a)(11b)을 일체로 되게 돌출 형성하되, 상기 상하 익편(11a)(11b) 중 상부 익편(11a)은 상단에서10~15mm 하측에 형성하고, 하부 익편(11b)은 프레임(11) 하단과 동일면으로 되게끔 양측에 일체로 형성하며, 하부 익편(11b)의 저면에는 하부에서 볼 때 프레임(11)이 실제 폭(w)보다 더욱 넓게 보이게끔 양측에 라인(11b')을 형성하며, 상하 익편(11a)(11b) 사이의 프레임(11) 벽면(11') 소정 위치에 서까래(3)를 연결 조립하는 ㄷ형 서까래 지지구(2)를 정확한 위치에 조립 장착할 수 있도록 체결라인(L)을 형성하여 간이 건축물용 용마루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용마루(1)에 서까래(3)를 조립 시공할 때 나사머리 등의 체결부재가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깔끔하게 유지되며, 또 차양이나 주차부스 등을 설치 시공하고자 할 때 현장 상황에 따라 다양한 경사각도로 조절 설치할 수 있어 호환성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신뢰성을 극대화시켜줄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가 따르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서까래와 복층판, 패널고정부재(업계에서는 '프로파일' 이라고 함)등의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조립 시공할 수 있게 하여 차양, 주차부스, 등의 간이건축물 지붕 시공을 신속 간편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현장에 따라 간이건축물의 높이와 폭이 달라 서까래의 경사각이 달라질 경우에도 시공이 무리없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차양이나 주차부스, 파고라, 흡연부스, 온실 등의 서까래 설치에 따른 호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시공 후 외관이 깔끔한 등의 마무리 완성도가 뛰어나게 한 간이건축물용 용마루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용마루는 건물의 지붕 중앙에 있는 주된 마루로, 서까래의 받침이 되는 부분을 말한다.
특히, 조립 건축이 발달된 현대 사회에서는 용마루를 목재 외에도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알루미늄, 철 등의 금속재 파이프를 이용하거나 금속제 성형물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금속재 파이프를 용마루로 이용할 경우에는 서까래를 얹을 때 볼트, 너트를 비롯한 체결부재로 조립을 하거나, 또는 용접방법으로 용마루에 서까래를 조립 시공하게 되는데, 이때 나사머리 등 조립부위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용접부위가 노출되어 외관이 깔끔하게 유지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건물의 품위가 떨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따랐다.
특히, 본 발명에서 추구하는 용마루는 서까래의 연결 시공을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또 서까래를 연결 시공하였을 때 나사 머리 등이 전혀 노출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서까래의 설치각도가 크고 작음에 관계없이 어떠한 각도에도 안정적으로 조립 시공할 수 있게 함으로서 마무리 완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인데, 종래에는 용마루의 형상과 구조가 단순한 사각파이프 형태인데다가, 서까래를 조립 시공할 때 용마루의 양 측면에 ㄴ형 또는 ㄷ형 찬넬을 볼트나 나사 등의 체결부재로 고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찬넬에 서까래의 선단을 나사조립하거나 용접하여 연결 조립시켰던 것이며, 따라서 조립 및 시공성이 크게 떨어지면서 시공 후 외관이 단정하지 못하여 마무리 완성도가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특히, 용마루를 구성함에 있어서, 서까래와 지붕역할을 하는 복층패널을 연결 조립하기 쉽고, 또 상기 서까래와 복층패널을 용마루에 조립하였을 때 조립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깔끔 단정하며, 시공현장에 따라 서까래의 각도가 크고 작음에 관계없이 조립시공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용마루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차양, 주차부스 등의 간이건축물의 용마루(1)에 있어서,
사각파이프 형태로 된 프레임(11) 양 측면에 5°~ 15°의 경사각을 유지하여 소정의 너비를 가진 상하 익편(11a)(11b)을 일체로 되게 돌출 형성하되, 상기 상하 익편(11a)(11b) 중 상부 익편(11a)은 프레임(11)의 상단에서10~15mm 하측에 형성하고, 하부 익편(11b)은 프레임(11) 하단면과 동일면으로 되게끔 일체로 연장 형성하며, 하부 익편(11b)의 저면 소정위치에는 하부에서 볼 때 프레임(11)이 실제 폭(w)보다 더욱 넓게 보이게끔 양측에 라인(11b')을 형성하며, 상하 익편(11a)(11b) 사이의 프레임(11) 벽면(11') 소정 위치에 서까래(3)를 연결 조립하는 ㄷ형 서까래 지지구(2)를 정확한 위치에 조립 장착할 수 있도록 체결라인(L)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11)의 상부는 용마루의 모양을 감안하여 원호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으로 형성하는 등 다양하게 형성함도 특징으로 한다.
용마루(1)를 알루미늄으로 압출 성형한 경우에는 프레임(11) 내부에 아연도금된 파이프나, 아연도금판 갈바철판 등을 절곡 성형한 보강재(도시하지 않음)를 삽입 보강할 수 있게 함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용마루(1)의 구성이 장방형의 사각파이프 형태의 프레임(11) 양 측면 상하부에 소정의 너비와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한 상하 익편(11a)(11b)을 구비하되, 상부 익편(11a)은 프레임(11) 상단에서 10~15mm 하측에 형성하고, 하부 익편(11b)은 프레임(11)의 양 측면 하단에 형성되게 함으로서 상부 익편(11a)과 하부 익편(11b) 사이의 벽면(11')에 ㄷ형 서까래 지지구(2)를 장착 고정시킬 때 나사머리 등의 체결부재가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깔끔하게 유지되며, 또 익편(11a)과 익편(11b) 사이의 공간이 서까래(3)와 복층판(4)의 두께 보다 더 커서 차양이나 주차부스 등을 설치 시공하고자 할 때 현장 상황에 따라 다양한 경사각도로 조절 설치할 수 있어 서까래(3)와 복층판(4) 설치에 따른 호환성이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11)의 하부 익편(11b) 저면에는 소정위치에 길이방향으로 라인(11b')이 형성되어 있어 간이건축물 시공 후 간이건축물 내부에서 용마루(1)를 쳐다볼 때 익편(11b)에 형성되어 있는 라인(11B')이 프레임(11)의 폭으로 보여지게 되기 때문에 실제 프레임(11)의 폭(w)보다 훨씬 두꺼워보이게 되기 때문에 보는 이들에게 견고함과 안정감이 느껴지게 하는 효과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용마루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용마루의 저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정면예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용마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현관차양 또는 주차부스 등의 간이건축물을 나타낸 것임.
도5는 본 발명의 용마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현관차양 또는 주차부스 등의 간이건축물의 정면예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용마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7A, 도7B, 도7C는 용마루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용마루의 저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정면예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용마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현관차양 또는 주차부스 등의 간이건축물을 나타낸 것임.
도5는 본 발명의 용마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현관차양 또는 주차부스 등의 간이건축물의 정면예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용마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7A, 도7B, 도7C는 용마루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본 발명은 건물 현관에 설치되는 비가림용 현관차양, 또는 주차부스를 비롯한 간이쉼터, 파고라 등 비가림이나 차양 용도를 가진 다양한 용도의 간이 건축물이나 구조물을 시공할 때 간편시공과 공기단축, 그리고 단정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게 한 용마루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 도1~도7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은 본 발명의 용마루(1)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2는 용마루(1)의 저면사시도이며, 도3은 정면예시도, 도4~도6은 사용상태도이며, 도7A~도7C는 용마루(1)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다.
상기 도1~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마루(1)는,
장방형의 사각파이프 형태인 프레임(11) 양 측면 상하부에 소정의 너비를 가지면서 5°~ 15°의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익편(11a)(11b)을 평행하게 형성하되, 프레임(11)을 기준으로 양 측면이 서로 대칭이 되게끔 형성하고, 상기 익편(11a)과 익편(11b) 사이의 벽면(11') 소정 위치에는 서까래 지지구(2)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 장착시킬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체결라인(L)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익편(11a)은 프레임(11) 상단에서 10~15mm 하측에 위치하게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익편(11b)과 프레임(11)은 저면이 동일면 상에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익편(11a')의 소정위치에 길이방향으로 라인(11b')을 형성함으로서, 용마루(1) 시공후 하부에서 용마루(1)를 쳐다보았을 때 라인(11B')에 의해 프레임(11)이 실제 폭(w)보다 더 넓어 보이게 되어 안정감을 줄 수 있게 한 점도 특징 중 하나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용마루(1)가 있는 현관 차양이나 주차부스 등을 조립 시공하고자 할 때 시공성 극대화와 시공기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마무리에 따른 완성도를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용마루(1)로 주차부스나 현관차양 등, 간이건축물을 조립 시공하고자 할 때는 4개의 기둥(5)을 먼저 세운 뒤 4개의 기둥(5)이 서로 연결 조립되도록 기둥 상단에 보(6)를 조립시공하거나, 이와는 반대로 기둥(5) 상단에 먼저 보(6)를 조립시킨 다음 기둥을 세우는데, 이는 시공현장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 적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4개의 보(6) 중에 전후부에 위치하는 보(6)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소정의 길이로 재단된 용마루 받침대(6')를 수직으로 세운 뒤, 상기 용마루 받침대(6')의 상단에 용마루(1)를 안착 설치함으로서 간이건축물의 골조를 완성한다.
이어서, 상기 용마루(1)의 양 측벽 상하부에 위치한 상하부 익편(11a)(11b)사이의 벽면(11')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ㄷ형 지지구(2)를 나사 조립하는데, 상기 지지구(2)들은 체결라인(L)에 맞춰 조립 장착함으로서 균일하면서도 신속 간편하게 조립 장착할 수 있으며, 양측에 위치한 보(6)의 상면에도 용마루(1) 벽면(11')에 장착된 지지구(2)와 동일한 간격으로 ㄷ형 지지구(2')를 나사로 고정시킨 다음에는 지지구(2)와 지지구(2)에 서까래(3)를 끼워 안착시킨다.
이어서 서까래(3) 선단과 지지구(2)가 일체로 연결 고정되도록 지지구(2)에 서까래(3)를 끼운 뒤 나사를 체결하거나, 또는 서까래(3) 선단과 지지구(2)가 관통되게끔 가로방향으로 관통구멍을 천공한 뒤 볼트(b)와 너트(n)로 체결 고정함으로서 기둥(5)과 보(6), 용마루(1) 및 서까래(3)가 조립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도6참조).
이어서 상기 서까래(3) 위에 복층판(4)을 안착 고정시키는데, 상기 복층판(4)은 재단시 서까래(3)와 서까래(3)의 간격을 감안하여 재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서까래(3) 위에 복층판(4)을 올린 뒤에는 복층판(4)과 복층판(4) 사이에 양측 저면에 누수방지패드가 구비된 패널고정부재(7)를 장착 고정시킴으로서 시공이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의 용마루(1)는, 좌우 상부 익편(11a)이 프레임(11)의 상단에서 10~15mm 정도 하측에 위치하였기에 복층판(4)을 패널고정부재(7)로 서까래(3)에 장착 고정시킬 때 패널고정부재(7)의 상측이 익편(11a) 위에 올라탄 형태로 조립 시공되더라도 패널고정부재(7)가 용마루(1) 높이보다 더 높아지지 않게 되어 외관이 단정하고 깔끔하며 안정감이 뛰어나 보이게 된다.
또한, 상하 익편(11a)과 하부 익편(11b) 사이의 간격은 서까래(3)와 복층판(4)두께를 합한 두께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서 서까래(3)와 복층판(4)의 설치 각도를 여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따라서 시공현장 상황에 관계없이 어떤 상황에서도 현관차양이나 주차부스 등의 간이 건축물을 안정적으로 설치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용마루(1)는 전술한 현관 차양이나 주차부스 외에도 홉연부스나 온실, 파고라 등의 쉼터를 비롯하여 다양한 용도의 간이 건축물을 시공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또, 용마루(1)를 알루미늄으로 압출 성형한 경우에는 프레임(11) 내부에 아연도금 된 파이프나, 아연도금판 갈바철판 등을 절곡 성형한 보강재(도시하지 않음)를 삽입 보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용마루(1)를 알루미늄이나 철금속,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나 알루미늄으로 압출 성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라 할 수 있으며, 그 구성이 지극히 간단하면서도 단순하여 간이 건축물을 조립시공할 때 비전문가나 초보자라 할지라도 별 어려움 없이 매우 신속 간편하게 조립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상태가 매우 견고한 것이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관차양을 비롯해, 주차부스, 흡연부스, 파고라, 통로비가림 등등 다양한 간이건축물 시공에 사용할 수 있어 그 권리범위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며, 따라서 발명의 목적과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하겠다.
1 : 용마루 2 : 지지구 3 :서까래
4 : 복층판 5 : 기둥 6 : 보
6' :용마루 받침대 7 : 패널고정부재 8 : 물받이
9 : 찬넬커버 11 : 프레임 11': 벽면
11a, 11b : 익편 11b': 라인 b : 볼트
n : 너트 L : 체결라인 w : 폭
4 : 복층판 5 : 기둥 6 : 보
6' :용마루 받침대 7 : 패널고정부재 8 : 물받이
9 : 찬넬커버 11 : 프레임 11': 벽면
11a, 11b : 익편 11b': 라인 b : 볼트
n : 너트 L : 체결라인 w : 폭
Claims (1)
- 사각파이프 형태로 된 프레임(11) 양 측면에 5°~ 15°의 하향 경사각을 유지하여 소정의 너비로 이루어진 상하 익편(11a)(11b)과,
상기 상하 익편(11a)(11b) 중 상부 익편(11a)을 상단에서 10~15mm 하측에 형성하고, 하부 익편(11b)은 프레임(11) 하단과 동일 면으로 되게끔 양측에 일체로 형성하되, 하부 익편(11b)의 저면에 하부에서 볼 때 프레임(11)이 실제 폭(w)보다 더욱 넓게 보이게끔 양측에 한 라인(11b')과,
상하 익편(11a)(11b) 사이의 프레임(11) 벽면(11') 소정 위치에 서까래(3)를 연결 조립하는 ㄷ형 서까래 지지구(2)를 정확한 위치에 조립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한 체결라인(L)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건축물용 용마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7779A KR101893725B1 (ko) | 2018-01-18 | 2018-01-18 | 간이 건축용물 용마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7779A KR101893725B1 (ko) | 2018-01-18 | 2018-01-18 | 간이 건축용물 용마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93725B1 true KR101893725B1 (ko) | 2018-08-30 |
Family
ID=63453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7779A KR101893725B1 (ko) | 2018-01-18 | 2018-01-18 | 간이 건축용물 용마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3725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1097B1 (ko) * | 2019-04-17 | 2020-03-19 | 윤수현 | 용마루 프레임과 용마루 단열캡을 포함하는 용마루 구조 |
KR102157128B1 (ko) * | 2020-03-04 | 2020-09-17 | 윤수현 | 조립이 용이한 용마루 구조 |
KR102224222B1 (ko) * | 2020-07-23 | 2021-03-05 | 제희광 | 복층판을 차양부재로 이용한 간이 퍼걸러 조립시스템 |
KR20210002742U (ko) * | 2020-06-01 | 2021-12-08 | 제희광 | 간이 휴게시설물의 지붕 또는 차양용 마감부재 |
-
2018
- 2018-01-18 KR KR1020180007779A patent/KR101893725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1097B1 (ko) * | 2019-04-17 | 2020-03-19 | 윤수현 | 용마루 프레임과 용마루 단열캡을 포함하는 용마루 구조 |
KR102157128B1 (ko) * | 2020-03-04 | 2020-09-17 | 윤수현 | 조립이 용이한 용마루 구조 |
WO2021177515A1 (ko) * | 2020-03-04 | 2021-09-10 | 윤수현 | 조립이 용이한 용마루 구조 |
KR20210002742U (ko) * | 2020-06-01 | 2021-12-08 | 제희광 | 간이 휴게시설물의 지붕 또는 차양용 마감부재 |
KR200495144Y1 (ko) | 2020-06-01 | 2022-03-14 | 제희광 | 간이 휴게시설물의 지붕 또는 차양용 마감부재 |
KR102224222B1 (ko) * | 2020-07-23 | 2021-03-05 | 제희광 | 복층판을 차양부재로 이용한 간이 퍼걸러 조립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93725B1 (ko) | 간이 건축용물 용마루 | |
US10844606B2 (en) | Timber frame structure with arched roof | |
US3293808A (en) | Prefabricated cornice for roof construction | |
US3474582A (en) | Building system | |
JP2010150801A (ja) | 軒先構造 | |
JP6202688B2 (ja) | 小屋構築用の柱梁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小屋構築体 | |
AU2018200682A1 (en) | Ridge beam for use in a set of components for constructing a modular roof | |
JP3854106B2 (ja) | 木造住宅の建築方法 | |
JP2006249679A (ja) | 屋外構造物 | |
KR20210002742U (ko) | 간이 휴게시설물의 지붕 또는 차양용 마감부재 | |
CN217027820U (zh) | 一种装配式钢结构楼梯 | |
KR101279041B1 (ko) | 철골제를 이용한 한옥용 모서리 기둥부재 | |
JPH054504B2 (ko) | ||
JP2675759B2 (ja) | 袖 壁 | |
JP3304273B2 (ja) | 台所用壁パネル及びその施工方法 | |
KR20080006638U (ko) | 지붕구조를 위한 조립형 브라켓 | |
JPH094240A (ja) | 外構一体型住宅 | |
JP2563710B2 (ja) | 延長屋根構造 | |
Midon et al. | Construction manual of prefabricated timber house | |
JP2024035981A (ja) | 鉄骨廊下階段ユニットの床構造 | |
JP2024051407A (ja) | 簡易構造物 | |
KR101279042B1 (ko) | 철골제를 이용한 한옥용 벽체기둥부재 | |
JP2024051413A (ja) | 簡易構造物 | |
JPS5916431Y2 (ja) | 階段の袖パネル取付装置 | |
JP2024051411A (ja) | 簡易構造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