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188B1 -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188B1
KR101891188B1 KR1020170046019A KR20170046019A KR101891188B1 KR 101891188 B1 KR101891188 B1 KR 101891188B1 KR 1020170046019 A KR1020170046019 A KR 1020170046019A KR 20170046019 A KR20170046019 A KR 20170046019A KR 101891188 B1 KR101891188 B1 KR 101891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display
groove
cam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덕
Original Assignee
에스티커넥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커넥터(주) filed Critical 에스티커넥터(주)
Priority to KR1020170046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1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각각 별도로 기능하거나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대화면 디스플레이부를 구현할 수 있는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는, 제1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 바디에 대하여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힌지부; 상기 제1 힌지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 상기 제1 힌지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 힌지부에 대하여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힌지부; 상기 제2 힌지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 및 상기 제2 힌지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측면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와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Portable device with dual display}
본 발명은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각각 별도로 기능하거나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대화면 디스플레이부를 구현할 수 있는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서로 포개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힌지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서로 포개짐으로써 보관 및 이동이 편리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두 개의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만을 영상 표시용으로 사용하거나 둘 모두를 영상 표시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힌지구조를 통해 일자로 펼쳐짐으로써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가지고 하나의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힌지구조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로 펼쳐진 배치를 가질 때, 두 개의 디스플레이 간의 경계 부근에 힌지구조에 따른 이격거리가 존재함으로써 그 경계 부근에서 영상이 매끄럽게 연결되지 못하고 분리감이 나타나 사용자가 느끼는 영상 품질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그리고 일반적인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서로 포개진 상태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3187호(2014.11.1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7107호(2012.10.24)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각각 별도로 기능할 수 있고,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를 연결하여 하나의 대화면 디스플레이부를 구현할 수 있는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는, 제1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 바디에 대하여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힌지부; 상기 제1 힌지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 상기 제1 힌지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 힌지부에 대하여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힌지부; 상기 제2 힌지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 및 상기 제2 힌지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측면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와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바디에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제2 힌지부가 삽입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바디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와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할 때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가 동일한 방향을 향할 때 상기 슬라이드홈에는 상기 제1 힌지부와 제2 힌지부가 모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힌지부는, 어느 일측이 상기 제1 힌지부에 힌지결합되고 다른 일측에 가이드핀이 돌출형성되는 슬라이드부와,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부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결합부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슬라이드홈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드 탄성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상기 결합부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2 바디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탄성부는, 상기 제1 힌지축과, 상기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캠부와, 상기 캠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1 힌지축을 따라 이동하는 캠홀더와, 상기 캠홀더를 상기 캠부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바디에는 상기 캠홀더 및 제1 코일스프링이 삽입되는 제1 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힌지부에는 상기 캠부가 삽입되는 캠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제2 힌지축과, 상기 제2 힌지축이 관통하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토션스프링을 어느 일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힌지부에는 상기 토션스프링이 삽입되는 스프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힌지부에는 상기 제2 힌지축 및 제2 코일스프링이 삽입되는 제2 힌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코일스프링은 상기 토션스프링을 상기 스프링홈 방향으로 가압한다.
본 발명의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는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각각 별도로 기능할 수 있으며,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연결하여 하나의 대화면 디스플레이부를 구현하면서 제1 힌지부와 제2 힌지부의 노출을 차단하고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가 밀착되도록 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 사이의 갭을 최소화함으로써, 서로 연결된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의 일체감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바디, 제1 힌지부, 제1 탄성부를 별도로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힌지부, 제2 힌지부, 제2 탄성부를 별도로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바디, 제2 힌지부, 제2 탄성부를 별도로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의 사시도.
도 8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제1 바디와 제2 바디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바디가 제1 바디로부터 이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바디가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의 사시도.
본 발명은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각각 별도로 기능하거나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대화면 디스플레이부를 구현할 수 있는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각각 별도로 기능할 수 있으며,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연결하여 하나의 대화면 디스플레이부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는 제1 힌지부와 제2 힌지부의 노출을 차단하고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가 밀착되도록 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 사이의 갭을 최소화함으로써, 서로 연결된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의 일체감을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는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0), 제2 바디(20), 제1 힌지부(30), 제2 힌지부(40), 제1 탄성부(50) 및 제2 탄성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0)에는 정면에 제1 디스플레이부(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디스플레이부(11)는 전방을 향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된다.
그리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0)의 배면에는 삽입홈(12)이 형성된다. 삽입홈(12)에는 제2 디스플레이부(21)가 제1 디스플레이부(11)와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할 때 제2 바디(20)의 결합부(22)가 삽입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부(11)가 전방을 향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21)가 후방을 향하도록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바디(10)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12)에 제2 바디(20)의 결합부(22)가 삽입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0)에는 캠홀더(53) 및 제1 코일스프링(54)이 삽입되는 제1 힌지홈(13)이 형성된다. 캠홀더(53) 및 제1 코일스프링(54)은 제1 탄성부(50)와 함께 자세히 설명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20)에는 제2 디스플레이부(21)가 형성된다. 제2 디스플레이부(21)는 서브 디스플레이부가 된다. 제2 바디(20)는 제1 힌지부(30) 및 제2 힌지부(40)에 의해 제1 바디(10)를 기준으로 슬라이드이동 및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부(21)는 제1 디스플레이부(11)와 동일하게 전방을 향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부(11)의 측면에 위치하거나 제1 디스플레이부(11)와 반대로 후방을 향하도록 제1 바디(10)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바디(20)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2)가 형성되고, 결합부(22)에는 제2 힌지부(40)가 삽입되는 슬라이드홈(23)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홈(23)이 형성되는 결합부(22)의 내측에는 가이드홈(24)이 형성된다. 가이드홈(24)에는 제2 힌지부(40)의 가이드핀(42)이 삽입되어 제2 바디(20)의 이동거리를 제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부(21)가 후방을 향하도록 위치할 때, 삽입홈(12)에 결합부(22)가 삽입되어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가 결합하여 서로 밀착된다.
제1 힌지부(30)는 제1 바디(10)에 힌지결합되어 제1 바디(10)에 대하여 제1 힌지축(5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제1 바디(10)에 대한 제1 힌지부(30)의 회전가능한 각도는 90°이다.
이러한 제1 힌지부(3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0)를 향하는 방향에 캠홈(31)이 형성된다. 캠홈(31)에는 제1 탄성부(50)의 캠부(52)가 삽입된다. 그리고 제1 힌지부(3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힌지부(40)를 향하는 방향에 스프링홈(32)이 형성된다. 스프링홈(32)에는 제2 탄성부(60)의 토션스프링(62)이 삽입된다.
캠부(52)와 토션스프링(62)은 제1 탄성부(50) 및 제2 탄성부(60)와 함께 자세히 설명한다.
제2 힌지부(40)는 제1 힌지부(30)에 힌지결합되어 제1 힌지부(30)에 대하여 제2 힌지축(6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제2 힌지부(4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41)와 슬라이드 탄성부(44)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드부(41)는 슬라이드홈(23)에 삽입되고, 일측이 제1 힌지부(30)에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슬라이드부(41)에는 가이드홈(24)에 삽입되는 가이드핀(42)이 돌출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드부(41)에는 제1 힌지부(30)를 향하는 방향에 제2 탄성부(60)의 제2 힌지축(61) 및 제2 코일스프링(63)이 삽입되는 제2 힌지홈(43)이 형성된다.
슬라이드 탄성부(44)는 일단이 슬라이드부(41)에 장착되고 타단이 결합부(22)에 장착되어 슬라이드부(41)가 슬라이드홈(23)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1 디스플레이부(11)와 제2 디스플레이부(21)가 동일한 방향인 전방을 향하도록 제2 바디(20)가 제1 바디(10)의 측면에 위치할 때, 슬라이드 탄성부(44)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가 서로 밀착되어 나란히 배치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부(11)와 제2 디스플레이부(21)는 하나의 대화면 디스플레이부를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슬라이드 탄성부(44)는 토션스프링의 일종으로 두 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슬라이드홈(23)에 삽입되는 슬라이드부(41)와 결합부(22) 사이에는 슬라이드부(41)가 슬라이드이동할 때 발생하는 마찰을 감소기키기 위하여 POM가이드(45)가 배치된다.
제1 탄성부(50)는 제1 바디(10)와 제1 힌지부(3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힌지부(3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1 탄성부(50)에 의해 제1 힌지부(30)는 제1 바디(10)에 대하여 90°회전한 전후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제1 탄성부(5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축(51), 캠부(52), 캠홀더(53) 및 제1 코일스프링(54)으로 이루어진다. 제1 힌지축(51)은 제1 힌지홈(13)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1 힌지축(51)은 캠홀더(53) 및 제1 코일스프링(54)을 관통하고 단부가 캠부(52)에 삽입된다. 캠부(52)는 제1 힌지축(51)을 중심으로 제1 힌지부(30)와 함께 회전한다. 즉 캠부(52)는 캠홈(31)에 삽입되어 제1 힌지부(30)와 함께 제1 힌지축(5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캠홀더(53)는 캠부(52)와 접촉하여 제1 힌지축(51)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제1 코일스프링(54)은 캠홀더(53)를 캠부(52) 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탄성부(50)는 외력에 의해 제1 힌지부(30)가 회전하면 캠부(52)가 함께 회전하면서 캠홀더(53)와 맞닿은 캠부(52)의 캠형상에 따라 캠홀더(53)가 후퇴하면서 제1 코일스프링(54)을 압축시키고, 제1 힌지부(30) 및 캠부(52)가 회전하면서 캠형상의 임계점을 지나면 제1 코일스프링(54)에 의해 캠홀더(53)가 전진하게 된다. 이후, 외력이 제거되면 캠홀더(53) 및 제1 코일스프링(54)에 의해 캠부(52) 및 제1 힌지부(30)가 임의로 회전하지 못하고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2 탄성부(60)는 제1 힌지부(30)와 제2 힌지부(40) 사이에 배치되어 제2 힌지부(4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2 탄성부(60)에 의해 제2 힌지부(40)와 제2 바디(20)가 제2 힌지축(6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제2 탄성부(6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힌지축(61), 토션스프링(62) 및 제2 코일스프링(63)으로 이루어진다. 제2 힌지축(61)은 제2 힌지홈(43)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2 힌지축(61)은 토션스프링(62) 및 제2 코일스프링(63)을 관통하고 단부가 스프링홈(32)에 삽입된다. 토션스프링(62)은 스프링홈(32)에 삽입되어 제1 힌지부(30)에 대하여 제2 힌지부(40)가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2 코일스프링(63)은 제2 힌지홈(43)에 삽입되어 토션스프링(62)을 스프링홈(32) 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토션스프링(62)과 제2 코일스프링(63) 사이에는 와셔(64)가 배치되어 마찰을 감소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2 탄성부(60)는 항상 제2 바디(20)가 제1 바디(10)의 배면을 향하여 회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부(11)와 제2 디스플레이부(21)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의 동작(전개)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상태는 제1 디스플레이부(11)와 제2 디스플레이부(21)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가 결합되어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부(11)는 전방을 향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21)는 후방을 향하게 된다. 이때, 제2 바디(20)는 제1 탄성부(50)와 제2 탄성부(60)에 의해 제1 바디(10)에 대하여 임의로 회전하지 않고 제1 바디(10)와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초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바디(20)를 회전시키면, 제1 힌지부(30)가 제1 힌지축(5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2 힌지부(40)가 제2 힌지축(6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힌지부(30)가 제1 힌지축(51)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캠부(52)가 제1 힌지부(30)와 함께 회전하면서 캠부(52)와 맞닿은 캠홀더(53)를 밀어내어 제1 코일스프링(54)을 압축시키고, 캠형상의 임계점을 지나면서 캠홀더(53)가 다시 전진하게 된다.
또한, 제2 힌지부(40)가 제2 힌지축(6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토션스프링(62)이 압축된다. 그리고 슬라이드부(41)가 슬라이드홈(23)으로 삽입되면서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가 서로 밀착되어 나란히 배치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20)가 제1 바디(10)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드부(41)가 슬라이드홈(23)으로 삽입된다. 이때, 슬라이드 탄성부(44)에 의해 제1 힌지부(30)가 슬라이드홈(23)에 함께 삽입되면서,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가 서로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탄성부(44)에 의해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는 토션스프링(62)에 의해 제2 힌지부(40) 및 제2 바디(20)가 회전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부(11)와 제2 디스플레이부(21)가 모두 전방을 향하게 되고, 제1 디스플레이부(11)와 제2 디스플레이부(21)가 서로 밀착되어 하나의 대화면 디스플레이부를 구현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는 제1 디스플레이부(11)와 제2 디스플레이부(21)가 밀착되도록 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11)와 제2 디스플레이부(21) 사이의 갭(gap)을 최소화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부(11)와 제2 디스플레이부(21)의 일체감을 높일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를 초기 상태로의 복귀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 바디(20)를 잡아당기면, 슬라이드 탄성부(44)가 압축되면서 제1 힌지부(30)가 슬라이드홈(23)으로부터 인출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20)가 제1 바디(10)의 배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2 바디(20)를 누르면, 토션스프링(62)에 의해 제2 바디(20) 및 제2 힌지부(40)가 제2 힌지축(6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 힌지부(30)와 제2 힌지부(40)가 수직이 된다. 이때는 제1 힌지부(30)가 슬라이드홈(23) 입구에 걸려 슬라이드부(41)가 슬라이드홈(23)으로 삽입되지 못하고, 제1 탄성부(50) 및 제2 탄성부(60)에 의해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제2 바디(20)를 제1 바디(10)의 배면을 향해 더 회전시키면, 제1 힌지부(30) 및 캠부(52)가 회전하면서 캠부(52)와 맞닿은 캠홀더(53)를 밀어내어 제1 코일스프링(54)을 압축시키고, 캠형상의 임계점을 지나면서 캠홀더(53)가 다시 전진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20)가 제1 바디(10)의 배면에 배치되어 결합부(22)가 삽입홈(12)에 삽입되고, 제1 탄성부(50) 및 제2 탄성부(60)에 의해 제2 바디(20)는 임의로 회전하지 않고 제1 바디(10)와의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제1 바디, 11 : 제1 디스플레이부, 12 : 삽입홈, 13 : 제1 힌지홈,
20 : 제2 바디, 21 : 제2 디스플레이부, 22 : 결합부, 23 : 슬라이드홈, 24 : 가이드홈,
30 : 제1 힌지부, 31 : 캠홈, 32 : 스프링홈,
40 : 제2 힌지부, 41 : 슬라이드부, 42 : 가이드핀, 43 : 제2 힌지홈, 44 : 슬라이드 탄성부, 45 : POM가이드,
50 : 제1 탄성부, 51 : 제1 힌지축, 52 : 캠부, 53 : 캠홀더, 54 : 제1 코일스프링,
60 : 제2 탄성부, 61 : 제2 힌지축, 62 : 토션스프링, 63 : 제2 코일스프링, 64 : 와셔,

Claims (5)

  1. 제1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 바디에 대하여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힌지부;
    상기 제1 힌지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
    상기 제1 힌지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 힌지부에 대하여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힌지부;
    상기 제2 힌지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 및
    상기 제2 힌지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측면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와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바디에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제2 힌지부가 삽입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바디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와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할 때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가 동일한 방향을 향할 때 상기 슬라이드홈에는 상기 제1 힌지부와 제2 힌지부가 모두 삽입되며,
    상기 제2 힌지부는,
    어느 일측이 상기 제1 힌지부에 힌지결합되고 다른 일측에 가이드핀이 돌출형성되는 슬라이드부와,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부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결합부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슬라이드홈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드 탄성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상기 결합부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2 바디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는,
    상기 제1 힌지축과,
    상기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캠부와,
    상기 캠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1 힌지축을 따라 이동하는 캠홀더와,
    상기 캠홀더를 상기 캠부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바디에는 상기 캠홀더 및 제1 코일스프링이 삽입되는 제1 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힌지부에는 상기 캠부가 삽입되는 캠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제2 힌지축과,
    상기 제2 힌지축이 관통하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토션스프링을 어느 일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힌지부에는 상기 토션스프링이 삽입되는 스프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힌지부에는 상기 제2 힌지축 및 제2 코일스프링이 삽입되는 제2 힌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코일스프링은 상기 토션스프링을 상기 스프링홈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
KR1020170046019A 2017-04-10 2017-04-10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 KR101891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019A KR101891188B1 (ko) 2017-04-10 2017-04-10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019A KR101891188B1 (ko) 2017-04-10 2017-04-10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188B1 true KR101891188B1 (ko) 2018-09-28

Family

ID=63721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019A KR101891188B1 (ko) 2017-04-10 2017-04-10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1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784A (ko) * 2019-06-03 2021-06-07 (주)에이유플렉스 폴더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
WO2023043029A1 (ko) * 2021-09-16 2023-03-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373B1 (ko) 2010-10-20 2012-06-07 (주) 프렉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
JP2012129968A (ja) 2010-12-10 2012-07-05 Plekko Co Ltd 折り畳み方式の携帯端末およびそのヒンジ装置
KR101192574B1 (ko) * 2009-10-29 2012-10-17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개폐장치 및 소형전자기기
KR101262656B1 (ko) 2011-03-04 2013-05-15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백 플립 휴대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574B1 (ko) * 2009-10-29 2012-10-17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개폐장치 및 소형전자기기
KR101153373B1 (ko) 2010-10-20 2012-06-07 (주) 프렉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
JP2012129968A (ja) 2010-12-10 2012-07-05 Plekko Co Ltd 折り畳み方式の携帯端末およびそのヒンジ装置
KR101262656B1 (ko) 2011-03-04 2013-05-15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백 플립 휴대단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784A (ko) * 2019-06-03 2021-06-07 (주)에이유플렉스 폴더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
KR102504372B1 (ko) * 2019-06-03 2023-02-28 (주)에이유플렉스 폴더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
WO2023043029A1 (ko) * 2021-09-16 2023-03-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1517B1 (ko) 삼축 회전방식 이동통신 단말기
US20210243908A1 (en) Infolding-type hinge structure having flexible display panel installed therein
KR101442665B1 (ko) 휴대형 전자기기
KR100675734B1 (ko) 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개폐장치
KR20190065972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KR20170087008A (ko) 연성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모바일 통신장치용 힌지구조
JP2004215180A (ja) 携帯型無線端末機
KR20200005148A (ko) 양방향으로 접히는 단말기용 힌지구조
EP3327543A1 (en) Soft display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8286307B2 (en) Multi-staged hinge assembly and portable electr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20230180409A1 (en) Infolding-type hinge structure having flexible display panel installed therein
KR101891188B1 (ko)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
US10098252B2 (en) Hinge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with a hinge device using a sliding position
US11153982B2 (en) Rollabl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CN210670279U (zh) 电子设备
WO2014178126A1 (ja) 多分割筐体の結合装置及び該結合装置を備えた電子装置
KR100664184B1 (ko) 듀얼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4733678B2 (ja) 携帯機器
KR101062621B1 (ko) 이중 회전축을 갖는 힌지모듈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KR20170087002A (ko) 연성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모바일 통신장치용 힌지구조
KR100675731B1 (ko) 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개폐장치
US20090318195A1 (en) Mobile Terminal Device
KR100690863B1 (ko) 휴대 단말기
KR101102164B1 (ko) 듀얼 힌지 소켓
JP5360891B2 (ja) アンテナ取付構造及び携帯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