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398A - 소독액 활성화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소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소독 방법 - Google Patents

소독액 활성화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소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소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398A
KR20210023398A KR1020190103537A KR20190103537A KR20210023398A KR 20210023398 A KR20210023398 A KR 20210023398A KR 1020190103537 A KR1020190103537 A KR 1020190103537A KR 20190103537 A KR20190103537 A KR 20190103537A KR 20210023398 A KR20210023398 A KR 20210023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isinfectant
disinfection
oxidizing agent
disinfec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4768B1 (ko
Inventor
이화용
신현철
윤효상
윤동식
정우석
김영욱
김수희
김용상
Original Assignee
(주)엔퓨텍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퓨텍,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filed Critical (주)엔퓨텍
Priority to KR1020190103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768B1/ko
Publication of KR20210023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2Wheel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4Hand-held cleaning arrangements with liquid or gas distribu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77Shelters for deconta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rchitectur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독수행영역으로 진입한 차량을 세척 및 소독하는 차량용 소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소독 시스템은 산화제 소독액이 저장된 소독액 탱크; 및 상기 소독액 탱크에 저장된 산화제 소독액을 소독액 공급펌프를 이용하여 차량에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소독액 탱크와 상기 노즐 사이에는 산화제 소독액을 활성화시켜 소독능력을 향상시키는 소독액 활성화 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소독액 활성화 유닛은, 상기 소독액 탱크에서 유입된 산화제 소독액에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산화제 소독액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독액 활성화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소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소독 방법{DISINFECTION SYSTEM FOR VEHICLES HAVING DISINFECTANT LIQUID ACTIVATING UNIT AND VEHICLE DISINFE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소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소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소독액 활성화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소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소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축산업계는 기술발전에도 불구하고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구제역이나 AI(Avian Influenza) 등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고 있다.
지난 3년간의 살처분 현황을 살펴보면, 2014년에는 구제역 2만여마리·AI 1449만여마리, 2015년에는 구제역 14만여마리·AI 486만여마리, 2016년 구제역 3만여마리·AI 2688만여마리를 살처분하였다.
이와 같은 구제역이나 AI의 전파 경로를 분석해보면 야생동물에 의한 것보다 축산관련 차량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2015년에 신유통연구원이 주최한 '농업분야 빅데이터 활용 세미나'에서는 차량운행기록계가 설치된 축산관련 차량의 운행기록을 분석한 결과 축산관련차량으로 인한 축산전염병의 전파가 70%에 육박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연구자료를 고려해보면 축산전염병으로 인한 축산업계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축산관련 차량에 대한 소독 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차량용 소독 시스템을 이용한 거점 소독의 경우 소독액을 약 2~5분 정도 분사하게 되는데, 소독액을 단순히 약 2~5분 정도 분사하는 것 만으로는 접촉시간이 짧아 충분한 소독 효능을 기대하기 어렵다.
부족한 소독액의 소독 효능을 보완하기 위해서 자외선(UV: ultraviolet)을 차량에 직접 조사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고 있으나, 이는 보조적인 수단에 불과하다.
직접적인 수단으로 부족한 소독액의 소독 효능을 보완하기 위해 소독액의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나, 소독액의 농도 증가는 환경 문제나 인체에 유해할 가능성이 있어 적합하지 않다. 나아가 단순히 소독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도 해결책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전술한 상술한 문제 없이 소독액 자체의 소독 효능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독액의 농도나 소독 시간의 증가 없이, 소독액 활성화 유닛을 이용하여 차량용 소독 시스템의 소독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소독 시스템을 이용하여 축산 전염병에 대한 축산업계의 방역능력을 향상시켜 축산 업계의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소독 시스템은 소독수행영역으로 진입한 차량을 세척 및 소독하는 차량용 소독 시스템으로서: 산화제 소독액이 저장된 소독액 탱크; 및 상기 소독액 탱크에 저장된 산화제 소독액을 소독액 공급펌프를 이용하여 차량에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소독액 탱크와 상기 노즐 사이에는 산화제 소독액을 활성화시켜 소독능력을 향상시키는 소독액 활성화 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소독액 활성화 유닛은, 상기 소독액 탱크에서 유입된 산화제 소독액에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산화제 소독액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 소독액은 차아염소산을 포함하는 소독액 및 삼종염과 말산과 시트르산을 포함하는 소독액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독수행영역의 벽면과 바닥면과 천장에는 상기 차량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차량용 자외선 램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용 자외선 램프 중 상기 소독수행영역의 바닥면에 위치한 것은 각도조절유닛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램프의 광량은 6,240 μW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소독 방법은 소독수행영역으로 진입한 차량을 세척 및 소독하는 일 실시예의 차량용 소독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소독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용 소독 시스템의 소독수행영역으로 차량이 진입하는 단계; 및 소독수행영역에서 상기 차량에 대해 상기 소독액 활성화 유닛에 의해 활성화된 소독액을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독수행영역으로 진입한 차량을 소독하는 차량용 소독 시스템으로서: 산화제 소독액이 저장된 소독액 탱크; 상기 소독액 탱크에 저장된 산화제 소독액을 소독액 공급펌프를 이용하여 차량에 분사하는 노즐; 및 상기 소독수행영역의 바닥면에는 상기 차량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차량용 자외선 램프가 설치되며, 상기 차량용 자외선 램프는 각도조절유닛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소독 시스템은 소독액 활성화 유닛을 구비하여, 산화제 소독액을 차량으로 분사되기 전 소독액 활성화 유닛에서 자외선 조사를 통한 활성화 과정을 거침으로써 소독액 자체의 소독능을 향상시킨다. 이로써 차량용 소독 시스템의 소독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소독 시스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소독 시스템의 소독하우징의 개략적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차량용 소독 시스템의 각 구성과 그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소독 시스템의 소독수행영역의 바닥면에 설치된 차량용 자외선 램프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소독 시스템의 소독수행영역의 바닥면에 설치된 차량용 자외선 램프의 개략적 사시도로서, 노즐이 함께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10은 각 샘플들의 AI 간이키트 검사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제역이나 AI(Avian Influenza) 등의 축산 전염병이 발생하면, 농림 축산검역본부와 같은 방역 기관에서는 축산 전염병의 확산을 막기위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특히, 축산 전염병의 확산에 큰 원인 중 하나인 축산관련차량(예를 들어, 사료차, 분뇨차, 가축 수송차량 등)에 대한 신속한 소독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방역 기관에서는 축산 전염병이 발생한 지역을 중심으로 외부로 통하는 주요 거점을 결정하고, 해당 거점에 차량용 소독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즉, 축산 전염병이 발생한 지역에서 빠져나가는 축산 관련차량(또는 모든 차량)은 차량용 소독 시스템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차량용 소독 시스템을 지나는 차량에는 소독기에 의해 소독액이 분사된다.
완전한 소독을 위해서는 차량용 소독 시스템 내에서 충분한 시간 하에서 차량에 대한 소독 과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하지만, 소독을 수행하는 대상 차량이 다수(多數)라는 점, 소독 과정이 교통체증을 유발하여 일반 시민에게 불편을 끼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한정적인 시간에 소독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처럼 한정적인 시간에 소독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소독 효율을 향상시킬 수 밖에 없다. 소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인 방법은 소독액의 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나, 고농도의 소독액은 환경을 오염시키거나 인체에 유해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 없이, 소독 효율을 향상시μ 있는 차량용 소독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차량 소독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차량용 소독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소독 시스템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소독 시스템의 소독하우징의 개략적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3는 본 발명의 차량용 소독 시스템의 각 구성과 그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차량용 소독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차량용 소독 시스템은 내부에 차량(C)에 대한 소독이 수행될 수 있는 소독수행영역(20)이 형성되어 있는 소독하우징(10)을 포함한다.
소독이 수행되는 과정동안 차랑(C)은 이송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또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소독하우징(10)의 소독수행영역(20)을 지나게 된다. 다만, 이에 제한디는 것은 아니며, 차량(C)은 정지한 상태로 본 발명의 구성들이 움직여 소독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소독 과정이 차랑(C)이 소독수행영역(20)을 지나면서 수행되는 것을 가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소독 시스템은 차량(C)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바닥에 복수의 센서(50)가 설치될 수 있다. 센서(50)는 압력을 감지하는 방식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50)가 감지하는 차량(C)의 위치에 따라 차량용 소독 시스템이 동작한다.
차량(C)은 소독수행영역(20)에 진입하기 전에 세륜부(30)에 진입할 수 있다. 세륜부(30)는 세륜부 분사노즐(31)을 통해 세척액 또는 소독액을 차량(C)의 바퀴, 바닥면 및 측면에 분사함으로써, 진입하는 차량(C)에 바퀴, 바닥면 및 측면 등 제거가 어려운 부분에 부착된 흙이나 축산 분뇨등의 기타 이물질을 제거한다.
차량(C)의 소독수행영역(20)으로 진입한다. 소독수행영역(20)의 입구와 출구에는 고압의 바람을 이용한 에어 셔터가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소독수행영역(20)으로 진입된 차량(C)으로 노즐(170)을 통해 소독액을 분사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소독 시스템은 활성화된 산화제 소독액을 차량(C)으로 분사한다.
산화제 소독액은 차아염소산, 과산화수소 및 삼종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산화제 소독액이 활성화 되었다는 것은 산화제 소독액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소독 시스템의 소독액 활성화 유닛에 의해 산화제 소독액이 처리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소독액 시스템의 소독액 활성 유닛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소독수행영역(20)은 측면(11), 바닥면(12) 및 천장(1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산화제 소독액이 분사되는 노즐(170)은 양 쪽의 측면(11)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노즐(170)은 소독수행영역(20)의 바닥면(12)이나 천장(13)에도 형성될 수 있다.
노즐(170)을 통해 분사되는 산화제 소독액는 소독액 처리부(100)에서 처리된다.
산화제 소독액은 소독액 처리부(100)의 소독액생성유닛(110)에서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산화제 소독액이 차아염소산인 경우 다음과 같은 전기분해를 통해 산화제 소독액을 생성할 수 있다.
소독액생성유닛(110)에 차아염소산의 생성에 필요한 원료를 투입한다. 원료로는 전해액으로 HCl 수용액과, 전해질로 NaCl을 이용한다. 다만, NaCl이 너무 과량 투입될 경우, 차아염소산(HOCl)이 아닌 차아염소산소다(NaOCl)가 생성되는바, 적절양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독액생성유닛(110)에 차아염소산의 생성에 필요한 원료가 투입되면, 소독액생성유닛(110)에 설치된 전극에 전류를 인가해준다. 전류가 인가되면, 유입된 전해액과 전해질이 반응하여 차아염소산이 생성된다. 산화전극과 환원전극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나누어 설명한다. 이때, 반응이 이뤄지는 pH는 pH는 4.5 ~ 6.5를 유지하도록 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이나 유독한 염소가스가 생성되지 않고 차아염소산이 생성되도록 유도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생성된 차아염소산은 소독액탱크(130)에 저장된다. 한편, 소독액생성유닛(110)에서 산화제 소독액을 생성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별도로 생성된 산화제 소독액을 소독액탱크(130)에 보관할 수 있다.
소독액탱크(130)에 저장된 산화제 소독액은 소독수행영역(20)으로 진입한 차량(C)을 소독할 때, 소독액 공급펌프를 이용하여 차량(C)으로 노즐(170)을 통해 분사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소독 시스템은 소독액 탱크(130)와 노즐(170) 사이에는 산화제 소독액을 활성화시켜 소독능력을 향상시키는 소독액 활성화 유닛(15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독액 활성화 유닛(150)은 소독액탱크(130)에서 유입된 산화제 소독액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수용된 산화제 소독액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로 구성된다. 수용부는 별도의 탱크이거나, 관을 이용하여 산화제 소독액이 소정의 시간동안 머무르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산화제 소독액에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면 산화제 소독액이 활성화되고 이에 따라 산화제 소독액의 소독능이 증가한다.
이온화된 차아염소산(ClO-), 과산화수소(H2O2), 및 삼종염(SO5 2-)의 경우 소독액 활성화 유닛(150)을 자외선을 조사하면 다음과 같은 반응이 일어난다.
(차아염소산) ClO- + UV → Cl- +O·
(과산화수소) H2O2 + UV → H2O + O·
(삼종염) SO5 2- + UV → SO4 2- +O·
즉,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소독 시스템은 자외선을 이용하여 산화제 소독액을 활성화 시켜 프리라디칼을 발생시며, 이와 같이 활성화된 산화제 소독액에 의해 차량 소독 시스템 자체의 소독 효율이 증가 될 수 있다. 이는 종래에 자외선에 의한 소독을 목적으로 차량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과 구별되는 것이다.
이처럼 소독액 활성화 유닛(150)에 의해 활성화된 소독액의 소독능을 평가하기 위한 샘플을 준비하였다. 아래의 표 1은 각 샘플의 조건을 설명하는 것이다. 활성화는 후술하는 1 차 내지 3차 소독실험에 있어서, 소독액 활성화 유닛(150)에서 각각 광량을 8,760 μW(1차), 6,240 μW(2차), 12,840 μW(3차)으로 하여 수행했다.
Figure pat00001
이와 같은 샘플들에 대하여 2017년 12월 15일 부터 2019년 3월 13일 까지 총 5차례의 소독제효력시험과 거점소독시설 실험을 진행하였다. 1차 거점소독 실험은 6.6 ℃, 2차 거점소독 실험은 6.9 ℃, 3차 거점소독 실험은 -4 ℃, 4차 거점소독 실험은 6 ℃, 5차 거점소독 실험은 8 ℃에서 수행되었다.
소독제효력실험은 소독제효력시험지침(고시 2018-16)에 따라 바이러스액과 동량의 소독제 희석액을 혼합후 4 ℃에서 30분 반응시켰다. 아래의 표 2는 그 결과로서, 종란접종을 통한 역가(Log) 측정 결과이다.
또한, 거점소독시설 실험은 담체 캐리어(disk carrier)를 이용한 생물학적 유효성 평가법을 이용하여, 차체에 부착 건조된 바이러스에 소독액을 분사(30초) 또는 분무(30초)함으로써 수행되었다.
Figure pat00002
표 2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산화제 소독액의 경우 소독액 활성화 유닛(150)에 의해 소독액이 활성화되어 소독능이 향상된 것으로 보여진다.
샘플 1과 2, 샘플 3과 4를 각각 비교해 보더라도 소독액 활성화 유닛(150)에 의해 활성화된 샘플 2와 샘플 4가 유의미한 소독능 향상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산화제 소독액이 아닌 샘플 5의 경우에는 소독액 활성화 유닛(150)을 거치더라도 소독능 변화가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샘플 3 및 4를 비교해보면, 소독액 활성화 유닛(150)에서 조사한 자외선의 광량이 6,240 μW(2차)인 경우에는 활성화 효과가 미미함을 알 수 있다. 소독액으로서 이용되기 위해서는 대조군에 비해 역가 감소가 4 이상이 되어야 하는데, 샘플 4의 2차 시험 결과에서는 역가감소가 1.75에 불과하여 소독액으로 이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산화제 소독액의 종류에 무관하게 소독하기 충분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자외선의 광량이 8,760 μW 이상이어야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소독액의 농도를 증가시켜야 하는데, 소독액의 농도 증가는 환경오염 및 인체에 영향을 미칠 위험이 높아서 적절치 않다. 한편, 자외선의 광량이 12,840 μW 이상인 경우에는 간이진단키트를 이용한 경우에도 산화제 소독액이 활성화 되어 소독능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6 내지 10 참조).
또한, 샘플 7은 소독액 분사 없이 자외선만을 차량에 직접 조사한 경우인데, 이 경우 대조군에 비해 소독능이 인정되는 것은 별론, 샘플 2 및 4에 비해서는 현저히 낮은 소독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샘플 8 내지 14에서 소독액 분사전에 세척을 하더라도 어느정도 소독능 향상은 보여졌으나, 샘플 2 및 4와 같이 현저한 소독능 향상은 발견하지 못했다.
무엇보다 본 발명의 소독액 활성화 유닛(150)을 이용할 경우 차량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식에 비해 현저히 짧은 시간이 소모된다는 장점이 있다. 표 2의 샘플 7에서 알 수 있듯이, 차량에 직접 자외선을 2분간 자외선을 조사함에도 불구하였음에도 소독효과가 상대적으로 미미한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소독액 활성화 유닛(150)은 미리 산화제 소독액을 활성화 시켜놓을 수 있기 때문에, 차량에 활성화된 산화제 소독액을 짧은 시간을 분사함으로써 높은 소독 효율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소독 시스템은 소독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소독액 활성화 유닛(150)을 이용하는 것 대신 또는 이에 더하여 차량용 자외선 램프(41, 42, 43)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차량용 자외선 램프(41, 42, 43)는 활성화된 산화제 소독액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거나, 만약 기존의 차량용 소독 시스템이 소독액 활성화 유닛을 구비하지 않았다면, 차량에 활성화 되지 않은 산화제 소독액을 분사하면서 차량용 자외선 램프(41, 42, 43)로 자외선을 소정의 시간동안 조사하여 소독액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차량용 자외선 램프(41, 42, 43)만 이용할 경우, 표 1 및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산화제 소독액의 종류에 무관하게 소독하기 충분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자외선의 광량이 8,760 μW 이상이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소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차량용 자외선 램프(41, 42, 43)의 광량을 12,840 μW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소독액 활성화 유닛에서 산화제 소독액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이 12,840 μW 이상일 경우, 도 6 내지 도 10에서 알 수 있듯이 간이진단키트를 이용한 경우에도 소독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는바, 소독에 필요한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소독액 활성화 유닛(150)에 더하여 차량용 자외선 램프(41, 42, 43)을 이용할 경우, 차량용 자외선 램프(41, 42, 43)는 활성화된 산화제 소독액의 활성화 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소독액 활성화 유닛(150)에서 활성화된 산화제 소독액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활성화된 것이 다시 안정화된다. 따라서 소독액 활성화 유닛(150)에 더하여 차량용 자외선 램프(41, 42, 43)을 이용한다면, 활성화된 산화제 소독액의 활성화 상태를 더 오랜 시간 유지시켜 산화제 소독액의 소독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소독수행영역(20)의 벽면(11)과 바닥면(12)과 천장(13)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에는 차량용 자외선 램프(41, 42, 43)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차량용 자외선 램프(41, 42, 43)는 소독수행영역(20)에 진입한 차량(C)에 활성화된 산화제 소독액을 분사하는 중 또는 그 이후에 동작하여 차량(C)에 자외선을 조사한다.
특히, 바닥면(12)에 설치되는 차량용 자외선 램프(42)는 각도조절유닛(42a)에 도 4와 같이 자외선 램프(42)가 설치된 프레임(42b)을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차량(C)의 하부면은 측면이나 상면에 비해 구동유닛(조향장치, 바퀴 등)이 노출되어 있어 사각지대가 많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고정된 상태로 차량용 자외선 램프(42)를 조사하게 되면, 사각지대에 대해서는 자외선이 제대로 조사되지 못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바닥면(12)에 설치된 차량용 자외선 램프(42)는 차량(C)이 소독수행영역(20)에 진입하면, 하부면에 자외선을 조사하되, 각도를 조절하여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바닥면(12)에 설치되는 차량용 자외선 램프(42)는 방수가 되어야 하므로, 램프의 조사면은 자외선 투과가 원할한 석영유리 또는 자외선 투과필터와 같은 커버를 장착하고, 커버와 프레임(42b)의 사이에는 고무패킹 등을 설치하여 방수가 되도록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차량의 하부면의 사각지대 문제는 정도는 덜하지만 산화제 소독액을 분사할 때에도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도 5와 같이, 차량용 자외선 램프(42)가 설치되는 프레임(42b)에 노즐(170)을 설치하여, 활성화된 산화제 소독액의 분사시에 차량(C)의 하부면에 다양한 각도로 산화제 소독액을 분사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소독수행영역(20)의 출구에는 송풍구(42)를 배치하여, 나가는 차량의 표면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차량용 소독시스템의 소독하우징(10)은 차량에 승차했던 인원에 대해 소독을 수행할 수 있는 대인 소독실(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축산 전염병은 차량 뿐만 아니라, 차량에 승차했던 인원의 옷, 신발 등에 남아 부착된 바이러스 등에 의해 전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차량용 소독 시스템은 차량에 승차했던 인원은 차량에서 하차하여 대인 소독실(500)에서 소독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차량용 소독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축산 전염병의 전파를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차량 소독 방법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소독 방법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차량용 소독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소독 방법은 차량용 소독 시스템으로 소독 대상 차량이 진입되는 단계와 소독수행영역에서 상기 차량에 대해 소독액 활성화 유닛에 의해 활성화된 소독액을 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차량용 소독 시스템으로 소독 대상 차량이 진입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차량에 탑승중인 인원은 차량에서 하차하여 대인 소독실로 입실하여, 사람에 대한 소독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소독 대상 차량이 차량용 소독 시스템으로 진입할 때, 또는 진입하기 전에 미리 차량용 소독 시스템은 산화제 활성화 유닛을 동작시켜 저장되어 있던 산화제 소독액을 활성화 시킨다.
진입한 차량에 대해서는 예비 세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비 세척시에 고온의 세척수를 분사해 차량의 표면을 예열 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소독수행부에서 상기 예열된 소독 대상 차량에 대해 활성화된 산화제 소독액 분사하여 소독을 수행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한편, 소독을 수행하는 단계 후에는 소독이 수행된 소독 대상 차량에 다시 세척액을 분사하여 잔류 소독액을 세척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고농도의 소독액은 차량의 표면을 부식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소독 방법은 소독액을 세척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차량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출차세척부에서 차량을 한번 더 세척함으로써, 축산 전염병이 전파되는 매개가 될 수 있는 이물질들을 다시 한번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차량용 소독 시스템과 차량 소독 방법은 소독액 활성화 유닛을 이용하여, 산화제 소독액을 차량으로 분사되기 전 소독액 활성화 유닛에서 자외선 조사를 통한 활성화 과정을 거침으로써 소독액 자체의 소독능을 향상시켜 차량용 소독 시스템의 소독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소독 시스템과 차량 소독 방법을 이용할 경우 보다 짧은 시간에 보다 확실하게 방역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차량용 소독 시스템과 차량 소독 방법을 이용하여 축산 전염병에 대한 축산업계의 방역능력을 향상시켜 축산 업계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7)

  1. 소독수행영역으로 진입한 차량을 소독하는 차량용 소독 시스템으로서:
    산화제 소독액이 저장된 소독액 탱크; 및
    상기 소독액 탱크에 저장된 산화제 소독액을 소독액 공급펌프를 이용하여 차량에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소독액 탱크와 상기 노즐 사이에는 산화제 소독액을 활성화시켜 소독능력을 향상시키는 소독액 활성화 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소독액 활성화 유닛은,
    상기 소독액 탱크에서 유입된 산화제 소독액에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산화제 소독액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 소독액은 차아염소산, 과산화수소 및 삼종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독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수행영역의 벽면과 바닥면과 천장에는 상기 차량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차량용 자외선 램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독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자외선 램프 중 상기 소독수행영역의 바닥면에 위치한 것은 각도조절유닛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독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램프의 광량은 8,760 μW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독 시스템.
  6. 소독수행영역으로 진입한 차량을 세척 및 소독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차량용 소독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소독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용 소독 시스템의 소독수행영역으로 차량이 진입하는 단계; 및
    소독수행영역에서 상기 차량에 대해 상기 소독액 활성화 유닛에 의해 활성화된 산화제 소독액을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소독 방법.
  7. 소독수행영역으로 진입한 차량을 소독하는 차량용 소독 시스템으로서:
    산화제 소독액이 저장된 소독액 탱크;
    상기 소독액 탱크에 저장된 산화제 소독액을 소독액 공급펌프를 이용하여 차량에 분사하는 노즐; 및
    상기 소독수행영역의 바닥면에는 상기 차량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차량용 자외선 램프가 설치되며,
    상기 차량용 자외선 램프는 각도조절유닛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독 시스템.
KR1020190103537A 2019-08-23 2019-08-23 소독액 활성화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소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소독 방법 KR102334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537A KR102334768B1 (ko) 2019-08-23 2019-08-23 소독액 활성화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소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소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537A KR102334768B1 (ko) 2019-08-23 2019-08-23 소독액 활성화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소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소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398A true KR20210023398A (ko) 2021-03-04
KR102334768B1 KR102334768B1 (ko) 2021-12-03

Family

ID=75174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537A KR102334768B1 (ko) 2019-08-23 2019-08-23 소독액 활성화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소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소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7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6100A (zh) * 2022-05-06 2022-07-22 广东领航智慧建造科技有限公司 一种绿色建筑工程施工用节能除尘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4858A1 (en) * 2003-01-06 2006-05-18 Potember Richard S Hydroxyl free radical-induced decontamination of airborne spores, viruses and bacteria in a dynamic system
KR101847268B1 (ko) * 2016-06-20 2018-04-10 백인제 무인 자동차 방역 살균세척기
KR101974874B1 (ko) * 2018-06-18 2019-05-03 (주)엔퓨텍 차량용 소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소독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4858A1 (en) * 2003-01-06 2006-05-18 Potember Richard S Hydroxyl free radical-induced decontamination of airborne spores, viruses and bacteria in a dynamic system
KR101847268B1 (ko) * 2016-06-20 2018-04-10 백인제 무인 자동차 방역 살균세척기
KR101974874B1 (ko) * 2018-06-18 2019-05-03 (주)엔퓨텍 차량용 소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소독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6100A (zh) * 2022-05-06 2022-07-22 广东领航智慧建造科技有限公司 一种绿色建筑工程施工用节能除尘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768B1 (ko) 2021-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7436B2 (en) Purified hydrogen peroxide gas microbial control methods and devices
EP3988125A1 (en) Sterilization apparatus using uv light source harmless to human body
CN109002688B (zh) 基于臭氧消毒/紫外线消毒/氯消毒的水处理方法
JP2022501122A (ja) 光照射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殺菌装置
KR101974874B1 (ko) 차량용 소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소독방법
KR20210023398A (ko) 소독액 활성화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소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소독 방법
KR101180420B1 (ko) 자동 소독 강도 조절 기능을 갖는 벽면형 자외선-엘이디 소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3195890U (ja) 靴用殺菌装置
McGinn et al. An iot approach for monitoring uv disinfection robots
JP7385818B2 (ja) 静菌方法
KR101987397B1 (ko) 자동차용 바이오 살균 시스템 및 그 살균방법
CA3188911A1 (en) A disinfection system, method and chamber thereof
WO2020254557A1 (en) Method, device and ventilation system for reducing the microbial pressure in an animal farm production facility
JP3056584B2 (ja) 水殺菌装置および超音波加湿機
KR20190002392A (ko) 자동차용 바이오 살균 시스템 및 그 살균방법
US20080135399A1 (en) Ultraviolet laser system for decomposing chemical pollutants
KR20210103829A (ko) 이동이 가능한 소독액 정화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거점소독기
Suganuma et al. Disinfection by HO 2 radicals generated by negative corona discharge on acidic solution
KR102653588B1 (ko) 사육시설 악취제거를 위한 제취제 관리시스템
KR101952241B1 (ko) 라디칼 소모 포텐셜의 측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214270554U (zh) 一种基于紫外和过氧乙酸联合处理的废水消毒系统
KR200320054Y1 (ko) 저수조에 설치되는 살균소독장치
Frigerio et al. A safe and effective combination of UV and ozone
WO2022171721A1 (de)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behältern für menschliche ausscheidungen
KR20190055787A (ko) 자동차용 바이오 살균 시스템 및 그 살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