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182B1 - 해수 또는 염수에 용해된 염의 농축 방법 - Google Patents
해수 또는 염수에 용해된 염의 농축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8182B1 KR101888182B1 KR1020160178150A KR20160178150A KR101888182B1 KR 101888182 B1 KR101888182 B1 KR 101888182B1 KR 1020160178150 A KR1020160178150 A KR 1020160178150A KR 20160178150 A KR20160178150 A KR 20160178150A KR 101888182 B1 KR101888182 B1 KR 1018881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lt
- seawater
- density
- concentration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0011—Heating features
- B01D1/0029—Use of radiation
- B01D1/0035—Solar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easonings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의 농축 방법은 해수 또는 염수의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성분 분석으로 각 침전물이 구분되는 밀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해수 또는 염수의 물을 제거하면서 제1 밀도에서 제1 산출물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해수 또는 염수의 물을 제거하면서 제1 밀도보다 높은 제2 밀도에서 제2 산출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수 또는 염수에 용해된 염의 농축 방법에 대한 것이다.
리튬은 희소금속 중에서도 향후에 있을 기후변화에 대한 협약 및 첨단 IT 기술 발전에 따른 친환경 전기자동차, 소형 가전제품 등의 산업의 발전에 따라 크게 사용양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물질이다.
현재 리튬을 얻을 수 있는 가장 경제적인 방법은 우유니 염호와 같이 리튬농도가 높은 염호에서 증발을 통하여 염을 획득하는 방법이며 현재 대규모의 염호가 발견된 볼리비아, 칠레, 아르헨티나 등 지역에 전세계 리튬 매장량의 75% 가량이 있고 대부분의 생산이 염호에서 바탕한 방법이다.
염수를 증발하여 탄산리튬을 정제하기 위해서는 크게 다섯 단계의 과정을 거치는데 1단계에서 소금(염화나트륨: NaCl)을 얻고, 2단계에서는 대표적으로 염화칼륨(KCl)을 얻으며, 이는 비료로 사용된다. 3단계에서 Carnallite(화학성분은 KCl·MgCl2·6H2O)등을 얻고, 이를 처리해서 황산칼륨(K2SO4)을 얻는다. 4단계에서는 Borate(붕산염)를 얻고, 이를 처리하여 붕산(H3BO3)을 얻는다. 5단계에서는 소다회를 넣어 탄산리튬(Li2CO3)의 형태로 생산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얻으면 최종적으로 탄산리튬이 얻어지고, 그 과정에서 다량의 소금과 염화칼륨 등이 산출되는데 이들의 양이 탄산리튬의 양의 최소 20배 이상이므로 이들에 대한 효과적인 분리 및 농축이 필요하다. 또한 리튬을 일반적인 자연증발 방식의 염전 건조 방법으로 얻지 않을 경우 상기 단계의 중간에서 리튬 화합물을 획득하게 되므로 위에서 언급한 다섯 단계에서 어긋난 거동을 보이게 된다.
또한 염수 중에 있는 각 원소가 증발 도중에 침전으로 증발폰드 바닥에 떨어질 때에 특정한 화합물의 경우 리튬 화합물이 같이 침전되거나 광물 속에 같이 존재하게 된다. 리튬의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들 화합물을 구분하여 얻은 뒤 리튬을 재회수하는 방법을 사용해야 하며 각각의 화합물마다 리튬함유의 정도가 다르므로 리튬 화합물의 수십배 이상, 일반적으로 100배 이상의 질량을 가지는 모든 증발폰드의 염에서 리튬을 재회수하는 것이 아니라 전략적으로 선택을 해야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염수 또는 해수의 조성에 따라 증발을 통해 얻게 되는 화합물의 종류가 다르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조성에 따라 다른 방식의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해수에서 얻는 염은 염전을 이용하여 해수를 증발한 경우(천일염), 광물로서 얻는 경우(암염) 모두 염화나트륨을 중심으로 하였다. 단, 건강을 중요시하고 나트륨을 줄이려는 식생활이 주목을 받으면서 해수 내에 있는 다른 염을 소금에 넣고 차별화하는 것에 대하여 산업적인 수요가 생기고 있으나, 국내에는 해수 이외의 조성을 대상으로 한 침전에 대한 연구가 적은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염의 분리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NaCl 이외에 KCl 등의 다른 형태의 염을 보다 순수한 형태로 얻을 수 있는 해수 또는 염수로부터 염을 농축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의 농축 방법은 해수 또는 염수의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성분 분석으로 각 침전물이 구분되는 밀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해수 또는 염수의 물을 제거하면서 제1 밀도에서 제1 산출물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해수 또는 염수의 물을 제거하면서 제1 밀도보다 높은 제2 밀도에서 제2 산출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해수 또는 염수의 물을 제거하면서, 상기 제2 밀도보다 높은 제n 밀도에서 제n 산출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n은 3 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
상기 해수 또는 염수의 물의 제거는, 태양광 또는 인공광을 이용한 증발, 감압 증발, 또는 흡습제를 이용한 탈수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성분 분석으로 각 침전물이 구분되는 밀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용해도 및 열역학적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해수 또는 염수의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에서의 해수 또는 염수는 Cl 농도가 SO4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2배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해수 또는 염수의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에서, 상기 해수 또는 염수의 pH는 9 내지 11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해수 또는 염수의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에서의 해수 또는 염수는 전체 염의 농도 합이 250 g/L 이상, SO4의 농도가 40 g/L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해수 또는 염수의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에서의 해수 또는 염수의 pH는 9 내지 11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 밀도는 1.20 g/cc 내지 1.28 g/cc이고, 상기 제1 침전물은 K3Na(SO4)2일 수 있다.
상기 제2 밀도는 1.30 g/cc 이상이고, 상기 제2 침전물은 KCl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의 농축 방법은 염수 또는 해수의 초기 농도를 이용하여 밀도에 따른 용해도 차이를 이용, NaCl 이외에 KCl 등의 다른 형태의 염을 보다 순수한 형태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염으로 석출되지 않고 남은 농축 염수/해수에는 Br, Sr, Li 등 미량원소의 함량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추가의 유용한 원소를 추출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의 농축 방법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공정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염의 농축 방법에서 제1 밀도에서 제1 산출물, 제2 밀도에서 제2 산출물이 수득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염수의 농도에 따른 석출량을 계산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염의 석출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비교예 1에 따른 염의 석출을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실시예 2 에 따른 염의 석출을 나타낸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비교예 2에 따른 염의 석출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염의 농축 방법에서 제1 밀도에서 제1 산출물, 제2 밀도에서 제2 산출물이 수득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염수의 농도에 따른 석출량을 계산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염의 석출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비교예 1에 따른 염의 석출을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실시예 2 에 따른 염의 석출을 나타낸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비교예 2에 따른 염의 석출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의 농축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해수 또는 염수 중의 물을 없애면 용해도의 차이에 따라 특정 종류의 염이 생성되며, 남아있는 해수 또는 염수 중에는 염으로 침전된 원소의 함량을 제외한 물질이 남아있게 된다. 이들의 농도는 사라진 물의 양만큼 증가하기 때문에 특정원소를 첨가하거나 제거하는 효과가 나타나며 이를 이용하면 농축되는 정도의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시기에 결정화가 가능하며,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을 토대로 한다.
일반적으로 해수 및 염수 내에 있는 염의 양의 차이가 크다. 바다의 경우에는 평균 35g/L의 염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수온 및 유입담수의 양에 따라 31 ~ 38 g/L의 농도가 있으며 염수의 경우에는 바다보다 묽은 것이 있는 반면 사해(340g/L)와 같이 바다의 몇 배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또한, 해수 및 염수 내에 있는 염은 양 뿐만 아니라 종류도 차이가 크다.
하기 표 1은 해수 내 각종 이온의 비율을, 하기 표 2는 사해 내 각종 이온의 율을 나타낸 것이다.
원소 | Cl | Na | Mg | S | Ca |
함량(wt.%) | 58.08 | 32.34 | 3.87 | 2.72 | 1.20 |
원소 | Cl | Mg | Na | Ca | K |
함량(wt.%) | 67.76 | 13.50 | 10.76 | 5.18 | 2.29 |
따라서 조성에 따라서 얻을 수 있는 염의 종류가 다르며 원하는 물질을 얻기 위한 조건이 다르다. 해수의 경우 Cl과 Na가 전체 이온의 90.4%를 차지하므로 증발시킬 경우 대부분 염화 나트륨이 얻어지지만 염수의 경우에는 염화나트륨 이외의 물질이 얻어질 확률이 높으며 특정 금속 이온이 주종을 이루지 않으므로 여러 종류의 염이 생성된다. 예를 들어, 사해는 Mg, Na의 염이 비슷한 양으로 얻어지며 그 절반 정도의 Ca의 염이 생성된다. 이를 정제로 분리하는 것에는 많은 비용과 에너지가 소모되므로 농축 과정에서 유용한 염을 분리하여 농축하고자 한다.
즉, 본 기재에 따른 염의 농축 방법은 해수 또는 염수의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성분 분석으로 각 침전물이 구분되는 밀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해수 또는 염수의 물을 제거하면서 제1 밀도에서 제1 산출물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해수 또는 염수의 물을 제거하면서 제1 밀도보다 높은 제2 밀도에서 제2 산출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기재에 따른 염의 농축 방법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공정 흐름도이다.
즉, 본 기재에 따른 염의 농축 공정은 염수 또는 해수의 초기 농도를 이용하여 밀도에 따른 용해도 차이를 이용한다. 염수 또는 해수의 초기농도를 알고 있다면 이들은 처음으로 염이 떨어질 때까지는 증발 과정에서 일정한 비율로 농도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후 특정 이온쌍의 농도곱이 용해도에 이르렀을 때 해당하는 이온쌍의 침전이 이루어지며 두 이온이 같은 농도가 아니기 때문에 하나의 이온종은 침전으로 감소하는 양이 더 많아서 농도가 감소하고 다른 이온종(ion species)은 농축으로 증가하는 양이 더 많아서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하나의 염이 떨어지는 상태에서 계속 농축이 되면 또 다른 이온쌍의 농도가 용해도에 도달하게 된다. 이는 앞서 침전이 생진 이온쌍과 전혀 별개의 물질일 수도 있으며 앞서 침전이 생긴 이온쌍 중 점차 농도가 증가하는 이온종을 포함하는 경우일 수도 있다. 일반적인 염수 또는 해수의 경우 Cl 농도가 가장 높으므로 첫번째로 침전이 생기는 염, 두번째로 침전이 생기는 염, 그리고 그 이후도 일반적인 경우 Cl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기 ?문에, 이 과정에서 농도 및 증발속도를 잘 조절할 경우 하나 또는 두 가지의 이온쌍을 선택적으로 침전시킬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밀도 조절에 따른 이온쌍의 선택적 침전을 이용한 것이다.
그러면 먼저 해수 또는 염수의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농축하여 얻으려는 염이 들어있는 해수/염수를 저장하고 성분을 분석한다. 이때 성분 분석은 Na, Cl을 포함하여 염에 들어있는 주요 원소의 함량을 분석하며, 이때 목표로 하는 물질보다 더 높은 함량이 있는 물질은 모두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Br을 얻고자 하면 Br 뿐 아니라 Br보다 많이 함유된 Cl, SO4, CO3의 농도도 같이 분석한다. 이때, 일례로 해수 또는 염수의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에서의 해수 또는 염수는 Cl 농도가 SO4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2배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 또는 염수의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에서, 상기 해수 또는 염수의 pH는 9 내지 11로 조절될 수 있다. 이렇게 pH를 조절하는 경우 염을 보다 효과적으로, 단계적으로 석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다음, 상기 성분 분석으로 각 침전물이 구분되는 밀도를 산출한다. 이는 원하는 염을 순수한 형태로 얻기 위한 밀도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이 과정에서 용해도 지식뿐 아니라 열역학적 data를 이용하며 용해된 이온의 활성도를 효과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다음, 상기 해수 또는 염수의 물을 제거하면서 제1 밀도에서 제1 산출물을 분리한다. 이때 물의 제거는 탈수 또는 농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해수 또는 염수에 있는 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태양광, 인조광, 흡습제, 감압증발, 진공 중 분사, 냉동 등의 방법이 가능하다.
다음, 상기 해수 또는 염수의 물을 제거하면서 제1 밀도보다 높은 제2 밀도에서 제2 산출물을 분리한다.
이때, 제1 산출물의 분리와 제2 산출물의 분리는 서로 다른 공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염의 농축 방법에서 제1 밀도에서 제1 산출물, 제2 밀도에서 제2 산출물이 수득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즉 앞 단계에서 산출된 밀도에 따라 구분하며 탈수/농축을 진행하며, 낮은 밀도에서 석출되는 염과 높은 밀도에서 석출되는 염을 서로 다른 공간에서 획득하고, 염으로 석출되지 않고 남은 농축 염수 또는 해수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재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도뿐만 아니라 pH를 조절하여 염을 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염의 농축 방법은 전체 염의 농도합이 250g/L 이상, SO4의 농도가 40 g/L 이상인 해수 또는 염수를 준비한다. 이때, 약간의 염기를 추가하여 해수 또는 염수의 pH를 9 내지 11로 조절한다. 다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을 증발시키면서, 농도에 따라 염을 농축하는 경우, 제1 밀도인 1.20 g/cc 내지 1.28 g/cc에서, 제1 침전물인 K3Na(SO4)2인 염이 농축된다. 또한 지속적으로 물을 증발시키면서 밀도를 높이는 경우, 제2 밀도인 1.30 g/cc 이상에서 제2 침전물인 KCl을 포함하는 염이 농축된다.
그러면 이하에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기재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의 농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하기 표 3과 같은 조건을 갖는 염수를 준비하였다. 다음 침전물인 NaCl, KCl, K3Na(SO4)2에 대하여 열역학 계산(Pitzer model식)을 통해 농도에 따른 석출량을 계산하고, 이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원소 | Cl | Na | K | SO4 | B | PO4 |
함량(g/L) | 168.4 | 100.0 | 22.0 | 5.76 | 2.565 | 0.79 |
그 결과, 밀도 1.22 까지는 NaCl이 주로 얻어지고, 밀도 1.24까지는 NaCl + KCl 이 얻어지며, 이후 K3Na(SO4)2 침전이 시작될 것을 예상할 수 있었다.
이후, 본 기재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침전을 수행하였다. 밀도 1.22에서 침전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실험 전 예상한 침전된 염의 분율은 NaCl 98.36 % / KCl 0.44 % / K3Na(SO4)2 0.54 % / Na2B(OH)4Cl 0.66 % 이었으며, 실험 결과 NaCl의 단일상을 98% 이상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 밀도 1.23까지인 2번째 구간에서 침전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계산한 바와 같이, NaCl과 KCl 만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을 갖는 염수에 대하여, 밀도에 따른 단계적 석출 없이 단일 공정으로 농축하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NaCl 약 73.17 % / KCl 약 7.24 % / K3Na(SO4)2 약 7.02 % / Na2B(OH)4Cl 약 12.58%과 같이 여러 개의 염의 섞여서 농축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Ca, Mg를 화학적으로 제거한 뒤 농축하여 하기 표 4와 같은 조성을 갖는 농축염수를 준비하였다.
원소 | Cl | Na | K | SO4 | B | Li |
함량(g/L) | 140 | 80 | 55 | 55 | 3.6 | 1.2 |
상기 조성에 대하여 약간의 염기를 추가하여 pH를 10.2로 맞춘 뒤 침전 반응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의 결과를 바탕으로 침전량 비율로 환산하여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7 및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밀도 1.24 g/cc 내지 1.28g/cc 구간에서는 Glaserite(K3Na(SO4)2)가 많이 침전되고, 그 이후에 Halite(NaCl)이 추가로 나오는 구간이 존재하며, 밀도가 1.30 g/cc 이상이 되도록 농축을 시키면 Glaserite, Halite 이외에 Sylvite(KCl)이 침전되는 구간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램프를 사용하여 증발을 진행한 결과 액체의 온도가 45도가 되도록 가열할 경우 하루 8시간 증발 기준으로 밀도 1.24 g/cc에서 1.28 g/cc까지 10일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공정상으로 침전을 분리할 수 있는 시간이 충분히 존재한다는 것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침전량의 비율로 나누면 밀도 1.28 g/cc 이하의 영역에서는 Glaserite가 대부분이며 1.28g/cc 내지 1.31 g/cc에서는 Glaserite와 Halite가 침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중 유용한 Glaserite를 얻기 위해서는 Glaserite와 Halite의 혼합 석출물을 Na2SO4 포화용액에 녹이면 용해도의 차이로 K3Na(SO4)2만이 침전되어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밀도 1.32 이상에서는 침전물 중 K3Na(SO4)2의 양이 적어지고 KCl의 양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때 NaCl 포화용액에서 침전물로 남아있는 NaCl, KCl 에 대해 부유선별을 하면 유용한 염인 KCl을 선택적으로 얻을 수 있다.
비교예
2
실시예 2와 동일한 조성을 갖는 염수에 대하여, pH 조건만 7.0으로 변경하여 동일한 실험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의 결과를 바탕으로 침전량 비율로 환산하여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로 하면, 밀도 1.24 g/cc 내지 1.25 g/cc에서는 Glaserite만이 침전되나 1.25 g/cc 이상이 되면 바로 Halite가 침전되기 시작하며 그보다 높은 밀도에서는 저가의 NaCl을 제외한 Glaserite, Sylvite의 비율이 50%에 이르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실험에서는 밀도 1.24 g/cc 내지 1.25 g/cc 영역에서 Glaserite가 얻어졌으나 밀도 0.01은 염의 세부 조성에 따라 쉽게 변동되는 구간이므로 실제로 Glaserite를 선택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농축 침전을 진행할 때 밀도만을 가지고 1.24 내지 1.25 g/cc 영역에서 Glaserite를 얻는 것은 효율이 매우 낮다. 따라서 염수의 세부 조성 때문에 Halite의 침전되는 지점이 조금 일찍 나타나면 Glaserite와 Halite 사이의 분리 공정이 추가되어야 하며 만약 염수의 세부 조성 때문에 Glaserite가 침전되는 지점이 조금 더 늦게 나온다면 1.24 내지 1.25 g/cc 영역에서 얻을 수 있는 침전의 양이 적어지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이 영역에서는 밀도만 가지고 침전을 분리하는 공정이 불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만일 세부 조성의 변동 없이 언제나 1.24 g/cc 내지 1.25 g/cc의 밀도에서 Glaserite만이 침전된다고 가정하여도 램프를 사용하여 증발을 진행한 결과 액체의 온도가 45도일 때 기준으로 하루 8시간 증발 기준으로 2일 이내에 밀도 1.24 g/cc에서 1.25 g/cc에 도달한다. 따라서 침전이 가능한 구간이 매우 짧아서 대규모 공정을 진행할 수 없고 연속적으로 액체를 농축하면서 염을 제거하여 유용한 염을 제거할 공정을 꾸밀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이상과 같이 본 기재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의 농축 방법은 NaCl 이외에 KCl 등의 다른 형태의 염을 보다 순수한 형태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한 염을 분리할 데 효율이 높다. 또한, 염으로 석출되지 않고 남은 농축 염수/해수에는 Br, Sr, Li 등 미량원소의 함량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추가의 유용한 원소를 추출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즉, 저가의 NaCl 대신 K3Na(SO4)2를 넓은 밀도 범위에 걸쳐서 수득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 해수 또는 염수의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성분 분석으로 각 침전물이 구분되는 밀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해수 또는 염수의 물을 제거하면서 제1 밀도에서 제1 산출물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해수 또는 염수의 물을 제거하면서 제1 밀도보다 높은 제2 밀도에서 제2 산출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밀도는 1.24 g/cc 내지 1.28 g/cc이고, 상기 제1 산출물은 K3Na(SO4)2이고,
상기 제2 밀도는 1.30 g/cc 이상이고, 상기 제2 산출물은 KCl을 포함하는 염의 농축 방법. - 제1항에서,
상기 해수 또는 염수의 물을 제거하면서, 상기 제2 밀도보다 높은 제n 밀도에서 제n 산출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n은 3 이상의 자연수인 염의 농축 방법. - 제1항에서,
상기 해수 또는 염수의 물의 제거는, 태양광 또는 인공광을 이용한 증발, 감압 증발, 또는 흡습제를 이용한 탈수로 수행되는 염의 농축 방법. - 제1항에서,
상기 성분 분석으로 각 침전물이 구분되는 밀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용해도 및 열역학적 데이터를 이용하는 염의 농축 방법. - 제1항에서,
상기 해수 또는 염수의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에서의 해수 또는 염수내의 Cl 농도가 SO4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2배 이상인 염의 농축 방법. - 제5항에서,
상기 해수 또는 염수의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에서, 상기 해수 또는 염수의 pH는 9 내지 11로 조절된 염의 농축 방법. - 제1항에서,
상기 해수 또는 염수의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에서의 해수 또는 염수는 전체 염의 농도 합이 250g/L 이상, SO4의 농도가 40 g/L 이상인 염의 농축 방법. - 제7항에서,
상기 해수 또는 염수의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에서의 해수 또는 염수의 pH는 9 내지 11로 조절된 염의 농축 방법.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8150A KR101888182B1 (ko) | 2016-12-23 | 2016-12-23 | 해수 또는 염수에 용해된 염의 농축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8150A KR101888182B1 (ko) | 2016-12-23 | 2016-12-23 | 해수 또는 염수에 용해된 염의 농축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4249A KR20180074249A (ko) | 2018-07-03 |
KR101888182B1 true KR101888182B1 (ko) | 2018-09-11 |
Family
ID=62918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78150A KR101888182B1 (ko) | 2016-12-23 | 2016-12-23 | 해수 또는 염수에 용해된 염의 농축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818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80677B1 (ko) * | 2020-12-04 | 2023-09-19 | 강태곤 | 고형 염분이 제거된 고농축 액상미네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농축 액상미네랄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8890B1 (ko) * | 2010-08-10 | 2013-03-04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염수를 이용한 탄산리튬 제조방법 |
CN103889899B (zh) * | 2011-12-29 | 2016-09-07 | 科学与工业研究委员会 | 制备用于海水替代、矿物质强化的天然盐制剂的方法 |
KR101844827B1 (ko) * | 2015-02-10 | 2018-04-04 | (주)오씨아드 | 해수에서 칼슘염, 마그네슘염, 칼륨염, 나트륨염을 해수의 농도의 변화에 따라 미네랄이 결정화되는 시기의 차이를 이용 선택적으로 분리 추출하는 방법 및 제조된 제품 |
-
2016
- 2016-12-23 KR KR1020160178150A patent/KR101888182B1/ko active IP Right Grant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LIU et al, Asian Journal of Chemistry, Vol. 27, No. 2(2015), pp. 591~59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4249A (ko) | 2018-07-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Sharkh et al. | Seawater desalination concentrate—a new frontier for sustainable mining of valuable minerals | |
US11920211B2 (en) | Method for obtaining concentrated brine of minimum impurity content from brine found in natural salt flats and salt marshes, said method having minimum environmental impact and maximum lithium recovery | |
CN103074502B (zh) | 用于从高镁锂比的盐湖卤水分离锂的盐湖卤水处理方法 | |
US8603192B2 (en) | Selective salt recovery from mixed salt brine | |
US12018347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recovering lithium from brines | |
US20220144655A1 (en) | Method for concentrating and purifying eluate brine for the production of a purified lithium compound | |
CA3136247C (en) | Systems and methods for recovering lithium from brines | |
Bagastyo et al. | Resource recovery and utilization of bittern wastewater from salt production: a review of recovery technologies and their potential applications | |
US3268289A (en) | Recovery of lithium from brines | |
CN104477944A (zh) | 一种从氯碱工业淡盐水中制取元明粉的工艺 | |
CN100478278C (zh) | 利用油田卤水制取碳酸锂的方法 | |
KR101888182B1 (ko) | 해수 또는 염수에 용해된 염의 농축 방법 | |
KR101889457B1 (ko) | 수산화 리튬 수용액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탄산 리튬의 제조 방법 | |
CN101475270A (zh) | 一种淡盐水膜法脱硝方法 | |
US20200231511A1 (en) | Carbon dioxide mediated recovery of potassium compounds from brines | |
Valdez et al. | Influence of the evaporation rate over lithium recovery from brines | |
CN202936209U (zh) | 芒硝型卤水机械蒸汽再压缩法盐硝联产装置 | |
CN110606499A (zh) | 一种含锂盐湖卤水提锂组合装置 | |
Lwanyaga et al. | Thermodynamic modeling of Lake Katwe brine for industrial salt production | |
CN111635999A (zh) | 一种含锂卤水中提取锂并制备氢氧化锂的方法 | |
US11802051B2 (en) | Lithium recovery from borax dilute solutions | |
Drioli et al. | Water, energy and minerals from the sea | |
US6197152B1 (en) | Process and apparatus for recovery of lithium in a helminthoid evaporator | |
KR102513871B1 (ko) | 고농축 해수 미네랄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20180135743A (ko) | 해수 또는 염수 내 염의 추출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