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121B1 - 맞춤형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맞춤형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121B1
KR101888121B1 KR1020180016767A KR20180016767A KR101888121B1 KR 101888121 B1 KR101888121 B1 KR 101888121B1 KR 1020180016767 A KR1020180016767 A KR 1020180016767A KR 20180016767 A KR20180016767 A KR 20180016767A KR 101888121 B1 KR101888121 B1 KR 101888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oil
drum
conveyor
class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욱
Original Assignee
우림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림종합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림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6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2Extraction using liquids, e.g. washing, leaching,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유류로 오염된 토양에서 유류를 분류하여 정화하는 맞춤형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시스템으로서, 드럼 형상의 회전체로서, 일정각도 기울어져 배치되어 일측에 형성된 주입구로 주입된 토양이 타측에 형성된 배출구로 이동하되, 상기 토양이 이동 중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홀로 상기 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토양은 빠져 나가고, 상기 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토양은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드럼선별기; 상기 드럼선별기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홀로 빠져나온 토양을 전달받아 이동시키는 이동컨베이어; 드럼 형상의 회전체로서, 일정각도 기울어져 배치되어 일측에 형성된 주입구로 주입된 상기 이동컨베이어로부터 이동된 토양이 타측에 형성된 배출구로 이동하되, 물이 투입되어 상기 토양의 각 토양입자에 묻은 유류를 상기 토양입자로부터 분리하는 드럼유류분류기; 상기 드럼유류분류기로부터 이동한 물, 유류, 및 토양의 혼합액으로부터 상기 토양만을 외부로 배출하는 토양배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맞춤형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 시스템{OIL CONTAMINATED SOIL PURIFICATION SYSTEM USING CUSTOMIZED MICRO-BUBBLES}
본 발명은 유류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양오염은 주로 폐기물의 무단 매립 또는 누출사고, 주변의 유류 저장고, 군기지, 탄광주변 등에서 유류에 의한 오염형태로 발생하고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천 퇴적토 및 해양 준설토 등 해상 유류관련 사고시 인근해역의 해변 모래에서 발생되기도 한다.
이러한 토양오염은 수질이나 대기오염과 달리 쉽게 드러나지 않는 특성이 있고, 일단 오염이 되고 나면 지표수 및 지하수의 수질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등 주변 환경에 2차 오염을 유발시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오염된 토양은 반드시 빠른 시간 내에 정화시켜야 한다.
이러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토양 세척, 소각, 고형화, 안정화 및 용매추출 등과 같은 물리화학적 방법과, 토양 경작, 콤포스팅(composting), 바이오벤팅(bioventing), 식물복원 등과 같은 생물학적 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여러 방법들 중에서 비교적 쉽고 오염된 토양을 신속히 정화할 수 있는 것은 토양세척방법이다.
오염토양세척방법은 현장처리법(In-situ 법)과, 현장외처리법(Ex-situ법)으로 구분되며, 현장처리법은 오염된 토양을 굴착하지 않고 세척용액 주입정, 세척용액 배출정, 세척유출수 처리시설, 펌프 및 계장시설, 휘발물질 처리시설 등을 오염된 부지에 설치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오염토양 내에 세척수를 순환시켜 오염토양을 직접세척하는 방법으로서, 처리 시간이 길고 세척액의 회수가 어려움은 물론 이동성이 없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오염토양세척방법은 주로 현장외처리법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현장외처리법으로서 유류에 오염된토양을 더욱 효과적으로 세척하기 위한 세척방법을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유류에 오염된 토양을 보다 효과적으로 세척하는 맞춤형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시스템을 제공한다.
토양입자에 결합된 유류의 표면장력을 약화시켜 이를 토양입자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미세기포를 사용하는 맞춤형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시스템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유류로 오염된 토양에서 유류를 분류하여 정화하는 맞춤형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시스템으로서,
드럼 형상의 회전체로서, 일정각도 기울어져 배치되어 일측에 형성된 주입구로 주입된 토양이 타측에 형성된 배출구로 이동하되, 상기 토양이 이동 중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홀로 상기 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토양은 빠져 나가고, 상기 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토양은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드럼선별기;
상기 드럼선별기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홀로 빠져나온 토양을 전달받아 이동시키는 이동컨베이어;
드럼 형상의 회전체로서, 일정각도 기울어져 배치되어 일측에 형성된 주입구로 주입된 상기 이동컨베이어로부터 이동된 토양이 타측에 형성된 배출구로 이동하되, 물이 투입되어 상기 토양의 각 토양입자에 묻은 유류를 상기 토양입자로부터 분리하는 드럼유류분류기;
상기 드럼유류분류기로부터 이동한 물, 유류, 및 토양의 혼합액으로부터 상기 토양만을 외부로 배출하는 토양배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드럼유류분류기에 투입되는 물은 미세기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유류분류기는 상기 이동컨베이어 및 상기 토양배출기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컨베이어와 상기 드럼유류분류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컨베이어가 이동시키는 토양을 전달받아 높은 위치의 상기 드럼유류분류기로 상승시키는 상승컨베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양배출기는,
상기 드럼유류분류기로부터 이동한 물, 유류, 토양의 혼합액을 수용하는 혼합액수용조;
상기 혼합액수용조 내부의 좌측 하부에서 우측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혼합액수용조의 우측 상부의 외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부에 침적하는 토양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액수용조의 일측면의 높이는 나머지 측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일측면의 상부를 넘어 물과 유류의 혼합액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상기 일측면의 상단은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선별기는 기울기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드럼유류분류기는 기울기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드럼선별기로 토양을 투입하는 투입컨베이어; 및
상기 투입컨베이어 상부로 토양을 낙하하는 투입호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시스템을 이용하면 유류에 오염된 토양을 보다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세척수에 포함된 미세기포를 통하여 토양입자에 결합된 유류가 보다 효과적으로 토양입자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시스템의 전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유류로 오염된 토양이 투입호퍼로 유입되어 상승컨베이어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시스템의 드럼유류분류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시스템의 드럼유류분류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시스템의 토양배출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배출기의 배출컨베이어에대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액수용조의 일측면 상단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시스템은 현장외처리법(Ex-situ법)으로서 유류로 오염된 토양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유류를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시스템의 전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시스템은 드럼선별기(100), 이동컨베이어(200), 드럼유류분류기(300), 토양배출기(400)를 포함한다.
드럼선별기(100)는 일정크기 이상의 직경을 갖는 토양(대부분 이물질)과 일정크기 미만의 직경을 갖는 토양을 분리하고, 일정크기 미만의 직경을 갖는 토양만을 세척하여 정화하기 위한 것이다.
드럼선별기(100)는 드럼 형상으로 형성되고, 드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드럼선별기(100)는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 일측으로 주입된 토양이 타측으로 중력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다.
드럼선별기(100)는 일측에 주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출구가 형성된다. 주입구로부터 배출구로 기울어져 형성됨으로써, 토양은 주입구로 주입되어 드럼선별기(100) 내부를 이동하는 것이다. 이때 드럼선별기(100)의 기울기는 조절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1~3°사이에서 조절가능하다. 드럼선별기(100)의 기울기 조정을 통하여 드럼선별기(100) 내를 통과하는 토양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드럼선별기(100)의 둘레를 따라서 홀이 형성됨으로써, 토양이 드럼선별기(100) 내부를 이동 중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즉, 드럼선별기(100)의 둘레 전체영역에는 일정직경 또는 다양한 직경을 갖는 홀이 형성되어, 토양이 홀을 통해 아래로 배출되는 것을 유도한다.
이때 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토양은 홀을 통해 빠져나가고, 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토양은 타측에 형성된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드럼선별기(100)의 회전속도도 조절가능하다. 드럼선별기(100)의 속도를 높여 토양을 보다 골고루 섞을 수도 있지만, 너무 빠른 속도는 홀을 통해 토양을 외부로 비상시킬 수 있어, 적절한 속도로 드럼선별기(100)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일정크기의 직경의 미만의 토양과 일정크기 이상의 토양을 분리하여 선별함으로써, 토양 내 자갈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동컨베이어(200)는 드럼선별기(100) 하부에 배치되어 드럼선별기(100)의 홀을 통해 빠져나온 토양을 전달받는다. 그리고 전달받은 토양을 드럼유류분류기(300)로 이동시키는데, 본 발명은 이동컨베이어(200)와 드럼유류분류기(300) 사이에 상승컨베이어(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유류로 오염된 토양이 투입호퍼(50)로 유입되어 상승컨베이어(250)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인데,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유류분류기(300)는 이동컨베이어(200)와 토양배출기(40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드럼유류분류기(300)를 이렇게 높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은, 드럼유류분류기(300)를 통과한 토양을 토양배출기(400)로 중력에 의하여 자동낙하시키기 위함이다. 드럼유류분류기(300)를 통과한 물, 유류 및 토양의 혼합액을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시키면서 토양입자로부터 유류를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드럼유류분류기(300)에서 토양은 유입된 물과 섞이게 된다. 이때 물이 토양입자에 붙은 유류의 표면장력을 약화시켜 토양입자로부터 유류를 분리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혼합액의 자유낙하를 통하여 토양입자로부터의 유류의 분리가 더욱 촉진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유류분류기(300)를 토양배출기(40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드럼유류분류기(300)는 이동컨베이어(200)보다도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컨베이어(200) 상부의 토양을 드럼유류분류기(300)로 상승시킬 장치가 요구되고, 상승컨베이어(250)가 이러한 역할을 하게 된다.
상승컨베이어(250)는 이동컨베이어(200)와 드럼유류분류기(300)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컨베이어(200)가 이동시키는 토양을 전달받아 높은 위치의 드럼유류분류기(300)로 상승시키게 된다.
다시 도 2로 돌아가서 상승컨베이어(250)에 토양이 전달되기까지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럼선별기(100) 이전에 투입호퍼(50)와 투입컨베이어(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토양이 투입호퍼(50)부터 상승컨베이어(250)까지 이동하는 이동경로가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투입호퍼(50)를 통하여 외부의 오염된 토양이 유입된다. 투입컨베이어(150)는 투입호퍼(50)의 하부에 배치된다. 투입컨베이어(150)로 전달된 토양은 하부로 낙하하여 투입컨베이어(150) 상부에 전달된다.
투입컨베이어(150) 상부에 전달된 토양은 드럼선별기(100)로 이동된다. 투입컨베이어(150)가 회전하면서 도 2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토양이 이동하는 것이다. 우측으로 이동된 토양은 드럼선별기(100)의 주입구로 주입된다. 이때 토양에 포함된 입자의 직경이 드럼선별기(1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홀의 직경보다 크게되면 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드럼선별기(100)의 배출구로 배출되어 홀로 빠져나간 토양과 분리가 된다.
드럼선별기(100)의 홀을 통하여 하방향으로 이동한 토양은 이동컨베이어(200) 상부에 낙하하게 된다. 이때, 이동컨베이어(200)는 드럼선별기(100)의 기울어진 각도와 동일하게 기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컨베이어(200)가 드럼선별기(100)의 기울어진 각도와 동일하게 기울어짐에 따라서 이동컨베이어(200) 상부에 축적되는 토양의 양도 균일하게 되어, 특정 지점에서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동컨베이어(200) 상부에 낙하된 토양은 이동컨베이어(200)의 회전에 따라서 도 2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좌측 끝단에서 낙하하여 상승컨베이어(250)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까지가 투입호퍼(50)로 투입된 토양이 선별과정을 거쳐 상승컨베이어(250)에 전달되는 과정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시스템의 드럼유류분류기(300)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시스템의 드럼유류분류기(30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드럼유류분류기(300)는 토양에 세척수등을 투입하여 토양입자에 붙어있는 유류를 토양입자로부터 분리하는 것이다. 드럼유류분류기(300)는 드럼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중력에 의하여 일측에 주입된 토양이 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드럼유류분류기(300)는 좌측에 주입구가 형성되고 우측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드럼유류분류기(300)의 좌측으로 주입된 이동컨베이어(200)로부터 이동된 토양이 우측의 배출구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드럼유류분류기(300)에 유입된 물은 토양입자에 붙은 유류의 표면장력을 약화시켜 토양입자로부터 유류를 분리시킨다. 이때 드럼유류분류기(300)에 유입되는 물은 세척수유입구(310)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물에는 미세기포를 다량 포함하게 된다. 미세기포의 방울이 터지면서 발생하는 터짐력에 의하여 토양입자에 붙은 유류가 더욱 쉽게 토양입자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토양에 유입되는 물에 미세기포를 다량 포함하게 함으로써, 이러한 미세기포로 인하여 토양입자로부터 유류의 분리가 용이해져서 더 많은 유류가 토양입자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드럼유류분류기(300)의 기울기의 정도에 따라서 드럼유류분류기(300) 내부를 통과하는 토양의 속도가 달라지게 된다. 즉, 기울기가 커지면 토양의 이동속도가 빨라지고, 기울기가 작아지면 이에 상응하여 토양의 이동속도는 느려지게 된다. 토양의 이동속도가 빨라지면 토양에 붙은 유류가 잘 분리되지 않을수 있다. 또한 이동속도가 너무 느려지면 전체 정화시스템의 처리속도가 느려져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동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드럼유류분류기(300)의 기울기는 토양배출기(400)를 통하여 배출된 토양의 유류제거비율을 조사하고, 이에 따라서 속도 조절 즉 드럼유류분류기(30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토양배출기(400)를 통하여 배출된 토양의 유류제거비율이 너무 낮다면 드럼유류분류기(300) 내부에서 이동하는 토양의 이동속도를 줄여야 한다. 따라서 기울기를 낮추어야 한다.
한편, 토양배출기(400)를 통하여 배출된 토양의 유류제거비율이 높지만 처리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면 이를 고려하여 드럼유류분류기(300)의 기울기를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
이때, 드럼유류분류기(300)의 기울기조절은 기울기조절부(310)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기울기조절부(310)는 드럼유류분류기(300)의 양측(주입구 및 배출구)에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기울기조절부(310)의 높이조절을 통하여 드럼유류분류기(30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드럼유류분류기(300)는 지지프레임(32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320)의 하부에는 지지프레임(3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321)가 배치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321)의 상하높이 조절을 통하여 지지프레임(3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드럼유류분류기(300)는 토양배출기(400) 및 이동컨베이어(200)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드럼유류분류기(300)가 높이조절가능한 지지프레임(320)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토양배출기(400) 및 이동컨베이어(200)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시스템의 토양배출기(4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배출기(400)의 배출컨베이어(420)에대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액수용조(410)의 일측면 상단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양배출기(400)를 설명한다.
드럼유류분류기(300)에서 물과 섞인 유류에 오염된 토양이 물과 유류와 토양으로 나누어져 혼합되고, 이렇게 물과 유류와 토양이 혼합된 혼합액이 토양배출기(400)로 이동하게 된다.
토양배출기(400)는 혼합액수용조(410) 및 배출컨베이어(420)를 포함한다.
혼합액수용조(410)는 드럼유류분류기(300)로부터 낙하한 물, 유류, 토양의 혼합액을 수용하게 된다. 정체되어 있다거나 또는 수평으로 이동하는 것보다 하방향으로 낙하할 때 토양으로부터 유류가 더 잘 분리될 수 있다.
혼합액수용조(410)로 낙하된 혼합액 중 토양은 주로 하부에 침적된다. 혼합액수용조(410) 내부의 좌측 하부에서 우측 상부 방향으로 배출컨베이어(42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언급된 좌측 및 우측에 대한 정의는 도 1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된다. 즉 도 1 또는 도 5에 도시된 혼합액수용조(410)의 좌측 하부로부터 우측 상부로 배출컨베이어(420)가 형성된다.
이때 배출컨베이어(420)의 하부를 따라 혼합액수용조(410)의 바닥이 형성된다. 즉, 배출컨베이어(420)의 하부로는 혼합액이 이동할 수 없고, 배출컨베이어(420)의 상부에만 혼합액이 머무르는 것이다.
드럼유류분류기(300)로부터 낙하한 물, 유류, 토양의 혼합액은 혼합액수용조(410)에서 머무르다가 바닥으로 침적한 토양은 배출컨베이어(4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컨베이어(420)는 복수개의 스크류를 포함하고, 스크류의 회전을 통하여 침적한 토양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6에는 3개의 배출스크류가 도시되어 있다. 배출스크류의 상부에 토양이 침적하고 이러한 토양은 배출스크류의 회전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혼합액수용조의 일측면은 나머지 측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물과 유류의 혼합액(W)이 높이가 낮은 일측면의 상부를 타고 흘러 넘어가는 것이다. 물과 유류의 혼합액(W)이 흘러 넘어가는 외부에는 물과 유류를 분리하는 별도의 유수분리장치가 구비되어 물과 유류를 최종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낮게 형성된 혼합액수용조의 일측면의 상단에는 복수의 요철부(411)가 형성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산모양의 요부가 일측면 상단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물과 유류의 혼합액(W)은 외부로 배출되고, 토양입자(S)는 산모양의 요부에 걸려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즉, 물과 유류만 별도의 유수분리장치로 배출시키는 것이고 토양은 침적시켜 배출컨베이어를 통해 별도의 장소로 분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맞춤형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시스템을 통하여 토양으로부터 유류를 효율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유류토양을 효과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50: 투입호퍼
100: 드럼선별기
150: 투입컨베이어
200: 이동컨베이어
250: 상승컨베이어
300: 드럼유류분류기
310: 기울기조절부
320: 지지프레임
321: 높이조절부
400: 토양배출기
410: 혼합액수용조
411: 요철부
420: 배출컨베이어
W: 물과 유류의 혼합액
S: 토양입자

Claims (8)

  1. 유류로 오염된 토양에서 유류를 분류하여 정화하는 맞춤형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시스템으로서,
    드럼 형상의 회전체로서, 일정각도 기울어져 배치되어 일측에 형성된 주입구로 주입된 토양이 타측에 형성된 배출구로 이동하되, 상기 토양이 이동 중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홀로 상기 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토양은 빠져 나가고, 상기 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토양은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드럼선별기;
    상기 드럼선별기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홀로 빠져나온 토양을 전달받아 이동시키는 이동컨베이어;
    드럼 형상의 회전체로서, 일정각도 기울어져 배치되어 일측에 형성된 주입구로 주입된 상기 이동컨베이어로부터 이동된 토양이 타측에 형성된 배출구로 이동하되, 물이 투입되어 상기 토양의 각 토양입자에 묻은 유류를 상기 토양입자로부터 분리하는 드럼유류분류기;
    상기 드럼유류분류기로부터 이동한 물, 유류, 및 토양의 혼합액으로부터 상기 토양만을 외부로 배출하는 토양배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유류분류기에 투입되는 물은 미세기포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유류분류기는 상기 이동컨베이어 및 상기 토양배출기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컨베이어와 상기 드럼유류분류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컨베이어가 이동시키는 토양을 전달받아 높은 위치의 상기 드럼유류분류기로 상승시키는 상승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드럼유류분류기가 상기 토양배출기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드럼유류분류기로부터 물, 유류 및 토양의 혼합액이 중력에 의하여 상기 토양배출기로 자유낙하하고, 이러한 자유낙하에 의하여 토양입자로부터 유류가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고,
    상기 토양배출기는,
    상기 드럼유류분류기로부터 이동한 물, 유류, 토양의 혼합액을 수용하는 혼합액수용조;
    상기 혼합액수용조 내부의 좌측 하부에서 우측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혼합액수용조의 우측 상부의 외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부에 침적하는 토양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액수용조의 일측면의 높이는 나머지 측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일측면의 상부를 넘어 물과 유류의 혼합액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상기 일측면의 상단은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선별기 및 상기 드럼유류분류기 각각은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선별기로 토양을 투입하는 투입컨베이어; 및
    상기 투입컨베이어 상부로 토양을 낙하하는 투입호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시스템.
KR1020180016767A 2018-02-12 2018-02-12 맞춤형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KR101888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767A KR101888121B1 (ko) 2018-02-12 2018-02-12 맞춤형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767A KR101888121B1 (ko) 2018-02-12 2018-02-12 맞춤형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8121B1 true KR101888121B1 (ko) 2018-08-13

Family

ID=63250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767A KR101888121B1 (ko) 2018-02-12 2018-02-12 맞춤형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1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90741A (zh) * 2020-06-09 2020-10-20 中国检验检疫科学研究院 一种气液固多相流场强化清洗的方法
KR102395666B1 (ko) * 2021-04-29 2022-05-09 지우이앤이(주) 토양정화를 위한 모듈형 세척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881B1 (ko) * 2009-08-24 2010-01-07 남광건설(주) 고농도 유기성 폐액 및 폐기물 자원화 장치
JP4599766B2 (ja) * 2001-06-21 2010-12-15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土壌洗浄方法および装置
KR101407610B1 (ko) * 2013-11-13 2014-06-13 주식회사 아이케이 유류 및 중금속 오염 토사의 세척 설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9766B2 (ja) * 2001-06-21 2010-12-15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土壌洗浄方法および装置
KR100935881B1 (ko) * 2009-08-24 2010-01-07 남광건설(주) 고농도 유기성 폐액 및 폐기물 자원화 장치
KR101407610B1 (ko) * 2013-11-13 2014-06-13 주식회사 아이케이 유류 및 중금속 오염 토사의 세척 설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90741A (zh) * 2020-06-09 2020-10-20 中国检验检疫科学研究院 一种气液固多相流场强化清洗的方法
CN111790741B (zh) * 2020-06-09 2022-12-20 中国检验检疫科学研究院 一种气液固多相流场强化清洗的方法
KR102395666B1 (ko) * 2021-04-29 2022-05-09 지우이앤이(주) 토양정화를 위한 모듈형 세척 장치
CN114733893A (zh) * 2021-04-29 2022-07-12 智优株式会社 用于土壤净化的模块型清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4374B2 (ja) 有機物質で汚染された無機物質粒子を含む懸濁液から無機物質粒子を分離するための装置
ES2355576T3 (es) Instalación y procedimiento para el reciclado de desperdicios, desechos de purificadores de agua y similares.
KR102099047B1 (ko)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RU2669409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омывания загрязне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зготовленный ими стеклянный бой
KR101888121B1 (ko) 맞춤형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KR101219286B1 (ko)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
KR101729262B1 (ko) 쐐기 봉 스크린을 활용한 협잡물처리기
KR101915030B1 (ko) 복합 오염 토양 정화를 위한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
KR102141236B1 (ko) 각종 준설토용 정화시스템
JP6127316B2 (ja) 分離洗浄処理装置
CN107285419A (zh) 通过活性碳吸附以及净化的水处理方法和相应的工厂
KR101658523B1 (ko) 오염토양 선별 및 세척처리 정화시스템
JP4678627B2 (ja) 洗浄処理方法ならびに洗浄処理装置
KR101431161B1 (ko) 모래 및 협잡물 여과, 탈수 장치
KR100870648B1 (ko) 토사 및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
KR100939175B1 (ko) 친환경 준설토 분리장치 및 방법
KR100987198B1 (ko) 차량에 탑재된 오염토양 세척 선별장치
CN106830594B (zh) 污泥处理系统
CN107262519B (zh) 放射性污染土壤净化系统
JP2012091092A (ja) 解泥機
CN116921418B (zh) 一种涉重金属污染土壤解毒的固化处理设备
KR102099048B1 (ko)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
KR102068941B1 (ko)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KR101943483B1 (ko) 준설토 처리장치
KR100940761B1 (ko) 골재 세척용 드럼형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