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120B1 - 안전 관리를 위한 놀이시설의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안전 관리를 위한 놀이시설의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120B1
KR102522120B1 KR1020220123416A KR20220123416A KR102522120B1 KR 102522120 B1 KR102522120 B1 KR 102522120B1 KR 1020220123416 A KR1020220123416 A KR 1020220123416A KR 20220123416 A KR20220123416 A KR 20220123416A KR 102522120 B1 KR102522120 B1 KR 102522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d
guardian
safety management
amusement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태환
Original Assignee
한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태환 filed Critical 한태환
Priority to KR1020220123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1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3Static body considered as a whole, e.g. static pedestrian or occupant recogn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놀이터 등의 놀이시설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모니터링하여, 안전사고 발생 시 실시간으로 보호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는 안전 관리를 위한 놀이시설의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 관리를 위한 놀이시설의 모니터링 방법{A METHOD OF MONITORING AMUSEMENT FACILITIES FOR SAFETY MANAGEMENT}
아래 실시예들은 놀이터 등의 놀이시설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모니터링하여, 안전사고 발생 시 실시간으로 보호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는 안전 관리를 위한 놀이시설의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정위/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 2019~2021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접수된 놀이터 내 어린이 안전사고는 총 4076건에 달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일시적으로 감소세가 나타났지만, 여전히 매년 1000건 이상의 사고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사고 원인은 추락, 미끄러짐, 넘어짐, 부딪힘, 눌림, 끼임, 마감처리 불량 등이 있다.
놀이터 안전사고 중 특히 목끼임 사고는 사망 사고가 발생할 정도로 매우 위험하며, 못 돌출 등 마감처리 불량의 경우의 사고도 과다출혈 등 위험도가 매우 높다.
유치원이나 유료 놀이공원 등에는 놀이 시간 동안 관리/감독하는 감독자가 배치되어 있어서 안전사고 발생 시 빠른 대응이 가능하지만, 아파트 단지 내에 구비된 일반 놀이터 등에는 일반적으로 관리/감독자가 없어 안전사고가 발생했을 때 빠른 대응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실정이다.
KR 10-1580867 B KR 10-2051006 B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파트 단지 내의 놀이터 등 지정된 관리/감독자가 없는 놀이터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했을 때 사고 상황 등을 보호자나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릴 수 있고, 안전사고 발생 위험성이 있을 때에 미리 경고함으로써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관리를 위한 놀이시설의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전 관리를 위한 놀이시설의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놀이시설을 촬영하는 제1 영상장치로부터 제1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어린이 안전사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놀이시설에 포함된 개별 놀이기구의 안전 사고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놀이시설에 포함된 놀이기구 중 상기 안전 사고 위험도가 소정의 수치 이상인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를 분류하는 단계;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를 감독하는 제1 보호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에서 상기 제1 보호자가 존재하지 않는 제2 감독대상 놀이기구를 분류하는 단계;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감독대상 놀이기구를 촬영하는 제2 영상장치로부터 제2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놀이시설에 대해 지정된 다수의 제2 보호자의 단말기로 상기 제2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1 경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전 관리를 위한 놀이시설의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경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놀이시설에 위치한 제1 어린이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어린이가 현재 위치한 제1 놀이기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놀이기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놀이기구가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인지 및 제2 감독대상 놀이기구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어린이의 단말기와 대응되도록 지정된 제3 보호자의 단말기로 상기 제1 어린이의 상기 놀이시설 방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3 보호자의 단말기가 소정의 기본 알림을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놀이기구가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인 것으로 판단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3 보호자의 단말기가 소정의 추가 알림을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놀이기구가 제2 감독대상 놀이기구인 것으로 판단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3 보호자의 단말기가 소정의 경고 알림을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놀이기구가 제2 감독대상 놀이기구인 것으로 판단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어린이의 단말기와 대응되도록 지정되지 않은 제2 보호자 중, 상기 제3 보호자와 동일한 그룹으로 지정된 제4 보호자들 전원의 단말기로 상기 제1 어린이의 상기 놀이시설 방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놀이기구가 제2 감독대상 놀이기구인 것으로 판단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어린이의 단말기와 대응되도록 지정되지 않은 제2 보호자 중, 상기 제3 보호자와 다른 그룹으로 지정된 제5 보호자들 중 일부의 단말기로 상기 제1 어린이의 상기 놀이시설 방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놀이기구가 제2 감독대상 놀이기구인 것으로 판단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관리실 단말기로 상기 제1 어린이의 상기 놀이시설 방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어린이의 상기 놀이시설 방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들은: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놀이시설 방문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에서 상기 제1 어린이의 식별정보를 확인할 수 없도록 삭제하여 송신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놀이시설에 위치한 제2 어린이들을 실시간으로 트래킹하는 단계;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어린이들의 움직임 패턴을 각 제2 어린이마다 개별적으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어린이의 움직임 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제2 어린이의 움직임이 상기 움직임 패턴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동안 소정의 비율 이상으로 변화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어린이의 움직임이 상기 움직임 패턴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동안 소정의 비율 이상으로 변화한 것을 기반으로, 3초 내지 5초 사이에서 지정된 제1 임계시간 이내에 상기 제2 어린이의 움직임이 상기 움직임 패턴으로 회복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어린이의 움직임이 제1 임계시간 이내에 상기 움직임 패턴으로 회복되지 않은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2 어린이가 현재 위치한 제2 놀이기구를 촬영하는 제3 영상장치로부터 제3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놀이시설에 대해 지정된 다수의 제2 보호자의 단말기로 상기 제3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2 경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 패턴은: 상기 제2 어린이의 직교좌표계 속도 및 가속도를 기반으로 추출되되, 상기 제2 어린이가 촬영된 제1 영상 정보에서 상기 제2 어린이의 객체 인식 직사각형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속도 및 가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2 어린이의 움직임이 상기 움직임 패턴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동안 소정의 비율 이상으로 변화한 것에는: 상기 제2 어린이의 객체 인식 직사각형이 정지하거나 소정의 범위 내에서 진동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를 감독하는 제1 보호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제4 보호자의 단말기가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4 보호자의 단말기가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4 보호자의 단말기 위치에서 인식된 제1 사람 객체를 상기 제1 보호자로 지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보호자의 단말기가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영상 정보로부터 신장이 소정의 값 이상으로 측정되는 사람 객체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정보로부터 신장이 소정의 값 이상으로 측정되는 사람 객체가 탐색된 경우, 상기 사람 객체를 제1 보호자로 지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정보로부터 신장이 소정의 값 이상으로 측정되는 사람 객체가 탐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보호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보호자의 제1 시선 방향을 추적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보호자의 제1 시선 방향이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로부터 소정의 시간 이상 벗어나거나, 상기 제4 보호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소정의 시간 이상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보호자를 지정 해제하여 상기 제1 보호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자의 제1 시선 방향이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로부터 소정의 시간 이상 벗어나는지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영상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의 제1 외곽선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보호자의 정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부채꼴 형상의 제2 시선 방향을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시선 방향이 상기 제1 외곽선과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1 보호자의 제1 시선 방향이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시선 방향이 상기 제1 외곽선과 중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보호자의 제1 시선 방향이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상호작용 기구를 포함하는 놀이기구에 설치되는,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놀이시설 보조 장치에 있어서, 어린이 안전사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놀이시설에 포함된 개별 놀이기구의 안전 사고 위험도를 산출하여, 상기 안전 사고 위험도가 소정의 수치 이상인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마다 설치되는 제1 센서; 상기 놀이시설을 촬영하는 제1 영상장치; 및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를 촬영하는 제2 영상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센서, 제1 영상장치 및 제2 영상장치에 의해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를 감독하는 제1 보호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상호작용 기구가 작동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센서, 제1 영상장치 및 제2 영상장치에 의해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를 감독하는 제1 보호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호작용 기구가 작동 불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놀이시설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안전 관리를 위한 놀이시설의 모니터링 방법에서, 상기 놀이시설에는 상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놀이시설 보조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놀이터 등 놀이시설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거나,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있을 때 보호자에게 즉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또한, 놀이터에서 놀고 있는 어린이의 보호자 뿐만아니라 같은 그룹에 해당되는 다른 보호자나 경비실, 관리실 등에도 경고 알림 등을 동시에 송출함으로써, 보호자의 부재중(단말기의 알림을 확인하지 못하는 상황 등)에서도 다른 사람(다른 어린이의 보호자, 아파트 단지 주민 등)에 의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놀이기구 얽매임 사고 등 어린이가 움직일 수 없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를 자동으로 판단하고 알림으로써 위험 상황을 빠르게 인지 및 전파할 수 있다.
아울러, 어린이가 작동시키거나 어린이와 상호작용 가능한 놀이기구가 보호자 없이는 작동 또는 상호작용 되지 않도록 차단함으로써, 보호자가 없는 상황에서 위험성이 있는 놀이기구를 이용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난간 등에서 목끼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난간에 구비되는 살(뼈대)을 와이어로 구성하고 와이어의 장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미끄럼틀에 소정의 시트(벨트)를 구비하여, 후드티의 모자 등에 의한 얽매임사고 발생 시 어린이가 자력으로 벗어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놀이기구 점검자가 못/볼트 돌출 등의 마감불량을 쉽게 점검하고, 점검 시 누락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점검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를 위한 놀이시설의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를 위한 놀이시설의 모니터링 방법의 제1 경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를 위한 놀이시설의 모니터링 방법의 제1 보호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를 위한 놀이시설의 모니터링 방법에서 어린이의 움직임 패턴을 기반으로 안전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놀이시설 보조 장치의 난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놀이시설 보조 장치의 미끄럼틀 경사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서버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시스템은 인간 수준의 지능을 구현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며, 기존 규칙(Rule) 기반의 스마트 시스템과 달리 기계가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는 시스템이다. 인공지능 시스템은 사용할수록 인식률이 향상되고 사용자 취향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어, 기존 규칙 기반의 스마트 시스템은 점차 심층 학습(Deep Learning) 기반 인공지능 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은 기계 학습 및 기계 학습을 활용한 요소기술들로 구성된다. 기계 학습은 입력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학습하는 알고리즘 기술이며, 요소기술은 심층 학습 등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기술로서, 언어적 이해, 시각적 이해, 추론/예측, 지식 표현, 동작 제어 등의 기술 분야로 구성된다.
인공지능 기술이 응용되는 다양한 분야는 다음과 같다. 언어적 이해는 인간의 언어/문자를 인식하고 응용/처리하는 기술로서, 자연어 처리, 기계 번역, 대화시스템, 질의 응답, 음성 인식/합성 등을 포함한다. 시각적 이해는 사물을 인간의 시각처럼 인식하여 처리하는 기술로서, 객체 인식, 객체 추적, 영상 검색, 사람 인식, 장면 이해, 공간 이해, 영상 개선 등을 포함한다. 추론 예측은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하고 예측하는 기술로서, 지식/확률 기반 추론, 최적화 예측, 선호 기반 계획, 추천 등을 포함한다. 지식 표현은 인간의 경험정보를 지식데이터로 자동화 처리하는 기술로서, 지식 구축(데이터 생성/분류), 지식 관리(데이터 활용) 등을 포함한다. 동작 제어는 차량의 자율 주행,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기술로서, 움직임 제어(항법, 충돌, 주행), 조작 제어(행동 제어) 등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실생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계 학습의 기본 방법론의 특성상 Trial and Error 방식으로 학습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심층 학습의 경우 수십만 번의 반복 실행을 필요로 한다. 이를 실제 물리적인 외부 환경에서 실행하기는 불가능하여 대신 실제 물리적인 외부 환경을 컴퓨터상에서 가상으로 구현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학습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계들은 소정의 단말기, 서버 등을 포함하는 소정의 시스템이나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전 관리를 위한 놀이시설의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놀이시설을 촬영하는 제1 영상장치로부터 제1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0);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어린이 안전사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놀이시설에 포함된 개별 놀이기구의 안전 사고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S200);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놀이시설에 포함된 놀이기구 중 상기 안전 사고 위험도가 소정의 수치 이상인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를 분류하는 단계(S300);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를 감독하는 제1 보호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0);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에서 상기 제1 보호자가 존재하지 않는 제2 감독대상 놀이기구를 분류하는 단계(S500);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감독대상 놀이기구를 촬영하는 제2 영상장치로부터 제2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600); 및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놀이시설에 대해 지정된 다수의 제2 보호자의 단말기로 상기 제2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1 경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700);를 포함하는, 안전 관리를 위한 놀이시설의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1 보호자'는 놀이시설 내지 놀이기구의 주변에 위치하여 어린이의 관리감독이 가능한 보호자를, '제2 보호자'는 놀이시설 내지 놀이기구로부터 이격되어 어린이의 관리감독이 불가능하여 소정의 단말기를 통해 알림을 받을 수 있는 보호자(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장치 및 제2 영상장치는 놀이터 등의 놀이시설을 촬영하기 위하여 설치된 소정의 CCTV일 수 있다.
상기 안전 관리 서버는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하여 사전에 어린이 안전사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놀이시설의 놀이기구 각각에 대한 안전 사고 위험도를 평가하여, 미리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들을 분류(지정)해두게 된다.
예를 들어, 최근 20년간 누적된 놀이터 사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고 발생 위험률이나 빈도 등이 높은 종류의 놀이기구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놀이기구를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로 지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써, '미끄럼틀'과 관련된 안전사고 발생 데이터가 많아 '미끄럼틀'에 대한 안전 사고 위험도가 높게 평가되었다면, 상기 놀이시설에 설치된 다양한 형태의 '미끄럼틀'들이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로 지정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빅데이터나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통해 산출되는 결과물을 어떻게 활용하는가에 대해 집중하고 있으므로,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일반적인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에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고 위험성이 있는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들 각각에 대해 소정의 관리감독자, 즉 제1 보호자가 위치하고 있다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하므로, 제1 보호자가 없는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들을 제2 감독대상 놀이기구로 지정하고, 이에 대해 다른 보호자들, 즉 제2 보호자들의 단말기에 소정의 알림을 보냄으로써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이 때, 해당 제2 감독대상 놀이기구를 촬영하고 있는 실시간 영상을 제2 보호자의 단말기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와 같이 제2 영상 정보(영상 조회를 위한 링크 주소 등)를 포함하여 송신한다.
또한, 상기 제1 경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700)는: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놀이시설에 위치한 제1 어린이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어린이가 현재 위치한 제1 놀이기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701);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놀이기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놀이기구가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인지 및 제2 감독대상 놀이기구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2);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어린이의 단말기와 대응되도록 지정된 제3 보호자의 단말기로 상기 제1 어린이의 상기 놀이시설 방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703); 상기 제3 보호자의 단말기가 소정의 기본 알림을 발생시키는 단계(S704); 상기 제1 놀이기구가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인 것으로 판단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3 보호자의 단말기가 소정의 추가 알림을 발생시키는 단계(S705); 및 상기 제1 놀이기구가 제2 감독대상 놀이기구인 것으로 판단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3 보호자의 단말기가 소정의 경고 알림을 발생시키는 단계(S706);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들에는 소정의 GPS, DGPS 등이 포함되어 소유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단말기는 스마트기기 또는 비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보호자는 상기 제1 어린이의 부모, 조부모, 형제 등의 가족/친척이나 지정된 다른 사람(성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떠한 소모임에 속하는 부모 10명이 날짜별로 번갈아가며 제3 보호자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서로 자신의 자녀인 제1 어린이에 대한 제3 보호자로써 지정해둘 수 있다.
상기 기본 알림이란, 상기 제3 보호자 단말기의 설정에 따라 푸시 알림이나 진동, 알림음 등이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는 정도의 가장 약한 알림을 의미할 수 있다. 단순히 자신의 자녀인 제1 어린이가 놀이시설에 방문했다는 정보만을 담고 있으므로, 제3 보호자가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되는 정보로 볼 수 있다.
상기 추가 알림이란, 상기 제3 보호자 단말기의 설정에 따라 진동, 알림음 등이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는 정도의 약한 알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기본 알림과는 달리 자신의 자녀인 제1 어린이가 놀이시설에서 주의가 필요한 놀이기구인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를 이용한다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정보에 대한 '인지'정도가 필요한 정보로 볼 수 있다.
상기 경고 알림이란, 상기 제3 보호자 단말기의 설정에 따라 푸시 알림, 진동, 알림음 등이 발생하도록 강제되는 정도의 강한 알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기본 알림이나 추가 알림과는 달리 자신의 자녀인 제1 어린이가 놀이시설에서 주의가 필요한 놀이기구인 제2 감독대상 놀이기구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를 감독하는 제1 보호자가 놀이시설 내지 제2 감독대상 놀이기구의 주변에 배치되지 않았다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정보에 대해 명확한 인식이 필요한 정보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상황에 따라 단말기의 알림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보호자들이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나 일반적인 상황을 구분하여 파악 및 판단하기가 쉬워진다.
또한, 상기 제1 놀이기구가 제2 감독대상 놀이기구인 것으로 판단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어린이의 단말기와 대응되도록 지정되지 않은 제2 보호자 중, 상기 제3 보호자와 동일한 그룹으로 지정된 제4 보호자들 전원의 단말기로 상기 제1 어린이의 상기 놀이시설 방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707); 상기 제1 놀이기구가 제2 감독대상 놀이기구인 것으로 판단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어린이의 단말기와 대응되도록 지정되지 않은 제2 보호자 중, 상기 제3 보호자와 다른 그룹으로 지정된 제5 보호자들 중 일부의 단말기로 상기 제1 어린이의 상기 놀이시설 방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708); 및 상기 제1 놀이기구가 제2 감독대상 놀이기구인 것으로 판단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관리실 단말기로 상기 제1 어린이의 상기 놀이시설 방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709);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자들은 자신의 자녀/친척/지인의 자녀 등인 제1 어린이의 단말기와 자신의 단말기인 제3 보호자의 단말기를 연동/등록하여 자신의 자녀와 관련한 알림을 받을 수 있도록 지정할 수 있다.
아파트의 동일한 동 또는 계모임이나 친구 모임 등 소정의 지인관계나 연관관계가 있는 보호자들은 서로를 소정의 그룹으로 지정해둘 수 있으며, 자신의 자녀가 아닌 제1 어린이와 관련한 알림을 제4 보호자로써 수신받을 수 있다.
그 밖에도 현재 놀이시설에 위치한 제1 어린이와 직접적인 연관관계가 없는 제2 보호자 중, 제3 보호자와 동일하지 않은 그룹(다른 그룹)으로 지정되거나 그룹에 지정되지 않은 제5 보호자들 중 일부에 대해서도 제1 어린이와 관련한 알림을 송신함으로써, 제3 보호자/제4 보호자들 모두가 업무/회의 등으로 알림을 확인하지 못하는 등의 상황에서도 제5 보호자에 의한 보호/조치가 가능해진다.
뿐만아니라, 경비실 등의 관리실 단말기로도 알림을 송신하므로, 책임자에 의한 보호/조치도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제1 어린이의 상기 놀이시설 방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703, S707, S708, S709)들은: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놀이시설 방문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에서 상기 제1 어린이의 식별정보를 확인할 수 없도록 삭제하여 송신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경고 알림 등 소정의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랫폼에 참여한(상기 놀이시설을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놀이시설에 등록한) 다수의 사용자(보호자)들이 알림을 받게 되며, 이 알림에서는 위험 상황이 자신의 자녀에게 발생한 것인지 자신과 관련 없는 어린이에게 발생한 것인지 직접적으로 알 수 없으므로, 사용자들은 자신의 자녀일 수도 있다는 책임감을 가지고 관심을 가짐으로써 어린이를 더 적극적으로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놀이시설에 위치한 제2 어린이들을 실시간으로 트래킹하는 단계(S801);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어린이들의 움직임 패턴을 각 제2 어린이마다 개별적으로 추출하는 단계(S802); 및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어린이의 움직임 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제2 어린이의 움직임이 상기 움직임 패턴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동안 소정의 비율 이상으로 변화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803);를 포함할 수 있다.
어린이들은 놀이시설을 뛰어다니며 소정의 패턴에 따라 반복적인 행동(놀이)를 수행할 확률이 높으므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어린이가 지속해서 놀이를 수행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어린이의 움직임이 상기 움직임 패턴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동안 소정의 비율 이상으로 변화한 것을 기반으로, 3초 내지 5초 사이에서 지정된 제1 임계시간 이내에 상기 제2 어린이의 움직임이 상기 움직임 패턴으로 회복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804);에서는, 목끼임 사고가 발생하거나 얽매임 사고가 발생하는 등, 어린이가 움직이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를 탐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임계시간은 어린이가 놀이 중 갑작스럽게 정지하거나 방향을 전환하는 등의 상황을 필터링하기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어린이의 움직임이 제1 임계시간 이내에 상기 움직임 패턴으로 회복되지 않은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2 어린이가 현재 위치한 제2 놀이기구를 촬영하는 제3 영상장치로부터 제3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805); 및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놀이시설에 대해 지정된 다수의 제2 보호자의 단말기로 상기 제3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2 경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80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경고 정보는, 전술한 경고 알림의 형태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움직임 패턴은: 상기 제2 어린이의 직교좌표계 속도 및 가속도를 기반으로 추출되되, 상기 제2 어린이가 촬영된 제1 영상 정보에서 상기 제2 어린이의 객체 인식 직사각형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속도 및 가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2 어린이의 움직임이 상기 움직임 패턴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동안 소정의 비율 이상으로 변화한 것에는: 상기 제2 어린이의 객체 인식 직사각형이 정지하거나 소정의 범위 내에서 진동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소정의 객체 인식 알고리즘에서는 객체를 인식하여 해당 객체를 소정의 직사각형으로 둘러싸서 표시하게 되는데, 이 직사각형을 토대로 어린이의 형상을 간략화함으로써 이미지 처리에 소요되는 부하를 절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에 촬영된 어린이의 구체적인 형상(머리, 몸통, 팔, 다리, 손가락 등)을 모두 파악하기 위해서는 중앙 처리 장치 또는 GPU 부하가 클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이 객체 인식 알고리즘(라이브러리)에서 이미 생성된 직사각형을 활용함으로써 처리 부하를 절감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로 간소화된 후에도, 직사각형이 영상 이미지 내에서 움직이는 속도나 가속도는 큰 오차 없이 측정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제2 어린이에게 목끼임 사고가 발생하는 등, 몸은 움직일 수 없으나 팔다리는 움직일 수 있는 상황에서는 상기 객체 인식 직사각형이 움직일(진동할) 수 있으므로, 소정의 범위 내(직사각형 변의 길이의 20% 이내)에서 진동하는 경우에도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를 감독하는 제1 보호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0)는: 제4 보호자의 단말기가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401); 및 상기 제4 보호자의 단말기가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4 보호자의 단말기 위치에서 인식된 제1 사람 객체를 상기 제1 보호자로 지정하는 단계(S40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말해, 제1 영상 정보와 놀이시설에 현재 위치한 제4 보호자의 단말기 위치정보(GPS 정보)를 연동하여, 제1 영상 정보에 포함된 객체 중 제1 사람 객체가 제1 보호자인 것으로 지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를 감독하는 제1 보호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0)는: 상기 제1 보호자의 단말기가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영상 정보로부터 신장이 소정의 값 이상으로 측정되는 사람 객체를 탐색하는 단계(S403); 상기 제1 영상 정보로부터 신장이 소정의 값 이상으로 측정되는 사람 객체가 탐색된 경우, 상기 사람 객체를 제1 보호자로 지정하는 단계(S404); 및 상기 제1 영상 정보로부터 신장이 소정의 값 이상으로 측정되는 사람 객체가 탐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보호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4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계에 따라, 단말기를 놀이시설에 연동시키지 않은 제1 보호자가 감독중인 경우를 탐지할 수 있다. 상기 사람 객체의 신장은 주변에 위치한 놀이기구의 높이나 다른 어린이의 신장과 비교함으로써 추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놀이기구를 이용하고 있는 사람 객체가 아니라, 놀이기구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놀이기구 내지 어린이를 감독하고 있는 사람 객체만을 상기 제1 보호자로써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를 감독하는 제1 보호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0)는: 상기 제1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보호자의 제1 시선 방향을 추적하는 단계(S406); 및 상기 제1 보호자의 제1 시선 방향이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로부터 소정의 시간 이상 벗어나거나, 상기 제4 보호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소정의 시간 이상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보호자를 지정 해제하여 상기 제1 보호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전환하는 단계(S40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호자가 상기 놀이시설에 위치는 했으나, 스마트기기를 이용하고 있거나, 놀이시설을 단순히 지나가거나 잠시 들렀을 뿐인 경우에는 실질적인 관리감독을 수행하고 있지 않다고 볼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제1 보호자를 지정 해제하여 제1 보호자(놀이시설을 감독중인 사람)가 없다는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제4 보호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소정의 시간 이상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란, 상기 제4 보호자가 자신의 단말기(스마트기기)에서 유튜브, 넷플릭스 등의 동영상 프로그램을 실행중이거나, 게임을 실행중이거나, 기타 터치/탭 동작이 연속/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이 제4 보호자의 단말기에 입력이 발생하는지 추적하는 기능은, 상기 제4 보호자가 놀이시설 내부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만 활성화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보호자의 제1 시선 방향이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로부터 소정의 시간 이상 벗어나는지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영상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의 제1 외곽선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보호자의 정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부채꼴 형상의 제2 시선 방향을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시선 방향이 상기 제1 외곽선과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1 보호자의 제1 시선 방향이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시선 방향이 상기 제1 외곽선과 중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보호자의 제1 시선 방향이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보호자의 얼굴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 내의 영역을 감독 가능한 영역인 것으로 추정함으로써, 서버의 처리 부하를 절감시키면서도 감독자 유무에 관한 정확한 판단이 가능해진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상호작용 기구를 포함하는 놀이기구에 설치되는,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놀이시설 보조 장치에 있어서, 어린이 안전사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놀이시설에 포함된 개별 놀이기구의 안전 사고 위험도를 산출하여, 상기 안전 사고 위험도가 소정의 수치 이상인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마다 설치되는 제1 센서; 상기 놀이시설을 촬영하는 제1 영상장치; 및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를 촬영하는 제2 영상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센서, 제1 영상장치 및 제2 영상장치에 의해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를 감독하는 제1 보호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상호작용 기구가 작동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센서, 제1 영상장치 및 제2 영상장치에 의해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를 감독하는 제1 보호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호작용 기구가 작동 불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놀이시설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상호작용 기구란, 어린이가 잡아당기거나 밀거나 버튼 등을 조작할 수 있는 형태의 기구를 의미한다. 다시말해, 제1 보호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상호작용 기구가 잡아당겨지거나 밀리지 않도록 고정되고, 버튼의 조작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보호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안전 사고 위험성이 있는 놀이기구의 상호작용 기구 이용을 제한함으로써, 놀이기구를 이용하는 어린이들이 재미를 느끼지 못해 다른 안전한 놀이기구를 이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상호작용 기구의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은 모터, 액추에이터 등의 일반적인 기구들을 통해 쉽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안전 관리를 위한 놀이시설의 모니터링 방법에서, 상기 놀이시설에는 상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놀이시설 보조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놀이기구의 난간(欄干)부는: 상기 어린이가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지면(1); 상기 지지면(1)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단바(2); 상기 상단바(2)의 양단에서 상단바(2)를 지지면(1)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시켜 고정하는 지지바(3); 상기 지지바(3)의 사이에, 상기 지지바(3)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탄성커버(4); 상기 탄성커버(4)의 내측에 수용되며, 탄성커버(4)들을 연속적으로 관통하도록 신장되는 와이어(5); 상기 탄성커버(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5)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고정도르래(6); 상기 탄성커버(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5)를 지지하는 하나의 유동도르래(7); 및 상기 유동도르래(7)에 연결되어, 상기 유동도르래(7)가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동작시켜 상기 와이어(5)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8);를 포함할 수 있다.
대부분의 대형/중형 놀이기구에는 어린이들의 낙상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난간들이 설치되어 있으나, 난간의 살 틈새로 어린이의 머리가 끼이는 등의 사고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목 끼임 사고 발생 시, 119 요원이 출동하여 난간의 살을 절단기로 절단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으나, 절단 후 구출까지는 매우 긴 시간이 소요되어 어린이에게 공포감 내지 트라우마를 형성시킬 수 있고, 놀이기구가 파손되게 되므로 재산상의 손실도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난간부의 양단에는 종래와 같은 금속재 등의 단단한 지지바(3)(Bar)가 체결되고, 지지바(3)의 사이에는 실리콘, 우레탄, 스펀지 등 유연한 탄성 소재로 구성되는 탄성커버(4)가 원통 형태로 상단바(2)와 지지면(1)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커버(4)의 내측에는 금속재 와이어(5)가 수용됨으로써, 평소에는 어린이가 낙상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목끼임 사고 발생 시에는 와이어(5)의 장력을 조절하여 어린이가 쉽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부(8)는: 상기 지지면(1)의 저면에 배치되며, 소정의 공구에 의해 하중을 전달받는 하중수용구(81); 상기 하중수용구(81)와 연결되어 하중수용구(8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지지바(3)와 평행한 방향의 회전축을 가지는 볼스크류(82); 및 상기 볼스크류(82)에 연결되어 볼스크류(82)의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고, 상기 유동도르래(7)에 고정되는 가이드(83);를 포함하여, 상기 하중수용구(81)를 회전시켜 상기 유동도르래(7)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와이어(5)의 장력을 조절 가능하고, 상기 탄성커버(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커버(4) 사이에 위치한 물체를 감지하는 제2 센서(84); 및 상기 하중수용구(81)에 연결되어, 상기 하중수용구(81)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커버(4) 사이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물체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제1 모터를 회전시켜 와이어(5)의 장력을 저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유동도르래(7)가 상부에 고정되어 와이어(5)의 장력이 약해져 늘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유동도르래(7)가 하부로 이송되어 와이어(5)의 장력이 강해짐으로써 낙상 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상 볼스크류(82) 등은 이해를 돕기 위해 길이가 과장되어 도시되었다)
일반적으로는 상기 하중수용구(81)를 렌치 등의 공구로 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5)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목끼임 사고가 발생했음에도 주변에 보호자가 없어 오랜 시간동안 어린이가 끼어있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커버(4) 사이에 물체가 소정의 시간 이상(예를 들어 3분 이상) 끼어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1 모터를 통해 자동으로 와이어(5)의 장력을 풀어줄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놀이기구 중 미끄럼틀의 경사면(9)에 배치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경사면(9) 최하단에서 경사면(9)의 상면을 덮도록 경사면(9)을 감싸는 제1 시트(101); 상기 경사면(9) 최상단에서 경사면(9)의 상면을 덮도록 경사면(9)을 감싸되, 하기 제2 시트(102) 중 최상단에 배치된 제2 시트(102)의 상단 일부분을 덮도록 경사면(9)을 감싸는 제3 시트(103); 상기 제1 시트(101)와 제3 시트(103) 사이에 배치되어, 하단에 배치된 제1 시트(101) 또는 다른 제2 시트(102) 하나의 상단 일부분을 덮도록 경사면(9)을 감싸는 다수개의 제2 시트(102); 상기 제1 시트(101) 내지 제3 시트(103) 각각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시트(101) 내지 제3 시트(103) 각각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시트고정부(104); 상기 제1 시트(101) 내지 제3 시트(103) 각각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시트(101) 내지 제3 시트(103) 각각의 타단을 권취 및 권출시키는 다수개의 시트조절부(105); 상기 시트조절부(105)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시트(101) 내지 제3 시트(103) 각각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시트조절부(105)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 및 상기 제1 시트(101) 내지 제3 시트(103)가 배치된 경사면(9)에서, 상기 경사면(9)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다수개의 제3 센서(106);를 포함하여, 다수개의 상기 제3 센서(106)에서 소정의 무게 이상의 하중이 감지되었을 때, [상기 하중이 감지된 제3 센서(106)들에 대응하는 각각의 제1 시트(101) 내지 제3 시트(103)를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한 절반의 제1 시트(101) 내지 제3 시트(103)](이하, '제4 시트'라 함)를 하단에 위치한 제4 시트로부터 상단에 위치한 제4 시트까지 하나 씩 순차적으로 권취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드티 등 모자가 달린 의류를 입은 상태로 미끄럼틀을 타는 경우, 미끄럼틀의 경사면(9) 상단에 위치한 돌출부 등에 모자가 끼어 얽매이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얽매임 사고 발생 시, 어린이가 자력으로 탈출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워 보호자의 도움이 필요한데, 보호자의 도움 없이 어린이가 발버둥을 치게 되면 경사면(9)에서 낙상하거나 옷에 의해 목이 졸리는 등의 위험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미끄럼틀 얽매임 사고에서 상기 어린이를 돕기 위한 상기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재에서 '다수개의 상기 제3 센서(106)에서 소정의 무게 이상의 하중이 감지되었을 때'란, 얽매임 사고로 판단될 정도로 소정의 하중이 소정의 시간 이상(예를 들어 5초 이상) 측정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도 7은 미끄럼틀의 경사면(9)을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8은 미끄럼틀 경사면(9)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최상단의 제3 시트(103)와, 그 아래에 위치한 두 개의 제2 시트(102), 총 3개의 시트에 걸쳐 어린이가 얽매여 있는 경우, 하부에 위치한 절반(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의 시트인 아래쪽 두 개의 제2 시트(102)를 동작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래쪽 두 개의 제2 시트(102) 중 더 아래에 위치한 제2 시트(102)에 연결된 시트조절부(105)에 제2 시트(102)를 권취시키고, 그 다음 아래쪽 두 개의 제2 시트(102) 중 더 위쪽에 위치한 제2 시트(102)에 연결된 시트조절부(105)에 제2 시트(102)를 권취시킴으로써 아래에서부터 위쪽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시트들을 권취시킬 수 있다.
이 때, 도 8의 좌측 도면과 같이 경사면(9)에 밀착해있던 제2 시트(102)는 권취되면서 도 8의 우측 도면과 같이 팽팽해지며, 팽팽하진 상태의 제2 시트(102)에 의해 몸이 적절히 수평으로 위치하게 된 어린이는 제2 시트(102)를 밟고 미끄럼틀의 상부로 몸을 이동시켜 얽매임 상태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놀이기구의 못 또는 볼트 체결부위를 덮도록 상기 놀이기구에 탈착되는 안전커버; 상기 안전커버가 억지끼움 공차에 따라 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놀이기구에 형성되는 소정의 커버결합홈; 상기 안전커버의 외측에 부착되며, 상기 놀이기구의 도색 색상의 보색으로 형성되는 커버필름; 및 점검위치 - 상기 놀이기구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놀이시설의 지면 또는 상기 놀이기구의 일측 - 에서 상기 놀이기구의 안전 점검을 수행하는 관리자의 단말기로 촬영한 제1 사진을 수신하는 안전 점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는 각 점검위치를 모두 방문하면서 단말기로 소정의 사진을 촬영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에는 사진 촬영을 위한 예시사진이 반투명하게 도시될 수 있으며, 예시사진과 카메라에서 찍혀지는 화면을 일치시킨 상태가 되면 자동으로 사진이 촬영될 수 있다.
상기 놀이기구의 도색 색상은 놀이기구의 색상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대표 색상을 의미할 수 있으며, 각 놀이기구마다 다르게 지정될 수 있다.
상기 안전 점검 장치는: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제1 사진 및 상기 제1 영상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관리자가 점검위치에서 제1 사진을 촬영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가 점검위치에서 제1 사진을 촬영한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사진으로부터 상기 커버필름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놀이기구의 점검 기준으로써 미리 촬영되어 저장된 제2 사진과 상기 제1 사진을 비교하여, 상기 커버필름의 정상 부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필름의 정상 부착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점검위치에서의 점검 기록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장치 및 방법에 따라, 관리자는 못이나 볼트가 노출된 지점들을 누락없이 모두 점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른 이력이 남아 책임소재를 분명히 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의 오류 등으로 커버필름이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관리자의 서명이나 인증 후 수동으로 점검 완료 처리할 수 있다. 수동으로 점검 완료 처리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사진은 서버에 저장되어 점검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상기 커버필름이 정상적으로 부착되어 있었는지 여부 등을 추후에 확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상술한 서버 또는 단말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도 1 내지 도 4를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는 상술한 방법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술한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 지지면
2 : 상단바
3 : 지지바
4 : 탄성커버
5 : 와이어
6 : 고정도르래
7 : 유동도르래
8 : 장력조절부
81 : 하중수용구
82 : 볼스크류
83 : 가이드
84 : 제2 센서
9 : 경사면
101 : 제1 시트
102 : 제2 시트
103 : 제3 시트
104 : 시트고정부
105 : 시트조절부
106 : 제3 센서
S100 : 제1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S200 : 안전 사고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
S300 :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를 분류하는 단계
S400 : 제1 보호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S401 : 제4 보호자의 단말기가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S402 : 제4 보호자의 단말기 위치에서 인식된 제1 사람 객체를 상기 제1 보호자로 지정하는 단계
S403 : 제1 영상 정보로부터 신장이 소정의 값 이상으로 측정되는 사람 객체를 탐색하는 단계
S404 : 상기 사람 객체를 제1 보호자로 지정하는 단계
S405 : 제1 보호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S406 : 제1 보호자의 제1 시선 방향을 추적하는 단계
S407 : 제1 보호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전환하는 단계
S500 : 제2 감독대상 놀이기구를 분류하는 단계
S600 : 제2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S700 : 제1 경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S701 : 제1 놀이기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S702 : 감독대상 놀이기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S703 : 제3 보호자의 단말기로 놀이시설 방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S704 : 기본 알림을 발생시키는 단계
S705 : 추가 알림을 발생시키는 단계
S706 : 경고 알림을 발생시키는 단계
S707 : 제4 보호자들 전원의 단말기로 놀이시설 방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S708 : 제5 보호자들 중 일부의 단말기로 놀이시설 방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S709 : 관리실 단말기로 놀이시설 방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S801 : 제2 어린이들을 실시간으로 트래킹하는 단계
S802 : 움직임 패턴을 추출하는 단계
S803 : 제2 어린이의 움직임이 움직임 패턴으로부터 소정의 비율 이상으로 변화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S804 : 제1 임계시간 이내에 제2 어린이의 움직임이 움직임 패턴으로 회복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S805 : 제3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S806 : 제2 경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Claims (3)

  1. 안전 관리를 위한 놀이시설의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놀이시설을 촬영하는 제1 영상장치로부터 제1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어린이 안전사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놀이시설에 포함된 개별 놀이기구의 안전 사고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놀이시설에 포함된 놀이기구 중 상기 안전 사고 위험도가 소정의 수치 이상인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를 분류하는 단계;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한 제1 보호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에서 상기 제1 보호자가 존재하지 않는 제2 감독대상 놀이기구를 분류하는 단계;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감독대상 놀이기구를 촬영하는 제2 영상장치로부터 제2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다수의 제2 보호자의 단말기로 상기 제2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1 경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보호자는: 상기 안전 관리 서버에 의해 상기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보호자이고,
    상기 제2 보호자는: 상기 안전 관리 서버에 의해 상기 놀이시설로부터 소정의 거리 밖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보호자인, 안전 관리를 위한 놀이시설의 모니터링 방법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놀이시설에 위치한 제1 어린이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어린이가 현재 위치한 제1 놀이기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놀이기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놀이기구가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인지 및 제2 감독대상 놀이기구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제3 보호자의 단말기로 상기 제1 어린이의 상기 놀이시설 방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3 보호자의 단말기가 소정의 기본 알림을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놀이기구가 제1 감독대상 놀이기구인 것으로 판단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3 보호자의 단말기가 소정의 추가 알림을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놀이기구가 제2 감독대상 놀이기구인 것으로 판단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3 보호자의 단말기가 소정의 경고 알림을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놀이기구가 제2 감독대상 놀이기구인 것으로 판단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제4 보호자들 전원의 단말기로 상기 제1 어린이의 상기 놀이시설 방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놀이기구가 제2 감독대상 놀이기구인 것으로 판단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제5 보호자들 중 임의로 지정된 일부의 단말기로 상기 제1 어린이의 상기 놀이시설 방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놀이기구가 제2 감독대상 놀이기구인 것으로 판단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관리실 단말기로 상기 제1 어린이의 상기 놀이시설 방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어린이의 상기 놀이시설 방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들은: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놀이시설 방문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에서 상기 제1 어린이의 식별정보를 확인할 수 없도록 상기 제1 어린이의 식별정보를 삭제하여 송신하되,
    상기 제3 보호자는: 상기 제1 어린이의 단말기와 대응되도록 지정된 보호자이고,
    상기 제4 보호자는: 상기 제1 어린이의 단말기와 대응되도록 지정되지 않은 제2 보호자 중, 상기 제3 보호자와 동일한 그룹으로 지정된 보호자이고,
    상기 제5 보호자는: 상기 제1 어린이의 단말기와 대응되도록 지정되지 않은 제2 보호자 중, 상기 제3 보호자와 다른 그룹으로 지정된 보호자인, 안전 관리를 위한 놀이시설의 모니터링 방법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놀이시설에 위치한 제2 어린이들을 실시간으로 트래킹하는 단계;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어린이들의 움직임 패턴을 각 제2 어린이마다 개별적으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어린이의 움직임 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제2 어린이의 움직임이 상기 움직임 패턴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동안 소정의 비율 이상으로 변화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어린이의 움직임이 상기 움직임 패턴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동안 소정의 비율 이상으로 변화한 것을 기반으로, 3초 내지 5초 사이에서 지정된 제1 임계시간 이내에 상기 제2 어린이의 움직임이 상기 움직임 패턴으로 회복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어린이의 움직임이 제1 임계시간 이내에 상기 움직임 패턴으로 회복되지 않은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2 어린이가 현재 위치한 제2 놀이기구를 촬영하는 제3 영상장치로부터 제3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보호자의 단말기로 상기 제3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제2 경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 패턴은: 상기 제2 어린이의 직교좌표계 속도 및 가속도를 기반으로 추출되되, 상기 제2 어린이가 촬영된 제1 영상 정보에서 상기 제2 어린이의 객체 인식 직사각형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속도 및 가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2 어린이의 움직임이 상기 움직임 패턴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동안 소정의 비율 이상으로 변화한 것에는:
    상기 제2 어린이의 객체 인식 직사각형이 정지하거나 소정의 범위 내에서 진동하는 것이 포함되는, 안전 관리를 위한 놀이시설의 모니터링 방법
KR1020220123416A 2022-09-28 2022-09-28 안전 관리를 위한 놀이시설의 모니터링 방법 KR102522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416A KR102522120B1 (ko) 2022-09-28 2022-09-28 안전 관리를 위한 놀이시설의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416A KR102522120B1 (ko) 2022-09-28 2022-09-28 안전 관리를 위한 놀이시설의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2120B1 true KR102522120B1 (ko) 2023-04-14

Family

ID=85946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416A KR102522120B1 (ko) 2022-09-28 2022-09-28 안전 관리를 위한 놀이시설의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12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3706A (ko) * 2010-11-18 2012-05-29 주식회사 씨큐포인트 위치정보 기반 행동 감시 시스템
KR101580867B1 (ko) 2015-03-09 2016-01-11 유제원 어린이 놀이시설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89282B1 (ko) * 2017-05-11 2018-08-20 곽종우 놀이시설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90007129A (ko) * 2017-07-11 2019-01-22 주식회사 아이앤나 유아의 보호자 호출을 위한 카메라장치와 그 방법
KR102051006B1 (ko) 2019-04-09 2019-12-03 유세영 놀이시설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77967B1 (ko) * 2021-02-02 2021-07-16 (주)무지개반사 인공지능 기반 영유아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122814A (ko) * 2021-02-25 2022-09-05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어린이 사고 예방 안전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3706A (ko) * 2010-11-18 2012-05-29 주식회사 씨큐포인트 위치정보 기반 행동 감시 시스템
KR101580867B1 (ko) 2015-03-09 2016-01-11 유제원 어린이 놀이시설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89282B1 (ko) * 2017-05-11 2018-08-20 곽종우 놀이시설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90007129A (ko) * 2017-07-11 2019-01-22 주식회사 아이앤나 유아의 보호자 호출을 위한 카메라장치와 그 방법
KR102051006B1 (ko) 2019-04-09 2019-12-03 유세영 놀이시설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77967B1 (ko) * 2021-02-02 2021-07-16 (주)무지개반사 인공지능 기반 영유아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122814A (ko) * 2021-02-25 2022-09-05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어린이 사고 예방 안전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1068B2 (en) Devices and methods to facilitate escape from a venue with a sudden hazard
US11488409B2 (en) Entertainment device safety system and related methods of use
JP5121258B2 (ja) 不審行動検知システム及び方法
CN106660205B (zh) 用于处理类人机器人与人类交互的系统、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US11375245B2 (en) Live video streaming based on an environment-related trigger
US1117029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ining a personalized machine learning model for fall detection
JP2007272488A (ja) 画像処理装置、監視カメラ及び画像監視システム
US11354576B1 (en) Devices and methods using machine learning for surveillance and granting of privileges
US10657448B2 (en) Devices and methods to navigate in areas using a machine learning model
JP2020049648A (ja) 社会的合図をプログラム的に解釈するように構成された対話型自律ロボット
KR102293431B1 (ko) Cctv 관제 시스템 업데이트 방법 및 cctv 관제 시스템 업데이트 장치
KR102522120B1 (ko) 안전 관리를 위한 놀이시설의 모니터링 방법
KR102522124B1 (ko)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놀이시설 보조 장치
CN117133110B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健身房安全风险预警方法及系统
KR102556447B1 (ko) 패턴 분석을 통한 상황 판단 시스템
Bauer et al. Modeling bed exit likelihood in a camera-based automated video monitoring application
KR20210004173A (ko)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20200054379A (ko) Cnn-lstm 및 복잡 활동 처리를 사용하는 반려 동물의 배설 행동 검출 방법 및 시스템
KR102615292B1 (ko) 산업재해 예방 및 인명 보호를 위한 인공지능 기반 기계식 주차장 영상통합관제 시스템 및 방법
Durairaj et al. AI-driven drowned-detection system for rapid coastal rescue operations
KR102138006B1 (ko) 보안 로봇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지원하는 장치
US20220215691A1 (en) Uncertainty-aware gait analysis
WO2023209757A1 (ja) 移動体見守りサービス運用統括装置、移動体見守りサービス用制御装置及び移動体見守りサービス運用システム
KR20230099328A (ko) 재해 대응 방법 및 시스템
Keerthana et al. Embedded Kit with Object Identification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