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282B1 - 놀이시설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놀이시설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282B1
KR101889282B1 KR1020170058454A KR20170058454A KR101889282B1 KR 101889282 B1 KR101889282 B1 KR 101889282B1 KR 1020170058454 A KR1020170058454 A KR 1020170058454A KR 20170058454 A KR20170058454 A KR 20170058454A KR 101889282 B1 KR101889282 B1 KR 101889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safety
management server
safety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종우
Original Assignee
곽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종우 filed Critical 곽종우
Priority to KR1020170058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2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놀이시설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놀이시설에 대한 안전 관리 방법은 안전 관리 서버가 놀이시설에 설치된 영상 촬상 장치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안전 관리 서버가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놀이시설에서 안전 사고 가능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와 안전 관리 서버가 안전 사고 가능성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 장치로 경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놀이시설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afety management for playing facilities}
본 발명은 놀이시설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집된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놀이시설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안전도 또는 사고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놀이시설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키즈 카페의 무분별한 증가로 인해 실내 놀이시설에서 안전 사고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실내 놀이시설에서 안전 사고 발생 원인은 다양하다.
실내 놀이시설의 공간 크기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너무 많은 아이들의 수용이 놀이시설에서 하나의 안전 사고 발생 원인일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유아 및 어린이의 연령을 고려하지 않은 놀이시설 내 놀이기구의 배치, 놀이시설 운영시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감시 소홀, 시설 노후화 및 파손에 의한 안전 문제 등도 실내놀이 시설에서의 안전 사고 발생 원인일 수 있다.
법적 규제로 1개월마다 놀이기구에 대해 안전 검사를 실시하도록 되어 있으나, 실제 놀이시설에 있는 놀이기구에 대한 안전 검사를 받지 않고 운영하는 업체들이 다수 존재한다.
따라서, 놀이시설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별도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놀이시설 내 놀이기구 이용시 유아 및 어린이들의 밀집 상태로 인한 충돌 사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이 제한이 필요한 놀이기구의 이용시 사용자의 연령을 감시하고 위험 상황 인지 기술을 기반으로 놀이시설의 사고를 예방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놀이시설에 대한 안전 관리 방법은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놀이시설에 설치된 영상 촬상 장치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놀이시설에서 안전 사고 가능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안전 사고 가능성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 장치로 경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놀이시설에 대한 안전 관리를 수행하는 안전 관리 서버는 관리자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놀이시설에 설치된 영상 촬상 장치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놀이시설에서 안전 사고 가능성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안전 사고 가능성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 장치로 경고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놀이시설 내 놀이기구 이용시 유아 및 어린이들의 밀집 상태로 인한 충돌 사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나이 제한이 필요한 놀이기구의 이용시 사용자의 연령을 감시하고 위험 상황 인지 기술을 기반으로 놀이시설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시설 안전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시설 안전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서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밀집도 분석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밀집도 결정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시설의 이용자들의 이용자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안전 사고 가능성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 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키즈 카페(kids cafe), 식당 놀이시설 등 우리 주변에 유아 및 어린이를 위한 놀이시설이 많이 생겨남에 따라, 놀이시설 내 안전 사고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시설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에서는 놀이시설들에 대한 안전 사고 가능성을 예측하여 놀이시설에 대한 안전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시설 안전 관리 방법에서는 놀이시설 내 영상 촬상 장치(또는 스마트 비전 센서)를 기반으로 놀이시설 내 안전 사고 가능성이 예측되고, 안전 사고에 대한 관리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놀이시설 내 이용자의 밀집도에 대한 분석 및 이용자의 놀이시설에 대한 접근 분석 등을 기반으로 안전 사고 가능성이 예측되고, 미리 놀이시설의 관리자에게 안전 사고 가능성을 알리는 알람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놀이시설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놀이기구가 위치한 장소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시설 안전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서는 놀이시설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안전을 위한 놀이시설 안전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놀이시설 안전 관리 시스템은 영상 촬상 장치(100), 안전 관리 서버(120) 및 관리자 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촬상 장치(100)는 놀이시설 내에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설치되어 놀이시설을 이용하는 이용자를 촬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촬상 장치(100)는 개별 놀이시설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놀이시설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에 대한 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영상 촬상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객체에 대한 트래킹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촬상 장치(100)는 미리 수신한 이용자의 신체 정보(예를 들어, 이용자의 얼굴, 이용자의 몸)를 기반으로 이용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이용자에 대한 트래킹을 수행할 수도 있다.
안전 관리 서버(120)는 영상 촬상 장치(100)에 의해 촬상된 영상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이용자 밀집도 정보 및 이용자 특성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관리 서버(120)는 수신한 영상 정보에 대한 객체 분석을 기반으로 이용자 밀집도 정보 및 이용자 특성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용자 밀집도 정보 및 이용자 특정 정보는 놀이시설 내에 위치한 개별 놀이 기구 별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놀이시설 내의 제1 놀이기구에 대한 이용자 밀집도 정보 및 이용자 특성 정보, 놀이시설 내의 제2 놀이기구를 이용하는 이용자 밀집도 정보 및 이용자 특성 정보가 개별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놀이 시설 내에 복수의 놀이기구가 위치한 경우, 복수의 이용자 밀집도 정보 및 복수의 이용자 특성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이용자 밀집도 정보 및 이용자 특성 정보는 놀이시설 내의 복수의 놀이기구에 대하여 결정되거나 놀이시설 내 일정 영역별로 결정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관리 서버(120)는 영상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기반으로 면적별 이용자 수(또는 특정 놀이기구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밀집도 판단 영역 내의 이용자 수)를 결정하고, 면적별 이용자 수(밀집도 판단 영역 내의 이용자 수)를 기반으로 이용자 밀집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안전 관리 서버(120)는 이용자 간의 거리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이용자 밀집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안전 관리 서버(120)는 영상 촬상 장치(100)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기반으로 특정 놀이 시설 위치를 기준으로 한 임계 면적(또는 밀집도 판단 영역) 내의 이용자의 신체 정보(예를 들어, 키)를 이용자 특성 정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용자 밀집도 정보 및 이용자 특성 정보가 놀이시설 내에 위치한 개별 놀이기구 별로 결정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하지만, 이용자 밀집도 정보 및 이용자 특성 정보는 놀이시설 내 특정 영역, 복수의 놀이기구에 대해서도 결정될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안전 관리 서버(120)는 영상 분석 결과 정보(예를 들어, 이용자 밀집도 정보 및 이용자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놀이시설에서의 안전 사고 가능성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관리 서버(120)는 놀이시설에 대한 이용자 밀집도 정보 및 이용자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놀이시설에서 안전 사고 가능성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관리 서버(120)는 놀이시설 별 임계 밀집도, 신체 조건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서버(120)는 특정 놀이 시설에 대한 이용자 밀집도가 특정 놀이 시설에 대한 설정된 임계 밀집도 이상인지 여부, 특정 놀이 시설을 이용하는 이용자 특성 정보가 신체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놀이시설에서 안전 사고 가능성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관리 서버(120)는 제1 놀이 시설에 대한 제1 임계 밀집도, 제1 신체 조건 정보를 설정하고, 제2 놀이 시설에 대한 제2 임계 밀집도, 제2 신체 조건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런한 임계 밀집도 및 신체 조건 정보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영상 촬상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안전 관리 서버(120)는 특정 놀이 시설에 대한 이용자 밀집도가 특정 놀이 시설에 대한 임계 밀집도 이상인지 여부 및/또는 특정 놀이 시설에 대한 이용자 특성 정보가 특정 놀이 시설에 대한 신체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놀이 시설에서의 안전 사고 가능성을 결정할 수 있다.
안전 사고 가능성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안전 관리 서버(120)는 관리자 장치(140)로 놀이 시설의 사고 발생 가능성에 대해 경고 메시지(또는 알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경고 메시지는 안전 사고 가능성이 임계값 이상인 놀이기구 또는 놀이시설 내의 특정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안전 관리 서버(120)는 사용자(이용자, 보호자, 관리자 등) 정보 관리 및 수집 영상 데이터 관리 등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서버(120)는 촬상된 영상을 분류하고,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놀이시설에 대한 안전 관리를 수행하는 안전 관리 서버(120)는 관리자 장치(140)/영상 촬상 장치(10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안전 관리 서버(120)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관리자 장치(140)는 놀이시설의 관리자의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관리자 장치(140)는 안전 관리 서버(120)로부터 경고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관리자는 경고 메시지에 의해 지시된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는 지시된 놀이 기구 또는 놀이시설 내의 특정 영역으로 이동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거나, 이용자들을 분산시킬 수 있다.
관리자 장치(140)에는 안전 관리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놀이시설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고, 관리자는 놀이시설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놀이시설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놀이시설 안전 관리 방법을 기반으로 실내 놀이시설 내 놀이기구에서 이용자(예를 들어, 이용 유아 및 어린이들)들이 밀집되어 발생하는 충돌 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 놀이시설 및 놀이기구에 대한 위험 상황이 사전에 알려져 사고 발생률이 감소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놀이시설 및 놀이기구 이용자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실내 놀이시설 업체 수익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보호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시설 안전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이용자의 보호자 장치로 놀이시설을 이용하는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안전 관리 서버(200)는 이용자를 보호/관리하는 보호자의 보호자 장치(220)로 이용자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할 수 있다. 이용자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놀이시설을 이용하는 이용자에 대한 보호/관리를 위한 정보를 보호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안전 관리 서버(200)는 영상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영상 상에서 하나의 객체로서 이용자를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이용자를 트래킹하여 이용자를 촬상한 영상 정보를 이용자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A의 보호자B는 이용자A의 이미지(예를 들어, 이용자A의 얼굴, 전신 이미지)를 이용자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안전 관리 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서버(200)는 등록된 이용자A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놀이 시설내에서 영상 촬상 장치(240)를 통해 촬상된 영상에서 이용자A를 하나의 객체로서 탐색할 수 있다. 이용자 A가 탐색되는 경우, 이용자A에 대한 영상 정보를 보호자B의 보호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이용자에 대한 탐색은 보호자 장치의 요청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호자 장치(220)에서 이용자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특정 이용자에 대한 탐색을 안전 관리 서버로 요청할 수 있고, 안전 관리 서버(200)는 영상 촬상 장치를 통해 촬상된 영상에서 이용자를 하나의 객체로서 탐색하여 탐색된 이용자에 대한 영상 정보를 보호자 장치(2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안전 관리 서버(200)는 인식된 이용자의 이미지 정보를 분류 파일 디렉터리 형태로 목록화하여, 폴더로 구성할 수 있다. 분류된 이미지는 이용자의 보호자에게 별도의 저장매체로 제공되거나 메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서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안전 관리 서버의 구성이 개시된다. 개시된 안전 관리 서버의 구성은 하나의 예시로 전술한 안전 관리 서버의 동작이 수행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모듈(또는 구성부)가 안전 관리 서버를 구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안전 관리 서버는 데이터 수집 모듈(300), 영상 분석 모듈(310), 객체 분석 모듈(320), 상황 인지 모듈(330), 영상 분류 모듈(340), 이용자 정보 관리 모듈(350), 이벤트 발신 모듈(360),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모듈(370), 파일 관리 데이터베이스(380), 분석 데이터 데이터베이스(385), 이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9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모듈(300)은 영상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영상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놀이시설 내에 복수의 영상 촬상 장치가 설치될 수 있고, 영상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영상 정보는 데이터 수집 모듈(300)로 전송될 수 있다.
영상 분석 모듈(310)은 수집된 영상 정보에 대한 분석을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영상 분석 모듈(310)은 수신한 영상에 대한 분석을 위해 구현될 수 있다.
객체 분석 모듈(320)은 수집된 영상 정보에서 객체에 대한 분석을 위해 구현될 수 있다. 객체 분석 모듈(320)을 기반으로 놀이 시설을 이용하는 객체의 위치, 객체의 특성 등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고, 이용자 밀집도 정보 및 이용자 특성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객체 분석 모듈(320)은 특정한 수집된 영상 정보에서 객체 분석을 기반으로 특정한 이용자 특정한 이용자에 대한 영상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상황 인지 모듈(330)은 이용자 밀집도 정보 및 이용자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상황에서 안전 사고 가능성에 대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분류 모듈(340)은 특정한 이용자별 영상 정보를 분류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이용자 정보 관리 모듈(350)은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이용자 정보 관리 모듈(350)은 영상 분류 모듈에 의해 분류된 이용자별 영상에 대한 관리를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이벤트 발신 모듈(360)은 상황 인지 모듈에 의한 판단 결과 안전 사고 가능성이 임계 가능성 이상인 경우, 관리자 장치로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모듈(370)은 보호자 장치로 이용자에 대한 영상 정보를 스트리밍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모듈(370)은 객체 분석 모듈, 영상 분류 모듈, 이용자 정보 관리 모듈에 의해 생성된 이용자별 영상을 이용자의 보호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파일 관리 데이터베이스(380)는 데이터 수집 모듈에 의해 수집된 영상 정보를 저장/관리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분석 데이터 데이터베이스(385)는 객체 분석 모듈에 의해 분석된 영상 정보를 저장/관리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이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90)는 이용자에 대한 영상 정보를 저장/관리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밀집도 분석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놀이기구에 대한 이용자 밀집도를 결정하기 위한 놀이시설의 밀집도 판단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놀이시설의 밀집도 판단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밀집도 판단 영역(450)은 놀이시설의 밀집도 판단 기준 위치(예를 들어, 놀이시설의 중심 위치)(400)을 기준으로 놀이시설의 형태 정보(410) 및 놀이시설에 구현된 이동 가능한 구조 정보(예를 들어, 그네일 경우, 그네의 움직임 범위 정보)(420), 이용자의 움직임 범위 정보(예를 들어, 미끄럼틀이 존재하는 경우, 미끄럼틀을 내려와서 이용자가 움직일 수 있는 범위)(430)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놀이시설의 밀집도 판단 영역(450)은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으나, 안전 관리 서버가 영상 촬상 장치에 의해 생성된 영상 정보에서 이용자들의 움직임 정보(440)를 수집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안전 관리 서버는 놀이시설을 이용한 이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440)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관리 서버는 미끄럼틀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움직임을 영상 분석을 기반으로 트래킹하고, 이용자들이 미끄럼틀 주변에서 이동 가능한 범위를 밀집도 판단 영역(45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놀이시설 주변에서 임계 명수 이상의 이용자들이 움직임을 보인 영역이 해당 놀이시설의 밀집도 판단 영역(450)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3명 이상의 놀이시설의 이용자의 움직임이 특정 영역에서 겹치는 경우, 해당 영역을 놀이시설의 밀집도 판단 영역(45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서버는 밀집도 판단 영역(450)에 위치한 이용자의 수를 카운팅하여 이용자 밀집도(460)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안전 관리 서버는 밀집도 판단 영역(450) 상의 이용자 간의 간격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이용자 밀집도(460)를 산출할 수 있다. 이용자 밀집도(460)가 임계 밀집도 값 이상인 경우, 안전 관리 서버는 관리자에게 경고 메시지(또는 알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밀집도 결정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놀이기구 상에서 영역을 분할하여 밀집도 판단 영역으로 설정한 후 이용자 밀집도를 결정하고, 영역별 안전 사고 가능성을 다르게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미끄럼틀이 개시되나, 미끄럼틀이 아닌 다른 다양한 놀이시설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이용자 밀집도가 결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놀이시설의 영역이 분할되고 하나의 놀이 시설에 대해 복수의 밀집도 판단 영역이 설정되고(단계 S500), 복수의 밀집도 판단 영역 각각에 대한 임계 밀집도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단계 S510). 하나의 놀이시설에 대해 설정된 복수의 밀집도 판단 영역 각각에 대해 다르게 설정된 임계 밀집도에 따라 안전 사고 가능성이 동일한 놀이시설에서 영역별로 서로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단계 S520).
예를 들어, 놀이시설이 미끄럼틀인 경우, 올라가는 계단, 올라간 후 대기하는 장소, 이용자가 내려오는 슬라이드는 이용자가 많이 밀집된 경우, 미끄럼틀에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영역일 수 있다. 미끄럼틀 상에서 그 외의 영역은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놀이시설에서 사고 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사고 발생 가능성 상위 영역은 제1 임계 밀집도로 임계 밀집도가 설정되어 안전 사고 발생 가능성이 결정될 수 있다. 반대로 놀이 시설에서 사고 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사고 발생 가능성 하위 영역은 제2 임계 밀집도로 임계 밀집도가 설정되어 안전 사고 발생 가능성이 결정될 수 있다. 제1 임계 밀집도는 제2 임계 밀집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놀이시설의 영역뿐만 아니라, 놀이시설에 구현된 이동 가능한 구조의 이동 가능 범위에 대해서 별도의 임계 밀집도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네와 같은 이동 가능한 구조가 움직이고 그네의 움직임 범위 내에 다른 이용자가 위치하는 경우,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놀이시설의 이동 가능한 구조의 이동 가능 범위에 대해서 별도의 밀집도 판단 영역이 설정되고, 가장 낮은 밀집도 값(예를 들어, 0)으로 설정되어 관리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시설의 이용자들의 이용자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안전 사고 가능성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서는 놀이 시설의 밀집도 판단 영역 상에 위치한 이용자의 이용자 특성 정보로서 이용자의 신체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신체 정보가 신체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이하, 이용자 특성 정보가 신체 정보인 경우가 가정되나, 이용자 특성 정보는 신체 정보가 아닌 다른 다양한 정보일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놀이시설 내에 구현된 제1 놀이기구를 이용 가능한 이용자의 나이에 대한 기준이 미리 안전 관리 서버에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놀이시설 내에 구현된 제1 놀이기구를 이용 가능한 이용자의 나이가 7세 미만, 제2 놀이기구를 이용 가능한 이용자의 나이가 7세 이상, 제3 놀이기구를 이용 가능한 이용자의 나이가 10세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안전 관리 서버는 놀이시설 내에 위치한 놀이기구(제1 놀이기구, 제2 놀이기구, 제3 놀이기구)에 대한 이용자 나이 제한 정보(7세 미만, 7세 이상, 10세 이상)을 수신하고, 놀이기구 별로 이용자의 나이를 판단하기 위해 이용자 특성 정보(예를 들어, 이용자의 신체 정보(600))가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관리 서버는 제1 놀이기구의 밀집도 판단 영역 내에 7세 이상의 이용자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1 신체 조건 정보(예를 들어, 7세 이상의 이용자의 키에 대한 정보)를 제1 놀이기구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서버는 제1 놀이기구의 밀집도 판단 영역에 제1 신체 조건 정보를 만족하지 못하는 이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이용자 특성 정보에 포함되는 이용자의 신체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안전 관리 서버는 제2 놀이기구의 밀집도 판단 영역 내에 7세 미만의 이용자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2 신체 조건 정보(예를 들어, 7세 미만의 이용자의 키에 대한 정보)를 제2 놀이기구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서버는 제2 놀이기구의 밀집도 판단 영역에 제2 신체 조건 정보를 만족하지 못하는 이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이용자 특성 정보에 포함되는 이용자의 신체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용자의 신체 정보(600)가 신체 조건 정보(예를 들어, 신장)(620)에 대한 만족 여부는 이용자가 기준 신체 상태(예를 들어, 서있는 상태)인 경우에 판단될 수 있다. 즉, 이용자가 기준 신체 상태(예를 들어, 서있는 상태)인 경우, 이용자의 신체 정보(600)가 보다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용자의 신체 정보(600)가 기준 신체 상태를 벋어난 경우(예를 들어, 앉아있는 경우), 이용자의 신체 조건 정보(예를 들어, 기준 신장값)(620)에 대한 만족 여부에 대한 판단이 어려울 수 있다.
안전 관리 서버는 복수의 이용자 중 기준 신체 상태에서 신체 조건 정보(620)를 만족하는 이용자(판단 완료 이용자)에 제1 식별자를 할당하고, 판단이 불가한 나머지 이용자(판단 불가 이용자)에 대한 제2 식별자를 할당할 수 있다.
제2 식별자가 할당된 판단 불가 이용자에 대해서는 임계 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트래킹을 수행하여 이용자의 기준 신체 상태에서 신체 조건 정보(620)의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임계 시간 이후에도 제2 식별자가 할당된 판단 불가 이용자에 대해서는 1차적으로 이용자의 현재 신체 상태를 기준으로 신체 조건 정보(620)의 만족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신체 상태가 서있는 상태이고, 현재 신체 상태가 앉아있는 상태 또는 누워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안전 관리 서버는 현재 신체 상태에서 기준 신체 상태를 예측하여 예측 기준 신체 상태가 신체 조건 정보(620)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예측 정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측 정확도는 예측 기준 신체 상태가 기준 신체 상태를 얼마나 정확하게 예측하는지에 대한 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준 신체 상태가 서있는 상태라고 가정하면, 이용자의 현재 신체 상태가 앉아있는 상태인 경우보다 누워있는 상태인 경우에 상대적으로 더 예측 정확도가 높을 수 있다.
이용자의 신체 정보(600)가 신체 조건 정보(620)가 만족되지 못하고, 예측 정확도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안전 사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높은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안전 사고 가능성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관리자 장치로 별도의 경고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다.
관리자는 안전 관리 서버로 판단 불가 이용자 중 예측 정확도가 임계값 이하인 이용자에 대한 트래킹을 요청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서버는 영상 촬상 장치로 트래킹 대상 이용자에 대한 영상 촬상을 요청할 수 있다. 촬상된 트래킹 대상 이용자에 대한 영상 정보는 관리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관리자는 트래킹 대상 이용자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육안으로 트래킹 대상 이용자의 신체 조건 정보의 만족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놀이시설에 대한 안전 관리 방법은,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놀이시설에 설치된 영상 촬상 장치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놀이시설에서 안전 사고 가능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안전 사고 가능성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 장치로 경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안전 사고 가능성 정보는 이용자 밀집도 정보 및 이용자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이용자 밀집도 정보는 상기 놀이 시설 내에 위치한 놀이기구의 복수의 밀집도 판단 영역 상에서 획득된 이용자의 밀집 정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복수의 밀집도 판단 영역은 상기 놀이기구의 형태 정보 및 상기 놀이기구에 구현된 이동 가능한 구조 정보, 이용자의 움직임 범위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안전 사고 가능성 정보는 상기 복수의 밀집도 판단 영역 각각에 대해 설정된 서로 다른 임계 밀집도를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이용자 특성 정보는 상기 밀집도 판단 영역 상에 위치한 이용자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관리 서버는 상기 신체 정보가 기준 신체 상태에서 신체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이용자에게 제1 식별자를 할당하고, 상기 신체 조건 정보의 만족 여부에 대한 판단이 불가한 경우, 상기 이용자에게 제2 식별자를 할당하고,
    상기 안전 관리 서버는 상기 제2 식별자가 할당된 상기 이용자에 대해서는 임계 시간 동안 트래킹을 수행하여 상기 이용자의 상기 기준 신체 상태에서 상기 신체 조건 정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안전 관리 서버는 상기 임계 시간 이후에도 상기 제2 식별자가 할당된 상기 이용자에 대해서는 1차적으로 상기 이용자의 현재 신체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신체 조건 정보의 만족 여부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사고 가능성 정보는 상기 놀이시설에 구현된 이동 가능한 구조의 이동 가능 범위에 대해서 별도로 설정된 임계 밀집도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놀이시설에 대한 안전 관리를 수행하는 안전 관리 서버는,
    관리자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놀이시설에 설치된 영상 촬상 장치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놀이시설에서 안전 사고 가능성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안전 사고 가능성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 장치로 경고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현되되,
    상기 안전 사고 가능성 정보는 이용자 밀집도 정보 및 이용자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이용자 밀집도 정보는 상기 놀이 시설 내에 위치한 놀이기구의 복수의 밀집도 판단 영역 상에서 획득된 이용자의 밀집 정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복수의 밀집도 판단 영역은 상기 놀이기구의 형태 정보 및 상기 놀이기구에 구현된 이동 가능한 구조 정보, 이용자의 움직임 범위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안전 사고 가능성 정보는 상기 복수의 밀집도 판단 영역 각각에 대해 설정된 서로 다른 임계 밀집도를 기반으로 결정되되,
    상기 이용자 특성 정보는 상기 밀집도 판단 영역 상에 위치한 이용자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관리 서버는 상기 신체 정보가 기준 신체 상태에서 신체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이용자에게 제1 식별자를 할당하고, 상기 신체 조건 정보의 만족 여부에 대한 판단이 불가한 경우, 상기 이용자에게 제2 식별자를 할당하고,
    상기 안전 관리 서버는 상기 제2 식별자가 할당된 상기 이용자에 대해서는 임계 시간 동안 트래킹을 수행하여 상기 이용자의 상기 기준 신체 상태에서 상기 신체 조건 정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안전 관리 서버는 상기 임계 시간 이후에도 상기 제2 식별자가 할당된 상기 이용자에 대해서는 1차적으로 상기 이용자의 현재 신체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신체 조건 정보의 만족 여부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사고 가능성 정보는 상기 놀이시설에 구현된 이동 가능한 구조의 이동 가능 범위에 대해서 별도로 설정된 임계 밀집도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서버.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70058454A 2017-05-11 2017-05-11 놀이시설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889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454A KR101889282B1 (ko) 2017-05-11 2017-05-11 놀이시설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454A KR101889282B1 (ko) 2017-05-11 2017-05-11 놀이시설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9282B1 true KR101889282B1 (ko) 2018-08-20

Family

ID=63442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454A KR101889282B1 (ko) 2017-05-11 2017-05-11 놀이시설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2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120B1 (ko) * 2022-09-28 2023-04-14 한태환 안전 관리를 위한 놀이시설의 모니터링 방법
KR102522124B1 (ko) * 2022-09-28 2023-04-14 한태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놀이시설 보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7041A (ja) * 2006-03-20 2007-10-04 Hitachi Electronics Service Co Ltd 監視システム
JP2008040738A (ja) * 2006-08-04 2008-02-21 Nikon Corp 施設監視システム
KR20120053706A (ko) * 2010-11-18 2012-05-29 주식회사 씨큐포인트 위치정보 기반 행동 감시 시스템
KR20140106883A (ko) * 2013-02-27 2014-09-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객체간 연관성 분석을 통한 위험 상황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160052891A (ko) * 2014-10-29 2016-05-13 주식회사 큐브인 상황 인식 기반 지능형 피난안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7041A (ja) * 2006-03-20 2007-10-04 Hitachi Electronics Service Co Ltd 監視システム
JP2008040738A (ja) * 2006-08-04 2008-02-21 Nikon Corp 施設監視システム
KR20120053706A (ko) * 2010-11-18 2012-05-29 주식회사 씨큐포인트 위치정보 기반 행동 감시 시스템
KR20140106883A (ko) * 2013-02-27 2014-09-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객체간 연관성 분석을 통한 위험 상황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160052891A (ko) * 2014-10-29 2016-05-13 주식회사 큐브인 상황 인식 기반 지능형 피난안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120B1 (ko) * 2022-09-28 2023-04-14 한태환 안전 관리를 위한 놀이시설의 모니터링 방법
KR102522124B1 (ko) * 2022-09-28 2023-04-14 한태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놀이시설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40463B2 (ja) 解析サーバ、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9153193A1 (zh) 一种出租车运营监测方法、设备、存储介质和系统
US10552687B2 (en) Visual monitoring of queues using auxillary devices
JP2018173914A (ja) 画像処理システム、撮像装置、学習モデル作成方法、情報処理装置
CN109191829B (zh) 道路安全监控方法及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5992681B2 (ja) 混雑の非通常状態検知システム
CN104239386A (zh) 用于对面部识别匹配区分优先级的方法和系统
CN112132045A (zh) 一种基于计算机视觉的小区人员异常行为监控方案
US20160350583A1 (en) Image search system and image search method
CN107004353B (zh) 交通违章管理系统和交通违章管理方法
US9316505B2 (en) Analysis method, and analysis apparatus
JP2008152328A (ja) 不審者監視システム
KR101889282B1 (ko) 놀이시설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939350B1 (ko) 무임 승차 감지 방법 및 장치
JP2014009045A (ja) エレベータ監視装置及び監視方法
CN111291596A (zh) 一种基于人脸识别的预警方法及装置
CN110544312A (zh) 虚拟场景中的视频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与存储装置
KR20200113513A (ko) 승강기 예약 시스템, 승강기 예약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JP2011035571A (ja) 不審行動検知方法および不審行動検知装置
JP2013045344A (ja) 監視装置、監視方法及び監視プログラム
JP6857211B2 (ja) 情報処理方法およびサーバ装置
KR20160057503A (ko) 다중시차 행위인식 기반의 폭력 검출시스템 및 검출방법
CN104050785A (zh) 基于虚拟化边界与人脸识别技术的安全警戒方法
JP2010262527A (ja) 通行者計数装置、通行者計数方法および通行者計数プログラム
CN114078319A (zh) 一种检测交通事故隐患地点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