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953B1 -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실시간 높이 감지체 - Google Patents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실시간 높이 감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953B1
KR101892953B1 KR1020170148987A KR20170148987A KR101892953B1 KR 101892953 B1 KR101892953 B1 KR 101892953B1 KR 1020170148987 A KR1020170148987 A KR 1020170148987A KR 20170148987 A KR20170148987 A KR 20170148987A KR 101892953 B1 KR101892953 B1 KR 101892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height
concrete
coupling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석
김재엽
조훈희
박우열
안성훈
Original Assignee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filed Critical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Priority to KR1020170148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9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실시간 높이 감지체는 거푸집 외부에서도 거푸집 내부로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의 타설높이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여, 시공목적에 따라 콘크리트의 타설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가 덜 타설되어지거나 더 타설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시공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실시간 높이 감지체{REAL TIME HEIGHT SENSING OF CATE IN PLACE CONCRETE}
본 발명은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실시간 높이 감지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 내부에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의 타설높이를 외부에서도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여, 원하는 양 만큼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 가능한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실시간 높이 감지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공장에서 미리 생산한 콘크리트 블록을 시공현장으로 이송한 후, 조립하여 시공하는 프리캐스트 공법(이하 PC공법)과, 현장에서 철근을 배근한 후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하여 시공하는 철근콘크리트 공법(이하 RC공법)이 존재한다.
최근에는 시공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PC공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소규모 시공에서는 아직까지 RC공법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의 RC공법은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철근을 격자형상으로 서로 배근한 후, 구조물의 외형에 대응되도록 거푸집을 설치하며, 거푸집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함으로써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기존의 거푸집은 작업자의 시야를 가로막고 거푸집 내부를 확인하는 것이 어려워, 콘크리트를 타설할 시에 거푸집 외부로 콘크리트가 넘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설치된 거푸집보다 더 높은 곳에서 거푸집의 내부를 확인하기 위한 작업자를 추가로 배치함으로써 거푸집 내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타설량을 조절하게 되지만, 각 작업자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거푸집 외부로 콘크리트라가 넘치게 되거나 부족하게 타설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를 추가로 배치하지 않고도, 거푸집 내부로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의 타설높이를 외부에서도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여, 콘크리트 타설량을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실시간 높이 감지체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거푸집의 외부에서도 거푸집 내부로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의 타설량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여, 시공목적에 따라 원활하게 콘크리트 타설량을 조절할 수 있는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실시간 높이 감지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공현장에서 철근(R)을 배근한 후, 소정의 위치에는 전후면이 관통된 형상의 복수개의 결합홈(11)이 형성되며 구조물 외부 형태에 맞게 설치되어지는 거푸집(10)과, 거푸집(10)의 외부면에 구성되며, 상기 결합홈(11)에 삽입되어지는 표시부(100)와, 거푸집(10)의 내부면에 구성되며, 상기 결합홈(11)에 삽입되어지되, 표시부(100)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어지는 압력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100)는 거푸집(10)의 외부면에 구성되며 조명 또는/ 및 음향이 발산되어지는 발산부(111)가 포함되어지는 몸체부(110)와, 일측단부가 상기 몸체부(110)에 결합되어지며, 타측단부에 구성된 작동 스위치(121)가 눌림으로 인해 상기 발산부(111)가 작동시키는 작동부(120)와, 일측단부가 상기 몸체부(110)에 결합되어지며,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어지며 상기 거푸집(10)의 결합홈(11)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성되어 삽입결합되어지는 결합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푸집(10)의 결합홈(11)에는 내외부면이 관통된 복수개의 제1 나사결합부(12)와, 상기 결합부(130)는 소정의 위치에는 내외부면이 관통되어지며, 상기 제1나사결합부(12)의 크기 및 위치에 대응되는 제2 나사결합부(131)와, 상기 제1 나사결합부(12)와 제2 나사결합부(131)가 나사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부(200)는 탄성재질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비압축성 기체가 포함되어 현장콘크리트(C)가 타설되어지면 외부방향으로 가압되어지는 가압부(210)와, 상기 가압부(210)가 가압되어지면 함께 연동되어 외부방향으로 수평이동되어지는 누름부(220)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부(210)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지며, 거푸집(10)의 결합홈(11)에 삽입되어지도록 상기 결합홈(11)의 모양과 크기에 대응되며 자성체로 구성되어지는 결합부(211)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공현장에서 지면에 배근된 철근(R)에 설치되어 현장콘크리트(C)의 타설높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한 높이 표시부(3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높이 표시부(300)에는 지면과 수직으로 설치되며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어지는 높이 표시부재(310)와; 상기 높이 표시부재(310)와 결합되어지며, 중앙부분이 수직으로 관통되어 도넛형상으로 형성되는 표시 몸체부(320)와; 상기 표시몸체부(320)의 상측단부에는 조명 또는/ 및 음향이 발산되어지는 복수개의 표시 발산부(330);및 상기 표시 몸체부(320)의 하측단부에 형성되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되며, 상측으로 오목하게 구성된 복수개의 표시 작동부재(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작동부(340)에는,상기 표시 몸체부(320)의 하측단부에 구성되며, 하측방향으로 당겨짐으로써 상기 표시 발산부(300)를 작동시키는 작동 스위치부(341);및 상기 작동 스위치부(341)가 하측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상기 높이 표시부재(310)의 하측단부에 일측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작동 스위치부(341)에 감겨지도록 타측단부에 구성되는 와이어 부재(3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실시간 높이 감지체는 거푸집 외부에서도 거푸집 내부로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의 타설높이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여, 시공목적에 따라 콘크리트의 타설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가 덜 타설되어지거나 더 타설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시공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실시간 높이 감지체의 전체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실시간 높이 감지체의 표시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실시간 높이 감지체의 표시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실시간 높이 감지체의 높이표시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선호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RC공법을 사용하는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공법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먼저 도 1a은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실시간 높이 감지체를 도시한 도면으로, 시공현장에서 먼저 철근(R)을 배근한 후, 구조물의 외형에 대응되도록 거푸집(10)을 설치한다.
상기 거푸집(10)은 소정의 위치에 전후면이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홈(11)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결합홈(11)은 일반적으로 원형 형상으로 관통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결합홈(11)의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제1 나사결합부(12)가 형성되어지며, 구체적인 설명은 차후에 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홈(11)은 거푸집(1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모서리부분에 추가로 형성되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10)을 기준으로 거푸집(10)의 외부면에는 표시부(100)가 구성되어지고, 내부면에는 압력부(200)가 구성되어진다.
상기 표시부(100)와 압력부(200)는 거푸집(10)의 결합홈(11)에 각각 삽입되어 구성되어지며, 서로 대응되는 위치로 결합되어 한쌍으로 구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표시부(100)와 압력부(200)는 거푸집(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며 등간격 배치되어진다.
상기 표시부(100)는 거푸집(10)의 외부면에 구성되어 조명 또는/ 및 음향이 발산되어지는 발산부(111)가 포함된 몸체부(110)가 구성되어진다.
상기 발산부(111)의 내부에는 광원체 또는/ 및 스피커가 구성되어지며, 외부로 조명 또는/ 및 음향이 발산되어지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되어지거나, 매쉬소재로 구성되어진다.
이때 일측단부는 몸체부(110)에 되어지고, 타측단부에는 구성된 작동 스위치(121)가 눌림으로 인해 상기 발산부(111)의 광원체 또는/ 및 스피커가 작동되어지는 작동부(120)가 구성되어진다.
상기 표시부(100)는 결합부(130)에 의해 거푸집(10)의 결합홈(11)에 삽입되어 결합되어진다. 상기 결합부(130)는 상기 결합홈(11)의 형상과 크기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며, 일측단부가 몸체부(110)에 결합되며,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결합부(130)의 둘레면 소정의 위치에는 내외부면을 관통하는 제2 나사결합부(131)가 복수개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제2 나사결합부(131)는 거푸집(10)에 구성된 결합홈(11)의 제1 나사결합부(12)와 대응되는 크기 및 위치에 구성되어지며, 상기 제1 나사결합부(12)와 제2 나사결합부(131)이 서로 나사결합되어짐으로써, 거푸집(10)이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압력부(200)는 거푸집(10) 내부로 타설되어지는 현장콘크리트(C)에 의해 거푸집(10) 외부방향으로 가압되어지는 탄성재질의 가압부(210)가 구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가압부(210)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비압축성 기체가 포함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압축성 기체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압부(210)의 둥근면은 현장콘크리트(C)에 의해 가압되며, 평평한 면에는 결합부(211)가 구성되어 거푸집(10)의 내부면에 밀착되어진다. 이때 상기 결합부(211)는 자성체로 구성되어 거푸집(10)과 결합되어지며, 추가적으로 거푸집(10)의 결합홈(11)의 모양과 크기에 대응되는 돌출부가 구성되어 상기 압력부(200)와 거푸집(10)이 원활하게 결합되어진다.
상기 가압부(210)가 현장콘크리트(C)에 의해 가압되어지면, 이와 함께 연동되어 외부방향으로 누름부(220)가 수평이동되어진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100)와 압력부(200)는 거푸집(10)의 높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며 등간격 배치되어진다.
상기 거푸집(10) 내부로 현장콘크리트(C)가 타설되어지면, 압렵부(200)의 누름부(220)와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표시부(100)의 작동부(120)는, 상기 누름부(220)가 외부방향으로 이동되어지면, 작동부(120)의 타측단부에 구성된 스위치(121)가 누름부(220)로 인해 눌림으로써 상기 발산부(111)가 작동되어 조명 또는/ 및 음향이 외부로 발상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발산부(111)가 작동되어지면, 거푸집(10)의 높이방향으로 등간격 배치되는 표시부(100)와 압력부(200)로 인해 작업자는 현재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지는 높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콘크리트의 타설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표시부(300)를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높이 표시부(300)는 시공현장에서 철근(R)을 배근한 후, 지면에 배근되는 철근(R) 또는/ 및 바닥판에 설치되어짐으로써, 시공현장에서 바닥면에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의 높이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높이 표시부(300)는 지면과 수직으로 설치되며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높이 표시부재(310)가 구성되어진다. 상기 높이 표시부재(31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외경에는 눈금이 표시되어진다.
상기 높이 표시부재(310)와 결합되어지는 표시 몸체부(320)는 상기 높이 표시부재(310)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키로 중앙부분이 수직으로 관통된 도넛형상으로 형성되어, 높이 표시부재(310)에 삽입되어진다.
상기 표시 몸체부(320)는 상측단부에 조명 또는/ 및 음향이 발산되어지는 복수개의 표시 발산부(330)가 구성되어진다. 상기 표시 발산부(330)의 내부에는 광원체 또는/ 및 스피커가 내장되어지며,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로 구성되거나 매쉬소재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표시 몸체부(320)의 하측단부는 평평하게 형성되어지며, 소정의 위치에는 상측으로 오목한 복수개의 표시 작동부(340)가 구성되어진다.
상기 표시 작동부(340)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하측방향으로 당겨짐으로써 상기 표시 발산부(330)가 작동되어지도록 반고리 형상의 작동 스위치부(341)가 구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작동 스위치부(341)가 하측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하기 위하여, 일측단부는 높이 표시부재(310)의 하측단부에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반고리 형상의 작동 스위치부(341)에 감겨지는 와이어 부재(342)가 구성되어진다.
상기 와이어 부재(342)는 바닥면에 현장콘크리트(C)가 타설되어지는 높이에 맞춰 미리 기설정되어지며, 작업자의 목적에 따라 더 길어지거나 더 짧게 기설정되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높이 표시부(300)로 인해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시, 작업자가 원하는 콘크리트의 타설높이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여, 정확한 콘크리트 타설량을 조절함으로써 시공비용을 절감시키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거푸집 100 : 표시부
200 : 압력부 300 : 높이 표시부

Claims (5)

  1. 시공현장에서 철근(R)을 배근한 후, 소정의 위치에는 전후면이 관통된 형상의 복수개의 결합홈(11)이 형성되며 구조물 외부 형태에 맞게 설치되어지는 거푸집(10)과;
    거푸집(10)의 외부면에 구성되며, 상기 결합홈(11)에 삽입되어지는 표시부(100)와;
    거푸집(10)의 내부면에 구성되며, 상기 결합홈(11)에 삽입되어지되, 표시부(100)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어지는 압력부(200); 및
    상기 시공현장의 지면에 배근된 철근(R)에 설치되어 현장콘크리트(C)의 타설높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한 높이 표시부(300)가 포함되며,
    상기 높이 표시부(300)는,
    지면과 수직으로 설치되며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어지는 높이 표시부재(310)와;
    상기 높이 표시부재(310)와 결합되어지며, 중앙부분이 수직으로 관통되어 도넛형상으로 형성되는 표시 몸체부(320)와;
    상기 표시몸체부(320)의 상측단부에는 조명 또는 / 및 음향이 발산되어지는 복수개의 표시 발산부(330);및
    상기 표시 몸체부(320)의 하측단부에 형성되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되며, 상측으로 오목하게 구성된 복수개의 표시 작동부(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실시간 높이 감지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100)에는, 거푸집(10)의 외부면에 광원체 또는 / 및 스피커가 구성되되, 외부로 조명 또는 / 및 음향이 발산되어지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된 발산부(111)가 포함되어지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 일측단부에 결합되어지며, 타측단부에 구성된 작동 스위치(121)가 눌림으로 인해 상기 발산부(111)를 작동시키는 작동부(120);및
    상기 몸체부(110) 일측단부에 결합되어지며,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어지며 상기 거푸집(10)의 결합홈(11)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성되어 삽입결합되어지는 결합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거푸집(10)의 결합홈(11)에는 내외부면이 관통된 복수개의 제1 나사결합부(12)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30)의 소정의 위치에는 내외부면이 관통되어지며, 제1나사결합부(12)의 크기 및 위치에 대응되는 제2 나사결합부(131)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사결합부(12)와 제2 나사결합부(131)가 나사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실시간 높이 감지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작동부(340)에는,
    상기 표시 몸체부(320)의 하측단부에 구성되며, 하측방향으로 당겨짐으로써 상기 표시 발산부(330)를 작동시키는 작동 스위치부(341);및
    상기 작동 스위치부(341)가 하측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상기 높이 표시부재(310)의 하측단부에 일측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작동 스위치부(341)에 감겨지도록 타측단부에 구성되는 와이어 부재(3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실시간 높이 감지체.
    .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부(200)에는,
    탄성재질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비압축성 기체가 포함되어 현장콘크리트(C)가 타설되어지면 외부방향으로 가압되어지는 가압부(210);및
    상기 가압부(210)가 가압되어지면 함께 연동되어 외부방향으로 수평이동되어지는 누름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실시간 높이 감지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210)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지며, 거푸집(10)의 결합홈(11)에 삽입되어지도록 상기 결합홈(11)의 모양과 크기에 대응되며 자성체로 구성되어지는 결합부(211)를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실시간 높이 감지체.
KR1020170148987A 2017-11-09 2017-11-09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실시간 높이 감지체 KR101892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987A KR101892953B1 (ko) 2017-11-09 2017-11-09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실시간 높이 감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987A KR101892953B1 (ko) 2017-11-09 2017-11-09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실시간 높이 감지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2953B1 true KR101892953B1 (ko) 2018-08-30

Family

ID=63453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987A KR101892953B1 (ko) 2017-11-09 2017-11-09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실시간 높이 감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95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3801A (ja) * 1997-04-08 1998-10-23 Asahi Denki Kasei Kk 照明器具
KR200342806Y1 (ko) * 2003-11-26 2004-02-18 권향숙 거푸집 고정기구
KR200430888Y1 (ko) * 2006-08-10 2006-11-13 윤안구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101630238B1 (ko) * 2015-02-09 2016-06-14 주식회사 태영피씨엠 피씨벽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구조
KR20160124035A (ko) * 2015-04-17 2016-10-26 (주)연우피씨엔지니어링 전단보강 하프 피씨 슬래브 구조체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3801A (ja) * 1997-04-08 1998-10-23 Asahi Denki Kasei Kk 照明器具
KR200342806Y1 (ko) * 2003-11-26 2004-02-18 권향숙 거푸집 고정기구
KR200430888Y1 (ko) * 2006-08-10 2006-11-13 윤안구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101630238B1 (ko) * 2015-02-09 2016-06-14 주식회사 태영피씨엠 피씨벽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구조
KR20160124035A (ko) * 2015-04-17 2016-10-26 (주)연우피씨엔지니어링 전단보강 하프 피씨 슬래브 구조체 및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529735A (ja) 設備をアクセス可能に設置可能なスラブ、または類似した軽量構造部材
CN208396321U (zh) 一种可拆卸式预制立柱钢筋定位装置
KR101892953B1 (ko)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실시간 높이 감지체
WO2007070848A3 (en) Adobe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CN205243199U (zh) 一种逃生孔孔盖内侧的开启装置
KR20160124035A (ko) 전단보강 하프 피씨 슬래브 구조체 및 시공방법
KR102098570B1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철근 스페이서
CN104234094A (zh) 水下混凝土灌注高度检测装置
CN202265778U (zh) 高精度预制梁定位结构
KR200479417Y1 (ko) 콘크리트 타설시 매립 함체 보호장치
KR101586975B1 (ko) 콘크리트 슬라브 거푸집의 받침장치
CN205027362U (zh) 测量木工模板尺
CN211524117U (zh) 用于混凝土浇筑的智能机械
KR102094279B1 (ko) 이동형 강재 거푸집
CN208702168U (zh) 一种混凝土楼板厚度控制装置
CN209066876U (zh) 一种在铝合金模板上固定预埋盒体的结构
CN206800401U (zh) 灌注桩护筒定位及操作平台一体化装置
CN208484006U (zh) 一种芯模振动工艺带胀拉孔综合管廊模具
CN202656285U (zh) 一种浇筑成型模具
CN110863598A (zh) 一种现浇楼板施工洞施工方法
CN210061564U (zh) 一种预制梁梁形控制装置
CN216656251U (zh) 一种高强度窨井盖铸造设备
KR20230080649A (ko)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착탈구조
CN108952175A (zh) 一种提高现浇楼板平整厚度施工一次合格率的标高器
KR101907666B1 (ko) 신축 동작되는 맨홀용 내부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