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675U - 질식방지를 위한 유아용 보조 침구 - Google Patents

질식방지를 위한 유아용 보조 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675U
KR20000018675U KR2019990004823U KR19990004823U KR20000018675U KR 20000018675 U KR20000018675 U KR 20000018675U KR 2019990004823 U KR2019990004823 U KR 2019990004823U KR 19990004823 U KR19990004823 U KR 19990004823U KR 20000018675 U KR20000018675 U KR 200000186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infant
auxiliary
cushion body
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8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주
Original Assignee
이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주 filed Critical 이현주
Priority to KR20199900048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675U/ko
Publication of KR200000186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675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보조 침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의 등 부위 및 복부를 각각 받혀주는 쿠션부재를 서로 연결되게 구성하고, 유아가 상기 쿠션부재 사이에서 안정적인 자세로 비스듬히 누워 휴식 및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유아를 엎어놓은 상태로 보육할 경우 발생되는 질식현상이 방지되도록 한 질식방지를 위한 유아용 보조 침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3각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한면에 접착밴드를 구비하는 쿠션본체(10)와; 상기 쿠션본체(10)의 접착밴드와 결합될 수 있도록 부착띠(21)를 구비하며, 짧은 3각기둥 형상을 갖는 보조쿠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같은 구성에 의해 유아를 편안한 자세로 비스듬히 눕혀 보육할 수 있게 되므로, 유아를 엎어놓거나 똑바로 눕히는데 따른 유아의 질식 및 후두부가 납작해지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질식방지를 위한 유아용 보조 침구 {Assistance Bed for Preventing the Suffocation Accident of Children}
본 고안은 유아용 보조 침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의 등 부위와 복부를 각각 받혀주는 쿠션부재를 서로 연결되게 구성하여, 유아가 상기 쿠션부재 사이에서 안정적인 자세로 비스듬히 누워 휴식 및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유아를 엎어놓은 상태로 보육할 경우 발생되는 질식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질식방지를 위한 유아용 보조 침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후 1년 이내의 유아를 보육하는 가정의 경우, 자력으로 몸을 가누지 못하는 유아를 반듯한 자세로 장시간 눕혀놓을 시, 유아의 후두부가 바닥면에 눌려 납작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유아를 엎드린 자세로 눕혀놓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유아를 엎어놓을 경우, 유아의 흉부가 바닥면에 의해 압박을 받게 되므로 유아가 호흡곤란을 느끼게 되는 것이며, 나아가 발육기에 있는 유아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부모는 유아의 자세를 자주 바꿔줘야 하므로 번거로움이 따르는 것이며, 유아의 수면 중에 자세를 바꿀 경우 유아가 깨어나는 일이 종종 발생되어 유아의 수면에 방해가 되고, 부모는 깨어난 유아를 다시 재워야 하는 수고가 뒤따르는 것이다. 더욱이 부모의 부주의 등으로 인해 유아를 엎어놓은 상태로 장시간 방치할 경우, 스스로 몸을 가누지 못하는 유아는 계속되는 호흡곤란에 의한 질식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받이 및 등받이 기능을 수행하는 삼각기둥 형상의 쿠션부재를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양측에 구비하고, 유아가 상기 쿠션부재 사이에서 등 부위 및 복부가 받혀진 안정적인 자세로 비스듬히 누워 휴식 및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유아를 엎어 보육함에 따른 질식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질식방지를 위한 유아용 보조 침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유아를 돌아 눕혔을 경우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30: 쿠션본체 11: 쿠션부재 12: 방수커버 12a,13,22: 매직 테이프 20,40: 보조쿠션 21,41: 부착띠 42: 매직테이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3각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한면에 접착밴드를 구비하는 쿠션본체와; 상기 쿠션본체의 접착밴드와 결합될 수 있도록 부착띠를 구비하며, 짧은 3각기둥 형상을 갖는 보조쿠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쿠션본체가, 쿠션부재와, 그 외면을 감싸는 방수 피복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수 피복지의 일측에는 상기 쿠션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개봉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질식방지를 위한 유아용 패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질식방지를 위한 유아용 보조 침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유아를 돌아 눕혔을 경우의 사용상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쿠션본체(10)와, 부착띠(21)에 의해 상기 쿠션본체(10)와 연결되는 보조쿠션(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쿠션본체(10)는 눕혀진 3각기둥 형상이며, 이같이 3각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지므로써, 유아는 상기 쿠션본체(10)의 비스듬히 기울어진 일면에 등을 기대어 편안한 자세로 누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쿠션본체(10)는 유아의 체형을 고려하여 다양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쿠션본체(10)는, 3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쿠션부재(11)와, 상기 쿠션부재(11)의 외면을 감싸는 방수커버(12)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방수커버(12)의 일측에는 상기 쿠션부재(11)를 수납할 수 있도록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부에 봉합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방수커버(12)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봉합수단으로서 매직 테이프(12a)를 사용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봉합수단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이며, 일 예로서 지퍼(zipper)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쿠션부재(11)가 삽입된 상기 방수커버(12)의 저면 및 다른 일면, 즉 도면상의 "A"및 "B"면에는 소정 폭을 갖는 매직 테이프(13)가 각각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쿠션(20)은 크기 및 형상이 동일한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쿠션본체(10)와 같이 눕혀진 3각기둥 형상이되, 쿠션본체(10)에 비해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이같은 한쌍의 보조쿠션(20)에는 상기 쿠션본체(10)와 마찬가지로 방수커버가 각각 씌워지는 것이며, 그 저면에 서로 다른 부착띠(21)의 일측이 각각 고정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부착띠(21)의 타측에 매직 테이프(22)가 제공되고, 상기 매직 테이프(22)가 상기 방수커버(12)의 매직 테이프(13)에 결합되므로써, 상기 쿠션본체(10)와 보조쿠션(20)은 상기 부착띠(21)에 의해 일정거리 이격된 채 서로 평행하게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쿠션본체(10)와 보조쿠션(20)의 연결방식이 부착띠(21)에 의한 매직 테이프(13,22) 결합구조이므로, 상호간에 탈착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필요에 따라 하나의 보조쿠션(20)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본체(10)를 "A"면이 저면을 이루도록 위치시키고, 보조쿠션(20)이 도면상의 우측에 위치되도록 부착띠(21)를 상기 "A"면에 결합시키며, 이때, 별개의 부착띠(21)에 의해 상기 쿠션본체(10)의 "B"면에 결합된 또 하나의 보조쿠션(20)은 상기 쿠션본체(10)의 좌측으로 제쳐놓으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유아를 상기 쿠션본체(10) 및 보조쿠션(20)의 사이에 비스듬하게 눕히는 것이며, 이때 유아의 등 부위는 상기 쿠션본체(10)에 의해 받혀진 상태이고, 복부는 상기 보조쿠션(20)에 의해 받혀진 상태이므로, 유아는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휴식 및 수면을 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쿠션(20)은 유아의 복부만을 한정적으로 지지하므로 유아는 팔과 다리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 별도의 베개로 유아의 머리를 받혀주면 보다 편안한 자세로 수면을 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유아가 한쪽 방향으로만 장시간 누워있게 되면, 혈액순환이 원할히 이루어지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신체의 일측이 반대측에 비해 보다 자유로운 상태이므로 운동량이 편중되는 등 발육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누어있는 자세를 자주 바꿔줄 필요성이 있다.
이같은 필요성에 의해 유아의 자세를 바꿔줄 경우, 유아의 신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쿠션본체(10)를 도 2의 "P"방향으로 밀어줌과 동시에 좌측에 위치한 보조쿠션을 "Q"방향으로 펼쳐준다. 그러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본체(10)가 회전되어 "B"면이 저면을 이루게 되고, 상기 "B"면에 결합된 보조쿠션(20)은 펼쳐져 상기 쿠션본체(10)의 좌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유아는 누워있는 방향이 바뀌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쿠션본체(10) 및 보조쿠션(20) 사이에서 안정된 자세로 휴식 및 수면을 취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쿠션본체(10)의 "A"면에 결합된 보조쿠션(20)은 쿠션본체의 회전에 따라 당겨져 그 일면이 상기 "A"면에 접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쿠션본체(10) "A"면 및 "B"면과 상기 부착띠(21)와의 접촉면적을 달리하므로써, 상기 쿠션본체(10)와 보조쿠션(20)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눕혀지는 유아의 신체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본체(30)와 보조쿠션(40)이 각각 직각이등변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3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보조쿠션(40)이 상기 쿠션본체(30)에 비해 짧은 길이로 구성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쿠션본체(30)의 수직을 이루는 두 면 다시 말해 도면상의 "C"및 "D"면에 각기 다른 부착띠(41)의 일측이 매직테이프(42)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고, 이같은 부착띠(41)의 단부에 상기 보조쿠션(40)이 각각 고정되되, 그 빗면이 상기 쿠션본체(30)를 향하도록 되는 것이다.
이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쿠션본체(30)의 "C"면이 저면을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보조쿠션(40)의 빗면이 상기 쿠션본체(30)의 빗면과 마주보도록 부착띠(41)를 상기 "C"면에 결합시키고, 마주보는 두 빗면 사이에 유아를 비스듬히 눕히는 것이다. 이때, 다른 부착띠(41)에 의해 상기 쿠션본체(30)의 "D"면에 결합된 또 하나의 보조쿠션(40)은 반대측으로 젖혀놓는 것이며, 젖혀진 보조쿠션(40)의 수직을 이루는 두 면이 상기 쿠션본체(30)의 "D"면 및 바닥면과 맞닿게 되므로, 상기 쿠션본체(30)는 상기 보조쿠션(40)에 의해 측방향으로 밀림이 방지된 채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면서 유아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아의 자세를 바꿔줄 경우 앞에 서술한 일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면 되는 것으로서, 쿠션본체(30)를 도면상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D"면이 저면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보조쿠션(40)을 도면 상에 점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들어올리면서 부착띠(41)를 펼쳐주면, 보조쿠션(40)이 쿠션본체(30)의 빗면과 마주보는 상태로 좌측에 놓이게 되고, 유아는 자세가 바뀐 상태로 두 빗면 사이에 비스듬히 눕혀지는 것이다. 이때, 반대측의 보조쿠션(40)은 상기 쿠션본체(30)의 회전에 의한 부착띠의 당김동작에 따라 도면상의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수직을 이루는 두면이 상기 쿠션본체(30)의 "C"면 및 바닥면과 맞닿게 되므로서, 상기 쿠션본체(30)는 우측방향으로 밀림이 방지된 채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는 것이다.
상기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따른 질식방지를 위한 유아용 보조 침구에 의하여, 유아를 편안한 자세로 비스듬히 눕혀 보육할 수 있게 되므로, 유아를 엎어놓거나 똑바로 눕히는데 따른 유아의 질식사고 및 후두부가 납작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유아를 들지 않은 상태에서 누워있는 자세를 바꾸어줄 수 있으므로 보육인의 편의성이 향상시킬 수 있고, 방수커버의 세척이 용이하므로 위생상으로도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3각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한면에 접착밴드를 구비하는 쿠션본체와;
    상기 쿠션본체의 접착밴드와 결합될 수 있도록 부착띠를 구비하며, 짧은 3각기둥 형상을 갖는 보조쿠션;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식방지를 위한 유아용 보조 침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본체는, 쿠션부재와, 그 외면을 감싸는 방수 피복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식방지를 위한 유아용 보조 침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피복지는, 일측에 상기 쿠션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개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식방지를 위한 유아용 보조 침구.
KR2019990004823U 1999-03-25 1999-03-25 질식방지를 위한 유아용 보조 침구 KR2000001867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823U KR20000018675U (ko) 1999-03-25 1999-03-25 질식방지를 위한 유아용 보조 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823U KR20000018675U (ko) 1999-03-25 1999-03-25 질식방지를 위한 유아용 보조 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675U true KR20000018675U (ko) 2000-10-25

Family

ID=54760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823U KR20000018675U (ko) 1999-03-25 1999-03-25 질식방지를 위한 유아용 보조 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67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508A (ko) 2017-09-14 2019-03-22 박제중 영유아 감시 장치
KR102019439B1 (ko) 2018-05-18 2019-09-0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508A (ko) 2017-09-14 2019-03-22 박제중 영유아 감시 장치
KR102019439B1 (ko) 2018-05-18 2019-09-0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영유아 안전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카메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9418A (en) Body support for a baby
USRE40754E1 (en) Portable infant bed
US5193238A (en) Infant support pillow
US6877176B2 (en) Infant support system
US5822817A (en) Infant mattress system with sleeping recess
US5272780A (en) Infant support pillow
US3521309A (en) Crib sheet
US5216772A (en) Support pillow
US5347669A (en) Infant sleeping position restraint
EP1750556B1 (en) Infant support
US6381787B1 (en) Infant positioning device
US2700778A (en) Cover for infants' crib mattresses
US4178926A (en) Pediatric restraint device
US20180310637A1 (en) Therapeutic infant swaddling wrap
KR20000018675U (ko) 질식방지를 위한 유아용 보조 침구
KR200271294Y1 (ko) 다기능 쿠션
KR200475194Y1 (ko) 유아용 침구
KR20090059484A (ko) 유아용 다기능 침구
US20030041380A1 (en) Infant protective and support device and method
EP1051934A1 (en) A baby support mat
CN217885566U (zh) 一种婴儿床
CN210493470U (zh) 一种婴儿床垫
KR200407080Y1 (ko) 유아용 이부자리
KR200228112Y1 (ko) 어린이용 침구
KR20230043265A (ko) 쿠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속싸개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