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647B1 - 이중관식 열교환유닛조립체 - Google Patents

이중관식 열교환유닛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647B1
KR101890647B1 KR1020160101096A KR20160101096A KR101890647B1 KR 101890647 B1 KR101890647 B1 KR 101890647B1 KR 1020160101096 A KR1020160101096 A KR 1020160101096A KR 20160101096 A KR20160101096 A KR 20160101096A KR 101890647 B1 KR101890647 B1 KR 101890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ipe
inlet
header pipe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7372A (ko
Inventor
최영진
김희재
윤주석
김득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방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방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방테크
Priority to KR1020160101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647B1/ko
Publication of KR20180017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02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 F28F9/0204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for elongated header box, e.g. with transversal and longitudinal partitions
    • F28F9/0214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for elongated header box, e.g. with transversal and longitudinal partitions having only longitudinal partitions
    • F28F9/0217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for elongated header box, e.g. with transversal and longitudinal partitions having only longitudinal partitions the partitions being separate elements attached to header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 F28F9/06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dismountable joints
    • F28F9/12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dismountable joints by flange-ty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 F28F9/16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 F28F9/18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교환유닛을 거쳐 이동하는 열매체(熱媒體)가 열교환유닛의 내부에서 항상 일정한 거리를 이동한 후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열교환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이중관식 열교환유닛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중관식 열교환유닛조립체는,
열매체(熱媒體)가 유입되는 유입헤더파이프(10)와 상기 유입헤더파이프(10)와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 회수헤더파이프(20)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헤더파이프(10)와 회수헤더파이프(20)는 내부에 연통홀(31)을 갖는 다수의 방열튜브(30)에 의해 연통 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유입헤더파이프(10)로 유입된 열매체가 다수의 방열튜브(30) 및 회수헤더파이프(20)를 지나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열교환유닛(1)이 적어도 둘 이상이 적층 배치되고, 상기 각 유입헤더파이프(10) 및 각 회수헤더파이프(20)는 각각 연결수단에 의해 상하 연통되도록 구성된 열교환유닛조립체에 있어서,
상호 연통 되도록 적층 결합된 회수헤더파이프(20)의 내부에는 배출유도파이프(40)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방열튜브(30)중 최상단에 배치된 방열튜브(30)의 상측이나 동일선상에 위치한 유입헤더파이프(10)에는 열매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유도파이프(40)의 입구(42)는 상기 다수의 방열튜브(30)중 최하단에 위치한 방열튜브(30)의 하측이나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11)로 유입된 열매체가 다수의 방열튜브(30)로 각각 분배되어 회유(回遊)됨으로써, 다수의 방열튜브(30)로 각각 분배된 열매체가 최종적으로 동일한 거리를 이동한 후 상기 배출유도파이프(40)의 입구(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이중관식 열교환유닛조립체는,
열교환유닛을 거쳐 이동하는 열매체가 열교환유닛의 내부에서 항상 일정한 거리를 이동한 후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열교환에 대한 효율성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관식 열교환유닛조립체{TUBE IN TUBE TYPE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열교환유닛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교환유닛조립체를 거쳐 이동하는 열매체(熱媒體)가 열교환유닛조립체의 내부에서 항상 일정한 거리를 이동한 후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열교환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이중관식 열교환유닛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열교환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일측에 열매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를 갖는 유입헤더파이프(10), 상기 유입헤더파이프(10)와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 회수헤더파이프(20), 내부에 연통홀을 갖고 상기 유입헤더파이프(10)와 상기 회수헤더파이프(20) 사이에 배치되어 유입헤더파이프(10)와 회수헤더파이프(20)가 상호 연통 되도록 하는 다수의 방열튜브(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11)에는 열매체가 공급되는 급수관(P1)이 연결되며, 상기 회수헤더파이프(20)는 배출구(21)에 의해 환수관(P2)과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열교환기의 열교환 과정을 살펴보면,
급수관(P1)으로 유입된 열매체는 급수관(P1)을 따라 이동하면서 유입구(11)를 통해 유입헤더파이프(10)로 이동하게 되고, 유입헤더파이프(10)로 이동한 열매체는 다수의 방열튜브(30)를 이동하면서 방열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방열된 열매체는 방열튜브(30)를 통과하여 회수헤더파이프(20)로 유입되고 배출구(21)를 지나 환수관(P2)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매체가 이동하게 되는 다양한 경로 중, 경로 '가'와 경로 '나'를 비교해 보면,
경로 '가'의 경우는,
급수관(P1)으로 유입된 열매체는 급수관(P1)의 일부 구간을 거쳐 유입구(11)를 통해 유입헤더파이프(10)로 이동한다.
그리고 유입헤더파이프(10)로 이동한 열매체는 유입헤더파이프(10)의 일부 구간을 거쳐 방열튜브(30)로 유입되고, 방열튜브(30)를 통과한 열매체는 회수헤더파이프(20)로 이동한다.
그리고 회수헤더파이프(20)로 이동한 열매체는 회수헤더파이프(20)의 일부 구간을 이동하여 배출구(21)를 통해 환수관(P2)으로 유입되며, 환수관(P2)의 일부구간을 지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경로 '나'의 경우는,
유입구(11)로 유입된 열매체는 급수관(P1)의 대부분을 이동한 후, 유입구(11)를 통해 유입헤더파이프(10)로 유입된다.
그리고 유입헤더파이프(10)로 이동한 열매체는 유입헤더파이프(10)의 일부 구간을 거쳐 방열튜브(30)로 유입되고, 방열튜브(30)를 통과한 열매체는 회수헤더파이프(20)로 이동한다.
그리고 회수헤더파이프(20)로 이동한 열매체는 회수헤더파이프(20)의 대부분을 이동한 후, 배출구(21)를 통해 환수관(P2)으로 유입되며, 환수관(P2)의 대부분을 지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경로 '가'를 경유하는 열매체와 경로 '나'를 경유하는 열매체는 상호 이동거리 및 이동시간이 상이하므로, 열교환에 대한 효율성에 상호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열매체가 이동하는 경로에 따라 일부 경로에서는 스케일(Scale)이 발생하고, 슬러지가 침전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시간이 경과 하면서 열매체의 유속이 저하되거나 막힘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결국 열교환기 내부에서 열매체가 이동하는 경로마다 열교환 효율이 상이하므로, 열교환의 불균형이 발생하여 전체적인 열교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허문헌 001] 실 1999-000662 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열교환유닛조립체를 거쳐 이동하는 열매체가 열교환유닛조립체의 내부에서 항상 일정한 거리를 이동한 후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열교환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이중관식 열교환유닛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중관식 열교환유닛조립체는,
열매체(熱媒體)가 유입되는 유입헤더파이프(10)와 상기 유입헤더파이프(10)와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 회수헤더파이프(20)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헤더파이프(10)와 회수헤더파이프(20)는 내부에 연통홀(31)을 갖는 다수의 방열튜브(30)에 의해 연통 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유입헤더파이프(10)로 유입된 열매체가 다수의 방열튜브(30) 및 회수헤더파이프(20)를 지나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열교환유닛(1)이 적어도 둘 이상이 적층 배치되고, 상기 각 유입헤더파이프(10) 및 각 회수헤더파이프(20)는 각각 연결수단에 의해 상하 연통되도록 구성된 열교환유닛조립체에 있어서,
상호 연통 되도록 적층 결합된 회수헤더파이프(20)의 내부에는 배출유도파이프(40)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방열튜브(30)중 최상단에 배치된 방열튜브(30)의 상측이나 동일선상에 위치한 유입헤더파이프(10)에는 열매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유도파이프(40)의 입구(42)는 상기 다수의 방열튜브(30)중 최하단에 위치한 방열튜브(30)의 하측이나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11)로 유입된 열매체가 다수의 방열튜브(30)로 각각 분배되어 회유(回遊)됨으로써, 다수의 방열튜브(30)로 각각 분배된 열매체가 최종적으로 동일한 거리를 이동한 후 상기 배출유도파이프(40)의 입구(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이중관식 열교환유닛조립체는,
열교환유닛조립체를 거쳐 이동하는 열매체가 열교환유닛조립체의 내부에서 항상 일정한 거리를 이동한 후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열교환에 대한 효율성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개념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급수관과 환수관이 연결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이 케이싱에 내재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관식 열교환유닛조립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유입헤더파이프(10), 회수헤더파이프(20), 방열튜브(30) 및 배출유도파이프(40)로 구성된다.
그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유입헤더파이프(10)는 ,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열매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 및 내부에 유입공간부(12)를 갖고, 상기 회수헤더파이프(20)와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다.
이때 상기 유입구(11)는 유입헤더파이프(10)의 상측에 형성되는데, 상기 다수의 방열튜브(30)중 최상단에 위치한 방열튜브(30)의 상측이나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유입된 열매체가 열교환유닛(1)을 통과하면서 다수의 이동 경로 중 어느 경로로 이동하여도 열교환 효율이 일정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회수헤더파이프(20)는 ,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헤더파이프(10)와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데, 내부에 회수공간부(21)를 갖는다.
방열튜브(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연통홀(31)을 갖고 일측은 상기 유입헤더파이프(10)와, 타측은 상기 회수헤더파이프(20)와 결합 되어, 상기 유입헤더파이프(10)와 상기 회수헤더파이프(20)가 상호 연통 되도록 형성되는데 다수 개가 일정간격 이격 되어 배치된다.
이때 각 방열튜브(31)에는 다수의 방열핀(32)이 형성됨으로써 방열을 더 극대화 할 수 있다.
배출유도파이프(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수헤더파이프(20)의 내부에 배치되는데, 그 내부에 상하 관통된 배출유도로(41)를 갖고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각각 출구(43)와 입구(42)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배출유도로(41)의 상기 출구(43)는 회수헤더파이프(20)의 상측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배출유도로(41)의 입구(42)는 회수헤더파이프(20)의 회수공간부(21)에 배치된다.
또한 회수헤더파이프(20)의 상부면(22)과 배출유도파이프(40)의 외주면은 상호 용접 결합 된다.
이때 상기 배출유도파이프(40)의 입구(42)는 회수공간부(21)의 하측에 배치되는데, 상기 다수의 방열튜브(30)중 최하단에 위치한 방열튜브(30)의 하측이나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유입된 열매체가 열교환유닛(1)을 통과하면서 다수의 이동 경로 중 어느 경로로 이동하여도 열교환 효율이 일정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열교환 과정을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헤더파이프(10)의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열매체는 경로 '가' 내지 경로 '다' 중 어느 경로로 이동하여도 배출유도파이프(40)의 입구(42)까지의 이동 거리는 모두 동일하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A'구간과 'B'구간의 거리는 동일한데,
열매체가 경로 '가'를 경유하더라도 'B'구간을 반드시 경유해야 하며, 열매체가 경로 '다'를 경유하더라도 'A'구간을 반드시 경유해야 한다.
또한 열매체가 경로 '나'를 경유하더라도 반드시 'A'구간의 절반과 'B'구간의 절반을 각각 경유해야 하므로, 경로 '가' 내지 경로 '다'의 거리는 모두 동일한 것이다.
즉, 상기 유입헤더파이프(10)에 형성된 유입구(11)의 위치 및 상기 회수헤더파이프(20)의 회수공간부(21)에 배치된 배출유도파이프(40)의 입구(42)의 위치로 인하여, 열매체가 어느 경로를 경유하여도 열매체의 이동 거리는 항상 동일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 유입구(11)로 유입된 열매체가 다수의 방열튜브(30)로 각각 분배되어 회유(回遊)됨으로써, 다수의 방열튜브(30)로 각각 분배된 열매체가 최종적으로 동일한 거리를 이동한 후 배출유도파이프(40)의 입구(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열교환유닛(1)을 통과하는 각 경로마다 열매체의 이동거리 또는 이동시간이 상이할 경우, 일부 구간에서는 스케일(Scale)이 발생하고, 또한 슬러지가 침전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시간이 경과 하면서 열매체의 유속이 저하되거나 경로의 막힘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런데 본 발명은 열교환유닛(1)을 통과하는 열매체가 열교환유닛(1) 내부의 어느 경로를 경유하여도, 이동거리 및 이동시간이 동일하게 적용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고, 열교환에 대한 효율성이 상승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교환유닛(1)은 적어도 둘 이상이 적층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열교환유닛(1)의 유입헤더파이프(10)는 연결수단에 의해 상하 연통 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열교환유닛(1)의 회수헤더파이프(20)는 연결수단에 의해 상하 연통 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회수헤더파이프(20)의 내부에 배출유도파이프(40)가 고정 설치되어 상기 유입헤더파이프(10)의 유입구(11)로 유입된 열매체가 방열튜브(30) 및 회수헤더파이프(20)를 지나 상기 배출유도파이프(40)의 하단부에 형성된 입구(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유입헤더파이프(10)의 유입구(11)는, 최상단에 적층된 열교환유닛(1)에 형성된 다수의 방열튜브(30)중, 최상단에 위치한 방열튜브(30)의 상측이나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출유도파이프(40)의 입구(42)는, 최하단에 적층된 열교환유닛(1)에 형성된 다수의 방열튜브(30)중, 최하단에 위치한 방열튜브(30)의 하측이나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유입구(11)로 유입된 열매체가 적층된 각각의 열교환유닛(1)에 형성된 다수의 방열튜브(30)로 각각 분배되어 회유(回遊)됨으로써, 각각의 열교환유닛(1)에 형성된 다수의 방열튜브(30)로 각각 분배된 열매체가 최종적으로 동일한 거리를 이동한 후 배출유도파이프(40)의 입구(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수단은 플랜지(50)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용접 결합 또는 클램프 결합 될 수도 있다.(도 4의 C 참조)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열교환 과정을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헤더파이프(10)의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열매체는 경로 '가' 내지 경로 '다' 중 어느 경로로 이동하여도 배출유도파이프(40)의 입구(42)까지의 이동 거리는 모두 동일하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A구간과 'B'구간의 거리는 동일한데,
열매체가 경로 '가'를 경유하더라도 'B'구간을 반드시 경유해야 하며, 열매체가 경로 '다'를 경유하더라도 'A'구간을 반드시 경유해야 한다.
또한 열매체가 경로 '나'를 경유하더라도 반드시 'A'구간의 절반과 'B'구간의 절반을 각각 경유해야 하므로, 경로 '가' 내지 경로 '다'의 거리는 모두 동일한 것이다.
즉, 상기 유입헤더파이프(10)에 형성된 유입구(11)의 위치 및 상기 배출유도파이프(40)에 형성된 입구(42)의 위치로 인하여, 열매체가 어느 경로를 경유하여도 열매체의 이동 거리는 항상 동일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열교환유닛(1)을 통과하는 열매체가 열교환유닛(1) 내부의 어느 경로를 이동하여도, 열매체의 이동거리 및 이동시간이 동일하게 적용됨으로써, 열교환에 대한 효율성이 상승하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헤더파이프(10)는 열매체를 공급받는 급수관(60)와 상기 유입구(11)에 의해 연통 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배출유도파이프(40)는 그 출구(43)가 환수관(70)과 연통 되도록 연결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구(11)는 유입헤더파이프(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입된 열매체가 열교환유닛(1)을 통과하면서 다수의 이동 경로 중 어느 경로로 이동하여도 열교환 효율이 일정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배출유도파이프(40)의 입구(42)는 상기 회수헤더파이프(20)의 회수공간부(21)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입된 열매체가 열교환유닛(1)을 통과하면서 다수의 이동 경로 중 어느 경로로 이동하여도 열교환 효율이 일정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열교환 과정을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60)를 통해 유입된 열매체는 경로 '가' 내지 경로 '다' 중 어느 경로로 이동하여도 배출유도파이프(40)의 입구(42)까지의 이동 거리는 모두 동일하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A'구간과 'B'구간의 거리는 동일한데,
열매체가 경로 '가'를 경유하더라도 'B'구간을 반드시 경유해야 하며, 열매체가 경로 '다'를 경유하더라도 'A'구간을 반드시 경유해야 한다.
또한 열매체가 경로 '나'를 경유하더라도 반드시 'A'구간의 절반과 'B'구간의 절반을 각각 경유해야 하므로, 경로 '가' 내지 경로 '다'의 거리는 모두 동일한 것이다.
즉, 상기 유입헤더파이프(10)에 형성된 유입구(11)의 위치 및 상기 배출유도파이프(40)에 형성된 입구(42)의 위치로 인하여, 열매체가 어느 경로를 경유하여도 열매체의 이동 거리는 동일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열교환유닛(1)을 통과하는 열매체가 열교환유닛(1) 내부의 어느 경로를 이동하여도, 열매체의 이동거리 및 이동시간이 동일하게 적용됨으로써, 열교환에 대한 효율성이 상승하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교환유닛(1)은 적어도 둘 이상이 적층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열교환유닛(1)의 유입헤더파이프(10)는 연결수단에 의해 상하 연통 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열교환유닛(1)의 회수헤더파이프(20)는 연결수단에 의해 상하 연통 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회수헤더파이프(20)의 내부에 배출유도파이프(40)가 고정 설치되어 상기 유입헤더파이프(10)의 유입구(11)로 유입된 열매체가 방열튜브(30) 및 회수헤더파이프(20)를 지나 상기 배출유도파이프(40)의 하단부에 형성된 입구(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상기 유입헤더파이프(10)는 열매체를 공급받는 급수관(60)과 상기 유입구(11)에 의해 연통 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배출유도파이프(40)는 그 출구(43)가 환수관(70)과 연통 되도록 연결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수단은 플랜지(50)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용접 결합 또는 클램프 결합 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열교환 과정을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60)를 통해 유입된 열매체는 경로 '가' 내지 경로 '다' 중 어느 경로로 이동하여도 배출유도파이프(40)의 입구(42)까지의 이동 거리는 모두 동일하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A구간과 'B'구간의 거리는 동일한데,
열매체가 경로 '가'를 경유하더라도 'B'구간을 반드시 경유해야 하며, 열매체가 경로 '다'를 경유하더라도 'A'구간을 반드시 경유해야 한다.
또한 열매체가 경로 '나'를 경유하더라도 반드시 'A'구간의 절반과 'B'구간의 절반을 각각 경유해야 하므로, 경로 '가' 내지 경로 '다'의 거리는 모두 동일한 것이다.
즉, 상기 유입헤더파이프(10)에 형성된 유입구(11)의 위치 및 상기 배출유도파이프(40)에 형성된 입구(42)의 위치로 인하여, 열매체가 어느 경로를 경유하여도 열매체의 이동 거리는 동일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열교환유닛(1)을 통과하는 열매체가 열교환유닛(1) 내부의 어느 경로로 이동하여도, 열매체의 이동거리 및 이동시간이 동일하게 적용됨으로써, 열교환에 대한 효율성이 상승하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열교환유닛(1) 및 상기 배출유도파이프(40)가 내재 되는 것으로, 열매체가 유입되는 유입부(81)와, 상기 열교환유닛(1)을 통과한 열매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82)가 구비된 케이싱(80)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이중관식 열교환유닛조립체"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열교환유닛
10 ; 유입헤더파이프
11 ; 유입구
12 ; 유입공간부
20 ; 회수헤더파이프
21 ; 회수공간부
22 ; 상부면
30 ; 방열튜브
31 ; 연통홀
32 ; 방열핀
40 ; 배출유도파이프
41 ; 배출유도로
42 ; 입구
43 ; 출구
50 ; 플랜지
60 ; 급수관
70 ; 환수관
80 ; 케이싱
81 ; 유입부
82 ; 배출부

Claims (7)

  1. 열매체(熱媒體)가 유입되는 유입헤더파이프(10)와 상기 유입헤더파이프(10)와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 회수헤더파이프(20)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헤더파이프(10)와 회수헤더파이프(20)는 내부에 연통홀(31)을 갖는 다수의 방열튜브(30)에 의해 연통 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유입헤더파이프(10)로 유입된 열매체가 다수의 방열튜브(30) 및 회수헤더파이프(20)를 지나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열교환유닛(1)이 적어도 둘 이상이 적층 배치되고, 상기 각 유입헤더파이프(10) 및 각 회수헤더파이프(20)는 각각 연결수단에 의해 상하 연통되도록 구성된 열교환유닛조립체에 있어서,

    상호 연통 되도록 적층 결합된 회수헤더파이프(20)의 내부에는 배출유도파이프(40)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방열튜브(30)중 최상단에 배치된 방열튜브(30)의 상측이나 동일선상에 위치한 유입헤더파이프(10)에는 열매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유도파이프(40)의 입구(42)는 상기 다수의 방열튜브(30)중 최하단에 위치한 방열튜브(30)의 하측이나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11)로 유입된 열매체가 다수의 방열튜브(30)로 각각 분배되어 회유(回遊)됨으로써, 다수의 방열튜브(30)로 각각 분배된 열매체가 최종적으로 동일한 거리를 이동한 후 상기 배출유도파이프(40)의 입구(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식 열교환유닛조립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유닛(1)으로 열매체를 공급하는 급수관(60)과 상기 열교환유닛(1)으로부터 배출된 열매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수관(7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유입헤더파이프(10)는 상기 유입구(11)에 의해 상기 급수관(60)과 연통 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배출유도파이프(40)는 그 출구(43)가 상기 환수관(70)과 연통 되도록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식 열교환유닛조립체.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플랜지(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식 열교환유닛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유닛(1) 및 상기 배출유도파이프(40)가 내재 되는 것으로,
    열매체가 유입되는 유입부(81)와, 상기 열교환유닛(1)을 통과한 열매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82)가 구비된 케이싱(80)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식 열교환유닛조립체.
  7. 삭제
KR1020160101096A 2016-08-09 2016-08-09 이중관식 열교환유닛조립체 KR101890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096A KR101890647B1 (ko) 2016-08-09 2016-08-09 이중관식 열교환유닛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096A KR101890647B1 (ko) 2016-08-09 2016-08-09 이중관식 열교환유닛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372A KR20180017372A (ko) 2018-02-21
KR101890647B1 true KR101890647B1 (ko) 2018-09-28

Family

ID=61525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096A KR101890647B1 (ko) 2016-08-09 2016-08-09 이중관식 열교환유닛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64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372A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7850B2 (en) Method for processing a mineral ore slurry
CN101706227B (zh) 一种无缺口折流板管壳式换热器
JP2008205421A5 (ko)
CN107076520A (zh) 传热板和板式换热器
CN102706187A (zh) 一种集成式微通道换热器
CN103857974A (zh) 翅片管热交换器和其制造方法
JP2017040389A5 (ko)
CN204555793U (zh) 为多个发热模块散热的液冷散热结构
CN106643227B (zh) 一种混合折流式重沸器
KR101890647B1 (ko) 이중관식 열교환유닛조립체
CN202494361U (zh) 余热回收高效换热装置
JP4935322B2 (ja) 熱交換器および温水装置
CN104457385B (zh) 一种管束自支承式换热器
KR20130025516A (ko) 격벽이 구비된 판형 열교환기
CN109506501A (zh) 一种紊流浮头式换热器
US9316409B2 (en) Heat exchanger including waste heat recovery
CN108469191A (zh) 一种螺旋板换热器
JP6289251B2 (ja) 排熱回収ボイラ
CN108955319B (zh) 一种箱式换热器
KR20120011481A (ko) 배기가스 열회수용 열교환기
JP2008298326A (ja) 熱交換器および温水装置
CN206037816U (zh) 一种换热器折流板的改进结构
JP6362351B2 (ja) 給水予熱装置を持ったボイラ
CN220567934U (zh) 一种应用于轻有机物汽提塔进料工艺的换热器
CN106767112A (zh) 一种多系统单流程蒸发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