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129A - 유아의 보호자 호출을 위한 카메라장치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유아의 보호자 호출을 위한 카메라장치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129A
KR20190007129A KR1020170087712A KR20170087712A KR20190007129A KR 20190007129 A KR20190007129 A KR 20190007129A KR 1020170087712 A KR1020170087712 A KR 1020170087712A KR 20170087712 A KR20170087712 A KR 20170087712A KR 20190007129 A KR20190007129 A KR 20190007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wave
infant
crying
information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1475B1 (ko
Inventor
김재형
이경재
권봉기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앤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앤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앤나
Priority to KR1020170087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475B1/ko
Publication of KR20190007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06K9/0030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4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26Recognition of special voice characteristics, e.g. for use in lie detectors; Recognition of animal vo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03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xtracted parameters
    • G10L25/1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xtracted parameters the extracted parameters being spectral information of each sub-b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의 보호자 호출을 위한 카메라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의 보호자 호출을 위한 카메라장치는, 카메라장치에 있어서, 유아를 촬영하여 적어도 N(N≥2)개의 화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부를 구비한 카메라모듈과, 음파를 입력받는 음파 입력부를 구비한 음파모듈과, 지정된 통신망을 경유하여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구비한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모듈의 카메라부를 통해 생성된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지정된 화각 내에 존재하는 유아를 인식하는 유아 인식부와, 상기 음파모듈의 음파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의 음파 성분과 유아의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지정된 음파 성분을 비교하여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는 음파 판독부와, 상기 유아의 존재를 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성분이 유아 울음소리의 음파 성분과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하는 울음상태 판정부와,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한 경우 상기 통신모듈의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단말로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에 대응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알림 전송부를 구비한 제어모듈을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아의 보호자 호출 방법은, 유아를 촬영하여 적어도 N(N≥2)개의 화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부를 구비한 카메라모듈과, 음파를 입력받는 음파 입력부를 구비한 음파모듈과, 지정된 통신망을 경유하여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구비한 통신모듈을 탑재한 카메라장치와 통신하는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장치의 통신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장치의 음파모듈을 통해 입력된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카메라장치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지정된 화각 내에 존재하는 유아를 인식하고, 상기 카메라장치로부터 음파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성분과 유아의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지정된 음파 성분을 비교하여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유아의 존재를 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성분이 유아 울음소리의 음파 성분과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한 경우 상기 통신모듈의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단말로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에 대응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아의 보호자 호출을 위한 카메라장치와 그 방법{Camera Apparatus and Method for Calling Protector of Infant}
본 발명은 유아를 촬영하여 적어도 N(N≥2)개의 화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모듈을 탑재한 카메라장치에 소정의 음파를 입력받는 음파모듈과 지정된 통신망을 경유하여 지정된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획득된 화상데이터를 통해 유아를 인식한 상태에서 유아의 울음소리를 인식하여 유아의 울음상태를 확인한 경우에 지정된 단말로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에 대응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통계청의 「2009-2011년 사망원인 보완조사」 결과를 보면, 2011년 유아 사망률은 출생아 1천 명당 3.0명이고, 특히 신생아기에 사망원인 중 호흡곤란은 전체 사망원인의 33.5%이고, 영아급사증후군은 14.1%이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고 안전한 육아를 위해서는 아기에게 한시도 눈을 떼지 않고 주의를 기울여야 하지만, 이는 육아를 담당하는 부모에게 매우 고달픈 일이며, 이를 미리 예측하거나 발생 즉시 이를 파악하여 신속하게 응급조치하는 기술적 방법을 제공하기에 기술적으로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를 촬영하여 적어도 N(N≥2)개의 화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부를 구비한 카메라모듈을 탑재한 카메라장치에 소정의 음파를 입력받는 음파 입력부를 구비한 음파모듈과 지정된 통신망을 경유하여 지정된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획득된 화상데이터를 통해 유아를 인식한 상태에서 유아의 울음소리를 인식하여 유아의 울음상태를 확인한 경우에 지정된 단말로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에 대응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유아의 보호자 호출을 위한 카메라장치와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의 보호자 호출을 위한 카메라장치는, 카메라장치에 있어서, 유아를 촬영하여 적어도 N(N≥2)개의 화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부를 구비한 카메라모듈과, 음파를 입력받는 음파 입력부를 구비한 음파모듈과, 지정된 통신망을 경유하여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구비한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모듈의 카메라부를 통해 생성된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지정된 화각 내에 존재하는 유아를 인식하는 유아 인식부와, 상기 음파모듈의 음파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의 음파 성분과 유아의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지정된 음파 성분을 비교하여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는 음파 판독부와, 상기 유아의 존재를 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성분이 유아 울음소리의 음파 성분과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하는 울음상태 판정부와,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한 경우 상기 통신모듈의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단말로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에 대응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알림 전송부를 구비한 제어모듈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모듈은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울음소리 음파 성분 정보를 저장하는 음파 성분 저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음파 판독부는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주파수 대역이 상기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거나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패턴이 상기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모듈은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 중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를 식별하는 욕구정보를 매핑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음파 판독부는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주파수 대역이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함과 동시에 상기 음파데이터의 주파수 대역이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고, 상기 알림 전송부는 상기 음파데이터의 주파수 대역이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된 경우에 상기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매핑된 유아의 욕구정보를 포함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지정된 단말로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모듈은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 정보 중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패턴 정보와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를 식별하는 욕구정보를 매핑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음파 판독부는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패턴이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함과 동시에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패턴이 유아의 특정 욕구와 매핑된 특정 음파 패턴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고, 상기 알림 전송부는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패턴이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와 매핑된 특정 음파 패턴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된 경우에 상기 특정 음파 패턴 정보와 매핑된 유아의 욕구정보를 포함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지정된 단말로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모듈은 유아의 존재를 인식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유아 안면표정의 입모양이나 안면찡그림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안면인식성분을 인식한 유아안면인식정보를 생성하는 안면 인식부와, 상기 인식된 유아안면인식정보의 입모양이나 안면찡그림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안면인식성분이 유아 울음상태의 안면표정에 대응하는 유아울음표정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는 표정 판독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울음상태 판정부는 상기 인식된 안면인식성분이 유아 울음상태의 유아울음표정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됨과 동시에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성분이 유아 울음소리의 음파 성분과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모듈은 울음상태의 유아 안면표정을 인식하거나 판별하기 위한 유아울음표정정보를 저장하는 표정 저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모듈은 지정된 단말에서 상기 호출알림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지정된 단말로 상기 카메라모듈의 카메라부를 통해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영상 전송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음파모듈은 음파를 출력하는 음파 출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한 경우 상기 유아의 심리적 안정 상태를 유도하기 위해 지정된 음파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나 지정된 음파 패턴의 음파신호를 확인하거나 생성하여 상기 음파모듈의 음파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안정 유도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의 보호자 호출 방법은, 유아를 촬영하여 적어도 N(N≥2)개의 화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부를 구비한 카메라모듈과, 음파를 입력받는 음파 입력부를 구비한 음파모듈과, 지정된 통신망을 경유하여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구비한 통신모듈을 탑재한 카메라장치와 통신하는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장치의 통신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장치의 음파모듈을 통해 입력된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카메라장치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지정된 화각 내에 존재하는 유아를 인식하고, 상기 카메라장치로부터 음파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성분과 유아의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지정된 음파 성분을 비교하여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유아의 존재를 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성분이 유아 울음소리의 음파 성분과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한 경우 상기 통신모듈의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단말로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에 대응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아의 보호자 호출 방법은,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음파 성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주파수 대역이 상기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거나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패턴이 상기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아의 보호자 호출 방법은,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 중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를 식별하는 욕구정보를 매핑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주파수 대역이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함과 동시에 상기 음파데이터의 주파수 대역이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음파데이터의 주파수 대역이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된 경우에 상기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매핑된 유아의 욕구정보를 포함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지정된 단말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아의 보호자 호출 방법은,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 정보 중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패턴 정보와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를 식별하는 욕구정보를 매핑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패턴이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함과 동시에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패턴이 유아의 특정 욕구와 매핑된 특정 음파 패턴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패턴이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와 매핑된 특정 음파 패턴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된 경우에 상기 특정 음파 패턴 정보와 매핑된 유아의 욕구정보를 포함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지정된 단말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아의 보호자 호출 방법은, 유아의 존재를 인식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유아 안면표정의 입모양이나 안면찡그림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안면인식성분을 인식한 유아안면인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유아안면인식정보의 입모양이나 안면찡그림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안면인식성분이 유아 울음상태의 안면표정에 대응하는 유아울음표정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인식된 안면인식성분이 유아 울음상태의 유아울음표정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됨과 동시에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성분이 유아 울음소리의 음파 성분과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아의 보호자 호출 방법은, 울음상태의 유아 안면표정을 인식하거나 판별하기 위한 유아울음표정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아의 보호자 호출 방법은, 지정된 단말에서 상기 호출알림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지정된 단말로 상기 카메라모듈의 카메라부를 통해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음파모듈은 음파를 출력하는 음파 출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한 경우 상기 유아의 심리적 안정 상태를 유도하기 위해 지정된 음파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나 지정된 음파 패턴의 음파신호를 확인하거나 생성하여 상기 음파모듈의 음파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아의 부모가 항상 깬 있는 상태로 유아를 돌보지 않더라도, 유아의 깬 상태나 수면 중에 임의적으로 발생하는 유아의 울음상태를 실시간 파악하여 부모나 보호자 또는 담당자를 호출하여 유아의 울음상태 해소하도록 조치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별하기 위한 정보 저장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유아를 촬영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유아를 인식하면서 유아의 울음을 확인하는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음파데이터를 근거로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하여 알림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카메라장치와 운영서버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카메라장치(1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유아를 촬영하여 적어도 N(N≥2)개의 화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부(105a)를 구비한 카메라모듈(105)을 탑재한 카메라장치(100)에 소정의 음파를 입력받는 음파 입력부(110a)를 구비한 음파모듈(110)과 지정된 통신망을 경유하여 지정된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모듈(115)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모듈(105)을 통해 획득된 화상데이터를 통해 유아를 인식한 상태에서 유아의 울음소리를 인식하여 유아의 울음상태를 확인한 경우에 지정된 단말로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에 대응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카메라장치(100)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카메라장치(100)의 기능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장치(100)는, 유아를 촬영하여 적어도 N(N≥2)개의 화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부(105a)를 구비한 카메라모듈(105)과, 음파를 입력받는 음파 입력부(110a)와 음파를 출력하는 음파 입력부(110a)를 구비한 음파모듈(110)과, 지정된 통신망을 경유하여 지정된 서버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115a)를 구비한 통신모듈(115)을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모듈(105)을 이용한 영상데이터의 생성과 상기 음파모듈(110)을 이용한 음파신호의 입력/출력 및 통신모듈(115)을 이용한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5)를 구비한 제어모듈(120)을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모듈(105)은 카메라장치(100)의 구성부 중 유아를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지정된 시선 방향을 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시선 방향의 지정된 화각 내에 존재하는 유아를 촬영하여 적어도 N(N≥2)개의 화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부(105a)를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부(105a)를 통해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제어모듈(120)로 제공하도록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도시생략)를 구비한다.
상기 음파모듈(110)은 카메라장치(100)의 구성부 중 적어도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음파를 입력받는 음파 입력부(110a)를 구비한 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음파 음파를 출력하는 음파 출력부(110b)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음파 입력부(110a)나 음파 출력부(110b)와 제어모듈(120)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한다.
상기 통신모듈(115)은 카메라장치(100)의 통신망 연결을 처리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망(예컨대, 이동통신망, 휴대인터넷 등)을 경유하여 지정된 서버와 통신채널을 연결하여 통신하는 무선망 통신부(115a)와, 무선AP나 중계기를 경유하는 근거리망(예컨대, 무선랜 등)을 경유하여 지정된 서버와 통신채널을 연결하여 통신하는 근거리망 통신부(115a)와, 유선을 이용하여 지정된 서버와 통신채널을 연결하여 통신하는 유선망 통신부(115a)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115a)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모듈(120)은 카메라장치(10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카메라모듈(105)을 통해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음파모듈(110)을 통해 음파신호를 입력/출력하는 동작, 통신모듈(115)을 통해 지정된 서버와 통신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나 둘 이상을 조합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5)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125)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나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도시생략)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25)는 상기 카메라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카메라장치(1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125)는 상기 카메라장치(1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연산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된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카메라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본 발명을 위해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어 메모리부에 저장되었다가 로딩되어 연산되는 본 발명의 기능 구성부를 본 제어부(125)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기 카메라모듈(105)을 통해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통신모듈(115)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500)로 전송하는 영상 처리부(130)를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모듈(105)의 카메라부(105a)가 적어도 N(N≥2)개의 화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면, 상기 영상 처리부(130)는 상기 카메라모듈(105)의 카메라부(105a)를 통해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상기 통신모듈(115)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500)로 상기 버퍼링된 영상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500)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버퍼링한 후 지정된 앱을 설치한 무선단말이나 방송수신장치(예컨대, 상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기 위해 방송용 채널과 중복되지 않는 별도의 채널이 할당되거나 및/또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특정 앱이 설치된 방송수신장치)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20)은,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울음소리 음파 성분 정보를 저장하는 음파 성분 저장부(135)를 구비한다.
유아의 울음소리는 유아의 성대를 통해 발성 가능한 특정한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포함하는데, 상기 음파 성분 저장부(135)는 상기 음파모듈(110)의 음파 입력부(110a)를 통해 입력된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의 음파 주파수 대역이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특정한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과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비교 분석하기 위해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특정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은 유아가 성장하거나 성대의 기능이 발달함에 따라 다른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음파 성분 저장부(135)는 유아의 생후 개월 수 별로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유아의 울음소리는 성대에서 발성되지만 성인의 성대에서 발화되는 분절음이 아니라 비분절음(예컨대, 일종의 소음)의 음파신호이지만, 기계적으로 만들어지는 소음과 달리 유아의 울음소리는 유아의 호흡에 의해 발성되므로 일정한 음파 패턴을 지니게 되는데, 상기 음파 성분 저장부(135)는 상기 음파모듈(110)의 음파 입력부(110a)를 통해 입력된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를 판독하여 인식된 음파 패턴이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특정한 음파 패턴과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비교 분석하기 위해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특정 음파 패턴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 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유아의 호흡량과 호흡주기 등은 유아가 성장하거나 심폐 기능이 발달함에 따라 다른 음파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음파 성분 저장부(135)는 유아의 생후 개월 수 별로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패 패턴 정보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20)은,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 중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를 식별하는 욕구정보를 매핑 저장하거나 및/또는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 정보 중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패턴 정보와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를 식별하는 욕구정보를 매핑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40)를 구비한다.
유아가 어떤 생리적/본능적 욕구를 느껴 이를 해소하기 위해 울음소리를 내는 경우 상기 유아는 상기 울음을 유발하게 만든 욕구가 해소되는 경우에 울음소리를 멈추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특정 가청 주파수 대역의 유아 울음소리는 유아의 특정 욕구에 대응하는 울음소리라고 매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140)는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 중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를 식별하는 욕구정보와 상기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유아의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과 유아의 특정 욕구를 매칭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특정 음파 패턴의 유아 울음소리는 유아의 특정 욕구에 대응하는 울음소리라고 매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140)는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 정보 중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패턴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를 식별하는 욕구정보와 상기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패턴 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20)은, 울음상태의 유아 안면표정을 인식하거나 판별하기 위한 유아울음표정정보를 저장하는 표정 저장부(145)를 구비한다.
상기 표정 저장부(145)는 지정된 안면인식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105)을 통해 생성된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화상데이터를 유아 울음상태의 유아 입모양이나 안면찡그림을 포함하는 유아 안면표정을 인식하거나 판별하기 위한 유아울음표정정보를 설정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아울음표정정보는 울음상태의 유아 입모양이나 안면찡그림을 인식하거나 판별하기 위한 패턴 정보나 벡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기 카메라모듈(105)을 통해 생성된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카메라부(105a)의 지정된 화각 내에 존재하는 유아를 인식하는 유아 인식부(150)를 구비하며, 유아의 존재를 인식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유아 안면표정의 입모양이나 안면찡그림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안면인식성분을 인식한 유아안면인식정보를 생성하는 안면 인식부(155)와, 상기 인식된 유아안면인식정보의 입모양이나 안면찡그림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안면인식성분이 유아 울음상태의 안면표정에 대응하는 유아울음표정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는 표정 판독부(16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모듈(105)의 카메라부(105a)가 적어도 N(N≥2)개의 화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면, 상기 유아 인식부(150)는 상기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화상데이터에 지정된 패턴인식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카메라부(105a)의 지정된 화각 내에 존재하는 유아를 인식한다.
상기 유아 인식부(150)를 통해 상기 화상데이터 상에 유아의 존재를 인식한 경우, 상기 안면 인식부(155)는 상기 인식된 유아의 안면 영역을 확인 내지 판독하여 유아 안면표정의 입모양이나 안면찡그림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안면인식성분을 인식한 유아안면인식정보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상기 유아의 존재를 인식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에 지정된 안면인식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유아 안면표정의 입모양이나 안면찡그림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안면인식성분을 인식한 유아안면인식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안면 인식부(155)를 통해 유아 안면표정의 입모양이나 안면찡그림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안면인식성분을 인식한 유아안면인식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표정 판독부(160)는 상기 인식된 유아안면인식정보의 입모양이나 안면찡그림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안면인식성분을 확인하고, 상기 표정 저장부(145)를 통해 저장된 유아 울음상태의 안면표정에 대응하는 유아울음표정정보와 상기 확인된 안면인식성분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안면 인식부(155)를 통해 인식된 유아안면인식정보의 입모양이나 안면찡그림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안면인식성분이 유아 울음상태의 안면표정에 대응하는 유아울음표정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안면 인식부(155)를 통해 인식된 유아안면인식정보의 입모양이나 안면찡그림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안면인식성분이 유아 울음상태의 안면표정에 대응하는 유아울음표정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된 경우 상기 안면 인식부(155)를 통해 인식된 유아안면인식정보에 대응하는 유아가 울음상태라고 (임시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유아가 울음상태가 아니라 하품을 하거나 꿈을 꾸고 있는 경우에도 상기 유아의 안면을 인식한 안면인식성분이 유아 울음상태의 안면표정에 대응하는 유아울음표정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될 수 있으므로, 단지 유아의 안면을 인식한 안면인식성분이 상기 유아울음표정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것만으로 유아의 울음상태를 확정할 수 있는 확정할 수는 없으며,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 판정은 음파모듈(110)의 음파 입력부(110a)를 통해 입력된 음파데이터를 판독한 결과와 결합되어 최종 확정되는 것이 바라직하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기 음파모듈(110)의 음파 입력부(110a)를 통해 입력된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의 음파 성분과 유아의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지정된 음파 성분을 비교하여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는 음파 판독부(165)와, 상기 유아의 존재를 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성분이 유아 울음소리의 음파 성분과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하는 울음상태 판정부(170)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울음상태 판정부(170)는 상기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유아의 안면표정을 인식한 안면인식성분이 유아 울음상태의 유아울음표정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됨과 동시에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성분이 유아 울음소리의 음파 성분과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음파 판독부(165)는 상기 음파모듈(110)의 음파 입력부(110a)를 통해 입력된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성분(예컨대, 음파 주파수 대역과 음파 패턴 등)과 유아의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지정된 음파 성분을 비교하여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음파 성분 저장부(135)를 통해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울음소리 음파 성분 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음파 판독부(165)는 상기 음파모듈(110)의 음파 입력부(110a)를 통해 입력된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의 음파 주파수 대역이 상기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거나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패턴이 상기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할 수 있다.
상기 울음상태 판정부(170)는 상기 유아 인식부(150)를 통해 상기 화상데이터 상의 유아의 존재를 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음파모듈(110)의 음파 입력부(110a)를 통해 입력된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의 음파 성분(예컨대, 음파 주파수 대역과 음파 패턴 등)과 유아의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지정된 음파 성분을 비교하여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유아의 안면표정을 인식한 안면인식성분이 유아 울음상태의 유아울음표정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된 경우, 상기 울음상태 판정부(170)는 상기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유아의 안면표정을 인식한 안면인식성분이 유아 울음상태의 유아울음표정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됨과 동시에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성분이 유아 울음소리의 음파 성분과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기 울음상태 판정부(170)를 통해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한 경우 상기 통신모듈(115)의 통신부(115a)를 통해 지정된 단말로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에 대응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알림 전송부(180)를 구비하며, 지정된 단말에서 상기 호출알림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지정된 단말로 상기 카메라모듈(105)의 카메라부(105a)를 통해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영상 전송부(185)를 더 구비한다. 한편 정보 저장부(140)를 통해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 중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를 식별하는 욕구정보가 매핑 저장되거나 및/또는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 정보 중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패턴 정보와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를 식별하는 욕구정보가 매핑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울음상태 판정부(170)를 통해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한 경우 상기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나 특정 음파 패턴 정보와 매핑 저장된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를 식별하는 욕구정보를 확인하는 욕구 확인부(175)를 구비하며, 이 경우 상기 알림 전송부(180)는 상기 확인된 유아의 욕구정보를 포함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지정된 단말로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울음상태 판정부(170)를 통해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한 경우 상기 알림 전송부(180)는 상기 통신모듈(115)의 통신부(115a)를 통해 지정된 단말로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에 대응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전송하도록 처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알림 전송부(180)는 상기 통신모듈(115)의 통신부(115a)를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500)와 통신하여 지정된 단말로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에 대응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전송하도록 요청하며, 상기 운영서버(500)는 상기 지정된 단말로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에 대응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호출알림정보는 상기 유아의 부모 무선단말의 앱으로 전송(예컨대, 푸시 통지)되거나, 상기 유아의 보호자나 담당자가 이용하는 단말로 전송되거나, 긴급구조 엠블런스(예컨대, 119 등)를 호출하기 위한 단말이나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 저장부(140)를 통해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 중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를 식별하는 욕구정보가 매핑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울음상태 판정부(170)를 통해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한 경우 상기 욕구 확인부(175)는 상기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매핑 저장된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를 식별하는 욕구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알림 전송부(180)는 상기 확인된 유아의 욕구정보를 포함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지정된 단말로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 저장부(140)를 통해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 정보 중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패턴 정보와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를 식별하는 욕구정보가 매핑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울음상태 판정부(170)를 통해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한 경우 상기 욕구 확인부(175)는 상기 특정 음파 패턴 정보와 매핑 저장된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를 식별하는 욕구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알림 전송부(180)는 상기 확인된 유아의 욕구정보를 포함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지정된 단말로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호출알림정보를 수신한 단말에서 상기 호출알림정보를 확인한 경우(예컨대, 호출알림정보를 수신한 무선단말의 앱에서 운영서버(500)에 접속한 경우), 상기 영상 전송부(185)는 상기 통신모듈(115)의 통신부(115a)를 통해 상기 호출알림정보를 확인한 단말로 상기 카메라모듈(105)의 카메라부(105a)를 통해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처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 전송부(185)는 상기 통신모듈(115)의 통신부(115a)를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500)와 통신하여 상기 호출알림정보를 확인한 단말로 상기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요청하며, 상기 운영서버(500)는 상기 영상 처리부(130)를 통해 카메라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지정된 단말로 전송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기 울음상태 판정부(170)를 통해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한 경우 상기 유아의 심리적 안정 상태를 유도하기 위해 지정된 음파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나 지정된 음파 패턴의 음파신호를 확인하거나 생성하여 상기 음파모듈(110)의 음파 출력부(110b)를 통해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안정 유도부(190)를 구비하며, 이로써 상기 호출알림정보를 확인한 유아의 부모나 보호자 또는 담당자(예컨대, 산후조리원의 담당 직원 등)가 호출되어 도착하기 전에 최대한 유아의 울음소리를 멈추게 유도할 수 있다.
유아는 약 9개월 정도 산모의 자궁 안에 있다가 출산 과정을 거쳐 태어나며, 산모의 자궁 안에서 산모의 피부와 근육을 경유하여 외부 세계의 음파를 청취할 수 있는데, 이때 산모의 피부와 근육을 경유하여 청취되는 음파는 진공청소기 소리와 유사한 잡음이며, 생후 24개월 이내의 유아는 이러한 잡음이 청취하게 되면 엄마의 자궁 안에 있는 것과 같은 심리적 안정 상태가 유도되게 된다. 이에 상기 안정 유도부(190)는 상기 울음상태 판정부(170)를 통해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한 경우 상기 유아의 심리적 안정 상태를 유도하기 위해 지정된 음파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예컨대, 진공청소기 소리의 음파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음파신호)나 지정된 음파 패턴의 음파신호(예컨대, 진공청소기 소리의 음파 패턴에 대응하는 음파신호)를 확인하거나 생성하고, 상기 음파모듈(110)의 음파 출력부(110b)를 통해 상기 지정된 음파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나 지정된 음파 패턴의 음파신호를 음파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음파신호를 청취한 유아는 부모나 보호자 또는 담당자가 상기 호출알림정보에 의해 호출되어 도착하기 전에 최대한 심리적 안정 상태가 유도되어 자연스럽게 울음소리를 멈출 수 있게 된다. 다만 울음의 원인이 특정 욕구과 관련된 경우, 설사 상기 음파신호의 출력에 의해 유아의 울음소리가 멈추더라도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는 호출된 부모나 보호자 또는 담당자에 의해 해소되어야 한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별하기 위한 정보 저장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울음소리 음파 성분 정보를 저장하고,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나 특정 음파 패턴 정보를 유아의 특정 욕구를 식별하는 욕구정보를 매핑 저장하고, 울음상태의 유아 안면표정을 인식하거나 판별하기 위한 유아울음표정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정보 저장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도면2의 과정에서 카메라장치(100)를 주체로 하는 과정 중 일부의 과정은 도면5의 실시예와 같이 운영서버(500)를 주체로하여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도 권리범위로 포함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유아의 울음소리는 유아의 성대를 통해 발성 가능한 특정한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포함하는데, 카메라장치(100)(또는 운영서버(500))는 상기 음파모듈(110)의 음파 입력부(110a)를 통해 입력된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의 음파 주파수 대역이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특정한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과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비교 분석하기 위해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특정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200). 한편 유아의 울음소리는 성대에서 발성되지만 성인의 성대에서 발화되는 분절음이 아니라 비분절음(예컨대, 일종의 소음)의 음파신호이지만, 기계적으로 만들어지는 소음과 달리 유아의 울음소리는 유아의 호흡에 의해 발성되므로 일정한 음파 패턴을 지니게 되는데, 카메라장치(100)(또는 운영서버(500))는 상기 음파모듈(110)의 음파 입력부(110a)를 통해 입력된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를 판독하여 인식된 음파 패턴이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특정한 음파 패턴과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비교 분석하기 위해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특정 음파 패턴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 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200).
유아가 어떤 생리적/본능적 욕구를 느껴 이를 해소하기 위해 울음소리를 내는 경우 상기 유아는 상기 울음을 유발하게 만든 욕구가 해소되는 경우에 울음소리를 멈추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특정 가청 주파수 대역의 유아 울음소리는 유아의 특정 욕구에 대응하는 울음소리라고 매칭할 수 있으며, 카메라장치(100)(또는 운영서버(500))는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 중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를 식별하는 욕구정보와 상기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205). 한편 유아의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과 유아의 특정 욕구를 매칭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특정 음파 패턴의 유아 울음소리는 유아의 특정 욕구에 대응하는 울음소리라고 매칭할 수 있으며, 카메라장치(100)(또는 운영서버(500))는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 정보 중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패턴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를 식별하는 욕구정보와 상기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패턴 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205).
카메라장치(100)(또는 운영서버(500))는 지정된 안면인식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105)을 통해 생성된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화상데이터를 유아 울음상태의 유아 입모양이나 안면찡그림을 포함하는 유아 안면표정을 인식하거나 판별하기 위한 유아울음표정정보를 설정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210). 바람직하게, 상기 유아울음표정정보는 울음상태의 유아 입모양이나 안면찡그림을 인식하거나 판별하기 위한 패턴 정보나 벡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유아를 촬영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유아를 인식하면서 유아의 울음을 확인하는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1의 카메라모듈(105)의 카메라부(105a)를 통해 생성된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카메라부(105a)의 지정된 화각 내에 존재하는 유아를 인식하고, 유아의 존재를 인식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유아 안면표정의 입모양이나 안면찡그림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안면인식성분을 인식한 유아안면인식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인식된 유아안면인식정보의 입모양이나 안면찡그림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안면인식성분이 유아 울음상태의 안면표정에 대응하는 유아울음표정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화상데이터 판독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도면3의 과정에서 카메라장치(100)를 주체로 하는 과정 중 일부의 과정은 도면5의 실시예와 같이 운영서버(500)를 주체로하여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도 권리범위로 포함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카메라장치(100)는 카메라모듈(105)을 통해 유아를 촬영하여 적어도 N(N≥2)개의 화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를 생성한다(300). 한편 상기 카메라장치(100)는 통신모듈(115)을 통해 상기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운영서버(500)로 제공할 수 있으며(305),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500)는 상기 카메라장치(100)로부터 유아를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버퍼링하고(310), 상기 유아의 부모나 상기 유아의 부모가 지정한 친인척 등이 이용하는 지정된 방송수신장치나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영상데이터를 제공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모듈(105)을 통해 상기 영상데이터를 생성한 경우, 상기 카메라장치(100)는 상기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카메라부(105a)의 지정된 화각 내에 존재하는 유아를 인식한다(320). 만약 상기 화상데이터를 통해 유아가 인식되면, 상기 카메라장치(100)는 유아의 존재를 인식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유아 안면표정의 입모양이나 안면찡그림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안면인식성분을 인식한 유아안면인식정보를 생성한다(325). 만약 상기 유아안면인식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카메라장치(100)는 상기 인식된 유아안면인식정보의 입모양이나 안면찡그림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안면인식성분이 유아 울음상태의 안면표정에 대응하는 유아울음표정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한다(330).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음파데이터를 근거로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하여 알림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카메라장치(100)에 구비된 음파모듈(110)의 음파 입력부(110a)를 통해 입력된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의 음파 성분과 유아의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지정된 음파 성분을 비교하여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고, 상기 유아의 존재를 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성분이 유아 울음소리의 음파 성분과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한 경우 상기 통신모듈(115)의 통신부(115a)를 통해 지정된 단말로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에 대응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도면4의 과정에서 카메라장치(100)를 주체로 하는 과정 중 일부의 과정은 도면5의 실시예와 같이 운영서버(500)를 주체로하여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도 권리범위로 포함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카메라장치(100)는 음파모듈(110)의 음파 입력부(110a)를 통해 입력된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를 확인한다(400). 만약 상기 음파데이터가 확인되면, 상기 카메라장치(100)는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성분과 유아의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지정된 음파 성분을 비교하여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한다(405). 만약 상기 유아의 존재를 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성분이 유아 울음소리의 음파 성분과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장치(100)는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410). 한편 상기 화상데이터를 통해 인식된 안면인식성분이 유아 울음상태의 유아울음표정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는 과정이 수행된 경우, 상기 카메라장치(100)는 상기 인식된 안면인식성분이 유아 울음상태의 유아울음표정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됨과 동시에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성분이 유아 울음소리의 음파 성분과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장치(100)는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한 경우 상기 유아의 심리적 안정 상태를 유도하기 위해 지정된 음파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나 지정된 음파 패턴의 음파신호를 확인하거나 생성하여 상기 음파모듈(110)의 음파 출력부(110b)를 통해 음파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415).
만약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한 경우 상기 카메라장치(100)는 상기 통신모듈(115)의 통신부(115a)를 통해 지정된 단말로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에 대응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435), 상기 운영서버(500)는 상기 유아의 부모나 보호자 또는 담당자의 단말(예컨대, 무선단말, 유선단말)로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에 대응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440). 한편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한 경우 상기 카메라장치(100)는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 판정에 이용된 음파데이터와 매칭된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나 특정 음파 패턴 정보를 확인하고(420), 상기 도면2의 과정을 통해 상기 확인된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나 특정 음파 패턴 정보와 매핑된 유아의 특정 욕구를 식별하는 욕구정보를 확인하고(425), 상기 통신모듈(115)의 통신부(115a)를 통해 지정된 단말로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에 대응함과 동시에 상기 확인된 유아의 욕구정보를 포함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435), 상기 운영서버(500)는 상기 유아의 부모나 보호자 또는 담당자의 단말(예컨대, 무선단말, 유선단말)로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에 대응하며 상기 유아의 욕구정보를 포함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440).
한편 상기 운영서버(500)는 상기 호출알림정보를 수신한 단말에서 상기 호출알림정보를 확인한 상태를 확인한다(445). 만약 상기 호출알림정보의 확인 상태를 확인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500)는 카메라장치(100)로 상기 지정된 단말의 호출알림정보 확인 상태를 제공한다(450). 상기 카메라장치(100)는 통신모듈(115)을 통해 지정된 단말의 호출알림정보 확인 상태를 확인하고(455), 상기 호출알림정보를 확인한 단말로 상기 유아를 촬영하여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처리하며(460), 상기 운영서버(500)는 상기 호출알림정보를 확인한 단말로 상기 영상데이터를 제공하여 출력시킨다(465).
도면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카메라장치(100)와 운영서버(5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카메라장치(100)에 구비된 제어모듈(120)의 기능 구성 중 음파 성분 저장부(135)와 정보 저장부(140)와 표정 저장부(145)와 유아 인식부(150)와 안면 인식부(155)와 표정 판독부(160)와 음파 판독부(165)와 울음상태 판정부(170)와 욕구 확인부(175)와 알림 전송부(180)와 영상 전송부(185)와 안정 유도부(190)의 기능 구성을 상기 카메라장치(100)와 통신하는 운영서버(500) 측에 구현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도면1과 본 도면5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형한 실시 방법(예컨대, 본 도면5의 운영서버(500) 측에 구현한 기능 구성 중 일부를 그대로 운영서버(500) 측에 구현하되 다른 일부를 카메라장치(100)의 제어모듈(120)에 구현하거나 상기 도면1의 제어모듈(120)에 구현한 기능 구성 중 일부를 그대로 제어모듈(120)에 구현하되 다른 일부를 운영서버(500) 측에 구현하는 실시 방법, 상기 도면1과 본 도면5에 도시된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 등)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권리범위로 포함하며, 상기 도면1과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도면5의 카메라장치(100)는 상기 도면1의 카메라장치(100)에 구비된 카메라모듈(105)과 음파모듈(110)과 통신모듈(115)을 그대로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장치(100)의 제어모듈(120)은 상기 카메라장치(100)의 카메라모듈(105)을 통해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카메라장치(100)의 통신모듈(115)을 통해 운영서버(500)로 전송하는 기능 구성과, 상기 카메라장치(100)의 음파모듈(110)을 통해 입력된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를 상기 카메라장치(100)의 통신모듈(115)을 통해 운영서버(500)로 전송하는 기능 구성을 구비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500)는, 상기 카메라장치(100)의 통신모듈(115)과 연동하여 상기 카메라장치(100)의 카메라모듈(105)을 통해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505)와, 상기 카메라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지정된 방송수신장치나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하는 영상 제공부(510)를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장치(100)에서 음파데이터를 전송한 경우 상기 카메라장치(100)의 통신모듈(115)과 연동하여 상기 음파데이터를 수신하는 음파 수신부(515)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500)는 상기 영상 수신부(505)를 통해 상기 카메라장치(100)의 카메라모듈(105)을 통해 생성된 영상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카메라부(105a)의 지정된 화각 내에 존재하는 유아를 인식하는 유아 인식부(150)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500)는 울음상태의 유아 안면표정을 인식하거나 판별하기 위한 유아울음표정정보를 저장하는 표정 저장부(145)를 구비하며, 유아의 존재를 인식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유아 안면표정의 입모양이나 안면찡그림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안면인식성분을 인식한 유아안면인식정보를 생성하는 안면 인식부(155)와, 상기 인식된 유아안면인식정보의 입모양이나 안면찡그림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안면인식성분이 유아 울음상태의 안면표정에 대응하는 유아울음표정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는 표정 판독부(160)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500)는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울음소리 음파 성분 정보를 저장하는 음파 성분 저장부(135)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된 음파데이터의 음파 성분과 유아의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지정된 음파 성분을 비교하여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는 음파 판독부(165)와, 상기 유아의 존재를 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성분이 유아 울음소리의 음파 성분과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하는 울음상태 판정부(170)를 구비하고,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한 경우 상기 통신모듈(115)의 통신부(115a)를 통해 지정된 단말로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에 대응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알림 전송부(180)를 구비하며, 지정된 단말에서 상기 호출알림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지정된 단말로 상기 상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영상 전송부(185)를 구비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울음상태 판정부(170)는 상기 인식된 안면인식성분이 유아 울음상태의 유아울음표정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됨과 동시에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성분이 유아 울음소리의 음파 성분과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500)는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 중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를 식별하는 욕구정보를 매핑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40)를 구비하며, 이 경우 상기 음파 판독부(165)는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주파수 대역이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함과 동시에 상기 음파데이터의 주파수 대역이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고, 상기 알림 전송부(180)는 상기 음파데이터의 주파수 대역이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된 경우에 상기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매핑된 유아의 욕구정보를 포함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지정된 단말로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500)는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 정보 중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패턴 정보와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를 식별하는 욕구정보를 매핑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40)를 구비하며, 이 경우 상기 음파 판독부(165)는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패턴이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함과 동시에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패턴이 유아의 특정 욕구와 매핑된 특정 음파 패턴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고, 상기 알림 전송부(180)는,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패턴이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와 매핑된 특정 음파 패턴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된 경우에 상기 특정 음파 패턴 정보와 매핑된 유아의 욕구정보를 포함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지정된 단말로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100 : 카메라장치 105 : 카메라모듈
110 : 음파모듈 115 : 통신모듈
120 : 제어모듈 130 : 영상 처리부
135 : 음파 성분 저장부 140 : 정보 저장부
145 : 표정 저장부 150 : 유아 인식부
155 : 안면 인식부 160 : 표정 판독부
165 : 음파 판독부 170 : 울음상태 판정부
175 : 욕구 확인부 180 : 알림 전송부
185 : 영상 전송부 190 : 안정 유도부

Claims (16)

  1. 카메라장치에 있어서,
    유아를 촬영하여 적어도 N(N≥2)개의 화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부를 구비한 카메라모듈;
    음파를 입력받는 음파 입력부를 구비한 음파모듈;
    지정된 통신망을 경유하여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구비한 통신모듈; 및
    상기 카메라모듈의 카메라부를 통해 생성된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지정된 화각 내에 존재하는 유아를 인식하는 유아 인식부와,
    상기 음파모듈의 음파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의 음파 성분과 유아의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지정된 음파 성분을 비교하여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는 음파 판독부와,
    상기 유아의 존재를 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성분이 유아 울음소리의 음파 성분과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하는 울음상태 판정부와,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한 경우 상기 통신모듈의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단말로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에 대응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알림 전송부를 구비한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유아의 보호자 호출을 위한 카메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울음소리 음파 성분 정보를 저장하는 음파 성분 저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음파 판독부는,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주파수 대역이 상기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거나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패턴이 상기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의 보호자 호출을 위한 카메라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 중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를 식별하는 욕구정보를 매핑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음파 판독부는,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주파수 대역이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함과 동시에 상기 음파데이터의 주파수 대역이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고,
    상기 알림 전송부는, 상기 음파데이터의 주파수 대역이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된 경우에 상기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매핑된 유아의 욕구정보를 포함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지정된 단말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의 보호자 호출을 위한 카메라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 정보 중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패턴 정보와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를 식별하는 욕구정보를 매핑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음파 판독부는,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패턴이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함과 동시에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패턴이 유아의 특정 욕구와 매핑된 특정 음파 패턴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고,
    상기 알림 전송부는,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패턴이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와 매핑된 특정 음파 패턴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된 경우에 상기 특정 음파 패턴 정보와 매핑된 유아의 욕구정보를 포함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지정된 단말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의 보호자 호출을 위한 카메라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유아의 존재를 인식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유아 안면표정의 입모양이나 안면찡그림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안면인식성분을 인식한 유아안면인식정보를 생성하는 안면 인식부와,
    상기 인식된 유아안면인식정보의 입모양이나 안면찡그림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안면인식성분이 유아 울음상태의 안면표정에 대응하는 유아울음표정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는 표정 판독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울음상태 판정부는, 상기 인식된 안면인식성분이 유아 울음상태의 유아울음표정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됨과 동시에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성분이 유아 울음소리의 음파 성분과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의 보호자 호출을 위한 카메라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울음상태의 유아 안면표정을 인식하거나 판별하기 위한 유아울음표정정보를 저장하는 표정 저장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의 보호자 호출을 위한 카메라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지정된 단말에서 상기 호출알림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지정된 단말로 상기 카메라모듈의 카메라부를 통해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영상 전송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의 보호자 호출을 위한 카메라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모듈은, 음파를 출력하는 음파 출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한 경우 상기 유아의 심리적 안정 상태를 유도하기 위해 지정된 음파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나 지정된 음파 패턴의 음파신호를 확인하거나 생성하여 상기 음파모듈의 음파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안정 유도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의 보호자 호출을 위한 카메라장치.
  9. 유아를 촬영하여 적어도 N(N≥2)개의 화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부를 구비한 카메라모듈과, 음파를 입력받는 음파 입력부를 구비한 음파모듈과, 지정된 통신망을 경유하여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구비한 통신모듈을 탑재한 카메라장치와 통신하는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장치의 통신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장치의 음파모듈을 통해 입력된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카메라장치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지정된 화각 내에 존재하는 유아를 인식하고, 상기 카메라장치로부터 음파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성분과 유아의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지정된 음파 성분을 비교하여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는 제2 단계;
    상기 유아의 존재를 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성분이 유아 울음소리의 음파 성분과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한 경우 상기 통신모듈의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단말로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에 대응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유아의 보호자 호출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음파 성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주파수 대역이 상기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거나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패턴이 상기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의 보호자 호출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 중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를 식별하는 욕구정보를 매핑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주파수 대역이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함과 동시에 상기 음파데이터의 주파수 대역이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음파데이터의 주파수 대역이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된 경우에 상기 특정 음파 주파수 대역 정보와 매핑된 유아의 욕구정보를 포함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지정된 단말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의 보호자 호출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 정보 중 유아의 특정 욕구와 관련된 특정 음파 패턴 정보와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를 식별하는 욕구정보를 매핑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패턴이 유아 울음소리에 대응하는 음파 패턴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함과 동시에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패턴이 유아의 특정 욕구와 매핑된 특정 음파 패턴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패턴이 상기 유아의 특정 욕구와 매핑된 특정 음파 패턴 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된 경우에 상기 특정 음파 패턴 정보와 매핑된 유아의 욕구정보를 포함하는 호출알림정보를 지정된 단말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의 보호자 호출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유아의 존재를 인식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유아 안면표정의 입모양이나 안면찡그림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안면인식성분을 인식한 유아안면인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유아안면인식정보의 입모양이나 안면찡그림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안면인식성분이 유아 울음상태의 안면표정에 대응하는 유아울음표정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인식된 안면인식성분이 유아 울음상태의 유아울음표정정보와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됨과 동시에 상기 음파데이터의 음파 성분이 유아 울음소리의 음파 성분과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의 보호자 호출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울음상태의 유아 안면표정을 인식하거나 판별하기 위한 유아울음표정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의 보호자 호출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지정된 단말에서 상기 호출알림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지정된 단말로 상기 카메라모듈의 카메라부를 통해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의 보호자 호출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모듈은, 음파를 출력하는 음파 출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유아의 울음상태를 판정한 경우 상기 유아의 심리적 안정 상태를 유도하기 위해 지정된 음파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나 지정된 음파 패턴의 음파신호를 확인하거나 생성하여 상기 음파모듈의 음파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의 보호자 호출 방법.
KR1020170087712A 2017-07-11 2017-07-11 유아의 보호자 호출을 위한 카메라장치와 그 방법 KR102431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712A KR102431475B1 (ko) 2017-07-11 2017-07-11 유아의 보호자 호출을 위한 카메라장치와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712A KR102431475B1 (ko) 2017-07-11 2017-07-11 유아의 보호자 호출을 위한 카메라장치와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129A true KR20190007129A (ko) 2019-01-22
KR102431475B1 KR102431475B1 (ko) 2022-08-16

Family

ID=65320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712A KR102431475B1 (ko) 2017-07-11 2017-07-11 유아의 보호자 호출을 위한 카메라장치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4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124B1 (ko) * 2022-09-28 2023-04-14 한태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놀이시설 보조 장치
KR102522120B1 (ko) * 2022-09-28 2023-04-14 한태환 안전 관리를 위한 놀이시설의 모니터링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7846A (ko) *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소셜빈 유아에 대한 안전 감시 시스템
KR20160136580A (ko) * 2015-05-20 2016-11-30 김기항 유아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70053906A (ko) * 2015-11-09 2017-05-1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 감정상태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심리상태 분석 시스템과 스마트폰 연동 앱 개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7846A (ko) *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소셜빈 유아에 대한 안전 감시 시스템
KR20160136580A (ko) * 2015-05-20 2016-11-30 김기항 유아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70053906A (ko) * 2015-11-09 2017-05-1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 감정상태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심리상태 분석 시스템과 스마트폰 연동 앱 개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124B1 (ko) * 2022-09-28 2023-04-14 한태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놀이시설 보조 장치
KR102522120B1 (ko) * 2022-09-28 2023-04-14 한태환 안전 관리를 위한 놀이시설의 모니터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1475B1 (ko) 202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6302B2 (en) Doll companion integrating child self-directed execution of applications with cell phone communication, education, entertainment, alert and monitoring systems
US8376803B2 (en) Child-care robot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robot
US11881219B2 (en) Voice control in a healthcare facility
KR20120095053A (ko) 유아용 침대
KR101623167B1 (ko) 신생아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07129A (ko) 유아의 보호자 호출을 위한 카메라장치와 그 방법
CN108670196B (zh) 监测婴儿睡眠状态的方法及装置
CN113375310B (zh) 用于空调的控制方法及装置、空调
KR20160055576A (ko) 영유아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제어방법
CN202724416U (zh) 多模态婴儿抚慰智能仪
JP2006302173A (ja) 乳幼児監視装置
KR20170085732A (ko) 감정교류형 스마트 요람 시스템 및 그의 제공방법
KR20190030508A (ko) 영유아 감시 장치
US10847007B1 (en) Interactive monitoring system
JP6663552B2 (ja) 睡眠管理装置、睡眠管理プログラム、睡眠管理方法および睡眠管理システム
CN217741801U (zh) 一种远程通话安抚婴儿监视器
KR20200092063A (ko) 스마트 안전 요람
KR102197411B1 (ko) 인형에 부착 가능한 스마트스피커
CN210114589U (zh) 一种智能看护床
JP2009056119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KR20210072202A (ko) 영유아 감정 상태 출력 방법
KR102019439B1 (ko)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
KR20190052369A (ko) 아기를 위한 거치형 사운드장치
JP2021146113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CN110427155B (zh) 一种看护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