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464B1 -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464B1
KR101887464B1 KR1020180022610A KR20180022610A KR101887464B1 KR 101887464 B1 KR101887464 B1 KR 101887464B1 KR 1020180022610 A KR1020180022610 A KR 1020180022610A KR 20180022610 A KR20180022610 A KR 20180022610A KR 101887464 B1 KR101887464 B1 KR 101887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
evaluation
vehicle
disinfectant
microorg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한성
최농훈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2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4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18Testing for antimicrobial activity of a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Immu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시스템은 평가 대상 차량의 다수의 지점에 부착되어 차량용 방역기에서 분무되는 소독액이 도포되며, 소독액 반응 시트를 포함하는 제1 키트 및 상기 소독액에 반응하는 미생물 담체를 포함하는 제2 키트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평가 키트, 상기 방역기를 통과한 상기 제1 키트의 이미지를 토대로 상기 소독액의 도포양을 측정하는 이미지 분석기, 상기 방역기를 통과한 상기 제2 키트의 미생물을 중화시키는 교반기, 상기 교반기에서 중화 반응이 완료된 액체를 희석하여 고체배지에 접종하거나 세포 또는 발육란에 접종하여 미생물의 함량을 측정하는 측정기, 및 상기 이미지 분석기 및 상기 측정기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토대로 상기 방역기의 성능을 평가하는 판정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performance of vehicle disinfection facility}
본 발명은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류인플루엔자, 구제역 등 가축 전염병 차단 또는 확산 방지를 위하여 축산 농가 또는 축산 시설에서 이루어지는 방역의 성능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의 농업분야에서 축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40% 이상으로 중요한 산업 중 하나이지만,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구제역 등 가축 전염병 발생으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조류인플루엔자(AI)와 구제역 등은 감염력이 강하고 다양한 전파경로를 지니며, 차량과 사람을 통해 농가 간, 지역간 전파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가축 전염병의 차단 또는 확산 방지를 위해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방역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축산 농가와 축산관련 시설에 출입하는 차량 및 방문자를 대상으로 소독을 진행하는 등 차단 방역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차량에 대한 철저한 소독이 중요한데, 2014~2015년 구제역 발생 농가의 바이러스 유입 경로 중 차량을 통한 비중이 78.9%로 가장 높았으며, 이중 가축 운반 차량이 65.7%, 사료 운반 차량은 27.4%를 차지했다. 해당 차량의 75%가 도축장에서, 35%는 사료공장에서 바이러스에 노출된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차량 바퀴 부분 바이러스 검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6]
따라서 축산 농가와 축산관련 시설에 출입하는 차량에 대한 철저한 소독이 가축 전염병 확산방지의 핵심 사안이다. 축산 농가나 축산 시설에 출입하는 차량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차단 방역(세척과 소독)은 차량이 저속으로 통과하거나 일정 시간 정차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크게 터널식과 벽체식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터널식은 터널 형태로 양 측면과 바닥 및 상부에서 소독액이 분사되는 방식이고, 벽체식은 양 측면과 바닥에서 소독액이 분사되는 방식이다.
축산 시설 출입 차량에 대한 적정 수준의 소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분변과 병원체(바이러스 및 세균)가 있는 차량 하부 및 흙받이(머드가드), 차량 발판 등을 향해 소독액이 고르게 분사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국내 보급된 여러 형태의 방역 시설은 과학적으로 성능과 효과가 검증되지 않았고 일부 시설은 부적절한 설계와 소독방법을 적용하고 있어, 방역 사각지대 발생과 함께 적절한 차단 방역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일본등록특허 제4142974호(2008.06.20)는 미생물에 입자를 조사하여 살균 처리하는 데 있어서, 그의 살균 효과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미생물의 제거 평가 방법 및 미생물 제거 평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용기의 내부 공간에 미생물을 공급하고, 상기 미생물을 살균 처리하기 위한 입자를 조사하고, 상기 입자의 조사를 행한 후에 채취기에 의해 미생물을 채취하고, 이 채취된 미생물을 측정하여 평가한다. 살균 처리의 대상으로 하는 미생물을 세균, 진균, 바이러스 및 알레르겐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할 수 있고, 입자로서는 양이온, 음이온 및 양음이온의 혼합한 가스나, α선, β선 등의 하전 입자나, 각종 플라즈마화된 가스 입자, 오존, 라디칼 등의 입자, 약제 입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본등록특허 제4142974호(2008.06.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류인플루엔자, 구제역 등 가축 전염병 차단 또는 확산 방지를 위하여 축산 농가 또는 축산 시설에서 이루어지는 방역의 성능을 평가하는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용 방역기의 성능 평가에 있어서 물리적 평가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평가를 병행하므로 차량용 방역기의 성능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용 방역기의 성능 평가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기간이 짧은 물리적 평가 결과를 토대로 1차 평가를 하고 정확도가 높은 생물학적 평가 결과를 토대로 2차 평가를 하여 차량용 방역기의 성능을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용 방역기의 성능 평가에 있어서 평가 키트를 휴대하기 용이하고 분리 및 회수가 편리하며 평가 과정에서 평가 키트의 변형 및 오염이 발생하지 않아 안전하게 평가할 수 있는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시스템은 평가 대상 차량의 다수의 지점에 부착되어 차량용 방역기에서 분무되는 소독액이 도포되며, 소독액 반응 시트를 포함하는 제1 키트 및 상기 소독액에 반응하는 미생물 담체를 포함하는 제2 키트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평가 키트, 상기 방역기를 통과한 상기 제1 키트의 이미지를 토대로 상기 소독액의 도포양을 측정하는 이미지 분석기, 상기 방역기를 통과한 상기 제2 키트의 미생물을 중화시키는 교반기, 상기 교반기에서 중화 반응이 완료된 액체를 희석하여 고체배지에 접종하거나 세포 또는 발육란에 접종하여 미생물의 함량을 측정하는 측정기, 및 상기 이미지 분석기 및 상기 측정기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토대로 상기 방역기의 성능을 평가하는 판정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키트는 소독액 반응 시트, 및 상기 소독액 반응 시트가 슬라이딩 인입 및 인출되도록 일측면에 형성된 슬롯, 상기 소독액 반응 시트에 상기 소독액이 도포되도록 상면에 형성된 개구, 및 상기 개구의 테두리에 상기 소독액 반응 시트의 이탈 및 변형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엣지를 구비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키트는 하나 이상의 미생물 담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미생물 담체가 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브릿지부, 및 상기 미생물 담체에 상기 소독액이 분무되도록 상기 미생물 담체에 대응하는 부분이 개방된 커버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방법은 차량용 방역기에서 분무되는 소독액이 도포되는 소독액 반응 시트를 포함하는 제1 키트 및 상기 소독액에 반응하는 미생물 담체를 포함하는 제2 키트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평가 키트를 평가 대상 차량의 다수의 지점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평가 키트가 부착된 상기 평가 대상 차량을 상기 방역기에 통과시키는 단계, 상기 방역기를 통과한 상기 제1 키트의 이미지를 토대로 상기 소독액의 도포양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방역기를 통과한 상기 제2 키트의 미생물을 중화시키는 단계, 상기 중화 반응이 완료된 액체를 희석하여 고체배지에 접종하거나 세포 또는 발육란에 접종하여 미생물의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키트 및 상기 제2 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키트를 측정한 결과를 토대로 상기 방역기의 성능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평가 키트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평가 대상 차량의 전면, 후면, 측면, 및 하면에 각각 하나 이상의 평가 키트를 부착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대상 차량을 상기 방역기에 통과시키는 단계는 상기 방역기가 터널식인 경우 상기 평가 대상 차량을 터널 내부에 정차시킨 후 수초간 소독액을 분무하고, 상기 방역기가 벽체식인 경우 상기 평가 대상 차량을 저속으로 상기 방역기에 진입시켜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소독액의 도포양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방역기를 통과한 상기 제1 키트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이미지 분석기에 상기 이미지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이미지에서 상기 소독액이 도포된 상대 면적을 측정하여 상기 소독액의 도포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생물 담체는 상기 미생물이 세균 또는 곰팡이인 경우 효모추출물 또는 탈지유를 균액과 1:1 비율로 희석하여 담체에 접종하고 유기물의 농도를 10%로 설정하고, 상기 미생물이 바이러스인 경우 효모추출물 또는 소알부민을 균액과 1:1 비율로 희석하여 담체에 접종하고 유기물의 농도를 10%로 설정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은 축산 농가 또는 축산 시설에서 이루어지는 방역의 성능을 평가하여 성능이 우수한 차량용 방역기만이 시중에 유통되도록 함으로써 조류인플루엔자, 구제역 등 가축 전염병을 사전에 차단하거나 가축 전염병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은 차량용 방역기의 성능 평가에 있어서 물리적 평가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평가를 병행하므로 차량용 방역기의 성능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은 차량용 방역기의 성능 평가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기간이 짧은 물리적 평가 결과를 토대로 1차 평가를 하고 정확도가 높은 생물학적 평가 결과를 토대로 2차 평가를 하여 차량용 방역기의 성능을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은 차량용 방역기의 성능 평가에 있어서 평가 키트를 휴대하기 용이하고 분리 및 회수가 편리하며 평가 과정에서 평가 키트의 변형 및 오염이 발생하지 않아 안전하게 평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시스템의 제1 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시스템의 제2 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시스템의 제2 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방법에 있어서 평가 대상 차량의 평가 키트 부착 지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방법에 있어서 평가 대상 차량의 평가 키트 부착 지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방법에 있어서 방역기가 벽체식인 경우 생물학적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방법에 있어서 방역기가 터널식인 경우 생물학적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시스템은 평가 대상 차량의 다수의 지점에 부착되어 차량용 방역기에서 분무되는 소독액이 도포되는 평가 키트 및 상기 방역기를 통과한 평가 키트를 분석하고 방역 성능을 평가하는 평가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방역기의 성능 평가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전 부분에 걸쳐 '방역기'는 '차량용 방역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평가 키트는 물리적 평가 키트와 생물학적 평가 키트를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물리적 평가 키트를 '제1 키트', 생물학적 평가 키트를 '제2 키트'로 명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물리적 평가 키트인 제1 키트는 소독액 반응 시트를 포함하고, 생물학적 평가 키트인 제2 키트는 소독액에 반응하는 미생물 담체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시스템의 제1 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시스템의 제2 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물리적 평가 키트인 제1 키트(10)는 소독액 반응 시트(S) 및 소독액 반응 시트(S)가 배치되는 케이스(100)를 포함한다. 소독액 반응 시트(S)는 약품에 반응하는 시트로 액체와 접촉하면 색이 변하는 시트이다. 예를 들어 노란색의 소독액 반응 시트(S)에 소독액이 부착되면 파란색으로 변할 수 있으며, 변색 부분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방역 성능의 물리적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일측면에 형성된 슬롯(110), 상면에 형성된 개구(120), 및 개구(120)의 테두리에 형성된 엣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물리적 평가 키트인 제1 키트는 소독액 반응 시트(S)만 포함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소독액 반응 시트(S)를 수납하는 케이스(100)를 포함하여 물리적 평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독액 반응 시트(S)의 변형이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소독액 반응 시트(S)에 소독액이 부착된 뒤 건조되면 소독액 반응 시트(S)가 원형으로 말리는 현상이 발생하며, 소독액 반응 시트(S)가 부착된 평가 대상 차량이 방역기를 통과할 때, 방역기에서 분무되는 소독액만 도포되는 것이 아니라 평가 대상 차량의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소독액이 추가로 소독액 반응 시트(S)에 부착될 수 있다. 소독액 반응 시트(S)가 말리는 변형이 발생하면, 이미지 분석을 위한 촬영시 말린 부분이 정확하게 촬영되지 않아 소독액의 도포양이 실제보다 적게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소독액 반응 시트(S)에 추가의 소독액이 부착되는 오염이 발생하면, 변색 부분이 실제보다 많게 측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독액 반응 시트(S)의 변형이나 오염으로 인해 방역기 성능의 평가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소독액 반응 시트(S)를 케이스(100)에 수납하여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평가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케이스(100)의 하면에는 제1 키트(10)를 평가 대상 차량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부착 부재는 제1 키트(10)가 평가 대상 차량에 부착 및 분리가 용이한 소재를 사용하며, 예를 들어 자석이나 테이프식 부재, 또는 흡착식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부착 부재는 제1 키트(10)의 부착 위치나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소재와 개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슬롯(110)은 제1 키트(100)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소독액 반응 시트(S)가 슬라이딩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즉, 소독액 반응 시트(S)가 슬롯(110)을 통하여 서랍식으로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개구(120)는 소독액 반응 시트(S)에 소독액이 도포되도록 제1 키트(100)의 상면에 형성된 부분이다. 개구(120)는 소독액 반응 시트(S)에 도포되는 소독액의 범위를 최대한 넓게 하기 위하여 제1 키트(100)의 상면 면적보다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엣지(130)는 소독액 반응 시트(S)의 이탈 및 변형을 방지하도록 개구(120)의 테두리에 형성된 부분이다. 즉, 엣지(130)는 소독액 반응 시트(S)가 케이스(100)에 장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소독액 반응 시트(S)에 소독액이 분무된 후 건조되는 과정에서 소독액 반응 시트(S)가 원형으로 말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생물학적 평가 키트인 제2 키트(20)는 미생물 담체(C) 및 미생물 담체(C)가 장착되는 하우징(2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키트(20)는 하나의 미생물 담체(C)를 포함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으며 다수의 미생물 담체(C)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생물학적 평가 키트인 제2 키트(20)는 미생물 담체(C)만 포함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미생물 담체(C)를 수납하는 하우징(200)을 포함하여 생물학적 평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생물 담체(C)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생물학적 평가의 경우 미생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미생물의 보관, 운반, 회수 시 추가 오염으로 인해 평가의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으며, 이는 물리적 평가에 비해 민감한 부분이다.
미생물 담체(C)는 방역기에서 분무되는 소독액에 의하여 미생물이 감소되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담체에 미생물을 건조시켜 사용한다. 담체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두께 1.2~1.5mm, 지름 2cm의 크기로 이루어져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할 수 있다.
미생물은 세균이나 곰팡이, 또는 바이러스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야외 시설물에서 진행하는 평가이므로 생물안전등급(Biohazard level)을 고려하여 가장 낮은 단계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생물의 건조는 농림축산검역본부의 '훈증 등 가스형제 소독제 효력시험'을 참고하여 진행한다. 건조된 미생물 담체(C)는 평가 전까지 직사광선에 노출되지 않는 밀폐된 공간에서 4℃ 조건에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생물 담체(C)에 사용되는 유기물과 미생물의 농도를 살펴보면, 유기물은 균액과 1:1로 섞어 최종농도가 각각 10%가 되게 설정하여 사용하고, 미생물은 계대배양 중 활력이 인정되는 미생물을 사용하며, 1×108 CFU/mL, 108 EID50 또는 TCID50/mL이상, 곰팡이의 경우 5×106 conidia/ml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미생물로 세균이나 곰팡이를 사용하는 경우, 20% 효모추출물 또는 20% 탈지유를 균액과 1:1비율로 희석하여 담체에 100㎕씩 접종하고 유기물의 농도를 최종농도가 10%가 되게 설정한다. 또한, 미생물로 바이러스를 사용하는 경우, 20% 효모추출물 또는 20% 소알부민를 사용하되 균액과 1:1비율로 희석하여 담체에 100㎕씩 접종하고 유기물의 농도를 최종농도가 10%가 되게 설정한다.
미생물 담체(C)는 클린벤치 내에서 공기 흐름이 있는 상태로 건조하며 건조에 대한 회수율을 세균, 곰팡이의 경우 106CFU/ml 이상, 바이러스의 경우 6.0 TCID50/ml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200)은 미생물 담체(C)가 배치되는 베이스부(210), 베이스부(210)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레임(220), 베이스부(210)와 프레임(220)을 연결하는 브릿지부(230), 및 미생물 담체(C)에 대응하는 부분이 개방된 커버부(240)를 포함한다.
하우징(200)의 하면에는 제2 키트(20)를 평가 대상 차량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부착 부재는 제2 키트(20)가 평가 대상 차량에 부착 및 분리가 용이한 소재를 사용하며, 예를 들어 자석이나 테이프식 부재, 또는 흡착식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부착 부재는 제2 키트(20)의 부착 위치나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소재와 개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베이스부(210)는 미생물 담체(C)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미생물 담체(C)가 장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210)를 미생물 담체(C)의 두께 정도의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내부에 미생물 담체(C)를 수용하거나, 베이스부(210)의 측면에 장착홈을 형성하여 미생물 담체(C)가 장착홈에 결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외에 다양한 장착 구조를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프레임(220)은 베이스부(210)의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하우징(200)의 테두리를 형성한다.
브릿지부(230)는 베이스부(210)와 프레임(220)을 연결하며, 미생물 담체(C)의 개수와 배치 위치에 따라 형태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미생물 담체(C)를 하나 사용할 경우 브릿지부(230)는 베이스부(21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미생물 담체(C)를 세 개 사용할 경우 브릿지부(230)를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하거나 미생물 담체(C)를 네 개 사용할 경우 브릿지부(230)를 사각형의 형태로 구성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커버부(240)는 미생물 담체(C)가 베이스부(210)에서 장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베이스부(210)의 상부에 장착되며 미생물 담체(C)가 배치되는 부분이 개방되어 미생물 담체(C)에 소독액이 분무될 수 있다. 커버부(240)의 개방된 부분(241)은 미생물 담체(C)보다 작게 형성되어 미생물 담체(C)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부(240)는 베이스부(210)에 돌리거나 눌러서 결합하는 구조일 수 있다. 즉, 커버부(240)와 베이스부(210)의 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커버부(240)를 돌려서 베이스부(210)에 결합하거나, 커버부(240)를 베이스부(210)에 누르면 커버부(240)가 베이스부(210)의 외측에 맞춤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200)이 프레임(220)과 브릿지부(230)를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프레임(220)과 브릿지부(230)를 필수 구성으로 하지 않으며, 베이스부(210)와 커버부(240)만으로 구성되거나 미생물 담체(C)가 다수일 경우 베이스부(210), 브릿지부(230), 및 커버부(240)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키트(20)가 미생물 담체(C)와 하우징(200)을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으며, 미생물 담체(C)가 장착된 하우징(200)을 수납하는 페트리 접시(Petri dis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생물학적 평가의 경우 물리적 평가와 달리 현장에서 바로 평가 결과가 나오는 것이 아니라, 평가 대상 차량을 방역기에 통과시킨 후 평가 키트를 차량에서 분리하여 중화 처리 및 세포 배양을 거쳐 미생물의 감소 정도를 분석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와 같이 생물학적 평가는 수일에 걸쳐 이루어지며 각 단계를 거치는 동안 미생물 담체(C)가 무균 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평가 결과의 정확성 및 신뢰도 확보를 위하여 추가 오염 없이 보관 및 이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미생물 담체(C)가 장착된 하우징(200)을 페트리 접시에 수납하여 페트리 접시를 평가 대상 차량에 부착하여 뚜껑만 개방한 상태로 방역기를 통과시킨 후 뚜껑을 덮어 다음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미생물 담체(C)의 추가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평가 결과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시스템의 제2 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제2 키트는 미생물 담체를 세 개 포함하는 키트이다. 구체적으로, 제2 키트에서 하우징(300)은 세 개의 미생물 담체가 배치되는 베이스부(310), 베이스부(310)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레임(320), 베이스부(310)와 프레임(320)을 연결하는 브릿지부(3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미생물 담체가 배치되는 베이스부(310)가 세 개 형성되므로, 삼각형의 배치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브릿지부(330)는 삼각형의 각 변의 형태를 가지고, 베이스부(310)는 삼각형의 꼭지점에 배치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방역기를 통과한 평가 키트를 분석하고 방역 성능을 평가하는 평가 장치는 물리적 평가 장치와 생물학적 평가 장치를 포함한다.
물리적 평가 장치는 방역기를 통과한 제1 키트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촬영된 이미지를 토대로 소독액의 도포양을 측정하는 이미지 분석기, 및 이미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방역기의 성능을 평가하는 판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분석기는 제1 키트의 촬영된 이미지에서 변색된 부분의 면적을 측정하여 소독액 반응 시트의 면적에 대한 변색된 부분의 면적의 비율로 출력할 수 있다. 판정기는 변색된 부분의 면적 비율이 일정 비율 이상이면 적합, 이하이면 부적합으로 판정을 하거나, 면적 비율의 구간을 설정하여 구간별로 등급을 매길 수 있다.
이러한 물리적 평가 장치는 사용자의 휴대폰의 카메라 혹은 카메라로 제1 키트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를 휴대용 PC 내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결과를 산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 실험을 진행한 후 사용자가 바로 평가 결과를 알 수 있으며, 사용자의 휴대폰, 카메라 그리고 휴대용 PC를 이용하여 바로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평가할 수 있다.
생물학적 평가 장치는 방역기를 통과한 제2 키트의 미생물을 중화시키는 교반기, 교반기에서 중화 반응이 완료된 액체를 희석하여 고체배지에 접종하거나 세포 또는 발육란에 접종하여 미생물의 함량을 측정하는 측정기, 및 측정 결과를 토대로 방역기의 성능을 평가하는 판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기(Orbital shaker)는 소독액에 노출된 미생물 담체를 최대 속도로 약 10분간 중화하는데, 미생물이 세균인 경우 20% 효모추출물, 바이러스인 경우 20% 소알부민 또는 소태아혈청 10ml가 들어있는 50ml 튜브에 미생물 담체를 무균적으로 넣어 중화 처리를 한다.
측정기는 소독액에 노출된 미생물의 감소 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미생물이 세균인 경우, 교반기에서 중화된 액체를 희석액을 이용하여 10진 희석하여 고체배지에 접종하여 세균 함량을 측정하고, 미생물이 바이러스인 경우, 교반기에서 중화된 액체를 희석액을 이용하여 10진 희석하여 세포 또는 발육란에 접종하여 바이러스 함량을 측정한다.
판정기는 미생물 담체가 소독액에 노출되기 전과 측정기에서 측정된 미생물의 함량을 비교하여 미생물의 감소 정도가 일정 수치 이상이면 적합, 이하이면 부적합으로 판정을 하거나, 감소 정도의 구간을 설정하여 구간별로 등급을 매길 수 있다. 미생물이 세균인 경우 105 감소, 바이러스인 경우 104 감소, 아포세균인 경우 103 감소, 곰팡이인 경우 104 감소이면 적합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역기의 성능 평가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역기의 성능 평가 방법은 평가 키트를 평가 대상 차량에 부착하는 단계(S10), 평가 키트가 부착된 평가 대상 차량을 방역기에 통과시키는 단계(S20), 및 방역기를 통과한 평가 키트를 분석하여 방역기의 성능을 평가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0)에서, 소독액 반응 시트를 포함하는 제1 키트 및 미생물 담체를 포함하는 제2 키트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평가 키트를 평가 대상 차량의 다수의 지점에 부착할 수 있다. 제1 키트는 물리적 평가 키트이고, 제2 키트는 생물학적 평가 키트를 가리킨다. 단계(S10)에서, 제1 키트만을 부착하거나 제2 키트만을 부착할 수 있고, 또는 제1 키트와 제2 키트 모두를 부착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실험 목적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즉, 물리적 평가만 하고자 할 경우 제1 키트만 부착할 수 있고, 생물학적 평가만 하고자 할 경우 제2 키트만 부착하고, 물리적 평가 및 생물학적 평가 모두를 하고자 할 경우 제1 키트 및 제2 키트를 모두 부착할 수 있다.
제2 키트의 미생물 담체에서, 담체는 지름 2cm, 두께 1.2~1.5mm의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을 사용하고, 중성세제로 세척하고 마지막 헹굼 시 증류수로 헹구어 사용한다. 건조된 담체는 사용 전 고압멸균기를 이용하여 121℃에서 15분간 멸균한 것을 UV등이 켜진 클린벤치에서 건조하여 준비된다. 미생물 담체는 담체에 미생물을 접종하고 건조시켜 사용하는데, 미생물이 세균 또는 곰팡이인 경우 효모추출물 또는 탈지유를 균액과 1:1 비율로 희석하여 담체에 접종하고 유기물의 농도를 10%로 설정하고, 미생물이 바이러스인 경우 효모추출물 또는 소알부민을 균액과 1:1 비율로 희석하여 담체에 접종하고 유기물의 농도를 1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생물 담체는 클린 벤치 내에서 공기 흐름이 있는 상태로 건조하며 건조에 대한 회수율을 세균, 곰팡이의 경우 106CFU/ml 이상이어야 하며, 바이러스의 경우 6.0 TCID50/ml 이어야 한다.
미생물 사용 시 미생물 성상 및 출처를 입증할 수 있어야 하며, 국내 농림축산검역본부 소독제효력시험 지침에 따라 사용자의 실험 목적에 맞는 미생물들을 이용하여 시험을 진행할 수 있다. 단, 공중위생상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야외 시험이므로 가축전염병 병원체로써 전염성의 우려가 있거나 공중위생상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시험은 농림축산검역본부 및 농림축산관계자의 자문 혹은 사전허가가 필요하다.
미생물에 있어서 세균의 경우, 세균의 대표 균주는 Salmonella Typhimurium으로 하고, 아포세균의 대표 균주는 Clostridium perfringens로 하며, 항산성 세균의 대표 균주는 Mycobacterium fortuitum으로 한다. 단, 세균 대상 실험 시 전염성이 낮고, 환경 영향이 적을 것으로 보이는 Escherichia coli는 일반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바이러스의 경우, 효력시험에 사용하는 공시 바이러스주는 성상 및 출처를 입증할 수 있어야 한다. 곰팡이의 경우, 대표 균주는 Tricophyton mentagrophytes로 한다.
단계(S10)에서, 평가 대상 차량의 전면, 후면, 측면, 및 하부에 각각 하나 이상의 평가 키트를 부착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방법에 있어서 평가 대상 차량의 평가 키트 부착 지점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평가 대상 차량이 승용차인 경우, 도 5는 평가 대상 차량이 트럭인 경우를 각각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평가 대상 차량이 승용차이며, 차량 전면 및 후면의 번호판에, 측면의 앞문, 손잡이, 바퀴(앞/뒤 휠), 및 문 하단에, 하부의 머드 가드(앞/뒤) 및 후미 하부에 각각 하나 이상의 평가 키트를 부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평가 대상 차량이 트럭이며, 차량 전면 및 후면의 번호판에, 측면의 손잡이, 발판, 바퀴(앞/뒤 휠), 및 카고 윙에, 하부의 머드 가드(앞/뒤) 및 저/중/고에 각각 하나 이상의 평가 키트를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필요한 부분에 자유롭게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S20)에서, 방역기의 종류에 따라 통과시키는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역기가 터널식인 경우 평가 대상 차량을 터널 내부에 정차시킨 후 수초간 소독액을 분무하고, 방역기가 벽체식인 경우 평가 대상 차량을 저속으로 방역기에 진입시켜 통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역기가 터널식인 경우 평가 대상 차량을 터널 내부에 정차시킨 후 30초 내지 60초 정도 소독액을 분무한 후 통과시킬 수 있으며, 방역기가 벽체식인 경우 평가 대상 차량을 3~5km/h의 속도로 방역기에 통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으며, 방역기의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통과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S30)에서, 평가 키트의 종류에 따라 평가하는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가 키트가 소독액 반응 시트를 포함하는 제1 키트인 경우 물리적 평가 과정을 수행하고, 평가 키트가 미생물 담체를 포함하는 제2 키트인 경우 생물학적 평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물리적 평가 과정은 방역기를 통과한 제1 키트의 이미지를 토대로 소독액의 도포양을 측정하는 단계(S310) 및 측정 결과를 토대로 방역기의 성능을 평가하는 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310)는 방역기를 통과한 제1 키트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S311), 이미지 분석기에 이미지를 입력하는 단계(S312), 및 입력된 이미지에서 소독액이 도포된 상대 면적을 측정하여 소독액의 도포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S313)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20)에서 방역기를 통과한 제1 키트의 소독액 반응 시트는 변색된 부분을 포함하며, 이를 단계(S311)에서 카메라로 촬영하여 단계(S312)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이미지 분석기에 입력하면, 이미지 분석기에서 소독액 반응 시트의 변색된 부분의 면적을 측정하여 소독액 반응 시트의 전체 면적에 대한 비율로 측정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단계(S320)에서, 단계(S310)의 측정 결과를 토대로 소독액 반응 시트의 변색된 부분의 면적 비율이 일정 비율 이상이면 적합, 이하이면 부적합으로 판정을 하거나, 면적 비율의 구간을 설정하여 구간별로 등급을 매길 수 있다.
생물학적 평가 과정은 방역기를 통과한 제2 키트의 미생물을 중화시키는 단계(S330), 중화된 미생물의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S340) 및 측정 결과를 토대로 방역기의 성능을 평가하는 단계(S350)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330)에서, 교반기(Orbital shaker)를 이용하여 소독액에 노출된 미생물 담체를 최대 속도로 약 10분간 중화시킬 수 있다. 이때, 미생물이 세균인 경우 20% 효모추출물, 바이러스인 경우 20% 소알부민 또는 소태아혈청 10ml가 들어있는 50ml 튜브에 미생물 담체를 무균적으로 넣어 중화 처리를 한다.
단계(S340)에서, 중화 반응이 완료된 액체를 희석하여 고체배지에 접종하거나 세포 또는 발육란에 접종하여 미생물의 함량을 측정할 수 있다. 미생물이 세균인 경우, 단계(S330)에서 중화된 액체를 희석액을 이용하여 10진 희석하여 고체배지에 접종하여 세균 함량을 측정하고, 미생물이 바이러스인 경우, 단계(S330)에서 중화된 액체를 희석액을 이용하여 10진 희석하여 세포 또는 발육란에 접종하여 바이러스 함량을 측정한다.
단계(S350)에서, 미생물 담체가 소독액에 노출되기 전과 단계(S340)에서 측정된 미생물의 함량을 비교하여 미생물의 감소 정도가 일정 수치 이상이면 적합, 이하이면 부적합으로 판정을 하거나, 감소 정도의 구간을 설정하여 구간별로 등급을 매길 수 있다. 미생물이 세균인 경우 105 감소, 바이러스인 경우 104 감소, 아포세균인 경우 103 감소, 곰팡이인 경우 104 감소이면 적합으로 판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역기의 성능을 평가함에 있어서, 물리적 평가와 생물학적 평가는 둘 다 행해질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으며, 물리적 평가만 진행하거나 생물학적 평가만 진행할 수 있으며, 또한 1차적으로 물리적 평가를 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예를 들어, 부적합이거나 등급이 낮은 경우 평가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2차적으로 생물학적 평가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소독액 반응 시트를 이용한 물리적 평가와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생물학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 대상 차량은 축산시설물 출입 차량이라 가정 후 수행하였으며, 평가 키트는 차량 정면, 후면, 측면, 하부로 크게 4 부분으로 나누어 부착한다. 유기물 혹은 분변이 묻을 것으로 예상되는 차량 바퀴 및 하부에 부착할 수 있다. 평가 키트 부착 시 운전석 차량 외부 손잡이, 운전석 발판, 머드가드, 휠 가드 등 주요 확인 부분은 그 이상을 부착할 수 있다. 차량의 앞과 뒤 바퀴 부분은 동일한 조건을 지닌다고 가정 후, 바퀴 앞, 뒤 중 한 부분만을 선택하여 부착할 수 있다. 방역 시설 내 좌, 우가 대칭이고 동일한 성능을 가진다고 가정 후, 차량 한 면에만 부착한다. 평가 키트 부착 전 차량 표면에 물기가 있는지 확인 후 없는 상태에서 부착한다. 야외 시설물에서 진행하는 실험이므로 대상 미생물 선택은 생물안전등급(Biohazard level)을 고려하여 가장 낮은 단계를 선택한다.
방역기의 성능 평가를 진행함에 있어서 농림축산검역본부의 '소독제 효력시험지침'과 'Quantativecarrier test'를 참고하여 방역 현장에 맞게 실험을 설계 및 진행할 수 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소독액 반응 시트를 이용한 물리적 평가이며, 평가 대상 차량은 승용차와 5톤 트럭이고, 평가 키트로 소독액 반응 시트를 포함하는 제1 키트를 사용하였다. 승용차의 경우 제1 키트를 전면 및 후면 차량 번호판에 각각 3개, 측면 바퀴휠 전후에 2개, 앞문에 3개, 앞문 손잡이에 2개, 앞문 하단에 2개, 차량 후면 하부에 3개, 차량 전/후 머드 가드에 2개를 부착하였다. 5톤 트럭의 경우, 제1 키트를 전면 및 후면 차량 번호판에 각각 3개씩, 측면 바퀴휠 전후에 2개, 카고 윙에 3개, 앞문 손잡이에 2개, 발판에 2개, 차량 후면 하부에 저/중/고로 3개, 차량 전/후 머드 가드에 2개를 부착하였다.
방역기는 벽체식 방역기와 터널식 방역기를 사용하고, 벽체식 방역기의 경우 3~5km/h로 진입하여 통과시키고, 터널식 방역기의 경우 터널에서 차량 정차 후 30초간, 60초간 2회 소독을 실시하였다. 방역기 중 세척 단계 또는 세척 설비가 설치된 경우 오직 방역 노즐에서 나온 분무액만 이용하였다. 터널식 방역기 중 차량 출구 셔터 또는 차단장치가 있는 정차형의 경우 셔터 혹은 차단장치를 통해 차량을 정차 시킨 후 평가하고, 차량 출구 셔터 또는 차단장치가 없는 통과형의 경우 벽체식과 동일하게 차량 속도를 3~5km/h로 진입하여 통과시켜 평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차형 방역기를 사용하였다.
방역기를 통과한 차량에서 제1 키트를 회수하여 소독액 반응 시트를 카메라로 촬영하고 이미지 분석기를 이용하여 소독액의 도포 비율을 측정하였다. 이미지 분석기에서 사용하는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는 “Image J”(ImageJ 1.60 ver, NIH, USA)이다.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를 이미지 분석기에 입력하여 도포 면적 비율을 측정하였다. 소독액 반응 시트의 도포 면적 평가 실험은 2회 이상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미지 분석기에서 측정된 소독액 반응 시트의 도포 면적 결과를 토대로 판정기에서 방역기 성능의 등급을 평가하였다. 즉, 평균 도포 면적이 90% 이상인 경우 A등급, 80% 이상인 경우 B등급, 70% 이상인 경우 C등급, 그 이하는 D등급으로 분류하였다. 여기서 평균 도포 면적은 평가 대상 차량의 각 지점에 부착된 모든 제1 키트의 소독액 반응 시트의 도포 면적에 대한 평균값을 말한다.
평가 결과는 아래와 같으며, 표 1은 평가 대상 차량이 승용차인 경우, 표 2는 평가 대상 차량이 5톤 트럭인 경우이다.
단위: %
제1 키트 부착 위치 벽체식 터널식
30초간 소독 60초간 소독
전면 100.00 93.56 99.60
후면 68.88 100.00 100.00
바퀴 앞/뒤휠 100.00 88.98 100.00
측면 앞문 100.00 80.56 100.00
손잡이 100.00 100.00 100.00
앞문 하단 100.00 79.53 87.21
차량 후면 하부(14cm) 83.27 98.98 99.88
머드가드 98.92 25.12 35.32
전체 평균 93.88 83.34 90.25
평가 등급 A B A
단위: %
제1 키트 부착 위치 벽체식 터널식
30초간 소독 60초간 소독
전면 99.31 98.61 99.96
후면 93.81 82.13 99.86
바퀴 앞/뒤휠 99.93 98.38 98.33
측면 앞문 100.00 95.36 98.21
손잡이 95.36 96.70 99.99
발판 100.00 99.70 99.97
하부 저(20~33cm) 100.00 61.88 99.08
중(60cm) 99.27 38.08 99.84
고(90cm) 98.91 39.99 95.37
머드가드 99.80 84.90 99.83
전체 평균 98.64 79.57 99.04
평가 등급 A C A
표 1을 참조하면, 제1 키트를 승용차에 부착하여 벽체식 방역기에 통과시켜 평가한 경우, 평균 도포 면적이 93.88%로 A등급이 나왔으며, 터널식 방역기에 승용차를 정차시켜 30초간 소독을 시행한 경우 83.34%로 B등급이 나왔고, 60초간 소독을 시행한 경우 90.25%로 A등급이 나왔다.
표 2를 참조하면, 제1 키트를 5톤 트럭에 부착하여 벽체식 방역기에 통과시켜 평가한 경우, 평균 도포 면적이 98.64%로 A등급이 나왔으며, 터널식 방역기에 트럭을 정차시켜 30초간 소독을 시행한 경우 79.57%로 C등급이 나왔고, 60초간 소독을 시행한 경우 99.04%로 A등급이 나왔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생물학적 평가이며, 평가 대상 차량은 승용차와 5톤 트럭이고, 평가 키트로 소독액에 반응하는 미생물 담체를 포함하는 제2 키트를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미생물로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A/chicken/korea/MS96/1996(H9N2))를 사용하였다.
담체는 스텐리스 스틸(AISI 304 이상의 규격)을 사용하고, 중성세제로 세척하고 마지막 헹굼 시에는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건조된 담체는 고압멸균기를 이용하여 121℃에서 15분간 멸균한 것을 UV등이 켜진 클린벤치에서 건조시켜 사용하였다. 담체 위에서 대상 미생물의 건조는 농림축산검역본부 “훈증 등 가스제형 소독제 효력시험”을 참고하여 클린벤치 내에서 공기 흐름이 있는 상태로 건조(45-55분)한다. 담체 위 건조된 미생물은 실험 전까지 직사광선에 노출되지 않는 밀폐 용기에 넣어 4℃ 조건에서 보관한다. 모든 실험 진행 시 안전에 유의하며, 실험 진행 중 위험하다 판단될 경우 중지할 수 있다. 가축전염병 병원체로써 전염성의 우려가 있거나 공중위생상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시험(우폐역, 리프트 계곡열, 럼피스킨병, 아프리카돼지열병 등) 국내에서 발생보고가 없는 해외악성전염병의 국내시험은 제한한다. 미생물 사용 시 미생물 성상 및 출처를 입증할 수 있어야 하며, 국내 농림축산검역본부 소독제효력시험 지침에 따라 사용자의 실험 목적에 맞는 미생물들을 이용하여 시험을 진행할 수 있다. 단, 공중위생상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야외 시험이므로 가축전염병 병원체로써 전염성의 우려가 있거나 공중위생상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시험은 농림축산검역본부 및 농림축산관계자의 자문 혹은 사전허가가 필요하다.
승용차의 경우 제2 키트를 전면 및 후면 차량 번호판에 각각 1개, 측면 바퀴휠 전후에 2개, 앞문에 1개, 앞문 손잡이에 1개, 앞문 하단에 1개, 차량 후면 하부에 1개, 머드 가드에 1개를 부착하였다. 5톤 트럭의 경우, 제2 키트를 전면 및 후면 차량 번호판에 각각 1개씩, 측면 바퀴휠 전후에 2개, 차량 중앙 측면에 1개, 앞문 손잡이에 1개, 발판에 1개, 차량 중앙 하부에 1개, 머드 가드에 1개를 부착하였다.
방역기는 벽체식 방역기와 터널식 방역기를 사용하고, 벽체식 방역기의 경우 3~5km/h로 진입하여 통과시키고, 터널식 방역기의 경우 터널에서 차량 정차 후 30초간 소독을 실시하였다. 소독제는 평가 당일 생산자 지시사항에 따라 표기되어 있는 권장 희석 배수만큼 희석 후 사용하고, 차량이 방역기를 통과한 직후부터 1, 5, 10분간 소독제와 담체 위 미생물을 반응시켰다. 방역기 중 세척 단계 또는 세척 설비가 설치된 경우 오직 방역 노즐에서 나온 분무액만 이용하였다. 터널식 방역기 중 차량 출구 셔터 또는 차단장치가 있는 정차형의 경우 셔터 혹은 차단장치를 통해 차량을 정차 시킨 후 평가하고, 차량 출구 셔터 또는 차단장치가 없는 통과형의 경우 벽체식과 동일하게 차량 속도를 3~5km/h로 진입하여 통과시켜 평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차형 방역기를 사용하였다.
방역기를 통과한 차량에서 제2 키트를 회수하고, 미생물 담체를 20% 소알부민 또는 소태아혈청 10ml이 들어있는 50ml 튜브에 무균적으로 넣고 교반기(Orbital shaker)를 이용하여 최대 속도로 10분간 중화하였다.
중화반응이 끝난 액체를 희석액을 이용하여 10진 희석하여 세포 또는 발육란에 접종하여 측정기에서 바이러스 함량을 측정한다. 측정기의 결과를 토대로 대조군(소독액에 노출되지 않은 그룹)과 비교하여 판정기는 세균의 경우 105감소/담체, 바이러스의 경우 10⁴감소/담체, 아포세균의 경우 10³감소/담체, 곰팡이의 경우 10⁴감소/담체를 소독효과가 있다고 인정할 수 있다. 본 실험은 2회 반복한 후 결과를 기록 및 분석하였다.
평가 결과는 아래와 같으며,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A/chicken/korea/MS96/1996(H9N2))에 대한 평가 결과이며, 승용차, 5톤 트럭을 방역 시설(벽체식, 터널식) 통과 후 감소 정도를 파악한 결과이다
표 3 및 표 4는 방역기가 벽체식인 경우, 표 5 및 표 6은 방역기가 터널식인 경우이다. 표에서 대조군에서 실험군 값을 뺀 값이 4log(기준) 일 때 99.99% 감소한 것과 같다.
승용차-벽체식 단위: log (EID50/ml) log Reduction: 대조군 - 실험군
1min 5min 10min 대조군 1min 5min 10min 기준
전면 0.00 0.00 0.00 6.97 6.97 6.97 6.97 4.00
후면 3.14 2.07 0.70 6.97 3.83 4.90 6.27 4.00
바퀴 뒤 휠 0.00 0.00 0.00 6.97 6.97 6.97 6.97 4.00
앞 휠 1.40 1.70 0.00 6.97 5.57 5.27 6.97 4.00
측면 측면 1.92 1.02 0.00 6.97 5.05 5.95 6.97 4.00
손잡이 2.70 1.27 0.87 6.97 4.27 5.70 6.10 4.00
문 하단 0.00 0.00 0.00 6.97 6.97 6.97 6.97 4.00
하 부 1.39 0.00 0.00 6.97 5.58 6.97 6.97 4.00
머드가드 1.91 0.00 0.00 6.97 5.06 6.97 6.97 4.00
전체 평균 1.38 0.67 0.17 6.97 5.59 6.30 6.80 4.00
평가 결과 적합 적합 적합
5톤-벽체식 단위: log (EID50/ml) log Reduction: 대조군 - 실험군
1min 5min 10min 대조군 1min 5min 10min 기준
전면 1.28 1.32 0.00 6.89 5.61 5.56 6.89 4.00
후면 4.03 3.93 1.70 6.89 2.86 2.96 5.19 4.00
바퀴 뒤 휠 1.20 0.00 0.00 6.89 5.69 6.89 6.89 4.00
앞 휠 1.70 0.70 0.00 6.89 5.19 6.19 6.89 4.00
측면 카고윙 0.00 0.00 0.00 6.89 6.89 6.89 6.89 4.00
손잡이 3.53 3.37 3.03 6.89 3.36 3.52 3.86 4.00
발판 1.93 1.45 0.95 6.89 4.96 5.44 5.94 4.00
하 부 저(20cm) 3.20 2.03 1.70 6.89 3.69 4.86 5.19 4.00
머드가드 4.03 3.70 3.53 6.89 2.86 3.19 3.36 4.00
전체 평균 2.32 1.83 1.21 6.89 4.57 5.06 5.68 4.00
평가 결과 적합 적합 적합
승용차-터널식 log (EID50/ml) data reduction data
1min 5min 10min control 1min 5min 10min 기준
전면 3.47 2.95 2.47 6.97 3.50 4.02 4.50 4.00
후면 3.87 3.20 3.07 6.97 3.10 3.77 3.90 4.00
바퀴 뒤 휠 3.48 3.03 2.48 6.97 3.49 3.94 4.49 4.00
앞 휠 3.20 2.70 2.47 6.97 3.77 4.27 4.50 4.00
측면 측면 3.07 2.70 1.53 6.97 3.90 4.27 5.44 4.00
손잡이 3.37 2.70 1.95 6.97 3.60 4.27 5.02 4.00
문 하단 2.47 1.93 1.70 6.97 4.50 5.04 5.27 4.00
하 부 0.70 0.00 0.00 6.97 6.27 6.97 6.97 4.00
머드가드 3.47 2.87 2.26 6.97 3.50 4.10 4.71 4.00
전체 평균 3.01 2.45 1.99 6.97 3.96 4.52 4.98 4.00
평가 결과 적합 적합 적합
5톤-터널식(30초) log (EID50/ml) data reduction data
1min 5min 10min control 1min 5min 10min 기준
전면 3.20 2.82 2.31 6.81 3.61 3.98 4.49 4.00
후면 3.60 3.23 2.95 6.81 3.20 3.58 3.86 4.00
바퀴 뒤 휠 3.28 3.03 2.70 6.81 3.52 3.77 4.11 4.00
앞 휠 2.98 2.83 2.07 6.81 3.83 3.97 4.73 4.00
측면 카고윙 2.95 2.57 1.95 6.81 3.86 4.23 4.86 4.00
손잡이 3.12 2.67 1.43 6.81 3.69 4.14 5.37 4.00
발판 2.83 1.43 1.54 6.81 3.97 5.37 5.27 4.00
하 부 중(60cm) 3.70 3.37 3.37 6.81 3.11 3.44 3.44 4.00
저(20cm) 2.10 3.07 2.76 6.81 4.71 3.73 4.04 4.00
머드가드 2.78 2.28 1.59 6.81 4.02 4.52 5.22 4.00
평균 3.01 2.71 2.22 6.81 3.79 4.10 4.58 4.00
평가 결과 적합 적합 적합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방법에 있어서 방역기가 벽체식인 경우 생물학적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방법에 있어서 방역기가 터널식인 경우 생물학적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 3, 표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벽체식 방역기의 경우 차량이 방역기를 통과한 직후부터 소독제와 담체 위 미생물을 반응시킨지 1분 경과시부터 4log 이상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즉, 승용차의 경우 반응시간이 1분, 5분, 10분 경과시 각각 5.59log, 6.30log, 6.80log 감소하였으며, 5톤 트럭의 경우 4.57log, 5.06log, 5.68log 감소하였다.
표 5, 표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터널식 방역기의 경우 차량이 방역기를 통과한 직후부터 소독제와 담체 위 미생물을 반응시킨지 5분 경과시부터 4log 이상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즉, 승용차의 경우 반응시간이 1분, 5분, 10분 경과시 각각 3.96log, 4.52log, 4.98log 감소하였으며, 5톤 트럭의 경우 3.79log, 4.1log, 4.58log 감소하였다. 두 방역기 모두 승용차와 트럭 평가 결과 적합으로 판정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제1 키트 20, 30: 제2 키트
100: 케이스 110: 슬롯
120: 개구 130: 엣지
200: 하우징 210: 베이스부
220: 프레임 230: 브릿지부
240: 커버부

Claims (8)

  1. 차량용 방역기에서 분무되는 소독액이 도포되며, 소독액 반응 시트를 포함하는 제1 키트 및 상기 소독액에 반응하는 미생물 담체를 포함하는 제2 키트를 포함하는 평가 키트;
    카메라를 통해 상기 방역기를 통과한 상기 제1 키트의 이미지에서 변색된 부분의 면적을 측정하여 상기 소독액 반응 시트의 면적 대비 상기 변색된 부분의 면적 간의 비율을 출력하는 이미지 분석기;
    상기 제2 키트의 미생물 함량을 측정하는 측정기; 및
    상기 이미지 분석기 및 상기 측정기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토대로 상기 방역기의 성능을 평가하는 판정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트는
    소독액 반응 시트, 및
    상기 소독액 반응 시트가 슬라이딩 인입 및 인출되도록 일측면에 형성된 슬롯, 상기 소독액 반응 시트에 상기 소독액이 도포되도록 상면에 형성된 개구, 및 상기 개구의 테두리에 상기 소독액 반응 시트의 이탈 및 변형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엣지를 구비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키트는
    하나 이상의 미생물 담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미생물 담체가 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브릿지부, 및 상기 미생물 담체에 상기 소독액이 분무되도록 상기 미생물 담체에 대응하는 부분이 개방된 커버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시스템.
  4. 차량용 방역기에서 분무되는 소독액이 도포되는 소독액 반응 시트를 포함하는 제1 키트 및 상기 소독액에 반응하는 미생물 담체를 포함하는 제2 키트를 포함하는 평가 키트를 평가 대상 차량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평가 키트가 부착된 상기 평가 대상 차량을 상기 방역기에 통과시키는 단계;
    카메라를 통해 상기 방역기를 통과한 상기 제1 키트의 이미지에서 변색된 부분의 면적을 측정하여 상기 소독액 반응 시트의 면적 대비 상기 변색된 부분의 면적 간의 비율을 출력하여 이미지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2 키트의 미생물의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키트 및 상기 제2 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키트를 측정한 결과를 토대로 상기 방역기의 성능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키트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평가 대상 차량의 전면, 후면, 측면, 및 하면에 각각 하나 이상의 평가 키트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대상 차량을 상기 방역기에 통과시키는 단계는
    상기 방역기가 터널식인 경우 상기 평가 대상 차량을 터널 내부에 정차시킨 후 수초간 소독액을 분무하고, 상기 방역기가 벽체식인 경우 상기 평가 대상 차량을 저속으로 상기 방역기에 진입시켜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액의 도포양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방역기를 통과한 상기 제1 키트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이미지 분석기에 상기 이미지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이미지에서 상기 소독액이 도포된 상대 면적을 측정하여 상기 소독액의 도포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담체는
    상기 미생물이 세균 또는 곰팡이인 경우 효모추출물 또는 탈지유를 균액과 1:1 비율로 희석하여 담체에 접종하고 유기물의 농도를 10%로 설정하고,
    상기 미생물이 바이러스인 경우 효모추출물 또는 소알부민을 균액과 1:1 비율로 희석하여 담체에 접종하고 유기물의 농도를 10%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방법.
KR1020180022610A 2018-02-26 2018-02-26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1887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610A KR101887464B1 (ko) 2018-02-26 2018-02-26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610A KR101887464B1 (ko) 2018-02-26 2018-02-26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464B1 true KR101887464B1 (ko) 2018-08-10

Family

ID=63229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610A KR101887464B1 (ko) 2018-02-26 2018-02-26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4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720A (ko) * 2019-09-02 2021-03-11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유전자 정량법을 이용한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방법
CN117649143A (zh) * 2023-11-29 2024-03-05 山东大学 一种基于驾驶员的生态驾驶行为评估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043A (ko) * 2002-04-05 2004-11-1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미생물의 제거 평가 방법 및 미생물 제거 평가 장치
JP4142974B2 (ja) 2002-04-05 2008-09-03 シャープ株式会社 微生物の除去評価方法および微生物除去評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043A (ko) * 2002-04-05 2004-11-1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미생물의 제거 평가 방법 및 미생물 제거 평가 장치
JP4142974B2 (ja) 2002-04-05 2008-09-03 シャープ株式会社 微生物の除去評価方法および微生物除去評価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oon et al., Bull. Korean. Chem. Soc. Vol32, No.9, 3517 (2011)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720A (ko) * 2019-09-02 2021-03-11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유전자 정량법을 이용한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방법
KR102379477B1 (ko) * 2019-09-02 2022-03-30 대한민국 유전자 정량법을 이용한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방법
CN117649143A (zh) * 2023-11-29 2024-03-05 山东大学 一种基于驾驶员的生态驾驶行为评估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464B1 (ko)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
CN110065475B (zh) 车辆洗消方法、车辆洗消装置及车辆洗消系统
Delpont et al. Biosecurity practices on foie gras duck farms, Southwest France
KR20130060066A (ko) 자외선 살균램프를 이용한 차량 살균시스템
US2006000886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human fecal contamination on hands and other objects using an illumination imaging device
KR102250257B1 (ko) 비접촉 적외선 생체인식을 통한 인체적용 자외선 살균 세이프 게이트웨이 시스템
CN111186743A (zh) 电梯消毒方法及其系统
WO2021174710A1 (zh) 一种疫情防控检测及病毒初步筛查舱
de Souza et al. Effectiveness of a UVC air disinfection system for the HVAC of an ICU
CN212317579U (zh) 多功能病毒智能消杀亭
Wang et al. Experimental study of the disinfection performance of a 222-nm Far-UVC upper-room system on airborne microorganisms in a full-scale chamber
Garner et al. Duty cycle of the detector dog: A baseline study
Li et al. Prevalence, distribution and risk factors of farmer reported swine influenza infection in Guangdong Province, China
CN213688673U (zh) 一种具有身份信息核对、测温及消毒功能的安检设备
Xue et al. Evaluation of the relative potential for contact and doffing transmission of SARS-CoV-2 by a rang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materials
KR20210023398A (ko) 소독액 활성화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소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소독 방법
US20080227130A1 (en) Method for detecting exposure to ionizing radiation
Shafi et al. A study of pesticide residues in different fruits collected from different fruit markets of Lahore, Punjab
CN213432568U (zh) 一种兼具体温检测与消杀处理的安防通道
KR102379477B1 (ko) 유전자 정량법을 이용한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방법
Yu et al. Confirmation of Pathogen'Burnout'in Mouse Colonies with Previous Evidence of Infection with Parvovirus and Rotavirus
TR2021022230A2 (tr) Araçlar i̇çi̇n kullanilabi̇len otonom dekontami̇nasyon si̇stemi̇
CN219122435U (zh) 消毒安检门
CN211797854U (zh) 一种自动雾化人行消毒通道
Chung et al. Physical and Biological Performance Evaluation of Disinfection Systems for Transportation Vehicles against AI Vir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