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757B1 - 2단 에어스프링 타입의 저상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2단 에어스프링 타입의 저상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757B1
KR101891757B1 KR1020180065227A KR20180065227A KR101891757B1 KR 101891757 B1 KR101891757 B1 KR 101891757B1 KR 1020180065227 A KR1020180065227 A KR 1020180065227A KR 20180065227 A KR20180065227 A KR 20180065227A KR 101891757 B1 KR101891757 B1 KR 101891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air spring
main wheel
loading frame
rota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우
Original Assignee
김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우 filed Critical 김종우
Priority to KR1020180065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7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 B60G11/2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wherein the fluid is a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3/00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 B62D53/04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comprising a vehicle carrying an essential part of the other vehicle's load by having supporting means for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other vehicle
    • B62D53/06Semi-trailers
    • B62D53/061Semi-trailers of flat bed or low loader type or fitted with swan necks
    • B62D53/062Semi-trailers of flat bed or low loader type or fitted with swan necks having inclinable, lowerable platforms; Lift bed trailers; Straddle 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2Pneumatic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20Mounting of accessories, e.g. pump, compres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4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80Exterior conditions
    • B60G2400/82Ground surface
    • B60G2400/821Uneven, rough road sensing affecting vehicle body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8Semi-trailers, articulat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단 에어스프링 타입의 저상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적재물이 안착되는 적재 프레임; 상기 적재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용 네크; 상기 적재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적재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하로 위치 이동 가능한 메인 휠; 및 상기 적재 프레임과 상기 메인 휠에 연결되며, 제1 및 제2 에어스프링의 작용으로 상기 메인 휠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전동식 메인 휠 업/다운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2단 에어스프링 타입의 저상 트레일러{Low bed trailer for 2 step air-spring type}
본 발명은, 2단 에어스프링 타입의 저상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가 요철면을 비롯한 험로일지라도 주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활용도를 종래보다 높일 수 있음은 물론 구조적인 안정성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적재물을 종래보다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는 2단 에어스프링 타입의 저상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굴삭기, 브레이커, 불도저 등 특수목적의 대형 중장비는 저상 트레일러(Low Bed Trailer)를 이용하여 운송된다.
이러한 저상 트레일러는 견인차량(Tractor)이 연결되는 부분이 오리의 목과 유사하게 형성되었다 하여 구스넥 트레일러(Goose Neck Trailer)라고 부르기도 한다.
현존하는 일반적인 저상 트레일러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가장 일반적인 저상 트레일러(1100)를 나타낸다. 저상 트레일러(1100)는 지상에서 낮은 높이로 설치되어 탑재된 대형 중장비를 안전하게 지지하는 탑재부(1110)를 구비한다. 탑재부(1110)를 기준하여 전방측에는 견인차량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탑재부(1110) 보다 높은 높이로 프런트 데크부(1120)가 마련되고, 후방측에는 지상 트레일러(1100)를 지지하면서 안전한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차륜부(1130)가 마련된다. 탑재부(1110)의 메인프레임(1111) 전단 양측에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랜딩기어(Landing Gear : 1112)가 장착되어 있고, 프런트 데크부(1120)의 선단 중앙부분에는 견인차량의 연결고리에 연결되는 킹핀(King Pin : 1121)이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저상 트레일러(1100)는 탑재부(1110)의 후단이 차륜부(1130) 위로 길게 연장된 상태로서 지상에서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탑재부(1110)의 후방에서 대형 중장비가 자체적으로 등판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탑재부(1110) 후방에 경사로를 만들어주는 별도의 경사판을 준비하고 있다가 대형 중장비를 탑재부(1110)에 상차시키고자 할 때 또는 하차시키고자 할 때마다 별도의 경사판을 설치해야 하는데, 상기한 별도의 경사판 자체는 대형 중장비를 지탱할 수 있는 강도를 지녀야 하므로 그 무게가 무거운 중량물인 관계로 상기한 종래의 저상 트레일러(1100)의 경우는 대형 중장비를 상차 및 하차시키기 위하여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이 많이 든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도 2는 저상 트레일러(1200)의 전술한 도 1과 같이 탑재부(1210)를 기준하여 전방에는 프런트 데크부(1220)를, 후방에는 차륜부(1230)를 일체적으로 구성함에 있어 탑재부(1210)의 후방에 경사판(1240)을 회전가능하게 부착시키는 구조로서 대형 중장비를 상,하차시키고자 할 때에는 경사판(1240)을 지상을 향해 회전시켜 경사지게 지지되게 하는 한편 대형 중장비가 상차 또는 하차한 후에는 경사판(1240)을 탑재부(1210)로 쪽으로 회전시켜 그 후방측에 올려놓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저상 트레일러(1200)는 탑재부(1210)의 후방에 경사판(1240)을 구비하고 있어 전술한 종래 기술보다는 대형 트레일러(1200)의 상,하차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기는 하지만 대형 중장비를 상차한 다음에는 반드시 경사판(1240)을 탑재부(1210) 후방에 올려놓을 수 있는 공간 즉, 경사판(1240)의 거치공간을 반드시 확보해 놓아야 하는 관계로 탑재부(1210)에 대형 중장비를 탑재시킬 수 있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제한되어 경사판(1240)의 크기만큼 탑재공간이 좁아지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또한 경사판(1240)을 인력으로 조작해야 하는 관계로 불편하고 또 작업자가 안전사고에 노출되어 있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저상 트레일러(1300)도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탑재부(1310), 프런트 데크부(1320) 및 차륜부(1330)로 구성한 다음, 탑재부(1310)의 후방에 힌지(1340)를 기점으로 하여 회전하는 별도의 유압식 경사상판(1350)을 설치하여 유압실린더(1360)의 피스톤을 출몰 작동시키는 작동에 따라 유압식 경사상판(1350)이 탑재부(1310)의 후방에서 기복되는 작동으로 지상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거나 수평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중장비를 상,하차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만, 도 3과 같은 기술은 중장비가 스스로 등판할 수 있도록 유압식 경사상판(1350)의 설치각도를 제한하여 설치하여야 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또한 유압식 경사상판(1350) 자체가 대형 중장비의 중량을 충분히 지탱해야 하므로 유압식 경사상판(1350)이 허용하는 탑재하중보다 더 무거운 중량을 가지는 중장비의 경우에는 탑재할 수 없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은 각종 건설현장에 사용되고 있는 중ㅇ대형 중장비를 구별하여 탑재시켜야 하므로 저상 트레일러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저상 트레일러(1100,1200,1300)의 단점을 보완한 저상 트레일러(미도시) 역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나 현존하는 저상 트레일러들은 그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요철면을 비롯한 험로는 앞부분과 뒷부분의 지면 접촉 현상이 심해서 주행이 불가능함에 따라 사용이 기피되고 있는 실정임을 감안할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2단 에어스프링 타입의 저상 트레일러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7-010119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9-002324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0-003348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1-0009744호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가 요철면을 비롯한 험로일지라도 주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활용도를 종래보다 높일 수 있음은 물론 구조적인 안정성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적재물을 종래보다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는 2단 에어스프링 타입의 저상 트레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적재물이 안착되는 적재 프레임; 상기 적재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용 네크; 상기 적재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적재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하로 위치 이동 가능한 메인 휠; 및 상기 적재 프레임과 상기 메인 휠에 연결되며, 제1 및 제2 에어스프링의 작용으로 상기 메인 휠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전동식 메인 휠 업/다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에어스프링 타입의 저상 트레일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전동식 메인 휠 업/다운 구동부는, 상기 적재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 지지대; 상기 적재 프레임 상에 마련되는 회전축부에 그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 지지대; 및 상기 제1 회전 지지대와 상기 메인 휠 사이에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회전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메인 휠과 연결되는 제2 회전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에어스프링은 상기 고정 지지대와 상기 제1 회전 지지대 사이에 마련되되 에어(air)의 공급 또는 취출 작용에 의해 상기 고정 지지대와 상기 제1 회전 지지대 간의 간격을 조절하며, 상기 제2 에어스프링은 상기 제1 회전 지지대와 상기 제2 회전 지지대 사이에 마련되되 에어(air)의 공급 또는 취출 작용에 의해 상기 제1 회전 지지대와 상기 제2 회전 지지대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전동식 메인 휠 업/다운 구동부는, 상기 고정 더미와 상기 제1 회전 지지대에 그 양단부가 연결되는 제1 쇼바; 및 상기 고정 지지대와 상기 제2 회전 지지대에 그 양단부가 연결되는 제2 쇼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적재물이 안착되되 후단부에 경사벽체가 형성되는 적재 프레임; 상기 적재 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결합되는 컴프레서; 상기 적재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용 네크; 상기 적재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적재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하로 위치 이동 가능한 메인 휠; 상기 적재 프레임과 상기 메인 휠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 휠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전동식 메인 휠 업/다운 구동부; 상기 메인 휠보다는 작은 사이즈로 제작되되 상기 연결용 네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결용 네크를 기준으로 상하로 위치 이동 가능한 서브 휠; 상기 연결용 네크와 상기 서브 휠에 연결되며, 상기 서브 휠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수동식 서브 휠 업/다운 구동부; 지면에 대한 상기 적재 프레임의 최소 다운(down) 높이 0%에서 최대 업(up) 높이 100%까지 눈으로 확인하면서 초저상, 저상, 고상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 프레임 상에 결합되는 높이 확인 모듈; 상기 전동식 메인 휠 업/다운 구동부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식 메인 휠 업/다운 구동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식 메인 휠 업/다운 구동부는,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적재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 더미; 상기 고정 더미에 결합되는 고정 지지대; 상기 고정 지지대와 상기 메인 휠 사이에서 상기 적재 프레임 상에 마련되는 회전축부; 일단부가 상기 회전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 지지대; 상기 제1 회전 지지대와 상기 메인 휠 사이에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회전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 지지대; 일측은 상기 제2 회전 지지대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메인 휠과 연결되는 휠 연결부; 상기 고정 지지대와 상기 제1 회전 지지대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컴프레서에 의한 에어(air)의 공급 또는 취출 작용에 의해 상기 고정 지지대와 상기 제1 회전 지지대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1 에어스프링; 상기 제1 회전 지지대와 상기 제2 회전 지지대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컴프레서에 의한 에어(air)의 공급 또는 취출 작용에 의해 상기 제1 회전 지지대와 상기 제2 회전 지지대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2 에어스프링; 상기 고정 더미와 상기 제1 회전 지지대에 그 양단부가 연결되는 제1 쇼바; 및 상기 고정 지지대와 상기 제2 회전 지지대에 그 양단부가 연결되는 제2 쇼바를 포함하며, 상기 수동식 서브 휠 업/다운 구동부는, 상기 적재 프레임 상의 상부에 배치되는 구동 본체부; 상기 구동 본체부에 출입 가능하게 결합되되 단부에 상기 서브 휠이 연결되는 휠 연결 로드; 및 상기 구동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휠 연결 로드를 업/다운(up/down) 이동시키는 회전식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저상 주행 시 상기 제1 에어스프링 또는 상기 제2 에어스프링 중 어느 하나에만 에어가 공급되게 컨트롤하고, 고상 주행 시 상기 제1 에어스프링 및 상기 제2 에어스프링 모두에 에어가 공급되게 컨트롤하며, 상기 적재 프레임 상에 상기 적재물이 적재될 때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1 에어스프링 및 상기 제2 에어스프링 모두의 에어가 취출되게 컨트롤해서 상기 적재 프레임이 지면에 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에어스프링 타입의 저상 트레일러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가 요철면을 비롯한 험로일지라도 주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활용도를 종래보다 높일 수 있음은 물론 구조적인 안정성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적재물을 종래보다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일반적인 저상 트레일러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 에어스프링 타입의 저상 트레일러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로서 고상 주행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저상 주행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초저상 시의 동작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 에어스프링 타입의 저상 트레일러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단 에어스프링 타입의 저상 트레일러의 부분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 에어스프링 타입의 저상 트레일러의 평면 구조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로서 고상 주행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 도 7 및 도 8은 각각 저상 주행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초저상 시의 동작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 에어스프링 타입의 저상 트레일러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2단 에어스프링 타입의 저상 트레일러(100)는 도로가 요철면을 비롯한 험로일지라도 주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활용도를 종래보다 높일 수 있음은 물론 구조적인 안정성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적재물을 종래보다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2단 에어스프링 타입의 저상 트레일러(100)는 적재 프레임(110), 연결용 네크(115), 메인 휠(120), 전동식 메인 휠 업/다운 구동부(130), 서브 휠(150), 그리고 수동식 서브 휠 업/다운 구동부(160)를 포함한다.
적재 프레임(110)은 적재물, 예컨대 오토바이, 자동차, 굴삭기 등의 적재물이 적재되는 장소를 이룬다.
적재 프레임(110)의 후단부에는 경사벽체(111)가 형성된다. 경사벽체(111)로 인해 오토바이, 자동차, 굴삭기 등의 적재물이 적재 프레임(110) 상에 안착되기에 유리하다.
적재 프레임(110)의 상면 일측에는 컴프레서(113)가 마련된다. 컴프레서(113)는 컨트롤러(180)의 작용에 의해 제1 및 제2 에어스프링(137,138)으로 에어(air) 즉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컴프레서(113)는 전동식 메인 휠 업/다운 구동부(130)의 한 구성으로 간주될 수 있다.
연결용 네크(115)는 적재 프레임(110)의 일측에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2단 에어스프링 타입의 저상 트레일러(100)를 이동시키는 운반수단에 연결된다.
메인 휠(120)은 적재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퀴로서, 적재 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상하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메인 휠(120)의 업/다운(up/down) 구동을 위해 전동식 메인 휠 업/다운 구동부(130)가 탑재된다.
메인 휠(120)과 전동식 메인 휠 업/다운 구동부(130)는 적재 프레임(110)의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된다.
서브 휠(150)은 메인 휠(120)보다는 작은 사이즈로 제작되되 연결용 네크(11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퀴로서, 이 역시 연결용 네크(115)를 기준으로 상하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서브 휠(150)의 업/다운(up/down) 구동을 위해 수동식 서브 휠 업/다운 구동부(160)가 마련된다.
편의상 수동식 서브 휠 업/다운 구동부(160)에 대해 먼저 살펴본다. 수동식 서브 휠 업/다운 구동부(160)는 전술한 것처럼 연결용 네크(115)와 서브 휠(150)에 연결되며, 서브 휠(150)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메인 휠(120)과 달리 서브 휠(150)은 수동에 의해 업/다운(up/down)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그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다. 하지만, 서브 휠(150) 역시 전동식으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수동식 서브 휠 업/다운 구동부(160)는 적재 프레임(110) 상의 상부에 배치되는 구동 본체부(161)와, 구동 본체부(161)에 출입 가능하게 결합되되 단부에 서브 휠(150)이 연결되는 휠 연결 로드(162)와, 구동 본체부(16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에 의해 휠 연결 로드(162)를 업/다운(up/down) 이동시키는 회전식 레버(163)를 포함한다.
이에, 회전식 레버(163)의 조작에 의해 휠 연결 로드(162)가 업/다운(up/down) 이동될 수 있으며, 이의 작용으로 인해 서브 휠(150)의 상하 위치 이동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전동식 메인 휠 업/다운 구동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재 프레임(110)과 메인 휠(120)에 연결되며, 메인 휠(120)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동식 메인 휠 업/다운 구동부(130)는 컨트롤러(180)의 컨트롤에 의해 전동식으로 구동된다.
이러한 전동식 메인 휠 업/다운 구동부(130)는 고정 더미(131), 고정 지지대(132), 회전축부(133), 제1 회전 지지대(134), 제2 회전 지지대(135), 휠 연결부(136), 제1 에어스프링(137), 제2 에어스프링(138), 제1 쇼바(141), 그리고 제2 쇼바(142)를 포함한다.
고정 더미(131)는 철재로 된 부분으로서 적재 프레임(110)에 고정된다. 고정 더미(131)의 일측은 경사면(131a)을 형성한다. 경사면(131a) 영역에 제1 쇼바(141)의 일단부가 피봇 지지될 수 있다.
고정 지지대(132)는 고정 더미(131)에 결합되는 구조물이다. 고정 지지대(132) 역시, 고정 더미(131)와 마찬가지로 적재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회전축부(133)는 고정 지지대(132)와 메인 휠(120) 사이에서 적재 프레임(110) 상에 마련된다. 회전축부(133)는 제1 및 제2 회전 지지대(134,135)의 회전축심을 형성한다.
제1 회전 지지대(134)는 일단부가 회전축부(1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물이다. 제1 에어스프링(137)의 작용으로 인해 제1 회전 지지대(134)가 회전될 수 있다.
제2 회전 지지대(135)는 제1 회전 지지대(134)와 메인 휠(120) 사이에 배치되며, 일단부가 회전축부(1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물이다. 제2 에어스프링(138)의 작용으로 인해 제2 회전 지지대(135)가 회전될 수 있다.
휠 연결부(136)는 일측은 제2 회전 지지대(135)에 결합되고 타측은 메인 휠(120)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제2 회전 지지대(135)의 회전 시 휠 연결부(136)와 메인 휠(120)가 함께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제1 에어스프링(137)은 고정 지지대(132)와 제1 회전 지지대(134) 사이에 마련되되 컴프레서(113)에 의한 에어(air)의 공급 또는 취출 작용에 의해 고정 지지대(132)와 제1 회전 지지대(134)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위치 고정된 고정 지지대(132)에 대하여 제1 회전 지지대(134)가 접근 또는 이격되게 조절한다.
제2 에어스프링(138)은 제1 회전 지지대(134)와 제2 회전 지지대(135) 사이에 마련되되 컴프레서(113)에 의한 에어(air)의 공급 또는 취출 작용에 의해 제1 회전 지지대(134)와 제2 회전 지지대(135)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제1 회전 지지대(134)에 대하여 제2 회전 지지대(135)가 접근 또는 이격되게 조절한다.
제1 쇼바(141)는 고정 더미(131)와 제1 회전 지지대(134)에 그 양단부가 연결되는 탄성 액추에이터이다. 그리고 제2 쇼바(142)는 고정 지지대(132)와 제2 회전 지지대(135)에 그 양단부가 연결되는 탄성 액추에이터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쇼바(141)는 하드한 승차감을 이끌어내고, 제2 쇼바(142)는 부드러운 승차감을 이끌어낸다. 따라서 제1 쇼바(141)와 제2 쇼바(142)는 탄성력이 서로 다른 것이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 제1 에어스프링(137)은 작동 주행 시 부드러운 승차감을 제공해서 무진동에 의한 적재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2 에어스프링(138)은 작동 주행 시 하드한 승차감을 제공해서 고속 주행이 가능케 한다.
한편, 위의 구성들 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저상 트레일러(100)에는 입력부(170)와, 컨트롤러(180)가 더 탑재된다.
입력부(170)는 전동식 메인 휠 업/다운 구동부(130)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한다. 입력부(170)는 리모컨 타입일 수도 있고, 아니면 적재 프레임(110)의 일측에 스위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컨트롤러(180)는 입력부(17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전동식 메인 휠 업/다운 구동부(13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80)는 도 7 및 도 8과 같은 저상 주행 시 제1 에어스프링(137) 또는 제2 에어스프링(138) 중 어느 하나에만 에어가 공급되게 컨트롤하고, 도 5와 같은 고상 주행 시 제1 에어스프링(137) 및 제2 에어스프링(138) 모두에 에어가 공급되게 컨트롤한다.
특히, 도로가 요철면을 비롯한 험로인 경우에는 도 5처럼 제1 에어스프링(137) 및 제2 에어스프링(138) 모두에 에어가 공급되게 컨트롤해서 저상 트레일러(100)가 고상 주행이 되게 함으로써 험로라도 용이하게 주행될 수 있게끔 한다.
그리고 도 9처럼 컨트롤러(180)는 제1 에어스프링(137) 및 제2 에어스프링(138) 모두의 에어가 취출되게 컨트롤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적재 프레임(110)이 지면에 밀착될 수 있어서(초저상 상태) 오토바이나 자동차를 적재 프레임(110) 상에 올려 안착시키기에 유리하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80)는 중앙처리장치(181, CPU), 메모리(1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81)는 본 실시예에서 입력부(17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전동식 메인 휠 업/다운 구동부(130)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81)와 연결된다. 메모리(1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80)는 도 7 및 도 8과 같은 저상 주행 시 제1 에어스프링(137) 또는 제2 에어스프링(138) 중 어느 하나에만 에어가 공급되게 컨트롤하고, 도 5와 같은 고상 주행 시 제1 에어스프링(137) 및 제2 에어스프링(138) 모두에 에어가 공급되게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가 요철면을 비롯한 험로일지라도 주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활용도를 종래보다 높일 수 있음은 물론 구조적인 안정성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적재물을 종래보다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및 제2 에어스프링(137,138)이 적용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 에어스프링(137,138) 중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주행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단 에어스프링 타입의 저상 트레일러의 부분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2단 에어스프링 타입의 저상 트레일러(200) 역시, 적재 프레임(110)에 메인 휠(120), 전동식 메인 휠 업/다운 구동부(130), 서브 휠(150), 그리고 수동식 서브 휠 업/다운 구동부(160)가 위치별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들의 구조와 기능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2단 에어스프링 타입의 저상 트레일러(200)에는 적재 프레임(110) 상에 높이 확인 모듈(290)이 더 탑재된다. 예컨대, 각도기와 같은 고정 구조물로 적용될 수 있는 높이 확인 모듈(290)은 지면에 대한 적재 프레임(110)의 최소 다운(down) 높이 0%에서 최대 업(up) 높이 100%까지 눈으로 확인하면서 초저상, 저상, 고상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가 적용되더라도 도로가 요철면을 비롯한 험로일지라도 주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활용도를 종래보다 높일 수 있음은 물론 구조적인 안정성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적재물을 종래보다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저상 트레일러 110 : 적재 프레임
111 : 경사벽체 113 : 컴프레서
115 : 연결용 네크 120 : 메인 휠
130 : 전동식 메인 휠 업/다운 구동부 131 : 고정 더미
131a : 경사면 132 : 고정 지지대
133 : 회전축부 134 : 제1 회전 지지대
135 : 제2 회전 지지대 136 : 휠 연결부
137 : 제1 에어스프링 138 : 제2 에어스프링
141,142 : 제1 및 제2 쇼바 150 : 서브 휠
160 : 수동식 서브 휠 업/다운 구동부 161 : 구동 본체부
162 : 휠 연결 로드 163 : 회전식 레버
170 : 입력부 180 : 컨트롤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적재물이 안착되되 후단부에 경사벽체가 형성되는 적재 프레임;
    상기 적재 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결합되는 컴프레서;
    상기 적재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용 네크;
    상기 적재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적재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하로 위치 이동 가능한 메인 휠;
    상기 적재 프레임과 상기 메인 휠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 휠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전동식 메인 휠 업/다운 구동부;
    상기 메인 휠보다는 작은 사이즈로 제작되되 상기 연결용 네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결용 네크를 기준으로 상하로 위치 이동 가능한 서브 휠;
    상기 연결용 네크와 상기 서브 휠에 연결되며, 상기 서브 휠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수동식 서브 휠 업/다운 구동부;
    지면에 대한 상기 적재 프레임의 최소 다운(down) 높이 0%에서 최대 업(up) 높이 100%까지 눈으로 확인하면서 초저상, 저상, 고상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 프레임 상에 결합되는 높이 확인 모듈;
    상기 전동식 메인 휠 업/다운 구동부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식 메인 휠 업/다운 구동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식 메인 휠 업/다운 구동부는,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적재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 더미;
    상기 고정 더미에 결합되는 고정 지지대;
    상기 고정 지지대와 상기 메인 휠 사이에서 상기 적재 프레임 상에 마련되는 회전축부;
    일단부가 상기 회전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 지지대;
    상기 제1 회전 지지대와 상기 메인 휠 사이에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회전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 지지대;
    일측은 상기 제2 회전 지지대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메인 휠과 연결되는 휠 연결부;
    상기 고정 지지대와 상기 제1 회전 지지대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컴프레서에 의한 에어(air)의 공급 또는 취출 작용에 의해 상기 고정 지지대와 상기 제1 회전 지지대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1 에어스프링;
    상기 제1 회전 지지대와 상기 제2 회전 지지대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컴프레서에 의한 에어(air)의 공급 또는 취출 작용에 의해 상기 제1 회전 지지대와 상기 제2 회전 지지대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2 에어스프링;
    상기 고정 더미와 상기 제1 회전 지지대에 그 양단부가 연결되는 제1 쇼바; 및
    상기 고정 지지대와 상기 제2 회전 지지대에 그 양단부가 연결되는 제2 쇼바를 포함하며,
    상기 수동식 서브 휠 업/다운 구동부는,
    상기 적재 프레임 상의 상부에 배치되는 구동 본체부;
    상기 구동 본체부에 출입 가능하게 결합되되 단부에 상기 서브 휠이 연결되는 휠 연결 로드; 및
    상기 구동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휠 연결 로드를 업/다운(up/down) 이동시키는 회전식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저상 주행 시 상기 제1 에어스프링 또는 상기 제2 에어스프링 중 어느 하나에만 에어가 공급되게 컨트롤하고, 고상 주행 시 상기 제1 에어스프링 및 상기 제2 에어스프링 모두에 에어가 공급되게 컨트롤하며,
    상기 적재 프레임 상에 상기 적재물이 적재될 때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1 에어스프링 및 상기 제2 에어스프링 모두의 에어가 취출되게 컨트롤해서 상기 적재 프레임이 지면에 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에어스프링 타입의 저상 트레일러.
KR1020180065227A 2018-06-07 2018-06-07 2단 에어스프링 타입의 저상 트레일러 KR101891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227A KR101891757B1 (ko) 2018-06-07 2018-06-07 2단 에어스프링 타입의 저상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227A KR101891757B1 (ko) 2018-06-07 2018-06-07 2단 에어스프링 타입의 저상 트레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757B1 true KR101891757B1 (ko) 2018-08-27

Family

ID=63455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227A KR101891757B1 (ko) 2018-06-07 2018-06-07 2단 에어스프링 타입의 저상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7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61457A (zh) * 2019-11-22 2020-03-06 成都凯天电子股份有限公司 全向行走被牵引机构
KR20220168652A (ko) 2021-06-17 2022-12-26 주식회사 한서철도 저상트로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07629A1 (de) * 1990-03-10 1991-09-12 Bergische Achsen Kotz Soehne Luftfederachse
KR101781903B1 (ko) * 2016-05-25 2017-09-26 임영문 차량 운반용 다목적 트레일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07629A1 (de) * 1990-03-10 1991-09-12 Bergische Achsen Kotz Soehne Luftfederachse
KR101781903B1 (ko) * 2016-05-25 2017-09-26 임영문 차량 운반용 다목적 트레일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61457A (zh) * 2019-11-22 2020-03-06 成都凯天电子股份有限公司 全向行走被牵引机构
CN110861457B (zh) * 2019-11-22 2022-11-22 成都凯天电子股份有限公司 全向行走被牵引机构
KR20220168652A (ko) 2021-06-17 2022-12-26 주식회사 한서철도 저상트로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18657A (en) Vehicle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heavyweight objects in particular automotive vehicles
US7950675B1 (en) Cargo carrier
US4300787A (en) Lift axle suspension
US4036528A (en) Truck with tiltable body
MX2014002022A (es) Montaje elevador de eje.
KR101891757B1 (ko) 2단 에어스프링 타입의 저상 트레일러
JPS6259142A (ja) 車両用制御ステ−シヨン
US5848870A (en) Single person catering vehicle
US3737192A (en) Hinged mounting for tilt cab
CN208775940U (zh) 一种节能型后翻式卸车装置
US6234527B1 (en) Lifting device for lateral displacement of the trailing end of road vehicles
JP2901753B2 (ja) 車両、主に橋下部検分設備のシヤーシ
EP1203677A2 (en) Suspension assembly
US4375903A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augmenter
US20210047159A1 (en) Vehicle lift with high-capacity adjustable bridge
JP6763712B2 (ja) 軌陸両用作業車
US7841604B2 (en) Detachable trailing tag axle
US3203735A (en) Fluid operated tilting dump truck stabilizer
US5855378A (en) Elevator suspension and method of use
US6264221B1 (en) Base structure for a mobile access platform
JPS6337307Y2 (ko)
JP6592255B2 (ja) 作業車
JP2022088776A (ja) 軌陸車
EP2412589A1 (en) Drive system for manoeuvring a trailer, trailer provided with such a drive system and method for manoeuvring such a trailer.
CN107839701B (zh) 一种自运行无人驾驶轨道运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