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271B1 - 소음기 - Google Patents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271B1
KR101891271B1 KR1020170093517A KR20170093517A KR101891271B1 KR 101891271 B1 KR101891271 B1 KR 101891271B1 KR 1020170093517 A KR1020170093517 A KR 1020170093517A KR 20170093517 A KR20170093517 A KR 20170093517A KR 101891271 B1 KR101891271 B1 KR 101891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absorbing body
compressed air
cover
sile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상영
Original Assignee
파워제넥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워제넥스(주) filed Critical 파워제넥스(주)
Priority to KR1020170093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1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in combination with sound-absorb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장치에 장착되어 배기 소음을 줄이는 소음기와 관련되며, 실시예로 압축공기가 배기되는 배기홀에 장착되는 소음기에 있어서, 상기 배기홀와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배기홀와 연통되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 상기 통로의 단부에 안치되며, 배출되는 압축공기가 통과하는 흡음체 및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흡음체를 구속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체를 포함하고 상기 통로의 단부에 형성된 단턱부에 안치되어, 상기 흡음체의 하면 가장자리와 측면의 일부가 상기 몸체에 파지되고, 상기 흡음체의 상면의 일부가 상기 커버체에 파지되며, 상기 흡음체의 측면 나머지 부분이 노출됨에 따라 상기 흡음체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면적보다 상기 흡음체를 거쳐 압축공기가 빠져나가는 유출면적이 더 크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음기{Silencer}
본 발명은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장치에 장착되어 배기 소음을 줄이는 소음기와 관련된다.
압축공기는 장치의 구동 동력으로써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밸브를 구현함에 있어서 압축공기가 구동원으로써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 에어실린더, 솔레노이드 밸브, 공압 브레이크 장치, 에어 공구 등에 압축 공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설비나 장치에서는 기계 작동에 따라 압축공기를 외기로 배출하게 되는데, 이때 대기와의 기압 차이에 의해 날카로운 소음이 발생하므로, 이러한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소음기를 장착하게 된다.
밸브와 같은 기계 장치에서 소음기가 필요한 압축 공기 배기홀은 여러 군데에 구비될 수 있다. 또 소음기는 주변 장치와의 배치 관계나 각종 액세서리의 간섭 등을 고려하여 가능한 작은 사이즈로 제작될 필요가 있다.
한편 소음기가 장착되는 배기홀은 외부의 이물질이 공압 기계 장치 내부로 들어가는 통로가 될 수 있다. 공압 장치 내부에는 압축공기로 작동하는 부품들 간의 기밀을 위한 실링이나 윤활제 등이 구비되는데, 이들이 외부에서 유입된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 기밀 성능이 낮아져 온전한 작동을 보장할 수 없게 되며, 수명이 줄어들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02505호 (2001.01.15)
본 발명은 압축공기의 배출 소음은 저감되면서 압축공기의 배출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소음기를 제시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압축공기가 배기되는 배기홀에 장착되는 소음기에 있어서, 상기 배기홀와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배기홀와 연통되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 상기 통로의 단부에 안치되며, 배출되는 압축공기가 통과하는 흡음체 및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흡음체를 구속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체를 포함하는 소음기를 제시한다. 이때 상기 흡음체는 상기 통로의 단부에 형성된 단턱부에 안치되어, 상기 흡음체의 하면 가장자리와 측면의 일부가 상기 몸체에 파지되고, 상기 흡음체의 상면의 일부가 상기 커버체에 파지되며, 상기 흡음체의 측면 나머지 부분이 노출됨에 따라 상기 흡음체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면적보다 상기 흡음체를 거쳐 압축공기가 빠져나가는 유출면적이 더 크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커버체는 압축공기의 배출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시각표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각 표출부는 내부에 이동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로의 입구측이 상기 흡음체를 향하도록 상기 커버체에 결합되는 투명커버와, 상기 흡음체를 거쳐 배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이동로를 타고 상승하는 표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각표출부는 상기 표시기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흡음체를 관통하는 로드, 상기 흡음체를 통과한 상기 로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체크볼 및 상기 체크볼과 상기 흡음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체크볼을 탄성 있게 밀어내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체에는 상기 흡음체의 둘레를 이격되게 감싸는 내측 둘레벽과, 상기 내측 둘레벽과 이격된 최외각 둘레벽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 둘레벽에는 복수의 제1 배기구가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최외각 둘레벽에는 복수의 제2 배기구가 상기 제1 배기구와 엇갈린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흡음체가 상기 제1 배기구 및 상기 제2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체와 상기 몸체는 끼움결합 또는 볼트체결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커버체와 결합하는 결합자리가 복수로 구비되어 있어, 상기 결합자리의 선정에 따라 상기 몸체에 상기 커버체는 장착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통로에는 스프링을 지지하는 거치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로드의 둘레를 감싸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주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끝단부가 상기 단턱부의 둘레에 형성된 장착자리에 수용되는 복수의 연장편을 포함하는 소음기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높은 소음 저감, 원활한 압축공기의 배출이 가능하며, 외부 오염원으로부터 흡음체가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소음기의 수명을 길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각적으로도 소음기의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흡음체와 관련된 도면.
도 5는 도 3의 (a)에 표시된 A - 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도니 실시예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소음기에 채용된 흡음체와 관련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주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9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과 실시예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100)는 몸체(10), 흡음체(20) 및 커버체(30)를 포함한다.
소음기(100)는 압축공기를 대기로 배출하는 각종 공압장치의 배기홀(도시 생략)에 장착되는 것으로, 몸체(10)의 후단에 형성된 나사산(11)을 통해 배기홀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몸체(10)의 외측면은 6면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측면은 스패너 등 조립 공구를 통하여 소음기(100)를 배기홀에 손쉽게 나사 체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배기홀에 소음기의 결합 방식은, 나사산을 통한 나사체결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몸체(10)의 내부에는 공압장치의 배기홀와 연통되는 통로(12)가 형성되어 있다. 통로(12)는 몸체(10)의 중앙부를 상하로 관통한다.
흡음체(20)는 통로(12)의 단부에 안치되어 있어, 몸체의 통로로 배출되는 압축공기는 흡음체(20)를 거친 후 대기로 배기된다.
흡음체(20)는 대략 낮은 원통형으로 통로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이다.
흡음체는 세라믹이나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공지된 방법에 따라 다공질로 제작될 수 있다. 나아가 흡음체(20)는 얇은 와이어를 무작위로 뭉친 와이어 메시 타입으로 제작할 수 있다. 적정한 두께의 와이어를 선정하고, 집약 밀도를 조절함으로써 배출 저항이 매우 적은 흡음체를 제작할 수 있다. 흡음체에 대해서는 나중에 추가 설명하기로 한다.
커버체(30)는 몸체(10)에 결합하면서, 통로(12)의 단부에 안치된 흡음체(20)를 파지함으로써 흡음체의 이탈을 방지한다.
흡음체(20)가 소음기(100) 내부에 파지되는 구조를 살펴본다. 통로(12)의 단부에는 내경을 넓힌 단턱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단턱부(13)의 원통형 내주면(131)의 높이는 흡음체(2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주면(131)의 상부는 통로(12)의 출구를 향하여 점차 넓어지는 경사면(132)으로 형성되어 있다.
흡음체(20)의 하면(21) 가장자리(211)가 단턱부(13)의 턱(133)에 걸리고, 흡음체(20)의 측면 둘레가 단턱부(13)의 내주면(131)에 감싸지면서, 흡음체(20)가 통로(12)의 단부에 안치된다. 도 3의 (b)에 나타낸 확대도를 참고하면, 흡음체(20)의 측면 중 아래의 일부는 단턱부(13)의 내주면(131)에 접하고 있다. 반면 흡음체(20)의 측면 중 상부는 경사면(132)이 시작되는 지점부터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가 된다.
흡음체(20)의 상면(22)은 커버체(정확히는 투명커버(41)의 누름돌기(413))에 의해 눌러짐으로써, 흡음체(20)는 통로(12)의 단부에서 이탈하지 않게 된다.
추가적인 구성으로, 소음기(100)는 압축공기의 배출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시각표출부(40)를 구비한다.
시각표출부(40)는 투명커버(41)와 표시기(42)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시각표출부(40)는 투명커버(41)와 표시기(42)에 더하여 로드(43), 체크볼(44) 및 스프링(45)을 추가로 포함한다.
투명커버(41)는 내부에 이동로(4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가 개방되어 입구를 형성하고 있다. 투명커버(41)는 커버체(30)의 상면에 형성한 관통홀에 결합되며, 투명커버(41)는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이다.
투명커버(41)의 하단에는 커버체(30)의 천장면에 접촉하는 접촉부(412)와, 이 접촉부(412)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흡음체(20)의 상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누름돌기(413)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체(30)의 천장면이 접촉부(412) 및 누름돌기(413)를 지지함으로써, 누름돌기(413)가 흡음체(20)를 온전히 파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투명커버(41)의 선단부는 커버체(30)의 상면보다 더 돌출되어 있다. 이렇게 소음기 외부로 돌출된 투명커버의 선단부를 통해 압축공기의 배기시에 표시기(42)를 볼 수 있게 된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시각표출부가 구비되지 아니하는 다른 실시예에서 누름돌기는 커버체의 천장면에서 연장되도록 커버체를 성형할 수 있다.
표시기(42)는 눈에 잘 띄는 색을 가질 수 있고, 이동로(411)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짐으로써, 이동로(411)를 타고 이동이 가능하다.
투명커버(41)의 개방된 입구측이 흡음체(20)의 위에 위치함으로써, 흡음체(20)를 거쳐 배기되는 압축공기에 밀려나는 표시기(42)가 투명커버(41)의 이동로(411)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표시기(42)가 투명커버(41) 내에서 일정 높이 이상으로 올라감에 따라, 소음기(100)의 외부로 돌출된 투명커버(41)의 선단부를 통해 표시기(42)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소음기의 작동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음에 따라, 소음기에 의해 배기 소음이 줄어듦에도 불구하고 정상 작동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 복잡한 공압장비들에 구비된 많은 배기 포트들 가운데 어느 포트에서 배기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가까이 접근하지 아니하여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작업자가 고압의 압축공기가 언제 배출될지 모를 배기 포트에 가까이 접근하지 아니하여도 되므로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된다.
소음기는 공압장치의 배기홀 위치에 따라 기울어지게 장착되거나 지면을 향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표시기의 복귀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시각표출부(40)는 투명커버(41)와 표시기(42)에 더하여 로드(43), 체크볼(44) 및 스프링(45)을 더 포함한다.
로드(43)는 일단부가 표시기(42)와 결합되어 있으며, 흡음체(20)를 관통하여 타단부는 체크볼(44)에 연결된다. 로드(43)가 흡음체(20)의 중앙을 관통하며, 흡음체에 대하여 길이 방향에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흡음체(20)에는 로드홀(23)이 형성되어 있다.
체크볼(44)은 몸체(10)의 통로(12)에 형성된 오목부(134)에 접촉하거나 이와 떨어짐으로써 체크 밸브로 작동할 수 있다. 또 흡음체(20)의 하면과 체크볼(44) 사이에는 체크볼(44)을 흡음체(20)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있게 밀어내는 스프링(45)이 개재되어 있다.
로드(43)에 의해 연결된 표시기(42)와 체크볼(44)은 일체를 이루며, 통로(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도 3의 (a)를 참고하면, 압축공기의 배출이 없는 때에는 스프링(45)의 복원력으로 인해 체크볼(44)이 통로(12)의 오목부(134)를 막은 상태가 되며, 그에 따라 표시기(42)도 하강하여 소음기(100) 외부에서 표시기(42)를 볼 수 없게 가려진다.
도 3의 (b)를 참고하면, 압축공기의 배출 시에는, 배기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스프링(45)이 압축되면서 체크볼(44), 로드(43) 및 표시기(42)가 상승하게 된다. 커버체(30)의 밖으로 돌출된 투명커버(41)를 통해 표시기(42)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체크볼(44)과 표시기(42)가 로드(43)에 의해 연결된 구성을 채택함에 따라 배기에 따르 표시기(42)의 상승이 보다 확실히 이루어진다. 압축공기가 통로에 진입함에 따라 체크볼(44)이 밀려나 상승하고, 그에 따라 로드(43)에 연결된 표시기(42)의 상승이 함께 일어나기 때문이다.
압축공기의 배출이 종료되면 스프링(45)이 복원되면서 도 3의 (a)에 도시한 상태로 이전된다.
도 4는 흡음체의 작용과 관련된다. 도 4의 (a)에서 압축공기는 통로(12)를 통해 흡음체(20)의 하면(21)에서 유입되며, 복잡한 흡음체의 내부 공극을 통과한 후 흡음체(20)의 상면(22)과 공기 중으로 노출된 측면의 일부(25)를 통해 배기된다.
도 4의 (a)는 공기가 유입되는 흡음체의 하면(21) 면적을 나타내고 있다. 단턱부의 턱에 가려지는 가장자리 부분(A1), 스프링이 접촉하는 부분(A2) 및 로드가 통과하는 부분(A3)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면적을 통해 압축공기가 흡음체로 유입된다.
도 4의 (b)는 흡음체에서 압축공기가 빠져나가는 면적을 나타내고 있다. 흡음체의 상면(22)에서는, 흡음체를 누르는 지지돌기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A4), 로드가 통과하는 부분(A5)이 제외된다. 한편 단턱부의 둘레벽에 가려지지 아니하는 흡음체의 측면 둘레(25)를 통해 압축공기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도 4의 (a)와 (b)를 대비하면 압축공기가 흡음체 안으로 들어오는 유입면적(A_in)보다, 흡음체를 거쳐 압축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유출면적(A_out)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유입면적(A_in)과 유출면적(A_out)의 면적 차이는, 흡음체로 유입된 압축공기가 더욱 넓은 면적으로 분산 배출되게 함으로써, 흡음체에 의한 소음 저감을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이다. 또한 흡음체를 통과하는데 발생하는 저항을 가능한 줄임으로서 원활한 압축공기의 배출을 돕는다.
도 2와 도 4는, 커버체(30)의 내부 구조와 관련된다.
커버체(30)에는 흡음체의 둘레를 이격되게 감싸는 내측 둘레벽(31)과 최외각 둘레벽(32)이 포함된다. 내측 둘레벽(31)과 최외각 둘레벽(32)은 서로 이격되어 있다.
내측 둘레벽(31)에는 복수의 제1 배기구(311)가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으며, 최외각 둘레벽(32)에는 제2 배기구(321)가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어, 이들 제1, 2 배기구는 흡음체(20)를 통과한 압축공기가 소음기 외부로 빠져나가는 통로가 된다.
이때 제1 배기구(311)와 제2 배기구(321)는 흡음체를 중심으로 한 방사선상에서 겹치지 아니하도록 엇갈린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소음기를 외부에서 관찰하였을 때에 제2 배기구(321)와 제1 배기구(311)를 통하여 흡음체(20)를 볼 수 없다. 또한 흡음체(20)에서 배기된 압축공기가 제1 배기구(311)와 제2 배기구(321)를 거쳐 소음기를 빠져나갈 때에 직선이 아닌 굴절된 궤적으로 흐르게 된다.
도면에서는 제1 배기구(311)와 제2 배기구(321)가 각각 4 개소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1 배기구 및 제2 배기구의 수와 배치 간격은 흡음체를 중심으로 한 방사선상에서 서로 겹치지 않는 조건이 지켜지는 가운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최외각 둘레벽과 내측 둘레벽의 이중 구조에 더하여 추가적인 둘레벽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배기구가 엇갈리게 형성된 내측 둘레벽(31)과 최외각 둘레벽(32)이 미로식 구조물을 형성하고, 그 중앙에 흡음체(20)가 배치됨에 따라, 외부의 이물질이 흡음체에 접근하기 어렵게 된다. 이로써 외부 이물질에 의한 흡음체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커버체는 낙하하는 이물질의 소음기 내부 침임을 1차적으로 방지하며, 소음기 내부의 미로식 구조는 외부 이물질이 흡음체에 침입하는 것을 저지한다.
도 6은 소음기가 공압장치의 측면에 장착되는 경우에 취할 수 있는 커버체의 장착 방향과 관련된다.
커버체(30)와 몸체(10)는 끼움결합 또는 볼트체결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몸체(10)에는 커버체(30)와 결합하는 결합자리(135)가 복수로 구비되어 있으며, 조립자가 어느 결합자리(135)를 통해 커버체와 결합할지를 결정함에 따라 커버체의 결합방향을 달리 할 수 있다.
도면에서 커버체(30)와 몸체(10)는 한 쌍의 볼트(B)에 의해 체결된다. 커버체(30)에는 한 쌍의 볼트(B)가 장착되며, 몸체(10)에는 통로(12)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6개의 결합자리(135), 즉 볼트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체(30)의 볼트(B)를 몸체에 형성한 6개의 볼트체결홀 중 대향하는 한 쌍을 선택하여 체결시킴에 따라, 도 6의 (a), (b), (c)로 도시한 커버체의 결합 방향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면의 상하가 중력 작용 방향으로 가정할 때에, 최외각 둘레벽(32)이 상부를 향하는 도 6의 (a)의 방향으로 커버체(30)를 몸체(10)에 결합하는 것이, 낙하는 외부 오염물이 소음기(100)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가장 효과적이게 된다.
커버체(30)의 조립 방향은 예상되는 오염물이 주로 어느 방향에서 날아드는지를 고려함으로써 조립자에 의한 사후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몸체(10)가 공압장치의 배기홀에 나사 체결됨을 고려하면, 제2 배기구(321)가 어느 방향을 향하게 될지를 미리 알 수 없다. 배기홀에 소음기(100)를 나사 체결시킨 후, 커버체(30)의 조립 방향을 사후적으로 변경하여 오염원의 소음기 내부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서 결합자리(135)(볼트체결홀)는 흡음체(2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6개소로 구성하였으나, 도시하지 아니한 다른 실시예에서 결합자리의 수는 4 개소 또는 8 개소 등으로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몸체와 커버체의 결합방식을 끼움턱과 끼움홈 등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몸체에 구비되는 끼움홈을 커버체에 구비되는 끼움턱에 비해 복수로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흡음체의 내부와 관련된다.
흡음체(20)의 변형에 대한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흡음체 내부에 보강구조물(24)를 삽입할 수 있다. 도시된 보강구조물(24)은 원통형상인 흡음체의 외형을 고려하여, 흡음체(20)의 하면에 모서리 내측으로 둘러지는 링부(241)와, 이 링부(241)의 상면에 연장되어 있으며, 선단부가 중앙 상부를 향하도록 굴절되어 있는 복수의 연장편(242)을 포함한다. 여기서 연장편(242)은 넓은 폭 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수직을 이루도록 굴절되어 있다.
보강구조물(24)은 휨 저항이 높은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연장편들(242)의 선단부는 로드가 통과하는 로드홀(23)의 내주면에 이르지 아니한다.
링부(241)는 단턱부의 턱에 흡음체(20)의 하면 가장자리가 온전히 지지되게 하며, 복수의 연장편(242)은 흡음체(20)의 소재들을 잡아두게 된다. 이로써 로드의 이동에 따른 로드홀(23) 내주면에서의 마찰이나 스프링의 탄성 지지 등 지속적인 외력에 의한 흡음체(20)의 외형 변형을 가급적 줄일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 두께보다 훨씬 넓게 제작된 링부(241)의 폭과 연장편(242)의 폭이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상하 방향에 따라 놓이도록 함으로써 흡음체(20)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에 대한 영향을 가급적 줄이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100)는 커버체(30)가 분리 가능함에 따라 흡음체(20)의 분리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흡음체(20)의 노출면적을 크게 확보함으로써 배기 성능의 향상되며 소음의 높은 저감이 가능하다.
시각표출부(40)를 구비함으로써 압축공기의 배기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다. 다수의 배기홀이 구비된 공압장치에서는 배기 소음이 사방에서 계속 들려오므로 특정 배기홀에서의 배기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미로 구조를 형성하는 내측 둘레벽(31)과 최외각 둘레벽(32)은 외부 이물질에 의한 흡음체(20)의 오염 우려를 덜 수 있게 하여, 흡음체(20)에 의한 높은 소음 저감효과를 오랜 기간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오염원의 접근 방향을 고려하여 커버체(30)의 조립 방향을 달리할 수 있으므로 오염원으로부터 흡음체를 더욱 적극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체크볼(44)은 압축공기를 배출하지 않는 경우에 통로(12)를 막아 줌으로써 오염물질이 공압장치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예방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흡음체(20)에 보강구조물(24)가 내포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흡음체의 변형을 예방하고 흡음체의 수명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과 관련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100)는 몸체(10), 흡음체(20), 커버체 및 시각표출부를 포함하며,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과 저촉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몸체(10)에 형성한 통로(12)의 단턱부(13)에는 거치부재(50)가 장착된다. 거치부재(50)는 원통부(51)와, 원통부(51)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장편(52)을 포함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3개의 연장편(52)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도시하지 아니한 다른 실시예에서 연장편의 수는 달라질 수 있다.
원통부(51)는 로드(43)의 둘레를 감싸는 원통 기둥 형상으로, 중앙의 홀을 통해 로드(43)가 그 길이 방향으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다. 원통부(51)는 로드(43)의 길이 방향 이동만을 허용함으로써 급작스런 압축공기 분출에 따른 로드의 길이 방향 외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배기에 따른 불규칙한 공기 흐름은 체크볼과 로드를 불규칙하게 흔들 수 있는데, 이러한 로드의 불안정한 움직임은 흡음체를 변형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원통체(51)가 구비됨에 따라 로드(43)의 직선 운동이 보장되어 전술한 로드(43)의 불규칙한 움직임에 따른 흡음체의 변형 우려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연장편(52)은 원통부(51)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뻗은 가지 형상인데, 그 끝단부는 단턱부(13)의 둘레에 형성된 장착자리(136)에 수용된다.
거치부재(50)의 연장편들(52)은 스프링(45)의 단부를 지지함으로써, 스프링(45)이 흡음체(20)의 하면(21)을 직접 누르지 않게 한다. 스프링(45)의 신축에 따른 반발력이 흡음체(20)에 직접 전달되지 아니함에 따라 그로 인한 흡음체(20)의 변형 우려를 크게 덜 수 있다.
나아가 거치부재(50)의 상면은 단턱부(13)의 턱과 대등하게 맞추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같은 평면으로 형성된 거치부재(50)의 상면과 단턱부(13)의 턱은, 흡음체(20)의 하면(21)을 온전히 받치게 되어, 설사 흡음체(20)가 다소 변형되더라도 통로(12)의 안쪽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흡음체 파지의 안정성은 턱의 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허용함으로써 흡음체 하면의 유입면적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게 한다.
100 : 소음기
10 : 몸체
11 : 나사산 12 : 통로 13 : 단턱부 131 : 내주면
132 : 경사면 133 : 턱 134 : 오목부 135 : 결합자리
136 : 장착자리 B : 볼트
20 : 흡음체
21 : 하면 211 : 가장자리 22 : 상면 23 : 로드홀
24 : 보강구조물 241 : 링부 242 : 연장편 25 : 측면의 일부
30 : 커버체
31 : 내측 둘레벽 311 : 제1 배기구
32 : 최외각 둘레벽 321 : 제2 배기구
40 : 시각표출부
41 : 투명커버 411 : 이동로 412 : 접촉부 413 : 누름돌기
42 : 표시기 43 : 로드 44 : 체크볼 45 : 스프링
50 : 거치부재
51 : 원통부 52 : 연장편

Claims (6)

  1. 압축공기가 배기되는 배기홀에 장착되는 소음기에 있어서,
    상기 배기홀와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배기홀와 연통되는 통로(12)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10),
    상기 통로(12)의 단부에 안치되며, 배출되는 압축공기가 통과하는 흡음체(20) 및
    상기 몸체(10)에 결합되며 상기 흡음체(20)를 구속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체(30)를 포함하고,

    상기 흡음체(20)는 상기 통로(12)의 단부에 형성된 단턱부(13)에 안치되어, 상기 흡음체(20)의 하면(21) 가장자리(211)와 측면의 일부가 상기 몸체(10)에 파지되고,
    상기 흡음체(20)의 상면(22)의 일부가 상기 커버체(30)에 파지되며,
    상기 흡음체(20)의 측면 나머지 부분이 노출됨에 따라 상기 흡음체(20)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면적(A_in)보다 상기 흡음체(20)를 거쳐 압축공기가 빠져나가는 유출면적(A_out)이 더 크며,

    상기 커버체(30)는 압축공기의 배출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시각표출부(40)를 구비하고,
    상기 시각표출부(40)는
    내부에 이동로(4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로(411)의 입구측이 상기 흡음체(20)를 향하도록 상기 커버체(30)에 결합되는 투명커버(41)와,
    상기 흡음체(20)를 거쳐 배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이동로(411)를 타고 상승하는 표시기(42)를 포함하는
    소음기.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시각표출부(40)는
    상기 표시기(42)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흡음체(20)를 관통하는 로드(43),
    상기 흡음체(20)를 통과한 상기 로드(43)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통로(12)를 개폐할 수 있는 체크볼(44) 및
    상기 체크볼(44)과 상기 흡음체(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체크볼(44)을 탄성 있게 밀어내는 스프링(45)을 포함하는
    소음기.
  4. 제3항에서,
    상기 통로(12)에는 스프링(45)을 지지하는 거치부재(50)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재(50)는
    상기 로드(43)의 둘레를 감싸는 원통부(51)와,
    상기 원통부(51)의 주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끝단부가 상기 단턱부(13)의 둘레에 형성된 장착자리(136)에 수용되는 복수의 연장편(52)을 포함하는
    소음기.
  5. 제1항에서,
    상기 커버체(30)에는
    상기 흡음체(20)의 둘레를 이격되게 감싸는 내측 둘레벽(31)과,
    상기 내측 둘레벽(31)과 이격된 최외각 둘레벽(32)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 둘레벽(31)에는 복수의 제1 배기구(311)가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최외각 둘레벽(32)에는 상기 흡음체(20)의 중심을 통과하는 방사선상에서 상기 제1 배기구(311)와 겹치지 아니하는 복수의 제2 배기구(321)가 형성되어 있는
    소음기.
  6. 제1항에서,
    상기 커버체(30)와 상기 몸체(10)는 끼움결합 또는 볼트체결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몸체(10)에는 상기 커버체(30)와 결합하는 결합자리(135)가 복수로 구비되어 있어, 상기 결합자리(135)의 선정에 따라 상기 몸체(10)에 대한 상기 커버체(30)의 장착 방향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KR1020170093517A 2017-07-24 2017-07-24 소음기 KR101891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517A KR101891271B1 (ko) 2017-07-24 2017-07-24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517A KR101891271B1 (ko) 2017-07-24 2017-07-24 소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271B1 true KR101891271B1 (ko) 2018-08-24

Family

ID=63454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517A KR101891271B1 (ko) 2017-07-24 2017-07-24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2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722B1 (ko) * 2007-03-08 2007-09-05 한국뉴매틱(주) 공압장치용 사일렌서
KR200440992Y1 (ko) 2007-09-07 2008-07-16 조종래 압축공기 배기용 소음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722B1 (ko) * 2007-03-08 2007-09-05 한국뉴매틱(주) 공압장치용 사일렌서
KR200440992Y1 (ko) 2007-09-07 2008-07-16 조종래 압축공기 배기용 소음저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8052B2 (en) Fluid pressure cylinder
EP2868430B1 (en) Clamp device
US20060012089A1 (en) Boot for hydraulic, hydropneumatic or pneumatic piston-cylinder units
KR20010062391A (ko) 게이트밸브
JP2014008598A5 (ko)
JP2012131019A (ja) マグネティックグラブ
TWM495452U (zh) 流體壓缸
KR101891271B1 (ko) 소음기
CN106794735A (zh) 用于车辆悬架系统的弹簧座组件
KR101784923B1 (ko) 그리퍼
ES2693084T3 (es) Disposición de estanqueidad con elemento de amortiguación
JP6773943B2 (ja) 往復圧縮機のフロー制御アクチュエータ
US7328881B2 (en) Evacuating valve
US20190203744A1 (en) Reduced noise reciprocating pneumatic motor
JP2015229263A (ja) タイヤ成形金型用プラグ及びこれを用いたタイヤ成形金型
JP6496535B2 (ja) 保持装置
CN108884941A (zh) 切换阀
CN107503909B (zh) 压缩机气阀和压缩机
US10131006B2 (en) Pneumatic device for a pneumatic saw
TWI675967B (zh) 平衡缸及使用平衡缸的工件搬送裝置
KR101761870B1 (ko) 완충기
KR101397674B1 (ko) 볼 트랜스퍼
KR100764470B1 (ko) 가스 실린더
JPH0729285Y2 (ja) 自動移動防止機構付き流体圧シリンダ
KR200477306Y1 (ko) 안전 소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