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487B1 - 전동식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포밍 다공성 패드 - Google Patents

전동식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포밍 다공성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487B1
KR101891487B1 KR1020110037035A KR20110037035A KR101891487B1 KR 101891487 B1 KR101891487 B1 KR 101891487B1 KR 1020110037035 A KR1020110037035 A KR 1020110037035A KR 20110037035 A KR20110037035 A KR 20110037035A KR 101891487 B1 KR101891487 B1 KR 101891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pad
fibers
nonwoven
forming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7624A (ko
Inventor
니콜레타 배치바로바
데이비드 구버닉
마크 머피
Original Assignee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117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1/00Non-woven pile fabrics
    • D04H11/08Non-woven pile fabrics formed by creation of a pile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non-woven fabric without addition of pile-forming material, e.g. by needling, by differential shrink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1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mechanical mea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 D04H1/48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in combination with bond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11/00Specially adapted uses
    • D06N2211/08Cleaning articles

Abstract

핸드헬드(handheld) 장치에 커플링하기에 적합하고 인간 피부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포밍 다공성 패드는 다공성 패드 기재 및 이 다공성 패드 기재 상에 배치되는 포밍 조성물을 포함한다. 다공성 패드 기재는 부직 배킹 층 및 이 배킹 층으로부터 연장되는 개별 섬유들을 포함하는 파일(pile)을 갖는 부직 파일 직물을 포함한다. 부직 파일 직물은 데니어가 약 9 미만인 섬유들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포밍 다공성 패드와 전동식 핸드헬드 장치를 포함하는 키트, 포밍 다공성 패드의 제조 방법, 및 포밍 다공성 패드의 사용 방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동식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포밍 다공성 패드{Foaming porous pad for use with a motorized device}
본 발명은 전동식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포밍(foaming) 다공성 패드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세정 및 박피(exfoliating) 및 국소 제제의 침착과 같은 다양한 피부 케어 응용에 증가된 포밍을 제공하기 위한 다층 구조를 갖는 포밍 다공성 패드에 관한 것이다.
세정, 박피 또는 심지어 흔한 피부병 (기름기, 건조함, 모공, 검버섯, 반점, 다크닝(darkening), 불균일한 피부톤 등), 여드름 및 전형적으로 피부 노화 또는 인간 피부의 환경적 손상과 관련된 기타 만성적인 피부 문제를 제거하기 위해 피부에 대한 다양한 처치가 제안된다. 그러한 처치는 특수 화장품, 예를 들어, 팩 및 마스크의 적용, 비타민의 경구 섭취로부터 화학적 박피, 레이저 수술, 포토페이셜(photofacial) 및 기타 등등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피부 처치는 피부 조직으로의 효과제(benefit agent)의 전달 및 침착, 예를 들어, 세정 및 여드름 치료 조성물 또는 레티놀과 같은 재생제(rejuvenating agent)의 전달을 촉진할 수 있다. 생명을 위협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피부 건강 문제는 불쾌할 수 있으며 만성적인 무기력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피부는 매우 가시적이기 때문에, 피부 건강 문제 및 미용적 피부 상태는 이를 갖는 환자에게서 심리적 스트레스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인자들은 사람들로 하여금 건강 케어 및 피부 케어에 대한 개선된 해결책을 찾게 하였다.
기재-기반 피부 케어 장치, 예를 들어, 패드가 약간 정성이 들어 가지만 소비자의 가정에서 특별한 처치를 제공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서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이러한 제품으로부터 비교적 높은 효능을 기대한다. 그러한 기재-기반 피부 케어 장치를 피부의 소정 영역에 적용할 때, 기재는 거품(foam) 또는 비누거품(lather)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한 기재는 세정을 위한 거품을 생성할 수는 있지만, 초기에 짧은 시간 안에 원하는 양의 거품을 생성하지 못할 수 있거나 또는 사용 중에 높은 수준의 거품을 유지하지 못 할 수 있다. 소비자는 감소된 거품 부피가 감소된 세정 능력을 나타낸다고 일반적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이는 문제가 된다. 기재-기반 피부 케어 장치를 통한 피부 세정의 견지에서, 짧은 시간 안에 충분한 거품을 발생시키는 포밍 패드가 요구된다.
전술한 내용에 기초하여, 피부에 적용될 때 유용한 피부 이점을 신속하게 제공하면서 아울러 개선된 포밍을 제공하는 기재-기반 피부 케어 장치가 요구된다. 특히, 피부 세정, 박피 및/또는 진정 특성을 제공하는 기재-기반 피부 케어 장치가 요구된다.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기재-기반 피부 케어 장치에서 불량한 거품 형성의 문제를 해결하는 신규한 방법을 알아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핸드헬드(handheld) 장치에 커플링하기에 적합하고 인간 피부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포밍 다공성 패드는 다공성 패드 기재 및 이 다공성 패드 기재 상에 배치되는 포밍 조성물을 포함한다. 다공성 패드 기재는 부직 배킹(backing) 층 및 이 배킹 층으로부터 연장되는 개별 섬유들을 포함하는 파일(pile)을 갖는 부직 파일 직물을 포함한다. 부직 파일 직물은 데니어(denier)가 약 9 미만인 섬유들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키트는 전동식 핸드헬드 장치 및 포밍 다공성 패드를 포함한다. 전동식 핸드헬드 장치는 본체(body)와, 인간 피부를 향해 배치되도록 배열 및 구성되는 부착 표면을 포함한다. 포밍 다공성 패드는 약 50 내지 약 25 중량%의 다공성 패드 기재와, 다공성 패드 기재 상에 배치되는 약 50 내지 약 75 중량%의 포밍 조성물을 포함한다. 다공성 패드 기재는 부직 배킹 층과 이 배킹 층으로부터 연장되는 개별 섬유를 포함하는 파일을 갖는 부직 파일 직물을 포함한다. 부직 파일 직물은 데니어가 약 9 미만인 섬유를 갖는다. 포밍 다공성 패드는, 사용 동안 부직 파일 직물의 파일이 인간 피부를 향하게 배치되는 상태로, 포밍 다공성 패드가 핸드헬드 장치의 부착 표면에 커플링되도록 배열 및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포밍 다공성 패드의 제조 방법은 부직 파일 직물을 형성하는 단계, 부직 파일 직물에 포밍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부직 파일 직물로부터 개별 다공성 패드를 분할하는 단계, 및 복수의 개별 다공성 패드를 패키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포밍 다공성 패드는 핸드헬드 장치에 커플링하기에 적합하며 인간 피부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이러한 태양에서 부직 파일 직물은 개별 섬유들의 적어도 하나의 카딩(carded)된 웹(web)을 니들펀칭(needlepunching)하여 웹의 평면 내에서 주로 배향되는 섬유들의 실질적으로 통합된 평면 웹을 형성하고, 섬유들의 실질적으로 통합된 평면 웹을 니들펀칭하여 배킹 층으로부터 연장되는 개별 섬유들을 포함하는 파일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 부직 파일 직물의 섬유들은 데니어가 약 9 미만이고, 배킹 층의 섬유들은 웹의 평면 내에서 주로 배향된 채로 유지된다. 포밍 조성물은 개별 다공성 패드가 부직 파일 직물로부터 분할되기 전 또는 후에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인간 피부의 케어 방법은 포밍 다공성 패드를 전동식 핸드헬드 장치의 부착 표면에 커플링하는 단계, 포밍 다공성 패드를 습윤하는 단계, 전동식 핸드헬드 장치를 작동시켜 포밍 다공성 패드의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단계, 포밍 다공성 패드를 인간 피부에 대는 단계, 및 포밍 다공성 패드를 인간 피부의 도처로 움직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포밍 다공성 패드는 약 50 내지 약 25 중량%의 다공성 패드 기재와, 다공성 패드 기재 상에 배치되는 약 50 내지 약 75 중량%의 포밍 조성물을 포함한다. 다공성 패드 기재는 부직 배킹 층 및 이 배킹 층으로부터 연장되는 개별 섬유들을 포함하는 파일을 포함하는 부직 파일 직물을 갖는다. 부직 파일 직물은 데니어가 약 9 미만인 섬유들을 갖는다. 포밍 다공성 패드는, 사용 동안 부직 파일 직물의 파일이 인간 피부를 향하게 배치되는 상태로, 포밍 다공성 패드가 전동식 핸드헬드 장치의 부착 표면에 커플링되도록 배열 및 구성된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와 함께 본 내용을 읽음으로써 본 발명의 이러한 및 다른 특성, 태양 및 이점이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에 유용한 포밍 다공성 패드 및 핸드헬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2-2를 따라 취한 포밍 다공성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니들펀칭된 부직 다공성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포밍 다공성 패드의 제조 방법의 개략도이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의 설명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가장 완전한 범위까지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하기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어떤 방식으로도 본 내용의 나머지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박피" 및 이의 변형은 피부의 조직 세포를 박리하고 벗겨내는 것을 말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세정" 및 이의 변형은, 특히 계면활성제 세척 및 아마도 또한 피부의 모공 내로의 침투를 통해, 더러움, 유분 등을 피부의 표면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연마 세정 "(abrasive cleansing)에서, 어느 정도의 박피가 또한 일어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부직" 및 이의 변형은 얀 (이하, "개별 섬유"라고 함)으로 변환되지 않고 임의의 몇몇 수단에 의해 서로 접합된, 종이를 제외한, 천연 및/또는 인공 섬유들 또는 필라멘트들의 시트, 웹 또는 배트(bat)를 말한다." 더 명확히 하면, 부직물은 직조된 직물 또는 편직된 직물과는 구별된다. 부직 재료에 포함되는 섬유들은 스테이플 섬유 또는 연속 섬유일 수 있거나 또는 현장에서(in situ)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길이 대 직경 비가 약 300:1 초과인 섬유들에 의해 섬유질 물질(fibrous mass)의 약 50% 이상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파일 직물" 및 이의 변형은 섬유 단부 또는 비절단 섬유 루프가 표면 상에 조밀하게 일어서 있는 직물을 말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파일" 및 이의 변형은 직물의 한쪽 표면 상에 조밀하게 일어서 있는 섬유 단부 또는 비절단 섬유 루프를 갖는 직물의 층을 말한다.
간단히 설명하면,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배킹 층 및 배킹 층으로부터 연장되는 파일을 포함하는 파일 직물, 다공성 패드 기재를 제공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배경 기술 부분에서 언급된 단점들을 극복하며 그러한 기재 기반 피부 케어 시스템에 대해 인식되는 요구를 충족한다. 포밍 조성물이 다공성 패드 기재에 도포되며, 복수의 포밍 다공성 패드가 사용 시까지 패키징되어 있다. 배킹 층은 부직 파일 직물에 통합성(integrity)을 제공하며, 파일은 포밍 조성물이 습윤되어 전동식 시스템에 의해 및/또는 사용자의 손발로 피부에 대고 작용될 때 고도의 거품 수준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동식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다공성 패드 기재로부터 충분하고 오래 지속되는 양의 거품을 발생시키기에 유용한 시스템, 용품,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서, 그러한 시스템, 용품, 및 방법은 사용자에게 고도의 신뢰성과 편의성의 고유한 조합뿐만 아니라, 고도로 효과적인 포밍 다공성 패드를 제공한다.
다공성 패드 기재
주요 태양에 따르면, 그리고 광범위하게 말하면, 본 발명은 그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배킹 층, 배킹 층으로부터 연장되는 파일, 및 포밍 조성물을 포함하는 부직 파일 직물이다. 배킹 층은 바람직하게는 파일보다 섬유 밀도가 더 크며, x-y 평면 (배킹 층의 평면) 내에서 주로 배향된 섬유들을 가지고, 핸드헬드 장치에 대한 부착을 위한 접촉 표면을 제공한다. 파일은 배킹 층보다 덜 조밀하며 배킹 층의 밖으로 그리고 그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섬유들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패드가 원하는 양의 거품을 신속하게 발생시키고 사용 중 충분한 부피의 거품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포밍 작용은 사용자에 의해 적용되는 최소량의 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매우 다양한 재료가 다공성 패드 기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기재의 예에는 부직 직물, 예를 들어, 니들펀칭된 직물, 하이드로인탱글링된(hydro-entangled) 직물, 하이-로프트(high-loft) 직물, 또는 기타 인탱글링된 섬유 직물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공성 패드 기재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다공성 패드 기재의 섬유들에 둘러싸여, 섬유들을 따라, 및/또는 섬유들 사이에 포밍 조성물을 흡수하여) 적어도 제품이 제조된 때로부터 제품이 소비자에 의해서 사용될 때까지의 기간 (즉, 보관 기간(shelf storage period)) 동안 포밍 조성물을 보유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사용자가 포밍 다공성 패드를 전동식 어플리케이터에 대고 포밍 조성물을 피부 상에 작용시킬 수 있도록, 이러한 보관 기간 동안 포밍 다공성 패드의 다공성 패드 기재는 일반적으로 그 기계적 통합성을 유지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에 부합하는 포밍 다공성 패드 및 핸드헬드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포밍 다공성 패드(10)는 일반적으로 전동식 어플리케이터(20)에 닿게 놓아 사용자의 피부에 대해 누르도록 크기 및 형상이 설정된다. 포밍 다공성 패드(10)는 전동식 어플리케이터(20)의 어플리케이터 표면(22)에 들어맞는 것이 바람직하며, 즉, 포밍 다공성 패드(10)는 어플리케이터 표면(22)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어플리케이터의 형상에 들어맞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패드(10)는 인간 얼굴에서 효과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형태를 취하도록 펼치거나 또는 기껏해야 예비형성된 절취선을 따라 약간 찢는 것과 같은 단순한 조작만을 단지 필요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패드(10)는 배킹 층(12)이 어플리케이터 표면(22)에 인접하고 파일(14)이 사용자의 피부를 향하도록 배향되어 전동식 어플리케이터 상에 위치한다.
도 2에 더욱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일(14)의 섬유들의 근위 단부(proximal end; 16)는 배킹 층(12)에 고정되어 그로부터 연장한다. 파일(14)의 섬유들의 원위부 (distal portion; 18)는 배킹 층(12)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인접한 섬유들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인다. 섬유의 원위부(18)는 섬유의 자유 단부(18a)의 형태일 수 있으며, 즉, 섬유가 배킹 층 밖으로 연장하여 배킹 층(12)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자유 단부(18a)에서 끝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섬유의 원위부(18b)는 루프의 중간 부분일 수 있으며; 섬유는 배킹 층(12) 밖으로 그리고 그로부터 멀리 섬유의 루프의 중간 부분까지 연장되고 배킹 층(12)으로 되돌아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킹 층(12)은 파일(14)보다 밀도가 더 크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배킹 층 및 파일은 층 두께 비가 약 1.0:1.1 내지 약 1.0:1.5이며 바람직한 비는 약 1.0:1.2이다. 배킹 층(12)은 파일(14)보다 밀도가 더 크며; 배킹 층(12)은 밀도가 약 50 g/(㎡*㎜) 내지 약 80 g/(㎡*㎜)이고 파일(14)은 밀도가 약 30 g/(㎡*㎜) 내지 약 60 g/(㎡*㎜)이다. 바람직하게는, 배킹 층(12)은 밀도가 약 60 g/(㎡*㎜) 내지 약 70 g/(㎡*㎜)이고 파일(14)은 밀도가 약 40 g/(㎡*㎜) 내지 약 50 g/(㎡*㎜)이다.
본 발명의 부직 파일 직물은 도 3의 단면을 갖는 종래 기술의 패드(10')와는 상이하다. 뉴트로지나(등록상표) 웨이브™ (NEUTROGENA(등록상표) WAVE™) 파워 클렌저에 사용되는 딥 클린(DEEP CLEAN) 포밍 패드와 같은 종래 기술의 패드는 본 발명의 파일의 향상된 거품 발생 특성을 갖지 않는 부직 니들펀칭된 직물이다.
부직 기재는 다양한 천연 및/또는 합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천연"은 재료가 식물, 동물, 곤충, 또는 식물, 동물 및 곤충의 부산물로부터 유래되는 것을 의미한다. "합성"은 재료가 주로 다양한 인공 재료 또는 추가로 변경된 천연 재료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천연 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실크 섬유, 케라틴 섬유(예를 들어, 울 섬유, 낙타모 섬유) 및 셀룰로오스계 섬유(예를 들어, 목재 펄프 섬유, 면 섬유, 대마 섬유, 황마 섬유 및 아마 섬유)들이 있다.
합성 재료의 예에는 아세테이트 섬유, 아크릴 섬유,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섬유, 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비닐 알코올 섬유, 레이온 섬유, 폴리우레탄 폼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들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기재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부직 웹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폴리올레핀(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블렌드(blend)의 부직 웹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유용한 하나 이상의 천연 및 합성 재료로 제조된 기재는 프로이덴버그 앤드 컴퍼니(Freudenberg & Co.)(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던햄 소재), 비비에이 넌우븐스(BBA Nonwovens)(미국 테네시주 내슈빌 소재), 피지아이 넌우븐스(PGI Nonwovens)(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노스 찰스턴 소재), 버크아이 테크놀로지즈/워키소프트(Buckeye Technologies/Walkisoft)(미국 테네시주 멤피스 소재), 산쇼 시교 가부시끼 가이샤(Sansho Shigyo K.K.)(일본 고우찌 도사 시티 소재) 및 포트 제임스 코포레이션(Fort James Corporation)(미국 일리노이주 디어필드 소재)과 같은 매우 다양한 상업적 공급처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부직 기재의 제조 방법이 또한 본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법은 에어-레잉(air-laying), 워터-레잉(water-laying), 멜트-블로잉(melt-blowing), 스핀-본딩(spin-bonding) 또는 카딩 공정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생성된 기재는, 그의 제조 방법 또는 조성에 상관 없이, 몇몇 유형의 접합 작업 중 적어도 하나를 통상 적용하여 자립형 웹(self-sustaining web)을 형성하기 위해 개별 섬유들을 함께 고정시킨다. 부직 기재는 니들펀칭되는-인탱글먼트(needle punched-entanglement), 하이드로인탱글먼트(hydro-entanglement), 열 접합, 화학 접합 및 이들 공정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양한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더욱이, 기재는 단일 층 또는 다중 층을 가질 수 있다. 게다가, 다층 기재는 필름 층(들) (예를 들어, 천공 또는 비-천공 필름 층) 및 기타 비-섬유질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증가된 강도의 부직 재료는 또한 소위 스펀레이스(spunlace) 또는 하이드로인탱글먼트 기술을 사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술에서, 개별 섬유들은 만족할만한 강도 또는 견뢰도가 접합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얻어질 수 있도록 인탱글링될 수 있다. 후자의 기술의 이점은 부직 재료의 우수한 연성(softness)이다. 첨가제가 또한 기재의 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예에는 폴리올, 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탈레이트 유도체, 시트르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에스테르, 및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라이드가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부직 재료는 니들펀칭된 부질물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부직물은 파일을 형성하도록 딜로어(dilour) 가공된다. 이러한 공정은 파일에서 루프 및 루프가 아닌 섬유 단부를 제공할 수 있다.
파일에서 루프 또는 섬유 말단의 존재는 부직 파일 직물의 생산에 있어서 다수의 인자들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인자에는 직물 내 섬유들의 길이, 및 니들펀칭 단계, 특히 파일형성 단계에 사용되는 니들의 유형이 포함된다. 니들은 파일에서 다수의 절단 섬유들을 생성하여 자유 말단을 남기도록 선택될 수 있거나, 또는 절단되는 섬유들의 개수를 감소시켜 파일에서 더 큰 비율의 루프형 섬유들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다공성 패드 기재의 섬유들은 데니어가 비교적 낮다. 단면적 측면에서 섬유들이 너무 크면, 섬유들은 너무 뻣뻣해서 인간 피부에 사용하기에 불편할 것이다. 섬유들이 너무 작으면, 섬유들이 배킹 층으로 눕혀져 엉키게 될 것이다. 그에 의해 얻어지는 다공성 패드 기재는 원하는 고도의 포밍 특성을 제공하지 않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섬유들은 데니어가 약 9 이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섬유들의 약 90 중량% 이상은 데니어가 약 6 이하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다공성 패드 기재는 데니어가 약 6 이하인 섬유들의 블렌드, 더욱 바람직하게는 데니어가 약 3 및 약 6인 섬유들의 블렌드를 갖는다. 일 블렌드에서는, 약 90 내지 약 50 중량%의 더 작은 섬유 및 약 10 내지 약 50 중량%의 더 큰 섬유가 블렌딩된다. 바람직한 더 작은 섬유들은 데니어가 약 1.5 내지 약 4,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이다. 바람직한 더 큰 섬유들은 데니어가 약 4.5 내지 약 9,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이다.
다공성 패드 기재의 평량은 약 170 그램/제곱미터 (gsm) 내지 약 380 gsm, 예를 들어, 약 200 gsm 내지 약 350 gs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25 gsm 내지 약 300 gsm의 범위일 수 있다. 다공성 패드 기재는 평균 두께가 약 2.5 ㎜, 예를 들어, 약 1.5 ㎜ 내지 약 3.5 ㎜일 수 있다. 약 1.5 ㎜ 내지 약 3.5 ㎜의 평균 두께 및 약 1.0:1.1 내지 약 1.0:1.5의 배킹 층 및 파일의 층 두께 비에 의하여, 파일의 두께는 약 0.8mm 내지 약 2.1mm 범위일 수 있다. 따라서, 파일 내에서 연장되는 섬유의, 섬유 직경에 대한 파일 내 연장 섬유 길이의 비("어스펙트 비(aspect ratio)")에 있어, 1.5 ㎜의 평균 두께 및 1.0:1.1의 패킹 층 및 파일의 층 두께 비를 가지는 패드 내 9 데니어 폴리에틸렌 섬유에서 최저 어스펙트 비가 나타나며, 3.5 ㎜의 평균 두께 및 1.0:1.5의 패킹 층 및 파일의 층 두께 비를 가지는 패드 내 3 데니어 폴리에스테르 섬유에서 최고 어스펙트 비가 나타날 것이라는 점이 인지될 수 있으며, 그 결과, 파일 내 연장되는 섬유의 어스펙트 비는 약 21 내지 약 120일 수 있다.
감각 속성이 또한 다공성 기재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감각 속성의 예에는 기재의 색상, 텍스처, 패턴 및 엠보싱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포밍 조성물
포밍 다공성 패드는 포밍 조성물을 포함하며, 이는 예를 들어, 패드의 포밍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거품생성 계면활성제인,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포밍 조성물을 갖는 피부 처치 용품의 예는 에크노이안(Eknoian)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6/0141014호에 나타나있으며, 이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포밍 조성물은 액체에 의해 활성화된 후, (실시예 부분에서 하기에 기재된 "거품 시험"에 따라) 14초 미만 내에, 바람직하게는 약 12초 미만 내에,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1초 미만 내에 거품을 발생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포밍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충분한 양의 거품을 발생시키고 대략 적어도 약 2분 동안 지속시킨다.
포밍 다공성 패드가 원하는 양의 포밍을 제공하도록, 포밍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포밍 다공성 패드의 약 50 중량%이상 존재한다. 다시 말해, 1 g의 건조 다공성 패드 기재에는 약 1 g의 포밍 조성물이 적용되어 있을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포밍제가 포밍 다공성 패드의 약 50 내지 약 7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며, 다공성 패드 기재는 포밍 다공성 패드의 약 50 내지 약 25 중량%로 존재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포밍제는 포밍 다공성 패드의 약 60 내지 약 70 중량%로 존재하며, 다공성 패드 기재는 포밍 다공성 패드의 약 40 내지 약 30 중량%로 존재한다. 이러한 양으로 포밍 조성물이 존재함으로써, 포밍 조성물은 포밍 다공성 패드와 접촉하여 위치하는 피부 상에서 쉽게 작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적절한 양의 물이 투여될 때 충분한 포밍을 제공할 수 있다.
전동식 핸드헬드 장치
전동식 핸드헬드 장치(20)는 (포밍 다공성 패드를 통해 간접적으로) 그와 접촉하여 위치하는 피부에 움직임을 부여하도록 배열 및 구성된다. 전동식 핸드헬드 장치(20)는 본체(24) 및 포밍 다공성 패드를 커플링하기에 적합한 부착 표면(22)을 포함한다. 전동식 핸드헬드 장치(20)는 본체(24) 내의 모터와, 부착 표면에 커플링된 포밍 다공성 패드의 표면에 움직임을 부여하도록 모터로부터 부착 표면(22)으로 역학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커플러(coupler; 26)는 전동식 핸드헬드 장치(20)의 본체(24) 상의 리셉터클(receptacle; 28)에 끼워진다. 그러한 실시 형태에서, 커플러(26)는 포밍 다공성 패드의 표면과 맞물릴 수 있는 부착 표면(22), 예를 들어, 후크 및 루프 패스너(hook-and-loop fastener) 시스템의 복수의 후크를 제공한다. 이때 후크는 섬유들예를 들어, 포밍 다공성 패드의 배킹 층의 섬유들을 고정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에 의해 발생되는 움직임은 회전, 왕복 운동(oscillating), 진동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유용한 전동식 핸드헬드 장치(20)의 예는 구버닉(Gubernick) 등의 미국 특허 출원 제12/178,946호 및 제12/178,780호에 개시되며, 이들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효과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포밍 다공성 패드는 하나 이상의 효과제를 포함한다. "효과제"는, 미백제, 다크닝제(darkening agent), 예를 들어 셀프 태닝제(self-tanning agent), 항여드름제, 광택 조절제, 항미생물제, 항염증제, 항진균제, 항기생충제, 외용 진통제, 썬스크린(sunscreen), 광차단제, 산화방지제, 각질용해 및 박피제(keratolytic and exfoliating agent), 계면활성제, 보습제, 영양제, 비타민, 에너지 증강제, 발한방지제, 수렴제, 탈취제, 모발 성장 억제제, 모발 손실 방지제, 모발 성장 촉진제, 제모제, 피부 퍼밍제(skin-firming agent), 굳은살 제거제(anti-callous agent), 노화방지제, 예를 들어 주름방지제, 피부 컨디셔닝제(skin conditioning agent), 알러지 억제제, 소독제, 외용 진통제, 항소양제(antipruritics), 항히스타민제(antihistamine), 항감염제, 항콜린제(anticholinergics), 혈관 수축제, 혈관 확장제, 상처치유 촉진제, 펩티드, 폴리펩티드, 단백질, 탈취제, 발한방지제, 필름 형성 중합체(film-forming polymer), 반대자극제(counterirritant), 효소, 효소 억제제, 덩굴옻나무 처치제(poison ivy treatment agent), 독성옻나무 처치제(poison oak treatment agent), 화상 처치제; 항기저귀발진 처치제; 땀띠 처치제; 허브 추출물; 플라브노이드; 센세이트(sensate); 산화방지제, 각질용해제; 썬스크린; 및 항부종제(anti-edema agent)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피부에 대한 미용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화합물(예를 들어, 합성 화합물 또는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단리된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효과제는, 하이드록시산, 벤조일 퍼옥사이드, 설퍼 레소르시놀, 아스코르브산 및 그 유도체, D-판테놀, 하이드로퀴논, 옥틸 메톡시신니메이트, 이산화티타늄, 옥틸 살리실레이트, 호모살레이트, 아보벤존, 폴리페놀, 카로테노이드, 자유 라디칼 포착제, 스핀 트랩(spin trap), 레티노이드, 예를 들어 레티놀 및 레티닐 팔미테이트, 세라미드, 다중불포화 지방산, 필수 지방산, 효소, 효소 억제제, 광물, 호르몬, 예를 들어 에스트로겐, 스테로이드, 예를 들어 하이드로코르티손, 2-다이메틸아미노에탄올, 구리 염, 예를 들어 염화구리, 구리 함유 펩티드, 조효소(coenzyme) Q10, 리포산, 아미노산, 예를 들어 프롤린 및 타이로신, 리포 아미노산, 예를 들어 카프릴로일 글리신 및 사르코신, 비타민, 락토비온산, 아세틸-조효소 A, 나이아신, 리보플라빈, 티아민, 리보스, 전자 수송체, 예를 들어 NADH 및 FADH2, 및 기타 식물 추출물, 및 염, 에스테르와,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효과제는 전형적으로 액체 함침물의 약 0.0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 예를 들어 약 0.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예를 들어 약 0.1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것이다.
비타민의 예에는 비타민 A, 비타민 B, 예를 들어 비타민 B3, 비타민 B5, 및 비타민 B12, 비타민 C, 비타민 K, 및 비타민 E, 및 그의 염, 에스테르 및 유도체 (예를 들어, 레티닐 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빌 아세테이트, 및 토코페롤 아세테이트)가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이드록시산의 예에는 글리콜산, 락트산, 말산, 살리실산, 시트르산 및 타르타르산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산화방지제의 예는 수용성 산화방지제, 예를 들어 설프하이드릴 화합물 및 그 유도체 (예를 들어, 소듐 메타바이설파이트 및 N-아세틸-시스테인), 리포산 및 다이하이드로리포산, 레스베라트롤, 락토페린, 및 아스코르브산 및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 글루코사이드,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및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및 아스코르빌 폴리펩티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 적합한 유용성 산화방지제에는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 레티노이드 (예를 들어, 레티놀 및 레티닐 팔미테이트), 토코페롤 (예를 들어,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토코트라이에놀 및 유비퀴논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산화방지제 함유 천연 추출물은 플라보노이드 및 아이소파보노이드 및 그 유도체 (예를 들어, 제니스테인 및 다이아드제인)를 함유하는 추출물,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는 추출물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천연 추출물의 예에는 포도씨, 녹차, 소나무 껍질(pine bark), 및 프로폴리스가 포함된다.
식물 추출물의 예는 콩류, 예를 들어 대두, 알로에 베라, 피버퓨(Feverfew), 헤디키움(Hedychium), 대황, 쇠비름속(Portulaca), 백향목(Cedar Tree), 계피, 위치 하젤(Witch Hazel), 민들레, 구릿대(Chinese Angelica), 강황, 생강, 화란오이풀(Burnet), 약모밀(Houttuynia), 율무(Coix Seed), 및 백리향(Thyme)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식물 추출물"이 의미하는 것은 식물로부터 단리된 둘 이상의 화합물들의 블렌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효과제는 이마 영역 상에서의 적용을 위해 고안되며, 유분 조절제, 예를 들어 이산화티타늄, 알코올, 식물 추출물, 및 활석; 모공 관리제, 예를 들어 알파-하이드록시산, 베타-하이드록시산, 및 효소; 항여드름제, 예를 들어 벤조일 퍼옥사이드, 살리실산, 트라이클로르카르반, 트라이클로산, 아젤라인산, 클린다마이신, 아다팔렌, 에리스로마이신, 소듐 설파세타미드, 레틴산, 및 황; 유분-흡수제, 예를 들어 이산화티타늄 및 점토; 번들거림 조절제, 예를 들어 실리콘, 알코올, 활석, 및 점토; 기미 감소제, 예를 들어 비타민 C, 하이드로퀴논, 식물 추출물, 알파-하이드록시산, 베타-하이드록시산, 및 레티노이드; 및/또는 주름살/잔주름 감소제, 예를 들어 레티노이드, 알파-하이드록시산, 및 효소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 효과제는 입 주위에서의 적용을 위해 고안되며, 수화/보습제, 예를 들어 글리세린, 실리콘, 글리콜, 식물 추출물, 및 에스테르; 모공 관리제; 항여드름제; 혈관 확장제, 예를 들어 나이아신아미드 및 마로니에 추출물; 혈관 수축제, 예를 들어 카페인 및 식물 추출물; 피부-리프팅제(skin-lifting agent), 예를 들어 (예를 들어, 구리 함유 펩티드, 다이메티아미노에탄올, 및 중합체); 피부-퍼밍(skin-firming) 중합체; 주름살/잔주름 감소제; 탈색/피부 미백제, 예를 들어 비타민 C, 하이드로퀴논, 식물 추출물, 알파-하이드록시산, 베타-하이드록시산, 레티노이드, 알부틴, 및 코직산; 및 제모/모발 감소제, 예를 들어 대두 추출물, n-아세틸-시스테인, 및 아이소플라본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조합들이 고려되지만, 비제한적인 일례 하에서, 아스코르브산 및 그 유도체, 알파-하이드록시산, 베타-하이드록시산, 알칸올아민, 단백질, 효소 및 효소 활성화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효과제가 액체 함침물 중에 있으며, 레티노이드, 토코페롤, 효소, 효소 활성화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효과제가 액체 코어 내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패드는 국제특허 공개 WO 2004/052275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리그닌 퍼옥시다제(lignin peroxidase)와 같은 효소 및 과산화물(예를 들어, 과산화수소)과 같은 적합한 활성화제를 포함한다.
제품의 패키징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제품은 패키지 내부에 최종 패키징된 형태로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패키지는 포밍 다공성 패드를 수용하는 용기, 예를 들어, 밀봉된 가요성 필름 포장지(wrapper), 튜브, 통, 파우치 또는 병이다. 이러한 패키지는 플라스틱, 금속, 유리, 종이 및/또는 이들 재료의 조합 및 라미네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제품은 사용자에게 포밍 다공성 패드를 전동식 어플리케이터에 적용하도록 지시하는 설명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설명서는 사용자에게 제품을 직접 피부에 적용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설명서는 사용자에게 피부 적용 전에 포밍 다공성 패드에 액체를 적용하도록(예를 들어, 물, 토너, 또는 세정제를 제품에 부가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설명서는 포밍 다공성 패드를 피부 (예를 들어, 얼굴)와 일정 시간 동안, 예를 들어, 약 1분 내지 약 10분 (예를 들어, 약 3분 내지 약 7분) 동안 접촉시키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포밍 다공성 패드를 제거한 후에 피부 상에 남아있는 임의의 액체를 헹구도록 사용자에게 지시할 수 있다.
제품의 제조 및 사용 방법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밍 다공성 패드를 제조하기 위해 변경된 표준 부직물 제조 장치의 요소들을 도시한다. 하나 이상의 층을 하기 공정에서 조합할 수 있다. 제품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각각의 층에 대해 섬유들 및/또는 섬유 블렌드를 선택하고, 층들을 독립적으로 각각의 층에 대해 오프너(opener)로, 이어서 블렌더/믹서(blender/mixer)로 공급한다. 이어서, 각각의 층에 대한 이러한 섬유/섬유 블렌드를 전형적인 방직 카딩기의 투입측으로 공급하고, 이 카딩기는 각각의 층에 대해 섬유의 느슨한 웹 또는 배트를 형성하며, 이는 더 넓은 폭이 필요한 경우에 크로스래핑(cross-lapped)될 수 있다. 이어서, 하나 이상의 이러한 층을 니들펀칭을 통해 기계적으로 접합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웹(100)을 니들펀칭 스테이션(102)으로 도입하여 접합된 웹(104)을 형성한다. 이어서, 생성된 접합된 웹(104)을 때때로 딜로어 공정(독일 소재의 딜로 아게(Dilo AG)에 의해 개발됨)이라고 부르는 특수 니들펀칭 공정에서 추가로 가공한다. 스테이션(106)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이러한 공정에서, 니들펀칭 공정의 니들 보드(needle board)는 섬유들을 오직 한 방향으로만, 일반적으로 초기 니들펀칭된 직물 웹으로부터 외부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된 니들을 포함한다. 생성된 부직 파일 직물(108)을 펀칭 스테이션(110)으로 이동시키고, 여기서 부직 파일 직물(108)로부터 개별 다공성 패드 기재(112)를 펀칭해 낸다. 재활용을 위해 폐기물 격자(114)를 제거한다. 이어서, 부직 파일 직물로 형성된 다공성 패드 기재(112)에, 예를 들어 코팅 스테이션(116)에서 분무에 의해 투여하여 완성된 포밍 다공성 패드(118)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완성된 포밍 다공성 패드를 패키징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유용한 제조 방법의 이러한 개략적인 예시는 물론 몇몇 단계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된 웹(104), 부직 파일 직물(108), 또는 둘 모두를 롤로 감아서 후속 가공을 위해 보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원한다면 코팅 스테이션(116)이 펀칭 스테이션(110) 전에 위치할 수있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동식 핸드헬드 피부 케어 어플리케이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일회용 패드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접합된 웹을 형성하도록 니들펀칭된 2층의 카딩된 섬유들로 패드를 형성한다.
100% 백색 폴리에스테르 섬유들 (3 데니어, 75 ㎜ (3 인치) 길이)의 백색(white)/회백색(off-white) 층인 평량 145 gsm (4.3 oz/yd2)의 제1 카딩된 층과, 평량 115 gsm (3.4 oz/yd2)의 제2 카딩된 층으로 무결합제 부직 파일 직물을 형성한다. 제2 층은 공칭으로 60 중량%의 백색 폴리에스테르 섬유들 (3 데니어, 75 ㎜ (3 인치) 길이)와 40 중량%의 청색 폴리프로필렌 섬유 (5.0/6.0 데니어, 100 ㎜ (4 인치) 길이)로 형성한다. 이어서, 이러한 카딩된 층들을 니들펀칭하여, 공칭 평량이 약 260 gsm (7.7 oz/yd2)인 접합된 웹을 형성한다. 이어서, 이러한 접합된 웹을 딜로어 가공 유닛으로 도입하며, 여기서 부직 파일 직물을 형성한다. 이것은 또한 공칭 평량이 약 260 gsm (7.7 oz/yd2)이다.
실시예 2
포밍 시험을 실시하여 거품 개시 시간(time to onset of foam)을 측정하였다. 포밍 시험 절차는 다음과 같다.
포밍 시험:
목적:
· 오리지널 웨이브(Original Wave) 패드 및 새로운 포밍 업그레이드(Foaming Upgrade) 패드를 사용하여 거품 개시 시간을 정량화하고 거품의 양을 정성적으로 확증한다.
사용한 장비:
· 미국 플로리다주 폼파노 비치 소재의 폴 엔. 가드너 컴퍼니, 인크. (Paul N. Gardner Company,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가드코 선형 동작 시험 장비(Gardco LINEAR MOTION TEST EQUIPMENT), 모델 D10V
설정:
· 패드 상의 500 그램의 중량추 및 가드코 장비 "브러시 박스"(Brush Box)에 고정되는 패드 부착구(pad attachment)를 사용하여 시험 유닛을 구성한다.
· 러빙(rubbing) 표면은 평평한 고무 표면 (고무 0.32 ㎝ (1/8 인치) 두께, 15 쇼어 "A" 경도계)이다.
· 시험 유닛 스트로크(stroke)를 25.4 ㎝ (10 인치)로 그리고 속도를 1초당 50.8 ㎝ (20 인치)로 설정한다 (주: 이는 스트로크당 1초에 해당함)
· 카운터(counter)를 60 스트로크로 설정한다 - 스트로크는 "좌측으로 1회 동작 및 우측으로 1회 동작"이다.
· 비이커 내에 32℃ (90℉) 수돗물을 제공한다.
절차:
· 기기가 지정된 속도, 스트로크, 중량추 등등에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 패드를 물에 (약 1초) 담그고 여분의 물을 배출시킨다 (주: 패드 픽업(pickup)은 패드 섬유들 및 구조와 상관 관계가 있을 것이다).
· 패드를 부착구 상에 위치시키고 중량추가 가해진 브러시 박스를 정 위치에 설치한다.
· 카운터(스트로크 동작)를 개시하고 거품의 길이방향 에지를 관찰한다.
· 거품이 패드 스트로크의 양측에서 현저한 선을 형성한 때 (이것이 거품 개시 시간임) 카운터 수를 기록한다.
· 기기를 전체 60 카운트(스트로크) 동안 계속되게 한다.
· 중량추가 가해진 브러시 박스를 제거하고 유닛을 촬영한다 (이것이 정성적으로 거품의 양임).
· 적어도 3회 반복한다.
본 발명의 다공성 패드 기재의 거품 발생이 개선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움직임 발생 핸드헬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시판되는 일회용 세정 패드(뉴트로지나(등록상표) 웨이브™ 파워 클렌저 딥 클린 포밍 패드)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부직 파일 직물 다공성 패드)를 비교하였다. (약 0.34 g의 질량을 갖는 약 40 ㎜ 직경의) 패드들에 동일한 양(약 0.75 g)의 동일 세정 조성물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6/0141014호에 개시된 것과 유사함)을 투여하고, 각각에 대해 3개의 패드를 상기한 포밍 시험에 따라 시험하였다. 거품 개시 시간 및 상대적인 거품의 양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절대적인 거품의 부피는 기록하지 않았다). 그 결과가 하기 표 1에 나타나 있다.
Figure 112011029554573-pat00001
상기 데이터의 검토 결과는 부직 파일 직물로 형성된 다공성 패드 기재가 유의미하게 개선된 포밍 품질을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기재는 거품 생성의 개시가 더 빠르며 상대적으로 더 많은 거품을 발생시킨다.
상기 상세한 설명, 실시 형태, 및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완전하고 비제한적인 이해를 돕고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의 많은 변형 및 실시 형태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첨부된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Claims (14)

  1. 핸드헬드(handheld) 장치에 커플링하기에 적합하며 인간 피부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포밍(foaming) 다공성 패드로서,
    상기 패드는
    a. 데니어(denier)가 1.5 내지 10이고, 섬유의 50% 이상이 길이 대 직경 비가 300:1 초과인 섬유 블렌드를 포함하는 부직 파일 직물을 포함하는 50 내지 25 중량%의 다공성 패드 기재로서, 상기 부직 파일 직물은:
    i. 제1 부직 표면 및 제2 표면을 가지는 부직 배킹(backing) 층으로서 상기 제1 부직 표면은 핸드헬드 장치에 부착되기 위한 표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부직 배킹 층; 및
    ii. 상기 부직 배킹 층으로부터 형성되고, 배킹 층 제2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개별 섬유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파일(pile)로서, 상기 개별 섬유 각각은 서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부직 배킹 층 제2 표면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연장되고 서로 떨어져 있는 자유 단부를 가지는 파일 섬유를 포함하는, 파일
    을 포함하는, 다공성 패드 기재, 및
    b. 상기 다공성 패드 기재 상에 배치되는 50 내지 75 중량%의 포밍 조성물
    을 포함하고;
    서로 떨어져 있는 자유 단부를 가지는 상기 파일 섬유를 포함하도록 상기 부직 배킹 층으로부터 상기 파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부직 배킹 층이 처리되는, 포밍 다공성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 파일 직물은 데니어가 6 이하인 섬유들을 90 중량% 이상 포함하는, 포밍 다공성 패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 파일 직물은 섬유들의 블렌드(blend)를 포함하며, 상기 섬유들의 90 내지 50 중량%는 3 이하의 제1 데니어를 갖고, 상기 섬유들의 10 내지 50 중량%는 상기 제1 데니어보다 크고 6 이하인 제2 데니어를 갖는, 포밍 다공성 패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 다공성 패드는 60 내지 70 중량%의 상기 포밍 조성물을 포함하는, 포밍 다공성 패드.
  6. a. 본체(body)와, 인간 피부를 향해 배치되도록 배열 및 구성되는 부착 표면을 포함하는 전동식 핸드헬드 장치; 및
    b. 포밍 다공성 패드로서, 상기 포밍 다공성 패드는
    i. 길이 대 직경 비가 300:1을 초과하는 섬유의 50% 이상으로 형성되고, 부직 배킹 층 및 상기 배킹 층으로부터 연장되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개별 섬유들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파일을 포함하는, 부직 파일 직물로서 데니어가 3 내지 9이고 어스펙트 비(aspect ratio)가 21 내지 120인 섬유들을 포함하는 상기 부직 파일 직물을 포함하는 다공성 패드 기재 50 내지 25 중량%, 및
    ii. 상기 다공성 패드 기재 상에 배치되는 50 내지 75 중량%의 포밍 조성물로서, 적어도 하나의 거품생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포밍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포밍 다공성 패드는, 사용 동안 상기 부직 파일 직물의 파일이 인간 피부를 향하게 배치되는 상태로, 상기 포밍 다공성 패드가 상기 핸드헬드 장치의 상기 부착 표면에 커플링되도록 배열 및 구성되는, 상기 포밍 다공성 패드
    를 포함하는, 키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표면은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된 리셉터클(receptacle) 내에 배치되는 커플러(coupler)를 포함하는, 키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 다공성 패드는 40 내지 30 중량%의 상기 다공성 패드 기재 및 60 내지 70 중량%의 상기 포밍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 파일 직물은 섬유들의 블렌드를 포함하며, 상기 섬유들의 90 내지 50 중량%는 3 이하의 제1 데니어를 갖고, 상기 섬유들의 10 내지 50 중량%는 상기 제1 데니어보다 크고 6 이하인 제2 데니어를 갖는, 키트.
  10. 핸드헬드 장치에 커플링하기에 적합하며 인간 피부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포밍 다공성 패드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개별 섬유들의 적어도 하나의 카딩된 웹(web)을 니들펀칭(needlepunching)하여 웹의 평면 내에서 주로 배향되는 섬유들의 실질적으로 통합된 평면 웹을 형성하고, 상기 섬유들의 실질적으로 통합된 평면 웹을 니들펀칭하여 배킹 층으로부터 연장되고 데니어가 9 미만인 개별 섬유들을 포함하는 파일을 형성하되, 상기 배킹 층의 상기 섬유들이 상기 웹의 평면 내에서 주로 배향된 채로 유지되게 상기 파일을 형성함으로써 부직 파일 직물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부직 파일 직물에 포밍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부직 파일 직물로부터 개별 다공성 패드들을 분할하는 단계; 및
    d. 복수의 개별 다공성 패드들을 패키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포밍 다공성 패드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 파일 직물에 상기 포밍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상기 부직 파일 직물로부터 상기 개별 다공성 패드들을 분할하는 단계 후에 실시하여 개별 포밍 다공성 패드들을 형성하는, 포밍 다공성 패드의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 파일 직물에 상기 포밍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상기 부직 파일 직물로부터 상기 개별 다공성 패드들을 분할하는 단계 전에 실시하여 개별 포밍 다공성 패드들을 형성하는, 포밍 다공성 패드의 제조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는 50 내지 25 중량%의 다공성 패드 기재 및 50 내지 75 중량%의 상기 포밍 조성물을 갖는 포밍 다공성 패드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포밍 조성물을 도포함을 포함하는, 포밍 다공성 패드의 제조 방법.
  14. 삭제
KR1020110037035A 2010-04-21 2011-04-21 전동식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포밍 다공성 패드 KR1018914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64,479 US8308702B2 (en) 2010-04-21 2010-04-21 Foaming porous pad for use with a motorized device
US12/764,479 2010-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624A KR20110117624A (ko) 2011-10-27
KR101891487B1 true KR101891487B1 (ko) 2018-08-24

Family

ID=4411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035A KR101891487B1 (ko) 2010-04-21 2011-04-21 전동식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포밍 다공성 패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8308702B2 (ko)
EP (1) EP2386672B1 (ko)
KR (1) KR101891487B1 (ko)
CN (3) CN104814596A (ko)
BR (1) BRPI1101802A2 (ko)
CA (1) CA273769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365794T5 (pl) 2009-01-28 2018-01-31 Rau Be Beteiligungen Gmbh Urządzenie do oczyszczania ran
US20100226948A1 (en) 2009-03-05 2010-09-09 Medicis Pharmaceutical Corpor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acne
US8500754B2 (en) 2010-04-30 2013-08-06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Handheld, personal skin care systems with detachable skin care elements
US9475709B2 (en) 2010-08-25 2016-10-25 Lockheed Martin Corporation Perforated graphene deionization or desalination
KR101106787B1 (ko) * 2011-07-20 2012-01-18 배명근 탄력유동구가 내재된 분리형 진동퍼프
US9610546B2 (en) 2014-03-12 2017-04-04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eparation membranes formed from perforated graphene and methods for use thereof
US10653824B2 (en) 2012-05-25 2020-05-1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Two-dimensional materials and uses thereof
US10376845B2 (en) 2016-04-14 2019-08-13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mbranes with tunable selectivity
US10980919B2 (en) 2016-04-14 2021-04-20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thods for in vivo and in vitro use of graphene and other two-dimensional materials
US9834809B2 (en) 2014-02-28 2017-12-05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yringe for obtaining nano-sized materials for selective assays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9744617B2 (en) 2014-01-31 2017-08-2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thods for perforating multi-layer graphene through ion bombardment
US10118130B2 (en) 2016-04-14 2018-11-06 Lockheed Martin Corporation Two-dimensional membrane structures having flow passages
US9394637B2 (en) 2012-12-13 2016-07-19 Jacob Holm & Sons Ag Method for production of a hydroentangled airlaid web an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TWM458143U (zh) * 2013-02-06 2013-08-01 Microbase Technology Corp 可替換式美容敷片之增效裝置
TW201504140A (zh) 2013-03-12 2015-02-01 Lockheed Corp 形成具有均勻孔尺寸之多孔石墨烯之方法
US9572918B2 (en) 2013-06-21 2017-02-2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Graphene-based filter for isolating a substance from blood
WO2015116946A1 (en) 2014-01-31 2015-08-06 Lockheed Martin Corporation Perforating two-dimensional materials using broad ion field
KR20160142282A (ko) 2014-01-31 2016-12-12 록히드 마틴 코포레이션 다공성 비-희생 지지층을 사용하여 2차원 물질로 복합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세스
CA2942496A1 (en) 2014-03-12 2015-09-17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eparation membranes formed from perforated graphene
JP2017534311A (ja) 2014-09-02 2017-11-24 ロッキード・マーチン・コーポレーション 二次元膜材料をベースとする血液透析膜および血液濾過膜、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方法
USD764172S1 (en) * 2015-01-22 2016-08-23 Wenzhou Onicare Electrical Technology, Co. Sonic face brush
AU2016303048A1 (en) 2015-08-05 2018-03-0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Perforatable sheets of graphene-based material
MX2018001559A (es) 2015-08-06 2018-09-27 Lockheed Corp Modificacion de nanoparticula y perforacion de grafeno.
DE102015011165A1 (de) * 2015-09-01 2017-03-02 New Flag GmbH Waschvorrichtung
WO2017180133A1 (en) 2016-04-14 2017-10-1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thods for in situ monitoring and control of defect formation or healing
CA3020686A1 (en) 2016-04-14 2017-10-1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thod for treating graphene sheets for large-scale transfer using free-float method
KR20190018411A (ko) 2016-04-14 2019-02-22 록히드 마틴 코포레이션 그래핀 결함의 선택적 계면 완화
DE202016002788U1 (de) 2016-04-28 2016-06-16 Lohmann & Rauscher Gmbh Applikationshilfe für die Behandlung von Wunden
CN107041705A (zh) * 2016-08-30 2017-08-15 陈刚 洗浴搓洗装置
CN110381865A (zh) * 2016-11-23 2019-10-25 Lcl企业公司 微晶研磨系统及其相关技术
US11528981B2 (en) 2017-01-20 2022-12-20 Mark Andrew Messenger Cosmetic source applicator with multiple cartridges
CN113522808B (zh) * 2021-08-09 2022-04-15 自然资源部第二海洋研究所 一种海上平台桩柱清洁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8588A1 (en) * 2000-03-03 2003-01-09 Gregor Kohlruss Textile skin cleaning device
US20050043653A1 (en) * 2003-08-21 2005-02-24 Azalea Way Consumer Products Llc, Skin cleansing and moisturiz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02361A (en) * 1964-06-09 1968-02-07 Ici Ltd Tufted fabrics
US3472242A (en) * 1967-02-10 1969-10-14 Howard Demner Cosmetic removal pad
GB1587411A (en) 1976-07-22 1981-04-01 Iws Nominee Co Ltd Cleaning pad
US4673525A (en) * 1985-05-13 1987-06-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ltra mild skin cleansing composition
US6090085A (en) * 1991-05-30 2000-07-18 Mehl, Sr.; Thomas L. Skin moisturizing and buffing device
DE9302437U1 (ko) 1993-02-19 1993-04-15 Stanitzok, Horst, 7811 St. Peter, De
US5595567A (en) 1994-08-09 1997-0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woven female component for refastenable fastening device
CN1112617A (zh) * 1995-04-10 1995-11-29 吴树旺 远红外纤维絮片及其制作方法
CN2352548Y (zh) * 1998-08-11 1999-12-08 北京和发工贸公司 防钻毛高保暖絮片
US6453502B1 (en) * 1998-12-22 2002-09-24 Bishop Deforest Universal cleaning and polishing pad
US6257785B1 (en) * 1999-08-06 2001-07-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emi-enclosed applicator utilizing a selectively-activatible sheet material for dispensing and dispersing a substance onto the surface of a target object
US7638144B2 (en) * 1999-10-04 2009-12-29 Dermanew, Inc. Com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kin rejuvenation
US6794351B2 (en) * 2001-04-06 2004-09-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ulti-purpose cleaning articles
GB0208029D0 (en) 2002-04-06 2002-05-15 Accantia Holdings Ltd Fabric & application
JP3895212B2 (ja) * 2002-04-12 2007-03-22 エヌアイ帝人商事株式会社 清掃用立毛布帛およびモップ
DE10225072C1 (de) 2002-06-05 2003-11-06 Carcoustics Tech Ct Gmbh Kraftfahrzeug-Bodenbelag mit getufteter Velours-Teppichschicht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7115551B2 (en) * 2002-06-07 2006-10-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sing articles for skin or hair
ATE486637T1 (de) 2002-12-12 2010-11-15 R B T Rakuto Bio Technologies Verwendung von ligninperoxidase zur haut- und haaraufhellung
CN100522119C (zh) * 2002-12-20 2009-08-05 宝洁公司 簇状纤维网
EP1572147A1 (en) 2002-12-20 2005-09-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oth-like personal care articles
US20050155631A1 (en) * 2004-01-16 2005-07-21 Andrew Kilkenny Cleaning pad with functional properties
US7306569B2 (en) 2004-06-30 2007-12-11 Aldran H. LaJoie Systems and methods for skin care
US20060010625A1 (en) * 2004-07-14 2006-01-19 Zuko, Llc Cleansing system with disposable pads
ATE387877T1 (de) 2004-07-15 2008-03-15 Domo Nv Rutschfeste verkleidung
US7384405B2 (en) * 2004-09-10 2008-06-10 Rhoades Dean L Oxygenating cosmetic instrument having various numbers of heads
DE102004054299A1 (de) 2004-11-09 2006-05-11 Carcoustics Tech Center Gmbh Akustisch wirksames Teppichformteil für Kraftfahrzeug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20060247585A1 (en) * 2004-11-17 2006-11-02 Kelly Albert R Disposable pads for applying and distributing substances to target surfaces
US20060141014A1 (en) 2004-12-28 2006-06-29 Eknoian Michael W Skin treatment articles and methods
US20070010828A1 (en) 2005-06-23 2007-01-11 Michael Eknoian Material for mechanical skin resurfacing techniques
EP1925231A4 (en) * 2005-08-26 2014-10-01 Toray Industries SKIN CA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080052866A1 (en) 2006-09-05 2008-03-06 Asmo Co., Ltd. Wiper arm and vehicle wiper
US20080103563A1 (en) * 2006-10-26 2008-05-01 Lumiport, Llc Light therapy personal care device
US7426776B2 (en) * 2007-02-07 2008-09-23 Milliken & Company Nonwoven towel with microsponges
EP1990236A1 (en) 2007-05-08 2008-11-12 Rieter Technologies AG Automotive carpet arrangement comprising a main floor carpet with insert mat
US20100198119A1 (en) 2007-07-31 2010-08-05 David Gubernick Mechanical skin resurfacing device and method for use
US20100168626A1 (en) 2007-07-31 2010-07-01 David Gubernick Shaped, motorized skin-treatment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8588A1 (en) * 2000-03-03 2003-01-09 Gregor Kohlruss Textile skin cleaning device
US20050043653A1 (en) * 2003-08-21 2005-02-24 Azalea Way Consumer Products Llc, Skin cleansing and moisturiz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86672B1 (en) 2014-12-24
CA2737690C (en) 2018-05-29
CN104814595B (zh) 2017-12-15
US8308702B2 (en) 2012-11-13
BRPI1101802A2 (pt) 2012-08-21
US20110262645A1 (en) 2011-10-27
US9080267B2 (en) 2015-07-14
EP2386672A3 (en) 2011-11-23
CN102273800B (zh) 2015-11-25
CN104814596A (zh) 2015-08-05
US20110258796A1 (en) 2011-10-27
CA2737690A1 (en) 2011-10-21
US9045847B2 (en) 2015-06-02
CN102273800A (zh) 2011-12-14
CN104814595A (zh) 2015-08-05
US20150147474A1 (en) 2015-05-28
KR20110117624A (ko) 2011-10-27
US20110258791A1 (en) 2011-10-27
EP2386672A2 (en)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487B1 (ko) 전동식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포밍 다공성 패드
EP2384734A2 (en) Transparent facial treatment mask
TWI510688B (zh) 積層片及其製造方法
CA2502391C (en) Product for treating the skin
US20070099813A1 (en) Effervescent cleansing article
EP2213197A1 (en) Facial treatment mask comprising an isolation layer
JP2006056875A (ja) 少なくとも1つの吸収シートを含む美容用及び/または皮膚科用のパーソナルケア及び/またはクレンジング吸収製品
JP2007007062A (ja) 液体含浸用皮膚被覆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フェイスマスク
JP2009240788A (ja) 顔用マスク
JP2022037051A (ja) 積層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液体含浸用シート、液体含浸シートならびにフェイスマスク
KR20090013141A (ko) 기계적 피부 재생 장치 및 사용 방법
JP5702082B2 (ja) 毛穴中の皮脂除去方法
US20050074484A1 (en) Product for administration of active agents to different areas of the skin
WO2020108733A1 (en) Wet wipes for cleansing and moisturizing of the skin
JP7310053B2 (ja) 対人用化粧料含浸シート、対人用化粧料含浸シート用積層不織布
WO2000056277A1 (en) Cosmetic towelettes
KR20220147665A (ko)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액체 함침 시트 및 와이핑 시트
TW201141701A (en) Transparent facial treatment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