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836B1 - 터치 스크린 인에이블형 착용식 디바이스를 위한 멀티-축 인터페이스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인에이블형 착용식 디바이스를 위한 멀티-축 인터페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836B1
KR101890836B1 KR1020147029395A KR20147029395A KR101890836B1 KR 101890836 B1 KR101890836 B1 KR 101890836B1 KR 1020147029395 A KR1020147029395 A KR 1020147029395A KR 20147029395 A KR20147029395 A KR 20147029395A KR 101890836 B1 KR101890836 B1 KR 101890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touch screen
displayed
user interfac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7086A (ko
Inventor
데이비드 제이. 모링
모건 터커
티모시 디. 트워덜
Original Assignee
구글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글 엘엘씨 filed Critical 구글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50067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8Touch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time-pie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스크린-인에이블형 착용식 컴퓨터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에 의해 제공되는 멀티-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멀티-축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터치 스크린 상에 하나씩 디스플레이되는 적어도 두 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의 시리즈를 각 각 디스플레이함-; 및 수직 내비게이션 축과 수평 내비게이션 축의 조합을 포함하는데, 수직 내비게이션 축은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상에서 생성된 수직 스와이프 제스처들에 응답하여 상기 다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 사이를 내비게이팅하게 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수평 내비게이션 축은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가로 지르는 수평 스와이프 제스처들에 응답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의 상기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을 내비게이팅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인에이블형 착용식 디바이스를 위한 멀티-축 인터페이스{MULTI-AXIS INTERFACE FOR A TOUCH-SCREEN ENABLED WEARABLE DEVICE}
본 출원은 2012년 3월 20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번호 제13/425,355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전자 데이터 및 통신 디바이스들은 그들의 정보 처리 용량이 계속해서 증가하는 순간에도 지속적으로 더 작아지고 있다. 현재 휴대 통신 디바이스들은 주로 이 디바이스들을 사용자 손가락 제스처들로 제어되게 하는 터치 스크린-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이다. 이러한 많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3" 또는 4" 대각선보다 전형적으로 더 큰 스크린들을 가지는 휴대폰과 같은 포켓(pocket)-크기의 디바이스들에 최적화된다. 그들의 상대적으로 큰 폼 팩터(form factor)들로 인해, 하나 이상의 기계적 버튼들이 전형적으로 이러한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제공된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이 장착된 iPhoneTM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의 어레이를 디스플레이하는 홈(home) 스크린의 개념에 바탕을 둔다. iPhone 상에 로드(load)된 어플리케이션의 수에 따라, 홈 스크린은 아이콘들의 여러 페이지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첫 번째 페이지가 메인 홈 스크린이 된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을 가로질러 손가락을 수평으로 스와이핑(swiping)함으로써 하나의 홈 스크린 페이지로부터 다른 홈 스크린 페이지로 스크롤 할 수 있다. 아이콘들 중 하나의 아이콘 상의 탭(tap)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연다. 메인 홈 스크린은 때때로 홈 버튼(home button)으로 일컬어지는, 터치 스크린 아래에 위치한 하드웨어 버튼(hardware button)을 눌러서, 임의의 오픈(open) 어플리케이션 또는 다른 홈 스크린 페이지로부터 엑세스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들 사이에서 빠르게 전환(switching)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최근에 사용된 어플리케이션의 행(row)을 나타내도록 홈 버튼을 더블 클릭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수평 스와이프들로 스크롤하여 손가락 탭으로 어떤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열 수 있다. 수평 스와이프들의 사용으로 인해, iPhone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수평-기반 네비게이션을 갖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iPhone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같은 터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많은 이점들을 제공할 수 있는 반면, 이러한 터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어플리케이션들을 네비게이팅하고 들어가기/나가기(enter/exit)를 하기 위해 버튼 누름들, 손가락 스와이프들, 및 탭들의 복잡한 조합에 의존한다. 이것은 사용자로 하여금 디바이스에 포커스(focus)하고 상기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기능을 시각적으로 타겟(target)하도록 요구한다.
소형화의 빠른 발전이 일어남에 따라, 이러한 디바이스들이 착용가능해 지도록 하는 훨씬 더 작은 폼 팩터들이 가능해진다. 대각선으로 2.5" 미만의 스크린 크기를 갖는, 훨씬 더 작은 착용식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작은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현저히 상이한 직관적인 방식이어야 한다.
따라서, 매우 작은 착용식 전자 비다이스들에 최적화된 향상된 터치 스크린-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 하여금 동작시 비주얼 포커스(visual focus)의 필요성을 감소시키고 공간을 소비하는 기계적 버튼을 필요로 하지 않는 방식으로 데이터 및 그래픽 오브젝트들을 엑세스하고 처리(manipulate)할 수 있게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멀티-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 스크린 인에이블형 착용식 컴퓨터에 제공하는 방법들 및 시스템들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양상들은: 멀티-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터치 스크린상에 하나씩 디스플레이되는 적어도 2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을 제공하는 것 - 각각의 영역은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의 시리즈를 각각 디스플레이함 - 및 수직 네비게이션 축 및 수평 네비게이션 축의 조합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수직 네비게이션 축은 터치 스크린상에서 행해진 수직 스와이프 제스처들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다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 사이를 네비게이팅 할 수 있게 하고, 수평 네비게이션 축은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가로지르는 수평 스와이프 제스처들에 응답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의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을 네비게이팅할 수 있게 한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단일축 네비게이션이 아닌 멀티-축 네비게이션의 사용은 사용자로 하여금 정밀하게 타겟팅된 손가락 탭들(taps)보다는 한 쌍의 수직 및 수평의 손가락 스와이프들(swipes) (그로스 제스처(gross gesture))과 최소한의 포커스(minimal focus)로 착용식 컴퓨터상에서 필요한 기능을 호출(invoke)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은 착용식 컴퓨터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컴퓨터를 포함하는 컴퓨터 컴포넌트들을 나타낸 하이-레벨(high-level) 블럭도이다.
도 3a, 3b, 와 3c는 착용식 디바이스를 위한 멀티-축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착용식 컴퓨터를 위한 멀티-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좀 더 세부적으로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이 와치 페이스(watch face)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수직 스와이프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위 레벨(top level) 영역 상의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중간 레벨(middle level) 영역 상의 어플리케이션 런처(launcher) 스크린으로의 수직 트랜지션(transition)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어플리케이션 런처로부터 여러 가지 어플리케이션 아이콘(icon)들의 수평 스크롤링(horizontal scrolling)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중간 레벨 영역 상의 어플리케이션 런처 스크린으로부터 하위 레벨(bottom level) 영역 상의 어플리케이션 스크린으로의 수직 트랜지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기상(weather) 어플리케이션의 예시적인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더블(double) 손가락 스와이프와 같은 유니버설 제스처에 응답하여, 예시적인 기상 어플리케이션 스크린으로부터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으로 되돌아가는 수직 트랜지션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는 착용식 컴퓨터를 위한 멀티-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하기의 설명은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로 하여금 본 발명을 만들고 사용할 수 있도록 제시되며, 특허출원 및 이의 요건의 맥락에서 제공된다.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들 및 여기에 설명된 포괄적인 원칙들과 특징들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은 주로, 특정 구현들에서 제공되는 특정 방법들 및 시스템들에 관해 설명된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 및 시스템들은 다른 구현들에서 효과적으로 동작할 것이다. "실시예",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와 같은 어구들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예들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일정 컴포넌트들을 가지는 시스템들 및/또는 디바이스들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시스템들 및/또는 디바이스들은 여기에 보인 것보다 더 많은 혹은 더 적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포넌트들의 어레이 및 타입의 변경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만들어질 수 있다. 실시예들은 또한 일정 단계들을 가지는 특정 방법들의 맥락에서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과 시스템은 상이한 및/또는 추가적인 단계들 및 상기 실시예들과는 일치하지 않는 서로 다른 순서들의 단계들을 가지는 다른 방법들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한 실시예들에만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여기에 설명된 원칙들과 특징들에 부합하는 가장 넓은 범위가 본 발명에 부여된다.
실시예들은 터치 스크린 인에이블형 착용식 컴퓨터를 위한 멀티-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들 및 시스템들을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2개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 -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 중 하나만이 임의의 정해진 시간에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 및 수직 네비게이션 축과 수평 네비게이션 축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 네비게이션 축은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수직 스와이프 제스처들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 사이를 네비게이팅하게 할 수 있다. 수평 네비게이션 축은 사용자로 하여금, 수평 스와이프 제스처들을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 각각의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 사이를 네비게이팅하게 할 수 있다.
수직 및 수평 네비게이션 축들의 조합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간소화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기능을 빠르게 액세스하게 할 수 있으며, 네비게이션을 위한 하드웨어 버튼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일련의 손가락 스와이프들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을 호출하고자 할 때, 착용식 컴퓨터를 바라볼 필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착용식 컴퓨터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착용식 컴퓨터(12)는 독립적인 상태(standalone state)에서 완전히 기능하지만, 예를 들어, 와치케이스들(watchcase) 및 끈(lanyard)들과 같은 다양한 폼 펙터들내에 물리적으로 플러깅함으로써 보조 디바이스들(accessory devices) 사이에서 교체될 수 있다. 도 1의 예시는 두 개의 실시예들을 보여준다. 일 실시예에서, 착용식 컴퓨터(12)는 와치 케이스(10a)의 후면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착용식 컴퓨터(12)는 후면이 폐쇄된 다른 와치 케이스(10b)의 후면에 삽입될 수 있다. 와치 케이스들(10a 및 10b)은 와치 케이스(10)라 통칭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착용식 컴퓨터(12)의 본체(14)는 고해상도의 터치스크린(16), 무선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Bluetooth) 및 WiFi와 같은 전자 제품들의 서브어셈블리(subassembly)(18) 및 모션 센서(motion sensor)(미도시)와 같은 컴포넌트들을 결합한다. 착용식 컴퓨터(12)는 내장된 어플리케이션들과 웹 서비스들로부터의 관련 정보를 한눈에 적시에 디스플레이한다. 착용식 컴퓨터(12)는 또한, 스마트폰으로부터의 텍스트, 이메일, 및 발신자 ID 정보 등의 정보를 릴레이함으로써 이 스마트폰의 컴패니언(companion) 디바이스로서 간주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그들의 스마트폰을 상태 확인을 위해 주머니, 지갑, 또는 서류 가방에서 꺼낼 필요를 감소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은 대각선으로 2.5 인치 미만의 크기를 가지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대각선으로 약 1.5 인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16)은 25.4 x 25.4 MM이지만, 착용식 컴퓨터(12)의 본체(14)는 34 x 30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식 컴퓨터(1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어떠한 버튼도 갖지 않는다. 대신에, 착용식 컴퓨터(1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터치를 통해 터치 스크린(16)과 인터렉션하는 사용자에 의해 전적으로 제어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버튼 또는 다이얼이 착용식 컴퓨터(12)로부터 완전히 없게 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간소화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기 위해서가 아닌, 착용식 컴퓨터(12)를 턴온 및 턴오프 하기 위한 버튼이 착용식 컴퓨터(12)의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모듈러 무브먼트(modular movement)(12)은 처음에 충전되도록 플러그-인되면 자동적으로 켜질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자동 구성 설정(auto configuration setting)이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자동 구성 실시예에서, 착용식 컴퓨터(12)가 케이스(10)에 삽입될 때, 착용식 컴퓨터(12)는 케이스(10)의 메이커 및 모델과 같은 케이스(10)의 특징들을 자동으로 판단하도록 컨택트들(20) 및 해당 컨택트들의 세트를 통해 케이스(10)에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상기 특징들을 사용하여, 착용식 컴퓨터(12)는 자동으로 그에 맞춰 자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착용식 컴퓨터(12)가 케이스(10)에 삽입되고 이 케이스(10)가 운동용 액세서리(athletic accesory)라고 결정하면, 착용식 컴퓨터(12)는 심장박동 모니터(heart rate monitor)와 같은 운동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자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여러 제조업체들(예를 들어, NikeTM, Under ArmorTM, 등) 중의 어느 업체가 상기 액세서리를 제공했는지를 결정함으로써, 착용식 컴퓨터(12)는 그 제조업체의 그래픽 테마(theme)와 로고를 디스플레이하고 액세서리를 위해 설계된 제조업체-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호출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컴퓨터를 포함하는 컴퓨터 컴포넌트들을 나타낸 하이-레벨 블럭도이다. 터치 스크린(16) 외에, 착용식 컴퓨터(12)의 전자 제품 서브어셈블리(18)는 프로세서(202), 메모리(204), 입력/출력(206), 전력 관리자(208), 통신 인터페이스(210), 및 센서(212)와 같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착용식 컴퓨터(12)의 다양한 프로세스들을 제어하기 위해 다수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을 동시에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메인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예를 들어,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슬립 모드에 진입할 때 타임 키핑(time keeping) 및 터치 스크린(16) 입력을 인수(take over)하는 상시 접속(always on) 프로세서와 같은 이중 프로세서 배열(dual processor arrangement)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2)는 다수의 코어들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들(204)은 RAM(random access memory)과 비휘발성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M은 소프트웨어 루틴 및 다른 선택적인 저장 기능들의 실행을 지원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위한 메인 메모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전력 없이 명령들과 데이터를 보유할 수 있으며, 컴퓨터-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들의 형식으로 착용식 컴퓨터(12)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루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플레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임의의 타입의 ROM(read 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I/O(206)들은 터치 스크린 제어기, 디스플레이 제어기, 및 선택적(optional)인 오디오 칩(미도시)과 같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제어기는 터치들과 터치 위치들을 검출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16)과 인터페이스 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렉션(interaction)들의 결정을 위해 프로세서(202)에 상기 정보를 보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RAM을 액세스하고, 시간 및 데이터 및/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같은 처리된 데이터를 터치 스크린(16)에 디스플레이를 위해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칩은 착용식 컴퓨터(12)의 오디오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선택적인 스피커 및 마이크와 결합 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들(202)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다른 예의 I/O(206)는 USB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자(208)는 프로세서(202)와 통신할 수 있으며, 착용식 컴퓨터(12)가 정규 동작시 배터리(미도시)로 부터 전력을 인출하는 동안 착용식 컴퓨터(12)를 위한 전력 관리를 조정(coordination)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는 예를 들어 재충전 가능, 리듐 이온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단방향 또는 양방향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주로 원격으로 터치 스크린(16)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업데이트된 스트리밍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 외에, 통신 인터페이스(216)는 또한 음성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낮은 및 중간 전력 무선 주파수(RF) 통신들을 지원한다.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s) 및 WiMAX를 포함하는 Wi-Fi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Wi-Fi 송수신기; 블루투스 프로토콜(Bluetooth protocol) 등에 따라, WPANs(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와 같은 저-전력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송수신기; 및 패시브(passive)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iton)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무선 옵션들은, 예를 들어, 베이스밴드(baseband)와 적외선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또한, 예를 들어, 컨택트들을 통한 시리얼(serial) 통신들 및/또는 USB 통신들과 같은 무선 이외의 다른 타입의 통신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들(212)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칩 및 가속도계(미도시)를 포함하는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계는 프로세서들(202)에 의한 사용을 위해 위치, 모션(motion), 틸트(tilt), 쇼크(shock), 및 진동(vibration)을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착용식 컴퓨터(12)는 환경 센서들(예를 들어, 환경 광(ambient light), 온도, 습도, 압력, 고도(altitude), 등), 생물학적 센서들(예를 들어, 맥박, 체온, 혈압, 체지방, 등), 및 물체의 접근을 검출하는 근접 검출기(proximity detector)를 포함하는 임의의 수의 많은 선택적인 센서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착용식 컴퓨터(12)는 센서들(212)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분석 및 디스플레이하고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미가공(raw) 또는 분석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은 제스처 해석기(interpreter)(214), 어플리케이션 런처(launcher)(216), 다수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들(218), 및 운영 체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체제(220)는 바람직하게, 컴퓨터 하드웨어 리소스들을 관리하고 어플리케이션(218)을 위한 일반적인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멀티태스킹 운영 체제(multitasking operating system)이다. 일 실시예에서, 운영 체제(220)는 AndroidTM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위한 리눅스 기반 (Linux-based) 운영 체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218)들은 자바(Java) 형식으로 쓰여질 수 있으며, 제 3자의 인터넷 사이트로부터 또는 온라인 어플리케이션 스토어(store)를 통해 착용식 컴퓨터(12)로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착용식 컴퓨터(12) 상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제 1 어플리케이션(primary application)은 어플리케이션 런처(216)이다.
어플리케이션 런처(216)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부터 디바이스 스타트업(startup) 및/또는 웨이크(wake)하에서 운영 체제(220)에 의해 호출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런처(216)는 어웨이크 모드(awake mode) 동안에 지속적으로 동작(run)되며, 다른 어플리케이션들(218)을 런칭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 런처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디폴트(default) 어플리케이션은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222)이다. 일 실시예에서,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222)은 최소한 시각을 디스플레이하지만 현위치(예를 들어, 도시), 국지 기상 및 날짜와 같은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다이나믹 와치 페이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222)을 포함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들(218)은 임의의 정해진 시간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복수의 스크린들 또는 페이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6) 상에서 하나 이상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손가락 제스처를 행하여 착용식 컴퓨터(12)를 동작시킨다. 또한, 손가락 대신에 스타일러스(stylus)가 사용될 수 있다. 운영 체제(220)는 손가락/스타일러스 제스처들, 즉 제스처 이벤트들을 검출하고, 상기 제스처 이벤트들을 어플리케이션 런처(216)에 보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어플리케이션 런처(216)는 제스처 타입(예를 들어, 수직적 스와이프(vertical swipe), 탭(tap), 탭 및 홀드(tap and hold), 등)을 결정하는 제스처 해석기(214)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어플리케이션 런처(216)는 제스처 타입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할 수 있다.
운영체제(220), 제스처 해석기(214), 및 어플리케이션 런처(216)는 개별의 컴포넌트들로서 보여지지만, 각각의 기능은 더 적은 혹은 더 많은 수의 모듈들/컴포넌트들에 통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런처(216)는 수직 및 수평 네비게이션 축들 둘 다의 조합으로 다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을 포함하는 멀티-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착용식 컴퓨터(12)를 동작시키도록 사용자가 요구하는 비주얼 포커스의 양을 줄이기 위해, 수직 및 수평의 네비게이션 축들의 방향에 따라 행해진 간단한 손가락 제스처들을 사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 사이를 네비게이팅한다. 또한, 멀티-축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 하여금 기계버튼의 필요 없이 착용식 컴퓨터(12)를 동작시킬 수 있게 있다.
도 3a, 3b, 와 3c는 터치 스크린 인에이블형 착용식 디바이스(12)를 위한 멀티-축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축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집합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300)이라고 하는)다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300a, 300b, 300c)을 포함한다. 다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300)은 제 1 시리즈의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상위 레벨 영역(300a), 제 2 시리즈의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중간 레벨 영역(300b), 및 제 3 시리즈의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을 디스플레이하는 하위 레벨 영역(300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역들 사이에 트랜지션들이 애니메이팅되는 실시예들을 제외하고는, 한번에 상기 영역들(300a, 300b, 300c) 중 단 하나만 터치 스크린(12)에서 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런처(212)는 수직 네비게이션 축(310)과 수평 네비게이션 축(312)의 조합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 네비게이션 축(310)은 터치 스크린(12) 상에 수직 스와이프 제스처들(314)을 만드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300a 내지 300c) 사이를 네비게이팅할 수 있게 한다. 즉, 현재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레벨 영역(300) 상에서 단일 수직 스와이프 제스처(314)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바로 인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레벨 영역(300)이 디스플레이된다.
대조적으로, 수평 네비게이션 축(312)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300)의 각 각에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되고,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가로지르는 수평 스와이프 제스쳐들(316)을 사용하여, 현재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의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 사이에서 네비게이팅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레벨 영역(300)의 현재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 스크린상에서 단일 수평 스와이프 제스처(316)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 레벨 영역(300)의 바로 인접한 어플리케이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300) 사이에서 수직 네비게이션 동안, 사용자가 상위 레벨 영역(300a) 또는 하위 레벨 영역(300c)에 도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이전 레벨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반대 방향으로 수직 사용자 스와이프(314)를 수행해야 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300a 내지 300c)을 통해 지속적인 수직 스크롤링(scrolling)이 가능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300a 내지 300c)의 순환 큐(circular queue)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300a, 300b, 300c)은 전자 지도의 영역들로 유추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크린상에 손가락을 두고, 임의의 360
Figure 112014100008817-pct00001
방향으로 지도 주변을 "드래깅(dragging)"하여, 예를 들어, 부드러운 스크롤 움직임으로 지도를 위쪽으로 드래깅하는 핑거-업(finger up) 움직임 및 지도의 이전에 숨겨진 부분들의 계시를 통해 전자 지도를 네비게이팅할 수 있다. 현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다음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을 드러내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을 "드래그"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것은 사용자에게 스크린에 다음 영역을 안내(guide)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을 유심히 보도록 요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신,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300a, 300b, 300c) 사이에서 개별적인 트랜지션들을 일으키는 간단한 수직 스와이프들, 예를 들어, 업 스와이프(up swipe)로 영역들 사이에서 네비게이팅한다. 즉, 바로 인접한 영역이 위치로 "스냅(snap)" 하고 이전에 표시된 영역을 교체한다.
도 3a는 상위 레벨 영역(300a)이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222)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222)은 수평 스와이프 제스처들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와치 페이스 스크린들(302)의 시리즈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와치 페이스 스크린들(302)을 통해 스크롤할 수 있고, 착용식 컴퓨터(12)의 외관을 바꾸기 위해 디폴트 와치 스크린이 되는 와치 페이스 스크린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222)은 디스플레이된 티폴트 어플리케이션이다. 일 실시예에서, 단일 수평 스와이프 제스처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와치 페이스 스크린이, 이전의 혹은 다음의 와치 페이스 스크린을 드러내기 위해,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연속적인 스크롤링은 와치 페이스 스크린들(302)의 순환 큐를 생성시키며, 원래 디스플레이된 와치 페이스 스크린으로 복귀될 수 있다. 탭 또는 더블 탭(double tap)과 같은 선택-타입(selection-type) 제스처는 디폴트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222)이 되도록 현재 디스플레이된 와치 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222)은 소셜 네트워크 피드(social network feed), 기상, 등을 표시하는 다른 정보 타입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b는 중간 레벨 영역(300b)이 사용자 스와이프들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306)의 시리즈를 표시하는 착용식 컴퓨터(12) 상의 어플리케이션 스크린(304)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306)을 통해 스크롤하고 열기 위한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일 실시예에서, 각 어플리케이션 아이콘(306)은 그 자신의 스크린상에 표시된다. 중간 레벨 영역(300b)를 디스플레이하면서, 터치 스크린(12) 상에 만들어진 수평 사용자 스와이프 제스처들을 검출함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306)이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단 하나의 수평 스와이프 제스처는 현재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이전 혹은 다음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드러내도록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연속적인 스크롤링은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스크린들의 순환 큐을 생성시키며, 원래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스크린으로 복귀할 수 있다. 탭 또는 스와이프와 같은 선택-타입 제스처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306)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오픈할 수 있다.
도 3c는 하위 레벨 영역(300c)이 오픈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308)의 시리즈를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어플리케이션 런처(216)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각 어플리케이션은 자체의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308)의 세트를 가질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308)의 시리즈는 사용자가 이전 혹은 다음의 어플리케이션 스크린(308)을 드러내기 위해 현재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스크린을 왼쪽으로 또는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수평 스와이프 제스처들을 수행하는 것을 검출함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a, 3b, 및 3c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순환 큐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과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의 시리즈를 구현하기보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과 어플리케이션 스크린의 시리즈는 첫 번째 패널 또는 마지막 패널을 지나 스크롤링 하는 것이 허락되지 않으면, 각 단(end)상에서 종료되는 스크린들 또는 페널들의 링크된 리스트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만약 사용자가 스와이프 제스처로 첫 번째 패널 혹은 마지막 패널을 지나는 플립(flip)을 시도한 다면(그리하여 플립할 패널이 전혀 없다면), 현재 디스플레이된 패널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움직이기 시작할 때 움직이기 시작할 수 있지만,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들어올려질(lift) 때는 제자리로 돌아온다. 일 실시예에서, 플립하거나 제자리로 돌아오는 애니메이션은 시뮬레이팅된 감속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패널이 최종 멈춤(final stopping) 지점에 가까워 짐으로써, 패널은 갑자기 멈추는 것보다는 멈추기 위해 감속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데, 이것은 먼저 업 스와이프를 이용해 어플리케이션 런처 스크린(304)으로 복귀하고, 예를 들어, 그 다음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도록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스와이핑하고, 그 다음 다운 스와이프를 실행하여, 예를 들어,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스크린(308)으로 진입하게 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들을 바꾸기 위해 상, 좌/우, 및 하로 움직여야 하는 대신에, 사용자는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스크린들이 보여질 때까지 하위 레벨 영역들(300c)에서 계속적으로 수평 스와이프들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멀티-축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3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 대신에 2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은 중간 레벨 영역(300b)가 상위 레벨이 되는 어플리케이션 런처 스크린(304)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사용자는 수평 스와이프들을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 런처 스크린(304)에서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임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스크롤할 수 있다.
도 4는 착용식 컴퓨터를 위한 멀티-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더욱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스는 제스처 해석기(214), 어플리케이션 런처(216), 및 운영 체제(220)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프로세서(202) 상에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착용식 컴퓨터(12)가 슬립(sleep)으로부터 스타트-업(start-up) 또는 웨이크(wake)할 때, 상기 프로세스는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터치 스크린(16)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시작을 행할 수 있다(블록 400). 전술한 바와 같이,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22)은 하나 이상의 와치 페이스들의 시리즈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와치 페이스를 가로질러 수평 스와이프 제스처들을 수행하여, 와치 페이스들의 시리즈을 통해 수평적으로 스크롤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돌발적인(accidental) 스크롤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엑세스-타입 제스처, 예를 들어, 탭 또는 탭 및 홀드 제스처를 스크롤링 특성(feature)을 활성화시키기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와치 페이스(302) 상에 우선 수행하도록 요구될 수 있다.
도 5는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500)이 와치 페이스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좌 및 우 수평 스와이프 제스처들(502)에 응답하여,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500)으로부터 상이한 와치 페이스들을 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 스와이프(예를 들어, 좌 및 우)(502)는 하나의 와치 페이스로 하여금 터치 스크린(16) 상에 현재 디스플레이된 와치 페이스를 이전 또는 다음의 와치 페이스로 대체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와치 페이스는 전체 페이지를 포함하고 터치 스크린(16)의 디스플레이를 가득 채운다. 하지만, 상기 하나의 와치 페이스는 인접한 와치 페이스들의 부분적인 뷰(view)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고하면,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터치 스크린상에서 제 1 방향(예를 들어, 업(up) 방향)으로의 수직 스와이프 제스처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어플리케이션 런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위 레벨 영역으로부터 중간 레벨 영역으로 수직 축(310)을 따라 트랜지션된다(블록 402).
도 6은 수직 스와이프 제스처(604)에 응답하여, 상위 레벨 영역 상의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500)에서 중간 레벨 영역 상의 어플리케이션 런처 스크린(602)으로의 수직 트랜지션(transition)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경우에서, 기상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일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 런처 스크린(602)이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500) 상에서 단일 손가락 업(up) 스와이프(또는 다운(down) 스와이프)는 어플리케이션 런처 스크린(602)하여금 터치 스크린(16) 상에서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500)을 간단히 교체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고하면, 어플리케이션 런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터치 스크린을 가로질러 수평 스와이프 제스처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은 사용자 선택을 위해 터치 스크린을 가로질러 수평으로 스크롤링된다(블록 404).
도 7은 좌 및 우 수평 스와이프 제스처들(702)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 런처로부터 상이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700)의 수평 스크롤링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 스와이프(예를 들어, 좌 또는 우)는 어플리케이션 런처(216)로 하여금 터치 스크린(16) 상의 현재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이전 혹은 다음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으로 교체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700)은 전체 페이지를 포함하고 터치 스크린(16)의 디스플레이를 가득 채운다. 하지만, 상기 아이콘(700)은 인접한 와치 페이스들의 부분적인 뷰(view)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고하면, 어플리케이션 런처 스크린(602)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제 2 방향(예를 들어, 다운(down) 방향)으로의 수직 스와이프 제스처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중간 레벨 영역(300b)로부터 상위 레벨 영역(300a)로 트랜지션하고,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500)을 다시 디스플레이한다(블록406).
어플리케이션 런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터치 스크린상의 탭 또는 제 1 방향으로의 수직 스와이프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오픈되고, 어플리케이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수직축을 따라 중간 레벨 영역으로부터 하위 레벨 영역으로 트랜지션된다(블록 408).
도 8은 탭 또는 수직 스와이프 제스처(802)에 응답하여, 중간 레벨 영역 상의 어플리케이션 런처 스크린(602)에서 하위 레벨 영역 상의 어플리케이션 스크린(800)으로의 수직 트랜지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탭 또는 수직 스와이프 제스처(802)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700)을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스크린(800)을 디스플레이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오픈한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런처 스크린(602)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터치 스크린상에서의 단일 손가락 탭 또는 업 스와이프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700)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스크린(80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어플리케이션 런처 스크린(602)에서 기상 어플리케이션 아이콘(700)을 선택한 사용자에 응답하여 오픈된, 기상 어플리케이션의 예시적인 어플리케이션 스크린(800)을 나타낸 도면이다. 기상 어플리케이션(800)은 여러 가지의 페이지들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각 페이지는 서로 다른 도시의 현재 기상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는 수평 스와이프 제스처(802)를 이용하여 도시에서 도시로 스크롤링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수직 스와이프(804), 예를 들어, 업 스와이프를 수행함에 응답하여, 페이지는 각 요일 마다의 기상을 나타내도록 풀업(pull up)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 요일은 그 자신의 "미니-패널(mini-panel)"(806)(예를 들어, 페이지의 직사각형 서브디비전(subdivision)) 상에 보여질 수 있다. 미니 패널들(806)은 어플리케이션 스크린(800)의 하부를 차지할 수 있거나, 개별 페이지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고해서, 어플리케이션 스크린(800)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터치 스크린상에서 제 2 방향(예를 들어, 하)으로의 수직 스와이프 제스처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위 레벨 영역(300c)로부터 중간 레벨 영여(300b)로 트랜지션하며, 어플리케이션 런처 스크린(602)을 다시 디스플레이한다(블록 410).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 런처 스크린 또는 오픈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스크린중 하나에서 유니버설(universal) 제스처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홈 스크린(home screen)이 다시 디스플레이된다. 일반적인 제스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어떤 레벨 또는 어떤 영역이 디스플레이되는 가에 상관없이 동일한 기능에 매핑(mapping)되는 제스처일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제스처의 일 예는 두 개의 손가락 수직 스와이프가 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런처 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검출될 때, 어플리케이션 런처는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와치 페이스의 재디스플레이(redisplay)를 일으킨다.
도 10은 더블 손가락 스와이프와 같은 일반적인 제스처(1000)에 응답하여, 예시적인 기상 어플리케이션 스크린(800)으로부터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으로 돌아가는 수직 트랜지션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자는 한번의 움직임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하위 레벨 영역(300c)로부터 상위 레벨 영역(300a)으로 점프하게 한다.
다시 도 3a 내지 3c를 참고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300a 내지 300c)의 스크린들 사이의 수직 스크롤링과 와치 페이스 스크린들(302),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306), 및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308) 사이의 수평 스크롤링은 하나의 스크린이 스크롤링 트랜지션 동안 다른 스크린으로 교체되는 별개의 단계로서 설명되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스크롤링은 스크린들 사이의 트랜지션들이 순조롭게 애니메이팅되는 플릭 트랜지션 애니메이션들(flick transition animations)로 구현될 수 있는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은 디스플레이로부터 동적으로 스크롤 오프(scroll off)하는 반면, 다음 스크린은 디스플레이로부터 동적으로 스크롤 온투(scroll onto)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일 실시예에서, 제스처 관리자(214)(또는 동등(equivalent) 코드)가 사용자의 손가락이 수직으로 또는 수평으로 슬라이딩(sliding)을 시작함을 검출하면, 어플리케이션 런처(216)는 스크린으로 하여금 스프링-로드 방식(spring-loaded fashion)으로의 손가락 움직임으로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이게 한다. 제스처 관리자가 손가락이 일부 최소한의 거리, 예를 들어, 1cm를 움직이고 나서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들어 올려진다고 결정하면, 어플리케이션 런처(216)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동일한 방향, 예를 들어, 상/하 또는 좌/우로 플리핑하는 스크린의 빠른 애니메이션을 즉시 디스플레이한다. 일 실시예에서, 플립핑 애니메이션은 안드로이드(Android) "APIDemos"에서 보여지는 하이퍼 스페이스(Hyperspace) 애니메이션 기법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 올려지기 전에 최소한의 거리를 움직이지 않았다면, 제스처 관리자는 사용자가 "플릭(flick)"을 시도하지 않았음을 결정한다. 이 경우에, 스크린은 그것의 원래 위치로 돌아가는 것(fall back)으로 나타난다. 트랜지션 애니메이션은 미적으로 바람직할 수 있지만, 상기 별도의 트랜지션은 배터리 전력을 덜 소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16)의 가장자리 부분은 빠른 수평 스크롤링을 위해 지정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6)의 지정된 하위 또는 상위 가장자리를 따라 손가락을 슬라이딩하기 시작하면, 시스템은 그것을 "빠른 스크롤" 이벤트로 간주할 수 있고, 이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그들의 손가락을 스와이프함으로써 스크린들의 시리즈를 통해 빠르게 플립핑을 시작한다.
도 11은 터치 스크린(16) 상의 빠른 스크롤 부분들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터치 스크린(16)의 표면은 일반적인 스와이프 존(zone)(1100)과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2 개의 가속 스크롤링 존들(1102)로 나누어질 수 있다. 제스처 해석기 어플리케이션 런처(216)는, 일반적인 스와이프 존(1100) 내의 임의의 지점에서 수평으로 슬라이딩하는 손가락을 검출하는 것이 스크린들의 시리즈에서 다음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속 스크롤링 존(1102)들에서 다른 제스처들의 검출은 상기 스크린들의 시리즈에서 스크린들의 연속적이고 빠른 디스플레이가 일어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 스크롤링 존들(1102)에서 손가락의 탭 및 홀드는, 스크린들의 리스트를 통해 지속적이고, 증가된 가속화된 진행을 일으키는 있으며, 반면에 단일 탭은 스크린들을 한번에 하나씩 진행시킨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가속 스크롤링 존들 상에 남아있을 때, 스크린들의 시리즈로 현위치(1106)를 보여주는 진행 표시기(progress indicator)(1104)가 터치 스크린(16)에 나타날 수 있다. 만약 손가락이 하나의 가장자리(예를 들어, 하부 또는 상부)를 따라 빠른-스크롤링을 하면, 진행 표시기(1104)는 다른 가장자리를 따라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착용식 컴퓨터를 위한 멀티-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라 기술되었으며, 이 실시예들에 변형들이 있을 수 있고,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서 임의의 변형들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착용식 컴퓨터의 수직 및 수평 축들의 기능들은 교환될 수 있어서, 수평 축은 수평 스와이프에 응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 사이에서 네비게이팅하는데 사용되지만, 수직 네비게이션 축은 수직 스와이프들을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 사이에서 네비게이팅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들의 정신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많은 변경들이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기록된 소프트웨어는 메모리 혹은 하드 디스크와 같은 일부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Claims (19)

  1. 착용식 컴퓨터(wearable computer)로서,
    대각선으로 2.5인치 미만의 크기를 가진 터치 스크린; 및
    멀티-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며,
    상기 멀티-축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의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의 시리즈를 디스플레이하는 상위 레벨 영역,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해 검출 가능한 스와이프 제스처에 의해 상기 상위 레벨 영역에 접속 가능한 중간 레벨 영역 -상기 중간 레벨 영역은 제2의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의 시리즈를 디스플레이함-, 및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해 검출 가능한 선택 제스처에 의해 상기 중간 레벨 영역에 접속 가능한 하위 레벨 영역 -상기 하위 레벨 영역은 제3의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의 시리즈를 디스플레이함-을 포함하는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 및
    수직 네비게이션 축과 수평 네비게이션 축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네비게이션 축은 사용자가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만들어진 수직 스와이프 제스처들에 응답하여 상기 다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 사이를 네비게이팅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수평 네비게이션 축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터치 스크린을 가로지르는 수평 스와이프 제스처들에 응답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의 상기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을 네비게이팅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상위 레벨 영역, 중간 레벨 영역 및 하위 레벨 영역 중 하나만이 소정 시간에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하나만의 레벨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 중 하나의 전체 페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전체를 채우며(fill),
    상기 터치 스크린은 스와이프 존과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1 및 제2 측면 에지를 따라 2개의 가속 스크롤링 존들로 나누어지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의 시리즈 중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상기 스와이프 존 내의 위치에서 제스처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의 시리즈 중 다음 어플리케이션 스크린을 출력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해 상기 2개의 가속 스크롤링 존들 중 하나 내에서 탭 및 홀드 제스처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의 시리즈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가속 진행(accelerated advancement)을 출력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컴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 상에서 단일 수직 스와이프 제스처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바로 인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컴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 사이에서의 수직 네비게이션 동안,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위 레벨 영역 또는 상기 하위 레벨 영역에 도달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이전의 레벨로 돌아가기 위해 반대 방향으로 수직 사용자 스와이프를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컴퓨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을 통한 연속적인 스크롤링은 최초에(originally)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으로 돌아감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의 순환 큐(circular queue)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컴퓨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들은 각 단 상에서 종료하는 패널들의 링크된(linked) 리스트로서 구현되고, 첫 번째 패널 또는 마지막 패널을 지나는 스크롤링이 허가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컴퓨터.
  6. 제1항에 있어서,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의 현재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 스크린 상에서 단일 수평 스와이프 제스처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의 바로 인접한 어플리케이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컴퓨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을 통한 연속적인 스크롤링이 최초로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 스크린으로 돌아감으로써,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의 순환 큐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컴퓨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이 각 단 상에서 종료하는 패널들의 링크된 리스트로 구현되고, 첫 번째 패널 또는 마지막 패널을 지나는 스크롤링이 허가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컴퓨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레벨 영역은 상기 수평 스와이프 제스처들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의 시리즈를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 런처 스크린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을 통해 스크롤하고 오픈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컴퓨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레벨 영역은 오픈된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의 시리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컴퓨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레벨 영역은 수평 스와이프 제스처들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와치 페이스 스크린들의 시리즈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는 상기 와치 페이스 스크린들을 통해 스크롤할 수 있고, 착용식 컴퓨터의 외관을 바꾸기 위해 디폴트(default) 와치 스크린이 되는 와치 페이스 스크린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컴퓨터.
  12. 제1항에 있어서,
    운영체제와 제스처 해석기(interpret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영체제는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일어나는 제스처 이벤트들을 검출하고, 상기 제스처 이벤트들을 어플리케이션 런처로 보내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런처는 상기 제스처 해석기에 제스처 타입을 결정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런처는 상기 제스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컴퓨터.
  13. 착용식 컴퓨터의 적어도 하나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에 의해 상기 착용식 컴퓨터상에 멀티-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 상위 레벨 영역을 대각선으로 2.5 인치 미만인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은 스와이프 존과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1 및 제2 측면 에지를 따라 2개의 가속 스크롤링 존들로 나누어지며-;
    상기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제 1 방향의 수직 스와이프 제스처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 런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상위 레벨 영역으로부터 중간 레벨 영역으로 수직 축을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트랜지션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런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터치 스크린을 가로지르는 수평 스와이프 제스처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사용자 선택을 위해 상기 터치 스크린을 가로질러 수평으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을 스크롤링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런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탭 또는 상기 제 1 방향의 수직 스와이프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오픈하고, 어플리케이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중간 레벨 영역으로부터 하위 레벨 영역으로 수직 축을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트랜지션하는 단계 -상기 상위 레벨 영역, 중간 레벨 영역 및 하위 레벨 영역 중 하나만이 소정 시간에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하나만의 레벨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 중 하나의 전체 페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전체를 채우며(fill)-;
    상기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 중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상기 스와이프 존 내의 위치에서 제스처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 중 다음 어플리케이션 스크린을 상기 적어도 하나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 중 상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해 상기 2개의 가속 스크롤링 존들 중 하나 내에서 탭 및 홀드 제스처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가속 진행(accelerated advancement)을 상기 적어도 하나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런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제 2 방향의 수직 스와이프 제스처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중간 레벨 영역으로부터 상기 상위 레벨 영역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트랜지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제 2 방향의 수직 스와이프 제스처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런처 스크린을 다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중간 레벨 영역으로부터 상기 상위 레벨 영역으로 수직 축을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트랜지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시리즈의 하나 이상의 와치 페이스들로서구성하는 단계; 및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와치 페이스를 가로지르는 수평 스와이프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사용자 선택을 위해 상기 터치 스크린을 수평으로 가로질러 상기 시리즈의 하나 이상의 와치 페이스들을 스크롤링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고, 착용식 컴퓨터상에 멀티-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명령들을 저장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으로서,
    상기 프로그램 명령들은,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 상위 레벨 영역을 대각선으로 2.5 인치 미만인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명령 -상기 터치 스크린은 스와이프 존과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1 및 제2 측면 에지를 따라 2개의 가속 스크롤링 존들로 나누어지며-;
    상기 시작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제 1 방향의 수직 스와이프 제스처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 런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상위 레벨 영역으로부터 중간 레벨 영역으로 수직 축을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트랜지션하는 명령;
    상기 어플리케이션 런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터치 스크린을 가로지르는 수평 스와이프 제스처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사용자 선택을 위해 상기 터치 스크린을 가로질러 수평으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을 스크롤링하는 명령;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런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제 1 방향의 탭 또는 상기 제 1 방향의 수직 스와이프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함에 응답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열고, 어플리케이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중간 레벨 영역에서 하위 레벨 영역으로 수직 축을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트랜지션하는 명령 -상기 상위 레벨 영역, 중간 레벨 영역 및 하위 레벨 영역 중 하나만이 소정 시간에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하나만의 레벨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 중 하나의 전체 페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전체를 채우며(fill);
    상기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 중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상기 스와이프 존 내의 위치에서 제스처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 중 다음 어플리케이션 스크린을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하는 명령;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 중 상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해 상기 2개의 가속 스크롤링 존들 중 하나 내에서 탭 및 홀드 제스처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스크린들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가속 진행(accelerated advancement)을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8. 삭제
  19. 삭제
KR1020147029395A 2012-03-20 2013-03-06 터치 스크린 인에이블형 착용식 디바이스를 위한 멀티-축 인터페이스 KR1018908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425,355 US20130254705A1 (en) 2012-03-20 2012-03-20 Multi-axis user interface for a touch-screen enabled wearable device
US13/425,355 2012-03-20
PCT/US2013/029269 WO2013142049A1 (en) 2012-03-20 2013-03-06 Multi-axis interface for a touch-screen enabled wearab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086A KR20150067086A (ko) 2015-06-17
KR101890836B1 true KR101890836B1 (ko) 2018-08-22

Family

ID=48014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395A KR101890836B1 (ko) 2012-03-20 2013-03-06 터치 스크린 인에이블형 착용식 디바이스를 위한 멀티-축 인터페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254705A1 (ko)
EP (1) EP2828732A1 (ko)
KR (1) KR101890836B1 (ko)
CN (1) CN104737114B (ko)
WO (1) WO20131420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04347B2 (en) 2012-05-09 2019-05-28 Apple Inc. Exercised-based watch face and complications
US9582165B2 (en) * 2012-05-09 2017-02-28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10990270B2 (en) 2012-05-09 2021-04-27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9459781B2 (en) 2012-05-09 2016-10-04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imated sequences
US10613743B2 (en) 2012-05-09 2020-04-07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user input
US9124712B2 (en) * 2012-06-05 2015-09-01 Apple Inc. Options presented on a device other than accept and decline for an incoming call
US9507486B1 (en) * 2012-08-23 2016-11-29 Allscripts Software, Llc Context switching system and method
US8954878B2 (en) * 2012-09-04 2015-02-10 Google Inc. Information navigation on electronic devices
US9898184B2 (en) * 2012-09-14 2018-02-20 Asustek Computer Inc. Operation method of operating system
US10185416B2 (en) 2012-11-20 2019-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gesture input to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volving movement of device
US8994827B2 (en) 2012-11-20 2015-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1237719B2 (en) 2012-11-20 2022-02-01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Controlling remote electronic device with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551928B2 (en) * 2012-11-20 2020-02-04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GUI transitions o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1372536B2 (en) 2012-11-20 2022-06-28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Transition and interaction model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1157436B2 (en) 2012-11-20 2021-10-26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Services associated with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20140164907A1 (en) * 2012-12-12 2014-06-1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US20140189584A1 (en) * 2012-12-27 2014-07-03 Compal Communications, Inc. Method for switching applications in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US9323363B2 (en) * 2013-02-28 2016-04-26 Polar Electro Oy Providing meta information in wrist device
WO2014143776A2 (en) 2013-03-15 2014-09-18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Providing remote interactions with host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KR102045282B1 (ko) * 2013-06-03 2019-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중인 상대방의 정보를 검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564813B2 (en) * 2013-06-18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of home network thereof
KR102318442B1 (ko) 2013-06-18 2021-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
CN105474580B (zh) 2013-06-18 2019-02-15 三星电子株式会社 用户终端设备及其家庭网络的管理方法
US20150098309A1 (en) * 2013-08-15 2015-04-09 I.Am.Plus, Llc Multi-media wireless watch
US9568891B2 (en) 2013-08-15 2017-02-14 I.Am.Plus, Llc Multi-media wireless watch
GB2517419A (en) * 2013-08-19 2015-02-25 Arm Ip Ltd Wrist worn device
US10270898B2 (en) 2014-05-30 2019-04-23 Apple Inc. Wellness aggregator
JP6314233B2 (ja) * 2013-12-13 2018-04-18 ▲華▼▲為▼▲終▼端有限公司 ウェアラブルインテリジェントデバイスのアイコン表示方法および関連するデバイス
US9513665B2 (en) 2013-12-26 2016-12-06 Intel Corporation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ormable display unit
KR101870848B1 (ko) * 2013-12-30 2018-06-25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사이드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과 장치 및 단말기
USD760770S1 (en) * 2014-02-10 2016-07-05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Portion of a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0771S1 (en) * 2014-02-10 2016-07-05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Portion of a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6497381B2 (ja) * 2014-02-21 2019-04-10 ソニー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機器、電子機器、画像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WO2015126182A1 (ko) * 2014-02-21 2015-08-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JP2015158753A (ja) * 2014-02-21 2015-09-03 ソニー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機器および制御装置
US10691332B2 (en) 2014-02-28 2020-06-23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Text input on an interactive display
US20150286391A1 (en) * 2014-04-08 2015-10-08 Olio De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mart watch navigation
US9589539B2 (en) * 2014-04-24 2017-03-07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2173110B1 (ko) 2014-05-07 2020-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90062B1 (ko) * 2014-06-02 2020-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EP3161603B1 (en) 2014-06-27 2019-10-16 Apple Inc. Manipulation of calendar application in device with touch screen
US9081421B1 (en) * 2014-06-30 2015-07-14 Linkedin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presenting heterogeneous content
US20160004393A1 (en) * 2014-07-01 2016-01-07 Google Inc. Wearable device user interface control
WO2016014601A2 (en) 2014-07-21 2016-01-28 Apple Inc. Remote user interface
WO2016017956A1 (en) * 2014-07-30 2016-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3195096B1 (en) * 2014-08-02 2020-08-12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10452253B2 (en) 2014-08-15 2019-10-22 Apple Inc. Weather user interface
KR102418119B1 (ko) * 2014-08-25 2022-07-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시계 화면 구성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웨어러블 전자장치
WO2016036481A1 (en) * 2014-09-02 2016-03-10 Apple Inc. Reduced-size user interfaces for dynamically updated application overviews
EP3189406B1 (en) 2014-09-02 2022-09-07 Apple Inc. Phone user interface
USD762692S1 (en) * 2014-09-02 2016-08-02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60070380A1 (en) * 2014-09-08 2016-03-10 Aliphcom Forming wearable pods and devices including metalized interfaces
JP6191567B2 (ja) * 2014-09-19 2017-09-0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操作画面表示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US9489684B2 (en) 2014-10-09 2016-11-08 Wrap Media, LLC Delivering wrapped packages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of advertisements
US20160103821A1 (en) 2014-10-09 2016-04-14 Wrap Media, LLC Authoring tool for the authoring of wrap packages of cards
WO2016057188A1 (en) 2014-10-09 2016-04-14 Wrap Media, LLC Active receipt wrapped packages accompanying the sale of products and/or services
US9600464B2 (en) 2014-10-09 2017-03-21 Wrap Media, LLC Authoring tool for the authoring of wrap packages of cards
US9448972B2 (en) * 2014-10-09 2016-09-20 Wrap Media, LLC Wrap package of cards supporting transactional advertising
US9600594B2 (en) * 2014-10-09 2017-03-21 Wrap Media, LLC Card based package for distributing electronic media and services
KR102283546B1 (ko) 2014-10-16 2021-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US20160139628A1 (en) * 2014-11-13 2016-05-19 Li Bao User Programable Touch and Motion Controller
US20160162148A1 (en) * 2014-12-04 2016-06-09 Google Inc. Application launching and switching interface
KR102295823B1 (ko) * 2014-12-05 202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2230523B1 (ko) * 2014-12-08 2021-03-19 신상현 이동 단말기
US11036386B2 (en) * 2015-01-06 2021-06-15 Lenovo (Singapore) Pte. Ltd. Application switching on mobile devices
US10317938B2 (en) * 2015-01-23 2019-06-11 Intel Corporation Apparatus utilizing computer on package construction
EP3998762A1 (en) 2015-02-02 2022-05-18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establishing a relationship and connection between two devices
CN105988701B (zh) * 2015-02-16 2019-06-2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智能穿戴设备显示控制方法及智能穿戴设备
WO2016141016A1 (en) * 2015-03-03 2016-09-09 Olio De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third party user interface
US20160259523A1 (en) * 2015-03-06 2016-09-08 Greg Watkins Web Comments with Animation
US10379497B2 (en) 2015-03-07 2019-08-13 Apple Inc. Obtaining and displaying time-related data on an electronic watch
US10055121B2 (en) 2015-03-07 2018-08-21 Apple Inc. Activity based thresholds and feedbacks
WO2016144385A1 (en) * 2015-03-08 2016-09-15 Apple Inc. Sharing user-configurable graphical constructs
WO2016153190A1 (ko) * 2015-03-25 2016-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 타입의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600803B2 (en) 2015-03-26 2017-03-21 Wrap Media, LLC Mobile-first authoring tool for the authoring of wrap packages
US20160282947A1 (en) * 2015-03-26 2016-09-29 Lenovo (Singapore) Pte. Ltd. Controlling a wearable device using gestures
US9582917B2 (en) * 2015-03-26 2017-02-28 Wrap Media, LLC Authoring tool for the mixing of cards of wrap packages
JP1567113S (ko) * 2015-04-03 2017-01-16
US10572571B2 (en) * 2015-06-05 2020-02-25 Apple Inc. API for specifying display of complication on an electronic watch
US10175866B2 (en) 2015-06-05 2019-01-08 Apple Inc. Providing complications on an electronic watch
US9916075B2 (en) 2015-06-05 2018-03-13 Apple Inc. Formatting content for a reduced-size user interface
US11327640B2 (en) 2015-06-05 2022-05-10 Apple Inc. Providing complications on an electronic device
US10275116B2 (en) 2015-06-07 2019-04-30 Apple Inc. Browser with docked tabs
EP3337583B1 (en) 2015-08-20 2024-01-17 Apple Inc. Exercise-based watch face
US10388636B2 (en) 2015-12-21 2019-08-20 Intel Corporation Integrating system in package (SIP) with input/output (IO) board for platform miniaturization
KR102475337B1 (ko) 2015-12-29 2022-12-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10521101B2 (en) 2016-02-09 2019-12-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croll mode for touch/pointing control
KR20170100951A (ko) 2016-02-26 201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영상표시방법
US20170357427A1 (en) * 2016-06-10 2017-12-14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DK201770423A1 (en) 2016-06-11 2018-01-15 Apple Inc Activity and workout updates
US10873786B2 (en) 2016-06-12 2020-12-22 Apple Inc. Recording and broadcasting application visual output
US10709422B2 (en) * 2016-10-27 2020-07-14 Clarius Mobile Health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visualization of ultrasound image data
USD818492S1 (en) * 2017-01-31 2018-05-22 Relativity Oda Llc Portion of a computer screen with an animated icon
DK179412B1 (en) 2017-05-12 2018-06-06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EP3612916B1 (en) * 2017-09-05 2022-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ccessing data items on a computing device
EP3709143B1 (en) * 2017-11-09 2021-10-20 Rakuten Group, Inc. Display control system,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11327650B2 (en) 2018-05-07 2022-05-10 Apple Inc. User interfaces having a collection of complications
DK180171B1 (en) 2018-05-07 2020-07-1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SHARING CONTEXTUALLY RELEVANT MEDIA CONTENT
USD908731S1 (en) * 2018-09-18 2021-01-26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422692B2 (en) * 2018-09-28 2022-08-23 Apple In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devices using motion gestures
CN109992340A (zh) * 2019-03-15 2019-07-0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桌面显示方法、可穿戴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131967B2 (en) 2019-05-06 2021-09-28 Apple Inc. Clock faces for an electronic device
CN113157190A (zh) 2019-05-06 2021-07-23 苹果公司 电子设备的受限操作
US11960701B2 (en) 2019-05-06 2024-04-16 Apple Inc. Using an illustration to show the passing of time
US10878782B1 (en) 2019-09-09 2020-12-29 Apple Inc. Techniques for managing display usage
CN115552375A (zh) 2020-05-11 2022-12-30 苹果公司 用于管理用户界面共享的用户界面
DK181103B1 (en) 2020-05-11 2022-12-15 Apple Inc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US11372659B2 (en) 2020-05-11 2022-06-2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user interface sharing
US11694590B2 (en) 2020-12-21 2023-07-04 Apple Inc. Dynamic user interface with time indicator
US11720239B2 (en) 2021-01-07 2023-08-08 Apple Inc. Techniques for user interfaces related to an event
US11921992B2 (en) 2021-05-14 2024-03-05 Apple Inc.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EP4323992A1 (en) 2021-05-15 2024-02-21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group workouts
US11630559B2 (en) 2021-06-06 2023-04-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weather information
CN113434061A (zh) * 2021-06-07 2021-09-24 深圳市爱都科技有限公司 表盘中应用入口实现方法、装置、智能手表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6098B1 (en) * 1997-10-22 2001-07-24 Matsushita Electric Corporation Of America Function presentation and selection using a rotatable function menu
US6556222B1 (en) * 2000-06-30 2003-04-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ezel based input mechanism and user interface for a smart watch
US7081905B1 (en) * 2000-06-30 2006-07-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controlling scroller speed employed for a user interface of a wearable appliance
US20050278757A1 (en) * 2004-05-28 2005-12-15 Microsoft Corporation Downloadable watch faces
AU2005264829B2 (en) * 2004-07-19 2010-08-19 Creative Technolog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ouch scrolling
US7593755B2 (en) * 2004-09-15 2009-09-22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of wireless data
US20070067738A1 (en) * 2005-09-16 2007-03-22 Microsoft Corporation Extensible, filtered lists for mobile device user interface
CN1949161B (zh) * 2005-10-14 2010-05-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多层次菜单显示装置及显示控制方法
US7946758B2 (en) * 2008-01-31 2011-05-24 WIMM Labs Modular movement that is fully functional standalone and interchangeable in other portable devices
US8677285B2 (en) * 2008-02-01 2014-03-18 Wimm Labs, Inc. User interface of a small touch sensitive display for an electronic data and communication device
CN104793482B (zh) * 2009-04-26 2019-01-04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运动手表
CN102053826A (zh) * 2009-11-10 2011-05-11 北京普源精电科技有限公司 菜单分级显示方法
US20130067392A1 (en) * 2011-09-12 2013-03-14 Microsoft Corporation Multi-Input Rearrang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ony Smart Watch Demo in the CES show; https://www.youtube.com/watch?v=SYpvM4pS8Yg(2012.01.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28732A1 (en) 2015-01-28
KR20150067086A (ko) 2015-06-17
WO2013142049A1 (en) 2013-09-26
CN104737114A (zh) 2015-06-24
CN104737114B (zh) 2018-12-18
US20130254705A1 (en) 201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836B1 (ko) 터치 스크린 인에이블형 착용식 디바이스를 위한 멀티-축 인터페이스
AU2019267413B2 (en) User interfaces for watches
AU2018271366B2 (en) Continuity
US10838586B2 (en)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11567644B2 (en) Cursor integration with a touch screen user interface
KR101720849B1 (ko) 터치 스크린 호버 입력 핸들링
RU2678482C2 (ru)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отображением на экране диспле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сведений о температуре и влажности
EP2690543B1 (en) Display device for execut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40362119A1 (en) One-handed gestures for navigating ui using touch-screen hover events
US20180253205A1 (en) Wearable device and execution of application in wearable device
US20130179840A1 (en) User interface for mobile device
US20130326415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A28654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on a device that indicates content operators
EP3657311B1 (en) Apparatus including a touch screen and screen change method thereof
AU2015100490B4 (en) Continu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