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624B1 - 발광 모듈 및 렌즈 - Google Patents

발광 모듈 및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624B1
KR101887624B1 KR1020110141110A KR20110141110A KR101887624B1 KR 101887624 B1 KR101887624 B1 KR 101887624B1 KR 1020110141110 A KR1020110141110 A KR 1020110141110A KR 20110141110 A KR20110141110 A KR 20110141110A KR 101887624 B1 KR101887624 B1 KR 101887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ens
light
concave portion
centr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3328A (ko
Inventor
김은주
Original Assignee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1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624B1/ko
Publication of KR20130073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483Containers
    • H01L33/486Containers adapted for surface 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H01L33/54Encapsulations having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Abstract

렌즈를 구비하는 발광 모듈이 개시된다. 이 발광 모듈은, 발광 다이오드 칩과, 이 발광 다이오드 칩에서 방출된 광의 광속을 분산시키는 렌즈를 포함하며, 이 렌즈는, 발광 다이오드 칩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오목부를 갖는 하부면과, 이 오목부로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상부면을 포함한다. 여기서, 렌즈의 상부면은 중심축을 지나는 면을 기준으로 두 개의 볼록 렌즈를 중첩시켜 형성된 기다란 형상을 가지며, 다만, 상기 두 개의 볼록 렌즈가 중첩되는 부분 중 적어도 일부에 완만한 연결부를 갖는다. 이에 따라, 기다란 형상의 광 지향 패턴을 갖는 발광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 모듈 및 렌즈{LIGHT EMITTING MODULE AND LENS}
본 발명은 발광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면 조명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렌즈를 구비하는 발광 모듈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를 백라이팅하는 방식으로 엣지형과 직하형이 있다. 엣지형은 도광판의 측면에 LED들을 배치하고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도광판을 이용하여 액정 패널을 백라이팅하는 것인데, LED 갯수를 줄일 수 있고 LED들 간의 고도의 품질 편차를 요하지 않아 가격면에서 유리하고 또한 저전력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엣지형은 액정 디스플레이의 모서리 부분과 중앙 영역 사이의 명암 차이를 극복하기 어렵고 고화질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직하형은 액정 패널의 바로 아래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LED를 배치하여 액정 패널을 백라이팅하는 것으로, 모서리 부분과 중앙 영역 사이의 명암 차이를 극복할 수 있고 또한 고화질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직하형의 경우, 각 LED가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고르게 백라이팅하지 못할 경우, 많은 갯수의 LED을 조밀하게 배열해야 하며, 이에 따라 전력 소모가 증가한다. 나아가, LED들 사이에 품질 편차가 있을 경우, 액정 패널이 불균일하게 백라이팅되어 화면의 균질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LED 사용 갯수를 줄이기 위해, 각 LED에 렌즈를 배치하여 광을 분산시키는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LED와 렌즈 사이의 약간의 정렬 변화가 발생해도 렌즈를 통해 방출되는 광의 분포에 중대한 변화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액정 패널의 균일한 백라이팅이 더욱 어렵게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반 형상의 광 지향 패턴(Lp)을 갖는 렌즈를 적용할 경우, 인접한 광이 서로 교차하는 밝은 부분(Wp)과 광이 거의 조사되지 않는 어두운 부분(Bp)이 발생될 수 있다.
밝은 부분(Wp)은 광 지향 패턴(Lp)의 지향각에 따른 밝기를 조절하에 밝은 부분(Wp)으로 진행하는 광속을 감소시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어두운 부분(Bp)은 광 지향 패턴(Lp)의 크기를 증가시키거나 LED들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켜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밝은 부분(Wp)을 제거하기 위해 밝은 부분(Wp)으로 진행하는 광속을 감소시킬 경우, 어두운 부분(Bp)은 더욱 어두워지며, 이와 반대로, 어두운 부분(Bp)을 제거하기 위해 광 지향 패턴(Lp)의 크기를 증가시키거나 LED들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킬 경우, 밝은 부분(Wp)이 더 넓게 형성되고 더 밟아진다. 즉, 밝은 부분(Wp)과 어두운 부분(Bp)을 동시에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광을 분산시키는 렌즈 및 그것을 구비하는 발광 모듈을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면 광원 또는 직하형 백라이트 광원에 적합한 발광 모듈 및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복수의 LED를 사용하는 광원에서 넓은 면적에 걸쳐 균일한 광을 방출하기 위한 발광 모듈 및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LED와 렌즈 사이의 정렬 공차를 증가시킬 수 있는 렌즈 및 발광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제작이 용이한 렌즈 및 발광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 모듈은, 발광 다이오드 칩;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에서 방출된 광의 광속을 분산시키는 렌즈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렌즈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오목부를 갖는 하부면; 및 상기 오목부로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상부면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면은 중심축을 지나는 면을 기준으로 두 개의 볼록 렌즈를 중첩시킨 기다란 형상을 갖되, 상기 두 개의 볼록 렌즈가 중첩되는 부분 중 적어도 일부에 완만한 연결부를 갖는다.
상기 완만한 연결부는 상기 상부면 중 중심축에서 멀수록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의 입구 영역은 일축 방향을 따라 기다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축 방향은 상기 렌즈의 길이 방향에 직교한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하부면의 오목부는 중심축에 수직한 면 및 아래로 볼록한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심축에 수직한 면 및 아래로 볼록한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은 상기 오목부 입구의 영역보다 좁은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렌즈는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을 연결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플랜지에 접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은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이 실장되는 하우징;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에서 방출된 광을 파장변환하는 파장변환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장변환층은 상기 렌즈의 오목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렌즈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모듈은 또한, 상기 발광 소자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렌즈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놓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렌즈는 다리부를 갖고, 상기 다리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놓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오목부 사이에는 에어갭이 존재하며, 따라서, 상기 오목부에 입사되는 광은 상기 오목부의 표면에서 1차 굴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다란 형상의 광 지향 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발광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을 배열하고, 각 발광 다이오드 칩 상에 상기 렌즈를 배치함으로써, 기다란 형상의 광 패턴들에 의해 넓은 면적에 걸쳐 균일하게 광속을 분포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균일한 면 광원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면 광원의 광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면 광원의 광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발광 모듈을 x축 및 y축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발광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렌즈의 오목부의 다양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렌즈의 오목부의 다양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렌즈의 다양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모듈의 광 지향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들이다.
도 12는 도 11의 렌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수평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도 11의 렌즈를 적용한 발광 모듈의 광 지향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15는 도 14의 렌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수평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도 14의 렌즈를 적용한 발광 모듈의 광 지향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들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갖는 발광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면 광원의 광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렌즈를 통해 출사되는 광 지향 패턴(Lp)이 기다란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광 지향 패턴(Lp)들을 일정 간격으로 배열함으로써 밝은 부분(Wp)이 기다랗게 형성되는 광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기다란 형상의 광 지향 패턴(Lp)을 배열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같이 어두운 부분(Bp)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어두운 부분(Bp)을 고려하지 않고 밝은 부분(Wp)을 제거하도록 광속 분포를 조절할 수 있어, 균일한 면 광원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발광 모듈의 단면도들로서, (a)는 장축(y) 방향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b)는 단축(x) 방향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한편, 도 5는 상기 발광 모듈에 사용되는 발광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 모듈은 인쇄회로기판(10), 발광 소자(20) 및 렌즈(30)를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10)은 일부가 도시되어 있지만, 하나의 인쇄회로기판(10) 상에 복수의 발광소자들(20)이 일렬로 또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다양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은 상기 발광소자(20)의 단자들이 본딩되는 도전성의 랜드 패턴들을 상면에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은 상면에 반사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은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을 기반으로 하는 MCPCB(Metal-Core PCB)일 수 있으며, FR4와 같은 절연성 기판 재료를 기반으로 할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하부에는 발광 소자(20)에서 발생된 열을 방출하기 위해 히트싱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20)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 상에 실장된 발광다이오드 칩(23)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23)을 덮는 파장변환층(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20)는 또한 상기 하우징(21)에 지지된 리드 단자들(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한편, 패키지 몸체를 구성하는 상기 하우징(21)은 PA 또는 PPA 등과 같은 플라스틱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21)은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리드 단자들을 지지하는 상태로 성형될 수 있으며, 또한 발광 다이오드 칩(23)을 실장하기 위한 캐비티(21a)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캐비티(21a)는 발광 소자(20)의 광 출사 영역을 정의한다.
리드 단자들은 하우징(21) 내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하우징(21) 외부로 연장되어 인쇄회로기판(10) 상의 랜드 패턴에 본딩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 칩(23)은 상기 캐비티(21a) 바닥에 실장되어 리드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23)은 자외선 또는 청색광을 방출하는 질화갈륨 계열의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한편, 파장변환층(25)이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23)을 덮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파장변환층(25)은 발광 다이오드 칩(23)을 실장한 후, 형광체를 함유하는 몰딩수지로 캐비티(21a)를 채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파장변환층(25)은 하우징(21)의 캐비티(21a)를 채우고 상면이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또는 볼록할 수 있다. 또한, 파장변환층(25) 상에 렌즈 형상을 갖는 몰딩 수지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컨포멀한 형광체 코팅층이 형성된 발광 다이오드 칩(23)이 하우징(21)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즉, 발광 다이오드 칩(23) 상에 형광체의 컨포멀 코팅층을 적용하고, 이 형광체 코팅층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칩(23)을 하우징(21) 상에 실장할 수 있다. 상기 컨포멀 코팅층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칩(23)은 투명 수지에 의해 몰딩될 수 있다. 나아가, 이 몰딩 수지는 렌즈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1차 렌즈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파장변환층(25)은 상기 발광다이오드 칩(23)에서 방출된 광을 파장 변환하여 혼색광, 예컨대 백색광을 구현한다.
상기 발광 소자(20)는 거울면 대칭 구조의 광 지향 분포를 갖도록 설계되며, 특히 회전 대칭 구조의 광 지향 분포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때, 광 지향 분포의 중심을 향하는 발광 소자의 축이 광축(L)으로 정의된다. 즉, 상기 발광 소자(20)는 광축(L)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인 광 지향 분포를 갖도록 설계된다. 일반적으로, 하우징(21)의 캐비티(21a)가 거울면 대칭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광축(L)은 캐비티(21a)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23) 및 하우징(21)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20)가 인쇄회로기판(10) 상에 실장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와 달리, 발광 다이오드 칩(23)이 직접 인쇄회로기판(20) 상에 실장되고, 파장변환층(25)이 인쇄회로기판(10) 상에서 발광 다이오드 칩(23)을 덮을 수도 있다.
다시,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렌즈(30)는 하부면(31) 및 상부면(35)을 포함하고, 또한 플랜지(37) 및 다리부(3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면(31)은 오목부(31a)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면(35)은 오목면(35a)과 볼록면(35b)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면(31)은 대략 원판 형상의 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오목부(31a)는 중앙 부분에 위치한다. 상기 하부면(31)은 평면일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요철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오목부(31a)는 발광 소자(20)로부터 방출된 광이 렌즈(30)로 입사되는 부분으로, 발광 다이오드 칩(23)은 오목부(31a)의 중앙부분 아래에 위치한다. 상기 오목부(31a)의 입구 영역은 기다란 형상을 갖는다. 도면에서, 상기 오목부(31a)의 입구 영역은 y축 방향을 따라 기다란 형상으로, x축 방향이 단축 방향이 되고, y축 방향이 장축 방향이 된다.
상기 오목부(31a)의 입구 영역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컨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a) 직사각형 형상, (b) 타원형, (c) 모서리가 라운딩된 직사각형 형상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오목부(31a)의 입구 영역에 대해, 장축 방향의 폭을 a, 단축 방향의 폭을 b로 나타내었다.
한편, 상기 입구 영역에서 상기 오목부(31a)의 내부로 들어갈수록 오목부의 폭이 좁아진다. 도 7(a) 및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목부(31a)의 단면 형상은 좌우 대칭 구조를 갖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도 7(a)는 장축(y) 방향을 따라 취해진 오목부(31a)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 7(b)는 단축(x) 방향을 따라 취해진 오목부(31a)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7(a)에서 사다리꼴의 아랫변의 길이를 a1으로, 윗변의 길이를 a2로 나타내고, 아랫변의 중심에서 윗변의 가장자리를 지나는 선의 중심축에 대한 각을 α로 나타내었다. 여기서, a2는 a1보다 작다. 한편, 도 7(b)에서, 사다리꼴의 아랫변의 길이를 b1으로, 윗변의 길이를 b2로 나타내고, 아랫변의 중심에서 윗변의 가장자리를 지나는 선의 중심축에 대한 각을 β로 나타내었다. 여기서, b2는 b1보다 작다. 이때, a2는 b2보다 크고, 따라서 α는 β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 및 (b)에서 오목부(31a)의 단면 형상에서 측면이 직선인 사다리꼴 형상인 것에 대해 설명했지만, 도 8(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31a)의 단면 형상에서 측면이 곡선인 사다리꼴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오목부(31a)의 입구 영역을 기다란 형상으로 함으로써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다란 형상의 광 지향 패턴(Lp)을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도 4(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오목부(31a)의 내면은 측면(33a)과 상단면(upper end surface, 33b)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상단면(33b)은 중심축(C)에 수직하고, 상기 측면(33a)은 상단면(33b)으로부터 오목부(31a)의 입구로 이어진다. 여기서, 중심축(C)은 발광 소자(20)의 광축(L)과 일치하도록 정렬될 경우, 렌즈(30)에서 출사되는 광 지향 분포의 중심이 되는 축으로 정의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오목부(31a)는 입구에서부터 위로 올라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측면(33a)은 입구로부터 상단면(33b)으로 갈수록 중심축(C)에 가까워진다. 따라서, 상단면(33b)의 영역을 입구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만들 수 있다. 상기 측면(33a)은 상기 상단면(33b) 근처에서 상대적으로 경사가 완만할 수 있다.
상기 상단면(33b) 영역은 오목부(31a)의 입구 영역보다 좁은 영역 내에 한정된다. 특히, 상기 상단면(33b)의 단축(x) 방향 폭은 상부면(35)의 오목면(35a)과 볼록면(35b)에 의해 형성되는 변곡선으로 둘러싸인 영역보다 좁은 영역 내에 한정될 수 있다. 더욱이, 상단면(33b)의 단축(x) 방향 폭은 발광 소자(20)의 캐비티(21a) 영역, 즉 광 출사 영역보다 좁은 영역 내에 한정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단면(33b) 영역은 발광 소자의 광축(L)과 렌즈(30)의 중심축(C)이 오정렬 될 때, 렌즈(30)의 상부면(35)을 통해 출사되는 광의 지향 분포 변화를 완화한다. 따라서, 상기 상단면(33b)의 영역은 발광 소자(20)와 렌즈(30)의 정렬 오차를 고려하여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렌즈(30)의 상부면(35)은 중심축(C)을 기준으로 오목면(35a) 및 오목면(35a)에서 연속적으로 이어진 볼록면(35b)을 포함한다. 오목면(35a)과 볼록면(35b)이 만나는 선이 변곡선이 된다. 상기 오목면(35a)은 렌즈(30)의 중심축(C) 근처에서 출사되는 광을 상대적으로 큰 각도로 굴절시켜 중심축(C) 근처의 광을 분산시킨다. 또한, 상기 볼록면(35b)은 중심축(C) 바깥쪽으로 출사되는 광량을 늘린다.
상기 상부면(35) 및 오목부(31a)는 x축 또는 y축을 따라 중심축(C)을 지나는 면에 대해 거울면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면(35)은 중심축(C)에 대해 회전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31a) 및 상부면(35)의 형상은 요구되는 광 지향 분포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랜지(37)는 상부면(35)과 하부면(31)을 연결하며 렌즈의 외형 크기를 한정한다. 플랜지(37)의 측면과 하부면(31)에 요철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렌즈(30)의 다리부(39)가 인쇄회로기판(10)에 결합되어 하부면(31)을 인쇄회로기판(1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결합은 다리부(39)들 각각의 선단이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0) 상에 접착되거나 다리부(39) 각각이 인쇄회로기판(10)에 형성된 홀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렌즈(30)는 발광 소자(20)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며, 따라서, 오목부(31a) 내에 에어갭이 형성된다. 상기 발광 소자(20)의 하우징(21)은 하부면(31) 아래에 위치하며, 나아가, 상기 발광 소자(20)의 파장변환층(25)이 오목부(31a)로부터 떨어져 하부면(31)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오목부(31a)내에서 진행하는 광이 하우징(21)이나 파장변환층(25)에 흡수되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오목부(31a)의 입구 영역을 기다란 형상으로 함으로서, 렌즈(30)를 통해 출사되는 광의 지향 패턴이 단축(x) 방향으로 기다란 형상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31a) 내에 중심축(C)에 수직한 면을 형성함으로써, 발광 소자(20)와 렌즈(30)의 정렬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렌즈(30)로부터 출사되는 광 지향 분포의 변화를 완화할 수 있다. 더욱이, 오목부(31a)의 상단면(33b)을 평평한 면으로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첨예한 정점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렌즈 제작이 쉬워진다.
앞서 오목부(31a)의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인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오목부(31a)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9는는 렌즈의 다양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여기서는 도 4의 오목부(31a)의 다양한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9(a)는 도 4(a) 및 (b)에서 설명한 중심축(C)에 수직한 상단면(33b) 중 중심축(C) 근처의 일부분이 아래로 볼록한 면을 형성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 볼록한 면에 의해 중심축(C) 근처로 입사되는 광을 1차적으로 제어하여 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도 9(b)는 도 9(a)와 유사하나, 도 9(a)의 상단면 중 중심축(C)에 수직한 면이 위로 볼록하게 형성된 것에 차이가 있다. 상단면이 위로 볼록한 면과 아래로 볼록한 면이 혼합되어 있어, 발광 소자와 렌즈의 정렬 오차에 따른 광 지향 분포 변화를 완화할 수 있다.
도 9(c)는 도 4(a) 및 (b)에서 설명한 중심축(C)에 수직한 상단면(33b) 중 중심축(C) 근처의 일부분이 위로 볼록한 면을 형성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 볼록한 면에 의해 중심축(C) 근처로 입사되는 광을 더 분산시킬 수 있다.
도 9(d)는 도 9(c)와 유사하나, 도 9(c)의 상단면 중 중심축(C)에 수직한 면이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된 것에 차이가 있다. 상단면이 위로 볼록한 면과 아래로 볼록한 면이 혼합되어 있어, 발광 소자와 렌즈의 정렬 오차에 따른 광 지향 분포 변화를 완화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오목부(31a)의 상단면(33b)에 광 산란 패턴(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 산란 패턴은 요철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부면(35)의 오목면(35a)에도 광 산란 패턴, 에컨대 요철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렌즈의 중심축(C) 근처로 상대적으로 많은 광속이 집중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단면(33b)이 중심축(C)에 대체로 수직한 면이므로, 중심축(C) 근처에서 광속이 더욱 집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단면(33b) 및/또는 오목면(35a)에 광 산란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중심축(C) 근처의 광속을 분산시킬 수 있다.
나아가, 중심축(C) 근처의 광속을 분산시키기 위해, 상단면(33b)에 렌즈(30)와 다른 굴절률을 갖는 물질층(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물질층은 렌즈보다 굴절률이 더 클 수 있으며, 따라서, 상단면(33b)으로 입사되는 광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오목면(35a)에도 렌즈(30)와 다른 굴절률을 갖는 물질층(39b)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물질층(39b)은 렌즈보다 굴절률이 더 클 수 있으며, 따라서, 오목면(35a)을 통해 출사되는 광의 굴절각을 더 크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사용에 의한 발광 모듈의 광 지향 분포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서, 단축(x) 방향 및 장축(y) 방향의 조도 분포가 동일한 발광 소자(20)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렌즈(30)를 사용하여 x축 방향의 광 지향 분포(Px), y축 방향의 광 지향 분포(Py) 및 x축에 대해 45도 방향의 광 지향 분포(P45)를 시뮬레이션하였다. 광 지향 분포는 발광 소자(20)로부터 5m 이격된 지점에서의 지향각에 따른 광도를 나타낸 것으로, 각 방향의 지향 분포를 하나의 그래프에 겹쳐서 나타내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축(x) 방향의 광 지향 분포(Px)는 지향각 0°에서 광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며, 70° 근처에서 상대적으로 광도가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광이 넓게 분산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에 반해, 장축(y) 방향의 광 지향 분포(Py) 및 x축에 대해 45도 방향의 광 지향 분포(P45)는 지향각에 따라 광도가 크게 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광이 넓게 분산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 모듈에 의해 x축 방향으로 기다란 광 지향 패턴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a)는 사시도를, (b) 및 (c)는 각각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취한 단면도들을 나타낸다. 또한, 도 12는 도 11의 렌즈의 수평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면들에서 도 4와 동일한 지시번호는 생략하였으며, 도 4와 동일한 지시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1 (a) 내지 (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30)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나, 상부면(35)의 형상에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30)의 상부면(35)은 오목부(31a)의 장축(y)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즉, 오목부(31a)의 단축(x) 방향으로 기다란 형상을 갖는다. 특히, 상기 렌즈(30)의 상부면은 두개의 반구를 중첩시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들 두 개의 반구의 대칭면은 오목부(31a)의 장축 방향을 따라 상기 오목부(31a)의 중심을 지나는 면과 일치하며, 두개의 반구가 접하는 부분에 날카로운 오목부(351)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30)의 수평 단면은 8자와 유사하게 두개의 원판을 중첩한 형상을 가지며, 대칭선 상에 첨예한 오목부(351)가 위치한다.
도 13은 도 11의 렌즈 사용에 따른 발광 모듈의 광 지향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서, 렌즈의 형상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도 10의 발광 모듈과 동일한 조건에서 광 지향 분포를 얻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축(x) 방향의 광 지향 분포(Px)는 지향각 0°에서 광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며, 70° 근처에서 상대적으로 광도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x축 방향으로 광이 넓게 분산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에 반해, 장축(y) 방향의 광 지향 분포(Py)는 지향각에 따라 광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어 광이 넓게 분산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 모듈에 의해 x축 방향으로 기다란 광 지향 패턴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y축 방향으로는 중심에서 상대적으로 강한 광도 분포를 보이고 있어 y축 방향으로 광이 상당히 좁은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플랜지(37) 근처에서 광이 첨예한 오목부(351)에 의해 렌즈 내부에 갇히기 때문에 발생되는 것으로 보인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고, 도 15는 도 14의 렌즈를 설명하기 위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 14(a) 및 (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는 도 11의 렌즈와 유사하나, y축 방향으로 상기 렌즈를 자르는 대칭면 부분에 연결부(353)가 마련된 것에 차이가 있다.
도 14(a)는 플랜지(37) 근처에 연결부(353)가 마련되고, 위로 갈수록 연결부의 폭이 좁아지는 렌즈를 나타내며, 중심축(C)이 지나는 정점에 도달하기 전에 연결부(353)는 사라지고, 첨예한 오목부(351)가 이어진다. 한편, 도 14(b)는 연결부(353)가 중심축(C)이 지나는 정점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15는 상기 연결부(353)를 포함하도록 렌즈 하부면에 평행하게 절단된 수평 단면도인데, 도 15에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353)는 도 12의 첨예한 오목부(351)와 달리 상대적으로 완만한 오목부를 형성한다. 수평 단면도에서, 연결부(353)가 오목한 선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연결부(353)는 수평 단면도에서 직선일 수도 있다.
도 16은 도 14의 렌즈를 적용한 발광 모듈의 광 지향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들이다. 여기서, 도 16 (a) 및 (b)는 각각 도 14 (a) 및 (b)의 렌즈를 적용한 발광 모듈의 광 지향 분포를 나타낸다.
도 16(a) 및 (b)를 참조하면, x축 방향의 광 지향 분포(Px)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광 지향 분포와 대체로 유사하나, y축 방향의 광 지향 분포(Py)가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y축 방향의 광 지향 분포(Py)는 약 70°근처의 지향각에서 중심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광도를 나타내고 있다. 나아가, 도 16(b)와 같이 연결부(353)를 상부면의 중심까지 형성할수록 70°근처의 지향각에서 중심에 비해 더 강한 광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연결부(353)를 형성함에 따라 y축 방향에서의 지향각에 따른 광속을 분산시킬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갖는 발광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 모듈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발광 모듈과 유사하나, 인쇄회로기판(10) 상에 복수의 발광소자(20)가 배치된 것에 차이가 있다. 상기 각 발광 소자(20) 상에 앞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렌즈(30)가 배치된다.
상기 발광 소자(20)는 일렬로 인쇄회로기판(20) 상에 배열될 수도 있고, 매트릭스 형상 또는 벌집 모양 등 다양한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소자(20)의 배열에 의해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광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렌즈(30)에 의해 기다란 형상의 광 패턴(Lp)을 구현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어두운 부분(Bp)의 발생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넓은 면적에 걸쳐 균일한 광도를 나타내는 조명용 면 광원 또는 백라이팅용 면 광원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발광 다이오드 칩;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에서 방출된 광의 광속을 분산시키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오목부를 갖는 하부면; 및
    상기 오목부로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상부면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면은 중심축을 지나는 면을 기준으로 두 개의 볼록 렌즈를 중첩시켜 형성된 기다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면은 상기 두 개의 볼록 렌즈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부면의 적어도 측면 일부에 위치하여, 양 변이 상기 두 개의 볼록 렌즈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오목부의 입구 영역은 일축 방향으로 기다란 형상을 가지고,
    상기 렌즈의 상기 상부면은 상기 일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다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는 수평 단면 상에서 완만한 오목한 선이거나 직선인 발광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부면 중 중심축에서 멀수록 넓은 폭을 갖는 발광 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 중 중심축에는 첨예한 오목부가 형성된 발광 모듈.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부면 중 중심축에도 위치하는 발광 모듈.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축방향을 따른 오목부의 단면 형상은 중심축에 대해 대칭이며 측면이 직선인 사다리꼴 형상 또는 측면이 곡선인 사다리꼴 형상인 발광 모듈.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일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오목부의 단면 형상은 중심축에 대해 대칭이며 측면이 직선인 사다리꼴 형상 또는 측면이 곡선인 사다리꼴 형상인 발광 모듈.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면의 오목부는 중심축에 수직한 면 및 아래로 볼록한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을 포함하되, 상기 중심축에 수직한 면 및 아래로 볼록한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은 상기 오목부 입구의 영역보다 좁은 영역 내에 위치하는 발광 모듈.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상부면 및 오목부는 상기 중심축을 지나는 평면에 대해 거울면 대칭 구조를 갖는 발광 모듈.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하부면의 오목부 내에서 중심축에 수직한 면 및 아래로 볼록한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보다 중심축에 더 가깝에 위치하는 면에 광 산란 패턴이 형성된 발광 모듈.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을 연결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플랜지와 접하는 발광 모듈.
  14. 청구항 1에 있어서,
    발광 소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을 실장하는 하우징;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에서 방출된 광을 파장변환하는 파장변환층을 포함하는 발광 모듈.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파장변환층은 상기 렌즈의 오목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렌즈 아래에 위치하는 발광 모듈.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놓이는 발광 모듈.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오목부 사이에는 에어갭이 존재하는 발광 모듈.
  18. 광이 입사되는 오목부를 갖는 하부면; 및
    상기 오목부로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상부면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면은 중심축을 지나는 면을 기준으로 두 개의 볼록 렌즈를 중첩시켜 형성된 기다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면은 상기 두 개의 볼록 렌즈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부면의 적어도 측면 일부에 위치하여, 양 변이 상기 두 개의 볼록 렌즈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오목부의 입구 영역은 일축 방향으로 기다란 형상을 가지고,
    상기 렌즈의 상기 상부면은 상기 일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다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는 수평 단면 상에서 완만한 오목한 선이거나 직선인 렌즈.
  19. 삭제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하부면의 오목부는 중심축에 수직한 면 및 아래로 볼록한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을 포함하되, 상기 중심축에 수직한 면 및 아래로 볼록한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은 상기 오목부 입구의 영역보다 좁은 영역 내에 한정되어 위치하는 렌즈.
KR1020110141110A 2011-12-23 2011-12-23 발광 모듈 및 렌즈 KR101887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110A KR101887624B1 (ko) 2011-12-23 2011-12-23 발광 모듈 및 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110A KR101887624B1 (ko) 2011-12-23 2011-12-23 발광 모듈 및 렌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328A KR20130073328A (ko) 2013-07-03
KR101887624B1 true KR101887624B1 (ko) 2018-08-13

Family

ID=48987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110A KR101887624B1 (ko) 2011-12-23 2011-12-23 발광 모듈 및 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6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3813A1 (ko) * 2014-03-07 2015-09-11 주식회사 금호에이치티 면발광 램프 및 그 제조방법
US10495284B2 (en) 2015-09-08 2019-12-03 Lg Innotek Co., Ltd. Lens and light emitting unit including same
US10203086B2 (en) 2016-02-16 2019-02-12 Lg Innotek Co., Ltd. Optical lens, light emitting module, and 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2448A (ja) 2004-07-13 2006-02-02 Nippon Sheet Glass Co Ltd レンズ付き発光素子
US20090207586A1 (en) 2008-02-15 2009-08-20 Sony Corporation Lens, light source unit, backlight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JP2011014831A (ja) * 2009-07-06 2011-01-20 Panasonic Corp 発光装置、面光源および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950B1 (ko) * 2009-11-20 2011-06-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장치
KR101644140B1 (ko) * 2010-01-07 2016-07-29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비대칭 광 지향각 패턴을 갖는 led용 렌즈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발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2448A (ja) 2004-07-13 2006-02-02 Nippon Sheet Glass Co Ltd レンズ付き発光素子
US20090207586A1 (en) 2008-02-15 2009-08-20 Sony Corporation Lens, light source unit, backlight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JP2011014831A (ja) * 2009-07-06 2011-01-20 Panasonic Corp 発光装置、面光源および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328A (ko)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9527B2 (ja) 発光モジュール及びレンズ
US10047930B2 (en) Light emitting module and lens
JP5427174B2 (ja) 発光装置、面発光装置及び表示装置
TWI546984B (zh) 發光元件模組
JP6753458B2 (ja) 発光モジュール
JP5450778B2 (ja) エッジライト型面光源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2020087889A (ja) 発光モジュール
US20210200026A1 (en) Light-emit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1205744B2 (en) Light emitting device
CN109814189B (zh) 光学器件以及包括光学器件的光源模块
KR101850981B1 (ko) 발광 모듈 및 렌즈
KR20130107849A (ko) 광 확산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유닛
KR101802997B1 (ko) 발광 모듈 및 렌즈
JP2021012884A (ja) 光源装置
KR20130062005A (ko) 발광 모듈 및 렌즈
KR101887624B1 (ko) 발광 모듈 및 렌즈
JP2021170632A (ja) 発光装置および面発光光源
KR101861233B1 (ko) 발광유닛 어레이 및 그에 적합한 광 확산 렌즈
JP2013247092A (ja) 発光装置、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20130108019A (ko) 광 확산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유닛
KR101322455B1 (ko) 발광 모듈 및 렌즈
KR101933188B1 (ko) 발광유닛 어레이 및 그에 적합한 광 확산 렌즈
JP7037092B2 (ja) 発光モジュール
KR101813166B1 (ko) 발광소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시스템
KR101874903B1 (ko) 발광소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