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460B1 - 고형물 제거용 리프팅 가이드를 구비한 볼텍스 펌프 - Google Patents

고형물 제거용 리프팅 가이드를 구비한 볼텍스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460B1
KR101888460B1 KR1020180072469A KR20180072469A KR101888460B1 KR 101888460 B1 KR101888460 B1 KR 101888460B1 KR 1020180072469 A KR1020180072469 A KR 1020180072469A KR 20180072469 A KR20180072469 A KR 20180072469A KR 101888460 B1 KR101888460 B1 KR 101888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guide
pump casing
fluid
pump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원피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원피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원피앤피
Priority to KR1020180072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4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04D29/428Discharge tong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7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influencing the flow pattern, e.g. suppression of turbul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과 함께 토출하는 볼텍스 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물 제거용 리프팅 가이드를 구비한 볼텍스 펌프는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흡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펌프케이싱,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펌프케이싱의 흡입구로 흡입된 고형물이 상기 펌프케이싱의 바닥에 가라앉지 않고 부양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펌프케이싱의 내주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갈수록 상기 구동축과 평행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에 대해 수직으로 휘어지고, 동시에 설치되는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의 리프팅 가이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펌프케이싱 내로 유입된 유체에 포함된 고형물이 펌프케이싱 내에 쌓이거나 고착을 방지하여 펌프의 효율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형물 제거용 리프팅 가이드를 구비한 볼텍스 펌프{A Vortex pump with sludge removal lifting guide}
본 발명은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과 함께 토출하는 볼텍스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폐수조에는 오폐수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오폐수펌프가 설치되며, 오폐수조에는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이물질을 흡입하여 그대로 배출할 수 있는 볼텍스 펌프가 많이 설치된다.
이 볼텍스 펌프는 임펠러와 흡입구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펌프케이싱의 내부에 와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이물질을 포함한 상태에서 유체를 흡입하여 토출할 수 있다.
하지만, 볼텍스 펌프는 임펠러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가 균일하지 못하기 때문에 펌프케이싱의 내부에 이물질이 쌓일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고착되어 펌프의 효율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81456호(2017.9.26.공고)의 "슬러지 이송이 용이한 하수처리용 수중펌프"가 개시된 바가 있다.
종래의 슬러지 이송이 용이한 하수처리용 수중펌프는 하수가 흡입 및 토출되는 흡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펌프케이싱; 상기 펌프케이싱의 내부에서 회전하여 하수가 흡입 및 토출되도록 하는 임펠라; 상기 임펠라를 회전시키는 본체; 상기 토출구측에 배치되어서 토출되는 하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자르는 커터;를 포함하되, 상기 커터는 테두리링과, 상기 테두리링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고 유로의 방향에 정면으로 배열되어서 토출구를 통과하는 하수의 슬러지가 접촉되어 지나면서 잘리는 다수의 칼날을 포함하고, 상기 펌프케이싱의 내벽에는 유입되어 토출되는 하수가 분할되어 흐르도록 하는 스프릿이 돌출되어 형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슬러지 이송이 용이한 하수처리용 수중펌프는 유체의 유입 시 커터가 이물질을 잘라내어 이물질의 걸림없이 용이하게 배출하여 처리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슬러지 이송이 용이한 하수처리용 수중펌프는 펌프케이싱의 내측에 유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스프릿이 설치되더라도, 스프릿은 유체의 이동만 가이드할 뿐 펌프케이싱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없어 이물질의 쌓임과 고착에 따른 펌프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슬러지 이송이 용이한 하수처리용 수중펌프는 스프릿이 펌프케이싱에 일체로 형성되어 금형을 제작해야하는 등 제작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프릿에 이물질이 쌓이거나 고착되어 펌프의 효율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펌프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부양시켜 외부로 토출시킴으로써, 이물질의 쌓임 또는 고착에 따른 펌프의 효율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난류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펌프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설치가 용이하며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고형물 제거용 리프팅 가이드를 구비한 볼텍스 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물 제거용 리프팅 가이드를 구비한 볼텍스 펌프는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흡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펌프케이싱,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펌프케이싱의 흡입구로 흡입된 고형물이 상기 펌프케이싱의 바닥에 가라앉지 않고 부양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펌프케이싱의 내주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갈수록 상기 구동축과 평행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에 대해 수직으로 휘어지고, 동시에 설치되는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의 리프팅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리프팅 가이드는 상기 펌프케이싱에 고정되는 끝단에서 상기 리프팅 가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돌출되는 끼움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케이싱의 내주에 상기 리프팅 가이드가 설치될 부분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출부가 끼워져 상기 펌프케이싱에 상기 리프팅 가이드를 고정하는 끼움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돌출부는 상기 끼움가이드홈에 상기 끼움돌출부를 끼울 때 부피가 축소되도록 내부가 빈 가변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끼움가이드홈에 상기 끼움돌출부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가변공간을 확장시켜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변공간에 끼워지는 공간메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가이드는 상기 펌프케이싱에 설치된 상태에서 흡입되는 유체에 의해 요동되어 고형물을 제거하도록 가요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가이드는 상기 리프팅 가이드의 자유단이 무게를 가져 용이하게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펌프케이싱에 고정되는 끝단과 반대방향의 끝단에 무게를 가중시키는 요동조절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된 유체에 포함된 고형물이 리프팅 가이드에 의해 펌프케이싱의 내부에서 가라 앉는 것을 방지하여 고형물의 고착 또는 쌓임에 따른 펌프의 효율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프팅 가이드가 난류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펌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프팅 가이드가 가요성을 가져 흡입되는 유체에 의해 요동되어 리프팅 가이드에 이물질의 쌓임 및 고착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프팅 가이드에 요동조절체가 설치되어 리프팅 가이드의 요동에 따른 난류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리프팅 가이드가 펌프케이싱에 상호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고, 끼움돌출부에는 가변공간이 형성되어 결합이 서로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변공간에는 공간메움부재가 설치되어 펌프케이싱에 리프팅 가이드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리프팅 가이드는 가요성의 재료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물 제거용 리프팅 가이드를 구비한 볼텍스 펌프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물 제거용 리프팅 가이드를 구비한 볼텍스 펌프를 구성하는 펌프케이싱의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물 제거용 리프팅 가이드를 구비한 볼텍스 펌프를 구성하는 리프팅 가이드를 나타낸 펌프케이싱의 측단면도로서, (a)는 펌프케이싱의 0°방향을 절단한 측단면, (b)는 펌프케이싱의 90°방향을 절단한 측단면, (c)는 펌프케이싱의 180°방향을 절단한 측단면, (d)는 펌프케이싱의 270°방향을 절단한 측단면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물 제거용 리프팅 가이드를 구비한 볼텍스 펌프를 구성하는 리프팅 가이드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물 제거용 리프팅 가이드를 구비한 볼텍스 펌프를 구성하는 리프팅 가이드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항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물 제거용 리프팅 가이드를 구비한 볼텍스 펌프(100)는 임펠러(110), 펌프케이싱(130), 구동모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110)는 복수 개의 베인이 설치되어 회전하며 유체를 흡입하고, 토출할 수 있으며, 임펠러(110)는 중앙으로 유체를 흡입하고, 흡입된 유체를 둘레로 토출하는 원심형 임펠러(110)일 수 있다.
그리고, 펌프케이싱(130)은 임펠러(110)가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임펠러(110)의 유체가 흡입되는 부분과 마주하는 부분에는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131)가 형성되며, 임펠러(110)의 둘레로는 흡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13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볼텍스 펌프(100)는 펌프케이싱(130)의 흡입구(131)와 임펠러(110)가 이격되어 고형물(슬러지)이 포함된 유체를 흡입하여 그대로 배출할 수 있으며, 고형물은 오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일 수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120)는 펌프케이싱(130)에 설치되고 구동축이 임펠러(110)에 결합되어 임펠러(11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구동모터(120)는 모터케이싱에 감싸져 유체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물 제거용 리프팅 가이드를 구비한 볼텍스 펌프(100)는 리프팅 가이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리프팅 가이드(140)는 펌프케이싱(130)의 내측에 설치되어 펌프케이싱(130)으로 흡입된 유체에 포함된 고형물이 펌프케이싱(130)에 가라 앉아 쌓이거나 고착되어 펌프의 효율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리프팅 가이드(140)는 펌프케이싱(130)으로 유입된 유체에 포함된 고형물이 부양되어 토출구(133)로 토출할 수 있도록 펌프케이싱(13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팅 가이드(140)는 펌프케이싱(130)으로 유입된 고형물이 가라 앉지 않도록 부양시키는 형태로 고형물의 고착 및 고형물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리프팅 가이드(140)는 펌프케이싱(130)의 흡입구(131)에서 토출구(133)를 향해 유체가 회전할 대, 유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형태로 유체에 포함된 고형물을 부양시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리프팅 가이드(140)는 폭이 좁은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펌프케이싱(130)의 흡입구(131)에서부터 토출구(133)가 위치된 부분까지 펌프케이싱(13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팅 가이드(140)는 흡입구(131)로 흡입되는 유체가 펌프케이싱(130)의 내측에서 가이드되어 토출구(133)를 향해 토출될 때, 유체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흡입구(131)의 바닥에서 구동축과 평행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토출구(133)를 향해 갈수록 구동축과 수직되도록 휘어져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흡입구(131)로 흡입되는 유체는 펌프케이싱(130)의 내측에 가이드되어 흡입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토출구(133)로 이동경로가 변하면서 토출되기 때문에 리프팅 가이드(140)는 유체의 이동경로 상에서 유체와 직교되도록 흡입구(131)에서 구동축과 평행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토출구(133)로 갈수록 구동축과 직교되어 유체의 이동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유체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리프팅 가이드(140)는 구동축과 평행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토출구(133)를 향해갈수록 구동축과 수직됨과 동시에 흡입구(131)에서 토출구(133)로 갈수록 펌프케이싱(130)에 결합되는 부분이 점점 높이가 높아지는 나선형태로 형성되어 유체에 포함된 고형물이 바닥에 가라 앉지 않도록 부양시켜 배출할 수 있다(도 3 참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리프팅 가이드(140)는 토출구(133)의 중심축과 평행한 임펠러(110)의 중심축의 부분을 시작점으로 하여 토출구(133)를 향해 대략 270°의 각도로 펌프케이싱(13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팅 가이드(140)는 가요성을 갖는 재료 예컨대,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변형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펌프케이싱(130)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에 의해 자유단이 요동될 수 있다.
여기서, 리프팅 가이드(140)의 자유단 즉, 리프팅 가이드(140)에서 펌프케이싱(130)에 부착된 끝단의 반대방향에 위치된 끝단이 유체에 의해 요동되어 탄성변형되면서 리프팅 가이드(140) 및 펌프케이싱(1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고형물을 요동시켜 고형물의 고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리프팅 가이드(140)가 요동하는 크기는 크지 않더라도 리프팅 가이드(140)의 표면이 굴신되면서 고형물의 고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케이싱(130)에 부착되는 리프팅 가이드(140)의 끝단에는 양측으로 돌출되는 끼움돌출부(141)가 형성될 수 있으며, 펌프케이싱(130)에는 끼움돌출부(141)가 끼워지는 끼움가이드홈(135)이 형성되어 끼움돌출부(141)가 끼움가이드홈(135)에 끼워지는 형태로 펌프케이싱(130)에 리프팅 가이드(140)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끼움돌출부(141)는 탄성변형되어 끼움가이드홈(135)에 부피가 축소되면서 강제적으로 끼워지고, 끼움가이드홈(135)에 끼워진 상태에서 다시 형상이 복원되어 끼움가이드홈(135)에 끼움돌출부(141)가 걸쳐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끼움돌출부(141)에는 끼움가이드홈(135)에 끼움돌출부(141)를 끼울 때, 부피가 축소되어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가변공간(143)이 끼움돌출부(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끼움돌출부(141)가 끼움가이드홈(135)에 끼워진 상태에서 가변공간(143)에 의한 끼움돌출부(141)의 부피축소에 따라 끼움가이드홈(135)에서 끼움돌출부(14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간메움부재(145)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공간메움부재(145)는 예컨대, 금속성 와이어로 구현되어 펌프케이싱(130)에 리프팅 가이드(140)가 설치된 상태에서 리프팅 가이드(140)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삽입되어 가변공간(143)이 축소되지 않도록 메움으로써, 끼움가이드홈(135)에 끼워진 끼움돌출부(14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프팅 가이드(140)의 자유단 즉, 리프팅 가이드(140)가 펌프케이싱(130)에 부착되는 끝단과는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끝단에는 리프팅 가이드(140)가 유체의 충돌에 의해 쉽게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위해 무게를 증가시키는 요동조절체(147)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리프팅 가이드(140)의 자유단이 작은 힘에 의해서 요동될 경우에는 오히려 난류의 발생을 촉진하여 펌프의 효율이 하락될 우려가 있는데, 자유단에 요동조절체(147)가 설치될 경우, 중량을 갖기 때문에 일정 크기 압력 이상으로 유체가 유입될 때에만 리프팅 가이드(140)가 요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요동조절체(147)는 리프팅 가이드(140)를 성형시 리프팅 가이드(140)의 내측에 함께 삽입된 상태로 성형될 수 있으며, 리프팅 가이드(140)의 폭 또는 설치될 펌프의 용량에 따라 무게를 설정하여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요동조절체(147)는 리프팅 가이드(140)의 끝단에 무게를 가중시키기 때문에 펌프케이싱(130)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에 의해 쉽게 요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요동조절체(147)는 리프팅 가이드(140)의 끝단에 리프팅 가이드(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분할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리프팅 가이드(140)에는 분할된 요동조절체(147)의 사이마다 리프팅 가이드(140)의 끝단 부분을 절개하여 리프팅 가이드(140)의 요동이 억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절개홈(149)이 리프팅 가이드(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물 제거용 리프팅 가이드를 구비한 볼텍스 펌프(100)는 펌프케이싱(130)의 내측에 임펠러(110)가 설치되며, 임펠러(110)는 구동모터(120)의 구동축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펌프케이싱(130)의 내측에는 흡입구(131)의 바닥 둘레에서부터 토출구(133)가 위치된 부분까지 펌프케이싱(13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리프팅 가이드(140)가 설치된다.
이때, 리프팅 가이드(140)는 흡입구(131)에서 구동축과 평행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토출구(133)가 위치된 부분으로 갈수록 구동축과 수직을 이루도록 휘어지며, 흡입구(131)에서 토출구(133)로 갈수록 펌프케이싱(130)에 고정되는 높이가 점점 높아지도록 설치된다.
한편, 리프팅 가이드(140)는 펌프케이싱(130)에 결합되는 끝단 부분에는 양측으로 돌출되는 끼움돌출부(141)가 형성되며, 끼움돌출부(141)는 펌프케이싱(130)의 내측에 형성된 끼움가이드홈(135)에 억지끼움방식 또는 슬라이딩방식으로 끼워진다.
여기서, 끼움돌출부(141)에는 끼움가이드홈(135)에 끼움돌출부(141)를 억지끼움할 때 용이하게 탄성변형되어 압착되며 끼워지도록 가변공간(143)이 형성되며, 끼움돌출부(141)가 끼움가이드홈(135)에 끼워진 후에는 가변공간(143)이 축소되어 끼움가이드홈(135)에서 끼움돌출부(14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간메움부재(145)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팅 가이드(140)의 끝단에는 펌프의 토출력이 작을 때, 리프팅 가이드(140)가 용이하게 요동하여 난류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요동조절체(147)가 설치될 수 있으며, 요동조절체(147)는 펌프의 토출력 또는 리프팅 가이드(140)의 폭 또는 탄성변형에 따라 무게를 조절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리프팅 가이드(140)는 요동이 억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리프팅 가이드(140)를 복수 개로 절개하는 절개홈(149)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절개홈(149)에 고형물이 걸리더라도 리프팅 가이드(140)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요동하기 때문에 걸린 고형물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물 제거용 리프팅 가이드를 구비한 볼텍스 펌프(100)는 구동모터(120)가 회전하여 임펠러(110)를 회전시키면, 임펠러(110)에 의해 펌프케이싱(130)의 흡입구(131)로 유체가 흡입되어 토출구(133)를 통해 토출된다.
이때, 펌프케이싱(130)의 흡입구(131)와 임펠러(110)의 사이는 고형물이 지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기 때문에 유체에 고형물이 포함되더라도 고형물과 함께 유체를 흡입하여 토출구(133)로 토출할 수 있다.
한편, 임펠러(110)에 의해 흡입구(131)로 흡입되는 유체는 리프팅 가이드(140)에 의해 가이드되어 토출되는 기류를 형성하는 데, 리프팅 가이드(140)는 흡입구(131)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토출구(133)로 갈수록 점점 수평으로 휘어져 펌프케이싱(130)에서 흡입되어 토출되는 유체와 직교된 상태를 이뤄 유체의 저항을 최소화한 상태로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팅 가이드(140)는 흡입구(131)에서 토출구(133)로 갈수록 설치 위치가 점점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펌프케이싱(130)의 고형물이 가라 앉지 않고 펌프케이싱(130)에서 상부로 부양시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고형물의 쌓임이나 고착됨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리프팅 가이드(140)는 유체의 저항에 따라 요동될 수 있으며, 리프팅 가이드(140)의 끝단에는 요동조절체(147)에 의해 무게가 가중되기 때문에 요동조절체(147)를 움직일 수 있는 펌프의 토출력이 발생할 경우에만 리프팅 가이드(140)가 요동될 수 있다.
여기서, 리프팅 가이드(140)가 요동하면, 리프팅 가이드(140)의 표면이 굴신운동하면서 리프팅 가이드(140)에 쌓이거나,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물 제거용 리프팅 가이드를 구비한 볼텍스 펌프(100)는 리프팅 가이드(140)에 의해 펌프케이싱(130) 내부에서 고형물을 부양시킴으로써, 고형물의 고착 및 쌓임에 따른 펌프의 효율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프팅 가이드(140)가 고형물의 쌓임을 방지하는 동시에 유체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난류의 발생을 감소시킴으로써, 펌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프팅 가이드(140)가 요동함에 따라 고착된 고형물을 제거함과 동시에 고형물의 쌓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끼움돌출부(141)에 가변공간(143)이 형성되어 리프팅 가이드(140)의 끼움돌출부(141)를 펌프케이싱(130)의 끼움가이드홈(135)에 용이하게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변공간(143)에 공간메움부재(145)를 끼워 끼움돌출부(141)가 끼움가이드홈(135)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리프팅 가이드(140)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고형물 제거용 리프팅 가이드를 구비한 볼텍스 펌프
110: 임펠러 120: 구동모터
130: 펌프케이싱 131: 흡입구
133: 토출구 135: 끼움가이드홈
140: 리프팅 가이드 141: 끼움돌출부
143: 가변공간 145: 공간메움부재
147: 요동조절체 149: 절개홈

Claims (5)

  1.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흡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펌프케이싱,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펌프케이싱의 흡입구로 흡입된 고형물이 상기 펌프케이싱의 바닥에 가라앉지 않고 부양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펌프케이싱의 내주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갈수록 상기 구동축과 평행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에 대해 수직으로 휘어지고, 동시에 설치되는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의 리프팅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제거용 리프팅 가이드를 구비한 볼텍스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가이드는
    상기 펌프케이싱에 고정되는 끝단에서 상기 리프팅 가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돌출되는 끼움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케이싱의 내주에 상기 리프팅 가이드가 설치될 부분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출부가 끼워져 상기 펌프케이싱에 상기 리프팅 가이드를 고정하는 끼움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제거용 리프팅 가이드를 구비한 볼텍스 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출부는
    상기 끼움가이드홈에 상기 끼움돌출부를 끼울 때 부피가 축소되도록 내부가 빈 가변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끼움가이드홈에 상기 끼움돌출부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가변공간을 확장시켜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변공간에 끼워지는 공간메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제거용 리프팅 가이드를 구비한 볼텍스 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가이드는 상기 펌프케이싱에 설치된 상태에서 흡입되는 유체에 의해 요동되어 고형물을 제거하도록 가요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제거용 리프팅 가이드를 구비한 볼텍스 펌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가이드는
    상기 리프팅 가이드의 자유단이 무게를 가져 용이하게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펌프케이싱에 고정되는 끝단과 반대방향의 끝단에 무게를 가중시키는 요동조절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제거용 리프팅 가이드를 구비한 볼텍스 펌프.
KR1020180072469A 2018-06-25 2018-06-25 고형물 제거용 리프팅 가이드를 구비한 볼텍스 펌프 KR101888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469A KR101888460B1 (ko) 2018-06-25 2018-06-25 고형물 제거용 리프팅 가이드를 구비한 볼텍스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469A KR101888460B1 (ko) 2018-06-25 2018-06-25 고형물 제거용 리프팅 가이드를 구비한 볼텍스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8460B1 true KR101888460B1 (ko) 2018-08-16

Family

ID=6344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469A KR101888460B1 (ko) 2018-06-25 2018-06-25 고형물 제거용 리프팅 가이드를 구비한 볼텍스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4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456B1 (ko) * 2016-06-16 2017-09-26 엔에스하이드로(주) 슬러지 이송이 용이한 하수처리용 수중펌프
KR101804111B1 (ko) * 2017-03-30 2017-12-04 주식회사 가나엔텍 이물질 제거 가능한 펌프를 구비하는 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456B1 (ko) * 2016-06-16 2017-09-26 엔에스하이드로(주) 슬러지 이송이 용이한 하수처리용 수중펌프
KR101804111B1 (ko) * 2017-03-30 2017-12-04 주식회사 가나엔텍 이물질 제거 가능한 펌프를 구비하는 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936C (zh) 排水泵
SE527818C2 (sv) Pump för pumpning av förorenad vätska
KR101737420B1 (ko) 수중 슬러지 이송용 펌프 임펠러
CN109404296B (zh) 一种农田灌溉用离心泵
KR101796702B1 (ko) 펌프용 임펠러
KR101888460B1 (ko) 고형물 제거용 리프팅 가이드를 구비한 볼텍스 펌프
KR101836455B1 (ko) 펌프용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펌프
JP4609939B2 (ja) 遠心ポンプ用羽根車及びそれを備えた遠心ポンプ
KR101921266B1 (ko) 선회류 발생날개에 의해 흡입성능을 향상시킨 흡입콘 및 이를 구비한 펌프
KR101898675B1 (ko) 스프르트 펌프용 임펠러
KR101596902B1 (ko) 흡입성능을 개선한 펌프의 흡입커버 및 이를 구비한 펌프
KR100724234B1 (ko) 드레인 펌프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
JP2007032037A (ja) 横軸ポンプ、ポンプゲート設備、排水機場
CN1788165B (zh) 排水泵及具有该排水泵的空气调节装置
JPH0730751B2 (ja) ポンプ
KR101921267B1 (ko) 가이드케이싱에 의해 집수정의 슬러지 제거가 가능한 펌프
JP2005248732A (ja) ドレンポンプ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JP5322459B2 (ja) 先行待機運転ポンプ及びその運転方法
CN220622247U (zh) 具有排水及排污功能的泵
JP2021025521A (ja) 水中ポンプとその設備
CN113316689B (zh) 排水泵用旋转叶片及具有该排水泵用旋转叶片的排水泵
JP2547809Y2 (ja) ポンプ装置
KR102524836B1 (ko) 보조날개부를 구비한 밸런스형 임펠러
JP2005226549A (ja) ドレンポンプ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JP2008116111A (ja) ドレンア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