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574B1 - 개폐장치 및 소형전자기기 - Google Patents

개폐장치 및 소형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574B1
KR101192574B1 KR1020100106460A KR20100106460A KR101192574B1 KR 101192574 B1 KR101192574 B1 KR 101192574B1 KR 1020100106460 A KR1020100106460 A KR 1020100106460A KR 20100106460 A KR20100106460 A KR 20100106460A KR 101192574 B1 KR101192574 B1 KR 101192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ousing
link
attached
hing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7157A (ko
Inventor
모토수기 히데키
Original Assignee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00106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574B1/ko
Publication of KR20110047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하우징과 제 2하우징을 슬라이드기구를 이용하여 슬라이드동작시켜 개방상태로 한 후, 제2 하우징을 제1 하우징에 대하여 더욱 리프트 다운시켜 제2 하우징을 제1 하우징에 대하여 동일평면 상에 나란히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상대적으로 개폐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1하우징에 부착 설치된 힌지수단과, 이 힌지수단의 가동부에 부착 설치된 슬라이드베이스부재를 가진 슬라이드기구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슬라이드베이스부재를 수평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선회시켜 리프트 다운 및 리프트 업 동작시키는 링크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슬라이드기구는 상기 제2 하우징 측에 부착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 맞춘 슬라이드플레이트와, 이 슬라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드베이스부재 사이에 탄력 설치된 탄성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폐장치 및 소형전자기기{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nd small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소형 전자기기의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서로 겹친 상태에서 슬라이드시켜 개폐하는데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개폐장치 및 이 개폐장치를 이용한 소형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 특히 포켓형 컴퓨터, PDA, 전자사전 및 휴대전화기라고 칭하는 바와 같은 소형전자기기로서, 상면에 키보드부를 설치한 대략 직사각형상의 제1 하우징과 동일하게 상면에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한 대략 직사각형상의 제2 하우징을, 서로 겹친 폐쇄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제1 하우징의 상면을 노출시킨 개방상태를 만들어내는 슬라이드 기구를 이용한 개폐장치가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문헌1(일본국 특개 2008-113067호 공개특허공보)에 의해 공지이다.
그리고, 이 특허문헌1에 기재된 개폐장치는 개방 동작 종료 시에 제2 하우징의 앞단측을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일으켜 세워 경사지게 하기 위한 힌지수단을 구비하고있다.
상기 특허문헌1에 기재된 개폐장치에 의하면, 슬라이드 기구에 의한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제2 하우징의 개방동작 종료 시에 있어서, 제2 하우징의 앞단측을 힌지수단에 의해 일으켜 세워 제1 하우징에 대하여 경사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하우징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이 보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 제1 하우징 상의 키보드부를 계속 조작하는 경우에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중량 밸런스를 도모하지 않으면, 상태가 불안정하게 되어 제2 하우징이 후방으로 자빠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고, 제2 하우징의 표면에 조작 키 등을 설치한 것의 경우에는 보다 한층 개방상태가 불안정하게 되어 조작 키를 조작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것은 단지 슬라이드기구 만에 의한 개폐장치의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하다고 말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 설명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슬라이드 기구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동작시켜 개방상태로 한 후, 제2 하우징을 제1 하우징에 대하여 더욱 리프트다운(lift down)시켜 제2 하우징을 제1 하우징에 대하여 동일 평면상에 나란히 설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하우징과 제 2하우징을 상대적으로 개폐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하우징에 부착 설치된 힌지수단과, 이 힌지수단의가동부에 부착 설치된 슬라이드베이스부재를 가진 슬라이드기구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슬라이드베이스부재를 수평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선회시켜 리프트 다운 및 리프트 업 동작시키는 링크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힌지수단은 각기 링크기구를 구비한 제1 힌지수단과, 이 제1 힌지수단의 동작에 뒤따르는 동작을 행하는 제2 힌지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1 힌지수단은, 상기 제1 하우징 측에 부착 설치된 제1 취부부재에 고정한 제2 힌지핀과, 이 제2 힌지핀에 대하여 사이를 두고 대향시켜 회전가능하게 연결한 부분의 상기 링크기구를 구성하는 제1 링크기구의 제1 링크 아암 및 제2 링크 아암과, 상기 제1 링크 아암 및 제2 링크 아암의 각 자유단 측에 회전가능하게 부착 설치된 제1 힌지핀과, 상기 제2 힌지핀과 상기 제1 힌지핀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힌지핀을 상기 슬라이드베이스부재에 부착 설치된 제1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고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기구는 상기 제2 하우징측에 부착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 맞춘 슬라이드플레이트와, 이 슬라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드베이스부재 사이에 탄력 설치된 탄성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상기 힌지수단을 상기 링크기구를 구비한 제1 힌지수단과, 이 제1 힌지수단의 동작에 뒤따르는 동작을 행하는 제2 힌지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링크기구를 구비한 제1 힌지수단과, 이 제1 힌지수단의 동작에 뒤따르는 동작을 행하는 제2 힌지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2 힌지수단은, 상기 제1 하우징측에 부착 설치된 제2 취부부재에 고정한 제4 힌지핀과, 이 제4 힌지핀에 대하여 사이를 두고 대향시켜 회전가능하게 연결한 부분의 상기 링크기구의 제2 링크기구를 구성하는 제3 링크 아암 및 제4 링크 아암과, 상기 제3 링크 아암 및 제4 링크 아암의 각 자유단 측에 회전가능하게 부착 설치된 제3 힌지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3 힌지핀은 상기 슬라이드베이스부재에 부착 설치된 제2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상대적으로 개폐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겹친 폐쇄상태와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만들어내는 슬라이드기구와, 제1 링크기구를 가지고, 상기 슬라이드기구에 의한 개방동작의 종료 시에 조작가능하게 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리프트 다운시키는 제1 힌지수단과, 제2 링크기구를 가진 이 제1 힌지수단의 동작에 뒤따르는 동작을 행하는 제2 힌지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힌지수단과 제2 힌지수단은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슬라이드기구에 의한 개방동작 종료 시에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수평상태인 채로 선회시켜 그 제1 하우징과 나란히 설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상기 제2 하우징의 하면 양측부에 상기 제1 힌지수단과 제2 힌지수단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힌지 케이스 수용홈을 설치하고, 이들의 힌지케이스수용홈에는 상기 제1 힌지수단과 제2 힌지수단의 회전동작을 허용하는 요입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링크기구를, 제2 힌지수단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드기구를, 상기 제1 하우징 측에 부착 설치한 상기 제1 힌지수단과 제2 힌지수단의 제1 베이스플레이트와 제2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부착한 슬라이드베이스부재와, 상기 제2 하우징 측에 부착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 맞춘 슬라이드플레이트와, 이 슬라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드베이스부재 사이에 탄력 설치된 탄성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힌지수단에 설치된 제1 링크기구를 상기 제1 힌지수단의 제2 하우징의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한 리프트다운 동작 시에 동작하는 회전제어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힌지수단은, 상기 제1 하우징 측에 부착설치된 제1 취부부재에 고정한 제2 힌지핀과, 이 제2 힌지핀에 대하여 사이를 두고 대향시켜 회전가능하게 연결한 제1 링크 아암 및 제2 링크 아암과, 상기 제1 링크 아암 및 제2 링크 아암의 각 자유단측에 회전가능하게 부착 설치된 제1 힌지핀으로 구성되고, 이 제1 힌지핀은 상기 슬라이드베이스부재에 부착 설치된 제1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힌지수단은, 상기 제1 하우징측에 부착 설치된 제2 취부부재에 고정한 제4 힌지핀과, 이 제4 힌지핀에 대하여 사이를 두고 대향시켜 회전가능하게 연결한 제3 링크 아암 및 제4 링크 아암과, 상기 제3 링크 아암 및 제4 링크 아암의 각 자유단측에 회전가능하게 부착 설치된 제3 힌지핀으로 구성되고, 이 제3 힌지핀은 상기 슬라이드베이스부재에 부착 설치된 제2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힌지수단에 설치된 제1 링크기구를, 상기 제1 힌지수단의 제2 링크 아암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 설치된 제1 링크원반과, 상기 제1 힌지수단의 제1 힌지핀과 제2 힌지핀에 회전이 구속되어 부착 설치된 한쌍의 제1 링크베이스와, 이 각 제1 링크베이스와 상기 제1 링크원반에 연결된 한쌍의 제1 스토퍼 아암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2 힌지수단에 설치된 제2 링크기구를, 상기 제2 힌지수단의 제4 링크아암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 설치된 제2 링크원반과, 상기 제2 힌지수단의 제3 힌지핀과 제4 힌지핀에 회전이 구속되어 부착 설치된 한쌍의 제2 링크베이스와, 이 각 제2 링크베이스와 상기 제2 링크 원반에 연결된 한쌍의 제2 스토퍼 아암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회전제어수단을, 상기 제1 힌지수단의 제1 힌지핀과 제2 힌지핀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삽입통과시키고, 상기 제1 힌지수단의 제1 링크 아암과 제2 링크 아암에 고정된 한쌍의 제1 캠부재와, 이 각 제1 캠부재와 대향하여 상기 제1 힌지핀과 제2 힌지핀에 회전이 구속되어 부착 설치된 한쌍의 제2 캠부재와, 이 각 제2 캠부재를 상기 각 제1 캠부재 측으로 밀어누르는 한쌍의 탄성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상에 기재된 개폐장치를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부착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전자기기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하우징을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드기구를 개재하여 상대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개폐할 수 있고, 게다가 개방 동작 종료 시에 제2 하우징을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한 채로 리프트 다운시켜 제1 하우징에 대하여 나란히 설치할 수가 있는 것이어서, 제1 하우징이나 제2 하우징의 키 조작 등을 행하기 쉽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한 것으로서, 제2 하우징을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개폐할 수 있고, 게다가 개방조작 종료 후 제2 하우징을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한 채로 리프트 다운시켜 나란히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서 포켓형 컴퓨터, PDA, 전자사전 및 휴대전화기라고 칭하는 바와 같은 소형전자기기의 개폐장치로서 가장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소형전자기기로서도 새로운 동작을 행하는 기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를 이용한 소형전자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이고, (a)도는 그의 제2 하우징의 슬라이드 동작 전의 상태, (b)도는 제2 하우징의 슬라이드 동작 종료 시의 상태, (c)도는 제2 하우징의 리프트다운 동작 시작 시의 상태, (d)도는 제2 하우징의 리프트다운 종료 시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슬라이드기구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슬라이드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슬라이드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제1 하우징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제2 하우징을 뒤쪽에서 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슬라이드 베이스부재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슬라이드기구 부분의 종단면도.
도 13는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도6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1 힌지수단의 종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도6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2 힌지수단의 종단면도.
도 15는 도13에 나타낸 제1 힌지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16은 도14에 나타낸 제2 힌지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17은 도13에 나타낸 제1 힌지수단의 리프트 다운동작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a)도는 슬라이드기구에 의한 슬라이드 동작 시작 전의 상태, (b)도는 슬라이드 동작 종료 시의 상태, (c)도는 리프트 다운 동작 시작 시의 상태, (d)도는 리프트 다운 동작 종료 시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18은 도14에 나타낸 제2 힌지수단의 리프트 다운동작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a)도는 슬라이드기구에 의한 슬라이드 동작 시작 전의 상태, (b)도는 슬라이드 동작 종료 시의 상태, (c)도는 리프트 다운 동작 시작 시의 상태, (d)도는 리프트 다운 동작 종료 시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제1 및 제2 힌지핀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제3 및 제4 힌지핀의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제1 캠부재의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제2 캠부재의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제1 및 제2 취부축의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제1 및 제2 스토퍼 원반의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제1 및 제2 링크 원반의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제1 및 제2 스페이서의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제1 및 제2 스토퍼 아암의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제1 및 제2 링크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개폐장치로서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소형전자기기의 제1 하우징과 제 2하우징을 상대적으로 개폐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하우징에 부착 설치된 힌지수단과, 이 힌지수단의 가동부에 부착 설치된 슬라이드베이스부재를 가진 슬라이드기구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슬라이드베이스부재를 수평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선회시켜 리프트 다운 및 리프트 업 동작시키는 링크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슬라이드기구는 상기 제2 하우징 측에 부착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 맞춘 슬라이드플레이트와, 이 슬라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드베이스부재 사이에 탄력 설치된 탄성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으로 한 것이고,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의 개폐장치를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부착 설치한 소형전자기기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소형전자기기의 일예로서의 포켓형 컴퓨터에 실시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는 포켓형 컴퓨터 이외의 PDA, 전자사전, 휴대전화기 등의 소형전자기기에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 의하면, 도1 내지 도4 및 도6 내지 도8에 있어서, 지시기호 1은 예를 들면 포켓형 컴퓨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이 포켓형 컴퓨터(1)는 상면에 키보드부(2a)를 가진 제1 하우징(2)과, 상면에 디스플레이장치(3a)를 가진 제2하우징(3)과, 제1 하우징(2)과 제2 하우징(3) 사이에 부착 설치된 개폐장치(4)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개폐장치(4)는 슬라이드기구(5)와, 제1 힌지수단(6)과, 제2 힌지수단(7)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제1 힌지수단(6)과 제2 힌지수단(7)은 도12 내지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반 케이스(6b, 6c)로 구성되는 제1 힌지케이스(6a)와 절반 케이스(7b, 7c)로 구성되는 제2 힌지케이스(7a)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이 제1 힌지수단(6)과 제2 힌지수단(7)은, 이것을 1개의 힌지수단으로 합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이 1개의 힌지수단은 제1 힌지수단(6)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시기호 6e, 6e 와 7f, 7f 는 와셔(23, 23)와 와셔(46, 46)를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삽입통과공이다.
제1 하우징(2)의 후단부 양측에는, 특히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힌지케이스(6a)와 제2 힌지케이스(7a)의 하부측을 수용하는 수용 요입부(2b, 2b)가 설치되어 있다.
제2 하우징(3)의 하면 양측부에는 특히 도5a 내지 도5d 와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짧은손) 방향에 걸쳐서 제1 힌지수단(6)과 제2 힌지수단(7)의 힌지케이스 수용홈(3b, 3b)이 설치되고, 도12 내지 도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제1 힌지케이스(6a)와 제2 힌지케이스(7a)의 각 상측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힌지 케이스 수용홈(3b, 3b)의 앞단부에는 제1 힌지케이스(6a)와 제2 힌지케이스(7a)의 회전을 허용하는 요입부(3c, 3c)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힌지케이스(6a)와 제2 힌지케이스(7a)는 특히 도5와 도15 및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 케이스 수용홈(3b, 3b)의 평판한 천정부(3d, 3d)와 접하는 스토퍼부(6d, 7d)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1 내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시기호 3e는 제2 하우징(3) 측에 설치된 조작키 또는 조작 버튼이다.
슬라이드 기구(5)는, 특히 도6 내지 도8 및 도11과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8a)과, 이 기판(8a)의 양측부에 설치된 단면이 대략 가로 U자 형상의 부착홈(8b, 8b)을 가지고, 제1 힌지수단(6)과 제2 힌지수단(7)의 각 제1 베이스플레이트(9)와 제2 베이스 플레이트(10)상에 고정 부착됨으로서, 제1 하우징(2)측에 부착 설치된 슬라이드 베이스부재(8)와, 이 슬라이드 베이스부재(8)의 부착홈(8b, 8b)에 부착된 단면이 대략 가로(橫) U자 형상의 슬라이드 동작 촉진부재(8c, 8c)에 설치된 가이드홈(8f, 8f)에 그의 양단부의 레일부(11a, 11a)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통과 시켜, 제2 하우징(3)의 하면에 설치된 부착 요철부(3g, 3g)에 부착 설치된 평면이 대략 직사각형상을 나타내는 슬라이드플레이트(11)와, 이 슬라이드플레이트(11)와 슬라이드 베이스부재(8)의 양측부 사이에 탄력설치된, 예를 들면 스네이크 스프링(snake spring) 등으로 구성되는 한쌍의 탄성수단(12, 12)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베이스부재(8)에 지시기호(8e)로 나타낸 것은 케이블 삽입통과공이다.
탄성수단(12, 12)의 일단부는 슬라이드플레이트(11)에 부착핀(11b, 11b)을 개재하여 선회가능하게 부착되고, 타단부는 슬라이드 베이스부재(8)의 양측부에 설치된 부착편(8d, 8d)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스프링홀더(13, 13)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좌측의 제1 힌지수단(6)은 회전제어수단(14)과 제1 링크기구(15)를 가지고,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3)측에 슬라이드플레이트(11)를 개재하여 부착된다.
제1 베이스플레이트(9)의 측판(9a)에 고정하여 설치된 제1 힌지핀(16)과, 제1 하우징(2)의 좌측후부 상단에 아래를 향하여 부착된 단면이 대략 L자 형상의 제1 취부부재(17)와, 이 제1 취부부재(17)의 측판(17a)에 부착된 제2 힌지핀(18)과, 제1 힌지핀(16)과 제2 힌지핀(18)의 제1 취부부재(17)측을 연결하는 제1 링크 아암(19)과, 제1 힌지핀(16)과 제2 힌지핀(18)의 각 자유단측을 연결하는 제2 링크 아암(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힌지수단(6)의 제1 힌지핀(16)에는 특히 도15와 도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베이스플레이트(9)의 측판(9a)에 회전하지 않게 고정되는 제1 변형축부(16a)와, 이 제1 변형축부(16a)에 연이어 설치된 제1 원형축부(16b)와, 이 제1 원형축부(16b)에 연이어 설치된 제2 변형축부(16c)와, 이 제2 변형축부(16c)에 연이어 설치된 제1 둘레홈(16d)과, 이 제1 둘레홈(16d)에 연이어 설치된 제3 변형축부(16e)와, 이 제3 변형축부(16e)에 연이어 설치된 제2 둘레홈(16f)과, 이 제2 둘레홈(16f)에 연이어 설치된 제4 변형축부(16g)와, 이 제4 변형축부(16g)에 연이어 설치된 제2 원형축부(16h)가 각각 축방향으로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1 힌지수단(6)의 제2 힌지핀(18)은 제1 힌지핀(16)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특히 도15와 도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취부부재(17)의 측판(17a)에 설치된 변형부착공(17b)으로 회전하지 않게 고정하기 위한 제1 변형축부(18a)와, 이 제1 변형축부(18a)에 연이어 설치된 제1 원형축부(18b)와, 이 제1 원형축부(18b)에 연이어 설치된 제2 변형축부(18c)와, 이 제2 변형축부(18c)에 연이어 설치된 제1 둘레홈(18d)과, 이 제1 둘레홈(18d)에 연이어 설치된 제3 변형축부(18e)와, 이 제3 변형축부(18e)에 연이어 설치된 제2 둘레홈(18f)과, 이 제2 둘레홈(18f)에 연이어 설치된 제4 변형축부(18g)와, 이 제4 변형축부(18g)에 연이어 설치된 제2 원형축부(18h)가 축방향으로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1힌지수단(6)의 회전제어수단(14)은 특히 도13과 도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힌지핀(16)과 제2 힌지핀(18)의 각각의 제1 원형축부(16b),(18b)에 그의 중심부 축방향에 설치된 삽입통과공(23a, 23a)을 삽입통과시켜 부착된 와셔(23, 23)와, 사이를 두고 대향시켜 설치된 삽입통과공(19a, 19a)에 제1 원형축부(16b),(18b)를 회전가능하게 삽입통과시켜 구성되는 제1링크 아암(19)과, 제1 원형축부(16b)에서 제2 변형축부(16c)에 걸치고, 또한 제1 원형축부(18b)와 제2 변형축부(18c)에 걸쳐서 각각에 설치된 원형 삽입통과공(24a, 24a)을 삽입통과시켜 부착된 곳의, 일단부에 캠 요입부(24b, 24b)를 가지고, 각 둘레부에 설치된 돌기(24c, 24c)를 제1 링크 아암(19)에 설치된 걸어맞춤 요입부(19b, 19b)에 걸어맞춘 제1 캠부재(24, 24)(그의 상세도는 도21에 나타냄)와, 이 제1 캠부재(24, 24)의 캠 요입부(24b, 24b)의 대향면에 캠 요철부(25a, 25a)를 가지고, 그의 중심부 축방향에 설치된 변형 삽입통과공(25b, 25b)을 제1 힌지핀(16)과 제2 힌지핀(18)의 제2 변형축부(16c)와 제2 변형축부(18c)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또한 회전하지 않게 부착되어 구성되는 제2 캠부재(25, 25)(그의 상세도는 도22에 나타냄)와, 그의 중심부 축방향에 설치된 변형 삽입통과공(26a, 26a)을 제2 변형 축부(16c)와 제2 변형 축부(18c)에 삽입 통과시켜 설치된 예를 들면 웨이브 와셔(wave washer)와 같은 탄성수단(26, 26)과, 제1 둘레홈(16d, 18d)에 끼워진 E링(27, 27)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힌지수단(6)의 제1 링크기구(15)는 특히 도13과 도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힌지핀(16)과 제2 힌지핀(18)의 각각의 제1 원형축부(16b),(18b)에 그의 중심부 축방향에 설치된 삽입통과공(23a, 23a)을 삽입통과시켜 부착된 와셔(23, 23)와, 사이를 두고 대향시켜 설치된 삽입 통과공(19a, 19a)에 제1 원형 축부(16b),(18b)를 삽입 통과시켜 구성된 제1 링크 아암(19)과, 제1 힌지핀(16)과 제2 힌지핀(18)의 각 자유단측의 제2 원형축부(16h),(18h)를 사이를 두고 대향시켜 설치된 부착공(20a, 20a)을 와셔(28, 28)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삽입 통과시킨 제2 링크아암(20)과, 이 제2 링크아암(20)의 중심부에 설치된 부착공(20b)에, 플랜지부(29a)와 큰 직경부(29b)와 작은 직경부(29c)를 가진 제1 취부축(29)(그의 상세도는 도23에 나타냄) 및 중심부 축방향에 부착공(30a)을 가진 제1 스토퍼 원반(30)(그의 상세도는 도24에 나타냄)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곳의, 그의 중심부 축방향에 삽입통과공(31a)을 가지고, 바깥둘레부에 대향시켜 연결공(31b, 31b)을 가진 제1 링크 원반(31)(그의 상세도는 도25에 나타냄)과, 제2 링크 아암(20)에 인접하여 제4 변형축부(16g),(18g)를 그의 삽입통과공(32a, 32a)에 삽입 통과시킨 플랜지부(32b, 32b)와 통부(32c, 32c)를 가진 제1 스페이서(32, 32)(그의 상세도는 도26에 나타냄)와, 평면이 활 형상을 나타내고 일단부에 돌기(33a, 33a)와 타단부에 연결공(33b, 33b)을 가지고, 내측에 반원형상을 나타낸 곳의 제1 스토퍼 원반(30)을 수용시킨 수용부(33c, 33c)를 가진 제1 스토퍼 아암(33, 33)(그의 상세도는 도27에 나타냄)과, 그의 중심부 축방향에 설치된 변형 삽입통과공(34a, 34a)에 제1 힌지핀(16)과 제2 힌지핀(18)의 제4 변형축부(16g),(18g)를 삽입 통과시키고 회전이 규제되어 부착된 각 단부에 부착핀부(34b, 34b)를 가진 제1 링크 베이스(34, 34)(그의 상세도는 도28에 나타냄)와, 제2 둘레홈(16f),(18f)에 부착된 E링(35, 3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1 링크기구(15)의 주요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링크 원반(31)은 제1 취부축(29)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제1 스페이서(32, 32)의 플랜지부(32b, 32b)상에 맞닿고, 제1 링크 베이스(34, 34)는 제1 스페이서(32, 32)의 통부(32c, 32c)에 맞닿고 있다.
제1 스토퍼 아암(33, 33)은 그의 연결공(33b, 33b)을 제1 링크 베이스(34, 34)의 부착핀부(34b, 34b)에 삽입 연결시키고, 돌기(33a, 33a)를 제1 링크원반(31)의 연결공(31b, 31b)에 삽입하여 연결시키고 있다.
이 제1 링크기구(15)는 다음에 설명하는 제2 링크기구(45)와 협력하여 동작하여 제2 하우징(3)이 제1 하우징(2)에 대하여 회전하여 버리는 일이 없도록 리프트다운 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다음에, 우측의 제2 힌지수단(7)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3) 측에 슬라이드플레이트(11)를 개재하여 부착된 제2 베이스플레이트(10)의 측판(10a)에 고정하여 설치된 제3 힌지핀(40)과, 제1 하우징(2)의 우측 후부 상단에 아래로 향하여 부착된 단면이 대략 L자 형상의 제2 취부부재(41)와, 이 제2 취부부재(41)에 부착된 제4 힌지핀(42)과, 제3 힌지핀(40)과 제4 힌지핀(42)의 제2 취부부재(41)측을 연결하는 제3 링크아암(43)과, 제3 힌지핀(40)과 제4 힌지핀(42)의 각 자유단측을 연결하는 제4 링크아암(44)으로 구성되고, 좌측의 제1 힌지수단(6)과 같이 회전제어수단(14)을 가지고 있지는 않으나, 제2 링크기구(45)가 설치되어 있다.
제3 힌지핀(40)에는 특히 도16과 도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베이스플레이트(10)의 측판(10a)에 고정부착하기 위한 제1 변형축부(40a)와, 제1 원형축부(40b)와, 제1 둘레홈(40c)과, 제2 원형축부(40d)와, 제2 둘레홈(40e)과, 제2 변형축부(40f)와, 작은 직경의 제3 원형축부(40g)를 축방향으로 인접시켜 설치되어 있다.
제4 힌지핀(42)은 제3 힌지핀(40)과 동일한 구조이고, 마찬가지로 도16과 도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취부부재(41)의 측판(41a)에 설치된 변형 부착공(41b)에 삽입고정시키기 위한 제1 변형축부(42a)와, 제1 원형축부(42b)와, 제1 둘레홈(42c)과, 제2 원형축부(42d)와, 제2 둘레홈(42e)과, 제2 변형축부(42f)와, 작은 직경의 제3 원형축부(42g)가 축방향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3 힌지핀(40)과 제4 힌지핀(42)의 각 제1 원형축부(40b, 40b)에 는 그의 중심부 축방향에 설치된 삽입통과공(46a, 46a)을 삽입통과시켜 와셔(46, 46)가 부착되고, 또한 제3 링크아암(43)이 그의 양단에 설치된 삽입통과공(43a, 43a)에 각 제1 원형축부(40b),(42b)를 회전가능하게 삽입 통과시키고, 각 제1 둘레홈(40c),(42c)에는 E링(53, 53)이 부착되어 제3 링크아암(43)의 축방향 슬라이드동작을 방지하고 있다.
제2 힌지수단(7)의 제2 링크기구(45)는 제3 힌지핀(40)과 제4 힌지핀(42)의 제2 취부부재(41)측을 회전가능하게 삽입 통과시킨 제3 링크 아암(43)과, 제3 힌지핀(40)과 제4 힌지핀(42)의 제3 원형축부(40g),(42g)를 그의 양단부에 설치된 삽입통과공(44a, 44a)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통과시키고, 제2 와셔(55, 55)에서 빠짐으로서,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제4 링크아암(44)과, 이 제4 링크아암(44)의 중심부에 설치된 부착공(44b)에 플랜지부(47a)와 큰 직경부(47b)와 작은 직경부(47c)를 가진 제2 취부축(47)(그의 상세도는 도23에 나타냄)과 중심축방향으로 부착공(48a)을 가진 제2 스토퍼 원반(48)(그의 상세도는 도24에 나타냄)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곳의, 동일하게 그의 중심부 축방향으로 삽입통과공(49a)을, 또한 바깥둘레에 대향시켜 연결공(49b, 49b)을 가진 제2 링크원반(49)(그의 상세도는 도25에 나타냄)과, 제4 링크 아암(44)에 인접하여 제2 변형축부(40f)와 제2 변형축부(42f)를 그의 삽입통과공(50a, 50a)에 삽입통과시킨 플랜지부(50b, 50b)와 통부(50c, 50c)를 가진 제2 스페이서(50, 50)(그의 상세도는 도26에 나타냄)와, 평면이 활 형상을 나타내고 일단부에 돌기(51a, 51a)와 타단부에 연결공(51b, 51b)을 가지고, 내측에 반원형상을 나타낸 곳의 제2 스토퍼 원반(48)을 수용시키는 수용부(51c, 51c)를 가진 제2 스토퍼 아암(5, 51)(그의 상세도는 도27에 나타냄)과, 그의 중심부 축방향에 설치된 변형 삽입통과공(52a, 52a)에 제3 힌지핀(40)과 제4 힌지핀(42)의 제2 변형축부(40f)와 제2 변형축부(42f)를 삽입통과시키고, 회전이 규제되어 부착된 각 단부에 부착핀부(52b, 52b)를 가진 제2 링크 베이스(52, 52)(그의 상세도는 도28에 나타냄)와, 제2 둘레홈(40e),(42e)와, 제2 둘레홈(40e),(42e)에 부착된 E링(54, 5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2 링크기구(45)의 주요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 링크원반(49)은 제2 취부축(47)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제2 스페이서(50, 50)의 플랜지부(50b, 50b)상에 맞닿고, 제2 링크베이스(52, 52)는 제2 스페이서(50, 50)의 통부(50c, 50c)에 맞닿고 있다.
제2 스토퍼 아암(51, 51)은 그의 연결공(51b, 51b)을 제2 링크베이스(52, 52)의 부착핀부(52b, 52b)에 삽입 연결시키고, 돌기(51a, 51a)를 제2 링크원반(49)의 연결공(49b, 49b)에 삽입 연결시키고 있다.
이 제2 링크기구(45)는 제1 링크기구(15)와 협력 동작하여 제2 하우징(3)이 제1 하우징(2)에 대하여 회전하여 버리는 일 없이 리프트 다운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 제2 링크기구(45)는 이것이 있으면 제2 하우징(3)의 리프트 다운 동작은 오동작이 발생하는 일 없이 보다 확실한 것이 되지만, 이 제2 링크기구(45)를 생략하더라도 제1 링크기구(15)만으로 리프트다운 동작은 충분히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우측의 제2 힌지수단(7)의 구성은 제2 베이스플레이트(10)의 측판(10a)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3 힌지핀(40)과, 제1 하우징(2)의 우측 후부상단에 부착된 단면이 대략 L자 형상의 제2 취부부재(41)와, 이 제2 취부부재(41)에 부착된 제4 힌지핀(42)과, 제3 힌지핀(40)과 제4 힌지핀(42)의 제2 취부부재(41) 측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 링크아암(43)과, 제3 힌지핀(40)과 제4 힌지핀(42)의 각 자유단 측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4 링크 아암(44)으로 구성되는 것이 된다.
또한, 제1 캠부재(24, 24)는 제1 링크 아암(19)에 대하여 구속되어 있고 동시에 회전하여 제2 캠부재(25, 25)는 제1 힌지핀(16)과 제2 힌지핀(18)에 대하여 회전이 구속되고 있다.
제1 힌지핀(16), 제2 힌지핀(18), 제3 힌지핀(40) 및 제4 힌지핀(42)은 각각 제1 베이스플레이트(9) 및 제2 베이스플레이트(10)와 제1 취부부재(17) 및 제2 취부부재(41)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고, 제1 링크아암(19) 및 제2 링크아암(20)과 제3 링크아암(43) 및 제4 링크아암(44)은 각 제1 힌지핀(16) 및 제2 힌지핀(18)과 제3 힌지핀(40) 및 제4 힌지핀(42)에 대하여 회전이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제1 링크원반(31)과 제2 링크원반(49)은 제1 취부축(29)과 제2 취부축(47)을 지점(支點)으로 회전가능하고, 제1 링크베이스(34, 34)와 제2 링크 베이스(52, 52)는 각 제1 힌지핀(16) 및 제2 힌지핀(18)과 제3 힌지핀(40) 및 제4 힌지핀(42)에 대하여 회전이 구속되고 있다.
따라서, 제2 하우징(3)의 리프트 다운 동작시에는 제1 링크 아암(19) 및 제2 링크 아암(20)과 제3 링크 아암(43) 및 제4 링크 아암(44)은 제2 힌지핀(18)과 제4 힌지핀(42)을 지점으로 회전하고, 이 제1 링크 아암(19) 및 제2 링크 아암(20)과 제3 링크 아암(43) 및 제4 링크 아암(44)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제1 힌지핀(16)과 제3 힌지핀(40)은 제2 힌지핀(18)과 제4 힌지핀(42)을 지점으로 선회하는 것이 된다.
그리하여 제2 하우징(3)의 리프트 다운 동작에 따른 제1 링크 아암(19) 및 제2 링크 아암(20)과 제3 링크 아암(43) 및 제4 링크 아암(44)의 회전 동작에 따른 제1 스토퍼 아암(33, 33) 및 제2 스토퍼 아암(51, 51)의 동작은 제1 링크 아암(19) 및 제3 링크 아암(43)의 회전 동작에 의해 이 제1 링크 아암(19) 및 제3 링크 아암(43)에 고정되어 있는 제1 링크 베이스(34, 34)와 제2 링크 베이스(52, 52)가 각각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되고, 이 회전 동작에 의해 한쪽의 제1 스토퍼 아암(33)과 제2 스토퍼 아암(51)이 밀려져 제1 링크 원반(31)과 제2 링크 원반(49)이 회전함으로서, 다른쪽의 제1 스토퍼 아암(33)과 제2 스토퍼 아암(51)도 요동하여 서로 동작이 링크된다.
또한, 요즘에 제1 링크기구(15)와 제2 링크기구(45)의 각 제1 스토퍼 아암(33, 33)과 제2 스토퍼 아암(51, 51)의 동작은 반대로 설정되어 있으나, 동일방향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제2 하우징(3)의 리프트 다운 동작 시에 그 제2 하우징(3)이 제1 힌지핀(16)과 제3 힌지핀(40)을 지점으로 회전하지 않는 것은 상기 제1 스토퍼 아암(33, 33)과 제2 스토퍼 아암(51, 51)의 링크 동작에 의해 회전동작이 규제되기 때문이다.
또한, 우측의 제2 힌지수단(7)의 제2 링크기구(45)를 생략한 경우에는 좌측의 제1 힌지수단(6)의 제1 링크기구(15)만의 동작에 의해 상기 링크동작이 지장 없이 행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 및 이 개폐장치를 이용한 소형 전자기기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하우징(2)에 대하여 제2 하우징(3)이 닫혀진 폐쇄상태에 있어서는, 제1 힌지수단(6)과 제2 힌지수단(7)의 제1 힌지케이스(6a)와 제2 힌지 케이스(7a)의 각 측부가 제1 하우징(2)에 설치된 수용 요입부(2b, 2b)의 앞단부(2c, 2c)에 맞닿고, 이 상태에서 슬라이드 기구(5)의 탄성수단(12, 12)이 슬라이드 베이스부재(8)를 개재하여 제2 하우징(3)을 폐쇄방향으로 밀고 있는 것이어서 제2 하우징(3)은 폐쇄상태에서 록크(lock)되고 있다.
또한, 이 폐쇄상태에 있어서, 제2 하우징(3)을 제1 하우징(2)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열려고 해도 도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힌지수단(6)과 제2 힌지수단(7)의 각 제1 힌지케이스(6a)와 제2 힌지케이스(7a)의 스토퍼부(6d, 7d)가 힌지케이스 수용홈(3b, 3b)의 천정부(3d, 3d)에 맞닿으면 제1 링크 기구(15)와 제2 링크 기구(45)를 가진 제2 하우징(3)에 대한 회전억지기능 때문에 제2 하우징(3)은 상하방향으로 열 수는 없다.
포켓형 컴퓨터(1)의 사용에 대해서, 제1 하우징(2)의 상면을 노출시키기 위해 제2 하우징(3)을 후방으로 밀어주면 슬라이드 기구(5)의 슬라이드플레이트(11)가 슬라이드베이스부재(8)에 대하여, 최초는 탄성수단(12, 12)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함으로서 열리고, 중간 개방위치를 지나가면 압축된 탄성수단(12, 12)이 신장할 때의 탄성력에 의해 제2 하우징(3)은 개방방향으로 밀리고, 제1 하우징(2)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열어지게 된다.
이 개폐동작 도중에 제2 하우징(3)을 제1 하우징(2)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열려고 해도 제1 링크기구(15)와 제2 링크기구(45)를 가진 제2 하우징(3)에 대한 회전억지기능과, 제1 힌지 케이스(6a)와 제2 힌지 케이스(7a)의 스토퍼부(6d, 7d)가 힌지 케이스 수용홈(3b, 3b)의 천정부(3d, 3d)에 맞닿음으로서, 열리는 것은 할 수 없다.
도2와 도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기구(5)에 의한 제2 하우징(3)의 제1 하우징(2)에 대한 슬라이드 개방동작이 종료되면, 제1 힌지수단(6)과 제2 힌지 수단(7)의 각 제1 힌지 케이스(6a)와 제2 힌지 케이스(7a)는 힌지 케이스 수용홈(3b, 3b)의 요입부(3c, 3c)의 위치에 오고 있으나, 제2 하우징(3)을 제1 하우징(2)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열려고 해도 제1 힌지수단(6)과 제2 힌지수단(7)은 제1 링크기구(15)와 제2 링크기구(45)가 부착된 것이어서, 제2 하우징(3)이 제1 하우징(2)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열리도록 동작하지 않는 것이어서, 상하방향으로는 열리는 것은 할 수 없다.
제2 하우징(3)을 제1 하우징(2)에 대하여 리프트 다운시킬 경우에는, 제2 하우징(3)을 도3과 도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욱 후방으로 밀면, 제1 힌지수단(6)과 제2 힌지 수단(7)의 제1 힌지 케이스(6a)와 제2 힌지 케이스(7a)의 스토퍼부(6d, 7d)는 힌지 케이스 수용홈(3b, 3b)의 요입부(3c, 3c)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제1 힌지 케이스(6a)와 제2 힌지 케이스(7a)가 제2 힌지핀(18)과 제4 힌지핀(42)을 지점으로 회전하고, 제2 하우징(3)은 후방으로 더욱 수평상태에서 이동한다.
그러나, 도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힌지케이스(6a)와 제2 힌지 케이스(7a)의 상부 앞단부가 요입부(3c, 3c)의 각이진 부(3f, 3f)에 맞닿기 때문에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 정지 위치에서 제2 하우징(3)을 상면에서 밀게 됨으로서 도3 및 도4와 도5c와 도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하우징(3)은 제1 하우징(2)에 대하여 평행상태를 유지한 채로 리프트 다운하여 제1 하우징(2)과 함께 예를 들면 책상 위에 나란히 설치시키는 것이 된다.
이 리프트다운 동작 시에 제2 하우징(3)의 좌측의 제1 힌지수단(6)에 설치된 회전제어수단(14)의 제1 캠부재(24, 24)의 각 캠 요입부(24b, 24b, 24b, 24b)와 제2 캠부재(25, 25)의 캠 요철부(25a, 25a, 25a, 25a)에 의해 제2 하우징(3)의 리프트다운 동작은 제어되고, 자체중량으로 자연 낙하하여 버리는 일은 없다.
또한, 리프트다운 동작 시작 시의 위치와 리프트다운 동작 종료 시의 위치에서 클릭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리프트다운 동작 시에는 제1 링크 기구(15)와 제2 링크 기구(45)가 동작하고, 제2 하우징(3)은 제1 하우징(2)에 대하여 수평 또한 평행상태를 유지한 채로 리프트 다운하여 접지하고 제1 하우징(2)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즉, 슬라이드 기구(5)에 의한 제2 하우징(3)의 제1 하우징(2)에 대한 개방방향을 향해서의 동작 종료상태에서, 리프트다운 동작을 향하여 제2 하우징(3)을 제1 하우징(2)에 대하여 더욱 후방으로 밀면, 도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힌지 케이스(6a)와 제2 힌지 케이스(7a)의 회전이 요입부(3c, 3c)내에 있음으로서 리프트다운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하면, 각 제1 스토퍼 아암(33, 33)과 제2 스토퍼 아암(51, 51)은 각각 반대방향으로 동작하면서 제1 링크 아암(19) 및 제2 링크 아암(20)과 제3 링크 아암(43) 및 제4 링크 아암(44)의 제2 힌지핀(18)과 제4 힌지핀(42)을 지점으로 하는 회전동작을 허용하고, 제2 하우징(3)은 수평상태를 유지한 채로 리프트다운 된다.
이 리프트다운 동작은 제2 하우징(3)의 접지상태에서 도17과 도1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하우징(3)의 앞단부가 제1 하우징(2)의 후단부에 맞닿음으로서 종료된다.
리프트다운 한 제2 하우징(3)을 원래 위치로 되돌릴 때에는 제2 하우징(3)을 들어 올리면, 제1 링크 기구(15)와 제2 링크 기구(45)가 동작하여 제2 하우징(3)은 위에 설명한 것과 반대의 리프트 업 동작을 함으로서 리프트 다운 동작 전의 상태로 되돌리고, 각 제1 링크 아암(19)과 제2 링크 아암(20) 및 제3 링크 아암(43)과 제4 링크 아암(44)의 회전 동작이 종료된다.
다음에, 제2 하우징(3)을 가장 가까운 방향으로 끌어당김으로서 제2 하우징(3)은 슬라이드 기구(5)에 의해 슬라이드하여 원래 위치로 되돌리는 것이 된다.
제2 하우징(3)이 슬라이드하여 원래 위치로 되돌아갈 때에는 탄성수단(12, 12)이 한번 압축되어 신장하게 됨으로서, 그의 가하는 힘에 의해 제2 하우징(3)은 제1 하우징(2)에 대하여 슬라이드 동작 도중에 자동적으로 닫히고, 제1 힌지 케이스(6a)와 제2 힌지 케이스(7a)가 수용 요입부(2b, 2b)의 앞단부(2c, 2c)에 맞닿음 에 의한 동작 종료가 되고, 이 폐쇄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된다.
또한, 제1 취부부재(17)와 제2 취부부재(41)는 각 측판(17a),(41a)을 아래로 향하여 부착되고 있으나, 이들을 위로 향하여 부착되는 것은 임의로 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3)을 제1 하우징(2)에 대하여 리프트 다운시켜 제1 하우징(2)에 대하여 나란히 설치시킨 경우에, 제2 하우징(3)이 제1 하우징(2)과 함께 접지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나, 제2 하우징(3)의 하면에 극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은 이것도 또한 임의이다.
또한, 제2 하우징(3)을 리프트 다운시켰을 때에, 제1 하우징(2)의 상면이 균일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힌지수단(7)의 E링(53, 53)은 제3 링크 아암(43)의 둘레부가 제2 힌지 케이스(7a)의 안쪽 둘레홈(7e)과 끼워 맞추는 경우에는 생략하여도 좋다.
그리고, 회전 제어수단(14)의 제1 캠부재(24, 24)와 제2 캠부재(25, 25)는 이들을 단순한 마찰(friction) 와셔로 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1: 포켓형 컴퓨터 2: 제1 하우징
2a: 키보드 2b: 수용요입부
2c: 앞단부 3: 제2 하우징
3a: 디스플레이장치 3b: 힌지 케이스 수용홈
3c: 요입부 3d: 천정부
3e: 조작 버튼 4: 개폐장치
5: 슬라이드 기구 6: 제1 힌지수단
6a: 제1 힌지케이스 6b, 6c: 절반 케이스
6d: 스토퍼부 6e: 삽입통과공
7: 제2 힌지수단 7a: 제2 힌지 케이스
7b,7c: 절반 케이스 7d: 스토퍼부
7e: 안쪽 둘레홈 7f: 삽입통과공
8: 슬라이드베이스 부재 8a: 기판
8b: 부착홈 8c: 슬라이드동작 촉진부재
8d: 부착편 8e: 케이블 삽입통과공
8f: 가이드홈 9: 제1 베이스플레이트
9a: 측판 10: 제2 베이스플레이트
10a: 측판 11: 슬라이드 플레이트
11a: 레일부 11b: 부착핀
12: 탄성수단 13: 스프링 홀더
14: 회전제어수단 15: 제1 링크 기구
16: 제1 힌지핀 16a: 제1 변형축부
16b: 제1 원형축부 16c: 제2 변형축부
16d: 제1 둘레홈 16e: 제3 변형축부
16f: 제2 둘레홈 16g: 제4 변형축부
16h: 제2 원형축부 17: 제1 취부부재
17a: 측판 17b: 변형 부착공
18: 제2 힌지핀 18a: 제1 변형축부
18b: 제1 원형축부 18c: 제2 변형축부
18d: 제1 둘레홈 18e: 제3 변형축부
18f: 제2 둘레홈 18g: 제4 변형축부
18h: 제2 원형축부 19: 제1 링크 아암
19a: 삽입통과공 19b: 걸어맞춤 요입부
20: 제2 링크 아암 20a: 부착공
20b: 부착공 23: 와셔
23a: 삽입통과공 24: 제1 캠부재
24a: 원형삽입통과공 24b: 캠 요입부
24c: 돌기 24d: 캠 요입부
25: 제2 캠부재 25a: 캠 요철부
25b: 변형 삽입통과공 26: 탄성수단
26a: 변형 삽입통과공 27: E링
28: 와셔 29: 제1 취부축
29a: 플랜지부 29b: 큰 직경부
29c: 작은 직경부 30: 제1 스토퍼 원반
30a: 부착공 31: 제1 링크 원반
31a: 삽입통과공 31b: 연결공
32: 제1 스페이서 32a: 삽입통과공
32b: 플랜지부 32c: 통부
33: 제1 스토퍼 아암 33a: 돌기
33b: 연결공 33c: 수용부
34: 제1 링크 베이스 34a: 변형 삽입통과공
34b: 부착핀부 35: E링
40: 제3 힌지핀 40a: 제1 변형축부
40b: 제1 원형축부 40c: 제1 둘레홈
40d: 제2 원형축부 40e: 제2 둘레홈
40f: 제2 변형축부 40g: 제3 원형축부
41: 제2 취부부재 41a: 측판
41b: 변형 부착공 42: 제4 힌지핀
42a: 제1 변형축부 42b: 제1 원형축부
42c: 제1 둘레홈 42d: 제2 원형축부
42e: 제2 둘레홈 42f: 제2 변형축부
42g: 제3 원형축부 43: 제3 링크 아암
43a: 삽입통과공 44: 제4 링크아암
44a: 삽입통과공 44b: 부착공
45: 제2 링크기구 46: 와셔
46a: 삽입통과공 47: 제2 취부축
47a: 플랜지부 47b: 큰 직경부
47c: 작은 직경부 48: 제2 스토퍼 원반
48a: 부착공 49: 제2 링크 원반
49a: 삽입통과공 49b: 연결공
50: 제2 스페이서 50a: 삽입통과공
50b: 플랜지부 50c: 통부
51: 제2 스토퍼 아암 51a: 돌기
51b: 연결공 51c: 수용부
52: 제2 링크 베이스 52a: 변형 삽입통과공
52b: 부착핀부 53: E링
54: E링 55: 와셔

Claims (13)

  1. 제1 하우징과 제 2하우징을 상대적으로 개폐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하우징에 부착 설치된 힌지수단과, 이 힌지수단의 가동부에 부착 설치된 슬라이드베이스부재를 가진 슬라이드기구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수단은 각기 링크기구를 구비한 제1 힌지수단과, 이 제1 힌지수단의 동작에 뒤따르는 동작을 행하는 제2 힌지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1 힌지수단은, 상기 제1 하우징 측에 부착 설치된 제1 취부부재에 고정한 제2 힌지핀과, 이 제2 힌지핀에 대하여 사이를 두고 대향시켜 회전가능하게 연결한 부분의 상기 링크기구를 구성하는 제1 링크기구의 제1 링크 아암 및 제2 링크 아암과, 상기 제1 링크 아암 및 제2 링크 아암의 각 자유단 측에 회전가능하게 부착 설치된 제1 힌지핀과, 상기 제2 힌지핀과 상기 제1 힌지핀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힌지핀을 상기 슬라이드베이스부재에 부착 설치된 제1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고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기구는 상기 제2 하우징 측에 부착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 맞춘 슬라이드플레이트와, 이 슬라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드베이스부재 사이에 탄력 설치된 탄성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하면 양측부에는 상기 제1 힌지수단과 제2 힌지수단의 상부 측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힌지케이스수용홈이 설치되고, 이들의 힌지케이스수용홈에는 상기 제1 힌지수단과 제2 힌지수단의 회전동작을 허용하는 요입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기구는, 상기 제1 하우징 측에 부착 설치한 상기 제1 힌지수단과 제2 힌지수단의 제1 베이스플레이트와 제2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부착한 슬라이드베이스부재와, 상기 제2 하우징 측에 부착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 맞춘 슬라이드플레이트와, 이 슬라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드베이스부재 사이에 탄력 설치된 탄성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과 제 2하우징을 상대적으로 개폐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하우징에 부착 설치된 힌지수단과, 이 힌지수단의 가동부에 부착 설치된 슬라이드베이스부재를 가진 슬라이드기구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링크기구를 구비한 제1 힌지수단과, 이 제1 힌지수단의 동작에 뒤따르는 동작을 행하는 제2 힌지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2 힌지수단은, 상기 제1 하우징측에 부착 설치된 제2 취부부재에 고정한 제4 힌지핀과, 이 제4 힌지핀에 대하여 사이를 두고 대향시켜 회전가능하게 연결한 부분의 상기 링크기구의 제2 링크기구를 구성하는 제3 링크 아암 및 제4 링크 아암과, 상기 제3 링크 아암 및 제4 링크 아암의 각 자유단 측에 회전가능하게 부착 설치된 제3 힌지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3 힌지핀은 상기 슬라이드베이스부재에 부착 설치된 제2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고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기구는 상기 제2 하우징 측에 부착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 맞춘 슬라이드플레이트와, 이 슬라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드베이스부재 사이에 탄력 설치된 탄성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9. 제1 하우징과 제 2하우징을 상대적으로 개폐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하우징에 부착 설치된 힌지수단과, 이 힌지수단의 가동부에 부착 설치된 슬라이드베이스부재를 가진 슬라이드기구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수단은 각기 링크기구를 구비한 제1 힌지수단과, 이 제1 힌지수단의 동작에 뒤따르는 동작을 행하는 제2 힌지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1 힌지수단은, 상기 제1 하우징 측에 부착 설치된 제1 취부부재에 고정한 제2 힌지핀과, 이 제2 힌지핀에 대하여 사이를 두고 대향시켜 회전가능하게 연결한 부분의 상기 링크기구를 구성하는 제1 링크기구의 제1 링크 아암 및 제2 링크 아암과, 상기 제1 링크 아암 및 제2 링크 아암의 각 자유단 측에 회전가능하게 부착 설치된 제1 힌지핀과, 상기 제2 힌지핀과 상기 제1 힌지핀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힌지핀을 상기 슬라이드베이스부재에 부착 설치된 제1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고 동시에,
    상기 제2 힌지수단은, 상기 제1 하우징측에 부착 설치된 제2 취부부재에 고정한 제4 힌지핀과, 이 제4 힌지핀에 대하여 사이를 두고 대향시켜 회전가능하게 연결한 부분의 상기 링크기구의 제2 링크기구를 구성한 제3 링크 아암 및 제4 링크 아암과, 상기 제3 링크 아암 및 제4 링크 아암의 각 자유단 측에 회전가능하게 부착 설치된 제3 힌지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3 힌지핀은 상기 슬라이드베이스부재에 부착 설치된 제2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고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기구는 상기 제2 하우징 측에 부착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 맞춘 슬라이드플레이트와, 이 슬라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드베이스부재 사이에 탄력 설치된 탄성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수단에 설치된 제1 링크기구는, 상기 제1 힌지수단의 제2 링크 아암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 설치된 제1 링크원반과, 상기 제1 힌지핀과 제2 힌지핀에 회전이 구속되어 부착 설치된 한쌍의 제1 링크베이스와, 이 각 제1 링크베이스와 상기 제1 링크원반에 연결된 한쌍의 제1 스토퍼 아암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수단에 설치된 제2 링크기구는, 상기 제2 힌지수단의 제4 링크아암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 설치된 제2 링크원반과, 상기 제2 힌지수단의 제3 힌지핀과 제4 힌지핀에 회전이 구속되어 부착 설치된 한쌍의 제2 링크베이스와, 이 각 제2 링크베이스와 상기 제2 링크 원반에 연결된 한쌍의 제2 스토퍼 아암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수단은, 상기 제1 힌지수단의 제1 힌지핀과 제2 힌지핀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삽입 통과시키고, 상기 제1 힌지수단의 제1 링크 아암과 제2 링크 아암에 고정된 한쌍의 제1 캠부재와, 이 각 제1 캠부재와 대향하여 상기 제1 힌지핀과 제2 힌지핀에 회전이 구속되어 부착 설치된 한쌍의 제2 캠부재와, 이 각 제2 캠부재를 상기 제1 캠부재 측으로 밀어 누르는 한쌍의 탄성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개폐장치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부착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전자기기.
KR1020100106460A 2009-10-29 2010-10-29 개폐장치 및 소형전자기기 KR101192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460A KR101192574B1 (ko) 2009-10-29 2010-10-29 개폐장치 및 소형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49375 2009-10-29
KR1020100106460A KR101192574B1 (ko) 2009-10-29 2010-10-29 개폐장치 및 소형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157A KR20110047157A (ko) 2011-05-06
KR101192574B1 true KR101192574B1 (ko) 2012-10-17

Family

ID=44238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460A KR101192574B1 (ko) 2009-10-29 2010-10-29 개폐장치 및 소형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5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188B1 (ko) * 2017-04-10 2018-09-28 에스티커넥터(주)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188B1 (ko) * 2017-04-10 2018-09-28 에스티커넥터(주)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157A (ko) 201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87599B1 (en) Slidable and tiltable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085343B2 (ja)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機器
CN101795544B (zh) 信息终端装置及铰接单元
EP1501260A1 (en)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EP2267986B1 (en) Electronic device and moving mechanism thereof
US10678309B2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EP2194693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5944095B2 (ja) 開閉装置
JP5111355B2 (ja) 開閉式小型電子機器
CN102160364A (zh) 滑动式电子设备
KR20040089542A (ko) 개폐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자기기
KR101192574B1 (ko) 개폐장치 및 소형전자기기
JP2010249209A (ja) 小型電子機器の2軸ヒンジ並びにこの2軸ヒンジを用いた小型電子機器
KR20090129647A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슬라이드형 휴대용 정보기기
JP2003058299A (ja) ポップアップキーボードを有する情報処理装置
JP5414459B2 (ja) 開閉装置並びに小型電子機器
JP4026506B2 (ja) 開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1398133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 슬라이드 모듈을 갖는 휴대 단말기
CN101668398B (zh) 滑盖式电子装置
KR101061155B1 (ko) 폴딩 방식의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JP5111341B2 (ja) 開閉式小型電子機器
JP2011096010A5 (ko)
KR20100070241A (ko) 폴더타입 휴대통신기기의 힌지조립체
KR101732736B1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거치 장치
KR101107122B1 (ko) 모바일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