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077B1 - 연소성 시험장치의 시료 장착 지그 - Google Patents

연소성 시험장치의 시료 장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077B1
KR101892077B1 KR1020170018082A KR20170018082A KR101892077B1 KR 101892077 B1 KR101892077 B1 KR 101892077B1 KR 1020170018082 A KR1020170018082 A KR 1020170018082A KR 20170018082 A KR20170018082 A KR 20170018082A KR 101892077 B1 KR101892077 B1 KR 101892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ample
horizontal plate
vertical ba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2427A (ko
Inventor
공소윤
Original Assignee
(주)티에이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이치엔 filed Critical (주)티에이치엔
Priority to KR1020170018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077B1/ko
Publication of KR20180092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5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flash-point; by investigating explosibil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시료를 장착하여 연소성 시험을 할 수 있는 연소성 시험장치의 시료 장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에 일측이 결합되어 직립하는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고 시료를 고정할 수 있는 시료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시료 고정부는 제1고정편, 제2고정편 및 제3고정편을 포함하고, 마주 보고 나사 결합되는 상기 제1고정편과 상기 제2고정편 각각의 결합면에는 상기 수직봉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고정편 중 어느 하나의 일면과 그 일면과 마주 보고 나사 결합되는 상기 제3고정편의 결합면 각각에는 시료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소성 시험장치의 시료 장착 지그{SAMPLE MOUNTING JIG OF THE COMBUSTIBILITY TEST AAPARATUS}
본 발명은 연소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시료를 장착하여 연소성 시험을 할 수 있는 연소성 시험장치의 시료 장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부품 및 실내에 사용되는 내장재는 국내 및 해외 법규에 의해 연소 속도의 규제를 받는다. 자동차에서 부품 및 실내에 사용되는 내장재의 연소 속도는 탑승자들의 생명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기 때문에 엄격한 규제의 대상이 되며 그 중요성 또한 날로 증대되고 있다.
연소 속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연소성 시험장치(혹은 연소성 시험기라고도 함)를 통해 측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소성 시험장치 내에는 시료에 해당하는 시험편을 장착하기 위한 시험편 장착구(④)를 지지하기 위해 서로 마주 보고 있는 수평 프레임(⑥)과, 상기 수평 프레임(⑥)을 연소성 시험장치 내의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 이격시켜 지지하고 있는 4 개의 수직 프레임(⑧)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수평 프레임(⑥)과 상기 수평 프레임(⑥)을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⑧)으로 구성되는 지그를 수평 거치식 연소성 지그라 명명하기도 한다.
상기 시험편 장착구(④)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ㄷ' 자형인 상측 장착구(11)와 역시 'ㄷ' 자형인 하측 장착구(12)로 구성되며, 시험편(1)을 개재한 상태로 상측 장착구(11)와 하측 장착구(12)를 서로 조립하여 사용한다. 상기 각 장착구(11,12)의 재료는 KS D 3698을 따르는 STS 304 이상 또는 내식 처리한 금속을 사용하며, 254mm 간격으로 특히 상측 장착구(11)의 상면에는 A 표선과 B 표선을 새겨둔다. 시험편(1)이 정규 치수보다 작은 경우(즉, 폭이 100mm 이하, 25mm 이상인 경우, 도 2의 하측 장착구(12)에 내열 철사(직경 0.26mm, 각 철사 간 간격 25.4mm; MVSS NO.302에 규제되고 있음)를 끼워 그 가운데에 내장재를 올려놓고 시험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연소성 시험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시험편 장착구(④)는 'ㄷ'자형의 상측 장착구(11)와 하측 장착구(12)를 이용하여 그 사이에 시험편(1)을 고정시키는 방식이므로, 시험편(1)의 형상이 판상 형태가 아닌 예를 들면 튜브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시료라면 그 시료의 연소성을 시험할 수 있도록 연소성 시험장치를 설계해야 하기 때문에 연소성 시험을 위한 부품 혹은 내장제(이를 시료라 할 수 있음)의 종류와 길이, 형상에 따라 다양한 연소성 시험장치를 설계 혹은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19827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하나의 연소성 시험장치에서 다양한 형상과 길이를 가지는 여러 종류의 시료들을 장착하여 연소성 시험할 수 있는 연소성 시험장치의 시료 장착 지그를 제공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평 거치식 연소성 지그가 설치되어 있는 연소성 시험장치에서도 간단한 조립 조작만으로도 굴곡진 튜브 형태의 시료는 물론 유동형, 직선형 시료에 대해서도 연소성 시험할 수 있는 연소성 시험장치의 시료 장착 지그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성 시험장치의 시료 장착 지그는 연소성 시험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연소성 시험장치에서 사용 가능한 시료 장착 지그로서,
다수의 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에 일측이 결합되어 직립하는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고 시료를 고정할 수 있는 시료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시료 고정부는 제1고정편, 제2고정편 및 제3고정편을 포함하고, 마주 보고 결합되는 상기 제1고정편과 상기 제2고정편 각각의 결합면에는 상기 수직봉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고정편 중 어느 하나의 일면과 그 일면과 마주 보고 결합되는 상기 제3고정편의 결합면 각각에는 시료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며,
더 나아가 다수의 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유동시료 고정용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과 상기 유동시료 고정용 수평판 각각에 일측이 결합되는 수평판 고정용 체결바와,
일측이 상기 유동시료 고정용 수평판에 형성되어 있는 홀을 관통해 상기 시료 고정홈에 고정되는 유동시료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시료 고정핀을 더 포함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고정편과 상기 제3고정편의 결합시 마주하는 상기 시료 고정홈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관통홀은 직선형일 수 있으며, 경사각을 가지는 직선형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연소성 시험장치의 시료 장착 지그의 수평판은,
마주 보는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 각각을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소성 시험공간에 설치되는 수평 거치식 연소성 지그 위에 부착 혹은 결합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 장착 지그는 기존 수평 거치식 연소성 지그 위에 부착 혹은 장착되어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수평 거치식 연소성 지그가 설치되어 있는 연소성 시험장치를 여러 형상의 부품, 마감재와 같은 다양한 시료의 연소성을 시험할 수 있는 장치로 폭 넓게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료의 형상에 맞춰 시료 고정부를 변경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시료에 맞춰 시료를 수직 거치하거나 대각선 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고, 시료의 거치 위치를 수직봉을 기준으로 자유로이 회전하여 위치 조정할 수 있으며 시료 고정부의 높이 조절을 통해 거치 높이 또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하나의 연소성 시험장치만으로도 다양한 시료는 물론 다양한 위치에서 폭 넓게 연소성 시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연소성 시험장치의 외관 및 구성 설명 예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연소성 시험장치에서 사용되는 시험편 장착구(④)의 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성 시험장치의 시료 장착 지그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시료 장착 지그의 분해 예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시료 장착 지그의 구성 중 시료 고정부(70)의 상세 구성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성 시험장치의 시료 장착 지그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시료 장착 지그의 분해 예시도를,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시료 장착 지그의 구성 중 시료 고정부(70)의 상세 구성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성 시험장치의 시료 장착 지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연소성 시험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연소성 시험장치에서 사용 가능한 시료 장착 지그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 보는 수평 프레임과 그 수평 프레임 각각을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수평 거치식 연소성 지그 위에 부착 혹은 장착되어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 장착 지그의 사용으로 인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연소성 시험장치 및 수평 거치식 연소성 지그를 변형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판상 형태의 시험편에 대해 연소성 시험을 할 수 있음은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 장착 지그를 이용해 다양한 형상, 예를 들면 직선형 혹은 곡선형, 유동형 타입의 차량 부품, 소재, 마감재 등에 대한 연소성 시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 장착 지그의 구성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성 시험장치의 시료 장착 지그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홀들(52)이 형성되어 있는 금속 재질의 수평판(50)과,
상기 수평판(50)에 일측이 나사 결합되어 직립하는 금속 재질의 수직봉(60)과,
상기 수직봉(60)에 결합되어 수직봉(60) 축 상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고 시료를 고정할 수 있는 시료 고정부(70)를 포함하되,
상기 시료 고정부(70)는 제1고정편(72), 제2고정편(74) 및 제3고정편(76)을 포함하고, 마주 보고 나사 결합되는 상기 제1고정편(72)과 상기 제2고정편(74) 각각의 결합면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봉(60)의 결합홈(7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고정편(74) 중 어느 하나의 일면과 그 일면과 마주 보고 결합되는 상기 제3고정편(76)의 결합면 각각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료 고정홈(73)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면 각각에 형성되는 수직봉의 결합홈 71과 시료 고정홈 73은 마주하게 되는 고정편에 형성된 결합홈 혹은 시료 고정홈과 하나의 관통홀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관통홀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형(예를 들면 수직방향, 도 5의 (b))일 수 있으며, 굴곡진 튜브를 고정시키기 위해 경사각을 가지는 직선형(예를 들면 대각선 방향, 도 5의 (a))일 수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수평판(50)에 일측이 결합되어 직립하는 수직봉(60)은 수평판(50)에 형성된 다수의 홀들(52) 중 어느 하나와의 나사 결합에 의해 수평판(50) 상에서 위치 이동(수평판 평면상에서 좌, 우, 상, 하)할 수 있다.
한편 수직봉(60)의 직립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수직봉(60) 보다 짧은 길이의 지지봉(62)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봉(60)과 결합하여 함께 수평판(50)에 나사 결합할 수도 있다.
상술한 기본 구성 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성 시험장치의 시료 장착 지그는,
다수의 홀들(82)이 형성되어 있는 유동시료 고정용 수평판(80)과,
상기 수평판(50)과 상기 유동시료 고정용 수평판(80) 각각에 일측이 결합되는 수평판 고정용 체결바(90)와,
일측이 상기 유동시료 고정용 수평판(80)에 형성되어 있는 홀(82)을 관통해 상기 시료 고정홈(도 5의 (a))에 고정되는 유동시료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시료 고정핀(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시료 고정용 수평판(80)은 예를 들어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의 대각선 방향으로 굴곡져 있는 유동형 튜브와 같은 시료에 대해 연소성 시험을 할 경우, 좌측 상단에 위치하게 되는 시료 고정부(도 5의 (a))에 유동형 튜브 일측을 고정시키고, 우측 하단에 위치하게 되는 유동형 튜브의 일측을 시료 고정핀(100)을 이용해 유동시료 고정용 수평판(80)에 고정시키는데 활용되며, 일측이 수평판(50)에 나사 결합된 수평판 고정용 체결바(90)와의 나사 결합에 의해 수직봉(60)이 직립된 수평판(50)과의 균형을 유지해 주는데 활용되기도 한다.
유동시료 고정용 수평판(80)과 수평판(50)의 이격거리는 수평판 고정용 체결바(90)에 형성되어 있는 홀(92)과 볼트를 이용해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적으로 상술한 수평판(50)과 유동시료 고정용 수평판(80)은 연소성 시험장치의 연소성 시험공간에 설치되는 수평 거치식 연소성 지그 위에 부착 혹은 장착되어 사용되거나, 수평 거치식 연소성 지그 위치에 놓여져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성 시험장치의 시료 장착 지그의 사용 예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판(50)에 지지봉(62)이 나사 결합되어 있는 수직봉(60)을 나사 결합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수직봉(60)과 수평판(50)을 나사 결합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수평판(50)에 결합홈을 형성하여 단순 끼움맞춤, 접착제 이용 혹은 수평판(50)과 수직봉(60)이 일체화되어 있는 경우도 가정할 수 있을 것이다.
수평판(50)에 수직봉(60)이 직립되면 시료 고정부(70)를 직립된 수직봉(60) 상단에 결합하여 높이 조절한다. 시료 고정부(70)를 수직봉(60)에 결합하는 방법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고정편(72)과 제2고정편(74)에 형성된 수직봉의 결합홈 71에 수직봉(60)을 위치시키고 나사 조임으로 제1고정편(72)과 제2고정편(74)을 고정시키는 방식이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수직봉(60)의 형상을 사각 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는 제1고정편(72)이 수직봉(60)의 우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유동시료 고정용 수평판(80)이 사용될 경우 유동시료 고정용 수평판(80)의 위치에 따라 수직봉(60)의 좌측 혹은 우측에 위치해야 한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수직봉(60)의 우측에 유동시료 고정용 수평판(80)이 위치하기 때문에, 제1고정편(72)은 수직봉(60)의 좌측에 위치하도록 수직봉(60)에 결합되어야 한다.
제1고정편(72)과 제2고정편(74)을 수직봉(60)에 결합한 후에 나사 조임으로 제3고정편(76)을 제2고정편(74)에 결합한다. 이때 도 5의 (a) 혹은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고정편(74)과 제3고정편(76)의 측면에 형성된 시료 고정홈(73)에 시료의 일측을 끼워 나사 조임하면 시료 고정홈(73)이 만드는 관통홀에 시료의 일측이 고정된다.
도 5의 (a)에 도시된 시료 고정홈(73)을 보면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두 개의 고정편(74,76)에 형성된 시료 고정홈들(73)에 의해 만들어지는 관통홀은 경사각을 가지는 직선형임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으로 굴곡져 있는 튜브와 같은 유동 시료의 일측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며, 도 5의 (b)와 같이 시료 고정홈(73)이 경사각 없이 직선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직선형(수직방향) 시료의 일측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시료의 형상에 따라 제2고정편(74)과 제3고정편(76)을 선택 사용하면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시료를 수직 거치할 수 있고, 대각선 방향으로 거치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거치 위치를 수직봉(60)을 기준으로 자유로이 회전하여 거치 위치 이동할 수 있고, 시료 고정부(70)의 높이 조절을 통해 거치 높이 또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 거치식 연소성 지그 위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 장착 지그를 부착 혹은 장착하여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에 수평 거치식 연소성 지그가 설치되어 있는 연소성 시험장치를 여러 형상의 부품, 마감재와 같은 다양한 시료의 연소성을 시험할 수 있는 장치로 폭 넓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연소성 시험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마주 보는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 각각을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수평 거치식 연소성 지그가 상기 연소성 시험공간 내에 설치되어 있는 연소성 시험장치에서 사용 가능한 시료 장착 지그에 있어서,
    다수의 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에 일측이 결합되어 직립하는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고 시료를 고정할 수 있는 시료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시료 고정부는 제1고정편, 제2고정편 및 제3고정편을 포함하고, 마주 보고 나사 결합되는 상기 제1고정편과 상기 제2고정편 각각의 결합면에는 상기 수직봉이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상방에서 하방으로 향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편의 또 다른 일면과 그 일면과 마주하여 나사 결합되는 제3고정편 각각의 결합면에는 사선 방향으로 향하는 시료 고정홈이 형성되어 굴곡진 시료의 일측을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성 시험장치의 시료 장착 지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다수의 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유동시료 고정용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과 상기 유동시료 고정용 수평판 각각에 일측이 결합되는 수평판 고정용 체결바와;
    일측이 상기 유동시료 고정용 수평판에 형성되어 있는 홀을 관통해 상기 시료 고정홈에 고정되는 굴곡진 시료의 타측을 고정시키는 시료 고정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성 시험장치의 시료 장착 지그.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18082A 2017-02-09 2017-02-09 연소성 시험장치의 시료 장착 지그 KR101892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082A KR101892077B1 (ko) 2017-02-09 2017-02-09 연소성 시험장치의 시료 장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082A KR101892077B1 (ko) 2017-02-09 2017-02-09 연소성 시험장치의 시료 장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427A KR20180092427A (ko) 2018-08-20
KR101892077B1 true KR101892077B1 (ko) 2018-08-28

Family

ID=63442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082A KR101892077B1 (ko) 2017-02-09 2017-02-09 연소성 시험장치의 시료 장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0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59428B (zh) * 2023-03-29 2024-05-10 浙江天顺玻璃钢有限公司 特种高阻燃高强度无毒低烟复合材料制备方法及测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1650U (ko) * 1985-02-01 1986-08-16
JPH0968511A (ja) * 1995-08-31 1997-03-11 Suzuki Motor Corp 燃焼性試験装置
KR970050111U (ko) * 1996-01-24 1997-08-12 만능재료 시험기 시편 장착용 지지대
KR20080019827A (ko) 2006-08-29 2008-03-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소성 시험장치의 시험편 장착구
KR101208915B1 (ko) * 2010-08-10 2012-12-0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체 부품 검사용 지그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427A (ko) 201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2412B2 (en) Adjustable optical mount
KR101547849B1 (ko) 2차원 단면모형 풍동실험을 위한 풍동 시험체의 지그장치 및 이를 구비한 풍동시험장치
KR101892077B1 (ko) 연소성 시험장치의 시료 장착 지그
WO2016189718A1 (ja) 湿度依存質量測定装置および湿度依存質量測定方法
US4807463A (en) Oxygen measuring cell
JPH07194440A (ja) 架台フレーム
KR20160013350A (ko) 시험편의 직립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장시험기
KR101467036B1 (ko) 세팅 위치 조절이 용이한 시편 고정용 지그
KR102384591B1 (ko) 카메라 화각 테스트 장치
CN206804563U (zh) 一种用于ebsd测试的装置
JP2018087787A (ja) 暴露試験台
US200701540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cally surveying and/or examining a welding componentry
KR102534507B1 (ko) 회로 기판 검사 시스템
CN216731395U (zh) 一种温度仪表检定夹持定位装置及恒温槽
CN220322555U (zh) 照度测量的标记装置
CN216707272U (zh) 门封夹具
KR101172767B1 (ko) 솔레노이드밸브 홀더 내부 치수의 검사 방법
CN208688819U (zh) 空气滤清器检测装置
KR101966340B1 (ko) 다용도 치수 측정 기구
KR102409030B1 (ko) 블레이드형 프로브 블록
CN215768250U (zh) 一种用于台式光谱仪的精准聚焦测试台
CN218671267U (zh) 一种检测悬浮粒子浓度用采样头的辅助支架
KR200410583Y1 (ko) 레이저 빔 수평 비틀림 측정기
CN208349963U (zh) 一种端部隔墙检测工装
RU1776344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верки микромет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