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475B1 - 분산성 및 부착성능이 향상된 섬유 보강제 제조 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분산성 및 부착성능이 향상된 섬유 보강제 제조 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475B1
KR100857475B1 KR1020070046557A KR20070046557A KR100857475B1 KR 100857475 B1 KR100857475 B1 KR 100857475B1 KR 1020070046557 A KR1020070046557 A KR 1020070046557A KR 20070046557 A KR20070046557 A KR 20070046557A KR 100857475 B1 KR100857475 B1 KR 100857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hydrophilic
fibers
bundle
fiber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필
박찬기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한국터널공학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한국터널공학회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46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4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48Fibrous materials
    • C04B20/0068Composite fibres, e.g. fibres with a core and sheath of different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04B16/061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16/0625Polyalkenes, e.g. polyethylene
    • C04B16/0633Polyprop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48Fibrous materials
    • C04B20/0064Ground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10Coating or impregnating
    • C04B20/1018Coating or impregnating with organic materials
    • C04B20/1029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0/103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45Polymers chosen for thei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 C04B2103/0051Water-absorbing polymers, hydrophilic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산성 및 부착성능이 향상된 섬유 보강제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섬유 보강제는 시멘트 조성물과 부착성능 및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섬유의 표면을 친수성 물질로 코팅하며 낱개의 섬유를 수용성 용액으로 결합시켜 번들형(다발형)섬유로 제조된 섬유보강제이며, 시멘트 조성물에 첨가되어 균열제어 및 휨강도, 휨인성 등을 포함하는 구조성능을 향상시키는 섬유 보강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친수성, 번들형, 분산성, 시멘트 조성물, 섬유 보강제

Description

분산성 및 부착성능이 향상된 섬유 보강제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Fiber reinforcement making method and cement composite including this that dispersibility and adhesion performance improve}
도 1은 종래의 표면이 매끄러운 원주형 합성섬유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수성 번들형 섬유 보강제 제조 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수성 번들형 섬유의 표면에 일자형 요철을 생성하는 요철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의 (a)는 일자형 요철이 형성된 번들형 섬유의 평면도이며, (b)는 일자형 요철이 형성된 번들형 섬유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수성 번들형 섬유에 친수성 처리하는 폴리비닐아코올 탱크에서 섬유 표면에 친수성 물질 코팅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친수성 번들형 섬유에 열을 가하는 양생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친수성 번들형 섬유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자형 섬유 보강제의 부착하중-뽑힘 곡선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친수성 번들형 섬유 보강제를 혼합한 시멘트 조성물의 휨하중-처짐 곡선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친수성 번들형 섬유 보강제를 혼입한 시멘트 조성물의 수축 균열 실험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친수성 번들형 섬유 보강제와 다른 섬유 보강제를 혼입한 시멘트 조성물의 수축 균열실험 후 균열 발생 모양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요철장치 120:일자형 요철
130:요철형 섬유 140:폴리비닐알코올
150:양생장치 160:친수성 번들형 섬유
본 발명은 분산성 및 부착성능이 향상된 섬유 보강제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멘트 조성물에 첨가되어 역학적 성능을 향상시키고 시멘트와의 부착성이 향상되며, 시멘트 조성물에 첨가되어 분산이 잘되는 번들형의 친수성섬유 보강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 보강제는 콘크리트(concrete) 등의 시멘트 조성물에 첨가되 어 시멘트 조성물의 여러 가지 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적용목적에 따라 2가지 목적을 가진다.
첫 번째 목적으로는 콘크리트 등의 시멘트 조성물에 첨가되어 구조성능(압축강도, 휨강도, 휨인성 및 충격강도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섬유이다. 대표적인 구조용 섬유로는 강섬유가 있다.
두 번째 목적으로는 콘크리트 등의 시멘트 조성물에 첨가되어 소성수축 및 건조수축균열을 제어하여 내구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된 섬유이다. 대표적인 섬유로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 합성섬유 등이 있다.
아울러, 콘크리트 등의 시멘트 조성물에 첨가되어 구조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강섬유는 금속성 섬유로서 물과 접촉하게 되면 부식이 발생하게 되고 강섬유의 콘크리트 등의 시멘트 조성물의 주요 파괴원인이 된다. 따라서, 물과 접촉하거나 수분이 다량으로 존재하는 콘크리트 등의 시멘트 조성물의 경우 강섬유를 대체할 수 있는 섬유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콘크리트 등의 시멘트 조성물에 첨가되어 부식의 우려 없이 구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섬유로는 합성섬유를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합성섬유는 재료 자체의 물성치(인장강도, 탄성계수 등)가 콘크리트 등의 시멘트 조성물의 구조성능을 향상시키기에는 충분하지 못하다.
따라서, 종래의 균열 발생을 억제할 목적으로 사용되어 오던 합성섬유 보강제는 근래에 들어 시멘트 조성물 부피의 2.0 부피% 이상으로 적용되어 구조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적용하고 있다. 특히, 2.0 부피%의 수준에서는 강 섬유와 대등 한 정도의 성능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도 있다.
하지만, 합성수지재의 보강 섬유가 2.0 부피 % 이상 첨가될 경우 보강 섬유를 낱개로 시멘트 조성물 내부에 분산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보강 섬유가 적절하게 분산되지 않으면, 오히려 압축 강도 및 휨 강도와 같은 특성이 저하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및 숏크리트 등 시멘트 조성물에 많은 체적이 %가 첨가되어도 충분히 분산될 수 있는 섬유 보강제 및 그 제조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섬유보강제의 구조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시멘트 조성물과 부착성능의 향상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균열제어용으로 적용되고 있는 합성섬유의 경우 섬유의 모양이 표면이 부드러운 원주형 모양을 가지고 있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적용되고 있는 원주형 섬유(10)의 형상을 보여준다. 이것은, 시멘트 조성물에 첨가되어 외부 하중을 받을 시 충분한 저항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시멘트 조성물에 뽑히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섬유 보강제와 시멘트 조성물의 부착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등의 시멘트 조성물에 첨가되어 소성수축 및 건조수축균열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 되는 합성섬유를 콘크리트 등의 시멘트 조성물에 구조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섬유 보강제로 적용하기 위하여 부착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섬유보강제 및 보강제 제조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합성섬유의 표면을 수용성 친수성 물질로 친수성처리하고 섬유의 모양을 변화시켜 시멘트 조성물과의 부착성능을 향상시키고, 수용성 친수성 물질은 폴리비닐알코올을 이용한다.
또한, 시멘트 조성물에서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섬유의 형상을 번들형으로 제조한다.
즉, 친수성 수용성 물질인 폴리비닐알코올을 접착제로 사용하여 각 낱개의 섬유를 부착하여 번들형의 섬유를 제조하여 콘크리트 등의 시멘트 조성물에 첨가되어 부착성능 및 분산성능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시멘트 조성물의 구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산성 및 부착성능이 향상된 섬유 보강제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산성 및 부착성능이 향상된 섬유 보강제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은, 시멘트 조성물에 첨가되는 친수성 번들형 섬유 보강제는 합성섬유를 사출과정과 연신과정, 냉각과정을 통하여 섬유가닥을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섬유 가닥을 표면에 일자형 요철을 주기 위한 압착공정을 통과하는 공정과,
상기 일자형 요철이 형성된 낱개의 섬유를 친수성과 수용성 물질인 폴리비닐알코올이 담겨져 있는 통을 통과하는 공정과,
상기 폴리비닐알코올로 표층이 형성된 낱개의 섬유를 친수성 번들형 섬유로 만들기 위한 원형의 양생장치를 통과하는 공정과,
상기 양생장치를 통과한 친수성 번들형 섬유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성 및 부착성능이 향상된 섬유 보강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조성물에 첨가되는 섬유 보강제는 표면에 일자형 요 철(120)을 둔 섬유 가닥을 갖는 보강 섬유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 섬유는 표면에 폴리비닐알코올(140) 접착제로 친수성 코팅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친수성 코팅된 섬유 가닥은 서로 번들형으로 접착되어 있는 섬유 보강제를 포함한다.
이때, 번들형은 서로 한데 묶어 접착하는 것으로 상기 번들형으로 접착되는데 사용되는 물질은 친수성 코팅 물질이면서 수용성인 폴리비닐알코올(140)을 사용한다.
이러한, 시멘트 조성물에 첨가되는 친수성 번들형 섬유 보강제 제조방법은 합성섬유를 사출과정에 의해 합성섬유를 유출시킨 후 섬유 다발을 길게 늘리는 연신과정을 거친 후 냉각과정을 통하여 섬유 가닥이 제조(S10)된다.
상기 친수성 번들형 섬유(160) 보강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이론 및 폴리올레핀계 섬유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연신과정은 섬유 다발을 길게 늘여서 선밀도(線密度)를 작게 하는 것이다.
아울러, 섬유 가닥을 표면에 일자형 요철(120)을 주기 위한 압착공정을 통과하는 공정(S20)을 거친 후 상기 일자형 요철(120)이 형성된 낱개의 섬유를 친수성인 동시에 수용성 물질인 폴리비닐알코올(140)이 담겨져 있는 통을 통과(S30)하게 된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140)로 표층이 형성된 낱개의 섬유를 친수성 번들형 섬 유(160)로 만들기 위한 원형의 양생장치(150)를 통과(S40)한 친수성 번들형 섬유(160)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는 공정(S50)에 의해 분산성 및 부착성능이 향상된 섬유 보강제 제조된다.
이때, 상기 친수성 번들형 섬유(160)는 낱개의 섬유가 묶여져 형성되는 것이며, 양생장치(150)는 단시일 내에 소요강도를 내기 위하여 고온 또는 고온고압증기로 양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친수성 번들형 합성섬유 보강제 제조과정으로 제작된 친수성 번들형 섬유(160)에 구성되는 낱개의 섬유 길이는 1mm∼100mm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섬유의 길이가 1mm보다 작게 되면 시멘트 조성물에 첨가되어 하중을 전달하는 정착길이가 너무 짧아져 충분한 구조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며, 상기 섬유의 길이가 100mm를 초과하게 되면 시멘트재에 충분히 혼합되지 못하고 겉 표면으로 노출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구조성능을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섬유의 직경 또는 두께는 0.001mm∼100mm의 범위로 제조된다.
상기 섬유의 직경이 0.001mm 이하가 되면 시멘트 조성물에 첨가되어 하중을 전달하는 정착길이가 너무 짧아져 충분한 구조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며, 상기 섬유의 직경이 100mm를 초과하게 되면 시멘트 조성물에 충분히 혼합되지 못하고 겉 표면으로 노출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구조성능을 감소게 된다.
또한, 상기 낱개의 섬유를 친수성 번들형 섬유(160)로 제작할 때 낱개 섬유의 수는 50∼300개로 한다. 상기 낱개 섬유의 수를 50개 이하의 섬유의 번들을 제작하면 시멘트 조성물에 첨가되는 섬유의 번들이 많아져 각 번들끼리 엉키는 현상 이 발생하며, 상기 낱개 섬유의 수가 300개 이상이 되면 시멘트 조성물에 첨가하는 작업이 힘들어져 궁극적으로 시멘트 조성물에서 충분한 구조 성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낱개의 섬유를 친수성 번들형 섬유(160)로 만들기 위해서 수용성인 동시에 친수성인 폴리비닐알코올(140) 용액을 표면에 코팅 및 번들형으로 접착할 때 양생장치(150)의 온도는 60℃∼100℃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양생장치(150)의 온도가 60℃이하가 되면 폴리비닐알코올(140)이 양생정치(150)를 통과하는 기간 동안 충분히 경화되지 않고, 상기 양생장치(150)의 온도가 100℃가 넘어가면 섬유의 역학적 성질을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친수성 번들형 섬유(160) 보강제를 콘크리트 등의 시멘트 조성물에 첨가되어 구조성능을 향상시킨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하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예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 1에서는 도 1과 같은 직경 1mm의 원주형 섬유의 표면에 일자형 요철(120)을 두는 과정(S20)을 일자형 요철장치(110)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상기 일자형 요철장치(110)의 형상은 도 3과 같으며, 표면 요철형 섬유(130)의 모양은 도 4와 같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제조된 일자형 표면을 가지는 요철형 섬유(130)를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친수성인 동시에 수용성 폴리비닐알코올(140) 용액이 포함되어 있는 통을 통과(S30)시키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양생장치(150)에 낱개의 섬유 가닥을 100개를 통과시킨 후 80℃의 열을 가하여 경화(S40)시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친수성 번들형 섬유(160) 보강제를 제조하였다. 그후, 친수성 번들형 섬유(160)의 길이를 40mm로 절단(S50)하여 최종적으로 친수성 번들형 섬유(160) 보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와 같은 실시예 1 과정을 통하여 친수성 번들형 섬유(160) 보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보강섬유의 시멘트 조성물 내에서 분산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표 1과 시멘트 조성물에 본 발명의 친수성 번들형 섬유(160) 보강제를 체적비로 2%를 첨가하고, 비교를 위하여 망사형 폴리프로필렌섬유 체적비로 2%, 단사형 폴리프로필렌섬유 체적비로 2% 및 강섬유를 체적비로 2% 및 친수성 처리되지 않은 친수성 번들형 섬유(160)를 체적비로 2%를 첨가하였다.
Figure 112007035414840-pat00001
그리고, 분산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시멘트, 잔골재, 굵은골재를 강제식 믹서에 넣고 30초간 비빔을 실시한 후 물을 넣은 후 130초간 비빔을 추가한 후 섬유보강제를 넣고 1분간 추가 비빔을 실시하였다.
그 후, 믹서를 멈추고 배합된 시멘트 조성물의 1/4m3을 추출한 후 얇은 치수의 구멍이 뚫린 망이 설치된 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조성물 중 시멘트, 잔골재를 제거하고, 굵은골재를 손으로 제거한 다음 남아있는 섬유보강제의 중량을 측정하여 첨가된 2%중 1/4인 0.5%가 남아있는지를 측정하였다.
즉, 분산성은 백분율로 계산하였는데 0.5%(2%÷4, 1m³을 배합하여 그 중 1/4만 추출하였으므로)가 100%으로 하여 얼마만큼 포함되어 있는지를 평가하였다(추출된 1/4m³내에 포함되어 있는 섬유보강제의 체적 비(%)/0.5%×100(%)=분산성). 실험결과는 표 2와 같다.
Figure 112007035414840-pat00002
실시예 3
상기의 표 1 배합을 이용하여 각 낱개의 섬유의 부착성능을 평가하였다. 부착성능은 JCI SF 4(일본콘크리트학회 강섬유보강 콘크리트 성능평가 기준)에 따른 부착시험을 실시하였다. 도 8은 부착하중-뽑힘 곡선을 보여주며, 표 3은 부착실험결과를 보여준다.
실험결과 친수성의 일자형 요철을 가진 섬유가 가장 우수한 부착강도 및 부착하중-뽑힘 거동을 보여주었으며, 두 번째로 표면에 일자형 요철(120)을 가진 섬유가 우수하였다. 그리고 섬유의 표면이 친수성이 아니고 표면에 요철도 없는 경우에는 부착강도가 매우 낮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Figure 112007035414840-pat00003
실시예 4
표 1의 시멘트 조성물에 본 발명의 친수성 번들형 섬유(160) 보강제를 체적비로 2%를 첨가하고, 비교를 위하여 망사형 폴리프로필렌섬유 체적비로 2%, 단사형 폴리프로필렌섬유 체적비로 2% 및 강섬유를 체적비로 2% 및 친수성 처리되지 않은 번들형 섬유를 체적비로 2%를 첨가한 후 JCI SF-8에 규정에 따라서 휨성능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는 도 9 및 표 4와 같다.
실험결과 친수성 번들형 섬유(160)가 휨강도 및 휨인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Figure 112007035414840-pat00004
실시예 5
본 발명에서는 표 1과 같은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균열제어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은 도 10에 제시되어 있는 슬래브 시험을 이용하였다.
실험은 항습실의 환경조건은 온도 28~32℃, 습도는 37~40%, 풍속은 6m/sec로 유지하도록 하여 실험실환경에서 컨트롤 시험체의 소성수축균열의 발생가능성을 극대화하였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 수분증발률은 약 0.83kg/m2/hr 정도이다. 표 5는 소성수축균열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시험결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수성 번들형 섬유(160)가 균열제어 능력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두 번째로 번들형 섬유 등으로 나타나 균열제어 성능은 분산성에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분산성이 가장 우수한 친수성 번들형 섬유(160) 보강제가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7035414840-pat00005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합성섬유의 표면을 수용성 친수성 물질로 친수성처리하고 섬유의 모양을 변화시켜 시멘트 조성물과의 부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분산성 및 부착성능이 향상된 섬유 보강제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은 표면에 일자형 요철이 형성된 합성섬유 보강제를 친수성 수용성 물질인 폴리비닐알코올을 이용하여 친수성 코팅 및 번들형으로 제조하면 시멘트 조성물에 첨가하여 섬유보강제의 분산성 및 부착성능이 향상되어 시멘트 조성물의 구조성능 및 균열제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섬유보강제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섬유 보강제를 제조하면 강섬유의 부식과 분산성 저하에 의한 시멘트 조성물의 구조성능 향상 및 균열제어 성능 향상을 통하여 안전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시멘트 보강제을 달성할 수 있어 활용가치가 높은 효과가 있으므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9)

  1. 시멘트 보강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멘트 조성물에 첨가되는 친수성 번들형 섬유 보강제는 합성섬유를 사출과정과 연신과정, 냉각과정을 통하여 섬유 가닥을 제조하는 공정(S10)과,
    상기 섬유 가닥을 표면에 일자형 요철을 주기 위한 압착공정을 통과하는 공정(S20)과,
    상기 일자형 요철이 형성된 낱개의 섬유를 친수성인 동시에 수용성인 물질인 폴리비닐알코올이 담겨져 있는 통을 통과하는 공정(S30)과,
    상기 폴리비닐알코올로 표층이 형성된 낱개의 섬유를 친수성 번들형 섬유(160)로 만들기 위한 원형의 양생장치를 통과하는 공정(S40)과,
    상기 양생장치를 통과한 친수성 번들형 섬유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는 공정(S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성 및 부착성능이 향상된 섬유 보강제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번들형 섬유 보강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이론, 폴리올레핀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성 및 부착성능이 향상된 섬유 보강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번들형 섬유 보강제는 표면에 일자형 요철을 갖으며, 표면을 친수성인 동시에 수용성인 폴리비닐알코올로 코팅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성 및 부착성능이 향상된 섬유 보강제.
  4. 제3항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코올로 코팅한 합성섬유 보강제를 분산성 향상을 위하여 낱개의 섬유를 묶어 친수성 번들형 섬유로 제조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성 및 부착성능이 향상된 섬유 보강제.
  5. 제3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용액으로 낱개의 섬유 표면에 코팅하는 것과 상기 낱개의 섬유를 친수성 번들형 섬유로 묶어 접착할 때 양생장치의 온도는 60℃∼100℃로 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성 및 부착성능이 향상된 섬유 보강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낱개의 섬유를 묶은 친수성 번들형 섬유의 수는 50 ∼ 300개로 묶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성 및 부착성능이 향상된 섬유 보강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번들형 섬유에 묶인 낱개의 섬유 길이를 1mm ∼ 100mm인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성 및 부착성능이 향상된 섬유 보강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번들형 섬유에 묶인 낱개의 섬유 직경이 0.001mm ∼ 100mm인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성 및 부착성능이 향상된 섬유 보강제.
  9. 시멘트와, 제1항 내지 제8항에 기재된 친수성 번들형 섬유 보강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조성물.
KR1020070046557A 2007-05-14 2007-05-14 분산성 및 부착성능이 향상된 섬유 보강제 제조 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KR100857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557A KR100857475B1 (ko) 2007-05-14 2007-05-14 분산성 및 부착성능이 향상된 섬유 보강제 제조 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557A KR100857475B1 (ko) 2007-05-14 2007-05-14 분산성 및 부착성능이 향상된 섬유 보강제 제조 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7475B1 true KR100857475B1 (ko) 2008-09-08

Family

ID=40022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557A KR100857475B1 (ko) 2007-05-14 2007-05-14 분산성 및 부착성능이 향상된 섬유 보강제 제조 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475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729B1 (ko) 2012-11-29 2013-06-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섬유 보강 가열아스팔트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61852B1 (ko) * 2013-06-04 2014-02-12 나이콘소재 주식회사 섬유보강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섬유보강재
KR20160109861A (ko) * 2015-03-13 2016-09-21 서상욱 콘크리트 섬유보강재 및 이 콘크리트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
KR20160137898A (ko) 2016-11-17 2016-12-0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멘트계 복합체 구조용 합성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87814B1 (ko) * 2017-05-26 2018-08-10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형 단섬유 및 이를 이용한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KR101887815B1 (ko) * 2017-05-26 2018-08-10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복합섬유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형 단섬유 및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KR101952069B1 (ko) * 2018-02-20 2019-02-25 한국섬유개발연구원 강섬유 복합섬유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형 단섬유 및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KR102119999B1 (ko) 2019-01-17 2020-06-0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코팅층을 갖는 시멘트계 재료보강용 합성섬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KR20200065171A (ko) 2018-11-29 2020-06-0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표면패턴을 갖는 시멘트계 재료 보강용 합성섬유의 제조방법
KR102160910B1 (ko) 2019-07-05 2020-10-05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되는 섬유보강 모르타르
KR102175574B1 (ko) 2019-12-24 2020-11-06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실리카 나노 입자가 코팅된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되는 탄소섬유 보강 모르타르
KR102292424B1 (ko) 2020-09-22 2021-08-23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강섬유 및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섬유 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되는 휨성능이 향상된 시멘트 복합체
KR102292413B1 (ko) 2020-06-17 2021-08-23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향상된 마찰 부착강도를 가지는 실리카 나노 입자 코팅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시멘트 페이스트 조성물
KR102435625B1 (ko) 2021-08-25 2022-08-25 (주)신오엔지니어링 복합 고분자 재질을 이용한 콘크리트용 섬유보강재
KR102435624B1 (ko) 2021-08-25 2022-08-25 (주)신오엔지니어링 폴리아미드 재질을 이용한 콘크리트용 섬유보강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6297A (ja) 1997-10-07 1999-04-27 Hagiwara Kogyo Kk セメント強化用ポリプロピレン繊維及びそれを用いた吹付けコンクリートの施工方法
KR20010104575A (ko) * 2000-05-15 2001-11-26 권능 트위스트형 보강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0088536A (ko) * 2001-05-18 2002-11-29 주식회사 하이콘 굴곡형 보강섬유 다발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6297A (ja) 1997-10-07 1999-04-27 Hagiwara Kogyo Kk セメント強化用ポリプロピレン繊維及びそれを用いた吹付けコンクリートの施工方法
KR20010104575A (ko) * 2000-05-15 2001-11-26 권능 트위스트형 보강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0088536A (ko) * 2001-05-18 2002-11-29 주식회사 하이콘 굴곡형 보강섬유 다발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729B1 (ko) 2012-11-29 2013-06-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섬유 보강 가열아스팔트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61852B1 (ko) * 2013-06-04 2014-02-12 나이콘소재 주식회사 섬유보강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섬유보강재
KR20160109861A (ko) * 2015-03-13 2016-09-21 서상욱 콘크리트 섬유보강재 및 이 콘크리트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
KR101675156B1 (ko) * 2015-03-13 2016-11-10 서상욱 콘크리트 섬유보강재 및 이 콘크리트 섬유보강재의 제조방법
KR20160137898A (ko) 2016-11-17 2016-12-0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멘트계 복합체 구조용 합성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87814B1 (ko) * 2017-05-26 2018-08-10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형 단섬유 및 이를 이용한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KR101887815B1 (ko) * 2017-05-26 2018-08-10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복합섬유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형 단섬유 및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KR101952069B1 (ko) * 2018-02-20 2019-02-25 한국섬유개발연구원 강섬유 복합섬유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강용 번들형 단섬유 및 섬유보강 콘크리트 조성물
KR20200065171A (ko) 2018-11-29 2020-06-0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표면패턴을 갖는 시멘트계 재료 보강용 합성섬유의 제조방법
KR102119999B1 (ko) 2019-01-17 2020-06-0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코팅층을 갖는 시멘트계 재료보강용 합성섬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KR102160910B1 (ko) 2019-07-05 2020-10-05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되는 섬유보강 모르타르
KR102175574B1 (ko) 2019-12-24 2020-11-06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실리카 나노 입자가 코팅된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되는 탄소섬유 보강 모르타르
KR102292413B1 (ko) 2020-06-17 2021-08-23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향상된 마찰 부착강도를 가지는 실리카 나노 입자 코팅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시멘트 페이스트 조성물
KR102292424B1 (ko) 2020-09-22 2021-08-23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강섬유 및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섬유 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되는 휨성능이 향상된 시멘트 복합체
KR102435625B1 (ko) 2021-08-25 2022-08-25 (주)신오엔지니어링 복합 고분자 재질을 이용한 콘크리트용 섬유보강재
KR102435624B1 (ko) 2021-08-25 2022-08-25 (주)신오엔지니어링 폴리아미드 재질을 이용한 콘크리트용 섬유보강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7475B1 (ko) 분산성 및 부착성능이 향상된 섬유 보강제 제조 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Elsaid et al. Mechanical properties of kenaf fiber reinforced concrete
Huner Effect of water absorption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flax fiber reinforced epoxy composites
Ferreira et al. Effect of sisal fiber hornification on the fiber-matrix bonding characteristics and bending behavior of cement based composites
Ahmad et al. Oil Palm Trunk Fiber as a Bio-Waste Resource for Concrete Reinforcement.
Loong et al. Enhancement of mechanical properties of bio-resin epoxy/flax fiber composites using acetic anhydride
Vaghasia et al. Evaluation of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woven bamboo glass polyester hybrid composite material
Walte et al. Mechanical characterization of coir fiber reinforced composite
DK151876B (da) Plade eller andet emne, som omfatter et netvaerk affibrilleret forstaerkningsmateriale, der er fremstillet ud fra en organisk folie
Ruben et al. Experimental study of coir fiber as concrete reinforcement material incement based composites
Senthilkumar et al. Effect of fibre length and weight percentage on mechanical properties of short sisal/polyester composite
Hafizah et al. Tensile behaviour of kenaf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s
Krishnudu et al. Effect of alkali treatment on mechanical properties of Prosopis Juliflora hybrid composites
R. Pakravan et al. Adhesion of polypropylene fiber to cement matrix
Reddy et al. Effect of alkaline treatment on mechanical properties of kenaf fiber reinforced polyester composites
Querido et al. Development and analysis of sponge gourd (Luffa cylindrica L.) fiber-reinforced cement composites
Peled et al. Properties of fabric–cement composites made by pultrusion
Prasad et al. Tensile and impact behaviour of rice straw-polyester composites
Sólyom et al. Bond behaviour of FRP rebars–parameter study
KR102365154B1 (ko) 콘크리트 보강용 복합 섬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섬유 보강 콘크리트
Sharma et al. Mechanical properties of urea formaldehyde resin composites reinforced with bamboo, coconut and glass fibers
Mawlood Flexural behavior of structure of laminated cementitious composites with different types of mesh reinforcements
JP2003055011A (ja) コンクリート補強用ロ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Behdouj et al. Effect of cross sectional shape of polypropylene fibers on flexural toughness of composites and fiber-to-cement matrix adhesion
Misnon¹ et al. Influence of coir random fibre length on concrete: mechanical proper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