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146B1 - 증기세척시 타깃 플레이트를 보호하는 온라인 타깃 장치 - Google Patents

증기세척시 타깃 플레이트를 보호하는 온라인 타깃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146B1
KR101892146B1 KR1020180037048A KR20180037048A KR101892146B1 KR 101892146 B1 KR101892146 B1 KR 101892146B1 KR 1020180037048 A KR1020180037048 A KR 1020180037048A KR 20180037048 A KR20180037048 A KR 20180037048A KR 101892146 B1 KR101892146 B1 KR 101892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pipe
target
cage
targe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제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제이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제이케이
Priority to KR1020180037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8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 F22B37/52Washing-out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2Applications,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alarm or automatic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세척시 타깃 플레이트를 보호하는 온라인 타깃 장치에 관한 것으로, 증기의 대기배출을 위해 보일러배관에 바이패스되어 설치되며, 제1플랜지를 구성한 증기가배관; 내부의 중공과 연통되는 채집홀을 형성하여 증기가배관에 삽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구성되어 제1플랜지에 결합되는 제2플렌지로 구성된 케이지; 상기 케이지의 상측에 위치되어 케이지의 상측으로 유출되는 증기의 압력을 감압하는 글랜드부시; 상기 케이지와 글랜드부시 사이에 결합되어 내부의 통로를 개폐하는 게이트밸브; 개구홀을 일측에 형성하여 글랜드부시의 상부에 결합설치되는 중공형상의 파이프; 승강로드를 구성하여 상기 파이프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승강실린더; 상기 승강실린더의 승강로드에 고정결합되어 승강작동하며, 케이지의 채집홀에 대응되는 안착부를 형성하는 타깃바; 상기 타깃바의 안착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승강실린더에 의한 승강로드의 승강작동에 따라 케이지의 채집홀 또는 파이프의 개구홀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타깃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증기세척시 타깃 플레이트를 보호하는 온라인 타깃 장치{An online target device that protects the target plate during steam cleaning}
본 발명은 증기세척시 타깃 플레이트를 보호하는 온라인 타깃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일러운전 중에도 타깃플레이트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연료비의 절감과 더불어 증기세척에 따른 보일러배관의 세척상태 판정을 손쉽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지의 설치를 통해 타깃플레이트가 설치된 타깃바를 안전하게 지지함으로써 고온, 고압의 증기에 의한 타깃플레이트의 손상을 막아 상기 타깃플레이트의 표면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유출되는 증기의 압력 감소와 더불어 안정적인 대기 배출을 통해 승강실린더에 변형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증기세척시 타깃 플레이트를 보호하는 온라인 타깃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력발전소에서 발전기를 신규로 설치하는 경우 보일러의 배관 내에 용접 잔류물 등과 같은 이물질이 남아 있을 수 있고, 이러한 이물질이 배관 내에 남아 있는 상태에서 발전을 위한 운전을 수행하게 되면 발전소 보일러에서 생성된 증기는 고온고압의 상태이므로 배관내의 용접 잔류물에 의해 터빈 블레이드를 손상시키거나 발전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화력발전소에 신규 발전기를 설치하면 보일러 증기세척(Steam Blowing)을 수행한다.
또한, 건설 공정중 제작이나, 운반, 보관 및 설치 중에 관 내부에 잔류한 용접 슬래그와 산화물, 이물질, 불순물 등을 제거하여 잔류 불순물에 의한 터빈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증기세척을 시행하고 있으며, 그 대상범위는 보일러 압력부인 과열기, 재열기 튜브 및 배관, 터빈설비의 주증기관, 저온 및 고온 재열기관, 고압 및 저압 바이패스관. 증기구동용 급수펌프 증기배관 및 터빈축 밀봉증기 배관 등이다.
그리고 증기세척은 간헐식과 연속식 두가지 방식으로 구성되어 발전소별로 적절한 방식을 선택하고 있는데, 증기세척 완료 판정유무를 Check하기 위하여 대기로 증기를 배출하기 전 가배관에 Target Plate Device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통상적인 타깃플레이트(target plate)는 고정식으로 가배관에 1개를 설치하여 Steam Blowing을 1회 시행시 마다 보일러를 소화한 후 Target Plate을 취외하여 Target Plate 표면상태를 점검 하고 있거나, 또는 90° Turning Type의 타깃플레이트를 가배관에 일렬로 여러곳에 설치하여 증기세척시 다 보일러를 소화한 후 Target Plate 표면상태를 점검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KR 제10-1635916호 (2016.06.28.) B1 "화력발전소의 보일러 연속증기세척방법" -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간헐식 증기세척을 시행할 경우는, 증기세척을 1회 시행시 마다 보일러를 소화하여 인력으로 타킷플레이트를 취외 및 조립을 시행해야 하기 때문에, 취외와 조립에 따른 장시간 소요로 인해 증기세척 시간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고온/고압의 개소로 인해 타깃플레이트의 취외 및 조립시 작업자의 안전위험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연속식 증기세척을 시행할 경우는, 보일러를 완전히 정지 후 Target Plate를 취외, 조립을 함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위험 요소는 없으나, 보일러의 정지 및 재가동으로 인한 비용적인 손실이 막대하였을 뿐만 아니라, 타깃플레이트가 고온, 고압의 증기에 장시간 노출되어 손상 및 유실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고, 장시간 보일러 정지로 인한 증기세척 횟수가 줄어들어 타깃플레이트의 판정 횟수가 감소되었으며, 이로 인해 정확한 증기세척 완료시점 판단에 곤란함을 겪게 되는 문제가 있음과 더불어, 증기세척 소요시간이 증대되는 원인이 되었다.
더불어 증기세척은 통상적으로 5시간 정도의 긴 시간동안 이루어지기 때문에 타깃플레이트가 고온, 고압증기에 손상 또는 유실이 발생하게 되어 타깃플레이트의 표면상태 확인이 불가해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는 증기세척 기간이 증대되는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증기세척시 보일러를 정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타깃플레이트가 장착된 타깃바를 승강실린더의 승강구동을 통하여 증기가배관 내, 외부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게이트밸브의 폐쇄 조절을 통해 증기가 승강실린더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한 상태로 파이프의 개구홀을 이용하여 타깃플레이트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깃플레이트에 묻은 이물질의 입자를 손쉽고 안전하고 확인하여 판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연료비의 절감과 더불어, 증기세척에 따른 보일러배관의 세척상태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는 증기세척시 타깃플레이트를 보호하는 온라인 타깃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일러배관의 증기세척 중 타깃플레이트의 간단한 교체를 통해 타깃플레이트를 이용한 보일러배관의 세척상태를 실시간으로 판정하여 증기세척 완료시점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미트스위치가 부착된 승강실린더의 구동을 통하여 타깃바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증기세척 중 타깃플레이트의 검사 및 판정을 실시간으로 원하는 만큼 이루어 증기세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증기세척시 타깃 플레이트를 보호하는 온라인 타깃 장치를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증기가배관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지를 통해 타깃플레이트가 설치된 타깃바를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타깃플레이트의 실시간 검사 및 판정을 통해 상기 타깃플레이트가 고온, 고안의 증기에 장시간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타깃플레이트의 손상 및 유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타깃플레이트의 표면상태 확인이 용이해져 세척상태의 판정을 보다 정확히 할 수 있는 증기세척시 타깃 플레이트를 보호하는 온라인 타깃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글랜드부시의 내부에 형성된 단차를 통해 유출되는 증기의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배출밸브를 구성하여 상기 글램드부시 중간에 설치되는 유출증기배출관을 통하여 압력이 감소된 증기의 일부를 대기로 안정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강실린더에 변형이 생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증기세척시 타깃 플레이트를 보호하는 온라인 타깃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증기의 대기배출을 위해 보일러배관에 바이패스되어 설치되며, 제1플랜지를 구성한 증기가배관; 내부의 중공과 연통되는 채집홀을 형성하여 증기가배관에 삽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구성되어 제1플랜지에 결합되는 제2플렌지로 구성된 케이지; 상기 케이지의 상측에 위치되어 케이지의 상측으로 유출되는 증기의 압력을 감압하는 글랜드부시; 상기 케이지와 글랜드부시 사이에 결합되어 내부의 통로를 개폐하는 게이트밸브; 개구홀을 일측에 형성하여 글랜드부시의 상부에 결합설치되는 중공형상의 파이프; 승강로드를 구성하여 상기 파이프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승강실린더; 상기 승강실린더의 승강로드에 고정결합되어 승강작동하며, 케이지의 채집홀에 대응되는 안착부를 형성하는 타깃바; 상기 타깃바의 안착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승강실린더에 의한 승강로드의 승강작동에 따라 케이지의 채집홀 또는 파이프의 개구홀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타깃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세척시 타깃 플레이트를 보호하는 온라인 타깃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증기세척시 보일러를 정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타깃플레이트가 장착된 타깃바를 승강실린더의 승강구동을 통하여 증기가배관 내, 외부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게이트밸브의 폐쇄 조절을 통해 증기가 승강실린더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한 상태로 파이프의 개구홀을 이용하여 타깃플레이트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타깃플레이트에 묻은 이물질의 입자를 손쉽고 안전하고 확인하여 판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연료비의 절감과 더불어, 증기세척에 따른 보일러배관의 세척상태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일러배관의 증기세척 중 타깃플레이트의 간단한 교체를 통해 타깃플레이트를 이용한 보일러배관의 세척상태를 실시간으로 판정하여 증기세척 완료시점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미트스위치가 부착된 승강실린더의 구동을 통하여 타깃바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동작시킬 수 있어 증기세척 중 타깃플레이트의 검사 및 판정을 실시간으로 원하는 만큼 이루어 증기세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증기가배관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지를 통해 타깃플레이트가 설치된 타깃바를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타깃플레이트의 실시간 검사 및 판정을 통해 상기 타깃플레이트가 고온, 고안의 증기에 장시간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타깃플레이트의 손상 및 유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타깃플레이트의 표면상태 확인이 용이해져 세척상태의 판정을 보다 정확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글랜드부시의 내부에 형성된 단차를 통해 유출되는 증기의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배출밸브를 구성하여 상기 글랜드부시 중간에 설치되는 유출증기배출관을 통하여 압력이 감소된 증기의 일부를 대기로 안정하게 배출할 수 있어 승강실린더에 변형이 생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증기세척시 타깃플레이트를 보호하는 온라인 타깃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증기세척시 타깃플레이트를 보호하는 온라인 타깃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tkelhe.
도 4는 본 발명의 승강실린더의 하강작동을 통해 타깃플레이트가 장착된 타깃바가 증기가배관 내부에 위치하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승강실린더의 상승이동을 통해 타깃바가 증기가배관 외부로 이동되고, 하우징의 개구홀을 통해 타깃플레이트가 타깃바에서 분리되는 상태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배관(1)의 증기세척시 타깃 플레이트를 보호하는 온라인 타깃 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증기의 대기배출을 위해 보일러배관(1)에 바이패스되어 설치되며, 제1플랜지(11)를 구성한 증기가배관(10); 내부의 중공(21)과 연통되는 채집홀(23)을 형성하여 증기가배관(10)에 삽입되는 하우징(25)과, 상기 하우징(25)의 상부에 구성되어 제1플랜지(11)에 결합되는 제2플렌지(27)로 구성된 케이지(20); 상기 케이지(20)의 상측에 위치되어 케이지(20)의 상측으로 유출되는 증기의 압력을 감압하는 글랜드부시(30); 상기 케이지(20)와 글랜드부시(30) 사이에 결합되어 내부의 통로를 개폐하는 게이트밸브(40); 개구홀(51)을 일측에 형성하여 글랜드부시(30)의 상부에 결합설치되는 중공형상의 파이프(50); 승강로드(61)를 구성하여 상기 파이프(5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승강실린더(60); 상기 승강실린더(60)의 승강로드(61)에 고정결합되어 승강작동하며, 케이지(20)의 채집홀(23)에 대응되는 안착부(71)를 형성하는 타깃바(70); 상기 타깃바(70)의 안착부(7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승강실린더(60)에 의한 승강로드(61)의 승강작동에 따라 케이지(20)의 채집홀(23) 또는 파이프(50)의 개구홀(51)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타깃플레이트(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증기가배관(10)과, 케이지(20)와, 글랜드부시(30)와, 게이트밸브(40)와, 파이프(50)와, 승강실린더(60)와, 타깃바(70)와, 타깃플레이트(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증기세척시 타깃 플레이트를 보호하는 온라인 타깃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 증기가배관(10)은 보일러배관(1)의 증기세척시 발생하는 증기를 대기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보일러배관(1)에 바이패스되어 설치되는 구성으로, 각각의 구성을 연결설치함과 동시에, 타깃플레이트(80)가 장착되는 타깃바(70)의 삽탈을 위한 제1플랜지(11)가 구성된다.
둘째, 케이지(20)는 타깃플레이트(80)가 장착되는 타깃바(70)의 안전한 보호를 위해 상기 증기가배관(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내부의 중공(21)과 연통되는 채집홀(23)을 형성하여 증기가배관(10)에 삽입되는 하우징(25)과, 상기 하우징(25)의 상부에 구성되어 공지된 통상의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제1플랜지(11)에 결합되는 제2플렌지(2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채집홀(23)은 증기가배관(10)을 통과하는 증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타깃플레이트(80)의 표면에 부딪치게 할 수 있도록 케이지(20)의 일측에 관통형성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증기가배관(10)을 통과하는 증기는 보일러배관(1)의 깨끗한 세척을 위하여 약 200m/s의 속도와, 약 400℃ 정도의 온도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증기가배관(10)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지(20)가 압력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증기가배관(10)에 설치되는 하우징의 파손방지를 위한 구성이 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상기 증기가배관(10)의 바닥에는 끼움홈(19)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케이지(20)에 구성된 하우징(25)의 하부에는 끼움홈(19)에 끼워지는 끼움돌기(29)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즉, 증기가배관(10)의 내부에 끼워지는 케이지(20)의 하부가 증기가배관(10)의 바닥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케이지(20)의 파손발생을 방지토록하는 것이다.
셋째, 글랜드부시(30)는 상기 케이지(20)의 상측에 위치되어 케이지(20)의 상측으로 유출되는 증기의 압력을 감압하는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 종래에 공지된 바와 같이 내부에 요홈이 복수 형성되는 단차(31)를 구성함으로써 유출되는 되는 증기의 압력을 떨어뜨리는 작용을 하며, 이는 유출되는 증기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증기세척시 유출되는 증기를 대기 중으로 안전하게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 추가로 구비됨으로써, 타깃바(70)의 승강작동을 이루는 승강실린더(60)에 변형이 생기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글랜드부시(30)의 내부에 링 형상의 홈(33)을 추가로 구성한 후, 상기 홈(33)에 연결되는 유출증기배출관(90)을 글랜드부시(30)의 외측에 설치하고, 상기 유출증기배출관(90)에는 증기의 배출을 조절하기 위한 통상의 배출밸브(91)를 구성시키는 것을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증기세척시 글랜드부시(30)로 유출되는 증기를 단차(31)를 통해 감압시킨 상태로 대기로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되므로, 승강실린더(60)로 증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승강실린더(60)의 승강로드(61)에 변형이 생기는 것이 방지되어 유지관리가 간편해지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넷째, 게이트밸브(40)는 상기 케이지(20)와 글랜드부시(30) 사이에 결합되어 내부의 통로를 개폐하는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 승강실린더(60)의 상승작동을 통한 타깃플레이트(80)의 검사 및 판정시 증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하며, 이는 종래에 공지된 통상의 손잡이(43)의 조작을 통해 내부의 통로 개폐를 이룰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밸브(40)의 결합 역시, 케이지(20) 및 글랜드부시(30)와 결합되는 통상의 플랜지를 상, 하부에 각각 구비하는 것을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파이프(50)는 승강실린더(60)의 지지 및 상기 승강실린더(60)의 작동공간 확보를 위해 설치되는 구성으로,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글랜드부시(30)의 상부에 플랜지 결합되어 설치되며, 타깃플레이트(80)의 용이한 결합과 분리 즉, 교체를 위한 개구홀(51)이 일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개구홀(51)의 상측으로는 승강실린더(60)의 승강로드(61)와 타깃바(7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홀(53)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섯째, 승강실린더(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타깃플레이트(80)가 장착되는 타깃바(70)의 승강작동을 이루기 위하여 파이프(5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구성으로, 공지된 핀(2)과 같은 결합수단을 통해 타깃바(70)의 상단과 결합되는 승강로드(61)를 구성한다.
일곱째, 타깃바(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핀과 같은 결합수단을 통해 승강실린더(60)의 승강로드(61)에 고정결합되어, 승강로드의 승강작동에 따라 연동되는 구성으로, 케이지(20)의 채집홀(23)에 대응되는 안착부(7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71)는 타깃플레이트(80)의 장착을 위한 구성으로, 상기 안착부(71)에는 타깃플레이트(8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73)이 복수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승강실린더(60)에 구성되어 승강작동하는 승강로드(61)의 승강범위를 제어하는 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수단은 상기 승강로드(61)의 하단 또는 타깃바(70)의 상단에 설치되는 통상의 리미트센서(63)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은 리미스센서(63)에 의하면, 승강실린더(60)의 승강구동을 통해 타깃바(70)의 삽탈을 자동으로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타깃바(70)의 상승이동시 게이트밸브(40)의 통로 폐쇄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어 작업자의 편리성이 높아지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여덟째, 타깃플레이트(80)는 상기 타깃바(70)의 안착부(7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 타깃바(70)의 결합홈(73)에 대응되는 관통홀(81)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승강실린더(60)에 의한 승강로드(61)의 승강작동에 따라 케이지(20)의 채집홀(23) 또는 파이프(50)의 개구홀(51)에 대응되게 위치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타깃플레이트(80)는 승강실린더(60)에 의한 하강작동시 케이지(20)에 의해 보호된 상태로 증기가배관(10)의 내부에 위치됨으로, 상기 케이지(20)의 채집홀(23)을 통해 녹이나 이물질 등을 채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승강실린더(60)에 의한 상승작동시에는 파이프(50)의 개구홀(51)을 통해 타깃플레이트(80)의 분리가 가능하여 검사 및 판정을 손쉽게 이룰 수 있고, 재검사가 필요할 경우에는 파이프(50)에 형성된 개구홀(51)을 통해 새로운 타깃플레이트(80)를 타깃바(70)의 안착부(71)에 볼트(B) 결합하는 것으로 용이한 교체가 가능하여 증기세척중 타깃플레이트(80)의 검사 및 판정을 실시간을 원하는 만큼 이룰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증기세척 완료시점을 정확히 판단하여 증기세척에 따른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지(20)의 하우징(25)을 증기가배관(10)의 내부에 삽입하여 상기 케이지(20)의 하부에 구성된 끼움돌기(29)가 케이지(20)의 하부에 구성된 끼움홈(19)(23)에 끼워지게 한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제1, 2플랜지(11, 274)를 결합하는 것으로, 케이지(20)의 견고한 설치를 이룬 다음, 게이트밸브(40)와 글랜드부시(30)를 순차적으로 체결한다.
그 후에는, 파이프(50)의 중공에 타깃바(70)를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파이프(50)에 형성된 체결홀(53)을 이용하여 승강실린더(60)의 승강로드(61)와 타깃바(70)를 핀(62) 결합하여 체결하고, 상기 파이프(50)와 승강실린더(60)를 순차적으로 체결하여 고정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50)에 형성된 개구홀(51)을 이용하여 타깃플레이트(80)를 타깃바(70)의 안착부(71)에 볼트(B)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사용준비를 완료하며, 이하에서는 증기세척 중 본 발명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보일러배관(1)의 증기세척 중 세척상태를 확인하고자 할 때에는, 게이트밸브(40)의 손잡이(43)를 이용하여 폐쇄되어 있던 내부의 통로를 개방시킨 다음, 제어부(미도시)의 조작을 통해 승강실린더(60)를 하강구동시켜 승강로드(61)와 상기 승강로드(61)에 결합되어 있는 타깃바(70)를 하강작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타깃바(70)는 증기가배관(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작동이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타깃바(70)의 하강작동은 상기 승강로드(61) 또는 타깃바(70)에 설치된 리미트센서(63)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타깃바(70)에 장착된 타깃플레이트(80)가 케이지(20)의 채집홀(23)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정지되며, 이로 인해 고속 및 고온의 증기에 포함된 녹과 같은 이물질이 케이지(20)의 채집홀(23)을 통해 타깃플레이트(80)의 표면에 부딪치는 작동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타깃플레이트(80)를 이용한 이물질의 입자 채집은 약 1분간 시행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타깃플레이트(80)가 장착된 타깃바(70)가 케이지(20)에 감싸여진 상태로 보호되므로 고온고압의 증기로 인한 파손이 방지되며, 이때 본 발명을 통해 유출되는 증기는 글랜드부시(30)의 단차(31)를 통해 감압이 이루어진 후, 배출밸브(91)가 구비된 유출증기배출관(90)을 통해 대기로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타깃플레이트(80)의 안전한 보호를 통해 표면상태의 확인이 용이해져 세척상태의 판정을 보다 정확히 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증기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유출되는 증기가 승강실린더(9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승강실린더(60)의 승강로드(61)에 변형이 생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타깃플레이트(80)가 장착된 타깃바(70)의 승강작동에 오작동이 생기지 않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은 작동을 통해 이물질의 입자 채집이 완료된 후에는, 제어부에 의한 승강실린더(60)의 승강구동을 통해 승강로드(61)와 타깃바(70)의 상승작동을 이룬다.
그 후, 상기 타깃바(70)가 게이트밸브(40)를 통과한 시점에는 상기 게이트밸브(40)의 조작을 통해 내부의 통로를 폐쇄시킴으로써 증기가 유출되는 현상을 차단함과 동시에, 파이프(50)에 형성된 개구홀(51)을 통해 볼트(B)를 분리함으로써 이물질의 입자가 채집된 타깃플레이트(80)를 타깃바(70)에서 탈착시킨다.
따라서 작업자는 유출되는 증기에 의한 안전사고 및 불편한 없이 타깃플레이트(80)의 검사 및 판정을 손쉽고 안전하게 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은 작업시에도 보일러를 정지시킬 필요가 없어 연료비의 절감을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타깃플레이트(80)의 판정 결과 재검사가 요구될 때에는, 파이프(50)에 형성된 개구홀(51)을 통해 새로운 타깃플레이트(80)를 장착한 후, 전과 동일 방법을 통해 보일러배관(1)의 세척상태를 실시간으로 원하는 만큼 검사 및 판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증기세척 완료시점을 정확히 판정할 수 있게 되어 증기세척에 따른 시간단축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더하여 위에서는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1 : 보일러배관
10 : 증기가배관 11 : 제1플랜지 19 : 끼움홈
20 : 케이지 21 : 중공 23 : 채집홀 25 : 하우징 27 : 제2플랜지 29 : 끼움돌기
30 : 글랜드부시 31 : 단차 33 : 홈
40 : 게이트밸브 43 : 손잡이
50 : 파이프 51 : 개구홀 53 : 체결홀
60 : 승강실린더 61 : 승강로드 62 : 핀 63 : 리미트센서
70 : 타깃바 71 : 안착부 73 : 결합홈
80 : 타깃플레이트 81 : 관통홀
90 : 유출증기배출관 91 : 배출밸브
100 : 증기세척시 타깃 플레이트를 보호하는 온라인 타깃 장치

Claims (5)

  1. 증기의 대기배출을 위해 보일러배관(1)에 바이패스되어 설치되며, 제1플랜지(11)를 구성한 증기가배관(10);
    내부의 중공(21)과 연통되는 채집홀(23)을 형성하여 증기가배관(10)에 삽입되는 하우징(25)과, 상기 하우징(25)의 상부에 구성되어 제1플랜지(11)에 결합되는 제2플렌지(27)로 구성된 케이지(20);
    상기 케이지(20)의 상측에 위치되어 케이지(20)의 상측으로 유출되는 증기의 압력을 감압하는 글랜드부시(30);
    상기 케이지(20)와 글랜드부시(30) 사이에 결합되어 내부의 통로를 개폐하는 게이트밸브(40);
    개구홀(51)을 일측에 형성하여 글랜드부시(30)의 상부에 결합설치되는 중공형상의 파이프(50);
    승강로드(61)를 구성하여 상기 파이프(5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승강실린더(60);
    상기 승강실린더(60)의 승강로드(61)에 고정결합되어 승강작동하며, 케이지(20)의 채집홀(23)에 대응되는 안착부(71)를 형성하는 타깃바(70);
    상기 타깃바(70)의 안착부(7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승강실린더(60)에 의한 승강로드(61)의 승강작동에 따라 케이지(20)의 채집홀(23) 또는 파이프(50)의 개구홀(51)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타깃플레이트(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글랜드부시(30)의 일측에는 배출밸브(91)가 구비된 유출증기배출관(9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어, 케이지(20)의 상측으로 유출되는 증기가 유출증기배출관(90)을 통해 대기로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세척시 타깃 플레이트를 보호하는 온라인 타깃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가배관(10)의 바닥에는 끼움홈(19)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케이지(20)의 하부에는 끼움홈(19)에 끼워지는 끼움돌기(29)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세척시 타깃 플레이트를 보호하는 온라인 타깃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린더(60)에 구성된 승강로드(61)의 하단 또는 타깃바(70)의 상단에는 상기 승강로드(61)의 승강범위를 제어하는 리미트센서(63)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세척시 타깃 플레이트를 보호하는 온라인 타깃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바(70)의 안착부(71)에는 결합홈(73)이 복수 구성되고,
    상기 타깃플레이트(80)에는 결합홈(73)에 대응되는 관통홀(81)이 복수 구성되어,
    상기 파이프(50)에 형성된 개구홀(51)을 이용한 볼트(B) 결합 및 분리를 통해 상기 타깃플레이트(80)를 타깃바(70)에 결합하거나, 타깃바(70)에서 탈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세척시 타깃 플레이트를 보호하는 온라인 타깃 장치.
KR1020180037048A 2018-03-30 2018-03-30 증기세척시 타깃 플레이트를 보호하는 온라인 타깃 장치 KR101892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048A KR101892146B1 (ko) 2018-03-30 2018-03-30 증기세척시 타깃 플레이트를 보호하는 온라인 타깃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048A KR101892146B1 (ko) 2018-03-30 2018-03-30 증기세척시 타깃 플레이트를 보호하는 온라인 타깃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2146B1 true KR101892146B1 (ko) 2018-08-28

Family

ID=63454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048A KR101892146B1 (ko) 2018-03-30 2018-03-30 증기세척시 타깃 플레이트를 보호하는 온라인 타깃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1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87282A (zh) * 2021-12-31 2022-05-13 中国电建集团山东电力建设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安全在线单人可更换靶板的靶板器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1403A (ja) * 1983-10-07 1985-05-09 Fuji Electric Co Ltd 蒸気タ−ビンの蒸気加減弁
CN202794142U (zh) * 2012-08-22 2013-03-13 中国能源建设集团江苏省电力建设第三工程公司 一种蒸汽吹管的在线式靶板器
KR101635916B1 (ko) 2015-04-13 2016-07-0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화력발전소의 보일러 연속증기세척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1403A (ja) * 1983-10-07 1985-05-09 Fuji Electric Co Ltd 蒸気タ−ビンの蒸気加減弁
CN202794142U (zh) * 2012-08-22 2013-03-13 中国能源建设集团江苏省电力建设第三工程公司 一种蒸汽吹管的在线式靶板器
KR101635916B1 (ko) 2015-04-13 2016-07-0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화력발전소의 보일러 연속증기세척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87282A (zh) * 2021-12-31 2022-05-13 中国电建集团山东电力建设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安全在线单人可更换靶板的靶板器及方法
CN114487282B (zh) * 2021-12-31 2024-05-10 中国电建集团山东电力建设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安全在线单人可更换靶板的靶板器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20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issioning power plants
CN105157047B (zh) 1045mw超超临界燃煤机组锅炉吹管调试方法和系统
US80388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leaning of components of a power plant by the injection of a medium and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degree of purity of the medium
CN202794142U (zh) 一种蒸汽吹管的在线式靶板器
KR101892146B1 (ko) 증기세척시 타깃 플레이트를 보호하는 온라인 타깃 장치
CN104685334B (zh) 用于监测阀的设备及其操作方法
CN104896490A (zh) 汽包锅炉吹管调试方法与系统
CN111963486A (zh) 一种放射性环境下大型屏蔽主泵整体拆卸装置及拆卸工艺
CN104930542A (zh) 超超临界燃煤锅炉机组启动调试方法与系统
CN1601057A (zh) 涡轮机的保护系统和发电设备
JP2777061B2 (ja) 固体粒子による蒸気タービン翼の侵食損傷防止装置
JP2009024772A (ja) 残留ガス排出補助具及び残留ガス排出方法
KR102206885B1 (ko)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침적물제거를 위한 랜싱장치용 랜싱수 처리시설의 백필터 여과 시스템
WO2008118450A1 (en) Improv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issioning power plants
CN101514641B (zh) 涡轮机的保护系统和发电设备
EP3747560B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pre-degassing of a fuel tank
CN101928573A (zh) 干熄焦机械设备试运转方法
CN207131454U (zh) 一种无人值守自动疏水系统
CN216079860U (zh) 一种集粒器在线检查清理装置
CN112613746A (zh) 一种发电厂管道设备全生命周期管理方案
CN111649006B (zh) 一种放射性环境下大型屏蔽主泵整体回装装置及回装工艺
JP2007032373A (ja) ポンプゲート用横軸ポンプのケーシング構造、ポンプゲート用横軸ポンプ、及びポンプゲート設備
CN107060913A (zh) 一种无人值守自动疏水系统
CN220049383U (zh) 一种大型水轮发电机组下机架油污收集系统
CN209867682U (zh) 一种大型模板机的排烟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