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242B1 -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242B1
KR101892242B1 KR1020170128533A KR20170128533A KR101892242B1 KR 101892242 B1 KR101892242 B1 KR 101892242B1 KR 1020170128533 A KR1020170128533 A KR 1020170128533A KR 20170128533 A KR20170128533 A KR 20170128533A KR 101892242 B1 KR101892242 B1 KR 101892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ated
gas
water
pipe
carbon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8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중보
Original Assignee
권중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중보 filed Critical 권중보
Priority to KR1020170128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2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 B01F7/08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화환원수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화장치에서 쓰레기를 탄화 처리하되, 그 쓰레기를 탄화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탄화환원수 추출부에서 수집 및 응축시켜 탄화환원수의 추출이 가능하게 하며, 그 추출된 탄화환원수를 이용하여 다양한 원료로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응축 후 잔류하는 탄화가스를 순환 및 한번 더 연소시켜 완전 연소가 가능하게 하는 등 불완전연소가스의 배출로 인한 악취 및 매연 등 인체에 유해한 성분의 배출 및 대기오염을 예방하기 위한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Carbonization water extraction device}
본 발명은 탄화환원수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려지는 쓰레기를 태워 발생되는 탄화가스를 응축시켜 탄화환원수의 추출이 가능하게 하는 등 쓰레기의 안전한 처리 및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탄화환원수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산업현대화가 거듭 될수록 생활 쓰레기는 급증하고 있는 실정으로, 특히 외식 서비스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음식물 및 생활 쓰레기는 정해진 관계볍령에 따라서 수거하여 처리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매립이 아닌 대부분을 소각하여 처리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다양한 처리 과정을 거쳐 사료나 퇴비 등으로 재가공 되기도 한다.
한편, 근래에는 음식물 및 생활 쓰레기를 재가공하여 이용하기 위한 효과적인 처리 방법으로 탄화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탄화는 유기물을 열분해시켜 다른 물질로 만드는 화학적 변화를 말하며, 유기물을 무산소 상태(진공상태)에서 간접 가열하여 탄화물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숯으로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유기물 분리기술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탄화방법은 음식물 쓰레기는 물론 처리하기 어려운 폭넓은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탄화된 제품의 질적 차이가 적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탄화시에 오염물질이나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 점에서 쓰레기 처리장치로 연고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쓰레기의 탄화처리를 위하여 여러가지 장치가 제시되고 있으나, 지금까지 제시된 쓰레기 탄화장치는 쓰레기의 탄화가 제대로 되지 않고 그대로 배출되는 경우가 적지 않으며, 열효율이 낮고, 배출가스 중에 악취, 매연 등 유해가스가 잔존하고 소음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탄화실의 패킹 등이 고열로 녹아내려 가스, 연기, 타르 등이 누설되어 제대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쓰레기 탄화장치는 투입된 쓰레기 중의 헝겊, 장갑 등의 덩어리 쓰르레기와 비닐이 건조과정에서 스크류의 회전축 양단부에 몰려 스크류의 회전을 어렵게 하고 수동으로 배출구를 열고 탄화물을 배출시켜야 하는 등 상당한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탄화장치는 단순히 쓰레기를 탄화 처리하게 되는 것인바, 그 기능상의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공보 제10-105460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탄화장치에서 쓰레기를 탄화 처리하되, 그 쓰레기를 탄화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탄화환원수 추출부에서 수집 및 응축시켜 탄화환원수의 추출이 가능하게 하며, 그 추출된 탄화환원수를 이용하여 다양한 원료로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응축 후 잔류하는 탄화가스를 순환 및 한번 더 연소시켜 완전 연소가 가능하게 하는 등 불완전연소가스의 배출로 인한 악취 및 매연 등 인체에 유해한 성분의 배출 및 대기오염을 예방하기 위한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쓰레기가 투입되며, 그 투입된 쓰레기를 열기를 이용하여 탄화시키는 탄화장치;
쓰레기가 탄화시 발생되는 탄화가스를 배출하는 탄화가스 수집관;
탄화가스 수집관을 통해 배출되는 탄화가스를 수집하며, 그 수집된 탄화가스를 응축시켜 탄화환원수를 추출하는 탄화환원수 추출부; 및
응축 후, 잔류하는 탄화가스를 다시 탄화장치로 회수하는 탄화가스 회수관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탄화장치는,
탄화장치 본체;
탄화장치 본체 내부에 형성되며, 상부에 형성되어 압력조절 덮개로 개폐 가능하며 쓰레기의 투입이 가능한 투입구와, 상부에 형성되어 쓰레기를 탄화시 발생되는 탄화가스를 배출하는 탄화가스 수집관의 일단이 연결되는 탄화가스 배출구와, 일측에 형성되어 배출덮개로 개폐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쓰레기를 탄화시키는 탄화실;
탄화실의 둘레에 형성되어 탄화실에 전해지는 열기를 증진시키는 전열증진장치;
탄화실 내부에 형성되어 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기;
탄화실의 하부에 형성되어 화염이 가해져 탄화실에 열기를 부여하게 구성되며, 화염이 부여되는 화염 분사구와, 탄화가스 회수관의 일단이 연결되는 탄화가스 유입관을 갖는 연소실;
연소실의 내부에 설치되며 둘레에 통공이 타공된 가스분해하우징;
가스분해하우징의 후단에 연결되는 2차 연소관;
연소실의 후방에서 탄화장치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탄화가스 회수관의 일단이 연결되는 탄화가스 유입관;
2차 연소관의 후단에 연결 및 탄화장치 본체 상부 외측으로 인출되는 연통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탄화실 내부의 교반기를 작동시켜 교반을 수행하는 교반공정;
압력조절 덮개의 개폐 실린더 작동에 의해 상부 마감부 및 하부 마감부를 투입구로부터 분리 및 회동바를 회동시켜 투입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쓰레기를 투입하고, 개방과 역순으로 투입구를 폐쇄하는 쓰레기 투입공정;
버너를 이용하여 화염 분사구를 통해 연소실의 내부로 화염을 부여 및 가스분해하우징의 통공을 통해 열기를 발산 및 탄화실을 500~850℃의 온도로 간접 가열하여 교반되는 쓰레기를 탄화시키는 쓰레기 탄화공정;
탄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탄화가스를 탄화가스 수집관을 통해 배출 및 탄화환원수 추출부의 탄화가스 수집부로 수집하고, 탄화가스 수집부에 수집된 탄화가스를 열교환부의 탄화가스 응축관을 통해 하부의 탄화환원수 수집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물 순환수단을 통해 탄화가스 응축관에 물을 분사 및 탄화가스를 응축 및 액화된 탄화환원수를 탄화환원수 수집부로 자유 낙하 회수하는 탄화환원수 추출공정;
응축 후, 잔류하는 탄화가스를 탄화가스 회수관을 통해 연소실로 회수 및 연소실과 가스분해하우징과 2차 연소관을 거쳐 완전연소 및 연통을 통해 배출되게 하는 잔류가스 배출공정; 및
쓰레기가 완전 탄화시 자연냉각시켜 탄화실의 온도를 하강 및 배출구를 통해 탄화물을 배출하는 탄화물 배출공정을 수행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 및 그 탄화환원수 추출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 방법은, 탄화장치에서 쓰레기를 탄화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탄화가스를 탄화환원수 추출부로 수집 및 그 수집된 탄화가스를 응축시켜 탄화환원수의 추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버려지는 탄화가스를 이용한 탄화환원수의 추출 및 이에 따른 추출된 탄화환원수를 이용하여 다양한 원료로의 재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쓰리기의 안전한 처리가 가능하게 되는 등 환경오염을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응축시 잔류하는 탄화가스를 다시 탄화장치 본체로 회수 및 재연소가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불완전연소가스의 배출을 방지하며, 이에 따른 악취 및 매연 등 인체에 유해한 성분의 배출을 방지 및 대기오염을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의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의 탄화장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의 투입구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의 탄화환원수 추출부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의 탄화가스 응축관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의 물 순환수단 요부도.
도 7은 본 발명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 방법의 간략도.
도 8은 본 발명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 방법의 탄화장치 작동도.
도 9는 본 발명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 방법의 탄화장치 작동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의 전체도이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발명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1)는, 탄화장치(100)와, 탄화가스 수집관(200)과, 탄화환원수 추출부(300)와, 탄화가스 회수관(4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화장치(100)는 도 2를 참조하여 탄화장치 본체(110)와, 탄화실(120)과, 전열증진장치(130)와, 교반기(140)와, 연소실(150)과, 가스분해하우징(160)과, 2차 연소관(170)과, 연통(180)으로 구성된다.
먼저, 탄화장치 본체(110)는, 상부가 개방된 좌,우 길이를 가지는 함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 탄화실(120)은, 탄화장치 본체(110)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가 중공되고 좌,우 길이를 이루게 구성되며, 단면상 "원형" 또는 "U형" 금속재 통체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탄화실(120)의 상부에는 쓰레기를 탄화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탄화가스의 배출이 가능하게 하는 탄화가스 배출구(122)가 구성된 것으로, 그 탄화가스 배출구(122)는 관체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탄화실(120)의 상부 일측에는 쓰레기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투입구(121)가 구성된 것으로, 그 투입구(121)는 압력조절 덮개(500)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압력조절 덮개(500)는 도 3을 참조하여 먼저, 투입구(121)의 일측에서 탄화실(120)로부터 상부로 수직 입설되는 원형봉 형태의 지지축(510)이 구성도니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510)의 상부에는 회동바(520)가 축설되게 구성된 것으로, 회동바(520)는 축설된 지지축(510)의 투입구(121) 상부를 횡단하여 돌출되고 단부가 하방으로 돌출되는 한편, 그 하방으로 돌출된 단부에 지지축(510) 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부(521)가 구성된다.
즉, 회동바(520)는 상기 지지축(510)을 축으로 하여 좌,우 회전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투입구(121)의 타측에는 탄화실(120)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대(530)가 돌출되게 구성된 것으로, 고정대(530)에는 상기 회동바(520)의 걸림돌부(521)가 삽탈 가능하도록 외측 및 좌,우로 개방되는 걸림홈(531)이 구성된다.
즉, 상기 회동바(520)는 투입구(121)를 폐쇄시 걸림돌부(521)가 고정대(530)의 걸림홈(531)에 걸림 고정되게 구성되며, 개방시 그 회동바(520)를 회동 및 걸림돌부(521)의 걸림력을 해제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하기하는 상,하부 마감부(550)(560)를 투입구(121)로부터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회동바(520)의 상부 중앙에는 개폐 실린더(540)가 장착되게 구성된 것으로, 개폐 실린더(540)는 실린더로드(541)가 하방 출몰력을 가지게 구성되며, 그 실린더로드(541)의 하단에는 수평형 판체 형태의 상부 가압부재(543)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 실린더(540)는 회동바(520)에 고정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그 회동바(520)의 중앙에는 복수의 "바"로 구성된 실린더 지지대(545)가 구성되어 그 개폐 실린더(540)가 고정 설치되며, 실린더로드(541)는 회동바(520)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출몰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바(520)의 하부에는 투입구(121)의 상부를 덮어 개폐하는 상부 마감부(550)가 구성된다.
이때, 상부 마감부(550)는 먼저, 투입구(121)의 상부를 덮어 개폐하는 상부덮개(551)가 구성된다.
또한, 상부덮개(551)의 상부에는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 단열부재(555)가 구성된 것으로, 상부 단열부재(555)는 소정의 두께를 이루어 내부가 중공된 함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상부 단열부재(555)의 중앙에는 격벽을 통해 상부로 개방되는 상부 압축실(556)이 구성된 것으로, 그 상부 압축실(556)의 내부에는 상부 압축스프링(557)이 수직 상태로 내입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부 압축실(556)에는 상기 실린더로드(541)에 형성된 상부 가압부재(543)가 내입되게 구성된 것으로, 상부 가압부재(543)는 상부 압축스프링(557)의 상단에 탄설되는 한편, 그 상부 압축실(556)의 상단 축소된 직경을 통해 구속된 상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 마감부(550)의 저면에는 투입구(121)에 삽탈되어 그 투입구(121)의 개폐를 단속하는 하부 마감부(560)가 구성된다.
이때, 하부 마감부(560)는 먼저, 상부덮개(551)의 저면에 형성되어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하부 단열부재(561)가 구성된 것으로, 하부 단열부재(561)는 소정의 두께를 이루어 내부가 중공된 함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하부 단열부재(561)의 중앙에는 격벽을 통해 하부로 개방되는 하부 압축실(562)이 구성된 것으로, 그 하부 압축실(562)의 내부에는 하부 압축스프링(563)이 수직 상태로 내입되게 구성된다.
또한, 하부 압축실(562)에는 상단이 확장된 직경을 이루는 하부 가압부재(564)가 내입되게 구성된 것으로, 하부 가압부재(564)는 하부 압축스프링(563)의 하단에 탄설되는 한편, 그 하부 압축실(562)의 하단 축소된 직경을 통해 구속된 상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하부 가압부재(564)의 하단에는 투입구(121)에 삽탈되어 그 투입구(121)의 개폐를 단속하는 하부덮개(565)가 구성된다.
즉, 압력조절 덮개(500)는, 회동바(520)의 걸림돌부(521)가 고정대(530)의 걸림홈(531)에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 개폐 실린더(540)를 이용하여 실린더로드(541)를 인출 및 상부 마감부(550)와 하부 마감부(560)를 하방 이동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에서 하부 마감부(560)는 투입구(121)의 내부로 진입되어 그 투입구(121)를 폐쇄하고, 상부 마감부(550)는 투입구(121)의 상단을 덮어 마감하는 이중 밀폐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하부 마감부(550)(560)에 형성되는 상,하부 단열부재(555)(561)는 탄화실(120)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의 손실을 방지하게 구성된다.
한편, 하부 마감부(560)에 형성되는 하부 압축스프링(563)은 탄화실(120) 내부에서 압력이 발생시 하부 가압부재(564)의 상부 이동과 함께 압축되어 압력에 의한 팽창에 대응하게 되며, 상부 압축스프링(557)은 상부 마감부(550)가 투입구(121)의 상부를 덮는 과정에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또한, 압력조절 덮개(500)를 개방시에는 상기 패쇄의 역순으로 개폐 실린더(540)의 작동으로 실린더로드(541)를 인입 및 상,하부 마감부(550)(560)를 투입구(121)로부터 분리 및 회동바(520)를 회동 시켜 상,하부 마감부(550)(560)를 투입구(121)의 일측으로 이동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탄화실(12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배출덮개(124)를 통해 밀폐력을 가지는 배출구(123)가 구성된 것으로, 배출구(123)를 통해 탄화실 내부의 탄화물의 배출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배출덮개(124)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일예로 회동 작동에 의해 개폐되는 한편, 별도의 잠금수단(도면중 미도시함)을 통해 잠금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열증진장치(130)는, 상기 탄화실(120)의 하부에 형성되어 탄화실(120)로 공급되는 열기의 유도 및 분산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전열증진장치(130)는, 탄화실(120) 외부를 감싸는 열전성이 뛰어난 동 등의 재질의 판체로 것으로, 열기를 빠르고 고르게 탄화실(120)로 전달하게 된다.
즉, 전열증진장치(130)는, 하기하는 연소실(150)에서 화염이 부여시 그 열기를 전달받아 탄화실(120)을 가열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가열은 열전도성이 뛰어난 전열증진장치(130)를 통해 열기를 빠르게 흡수 및 탄화실(120) 둘레의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탄화실(120)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공간부에는 열기가 저장되게 되는 것인바, 그 열전도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교반기(140)는, 탄화실(1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쓰레기의 교반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교반기(140)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교반 작동하는 교반기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먼저, 탄화실(120)의 중앙에서 길이방향으로 축설되게 구성되며, 일측은 탄화장치 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 및 모터(141)가 장착되는 교반축(142)이 구성되고, 그 교반축(142)의 둘레에는 교반을 위한 스크류(143)와 비교적 큰 덩어리를 걸러낼 수 있는 분리핀(144)이 구성된다.
즉, 교반기(140)는 탄화실(120) 내부에 투입된 쓰레기의 교반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른 탄화가 가능하게 하는 한편, 분리핀(144)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과정에서 헝겊이나 장갑 등 덩어리가 큰 것을 걸러 분리하게 된다.
상기 연소실(150)은, 탄화장치 본체(110)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탄화실(120)에 열기를 부여하게 구성된다.
이때, 연소실(150)은 상단이 상기 전열증진장치(130)의 저면에 연결되는 "U형" 형태로 구성되며, 후방에는 외부의 버너(도면중 미도시함)을 통해 화염의 분사가 가능하게 하는 화염 분사구(151) 및 하기하는 탄화가스 회수관(400)을 통해 회수되는 탄화가스를 유입키 위한 탄화가스 유입관(152)이 돌출되게 구성된다.
즉, 연소실(150)은 외부의 버너를 통해 화염을 공급받아 탄화실(120)에 부여하게 구성된다.
상기 가스분해하우징(160)은, 상기 연소실(150)의 내부에 형성되어 연소실(150)로 유입되는 화염을 유도 배출하게 구성된다.
이때, 가스분해하우징(160)은 관체 형태로 구성되며, 둘레에는 화염의 분산 배출이 가능하게 다수의 통공(161)이 타공 구성된다.
즉, 가스분해하우징(160)은, 상기 연소실(150)의 내부로 공급되는 화염을 전달받아 그 둘레에 형성된 통공(161)을 통해 연소실 내부로 고르게 분한시키게 되며, 이렇게 분산된 열기는 전열증진장치(130)로 고르게 부여하게 된다.
상기 2차 연소관(170)은, 상기 가스분해하우징(160)의 선단에 연장 형성되게 구성된 것으로, 내부가 중공된 관체 형태로 구성된다.
즉, 2차 연소관(170)은 가스분해하우징(160)과 연장되게 구성되어 탄화가스 유입관(152)을 통해 유입된 불완전 탄화가스가 가스분해하우징(16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연소가 되고, 이후 연속하여 통과하는 과정에서 연소시키게 되는 등 잔여 탄화가스의 완전 연소가 가능하게 한다.
상기 연통(180)은, 상기 2차 연소관(170)과 연장되는 한편, 탄화장치 본체(110)의 상부로 인출되게 구성된다.
즉, 연통(180)은, 상기 2차 연소관(170)을 통과하하면서 완전 연소된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탄화가스 수집관(200)은, 관체 형태로 구성되며, 그 일단이 상기 탄화실(120)의 탄화가스 배출구(122)에 플랜지 연결되어 탄화가스 배출구(122)를 통해 배출되는 탄화가스를 하기하는 탄화가스 수집부(310)로 배출하게 구성된다.
상기 탄화환원수 추출부(300)는, 탄화가스 수집관(200)을 통해 배출되는 탄화가스를 수집하며, 그 수집된 탄화가스를 응축시켜 탄화환원수를 추출하게 구성된다.
이때, 탄화환원수 추출부(300)는 도 4를 참조하여 탄화가스 수집부(310)와, 열교환부(320)와, 탄화환원수 수집부(330)로 구성된다.
먼저, 탄화가스 수집부(310)는, 탄화환원수 추출부(3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가 중공된 통체 형태로 구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탄화가스 수집관(200)의 타단이 플랜지 연결되는 탄화가스 공급관(311)이 구성된다.
또한, 탄화가스 수집부(310)에는 송풍기(312)가 더 포함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송풍기(312)는 하기하는 탄화가스 응축관(322)으로 탄화가스의 유도 공급이 가능하게 하방 송풍력을 가지게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탄화가스 수집부(310)는 탄화가스 수집관(200)을 통해 상기 탄화실(120)에서 발생되는 탄화가스를 공급받아 수집하게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부(320)는, 상기 탄화가스 수집부(31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탄화가스 수집부(310)로부터 탄화가스를 공급받으며, 그 공급받은 탄화가스를 열교환을 통해 응축시켜 탄화환원수를 추출하게 된다.
이때, 열교환부(320)는 먼저, 열교환기 본체(321)가 구성된 것으로, 열교환기 본체(321)는 상단 및 하단이 막힌 수직 길이를 이루는 통체 형태로 구성되며, 그 상단이 상기 탄화가스 수집부(310)의 하부에 플랜지 결합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열교환부(320)에는 탄화가스 응축관(322)이 구성된 것으로, 탄화가스 응축관(322)은 양단이 관통된 관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어 열교환기 본체(321) 내부에 수용되게 구성되며, 수용시 그 상단이 열교환기 본체(321) 상단을 관통 및 탄화가스 수집부(310)와 연통되게 구성되고, 하단이 하기하는 탄화환원수 수집부(330)와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때, 탄화가스 응축관(322)은 열교환기 본체(321)에 구성함에 있어 그 수량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열교환기 본체(321)의 크기 등 장치의 구성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화가스 응축관(322)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다양한 관체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먼저 도 4의 도시와 같이 직선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탄화가스 응축관(322)은 도 5의 도시와 같이 나선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나선관의 구조는 탄화가스가 탄화가스 응축관을 통과하는 시간을 연장시켜 응축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그리고, 열교환부(320)에는 물 순환수단(323)이 구성된 것으로, 물 순환수단(323)은 열교환기 본체(321)의 내부로 물을 공급 및 탄화가스 응축관(322)에 접하게 하여 그 탄화가스 응축관(322)을 통과하는 탄화가스의 응축이 가능하게 한다.
이때, 물 순환수단(323)은 먼저, 열교환기 본체(321)의 외측에 형성되어 물의 충전 및 저장이 가능한 물탱크(323a)가 구성된다.
또한, 물탱크(323a)에는 펌프 작동에 의해 물탱크(323a)의 물을 배출하는 물 공급관(323b)이 구성된 것으로, 물 공급관(323b)은 열교환기 본체(321)의 상부로 연결되어 열교환기 본체(321) 내부로 물을 공급하게 구성된다.
또한, 물탱크(323a)에는 펌프 작동에 의해 열교환기 본체(321) 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물 회수관(323c)이 구성된 것으로, 물 회수관(323c)은 열교환기 본체(321) 하부에 연결되어 열교환기 본체(321) 내부의 물을 배출 및 물탱크(323a)로 회수하게 구성된다.
즉, 물 순환수단(323)은 탄화가스의 응축에 필요한 물을 열교환기 본체(321) 내부로 공급하게 되는 것으로, 이렇게 공급된 물은 탄화가스 응축관(322)에 접하여 그 탄화가스 응축관(322)을 통과하는 탄화가스를 응축하게 되며, 이러한 응축 과정에서 탄화환원수가 생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 물 순환수단(323)을 구성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열교환기 본체(321) 내부에는 물의 분사가 가능하게 하는 물 분사구(325)가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물 분사구(325)는 열교환기 본체(321) 내부에 구성된 것으로, 탄화가스 응축관(322)을 감싸도록 평면상 원형링 형태를 이루며, 상단과 하단이 막힌 이중관 형태를 이루어 내부에 중공된 물 순환공간(326)이 구성되며, 상부에 물 공급관(323b)이 연결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물 분사구(325)에는 탄화가스 응축관(322)과 대응되는 내주면에 다수의 물 분사공(327)(327')이 타공 형성된다.
즉, 물 분사구(325)는 물 공급관(323b)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내부의 물 순환공간(326)에 수용 가능하게 되며, 이렇게 수용된 물은 물 분사공(327)(327')을 통해 탄화가스 응축관(322)의 둘레에 고르게 분사되게 구성된다.
상기 탄화환원수 수집부(330)는, 열교환부(320)의 하부에 형성되어 탄화가스 응축관(322)에서 생성된 탄화환원수의 수직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탄화환원수 수집부(330)는 상부 및 하부가 막혀 내부가 중공된 통체 형태로 구성되며, 그 상단이 열교환기 본체(321)의 하단에 플랜지 결합되고, 상기 탄화가스 응축관(322)의 하단이 관통 내입되게 구성된다.
또한, 탄화환원수 수집부(330)에는 일측에 하기하는 탄화가스 회수관(400)의 타단이 플랜지 연결되는 탄화가스 배출관(331)이 구성된다.
또한, 탄화환원수 수집부(330)에는 그 하단에 수집된 탄화환원수의 배출이 가능하게 하는 드레인밸브(332)가 구성된다.
즉, 탄화환원수 수집부(330)는, 탄화가스가 탄화가스 응축관(32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응축되어 생성되는 탄화환원수가 낙하되어 수집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탄화가스 회수관(400)은, 탄화가스가 탄화가스 응축관(322)을 통과하여 응축하는 과정에서 잔류하는 탄화가스를 다시 회수하여 완전연소하게 구성된 것으로, 관체 형태로 구성되며 그 일단이 상기 탄화장치(100)의 탄화가스 유입관(152)에 플랜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탄화환원수 수집부(330)의 탄화가스 배출관(331)에 플랜지 연결되게 구성된다.
즉, 탄화가스 회수관(400)은 탄화환원수 추출부(300)를 통과하여 잔류하는 탄화가스를 다시 탄화장치(100)로 공급하여 완전 연소될 수 있게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 방법의 간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도 7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 방법은, 교반공정(S100)과, 쓰레기 투입공정(S200)과, 쓰레기 탄화공정(S300)과, 탄화환원수 추출공정(S400)과, 연소가스 배출공정(S500)과, 탄화물 배출공정(S600)을 수행하여 된다.
먼저, 탄화환원수란, 각종의 식물체를 진공조건에서 저온으로 탄화시킬 때, 식물체에 내재된 성분이 포함된 가스가 발생하게 되고, 이를 냉각시켜 얻어낸 액체 생성물을 말한다.
즉, 이러한 환원수는 작물의 수호가 후 잔사, 저품질의 열매, 주변의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산야초, 약초류, 해조류, 나무잎, 가지 등의 유기물을 저열탄화기로 진공 상태에서 500~850℃의 열을 간접 가열하면 연소가 아닌 탄화 과정을 거치면서 재료 속에 함유된 성분이 수분의 기화 과정을 거쳐, 열교환을 통해 액화 되어 수액이 추출되는 것으로, 수액 속에는 여러 가지의 유기산과 미량원소 등 재료식물의 성분과 성질이 함께 압축된다.
이에, 본 발명은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1)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탄화환원수를 추출하게 된다.
이를 위해 먼저, 교반공정(S100)은,
도 8을 참조하여 쓰레기를 탄화시킴에 앞서 먼저 교반기(140)를 작동시킴으로 탄화실(120) 내부에 교반력을 부여하게 되는 것으로, 하기하는 쓰레기가 투입되는 과정에서 뭉침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모터(141)의 구동에 의해 교반축(142)을 회전시킴으로 가능하게 된다.
이후, 쓰레기 투입공정(S200)은,
도 3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교반이 이루어지는 탄화실(120) 내부로 쓰레기를 투입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투입되는 쓰레기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탄화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나 생활 쓰레기, 산업 쓰레기 등 다양한 쓰레기의 적용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때, 그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해서는 투입구(121)를 개폐하는 압력조절 덮개(500)를 개방하게 되는 것으로, 먼저 압력조절 덮개(500)의 개폐 실린더(540)를 작동하되 실린더로드(541)를 인입시키게 되면 상부 마감부(550) 및 하부 마감부(560)가 투입구(121)로부터 상부로 이탈 분리되게 된다.
이에, 회동바(520)를 지지축(510)을 축으로 하여 일측으로 회동시키면 되는 것으로, 회동바(520)의 걸림돌부(521)가 고정대(530)의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그 상,하부 마감부(550)(560)가 투입구(121)의 상부로부터 분리되며, 이에 투입구(121) 상부가 개방되며, 쓰레기의 투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쓰레기가 투입된 상태에서 다시 투입구(121)를 마감하되, 이때에는 개방과 역순으로 회동바(520)를 회전 복귀 및 상,하부 마감부(550)(560)가 투입구(121)의 상부에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개폐 실린더(540)의 실린더로드(541)를 하방 인출시키면 되는 것으로, 이에 하부 마감부(560)는 투입구(121)의 내부로 진입 밀폐하게 되고, 상부 마감부(550)는 투입구(121)의 상단을 덮어 밀폐 마감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쓰레기를 투입하게 되면 탄화실(120) 내부에는 교반기(140)를 통한 교반 작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인바 투입된 쓰레기는 자연스럽게 교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쓰레기 탄화공정(S300)은,
도 8을 참조하여 탄화실(120)에 수용된 쓰레기를 탄화시키되, 먼저 버너(도면중 미도시함)을 이용하여 화염 분사구(151)를 통해 연소실(150) 내부로 화염을 부여하게 된다.
이에, 분사된 화염은 그 연소실(150)에 형성된 가스분해하우징(160)으로 유입 및 통공(161)을 통해 고르게 분사 배출되게 되게 되는 것으로, 분사된 화염을 통해 탄화실(120)을 500~850℃의 온도로 가열하게 된다.
이때, 탄화실(120)의 하부로 전해지는 열기는 탄화실(120)을 감싸는 전열증진장치(130)로 전달되게 되는 것이며, 이에 그 전열증진장치(130)에서는 열기를 흡수 및 분포시켜 탄화실(120) 둘레에 빠르고 고르게 전달하여 쓰레기의 탄화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쓰레기를 탄화시키게 되면 건조과정에서 수증기가 발생하고 타화과정에서 탄화가스(건류가스)가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 이렇게 발생된 수증기 및 탄화가스는 탄화가스 배출구(122) 및 탄화가스 수집관(200)을 통해 탄화환원수 추출부(300)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탄화환원수 추출공정(S400)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쓰레기가 탄화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증기 및 탄화가스를 이용하여 탄화환원수의 추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먼저 탄화가스 수집관(200)을 통해 배출되는 수증기 및 탄화가스는 탄화가스 수집부(310)로 수집되게 된다.
이후, 수집된 수증기 및 탄화가스는 송풍기(312)의 작동을 통해 열교환부(320)의 탄화가스 응축관(322)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물 순환수단(323)에서는 물 공급관(323b)을 통해 물탱크(323a)의 물을 열교환기 본체(321) 내부로 분사 및 탄화가스 응축관(322)의 외부에 접촉되는 것인바, 이때 탄화가스 응축관(322)의 수증기 및 탄화가스는 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해 응축되게 되며, 이러한 응축 과정에서 탄화가스 응축관(322)의 내주면에 탄화환원수가 추출되게 된다.
이후, 그 추출된 탄화가스 응축관(322) 내주면의 탄화환원수는 자유 낙하되어 탄화환원수 수집부(330)에 수집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응축을 위해 공급되는 물은 열교환기 본체(321)의 하부로 연결되는 물 회수관(323c)을 통해 다시 물탱크(323a)로 회수 순환되게 된다.
즉, 탄화실(120)로부터 배출되는 수증기 및 탄화가스는 탄화환원수 추출부(3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응축되어 탄화환원수를 추출할 수 있게 되며, 이렇게 추출되어 탄화환원수 수집부(330)에 수집된 탄화환원수는 드레인밸브(332)를 통해 배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수증기 및 탄화가스가 통과 및 응축되는 탄화가스 응축관(322)을 구성함에 있어, 도 5를 참조하여 나선관 형태로 구성하게 되면, 그 수증기 및 탄화가스가 나선형 탄화가스 응축관에 오랜시간 잔류할 수 있게 되는 것인바, 그 응축력의 증대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도 6을 참조하여 열교환기 본체(321) 내부에 물 분사구(325)를 더 형성하게 되면 그 물 분사구(325)의 물 분사공(327)(327')을 통해 물의 고른 분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공급되는 물이 탄화가스 응축관(322)에 고르게 접촉 가능하게 된다.
이후, 잔류가스 배출공정(S500)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탄화가스 응축관(322)을 통과하는 수증기 및 탄화가스는 그 응축되는 과정에서 탄화가스가 잔류하게 되는 것인데, 이때 그 잔류된 탄화가스를 완전 연소시키게 된다.
즉, 탄화가스 응축관(322)을 통과한 잔류 탄화가스는 탄화가스 수집부(310)의 탄화가스 배출관(331) 및 탄화가스 회수관(400)을 통해 배출되게 되는 것으로, 이렇게 배출된 탄화가스는 다시 탄화가스 유입관(152)을 통해 연소실(150)로 유입되게 된다.
이에, 유입된 탄화가스는 가스분해하우징(160)을 통해 분해되면서 연소되며, 연속하여 2차 연소실(15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완전 연소되게 되며, 그 완전 연소된 연소가스는 연통(18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응축후 잔류하는 탄화가스를 한번 더 연소시켜 완전 연소 상태의 가스를 배출하게 되는 것인바, 탄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분, 다이옥신 등 유해성분이 완전한 제거 및 악취가 제거된 상태의 유해 성분이 전혀 없는 연소가스만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후, 탄화물 배출공정(S600)은,
도 8을 참조하여 탄화과정에서 쓰레기가 완전히 탄화되게 되면 연소실의 작동을 중지 및 자연 냉각을 통해 탄화실(120)을 냉각시키게 되며, 그 탄화실(120)이 냉각되게 되면 탄화실(120)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덮개(124)를 개방 및 배출구(123)를 통해 탄화물을 배출하면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 방법을 통해 쓰레기의 안전한 처리 및 그 처리 과정에서 자칫 소멸될 수 있는 수증기 및 탄화가스를 이용하여 탄화환원수를 추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인바, 쓰레기의 효율적인 처리와 추출된 탄화환원수의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100 : 탄화장치 110 : 탄화장치 본체
120 : 탄화실 121 : 투입구
122 : 탄화가스 배출구 123 : 배출구
124 : 배출덮개 130 : 전열증진장치
140 : 교반기 141 : 모터
142 : 교반축 143 : 스크류
144 : 분리핀 150 : 연소실
151 : 화염 분사구 152 : 탄화가스 유입관
160 : 가스분해하우징 161 : 통공
170 : 2차 연소관 180 : 연통
200 : 탄화가스 수집관
300 : 탄화환원수 추출부 310 : 탄화가스 수집부
311 : 탄화가스 공급관 312 : 송풍기
320 : 열교환부 321 : 열교환기 본체
322 : 탄화가스 응축관 323 : 물 순환수단
323a : 물탱크 323b : 물 공급관
323c : 물 회수관 330 : 탄화환원수 수집부
331 : 탄화가스 배출관 332 : 드레인밸브
325 : 물 분사구 326 : 물 순환공간
326,326' : 물 분사공
400 : 탄화가스 회수관
500 : 압력조절 덮개 510 : 지지축
520 : 회동바 521 : 걸림돌부
530 : 고정대 531 : 걸림홈
540 : 개폐 실린더 541 : 실린더로드
542 : 실리더 지지대 543 : 상부 가압부재
550 : 상부 마감부 551 : 상부덮개
555 : 상부 단열부재 556 : 상부 압축실
557 : 상부 압축스프링 560 : 하부 마감부
561 : 하부 단열부재 562 : 하부 압축실
563 : 하부 압축스프링 564 : 하부 가압부재
565 : 하부덮개
S100 : 교반공정 S200 : 쓰레기 투입공정
S300 : 쓰레기 탄화공정 S400 : 탄화환원수 추출공정
S500 : 연소가스 배출공정 S600 : 탄화물 배출공정

Claims (6)

  1. 쓰레기가 투입되며, 그 투입된 쓰레기를 열기를 이용하여 탄화시키는 탄화장치(100);
    쓰레기가 탄화시 발생되는 탄화가스를 배출하는 탄화가스 수집관(200);
    탄화가스 수집관(200)을 통해 배출되는 탄화가스를 수집하며, 그 수집된 탄화가스를 응축시켜 탄화환원수를 추출하는 탄화환원수 추출부(300); 및
    응축 후, 잔류하는 탄화가스를 다시 탄화장치(100)로 회수하는 탄화가스 회수관(400);
    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탄화장치(100)는,
    탄화장치 본체(110);
    탄화장치 본체(110) 내부에 형성되며, 상부에 형성되어 압력조절 덮개(500)로 개폐 가능하며 쓰레기의 투입이 가능한 투입구(121)와, 상부에 형성되어 쓰레기를 탄화시 발생되는 탄화가스를 배출하는 탄화가스 수집관(200)의 일단이 연결되는 탄화가스 배출구(122)와, 일측에 형성되어 배출덮개(124)로 개폐되는 배출구(123)가 형성되어 쓰레기를 탄화시키는 탄화실(120);
    탄화실(120)의 둘레에 형성되어 탄화실(120)에 전해지는 열기를 증진시키는 전열증진장치(130);
    탄화실(120) 내부에 형성되어 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기(140);
    탄화실(120)의 하부에 형성되어 화염이 가해져 탄화실(120)에 열기를 부여하게 구성되며, 화염이 부여되는 화염 분사구(151)와, 탄화가스 회수관(400)의 일단이 연결되는 탄화가스 유입관(152)을 갖는 연소실(150);
    연소실(150)의 내부에 설치되며 둘레에 통공(161)이 타공된 가스분해하우징(160);
    가스분해하우징(160)의 후단에 연결되는 2차 연소관(170);
    2차 연소관(170)의 후단에 연결 및 탄화장치 본체(110) 상부 외측으로 인출되는 연통(180)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에 있어서,
    압력조절 덮개(500)는,
    투입구(121)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입설되는 지지축(510);
    지지축(510)의 상부에 축설되어 지지축(510)을 축으로 하여 좌,우 회동 작동하며, 단부는 하방으로 절곡 하단에는 걸림돌부(521)가 돌출 형성된 회동바(520);
    투입구(121)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부에는 회동바(520)의 걸림돌부(521)가 삽탈되는 걸림홈(531)이 형성된 고정대(530);
    회동바(52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는 실린더 지지대(545)에 고정되며, 실린더로드(541)가 회동바(520)의 하방으로 출몰 작동하고, 실린더로드(541)의 하단에는 상부 가압부재(543) 형성된 개폐 실린더(540);
    투입구(121)의 상부를 덮어 마감하는 상부덮개(551)와, 상부덮개(551)의 상부로 돌출되며 상부 중앙에는 상부 압축스프링(557)이 내입되는 상부 압축실(556)이 형성되고 상부 압축실(556)에는 상부 가압부재(543)가 내입 및 상부가 걸림되며 상부 압축스프링(557)이 탄설되는 상부 단열부재(555)로 된 상부 마감부(550); 및
    상부덮개(551)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투입구(121)에 삽탈되며 중앙에는 하부 압축스프링(563)이 내입되는 하부 압축실(562)이 형성되고 하부 압축실(562)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하부 가압부재(564)가 하부 압축스프링(563) 탄설 및 걸림 형성된 하부 단열부재(561)와, 하부 가압부재(564)의 하단에 형성되어 투입구(121)에 삽탈되는 하부덮개(565)로 된 하부 마감부(56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탄화환원수 추출부(300)는,
    탄화가스 수집관(200)의 타단이 연결되는 탄화가스 공급관(311)이 형성되고, 송풍력을 가지는 송풍기(312)를 갖는 탄화가스 수집부(310);
    탄화가스 수집부(31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탄화가스와의 열교환을 통해 응축시켜 탄화환원수를 얻는 열교환부(320); 및
    열교환부(32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열교환부(320)에서 생성된 탄화환원수를 수집하며, 탄화가스 회수관(400)의 타단과 연결되는 탄화가스 배출관(331)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드레인밸브(332)를 갖는 탄화환원수 수집부(33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열교환부(320)는,
    상단이 탄화가스 수집부(310)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단이 탄화환원수 수집부(330)에 연결되며, 상단과 하단이 막힌 내부 중공형 열교환기 본체(321);
    열교환기 본체(321) 내부에 수용되며, 상단이 열교환기 본체(321)를 관통하여 탄화가스 수집부(310)와 연통되고, 하단이 열교환기 본체(321)를 관통하여 탄화환원수 수집부(330)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화가스 응축관(322); 및
    열교환기 본체(321)의 외측에 형성되며, 물이 충전되는 물탱크(323a)와, 열교환기 본체(321)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펌프 작동형 물 공급관(323b)과, 열교환기 본체(321) 내부의 물을 다시 물탱크(323a)로 회수하는 펌프 작동형 물 회수관(323c)으로 구성되어 열교환기 본체(321) 내부로 탄화가스 응축에 필요한 물을 공급 순환시키는 물 순환수단(323);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탄화가스 응축관(322)은,
    직선관 또는 나선관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물 순환수단(323)에는,
    물 분사구(32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물 분사구(325)는,
    열교환기 본체(321) 내부에서 탄화가스 응축관(322)을 감싸며 내부에는 물 공급관(323b)과 연결되는 중공형 물 순환공간(326)이 형성된 이중관 형태로 구성하되,
    탄화가스 응축관(322)과 대응되는 내주면에는 다수의 물 분사공(327)(327')이 타공 형성되어 물의 분사 배출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
  6. 삭제
KR1020170128533A 2017-10-03 2017-10-03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 KR101892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533A KR101892242B1 (ko) 2017-10-03 2017-10-03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533A KR101892242B1 (ko) 2017-10-03 2017-10-03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2242B1 true KR101892242B1 (ko) 2018-08-27

Family

ID=63454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8533A KR101892242B1 (ko) 2017-10-03 2017-10-03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24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658A (ko) * 2020-06-18 2021-12-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연소 가스 및 타르 저감장치
CN114405431A (zh) * 2022-01-22 2022-04-29 陈健 一种多联化学合成反应器
CN114949918A (zh) * 2022-06-20 2022-08-30 江西润井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香精提炼的萃取设备
CN116576701A (zh) * 2023-07-14 2023-08-11 德阳劲达节能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高温废水的余热回收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718A (ko) * 2003-02-18 2004-08-26 김추년 생활폐기물용 열분해 탄화장치
KR101054608B1 (ko) 2011-02-15 2011-08-22 주식회사 에코퍼스트 쓰레기 탄화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718A (ko) * 2003-02-18 2004-08-26 김추년 생활폐기물용 열분해 탄화장치
KR101054608B1 (ko) 2011-02-15 2011-08-22 주식회사 에코퍼스트 쓰레기 탄화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658A (ko) * 2020-06-18 2021-12-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연소 가스 및 타르 저감장치
KR102456002B1 (ko) * 2020-06-18 2022-10-19 대한민국 연소 가스 및 타르 저감장치
CN114405431A (zh) * 2022-01-22 2022-04-29 陈健 一种多联化学合成反应器
CN114405431B (zh) * 2022-01-22 2024-04-09 山西同杰化学试剂有限公司 一种多联化学合成反应器
CN114949918A (zh) * 2022-06-20 2022-08-30 江西润井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香精提炼的萃取设备
CN114949918B (zh) * 2022-06-20 2023-09-01 江西润井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香精提炼的萃取设备
CN116576701A (zh) * 2023-07-14 2023-08-11 德阳劲达节能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高温废水的余热回收装置
CN116576701B (zh) * 2023-07-14 2023-09-22 德阳劲达节能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高温废水的余热回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242B1 (ko) 저온 열분해 탄화장치를 이용한 탄화환원수 추출장치
RU239254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работки бытовых и промышленных органических отходов
US20100160709A1 (en) Process and appratus for waste treatment
KR100628890B1 (ko) 폐타이어의 재활용 시스템
KR100948784B1 (ko) 슬러지 건조와 탄화장치
CN1863606B (zh) 在球式炉中的有机废料的热解
CN110451753A (zh) 一种危险固废油泥的处理方法
DK2507346T3 (en) DEVICE AND PROCEDURE FOR THERMOCHEMICAL HARMONIZATION AND GASATION OF MOISTURIZED BIOMASS
CN113175675B (zh) 一种有机废物综合处理生产线及方法
WO2019050431A1 (ru) Способ пиролизной утилизации твердых углеродсодержащих отходов и мусороперерабатывающий комплекс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09974570U (zh) 含油污泥热解处理装置
CN112856432A (zh) 一种涡流自热式低温二噁英解毒装置及解毒系统
KR200284019Y1 (ko) 쓰레기소각로에 연계된 폐기물 건조설비와 폐플라스틱의유화설비
JPH11223476A (ja) 有機物の炭化処理方法及び装置
KR102261308B1 (ko) 음식물쓰레기 감량처리 및 바이오오일 추출장치
EP1946829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waste treatment
CN109777454A (zh) 一种污泥热解制油及其与煤粉掺烧联合处理装置及工艺
CN107513392A (zh) 一种处理生活垃圾和污水污泥的系统和方法
KR102307107B1 (ko) 축산 분뇨 건조 가공 장치
CN215404018U (zh) 一种有机废物综合处理、回收、再利用生产线
RU2245247C2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резиновых отходов
WO2016036278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нефтяных отходов
KR19990072140A (ko) 열분해에의한고체폐기물처리방법및설비
CN110546240A (zh) 用于处理煤和生活垃圾的装置
JP7352993B2 (ja) 廃樹脂熱分解油プラント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