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489B1 -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489B1
KR101889489B1 KR1020170052718A KR20170052718A KR101889489B1 KR 101889489 B1 KR101889489 B1 KR 101889489B1 KR 1020170052718 A KR1020170052718 A KR 1020170052718A KR 20170052718 A KR20170052718 A KR 20170052718A KR 101889489 B1 KR101889489 B1 KR 101889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unit
power
wireless charging
lumin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환
박홍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피
Priority to KR1020170052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1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out a self-contained power source, e.g. for mains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H01M2/1066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1Energy harvesting or scaven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02J7/02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21Y2115/15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기밀성이 증가되어 자체발광 소자의 안정성이 장시간 확보되고, 설치가 용이한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는 챔버부, 자체발광부, 무선충전부 그리고 차폐부를 포함한다. 챔버부는 빛이 통과되는 투명부를 가지고, 레이저 용접되어 내측에 기밀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가진다. 자체발광부는 투명부에 대향되도록 수용공간에 구비되고, 자체적으로 빛을 낸다. 무선충전부는 수용공간에 구비되고, 외부에 구비되는 전력송신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고, 자체발광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그리고 차폐부는 무선충전부 및 자체발광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무선충전부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단하여 자체발광부를 보호한다.

Description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CORDLESS HERMETIC SELF-LUMINOUS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밀성이 증가되어 자체발광 소자의 안정성이 장시간 확보되고, 설치가 용이한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장치는 각종 광원을 이용하여 일정 면적에 빛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통상 백열등, 형광등, 수은등 및 나트륨등 등과 같은 조명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 중,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조명장치 중 하나인 형광등은 안정기(Ballast Stabilizer)가 함께 사용되어야 하고, 사용시간에 따라 다르기는 하나 통상 1년 정도의 내구성을 갖기 때문에 교체 주기가 짧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명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은 전기로 빛을 발하는 LED 소자를 이용한 조명방법으로 형광등과 같은 조명기구보다 에너지를 줄일 수 있고, 통상적으로 10년에서 20년 정도의 긴 내구성을 가지며, 형광등처럼 수은 등 유해물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제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조명은 형광성 유기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자체적으로 빛을 내는 물질인 OLED의 특성을 활용한 조명으로, 빛을 쏘아주는 부품인 백라이트(BLU: Back Light Unit)가 필요 없어 얇게 만들 수 있고 응답속도도 빨라 LED와 함께 차세대 조명 광원으로 부상하고 있다. OLED 조명은 비상등, 광고판, 차량용 후미등, 실내등,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OLED 조명은 LED 조명보다 따뜻하고 감성적인 광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도 1은 종래의 OLED를 이용하는 자체발광 조명장치의 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OLED 조명장치는 OLED 발광부(10)와, OLED 발광부(10)를 보호하는 케이스(20)를 포함한다. 케이스(20)는 OLED 발광부(10)의 전면을 덮도록 마련되고 OLED 발광부(10)에서 방출되는 빛이 투과하여 출사되는 프론트 케이스(21) 및 OLED 발광부(10)의 배면을 덮는 리어 케이스(22)가 각각 전후방에서 결합되어 일체로 모듈화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22)에는 연결부(23)가 구비되어 천정과 같은 설치구조물(3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OLED 발광부(10)에 포함되어 자체발광하는 유기물질은 산소와 수분이 닿으면 스스로 빛을 내는 성질을 잃어버리거나 색상이 변화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외부의 산소 및 수분으로부터 OLED 발광부(10)의 유기물질을 온전히 보호하기 위한 봉지 기술이 중요하다.
종래의 봉지 기술로는 프론트 케이스(21) 및 리어 케이스(22)가 결합되는 결합면 중 어느 하나의 결합면에 홈(미도시)을 형성하고, 여기서 흡수재(미도시)를 넣은 다음 수지(미도시)로 포장하는 방식(Edge Seal)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봉지 기술에서는 흡수재 및 수지가 수분 및 산소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한 충분히 낮은 수분투과도(WVTR: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를 가지기 어렵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기밀 효과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의 봉지기술로는 프론트 케이스(21) 및 리어 케이스(22) 중 어느 하나의 결합면에 유리 프릿(Glass Frit)을 뿌린 후 고온의 레이저로 녹여 밀봉하는 방식(Frit Seal)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봉지기술의 경우, 결합면에 홈을 형성하고 유리 프릿을 정밀하게 뿌리기 위한 공정이 필요하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유리 프릿을 뿌려주는 속도가 빠르지 못하여 요구되는 유리 프릿을 뿌리기 위해서는 많은 세트의 장비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양산설비의 투자비용이 증가되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유리 프릿의 기본 사이즈로 인하여, 뿌려지는 유리 프릿의 폭이 수백 마이크로미터 이상이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베젤의 폭을 줄이는데 한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리 프릿이 레이저에 의해 재소결된 유리와 기판 유리 사이의 계면이 다른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충분한 전단응력이 확보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3-0072288호(2013.07.02. 공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밀성이 증가되어 자체발광 소자의 안정성이 장시간 확보되고, 설치가 용이한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빛이 통과되는 투명부를 가지고, 레이저 용접되어 내측에 기밀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챔버부; 상기 투명부에 대향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고, 자체적으로 빛을 내는 자체발광부;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고, 외부에 구비되는 전력송신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자체발광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충전부; 그리고 상기 무선충전부 및 상기 자체발광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무선충전부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단하여 상기 자체발광부를 보호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는 상기 투명부 및 상기 투명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측면부를 가지고, 내측에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유리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하우징부와, 상기 측면부와 레이저 용접되어 상기 수용공간이 기밀되도록 하는 커버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유리 소재 또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는 상기 투명부를 가지고 유리 소재로 이루어지는 패널부와, 후면부 및 상기 후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측면부를 가지고, 내측에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2하우징부를 가지고, 상기 패널부 및 상기 측면부는 레이저 용접되어 상기 수용공간이 기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부는 유리 소재 또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체발광부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체발광부 및 상기 차폐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전원충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상기 전원충전부에서 충전된 후 상기 자체발광부로 공급되며, 상기 차폐부는 상기 무선충전부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단하여 상기 전원충전부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충전부는 필름 배터리 또는 필름 형태의 슈퍼커패시터(Supercapacitor)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부는 상기 챔버부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구비될 수 있다.
챔버부는 커버부 및 제1하우징부의 결합면이 직접 레이저 용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챔버부의 내측의 수용공간이 기밀봉지(Hermetic Seal)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외기로부터 공기, 습기의 침입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충전부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전력선이 통과하기 위한 홀 형성 등이 불필요하여 챔버부의 기밀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챔버부의 기밀성 개선은 자체발광하는 유기(Organic) 물질을 산소나 수분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해 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시간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충전부는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의 모서리에 구비될 수 있기 때문에, 벽면에 구비되는 전력송신부와의 위치 정합성이 높아지도록 천정 등의 설치구조물에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 시의 편의성도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OLED를 이용하는 자체발광 조명장치의 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의 챔버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의 설치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의 챔버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의 설치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100)는 챔버부(110), 자체발광부(120), 무선충전부(130) 그리고 차폐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부(110)는 제1하우징부(111) 및 커버부(115)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하우징부(111)는 투명부(112) 및 측면부(113)를 가질 수 있다.
투명부(112)는 자체발광부(120)에서 방출되는 빛이 통과되는 영역일 수 있으며,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100)에서 빛이 방출되는 조명면일 수 있다.
측면부(113)는 투명부(112)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하우징부(111)는 내측에 수용공간(S)을 가지는 용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하우징부(111)는 유리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부(115)는 제1하우징부(111)의 측면부(113)와 레이저 용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하우징부(111)의 측면부(113)의 제1밀착부(114)에는 커버부(115)의 제2밀착부(116)가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제1밀착부(114) 및 제2밀착부(116)에 레이저가 조사되어 제1밀착부(114) 및 제2밀착부(116)가 레이저 용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용공간(S)은 기밀봉지(Hermetic Seal)될 수 있으며, 수분투과도(WVTR)는 10-6 이하로 관리될 수 있어 수분 및 산소의 침투가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커버부(115)는 유리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하우징부(111)와 동일한 유리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커버부(115)가 반드시 유리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커버부(115)는 유리 소재 또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챔버부의 전면에 해당하는 부분이 패널 형태로 이루어지고, 측면 및 후면에 해당하는 부분이 하우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챔버부(210)는 패널부(211) 및 제2하우징부(215)를 가질 수 있다. 패널부(211)는 투명부(212)를 가질 수 있으며, 유리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하우징부(215)는 후면부(216) 및 후면부(216)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측면부(217)를 가질 수 있다.
패널부(211)의 제1밀착부(213)에는 제2하우징부(215)의 측면부(217)의 제2밀착부(218)가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밀착부(213) 및 제2밀착부(218)에 레이저가 조사되어 제1밀착부(213) 및 제2밀착부(218)가 레이저 용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용공간(S)은 기밀봉지(Hermetic Seal)될 수 있다. 제2하우징부(215)는 유리 소재 또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자체발광부(120)는 발광물질부(121), 제1전극부(122), 제2전극부(123)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상부/상측 및 하부/하측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상 도 3을 기준으로 하며,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100)에서 출사되는 출사광의 진행방향과는 무관하다.
발광물질부(121)는 조명으로서 백색광을 생성하여 출사되도록 하는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제1전극부(122)는 캐소드(Cathode) 층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의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서 제1전극부(122)에서는 전자가 발생할 수 있다. 제1전극부(122)에서는 발생되는 전자가 발광물질부(121)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1전극부(122)는 전자가 발광물질부(121)로 전달되도록 하는 전자수송층(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제1전극부(122)는 전자의 발생량 또는 전송량이 향상되도록 전자주입층(미도시)을 더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전극부(123)는 애노드(Anode) 층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의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서 제2전극부(123)에서는 정공이 발생할 수 있다. 제2전극부(123)에서는 발생되는 정공이 발광물질부(121)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2전극부(123)는 정공이 발광물질부(121)로 전달되도록 하는 정공수송층(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제2전극부(123)는 정공의 발생량 또는 전송량이 향상되도록 정공주입층(미도시)을 더 가질 수 있다.
발광물질부(121)에서는 각기 전달된 전자 및 정공이 엑시톤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광이 생성되어 출사될 수 있다. 발광물질부(121)는 위의 구성을 가질 수 있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소자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체발광부(120)는 OLED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발광물질부(121)는 수용공간(S)에 구비되되, 챔버부(110)의 투명부(112)에 대향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발광물질부(121)에서 출사되는 광이 투명부(112)를 통해 외부로 출사되어 조명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무선충전부(130)는 수용공간(S)에 구비될 수 있다. 무선충전부(130)는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100)의 외부에 구비되는 전력송신부(5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무선충전부(130)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챔버부(110)의 기밀성이 더욱 잘 확보될 수 있다. 즉, 유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에는, 챔버부에 전력선이 통과하기 위한 홀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홀에 기밀처리를 한다고 하더라도 한계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전력이 무선 공급되기 때문에, 챔버부(110)의 기밀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챔버부(110)의 기밀성 개선은 자체발광부(120)에 포함되어 자체발광하는 유기(Organic) 물질을 산소나 수분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해 줄 수 있으며, 장시간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무선충전부(130) 및 전력송신부(50)는 자기유도 방식(Inductive Charging)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력송신부(50)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전력 송신부 코일(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무선충전부(130)는 2차 코일(미도시)을 가지는 수신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송신부(5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은 무선충전부(130)의 2차 코일에 유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무선충전부(130)는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무선충전부(130)는 자체발광부(12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무선충전부(130)는 전력송신부(50)와 근접 거리에 위치될 수 있도록, 챔버부(110)의 후면에 가깝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무선충전부(130)에서 전력이 생산되도록 하는 방식은 자기유도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기공명방식(Resonant Inductive Coupling) 또는 전자기파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무선충전부(130)는 챔버부(110)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100)를 천정 등의 설치시설물(80)에 설치할 때, 설치시설물(80)에 설치되는 전력송신부(50)와 무선충전부(130)의 위치 정합이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설치시설물(80)에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100)가 결합되는 설치브래킷(81)이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경우, 설치브래킷(81)에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100)를 고정하고, 이후, 무선충전부(130)의 위치에 대응되는 곳에 전력송신부(5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무선충전부(130)는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100)의 모서리에 구비된 상태이기 때문에, 전력송신부(50)의 설치 위치 선정이 용이할 수 있으며, 위치 정합성도 높아질 수 있다. 또는, 설치시설물(80)에 전력송신부(50)가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전력송신부(5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무선충전부(130)를 위치시킨 후, 설치브래킷(81)을 설치시설물(80)에 설치하여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100)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제공될 수 있다. 무선충전부(130)는 패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폐부(140)는 무선충전부(130) 및 자체발광부(12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차폐부(140)는 무선충전부(130)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장을 차단하여 자체발광부(120)를 보호할 수 있다. 차폐부(140)는 시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차폐부(140)은 무선충전부(130)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장을 차단하여 자체발광부(120)에서의 신호 왜곡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무선충전부(130)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장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자체발광부(120)의 오작동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100)는 전원충전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충전부(160)는 자체발광부(120) 및 차폐부(14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전원충전부(160) 및 무선충전부(130)는 제1연결선(131)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충전부(13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제1연결선(131)을 통해 공급되어 전원충전부(160)에 충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충전부(160) 및 자체발광부(120)는 제2연결선(132)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전원충전부(160)에 충전되는 전력은 제2연결선(132)울 통해 공급되어 자체발광부(120)로 공급될 수 있다. 제2연결선(132)은 전원충전부(160) 및 제1전극부(122)를 연결하는 제1선(133)과, 전원충전부(160) 및 제2전극부(123)를 연결하는 제2선(134)을 가질 수 있다. 전원충전부(160)는 필름 배터리 또는 필름 형태의 슈퍼커패시터(Supercapacitor)일 수 있다.
전원충전부(160)는 자체발광부(120)의 ON 시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자체발광부(120)가 기능 시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차폐부(140)은 무선충전부(130)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장을 차단하여 전원충전부(160)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100)는 패시베이션(Passivation)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시베이션부(170)는 수용공간(S)에서 자체발광부(120)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부식을 억제하는 등의 유해한 환경으로부터 자체발광부(120)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100)는 챔버부(110)의 외측에 챔버부(1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케이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100)는 자체발광부(120)에서 방출되는 백색광이 컬러 광으로 표현되도록 하기 위한 컬러필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컬러필터부는 자체발광부(120) 및 투명부(112)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체발광부(120) 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컬러필터부는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100)의 조명광으로 컬러 광을 구현하고자 할 때 추가적으로 더 사용될 수 있으며, 조명광으로 백색광을 구현하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
110: 챔버부
111: 제1하우징부
115: 커버부
120: 자체발광부
130: 무선충전부
140: 차폐부
160: 전원충전부
170: 패시베이션부

Claims (9)

  1. 빛이 통과되는 투명부를 가지고, 레이저 용접되어 내측에 기밀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챔버부;
    상기 투명부에 대향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고, 자체적으로 빛을 내는 자체발광부;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고, 외부에 구비되는 전력송신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자체발광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충전부; 그리고
    상기 무선충전부 및 상기 자체발광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무선충전부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단하여 상기 자체발광부를 보호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는
    상기 투명부 및 상기 투명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측면부를 가지고, 내측에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유리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하우징부와,
    상기 측면부와 레이저 용접되어 상기 수용공간이 기밀되도록 하는 커버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유리 소재 또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는
    상기 투명부를 가지고 유리 소재로 이루어지는 패널부와,
    후면부 및 상기 후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측면부를 가지고, 내측에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2하우징부를 가지고,
    상기 패널부 및 상기 측면부는 레이저 용접되어 상기 수용공간이 기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부는 유리 소재 또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발광부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발광부 및 상기 차폐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전원충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상기 전원충전부에서 충전된 후 상기 자체발광부로 공급되며, 상기 차폐부는 상기 무선충전부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단하여 상기 전원충전부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충전부는 필름 배터리 또는 필름 형태의 슈퍼커패시터(Supercapaci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부는 상기 챔버부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
KR1020170052718A 2017-04-25 2017-04-25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 KR101889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718A KR101889489B1 (ko) 2017-04-25 2017-04-25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718A KR101889489B1 (ko) 2017-04-25 2017-04-25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9489B1 true KR101889489B1 (ko) 2018-08-20

Family

ID=63443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718A KR101889489B1 (ko) 2017-04-25 2017-04-25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4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959A (ko) 2019-12-11 2021-06-21 허수영 자기부상 조명
EP4123873A1 (en) * 2021-07-23 2023-01-25 Tridonic GmbH & Co. KG A power supply device for a wireless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an emergency luminaire and emergency luminair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3056A (ja) * 2008-10-27 2010-05-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照明器具
KR20120086085A (ko) * 2011-01-25 2012-08-02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발광소자 조명 장치
KR101220443B1 (ko) * 2011-11-17 2013-01-21 (주)에코플럭스 접착용 결정화 유리, 이를 포함하는 접착용 결정화 유리 조성물, 접착용 결정화 유리 페이스트,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
KR20130072288A (ko) 2011-12-22 2013-07-02 백송전자 주식회사 Oled 조명기구
KR101284736B1 (ko) * 2012-01-25 2013-07-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원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3056A (ja) * 2008-10-27 2010-05-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照明器具
KR20120086085A (ko) * 2011-01-25 2012-08-02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발광소자 조명 장치
KR101713059B1 (ko) * 2011-01-25 2017-03-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발광소자 조명 장치
KR101220443B1 (ko) * 2011-11-17 2013-01-21 (주)에코플럭스 접착용 결정화 유리, 이를 포함하는 접착용 결정화 유리 조성물, 접착용 결정화 유리 페이스트,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
KR20130072288A (ko) 2011-12-22 2013-07-02 백송전자 주식회사 Oled 조명기구
KR101284736B1 (ko) * 2012-01-25 2013-07-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원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959A (ko) 2019-12-11 2021-06-21 허수영 자기부상 조명
EP4123873A1 (en) * 2021-07-23 2023-01-25 Tridonic GmbH & Co. KG A power supply device for a wireless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an emergency luminaire and emergency luminaire
WO2023001643A1 (en) * 2021-07-23 2023-01-26 Tridonic Gmbh & Co Kg A power supply device for a wireless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an emergency luminaire and emergency luminai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4744B2 (en) Vehicular lamp
TW200742138A (en) High efficiency LED package
KR101889489B1 (ko) 밀폐형의 무선 자체발광 조명장치
TW200511169A (en) Stabilized OLED device
TW200625684A (en) Light emi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apparatus
TW200733420A (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CN104976563B (zh) 车辆用灯具
TW200802963A (en) Light emitting system, light emitting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TW200705505A (en) Field emission light-emitting device
TWI265366B (en) Light source module and optical projection system
US20190178456A1 (en) Self-generated lighting fixture
KR20120068287A (ko) 움직이는 발광소자 장치 및 상기 발광소자 장치의 제조 방법
CN218827219U (zh) 防水性发光二极管
JP2015011884A (ja) 照明器具
WO2015084013A1 (ko) 조명용 유기발광장치
CN105276481A (zh) 发光装置和车辆用灯具
JP2015011882A (ja) Oledパネル及び照明器具
EP2679894A1 (en) Luminaire
TW200737283A (en) Field emission illumination light sourc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1393507B1 (ko) 엘이디 방폭등기구
US20040232434A1 (en) Electroluminescent lamp
KR20130134780A (ko) 발광 다이오드
CN215954045U (zh) 一种防眩目的补光灯
CN217671529U (zh) 一种用于激光照明的增加红色显色的陶瓷复合结构
JP2016066493A (ja) 発光モジュール及び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