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814B1 -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형 단섬유 및 이를 이용한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형 단섬유 및 이를 이용한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7814B1 KR101887814B1 KR1020170065082A KR20170065082A KR101887814B1 KR 101887814 B1 KR101887814 B1 KR 101887814B1 KR 1020170065082 A KR1020170065082 A KR 1020170065082A KR 20170065082 A KR20170065082 A KR 20170065082A KR 101887814 B1 KR101887814 B1 KR 1018878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 bundle
- fiber
- type short
- res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10—Coating or impregnating
- C04B20/1018—Coating or impregnating with organic materials
- C04B20/1029—Macromolecular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386—Carb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04B16/0675—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16/0691—Polyamides; Polyaramides
-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02G3/28—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5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for the mechanical strengt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조성물에 첨가되어 계면접착력과 흐름성 및 분산성이 개선됨으로서, 압축강도 및 휨인장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에 관한 것이다. 상기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는 파라-아라미드 섬유 필라멘트 또는 탄소 섬유 필라멘트를 연사공정을 통해 꼬임을 부여하고, 수지함침공정을 거쳐 열처리한 후 절단하여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가 혼입되어 압축강도와 휨인장강도가 개선된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매트릭스(matrix)에 혼입되는 콘크리트 보강용 단섬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매트릭스와 혼입시 계면접착력과 흐름성 및 분산성이 개선되어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는 수지가 함침처리되어 그 단면이 번들(bundle) 형상으로 형성되며, 또한 구성섬유에 꼬임이 부여된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에 관한 것이다.
건설재료로써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콘크리트는 시멘트와 골재 및 모래를 물과 함께 혼합하여 수화반응을 거쳐 경화하게 되는데, 이때 콘크리트는 소성 및 건조수축균열과 수화열에 의한 온도 균열이 발생된다. 또한 콘크리트는 인장력 및 변형율이 낮아 깨지기 쉽다는 단점을 갖는다. 최근에 이러한 콘크리트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섬유를 보강재로 혼입한 섬유보강 콘크리트(Fiber Reinforced concrete, 이하 FRC)의 사용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즉, 상기 FRC는 기계적 물성이 증가되고, 소성 및 건조수축균열의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RC는 콘크리트 매트릭스 내부에 불연속성의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섬유는 일반적으로 상기 FRC의 믈성을 증진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매트릭스 내부에 혼입된 보강용 단섬유는 콘크리트의 균열을 억제하며, 균열 이후 재료들의 거동을 보완한다.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보강용 단섬유로는 강섬유, 합성섬유, 유리섬유, 탄소섬유, 석면, 셀룰로오스섬유 등이 주로 사용되고, 섬유의 종류, 형태 및 혼입률에 따라 FRC의 물성에 큰 차이가 있어 그 용도에 따라 보강용 단섬유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해야 한다.
상기 강섬유는 콘크리트와의 계면접착력이 충분하지 못하고, 콘크리트와의 혼합시 뭉침현상(Fiber Ball)이 발생하며, 녹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물이나 염류가 많은 지역에서는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으나, 높은 내구성을 갖는다. 유리섬유는 알카리 성분에 의한 화학 침식으로 강도가 저하된다. 또한 석면섬유는 콘크리트와 결합력이 견고하고, 내부식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나, 발암물질로서 사용이 극히 제한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콘크리트 보강용 단섬유에 합성섬유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 대부분의 합성섬유는 콘크리트보다 탄성계수가 낮아 건조수축균열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며, 내충격성 등의 물성을 향상시킨다. 합성섬유로는 낮은 탄성계수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섬유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나일론 섬유와 폴리에틸렌 섬유도 많이 사용된다. 최근에는 높은 탄성계수 및 인장강도를 갖는 탄소섬유와 아라미드섬유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비용이 높고, 특히 콘크리트 매트릭스와의 계면접착력 및 분산성이 불량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1996-7003393호(1996년 08월 17일, 발명의 명칭 : 콘크리트 부재를 성형하기 위한 금속 섬유 조성물, 생성된 부재 및 열 양생 방법)에는 포틀랜드 시멘트와 4mm 내지 20㎜로 이루어진 길이의 금속 섬유를 1.0부피% 내지 4.0부피% 범위 내에서 포함하는 금속 섬유 콘크리트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61161호(2008년 07월 02일, 발명의 명칭 : 시멘트 및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비닐알콜계 단섬유)에는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hol, PVA)계 중합체를 용해시켜 고강도의 폴리비닐알콜 섬유를 제조하고 이를 단섬유로 제조하여 시멘트 및 콘크리트 보강재 용도로 적용시켜 건축 구조물의 고강도 및 고인성을 발현시킬 수 있는 시멘트 및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비닐알콜 섬유가 개시되어 있다.
FRC의 제조공정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제조 공정과 유사하나, 보강용 단섬유를 콘크리트 매트릭스 내부에 뭉치지 않고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즉, FRC의 제조시 콘크리트 매트릭스에서의 보강용 단섬유의 분산성에 의해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의 역학적 특성, 특히 건조수축균열의 저감 특성이 매우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보강용 단섬유의 비중이 낮아 콘크리트 매트릭스 내부에서 재대로 분산되지 아니하여 보강용 단섬유끼리 엉키거나 뭉침 현상이 발생하여 콘크리트 조성물의 물성을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다. 더구나, FRC는 균열의 제어를 위해 휨 인성(Bending Toughness)이 우수해야 하지만, 기존의 보강용 단섬유는 이를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단순한 형상구조를 갖는 보강용 단섬유는 콘크리트 매트릭스와의 계면접착력이 약해 보강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완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FRC의 물성을 개량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보강용 단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섬유에 연사공정을 통해 꼬임을 부여하고, 또한 수지함침공정을 통해 보강용 단섬유의 단면을 번들(bundle)형으로 형성하여 콘크리트 매트릭스에 혼입시 계면접착력과 흐름성 및 분산성이 개선된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가 혼입되어 압축강도가 130 MPa 이상이며, 휨인장강도가 15 MPa 이상인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매트릭스에 혼입시 계면접착력과 흐름성 및 분산성이 개선된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에 관한 것으로서, 파라-아라미드섬유 멀티필라멘트 또는 탄소섬유 멀티필라멘트를 연사공정에 의해 꼬임을 부여하고, 또한 수지함침공정을 거쳐 열처리한 후 절단하여 그 단면이 번들(bundle) 형상을 갖는 단섬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는 길이가 3 ~ 60 mm이며, 총섬도는 200 ~ 6,000 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지함침공정시 처리되는 수지는 폴리비닐계수지, 아크릴계수지, 에폭시계수지, 폴리우레탄계수지, 레소시놀-포르말린-라텍스(Resorcinol-Formaline Latex, 이하 RFL) 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는 S방향 또는 Z방향으로 5 ~ 1,200 T/M이며, 연각도는 42° 이하의 꼬임이 부여되거나 또는 S방향 또는 Z방향으로 5 ~ 1,200 T/M이며, 연각도는 42° 이하로 1차 연사하고, 상기 1차 연사된 필라멘트를 합사하여 1차 연사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5 ~ 1,200 T/M이며, 연각도는 42° 이하로 2차 연사하여 꼬임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 및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하며, 특히 상기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은 압축강도가 130 MPa 이상이며, 휨인장강도가 15 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는 콘크리트 매트릭스에 혼입시 계면접착력과 흐름성 및 분산성이 개선되고, 또한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의 뭉침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를 이용하여 제조된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의 물성 즉, 압축강도 및 휨인장강도가 크게 개선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를 이용하면, 콘크리트의 시공효율을 증대시키며, 작업성을 개선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의 단면도이며,
도 2는 연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꼬임이 부여된 필라멘트의 모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연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꼬임이 부여된 필라멘트의 모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험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험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험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는 콘크리트 매트릭스에 혼입시 계면접착력과 흐름성 및 분산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꼬임을 부여하는 연사공정을 거친 후, 수지함침공정에 의해 형성된 수지함침부(20)가 섬유(10)를 둘러쌓아 그 단면이 번들(bundle) 형상을 갖도록 한다. 상기 번들 형상은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를 구성하는 원료섬유들이 하나로 집속된 형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섬유는 파라-아라미드 섬유 멀티필라멘트 또는 탄소 섬유 멀티필라멘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파라-아라미드 섬유는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일종으로서, 벤젠고리들이 아미드기(-CONH-)를 통해 직선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파라-아라미드 섬유는 고강도, 고탄성, 저수축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그 비중이 1.3으로서 콘크리트 매트릭스와의 혼합시 유리하며, 특히 강도가 우수하고, 내알칼리성이나 내산성 및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다.
또한 탄소 섬유는 유기섬유를 비활성 기체 속에서 가열, 탄화하여 만든 섬유이다. 내열성, 내충격성이 뛰어나며 화학약품에 강하고 해충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또한 비강도, 비탄성률이 크고, 가볍고, 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즉, 파라-아라미드 섬유와 탄소 섬유는 우수한 물성으로 인하여 FRC의 고강도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며, 고층 건축물에서 지진압력을 저감하는 등의 큰 장점을 갖는다.
상기 파라-아라미드 섬유 멀티필라멘트 또는 탄소 섬유 멀티필라멘트는 이후에 연사공정, 수지함침공정 등을 거친 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를 제조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는 콘크리트 매트릭스에 혼입시 계면접착력과 흐름성 및 분산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원료섬유 즉, 파라-아라미드 섬유 멀티필라멘트 또는 탄소 섬유 멀티필라멘트에 꼬임을 부여한다. 콘크리트 보강용 단섬유를 콘크리트 매트릭스에 혼입시 흐름성과 분산성은 상기 콘크리트 보강용 단섬유의 직경과 길이 및 섬유의 기하학적 형상 등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콘크리트 보강용 단섬유와 콘크리트 매트릭스간의 결합력은 계면접착력으로부터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는 콘크리트 매트릭스에 혼입시 콘크리트 매트릭스와의 계면접착력과 흐름성 및 분산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원료섬유에 꼬임을 부여한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에 꼬임을 부여하면, 상기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의 표면적이 커져서 콘크리트 매트릭스와의 계면접착력과 결속력이 증대되며, 또한 콘크리트 매트릭스에 혼입시 흐름성과 분산성이 개선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는 수지함침공정전에 연사공정을 거쳐 원료섬유에 꼬임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부여되는 꼬임은 S방향 또는 Z방향으로 5 ~ 1,200 T/M 및 연각도 4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료섬유에 부여되는 꼬임이 5 T/M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의 표면적이 크게 증가하지 않으므로, 콘크리트 매트릭스와의 계면접착력과 흐름성 및 분산성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 또한 꼬임이 1,200 T/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섬유가 크레이프(Crepe)성을 나타내며 절단강도가 감소되고, 섬유에 변형이 생겨 그 형태가 왜곡되어 접촉면적이 오히려 감소되어 계면접착력과 흐름성 및 분산성 등이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섬유에 연사공정을 통해 부여되는 꼬임은 5 ~ 1,200 T/M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원료섬유에 부여되는 꼬임은 그 연각도는 4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섬유에 부여된 연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꼬임이 부여된 필라멘트의 모식도이다. 상기 도 2를 살펴보면, 연사(撚絲)공정에 의해 섬유에 부여된 꼬임은 연각도(撚角度)를 측정하여 정량화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사공정을 통해 꼬임을 부여하면 필라멘트에 나선상의 권취선이 생긴다. 이 경우 권취선과 실의 중심축과의 각도를 연각도(θ)라 하며, 그 크기는 중심축과의 거리(d/2)에 비례한다. 또한 상기 연각도의 크기로 꼬임의 강도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연각도가 클 때는 작을 때 보다 강한 꼬임이 부여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각도는 아래와 같은 [식 1]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식 1]
상기와 같이 섬유에 꼬임을 부여하는 연사공정은 공지된 여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업 트위스터(up-twister) 방법, 다운 트위스터(down-twister) 방법 또는 더블 트위스터(double twister)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사공정에서 꼬임은 시계 반대 방향의 꼬임인 Z방향으로 부여할 수도 있고, 시계방향의 꼬임인 S방향으로 부여할 수도 있다. 상기 꼬임의 방향은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하게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섬유에 부여되는 꼬임의 연각도는 42° 이하일 때,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의 역학적 물성 특히 압축강도와 휨인장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의 압축강도와 휨인장강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원료섬유에 부여되는 꼬임은 S방향 또는 Z방향으로 5 ~ 1,200 T/M이며, 연각도는 42° 이하로 1차 연사하고, 상기 1차 연사된 필라멘트를 합사하여 1차 연사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5 ~ 1,200 T/M이며, 연각도는 42° 이하로 2차 연사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섬유의 총섬도는 200 ~ 6,000 데니어가 바람직하다. 상기 원료섬유의 총섬도가 200 데니어 미만인 경우에는 콘크리트 매트릭스의 내부에서 분산이 용이하여 작업성은 좋으나, 혼입후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의 인성(Toughness)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총섬도가 6,000 데니어를 초과하게 되면 인성은 증가하나, 분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총섬도는 상기 범위로 한정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는 콘크리트 매트릭스에 혼입시 흐름성과 분산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지함침공정에 의해 섬유에 수지처리를 한다. 상기와 같은 수지함침처리에 의해 수지함침부(20)가 섬유(10)를 둘러싼 번들(bundle) 형상의 단면 구조가 형성된다. 콘크리트 보강용 단섬유를 콘크리트 매트릭스에 혼입시 상기 콘크리트 보강용 단섬유의 흐름성과 분산성은 그 섬유의 그 기하학적 형상 등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상기 콘크리트 보강용 섬유의 단면 형상을 수지함침공정에 의해 번들형으로 형성하면 콘크리트 매트릭스에 혼입시 유동성이 증가되어 흐름성과 분산성이 개선되므로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의 콘크리트 매트릭스와의 혼합시 유동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수지함침공정에서 사용되는 수지는 폴리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레소시놀-포르말린-라텍스(RFL) 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들은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에 처리시 콘크리트 매트릭스와의 부착력을 증대시키고, 또한 상기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의 유동성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흐름성과 분산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특히 우수하다.
상기와 같이 수지함침공정을 거친 후에는 열처리 공정을 통해 원료섬유를 건조한다. 이후에는 절단공정을 통해 단섬유화하여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를 제조한다.
상기 절단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의 길이는 3 ~ 60 mm가 바람직하다. 상기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의 길이가 3mm 미만인 경우에는 콘크리트 매트릭스에 혼입된 후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의 물성 즉, 압축강도 및 휨인장강도의 개선이 미미하며, 60 mm 이상인 경우에는 콘크리트 매트릭스에 혼입시 물성은 개선되나, 뭉침현상(Fiber ball)이 발생하여 분산성이 불량하게 된다.
상기에서 얻어진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를 이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조된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의 물성 즉, 압축강도가 130 MPa 이상이며, 휨인장강도가 15 MPa 이상인 특징을 갖는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는 우선적으로 원료섬유 즉, 파라-아라미드 섬유 또는 탄소 섬유의 멀티필라멘트를 준비하고, 이를 연사공정을 통해 꼬임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의 제조 방법은 파라-아라미드 섬유 또는 탄소 섬유 멀티필라멘트에 S방향 또는 Z방향으로 5 ~ 1,200 T/M의 꼬임을 통상의 방법에 의해 부여한다. 이때 꼬임의 연각도는 4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파라-아라미드 섬유 또는 탄소 섬유의 멀티필라멘트에 부여되는 꼬임은 S방향 또는 Z방향으로 5 ~ 1,200 T/M이며, 연각도는 42° 이하로 1차 연사하고, 상기 1차 연사된 멀티필라멘트를 합사하여 1차 연사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5 ~ 1,200 T/M이며, 연각도는 42° 이하로 2차 연사하여 부여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꼬임이 부여된 파라-아라미드 섬유 또는 탄소 섬유의 멀티필라멘트는 이후에 수지함침공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수지함침공정을 통해 상기 멀티필라멘트는 그 단면의 형상이 번들(bundle)형으로 제조된다. 이때 사용되는 수지는 폴리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레소시놀-포르말린-라텍스(RFL) 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함침공정을 통해 번들형으로 제조된 파라-아라미드 섬유 또는 탄소 섬유의 멀티필라멘트는 열처리를 통해 함침된 수지를 건조시킨 후, 절단공정을 통해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단섬유화하게 된다.
상기 절단공정에 의해 상기 번들형으로 제조된 파라-아라미드 섬유 또는 탄소 섬유의 멀티필라멘트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로 제조된다. 상기 절단공정은 통상의 회전식 또는 상하식 절단기(Cutting Machine)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파라-아라미드 섬유 또는 탄소 섬유의 멀티필라멘트는 3 ~ 60 mm로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파라-아라미드 섬유 또는 탄소 섬유의 멀티필라멘트의 총섬도는 200 ~ 6,000 데니어가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는 결합재인 시멘트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 10 중량부를 사용한다. 상기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를 0.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콘크리트 조성물의 휨강도 증가 및 균열억제와 같은 물성을 향상시킬 수 없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도한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의 혼입으로 단섬유간의 뭉침현상(Fiber ball)현상이 발생하여 콘크리트 조성물의 강도 및 내구성이 현저하게 감소한다.
이하, 비교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가 혼입된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과 물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를 포함하지 않는 콘크리트 조성물을 아래와 같이 준비하여 시험편으로 사용하였다.
(1) 콘크리트의 배합
콘크리트는 아래 표 1와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표 2와 같은 배합조건으로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재료 | 기호 | 물성 |
실리카퓸프리믹스 시멘트 | SFPC | 밀도 3.07 g/cm3 , 비표면적 6,160cm2/g |
팽창제 | EX | 석회계, 밀도 3.16g/m3 , 비표면적 3,280 cm2/g |
조골재 | G | 밀도 2.64 g/cm3 , 흡수율 0.67%, F.M.6.74 |
세골재 | S | 밀도 2.61 g/cm3 , 흡수율 1.66%, F.M.2.88 |
혼화제 | SP | 폴리카르본산계 고성능 감수제 |
F.M. : 조립율(Fineness Modules)
W/B(%) | 단위중량 (kg/m3) | |||||
W | SFPC | EX | S | G | SP | |
16.5 | 165 | 919 | 20 | 526 | 839 | 20 |
W/B : 물과 결합재인 실리카퓸프리믹스 시멘트의 비율, W : Water
(2) 물성 측정
시험편의 압축강도 및 휨인장강도는 KS F 2505(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및 KS F 2408(콘크리트의 휨 강도 시험 방법)에 의거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15]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를 포함하는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의 물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파라-아라미드 섬유를 이용하여 아래 표 3과 같은 조건을 갖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를 제조하였다. 이후에 상기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를 상기 비교예의 콘크리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1.5 중량부로 첨가하여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표 3에서 PVA는 폴리비닐계 수지인 폴리비닐알콜(polyvinylalcohol)을 가리키며, PMMA는 아크릴계 수지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acrlate)를 가리키며, 에폭시계 수지는 Sorbitol Polyglycidyl Ether를 사용하였으며,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PU)을 사용하였으며, 또한 RFL은 레소시놀 포르말린 라텍스(Resorcinol-Formaline Latex)를 가리킨다.
수지 |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 | |||||
길이 (mm) |
총섬도 (데니어) |
꼬임 (T/M) |
꼬임방향 | 연각도 (°) |
||
실시예 1 | PVA | 10 | 400 | 1200 | S | 41 |
실시예 2 | PVA | 20 | 3,000 | 200 | Z | 25 |
실시예 3 | PVA | 30 | 6,000 | 10 | S | 8 |
실시예 4 | PMMA | 10 | 400 | 1200 | S | 41 |
실시예 5 | PMMA | 20 | 3,000 | 200 | Z | 25 |
실시예 6 | PMMA | 30 | 6,000 | 10 | S | 8 |
실시예 7 | Sorbitol Polyglycidyl Ether | 10 | 400 | 1200 | S | 41 |
실시예 8 | Sorbitol Polyglycidyl Ether | 20 | 3,000 | 200 | Z | 25 |
실시예 9 | Sorbitol Polyglycidyl Ether | 30 | 6,000 | 10 | S | 8 |
실시예 10 | 수분산성 PU | 3 | 400 | 1200 | S | 41 |
실시예 11 | 수분산성 PU | 20 | 3,000 | 200 | Z | 25 |
실시예 12 | 수분산성 PU | 60 | 6,000 | 10 | S | 8 |
실시예 13 | RFL | 3 | 400 | 1200 | S | 41 |
실시예 14 | RFL | 20 | 3,000 | 200 | Z | 25 |
실시예 15 | RFL | 60 | 6,000 | 10 | S | 8 |
[실시예 16-30]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를 포함하는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의 물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탄소섬유를 이용하여 아래 표 4과 같은 조건을 갖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를 제조하였다. 이후에 상기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를 상기 비교예의 콘크리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1.5 중량부로 첨가하여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15와 실시예 16-30에서의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는 원료섬유만이 상이하고 길이 등의 조건은 모두 동일하도록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수지 |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 | |||||
길이 (mm) |
총섬도 (데니어) |
꼬임 (T/M) |
꼬임방향 | 연각도 (°) |
||
실시예 16 | PVA | 10 | 400 | 1200 | S | 41 |
실시예 17 | PVA | 20 | 3,000 | 200 | Z | 25 |
실시예 18 | PVA | 30 | 6,000 | 10 | S | 8 |
실시예 19 | PMMA | 10 | 400 | 1200 | S | 41 |
실시예 20 | PMMA | 20 | 3,000 | 200 | Z | 25 |
실시예 21 | PMMA | 30 | 6,000 | 10 | S | 8 |
실시예 22 | Sorbitol Polyglycidyl Ether | 10 | 400 | 1200 | S | 41 |
실시예 23 | Sorbitol Polyglycidyl Ether | 20 | 3,000 | 200 | Z | 25 |
실시예 24 | Sorbitol Polyglycidyl Ether | 30 | 6,000 | 10 | S | 8 |
실시예 25 | 수분산성 PU | 3 | 400 | 1200 | S | 41 |
실시예 26 | 수분산성 PU | 20 | 3,000 | 200 | Z | 25 |
실시예 27 | 수분산성 PU | 60 | 6,000 | 10 | S | 8 |
실시예 28 | RFL | 3 | 400 | 1200 | S | 41 |
실시예 29 | RFL | 20 | 3,000 | 200 | Z | 25 |
실시예 30 | RFL | 60 | 6,000 | 10 | S | 8 |
상기와 같이 제조된 비교예 및 실시예 1-30의 시험편을 대상으로 물성을 측정한 후 이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시험편 | 압축강도 (MPa) |
휨인장강도 (MPa) |
시험편 | 압축강도 (MPa) |
휨인장강도 (MPa) |
비교예 | 110 | 9.5 | 실시예 16 | 134 | 15.1 |
실시예 1 | 132 | 15.2 | 실시예 17 | 139 | 15.3 |
실시예 2 | 132 | 16.1 | 실시예 18 | 148 | 15.3 |
실시예 3 | 143 | 17.5 | 실시예 19 | 134 | 15.3 |
실시예 4 | 137 | 15.6 | 실시예 20 | 142 | 15.9 |
실시예 5 | 134 | 16.3 | 실시예 21 | 148 | 16.1 |
실시예 6 | 136 | 17.1 | 실시예 22 | 142 | 15.5 |
실시예 7 | 132 | 15.2 | 실시예 23 | 148 | 15.9 |
실시예 8 | 138 | 16.2 | 실시예 24 | 156 | 16.2 |
실시예 9 | 138 | 17.3 | 실시예 25 | 136 | 15.2 |
실시예 10 | 133 | 15.8 | 실시예 26 | 144 | 15.9 |
실시예 11 | 136 | 17.2 | 실시예 27 | 152 | 16.1 |
실시예 12 | 136 | 18.1 | 실시예 28 | 139 | 16.8 |
실시예 13 | 132 | 16.9 | 실시예 29 | 147 | 17.4 |
실시예 14 | 145 | 18.1 | 실시예 30 | 155 | 17.8 |
실시예 15 | 135 | 19.7 |
상기 표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가 혼입되지 않은 비교예 시험편의 압축강도와 휨인장강도는 각각 110 MPa과 9.5 MPa을 나타내었다. 그런데 파라-아라미드 섬유를 이용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를 혼입한 실시예 1-15의 시험편에서 압축강도는 모두 130 MPa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를 혼입하지 않고 제조한 비교예 시험편의 압축강도가 110 MPa을 나타내었으나, 압축강도 측정치의 가장 낮은 값을 갖는 실시예 1의 시험편에서 압축강도가 132 MPa로 측정되었다. 즉, 파라-아라미드 섬유를 이용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가 혼입된 실시예 1-15에서 모두 압축강도가 130 MPa 이상의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휨인장강도를 살펴보면, 파라-아라미드 섬유를 이용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가 혼입되지 않은 비교예 시험편에서 휨인장강도가 9.5 MPa로 측정되었다. 그런데 파라-아라미드 섬유를 이용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가 혼입된 실시예 1-15에서 모두 휨인장강도가 15 MPa 이상의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탄소섬유를 이용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가 혼입된 실시예 16-30에서도 압축강도는 모두 130 MPa이상이며, 휨인장강도는 15 MPa 이상의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파라-아라미드 섬유 또는 탄소섬유로 제조된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가 혼입된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은 비교예 대비 압축강도 및 휨인장강도가 모두 크게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의 혼입시 콘크리트 매트릭스 내부에서 흐름성 및 분산성이 개선되고, 또한 콘크리트 매트릭스와의 계면접착력이 증대되므로서, 상기와 같이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의 압축강도 및 휨인장강도가 크게 개선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험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험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 10 : 섬유, 20 : 수지함침부
Claims (7)
- 콘크리트 매트릭스와 혼합시 분산성이 개선된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에 있어서,
파라-아라미드 섬유 멀티필라멘트 또는 탄소 섬유 멀티필라멘트를 연사공정에 의해 꼬임을 부여하고, 수지함침공정을 거쳐 열처리한 후 절단하여 그 단면이 번들(bundle) 형상을 갖는 단섬유로 구성하되,
상기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는 길이가 8 ~ 35 mm이며, 섬도는 400 ~ 3,000 데니어이며,
상기 수지함침공정시 사용되는 수지는 폴리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레소시놀-포르말린-라텍스(RFL) 수지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꼬임은 S방향 또는 Z방향으로 30 ~ 400 T/M이며, 연각도는 4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
- 삭제
- 삭제
- 삭제
- 콘크리트 매트릭스와 혼합시 분산성이 개선된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에 있어서,
파라-아라미드 섬유 멀티필라멘트 또는 탄소 섬유 멀티필라멘트를 연사공정에 의해 꼬임을 부여하고, 수지함침공정을 거쳐 열처리한 후 절단하여 그 단면이 번들(bundle) 형상을 갖는 단섬유로 구성하되,
상기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는 길이가 8 ~ 35 mm이며, 섬도는 400 ~ 3,000 데니어이며,
상기 수지함침공정시 사용되는 수지는 폴리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수지, 레소시놀-포르말린-라텍스(RFL) 수지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꼬임은 S방향 또는 Z방향으로 30 ~ 400 T/M이며, 연각도는 42° 이하로 1차 연사하고, 상기 1차 연사된 필라멘트를 합사하여 1차 연사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30 ~ 400 T/M이며, 연각도는 42° 이하로 2차 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의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bundle)형 단섬유(1); 및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은 압축강도가 130 MPa 이상이며, 휨인장강도가 15 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5082A KR101887814B1 (ko) | 2017-05-26 | 2017-05-26 |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형 단섬유 및 이를 이용한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5082A KR101887814B1 (ko) | 2017-05-26 | 2017-05-26 |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형 단섬유 및 이를 이용한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87814B1 true KR101887814B1 (ko) | 2018-08-10 |
Family
ID=63229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5082A KR101887814B1 (ko) | 2017-05-26 | 2017-05-26 |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형 단섬유 및 이를 이용한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7814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84400A (ja) * | 2005-09-26 | 2007-04-05 | Teijin Techno Products Ltd | コンクリート補強用材料 |
JP2008037680A (ja) * | 2006-08-03 | 2008-02-21 | Toray Ind Inc | コンクリートもしくはモルタル補強用無機マトリックス・炭素繊維複合線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もしくはモルタル構造物 |
KR100857475B1 (ko) * | 2007-05-14 | 2008-09-08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분산성 및 부착성능이 향상된 섬유 보강제 제조 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
JP2009046327A (ja) * | 2007-08-15 | 2009-03-05 | Shinsuke Tsubakihara | 補強硬化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2017
- 2017-05-26 KR KR1020170065082A patent/KR10188781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84400A (ja) * | 2005-09-26 | 2007-04-05 | Teijin Techno Products Ltd | コンクリート補強用材料 |
JP2008037680A (ja) * | 2006-08-03 | 2008-02-21 | Toray Ind Inc | コンクリートもしくはモルタル補強用無機マトリックス・炭素繊維複合線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もしくはモルタル構造物 |
KR100857475B1 (ko) * | 2007-05-14 | 2008-09-08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분산성 및 부착성능이 향상된 섬유 보강제 제조 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
JP2009046327A (ja) * | 2007-08-15 | 2009-03-05 | Shinsuke Tsubakihara | 補強硬化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Zhang et al. | Discontinuous micro-fibers as intrinsic reinforcement for ductile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s (ECC) | |
KR101952069B1 (ko) | 강섬유 복합섬유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형 단섬유 및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 |
EP2641882A2 (en) | Inorganic matrix-fabric system and method | |
KR101253249B1 (ko) | 물결형 강섬유와 직선형 강섬유를 혼입한 초고성능 강섬유 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제조방법 | |
JPS62297265A (ja) | 炭素繊維複合高強度耐火物 | |
KR101963081B1 (ko) | 파라-아라미드 복합섬유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형 단섬유 및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 |
JP4105754B1 (ja) | 補強硬化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2010116274A (ja) | 短繊維補強セメント成形体 | |
Dopko | Fiber reinforced concrete: Tailoring composite properties with discrete fibers | |
KR101887814B1 (ko) |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형 단섬유 및 이를 이용한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 |
KR101887815B1 (ko) | 복합섬유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형 단섬유 및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 |
US20220212990A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fiber composite for reinforcing concrete, and concrete comprising fiber composite manufactured thereby | |
JP2018111631A (ja) | セメント補強用繊維材料 | |
KR101950849B1 (ko) | 콘크리트보강용 섬유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섬유복합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 |
EP3517515B1 (en) | Fiber bundle for reinforcement of a cementitious matrix, its uses and method of obtention | |
JP2007084400A (ja) | コンクリート補強用材料 | |
JP7219147B2 (ja) | セメント補強材 | |
EP0313068B1 (en) | Polyvinyl alcohol-based synthetic fibers having a slender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and their use for reinforcing shaped articles | |
Najafiyan et al. | Comparison study on concretes containing fibers to provide concrete with high resistance | |
KR102589493B1 (ko) |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 |
KR102715633B1 (ko) | 시멘트 복합체 첨가용 나노 실리카 제조 방법, 시멘트 복합체 첨가용 나노 실리카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복합체 | |
KR102671563B1 (ko) | 바잘트 복합 섬유 보강재를 통하여 균열억제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농로 포장용 콘크리트 보강섬유 | |
Charan et al. | Characterization of E-Glass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by using Sisal Fiber | |
JP5823698B2 (ja) | ポリマーセメント組成物 | |
JPS58185474A (ja) | 繊維強化水硬性成型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