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542B1 - 공기 정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공기 정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542B1
KR101893542B1 KR1020167004262A KR20167004262A KR101893542B1 KR 101893542 B1 KR101893542 B1 KR 101893542B1 KR 1020167004262 A KR1020167004262 A KR 1020167004262A KR 20167004262 A KR20167004262 A KR 20167004262A KR 101893542 B1 KR101893542 B1 KR 101893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target detection
information
allergy
detec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4645A (ko
Inventor
커 우
씬위 리우
화이쭌 리우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80004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9Mea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6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automa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F24F8/96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removing polle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H04N5/225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Ventilat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정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컴퓨터 기술 분야에 속한다. 상기 공기 정화 방법은,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기준 식물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보함한다. 본 발명을 사용하여 화분이 부정적인 영향을 일으키는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정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METHOD , APPARATUS,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LEANING AIR}
본원 발명은 출원번호가 201510290860.8이고, 출원일자가 2015년 5월 29일인 중국 특허 출원에 기반하여 제출하였고,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중국 특허 출원의 전부 내용은 참조로서 본원 발명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컴퓨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는 공기 정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과 더불어, 가전 제품은 갈수록 다양화되어 가고, 수많은 가전 제품이 보급 및 응용되고 있다. 공기 정화기는 현재 아주 흔히 사용하는 가전 제품으로 자리 잡았는 바, 통상적으로 공기 중의 오염 물질, 예건대 PM2.5, 분진, 냄새,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인테리어 오염, 세균, 화분(花粉)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집안에 개화할 수 있는 식물을 재배할 경우, 꽃이 핀 후 식물의 화분이 통상적으로 공기 중에 확산될 수 있고, 일부 식물의 화분은 알레르기 증상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바, 사용자는 제때에 공기 정화기를 사용하여 이러한 식물의 화분을 공기 중에서 정화해버려야 한다.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꽃이 피는 것을 보았거나 또는 꽃 향기를 맡은 후, 공기 정화기를 작동하여 공기를 정화시킴으로써, 공기 중에 포함된 화분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현하는 과정에 있어서, 발명자는 선행기술에 적어도 하기와 같은 문제가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과정에 기반하면, 사용자가 꽃이 핀것을 발견하였거나 또는 꽃 향기를 맡았을 경우, 대량의 화분이 이미 공기 중에 확산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로써 화분이 부정적인 영향을 일으킬 가능성이 증가되게 된다.
관련 기술 중에 존재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공기 정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기술적 해결수단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양태에 의하면,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기준 식물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사항으로서,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기준 식물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제1 기준 식물 이미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기준 식물 이미지 정보는 상기 알레르기 식물 개화 상태의 이미지 정보이다.
선택사항으로서,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목표 공기 정화 기기 및 기타 기기 중 적어도 하나가 이미지 촬영 부재를 통해 촬영한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사항으로서, 상기 공기 정화 방법은,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 및 미리 저장된 각종 식물의 제2 기준 식물 이미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을 결정하는 단계;
미리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물에 대응되는 생장 온도 정보와 생장 습도 정보에 기반하여,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환경 온도와 환경 습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사항으로서,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목표 검출 영역의 공기 성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기준 식물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공기 성분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화분 성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공기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의 화분이 포함되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양태에 의하면,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모듈;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기준 식물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선택사항으로서, 상기 획득모듈은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제1 기준 식물 이미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제1 기준 식물 이미지 정보는 상기 알레르기 식물 개화 상태의 이미지 정보이다.
선택사항으로서, 상기 획득모듈은 목표 공기 정화 기기 및 기타 기기 중 적어도 하나가 이미지 촬영 부재를 통해 촬영한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사항으로서,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 및 미리 저장된 각종 식물의 제2 기준 식물 이미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모듈;
미리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물에 대응되는 생장 온도 정보와 생장 습도 정보에 기반하여,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환경 온도와 환경 습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사항으로서, 상기 획득모듈은 목표 검출 영역의 공기 성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공기 성분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화분 성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공기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의 화분이 포함되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양태에 의하면,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기준 식물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4양태에 의하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상기 공기 정화 방법을 실현하는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5양태에 의하면,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은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를 획득하고,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기준 식물 정보에 기반하여, 목표 검출 영역에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인 것을 판정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하여,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할 경우 공기 정화 기기는 신속하게 발견하고, 공기 중의 화분을 정화시킴으로써, 화분이 부정적인 영향을 일으키는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의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되는 구체적인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해석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아래의 도면은 명세서의 일부분으로서 명세서 전체를 구성하며 본 발명에 맞는 실시예를 예시하여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기반하여 도시한 공기 정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기반하여 도시한 인터프레임 네트워크 모식도이다.
도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기반하여 도시한 목표 검출 영역을 결정할 경우에 촬영한 이미지의 모식도이다.
도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기반하여 도시한 이미지 정보를 처리하는 모식도이다.
도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기반하여 도시한 이미지 정보를 처리하는 모식도이다.
도6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기반하여 도시한 공기 정화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7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기반하여 도시한 공기 정화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8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기반하여 도시한 공기 정화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상기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명확한 실시예를 도시하였고, 후술에는 더욱 자세한 서술할 것이다. 이러한 도면과 문자 서술은 그 어떤 방식을 통하여 본 발명의 구상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는 것을 통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예시적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이를 첨부되는 도면에 예시적으로 나타냈다. 하기에서 첨부되는 도면에 대해 설명할 때, 별도로 표시하지 않는 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숫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하기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과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이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부 양태와 일치한 장치와 방법에 대한 예일 뿐이다.
실시예1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기 정화 방법을 제공하고,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의 처리 공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101에 있어서,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102에 있어서,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기준 식물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를 획득하고,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기준 식물 정보에 기반하여, 목표 검출 영역에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인 것을 판정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하여,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할 경우 공기 정화 기기는 신속하게 발견하고, 공기 중의 화분을 정화시킴으로써, 화분이 부정적인 영향을 일으키는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2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기 정화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공기 정화 기기(목표 공기 정화 기기로 칭할 수 있음) 또는 공기 정화 기기에 대응되는 백그라운드 서버에 응용될 수 있고, 여기서, 공기 정화 기기는 스마트 공기 정화기일 수 있다. 상기 목표 공기 정화 기기에는 정화기, 프로세서, 메모리가 설치될 수 있는 바, 정화기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정화기의 작업을 제어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메모리는 하기의 처리 과정에서 필요한 데이터 및 산생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공기 정화 기기에는 스크린, 키보드, 이미지 촬영 부재 등 입출력 기기가 더 설치될 수 있는 바, 스크린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것으로, 터치 모드의 스크린일 수 있고, 키보드는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며, 이미지 촬영 부재는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 등 일 수 있다. 공기 정화 기기에 대응되는 백그라운드 서버는 목표 공기 정화 기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대량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예를 들면 기준 식물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이다. 백그라운드 서버는 프로세서,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하기의 공정에서 정보 매칭, 기기 제어 등 처리를 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모리는 하기의 처리 과정에서 필요한 데이터 및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방법 공정은 백그라운드 서버로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수행 주체가 백그라운드 서버인 것을 예로 들어 수단의 자세하게 설명하고, 기타 정황과 이와 유사한 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더 서술하지 않는다.
아래에 실시 형태와 결부하여, 도1에 도시된 처리 공정을 자세하게 설명하면, 내용은 하기와 같다.
단계101에 있어서,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목표 검출 영역은 사용자 집안에 재배된 식물이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식물 정보는 목표 검출 영역의 식물 재배 또는 생장 정황의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미지 정보일 수 있고, 공기 성분 정보 등 일수 있다.
실시함에 있어서, 백그라운드 서버는 공기 정화 기기에 식물 정보의 획득 요구를 발송할 수 있다. 공기 정화 기기는 획득 요구를 수신한 후목표 검출 영역을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를 획득하여, 식물 정보를 백그라운드 서버에 발송한다. 이 밖에, 백그라운드 서버는 공기 정화 기기에 바인딩된 기타 기기에(예를 들면 스마트 카메라 등임) 식물 정보의 획득 요구를 발송할 수 있고, 기타 기기도 상응하는 식물 정보를 획득하여 서버에 발송할 수도 있다. 또는, 공기 정화 기기 또는 기타 기기가 대기 상태 하에서, 일정 주기에 따라 목표 검출 영역의 식물 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고, 다음, 획득한 식물 정보를 실시간으로 백그라운드 서버에 발송할 수 있다.
선택사항으로서, 식물 정보의 상이함에 기반하면, 단계101의 처리는 다양할 수 있는 바, 아래에 여러가지의 실현가능한 처리방식을 시사한다.
방식1,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한다.
실시함에 있어서, 백그라운드 서버는 공기 정화 기기에 이미지 정보의 획득 요구를 발송할 수 있다. 목표 공기 정화 기기는 획득 요구를 수신한 후, 이미지 촬영 부재를 작동시켜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를 촬영함으로써, 이미지 정보를 백그라운드 서버에 발송할 수 있다. 또는, 백그라운드 서버는 공기 정화 기기에 바인딩된 기타 기기에(예를 들면 스마트 카메라 등임) 이미지 정보의 획득 요구를 발송할 수도 있으며, 기타 기기도 상응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고 서버에 발송할 수 있다. 또는, 공기 정화 기기 또는 기타 기기는 대기 상태하에, 일정 주기에 따라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고, 다음, 획득한 이미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백그라운드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선택사항으로서,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는 이미지 촬영 능력을 구비하는 임의의 기기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고, 상응한 처리는 하기와 같다. 목표 공기 정화 기기 및 기타 기기 중 적어도 하나가 이미지 촬영 부재를 통해 촬영한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기타 기기는 이미지 촬영 부재가 설치되고 이미지 촬영 능력을 구비하는 임의의 기기일 수 있다.
실시함에 있어서, 기타 기기가 이미지 촬영 부재를 통해 촬영한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는 각종 데이터 전송 방식을 통하여 목표 공기 정화 기기에 전송할 수 있고, 목표 공기 정화 기기는 이미지 정보를 백그라운드 서버에 발송할 수 있다. 또는, 기타 기기도 직접적으로 이미지 정보를 백그라운드 서버에 발송할 수 있고, 백그라운드 서버에 공기 정화 기기와 기타 기기의 바인딩 관계가 저장되어, 이가 이미지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이미지 정보는 상기 공기 정화 기기 근처의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인 것을 알 수 있다. 상응한 인터프레임 네트워크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백그라운드 서버는 단지 목표 검출 영역의 하나의 이미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는, 백그라운드 서버도 상이한 기기(공기 정화 기기와 기타 기기임)를 통하여 목표 검출 영역의 다수개의 이미지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각각의 이미지 정보는 각각 상이한 각도에서 촬영되기에 후속 이미지 분석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방식2, 목표 검출 영역의 공기 성분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공기 성분 정보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물질의 화학적 특징 정보(예를 들면 화학 성분 등임)또는 물리적 특징 정보(예를 들면 입자성 물질 직경 등임)일 수 있다.
실시함에 있어서, 백그라운드 서버는 목표 공기 정화 기기에 공기 성분 정보의 획득 요구를 발송할 수 있다. 목표 공기 정화 기기는 획득 요구를 수신한 후, 공기 검출기를 작동시켜 상기 영역의 공기 성분 정보를 검출하여, 공기 성분 정보를 백그라운드 서버에 발송할 수 있다. 또는, 공기 정화 기기는 대기 상태 하에서, 일정 주기에 따라 목표 검출 영역의 공기 성분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다음, 획득한 공기 성분 정보를 실시간으로 백그라운드 서버에 발송할 수 있다.
상기의 목표 검출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는 공기 정화 기기를 목표 모니터링 영역에 놓을 수 있으며, 공기 정화 기기의 이미지 촬영 부재를 목표 검출 영역에 조준할 수도 있다. 또는, 방식1의 정황에 대하여, 백그라운드 서버로 식물 정보를 획득하기 전에 목표 검출 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상응하게는, 백그라운드 서버는 공기 정화 기기에 영역 결정 요구를 발송하고, 공기 정화 기기는 영역 결정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기기 중의 이미지 촬영 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모든 촬영 가능한 영역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하여 얻은 이미지를 백그라운드 서버에 발송하며, 백그라운드 서버는 상기 이미지의 내용에 기반하여 포함되는 식물의 영역을 결정할 수 있고, 목표 검출 영역으로 하며, 상기 촬영한 이미지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는 바, 다음, 백그라운드 서버는 결정 결과를 공기 정화 기기에 발송하여, 공기 정화 기기의 목표 검출 영역을 결정하고, 이미지 촬영 부재가 목표 검출 영역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처리는 공기 정화 기기 자체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102에 있어서,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기준 식물 정보에 기반하여, 목표 검출 영역에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인 것을 판정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기준 식물 정보는 모종의 식물이 목표 검출 영역에 있고 개화 상태에 있는 지의 기준정보를 판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기준 식물 이미지 정보, 기준 화분 성분 정보 등이다.
실시함에 있어서, 백그라운드 서버는 각종 식물의 기준 식물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식물의 마크 정보와 대응되게 저장하며, 기준 식물 정보는 기술자에 의하여 기입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검색할 수 있다. 백그라운드 서버에는 사용자의 개인 계좌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의 개인 계좌 정보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알레르기 증상을 일으키는 알레르기 식물의 마크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알레르기 식물의 마크 정보는 사용자가 공기 정화 기기에서 입력할 수 있고, 공기 정화 기기가 백그라운드 서버에 전송시킬 수 있으며, 백그라운드 서버에서 사용자의 전자 진료 기록을 조회한 후 전자 진료 기록에서 획득할 수도 있다. 공기 정화 기기 또는 기타 기기가 발송한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를 수신한 후, 백그라운드 서버는 공기 정화 기기 또는 기타 기기가 바인딩한 계좌를 결정하여 상응한 개인 계좌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여기서 알레르기 식물의 마크 정보를 획득하여, 알레르기 식물의 마크 정보를 통하여 로컬 저장된 상응한 알레르기 식물의 기준 식물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기준 식물 정보와 획득한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를 대비하여, 대비결과에 기반하여 목표 검출 영역에 개화 상태에 있는 알레르기 식물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목표 검출 영역에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 후인 것을 판정하면, 백그라운드 서버는 목표 공기 정화 기기에 공기 정화 요구를 발송함으로써,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요구를 수신한 후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시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선택사항으로서, 상기 단계101의 두가지 처리 방식에 대하여, 단계102의 처리는 상응하게 상이할 수 있고, 상응한 처리는 하기와 같을 수 있다.
상기 방식1에 대하여, 단계102의 처리는 하기와 같을 수 있다.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제1 기준 식물 이미지 정보에 기반하여, 목표 검출 영역에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인 것을 판정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1 기준 식물 이미지 정보는 알레르기 식물 개화 상태의 이미지 정보이다.
실시함에 있어서, 백그라운드 서버는 각종 식물의 개화 상태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식물의 마크 정보와 대응되게 저장한다. 공기 정화 기기 또는 기타 기기가 발송한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를 수신한 후, 백그라운드 서버는 공기 정화 기기 또는 기타 기기가 바인딩한 계좌를 결정하여 상응한 개인 계좌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여기서 알레르기 식물의 마크 정보를 획득하여, 알레르기 식물의 마크 정보를 통하여 로컬 저장된 상응한 알레르기 식물의 개화 상태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획득한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에서 알레르기 식물의 개화 상태의 이미지 정보와 유사한 이미지 영역을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알레르기 식물의 개화 상태의 이미지 정보 중의 외형 윤곽 정보와 색채 조합 정보를 매칭 검색할 수 있는 것에 기반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획득한 이미지 정보에서 모 이미지 영역과 저장된 개화 상태의 이미지 정보가 일정한 이미지 유사도를 만족할 경우, 목표 검출 영역 내에 개화 상태에 있는 알레르기 식물이 있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고, 백그라운드 서버는 공기 정화 기기에 공기 정화 요구를 발송하여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공기 정화 기기는 공기 정화 요구를 수신한 후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시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상기 방식2에 대하여, 단계102의 처리는 하기와 같다. 목표 검출 영역의 공기 성분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화분 성분 정보에 기반하여, 목표 검출 영역의 공기에 알레르기 식물의 화분이 포함되는 것으로 판정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실시함에 있어서, 백그라운드 서버는 각종 식물의 화분 성분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식물의 마크 정보와 대응되게 저장하며, 화분 성분 정보는 화분의 화학적 특징 정보(예를 들면 화학 성분 등임) 또는 물리적 특징 정보(예를 들면 입자성 물질 직경 등임)일 수 있다. 공기 정화 기기가 발송한 목표 검출 영역의 공기 성분 정보를 수신한 후, 백그라운드 서버는 공기 정화 기기에 바인딩된 계좌를 결정하여 상응한 개인 계좌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여기서 알레르기 식물의 마크 정보를 획득하여, 알레르기 식물의 마크 정보를 통하여 로컬 저장된 상응한 알레르기 식물의 화분 성분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획득한 목표 검출 영역의 상기 공기 성분 정보에서 알레르기 식물의 화분 성분 정보와 서로 매칭되는 성분을 검색할 수 있으며, 여기서 화학 성분에 기반하여 매칭할 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입자성 물질 직경에 기반하여 매칭할 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다음, 검색 결과에 기반하여 목표 검출 영역에 개화 상태에 있는 알레르기 식물이 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고, 목표 검출 영역에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 후인 것을 판정하면, 백그라운드 서버는 공기 정화 기기에 공기 정화 요구를 발송함으로써,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공기 정화 기기는 공기 정화 요구를 수신한 후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시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선택사항으로서, 백그라운드 서버는 공기 정화 기기가 식물의 생장에 적합한 환경 온도와 환경 습도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응한 처리 방식은 하기와 같을 수 있다.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 및 미리 저장된 각종 식물의 제2 기준 식물 이미지 정보에 기반하여,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을 결정한다.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식물에 대응되는 생장 온도 정보와 생장 습도 정보에 기반하여,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환경 온도와 환경 습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2 기준 식물 이미지 정보는 백그라운드 서버에 저장된 식물의 이미지 정보일 수 있고, 개화 상태의 이미지 정보일 수 있으며, 무화 상태 등 임의의 상태의 이미지 정보일 수도 있다.
실시함에 있어서, 백그라운드 서버는 각종 식물의 마크 정보는 한개 또는 다수개의 이미지 정보에 대응될 수 있고, 이러한 이미지 정보는 식물의 상이한 상태의 사진일 수 있다. 백그라운드 서버는 각종 식물의 생장 온도 정보와 생장 습도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고, 식물의 마크 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다. 공기 정화 기기는 냉각, 가열, 가습, 제습 등 기능이 설치될 수 있다.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한 후, 백그라운드 서버는 기설정된 식물 이미지 결정 규칙에 기반하여 각 그루 식물을 단위로 하여 이미지 정보에 대해 영역적으로 구획할 수 있는 바, 식물의 줄기, 잎, 꽃 등과 같은 구조에 기반하여 구획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에 포함되는 모든 식물에 대응되는 이미지 영역을 결정한다. 구획한 후 얻은 각 식물의 이미지 영역과 미리 저장된 각종 식물의 제2 기준 식물 이미지 정보를 매칭하여 판정할 수 있고, 여기서, 식물의 외형 윤곽과 색채 조합에 기반하여 각각 대비할 수 있으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가지 이미지 정보 중의 식물의 외형 윤곽과 색채 조합이 모두 각자의 기설정된 유사도를 만족할 경우, 상기 이미지 영역에 대응되는 식물을 제2 기준 식물 이미지 정보 중의 식물로 판정할 수 있으며, 이 때 상응한 식물의 마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백그라운드 서버는 획득한 식물의 상기 마크 정보에 기반하여, 미리 저장된 대응되는 식물의 생장 온도 정보와 생장 습도 정보를 조회하여, 획득함 목표 검출 영역 중의 모든 식물의 생장 온도 정보와 생장 습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다음 목표 검출 영역의 적합한 온도 범위와 습도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백그라운드 서버는 목표 검출 영역의 적합한 온도 범위와 습도 범위를 공기 정화 기기에 발송할 수 있고, 공기 정화 기기는 이 적합한 온도 범위와 습도 범위에 기반하여, 냉각, 가열, 가습, 제습 등을 구비하는 기능에 기반하여, 목표 검출 영역의 환경 온도와 환경 습도를 상응한 온도 범위와 습도 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를 획득하고,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기준 식물 정보에 기반하여, 목표 검출 영역에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인 것을 판정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하여,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할 경우 공기 정화 기기는 신속하게 발견하고, 공기 중의 화분을 정화시킴으로써, 화분이 부정적인 영향을 일으키는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3
동일한 기술적 구상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기 정화 장치를 더 제공하는 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획득모듈(610)과 제어모듈(620)을 포함한다.
획득모듈(610)은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모듈(620)은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기준 식물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사항으로서, 상기 획득모듈(610)은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모듈(620)은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제1 기준 식물 이미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기준 식물 이미지 정보는 상기 알레르기 식물 개화 상태의 이미지 정보이다.
선택사항으로서, 상기 획득모듈(610)은 목표 공기 정화 기기 및/또는 기타 기기가 이미지 촬영 부재를 통해 촬영한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사항으로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 및 미리 저장된 각종 식물의 제2 기준 식물 이미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모듈(630);
미리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물에 대응되는 생장 온도 정보와 생장 습도 정보에 기반하여,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환경 온도와 환경 습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모듈(620)을 더 포함한다.
선택사항으로서, 상기 획득모듈(610)은 목표 검출 영역의 공기 성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모듈(620)은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공기 성분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화분 성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공기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의 화분이 포함되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의 장치에 대하여, 여기서 각각의 모듈이 수생하는 동작의 구체적인 방식은 이미 상기 방법에 관련되는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기에,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를 획득하고,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기준 식물 정보에 기반하여, 목표 검출 영역에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인 것을 판정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하여,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할 경우 공기 정화 기기는 신속하게 발견하고, 공기 중의 화분을 정화시킴으로써, 화분이 부정적인 영향을 일으키는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공기 정화 장치는 공기를 정화할 시, 단지 상기 각 기능모듈의 구획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을 뿐, 실질적인 응용에 있어서는 수요에 기반하여 상기 기능 분배를 상이한 기능 모듈로 완성할 수 있으며, 즉 장치의 내부 구조를 상이한 기능 모듈로 구획하여 이상의 설명한 모든 또는 부분적인 기능을 완성할 수 있다. 이 밖에,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공기 정화 장치와 공기 정화 방법 실시예는 동일한 구상에 속하는 바, 그 구체적인 실현 과정은 방법 실시예를 참조하기 바라며, 여기서 더 서술하지 않음을 명확히 밝힌다.
실시예4
도8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기반하여 공기 정화 장치(1900)를 도시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예를 들면, 장치(1900)는 서버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8을 참조하면, 장치(1900)는 프로세싱 어셈블리(1922)를 포함하고, 이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1932)를 대표로 하는 메모리 리소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 리소스는 예를 들어 응용 프로그램과 같은 프로세싱 어셈블리(1922)에서 실행되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메모리(1932)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은 인스트럭션과 대응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 프로세싱 어셈블리(1922)는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상기 공기 정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장치(1900)는 장치(1900)의 전원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원 어셈블리(1926), 장치(1900)를 인터넷, 하나의 I/O 인터페이스(1958)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하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95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1900)는 프로세서(1932)에 저장되는 운영체제, 예를 들어 Windows ServerTM,Mac OS XTM,UnixTM, LinuxTM,FreeBSDTM 또는 유사한 것에 기반하여 작동할 수 있다.
장치(1900)는 메모리, 및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바, 여기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며,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상기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하기의 동작 프로그램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하기의 동작의 인스트럭션을 진행한다.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기준 식물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선택사항으로서,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기준 식물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제1 기준 식물 이미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기준 식물 이미지 정보는 상기 알레르기 식물 개화 상태의 이미지 정보이다.
선택사항으로서,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목표 공기 정화 기기 및 기타 기기 중 적어도 하나가 이미지 촬영 부재를 통해 촬영한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사항으로서, 상기 공기 정화 방법은,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 및 미리 저장된 각종 식물의 제2 기준 식물 이미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을 결정하는 단계;
미리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물에 대응되는 생장 온도 정보와 생장 습도 정보에 기반하여,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환경 온도와 환경 습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사항으로서,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목표 검출 영역의 공기 성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기준 식물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공기 성분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화분 성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공기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의 화분이 포함되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를 획득하고,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기준 식물 정보에 기반하여, 목표 검출 영역에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인 것을 판정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하여,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할 경우 공기 정화 기기는 신속하게 발견하고, 공기 중의 화분을 정화시킴으로써, 화분이 부정적인 영향을 일으키는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명세서를 고려하여 여기서 공개한 발명을 실시한 후 본 발명의 기타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원 발명은 본 발명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함하고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를 따르며 본 발명이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분야에서의 공지된 상식 또는 통상적인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기술적 사상은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Claims (14)

  1.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기준 식물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기준 식물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제1 기준 식물 이미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준 식물 이미지 정보는 상기 알레르기 식물 개화 상태의 이미지 정보인 공기 정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목표 공기 정화 기기 및 기타 기기 중 적어도 하나가 이미지 촬영 부재를 통해 촬영한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 및 미리 저장된 각종 식물의 제2 기준 식물 이미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을 결정하는 단계;
    미리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물에 대응되는 생장 온도 정보와 생장 습도 정보에 기반하여,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환경 온도와 환경 습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 정화 방법.
  5.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기준 식물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목표 검출 영역의 공기 성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기준 식물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공기 성분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화분 성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공기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의 화분이 포함되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방법.
  6.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모듈;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기준 식물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획득모듈은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제1 기준 식물 이미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기준 식물 이미지 정보는 상기 알레르기 식물 개화 상태의 이미지 정보인 공기 정화 장치.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모듈은 목표 공기 정화 기기 및 기타 기기 중 적어도 하나가 이미지 촬영 부재를 통해 촬영한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인 공기 정화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 및 미리 저장된 각종 식물의 제2 기준 식물 이미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또한 미리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물에 대응되는 생장 온도 정보와 생장 습도 정보에 기반하여,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환경 온도와 환경 습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인 공기 정화 장치.
  10.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모듈;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기준 식물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획득모듈은 목표 검출 영역의 공기 성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공기 성분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화분 성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공기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의 화분이 포함되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인 공기 정화 장치.
  11.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기준 식물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기준 식물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이미지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제1 기준 식물 이미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준 식물 이미지 정보는 상기 알레르기 식물 개화 상태의 이미지 정보인 데이터 전송 장치.
  12.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기준 식물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목표 검출 영역의 공기 성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식물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기준 식물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포함되고 상기 알레르기 식물이 개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공기 성분 정보와 기설정된 알레르기 식물의 화분 성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검출 영역의 공기에 상기 알레르기 식물의 화분이 포함되었다고 판정되면, 목표 공기 정화 기기가 공기 정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3.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청구항 1, 3 내지 청구항 5 중의 임의의 1 항에 기재된 공기 정화 방법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14. 청구항 13 에 기재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67004262A 2015-05-29 2015-12-24 공기 정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8935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290860.8A CN104941330B (zh) 2015-05-29 2015-05-29 一种净化空气的方法和装置
CN201510290860.8 2015-05-29
PCT/CN2015/098697 WO2016192383A1 (zh) 2015-05-29 2015-12-24 一种净化空气的方法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645A KR20180004645A (ko) 2018-01-12
KR101893542B1 true KR101893542B1 (ko) 2018-08-30

Family

ID=54156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262A KR101893542B1 (ko) 2015-05-29 2015-12-24 공기 정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105631B2 (ko)
EP (1) EP3098525B1 (ko)
JP (1) JP6353163B2 (ko)
KR (1) KR101893542B1 (ko)
CN (1) CN104941330B (ko)
MX (1) MX2016003885A (ko)
RU (1) RU2636081C2 (ko)
WO (1) WO20161923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41330B (zh) * 2015-05-29 2017-08-0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净化空气的方法和装置
CN107612958A (zh) * 2017-07-14 2018-01-19 深圳市中天明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空气检测方法及系统
KR102176481B1 (ko) * 2018-11-16 2020-11-09 주식회사 이레그린 공기청정기
WO2021065953A1 (ja) * 2019-09-30 2021-04-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CN111703278B (zh) * 2020-06-18 2022-05-27 华人运通(上海)云计算科技有限公司 香氛释放方法、装置、车端、云端、系统和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4001A (ja) * 2009-04-22 2010-11-11 Panasonic Corp 空気清浄機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6754A (ja) * 1997-12-03 1999-06-22 Matsushita Seiko Co Ltd 花粉防止装置
JP2000167326A (ja) * 1998-12-09 2000-06-20 Duskin Co Ltd 除塵装置
JP4720071B2 (ja) * 2003-06-12 2011-07-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清浄機
WO2004110593A1 (ja) * 2003-06-12 2004-12-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空気清浄機、機能性フィルタ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空気清浄フィルターおよび装置
RU44797U1 (ru) * 2004-10-28 2005-03-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НЕЖ и Ко"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
JP2007057360A (ja) * 2005-08-24 2007-03-08 Agilent Technol Inc 粒子検出装置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粒子検出方法
JP2007107819A (ja) * 2005-10-14 2007-04-26 Hitachi Appliances Inc 空気調和機
EP1820391A1 (en) * 2006-02-17 2007-08-22 CropDesign N.V. Method and apparatus to determine the start of flowering in plants
JP2008180490A (ja) * 2006-12-28 2008-08-07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エアシャワー装置、エアシャワー装置を備えた建物、花粉症低減システム及び花粉症低減システムの提供方法
US20080216456A1 (en) * 2007-03-05 2008-09-11 Williams Kevin D Filter apparatus and method
CN101980249B (zh) * 2010-11-12 2012-11-07 中国气象局气象探测中心 作物发育及长势自动观测方法及装置
JP5510833B2 (ja) * 2011-02-16 2014-06-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2172233A (zh) * 2011-03-04 2011-09-07 江苏大学 一种棉田杂草实时识别对靶喷施的方法
JP2013162800A (ja) * 2013-05-16 2013-08-22 Casio Computer Co Ltd 通信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WO2014207629A1 (en) * 2013-06-28 2014-12-31 Koninklijke Philips N.V. Air purifier controller
CN103336517B (zh) * 2013-07-02 2015-06-24 周庆芬 一种智能农业综合管理系统
CN103440672A (zh) * 2013-07-19 2013-12-11 南京农业大学 一种花卉花朵图像分割提取方法
CN203874641U (zh) * 2014-05-27 2014-10-15 江苏心日源建筑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室内空气处理器
CN104048387A (zh) 2014-07-08 2014-09-17 陈南 空气净化器的调节控制方法、装置、系统及空气净化器
CN104329780A (zh) * 2014-09-18 2015-02-04 广州芬尼克兹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智能调节的空气净化器
CN104536473B (zh) 2014-10-29 2017-04-0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净化空气的控制方法及装置
CN104456831A (zh) 2014-10-29 2015-03-2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空气净化提醒方法、提醒装置、用户设备和系统
CN104941330B (zh) * 2015-05-29 2017-08-0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净化空气的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4001A (ja) * 2009-04-22 2010-11-11 Panasonic Corp 空気清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98525A1 (en) 2016-11-30
MX2016003885A (es) 2017-04-27
WO2016192383A1 (zh) 2016-12-08
CN104941330A (zh) 2015-09-30
US20160346721A1 (en) 2016-12-01
JP2017531776A (ja) 2017-10-26
RU2016111636A (ru) 2017-10-02
CN104941330B (zh) 2017-08-01
RU2636081C2 (ru) 2017-11-20
US10105631B2 (en) 2018-10-23
EP3098525B1 (en) 2020-07-01
JP6353163B2 (ja) 2018-07-04
KR20180004645A (ko) 2018-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3542B1 (ko) 공기 정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JP6797204B2 (ja) 空気質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分析サーバー
WO2016184085A1 (zh) 一种控制器、室内环境调节系统及室内环境的调节方法
CN103335377A (zh) 空调控制装置及其定时开机的控制方法
CN108679800B (zh) 空调的控制方法和装置
WO2022257607A1 (zh) 用于控制家电设备的方法、系统、装置及服务器
CN113243355B (zh) 用于驱蚊的家电设备控制方法及装置、家电设备
WO2020192107A1 (zh) 遥控设备及其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US11530836B2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7120167A (ja) 空調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4488829A (zh) 用于控制家电设备的方法及装置、服务器
JP2004278912A (ja) 人物応答制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205176788U (zh) 一种空间气压感应的互动装置
CN106205027A (zh) 一种基于gsm的家居安防系统
CN110737200A (zh) 一种智能衣柜运行系统及方法
TW201725540A (zh) 個性化定制系統及方法
CN112147907B (zh) 运行控制方法、装置、线控设备和存储介质
CN109539495B (zh) 控制方法、空气调节设备及存储介质
CN108881988A (zh) 电视机监测处理方法、电视机及存储介质
CN110865551A (zh) 一种家用电器与人群分布检测设备互联系统
WO2023029450A1 (zh) 空调器空气处理模块的推荐方法、服务器、空调器及介质
KR20210026461A (ko) 식물 공기 정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최적 식물 선택 및 배치 장치
CN104931652A (zh) 一种空气评估方法及装置
CN115730133A (zh) 内容服务推荐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0081561A (zh) 基于环境动态控制空气调节设备调节环境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