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439B1 -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 - Google Patents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439B1
KR102019439B1 KR1020180056857A KR20180056857A KR102019439B1 KR 102019439 B1 KR102019439 B1 KR 102019439B1 KR 1020180056857 A KR1020180056857 A KR 1020180056857A KR 20180056857 A KR20180056857 A KR 20180056857A KR 102019439 B1 KR102019439 B1 KR 102019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image
module
camera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현
서대웅
송정상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56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4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G06K9/0028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유아에 대한 실시간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얼굴을 인식함으로써 영유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영유아가 위험한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경우 이를 판단하여 보호자에게 알려주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는, 영유아의 상태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영유아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에 있어서, 영유아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실시간 영상을 기준 영상과 비교하여 영유아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 모듈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FACE RECOGNIZING CAMERA FOR INFANT SATETY MANAGEMENT}
본 발명은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유아에 대한 실시간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얼굴을 인식함으로써 영유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영유아가 위험한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경우 이를 판단하여 보호자에게 알려주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 질식 사고는 유아가 몸을 뒤집거나 엎드린 상태에서 이불 등의 침구에 안면이 가려져 호흡 곤란을 겪음에 따라 자주 발생한다.
예를 들어, 침대 위나 방바닥에 솜 등의 폭신폭신한 재료로 채워진 이불을 깔고 그 위에 유아를 재우는 경우, 이불과 같은 침구가 유아의 얼굴을 덮거나 유아가 수면 도중에 몸을 뒤집어 엎드린 상태에서 수 분 내지 수 십분동안 움직이지 않게 되면 이불에 유아의 안면이 가려져 호흡 곤란을 겪고 질식사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수면 도중에는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모 또는 보호자가 영유아를 항상 곁에서 보호 및 감시함으로써 질식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 영유아가 잠이 든 사이 다른 업무를 봐야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현실적 어려움으로 인해 영유아의 질식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17257호(영유아 질식 예방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7606호(질식방지용 유아용 베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18675호(질식방지를 위한 유아용 보조 침구)와 같이 베개와 같은 침구나 별도의 보조 기구를 이용하여 유아가 엎드린 자세로 뒤집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와 같이 영유아의 뒤집는 자세를 방지하는 기술은 영유아의 활동을 지나치게 구속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0616호(영유아 돌연사 방지용 침대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6137호(영유아 위험경보장치)와 같이 영유아의 자세와 호흡 상태를 감지하여 영유아의 질식 사고 위험을 경보하여 예방하는 장치의 개발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영유아의 자세나 호흡 상태를 감지하는 종래의 기술은 영유아의 몸이나 영유아가 접촉하는 침구 등에 센서와 같은 감지를 위한 장치가 설치되어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설치의 어려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전기적인 장치인 관계로 영유아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염려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17257호 : 영유아 질식 예방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7606호 : 질식방지용 유아용 베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18675호 : 질식방지를 위한 유아용 보조 침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0616호 : 영유아 돌연사 방지용 침대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6137호 : 영유아 위험경보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유아에 대한 실시간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얼굴을 인식함으로써 영유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영유아가 위험한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경우 이를 판단하여 보호자에게 알려주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는, 영유아의 상태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영유아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에 있어서, 영유아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실시간 영상을 기준 영상과 비교하여 영유아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 모듈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는,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기준 영상과 실시간 영상을 비교하여 영유아의 얼굴에 설정된 특징점을 추출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는, 상기 기준 영상은 영유아가 안전한 상태에서 초기에 일정 시간 동안에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학습하여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는, 음향을 출력하는 출력 모듈과, 획득된 실시간 영상 및 위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 모듈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출력 모듈과 통신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는,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제어 모듈이 내부에 장착된 본체와, 상기 본체가 상면에 놓여 지지되는 베이스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본체는 저면이 구 형상의 볼록한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가 놓이는 베이스의 상면은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볼록한 곡면이 상기 베이스 오목한 곡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면서 전후좌우로 용이하게 회전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는 영유아에 대한 실시간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얼굴을 인식함으로써 영유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영유아가 위험한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경우 이를 판단하여 보호자에게 알려주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가 영유아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알고리즘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에서 영유아의 특이점을 인식하고 비교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와 함께 구성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가 영유아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알고리즘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에서 영유아의 특이점을 인식하고 비교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와 함께 구성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10)는 카메라 모듈(11), 음향입력 모듈(12), 음향출력 모듈(13), 영상출력 모듈(14), 통신 모듈(15), 저장 모듈(16) 및 제어 모듈(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11)는 보호를 위한 관찰이 필요한 영유아(C)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이를 처리하는 구성이다. 촬영된 영상은 상기 제어 모듈(17)에 의해 영유아의 상태, 특히 위험한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자료로 이용된다. 또한, 촬영된 영상은 그 전체 또는 프레임 단위로 하술하는 보호자 기기(D)로 전송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저장 모듈(16)에 저장된다.
상기 음향입력 모듈(12)은 보호를 위해 관찰이 필요한 대상인 영유아(C)로부터 발생되는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이다. 예를 들어, 영유아(C)의 울음소, 호흡소리, 칭얼대는 소리 등에는 영유아(C)의 상태를 판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음향입력 모듈(12)로 입력된 영유아(C)로부터 발생된 소리로부터 영유아(C)의 위험여부나 보호가 필요한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음향출력 모듈(13)은 실시간으로 입력되거나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음악이나 동화 구술 음원과 같은 컨텐츠를 영유아(C)가 들을 수 있도록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음향출력 모듈(13)로 출력되는 음향에는 상기 보호자 기기(D)로부터 전송된 음원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자 기기(D)로부터는 보호자가 원하는 음악과 같은 컨텐츠나 영유아(C)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는 보호자의 목소리를 전송받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 영상출력 모듈(14)는 영유아(C)에게 친숙하고 안정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여 출력하는 구성이다. 상기 영상 컨텐츠는 미리 저장되거나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15)은 촬영되어 획득된 실시간 영상을 보호자 기기(D)로 전송하거나 영유아의 위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대한 정보를 보호자 기기(D)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15)은 상기 보호자 기기(D)로부터 전송된 음악이나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10)은 보호자 기기(D)에서 입력되는 명령이나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그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명령이나 제어 신호는 상기 통신 모듈(15)에 의해 수신되어 상기 제어 모듈(17)로 전달되며, 그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16)은 상기 카메라 모듈(11), 음향입력 모듈(12), 음향출력 모듈(13), 영상출력 모듈(14), 통신 모듈(15) 및 저장 모듈(16)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보호자는 스마트폰(D1)과 같은 보호자 기기(D)로 미리 입력되어 저장되어 있거나 실시간으로 전송이 가능한 음악 컨텐츠의 목록으로부터 상기 음향출력 모듈(13)에서 출력되길 원하는 음원 컨텐츠를 선택하여 출력되도록 제어신호를 상기 보호자 기기(D)를 통해 전송할 수 있으며, 또한 음향출력 모듈(13)의 볼륨 크기 등을 조절하기 위한 명령을 보호자 기기(D)를 통해 입력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질 수 있는데, 전송된 제어신호나 명령은 상기 통신 모듈(15)을 통해 수신된다.
상기 통신 모듈(15)은 상기 카메라 모듈(11)에서 획득된 실시간 영상 신호, 상기 음향입력 모듈(12)로 입력된 소리 신호 및 상기 제어 모듈(17)에서 판단된 위험 여부에 대한 판단 정보를 상기 보호자 기기(D)로 송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15)은 상기 보호자 기기(D)로부터 전성되는 컨텐츠나 제어 신호를 수신받는다.
한편, 상기 통신 모듈(15)은 다양한 통신망(N1,N2)과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자가 보호자 기기(D)로 모바일 통신기기인 스마트폰(D1)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듈(15)는 모바일 통신망(N1)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폰(D1)에 연결된다. 또한, 보호자 기기(D)로 TV(D2), 싱크대용 모니터(D3), PC(D4)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통신 모듈(15)은 유무선의 댁내 통신망(N2)를 통하여 TV(D2), 싱크대용 모니터(D3), PC(D4) 등에 연결된다.
상기 저장 모듈(16)은 상기 카메라 모듈(11)에서 촬영되어 획득된 영상이나 상기 음향입력 모듈(12)에서 입력받은 소리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저장 모듈(15)에는 실시간으로 획득된 실시간 영상 전체나 소리 전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 용량을 고려하여 프레임 단위로 저장되거나 영유아가 위험한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와 같이 특별한 이벤트가 발생되는 조건에서 그 이벤트에 해당되는 영상 부분이나 소리 부분만 저장되도록 제어 모듈(16)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모듈(16)에는 상기 상기 음향출력 모듈(13)이나 상기 영상출력 모듈(14)로 출력되는 음향이나 영상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7)은 상기 카메라 모듈(11)에서 획득된 실시간 영상이나 상기 음향입력 모듈(12)에서 획득한 소리로부터 영유아(C)의 상태나 위험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카메라 모듈(11)은 영유아(C)를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어 모듈(17)은 영유아(C)의 위험여부를 판단한다. 실시간 영상으로부터 영유아(C)의 위험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보호자가 영유아를 침대 등에 안전하게 눕힌 상태에서 촬영이 시작되는데, 이 촬영의 시작후 일정 시간동안(예를 들어 촬영 시작후 20초간) 촬영되는 영상은 영유아(C)가 안전한 상태의 기준 영상(Ms)으로 학습되어 기록된다. 이후 상기 카메라부(11)에 의해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Mt1,Mt2)은 실시간 또는 일정한 간격의 주기적으로 상기 기준 영상(Ms)과 비교되고 그 비교되는 영상 차이로부터 영유아(C)의 위험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기준 영상(Ms)과 실시간 영상(Mt1,Mt2)의 신속하고 정확한 비교를 위하여 촬영된 영상 중에서 영유아가 올바로 누워 있는 상태와 뒤집혀 엎드린 상태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 영유아(C)의 얼굴 부분에서 파악되는 특이점(P,P')을 상호 비교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초기 기준 영상(Ms)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영유아의 얼굴로부터 특이점(P)를 설정하고, 실시간으로 촬영된 실시간 영상(Mt1,Mt2)에서 인식되는 얼굴로부터 파악되는 특이점(P')를 비교하여 영유아가 정상적으로 바로 누워 있는 상태인지 또는 엎드려 위험한 상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기준 영상(Ms)과 실시간 영상1(Mt1)의 비교에서는 기준 영상(Ms)의 특이점(P)가 실시간 영상1(Mt1)에서 파악되는 특이점(P')와 비교하여 일치 또는 허용 범위 내로 파악되는 것으로 판단되어 영유아(C)가 안전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한편, 기준 영상(Ms)과 실시간 영상2(Mt2)의 비교에서는 기준 영상(Ms)의 특이점(P)가 실시간 영상2(Mt2)에서 전혀 파악되지 않아 영유아(C)가 안전하지 않은 위험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한편, 영유아가 엎어져 있는 경우에도 얼굴이 영상에 나타나지 않지만 영유아의 얼굴을 이불과 같은 침구가 덮은 경우에도 영유아의 호흡 곤란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카메라 모듈(11)에서 실시간으로 취득되는 실시간 영상에서 얼굴이 일정 시간 이상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를 위험한 상황으로 판단하여 보호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카메라 모듈(11)에서 실시간으로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영상 비교를 위해 중요한 부분인 영유아의 얼굴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는 반복하여 영상을 획득하여 얼굴이 인식하게 되고, 그 과정이 일정한 횟수(n회)를 넘는 경우에도 상기 제어 모듈(17)은 이상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통신 모듈(15)을 통해 보호자 기기(D)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카메라 모듈(11)에서 실시간으로 영상을 획득하기 때문에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영유아의 움직임이 있는지의 여부도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보호자 기기(D)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카메라 모듈(11)에서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영유아(C)의 위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될 뿐만 아니라 상기 음향입력 모듈(12)에서 얻은 영유아(C)의 소리 신호와 함께 영유아의 상태를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이크부(12)에서 획득된 신호에 울음 소리가 감지되는 경우 이를 판단하여 상기 보호자 기기(D)로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음향입력 모듈(12)에서 획득한 소리 신호를 주기적으로 비교하여 그 차이 정도를 비교함으로써 영유아(C)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영유아가 잠든 상태와 영유아가 깨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음향입력 모듈(12)에서 획득한 소리 신호에는 차이가 발생되고 본 발명은 이러한 차이로부터 영유아의 상태를 판단하여 이를 상기 보호자 기기(D)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설치되는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 카메라 모듈(11)의 조준이 영유아(C)를 향하도록 용이하게 각도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영유아(C)를 촬영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10)가 설치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인데, 카메라 모듈(11)이 장착된 본체(11')가 베이스(11")에 놓여 카메라가 영유아를 향해 용이하게 조준되게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1)이 구비된 본체(11')의 저면은 구 형상의 볼록한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11')가 놓이는 베이스(11")의 상면을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본체(11')의 볼록한 곡면이 상기 베이스(11") 오목한 곡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면서 전후좌우로 용이하게 회전(R)됨으로써 카메라의 조준 각도가 용이하게 조절(R')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11')와 베이스(11")가 접촉되어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그 접촉되는 면에는 자석에 의한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본체(11')에는 카메라 모듈(11) 뿐만 아니라 음향입력 모듈(12), 음향출력 모듈(13), 영상출력 모듈(14) 등이 일체로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도면 및 앞에서 설명된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 영유아
D 보호자 기기
Ms 기준 영상
P 특이점
Mt1,Mt2 실시간 영상
P' 특이점
10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
11 카메라 모듈
12 음향입력 모듈
13 음향출력 모듈
14 영상출력 모듈
15 통신 모듈
16 저장 모듈
17 제어 모듈

Claims (5)

  1. 영유아의 상태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영유아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에 있어서,
    영유아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실시간 영상을 기준 영상과 비교하여 영유아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 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제어 모듈이 내부에 장착된 본체와, 상기 본체가 상면에 놓여 지지되는 베이스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본체는 저면이 구 형상의 볼록한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가 놓이는 베이스의 상면은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볼록한 곡면이 상기 베이스 오목한 곡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면서 전후좌우로 용이하게 회전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기준 영상과 실시간 영상을 비교하여 영유아의 얼굴에 설정된 특징점을 추출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영상은 영유아가 안전한 상태에서 초기에 일정 시간 동안에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학습하여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음향을 출력하는 출력 모듈과, 획득된 실시간 영상 및 위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 모듈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출력 모듈과 통신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
  5. 삭제
KR1020180056857A 2018-05-18 2018-05-18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 KR102019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857A KR102019439B1 (ko) 2018-05-18 2018-05-18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857A KR102019439B1 (ko) 2018-05-18 2018-05-18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9439B1 true KR102019439B1 (ko) 2019-09-06

Family

ID=67949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857A KR102019439B1 (ko) 2018-05-18 2018-05-18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43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675U (ko) 1999-03-25 2000-10-25 이현주 질식방지를 위한 유아용 보조 침구
KR100822476B1 (ko) * 2006-08-25 2008-04-16 브이앤아이 주식회사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0986137B1 (ko) 2007-04-27 2010-10-07 이성일 영아 위험경보장치
KR101147606B1 (ko) 2011-06-03 2012-06-14 주식회사 엘드 질식방지용 유아용 베개
KR20130096544A (ko) * 2012-02-22 2013-08-30 경 란 김 영아돌연사 증후군 예방을 위한 베이비케어 모니터링 시스템
KR20140089740A (ko) * 2013-01-07 2014-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전기기기 및 감시 시스템
KR20170017257A (ko) 2015-08-06 2017-02-15 이의호 영아 질식 예방 장치
KR101760616B1 (ko) 2016-07-27 2017-07-21 박세훈 영유아 돌연사 방지용 침대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675U (ko) 1999-03-25 2000-10-25 이현주 질식방지를 위한 유아용 보조 침구
KR100822476B1 (ko) * 2006-08-25 2008-04-16 브이앤아이 주식회사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0986137B1 (ko) 2007-04-27 2010-10-07 이성일 영아 위험경보장치
KR101147606B1 (ko) 2011-06-03 2012-06-14 주식회사 엘드 질식방지용 유아용 베개
KR20130096544A (ko) * 2012-02-22 2013-08-30 경 란 김 영아돌연사 증후군 예방을 위한 베이비케어 모니터링 시스템
KR20140089740A (ko) * 2013-01-07 2014-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전기기기 및 감시 시스템
KR20170017257A (ko) 2015-08-06 2017-02-15 이의호 영아 질식 예방 장치
KR101760616B1 (ko) 2016-07-27 2017-07-21 박세훈 영유아 돌연사 방지용 침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4659B2 (en) Infant sleep pod
CN105701965B (zh) 一种穿戴式安全设备及其方法
US9277892B2 (en) Device for monitoring sleeping individuals
US202402032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Life Signs of a Person
KR20120095053A (ko) 유아용 침대
KR101765805B1 (ko) 유아 감정상태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심리상태 분석 시스템과 스마트폰 연동 앱 개발
KR100376417B1 (ko) 감시시스템
KR20160055576A (ko) 영유아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제어방법
KR101623167B1 (ko) 신생아 모니터링 시스템
CN112712020A (zh) 睡眠监测方法、装置及系统
KR20190030508A (ko) 영유아 감시 장치
KR20170096901A (ko) 영유아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GB2571125A (en) Infant monitor apparatus
JP2006302173A (ja) 乳幼児監視装置
KR102019439B1 (ko)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
KR20150077846A (ko) 유아에 대한 안전 감시 시스템
KR101988155B1 (ko) 유아용 침대 관리 시스템
KR20120043976A (ko) 유아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장치 및 이를 갖춘 유모차
TW201407554A (zh) 電子設備及其監控方法
KR102053163B1 (ko) 다기능 유아 케어 시스템
KR101882382B1 (ko) 스마트 모빌 시스템
KR20200092063A (ko) 스마트 안전 요람
KR102431475B1 (ko) 유아의 보호자 호출을 위한 카메라장치와 그 방법
CA30877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life signs of a person
US20210358284A1 (en) Visible-light-image physiological monitoring system with thermal detecting assist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