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7720A - 유전자 정량법을 이용한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유전자 정량법을 이용한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7720A
KR20210027720A KR1020190108474A KR20190108474A KR20210027720A KR 20210027720 A KR20210027720 A KR 20210027720A KR 1020190108474 A KR1020190108474 A KR 1020190108474A KR 20190108474 A KR20190108474 A KR 20190108474A KR 20210027720 A KR20210027720 A KR 20210027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fectant
disinfection
facility
pathogen
effective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9477B1 (ko
Inventor
정우석
강미영
김수희
김영욱
한수연
김용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Priority to KR1020190108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477B1/ko
Publication of KR20210027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22Testing for sterility cond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24Methods of sampling, or inoculating or spreading a sample; Methods of physically isolating an intact 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C12Q1/6851Quantitative ampl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31/00Reactions of nucleic acids characterised by
    • C12Q2531/10Reactions of nucleic aci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being amplify/increase the copy number of target nucleic acid
    • C12Q2531/113PC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61/00Nucleic acid detection characterised by assay method
    • C12Q2561/113Real time assa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전자 정량법을 이용한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장치 또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 또는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소독 효과를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전자 정량법을 이용한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방법{valuation method of efficacy of disinfection facility using gene quantification method}
본 발명은 유전자 정량법을 이용한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용되고 있는 현장 소독시설의 유효성 조사 방법은 담체에 일정량의 바이러스를 코팅한 후 소독시설을 통과한 후 생존한 바이러스의 역가를 측정하여 소독 전후의 바이러스 역가 비교를 통한 소독효력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기존의 시험법은 먼저 담체에 코팅된 바이러스의 생존율을 높이는 기술이 확립되어야 하고, 바이러스의 특성에 따른 종란 또는 세포배양이 필요하고 신속하게 실험실에 옮겨 접종하여야 하며, 실험 결과를 확인하기까지는 3-5일 정도가 소요된다. 따라서 현장에서 소독효과의 확인이 가능하고, 실험실로의 수송이 용이하며, 빠른 시일 내 결과 확인이 가능한 시험방법 개발이 필요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6-73220호
본 발명자들은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디스크 담체와 간이진단 키트를 조합하면 유전자 정량법을 통하여, 정확하면서도 신속하게 유효성을 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평가장치는 데이터 입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소독제, 소독 시설, 소독 대상, 및 병원체의 특성과 관련된 초기 데이터, 및 소독이 완료된 소독 대상으로부터 분리한 병원체에 대한 소독 효과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유효성을 평가하도록 프로그램 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초기 데이터는 소독제의 종류, 농도, pH, 노출 시간, 온도, 또는 이들의 조합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초기 데이터는 병원체의 종류, 농도, 역가, 또는 이들의 조합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초기 데이터는 소독 대상 또는 소독시설에 부착된 디스크 담체의 개수,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초기데이터는 소독시설의 크기, 소독대상, 유효소독 위치, 소독제 분사노즐의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초기 데이터들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에 의해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있어서, 상기 초기 데이터들의 적어도 일부는 자동적으로 판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상술한 초기 데이터는 상기 소독 대상 또는 디스크 담체에 구비된 RFID 태그를 판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1 이상의 디스크 담체(disk carrier)에 소독 효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병원체를 포함하는 용액을 코팅하는 단계;
1 이상의 디스크 담체를 소독 대상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소독 대상을 평가하고자 하는 소독시설 내에 위치시키고 소독을 실시하는 단계;
소독이 완료된 소독 대상으로부터 디스크 담체를 회수하는 단계;
디스크 담체로부터 병원체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 소독 대상, 및 병원체의 특성과 관련된 초기 데이터와, 상기 디스크 담체로부터 분리한 병원체의 결과 데이터를 비교하여 병원체에 대한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소독 효과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 상기 소독제 또는 소독 시설의 소독 효과의 유효 여부는 소독 대상에 부착된 1 이상의 디스크 담체 별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담체는 스테인리스 스틸, 세라믹, 또는 플라스틱 재질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디스크 담체의 용도로서 사용 가능하다고 알려진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 단계는 병원체를 포함하는 수성 용액(aqueous solution)을 디스크 담체에 점적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단지 점적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병원체를 포함하는 수성 용액을 디스크 담체 위에 접촉시키는 모든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수성 용액은 0.1-3% BSA 및 0.1-3% 효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성 용액이다.
상기 수성 용액의 단백질 농도는 12.0 mg/ml로 "소독제 효력시험지침(농림축산검역본부 고시 제2018-16호"의 유기물 조건인 5% FBS (1.2 mg/ml) 보다 가혹한 조건으로서, 이 농도에서 유효성을 나타내는 경우 실제 현장에서 소독제로서 유효성이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병원체는 세균, 바이러스, 진균, 또는 기생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소독 대상은 사람, 사람을 제외한 동물, 또는 사물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담체로부터 병원체를 분리하는 단계는 디스크 담체를 중화용액에 넣고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단지 교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디스크 담체를 중화용액에 넣고 물리적인 충격을 가함으로써 디스크 담체에 잔존하는 병원체가 분리되어 중화용액에 포함되도록 하는 모든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화용액은 5-20% FBS를 포함하는 수성 용액인 것인, 방법.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소독 효과의 평가 단계는 분리한 병원체를 병원체 간이진단 키트에 넣고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독 효과의 평가 단계는 상기 간이진단 키트의 검사선으로부터 병원체의 DNA 또는 RNA를 분리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소독 효과의 평가 단계는 상기 분리된 DNA 또는 RNA로부터 병원체의 유전자를 증폭시키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전자의 증폭은 PCR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PCR은 real time PCR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증폭된 유전자의 정량적 결과를 대조군과 비교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의 방법은 상술한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장치의 제어부에, 입력부로부터 수집된 소독제, 소독시설, 소독 대상, 및 병원체의 특성과 관련된 초기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방법은 상기 디스크 담체로부터 분리한 병원체의 결과 데이터를 상기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장치의 제어부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방법은 상기 디스크 담체로부터 분리한 병원체의 결과 데이터를 비교하여, 병원체에 대한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소독 효과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독 효과의 유효여부 판정은 상기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전자 정량법을 이용한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장치 또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장치 또는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소독 효과를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담체 (Disk Carrier)를 이용한 현장 유효성 조사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바이러스액을 소독제와 반응 후 간이진단키트에 적용한 결과, 바이러스가 잔존하는 조건에서는 양성 반응(좌측 사진)이 나타나고, 바이러스 사멸조건(유효한 소독제)에서는 음성 반응(우측 사진)이 나타남을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이러스를 담체에 코팅하는 조건에 따른 바이러스 역가의 정량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A) 5% FBS, B) 20% 우혈청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 C) 20% 효모 추출물, 및 D) 1% 우혈청 알부민 및 1% 효모 추출물을 각각 포함하는 코팅액].
도 4a 내지 도 4c는 유전자 정량을 통하여 소독제 효력시험을 수행한 결과, 바이러스 역가에 따른 Real-time rPCR의 Ct 값과의 상관관계가 높음을 나타낸 도이다.
도 5a의 좌측 그림은 중화용액에서 바이러스 RNA를 분리하는 경우에 온전한 바이러스 내의 RNA와 사멸한 바이러스로부터 유래한 RNA가 혼재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고, 도 5b는 소독 시간에 따른 중화용액 및 간이키트 양성 검사선에서 분리한 바이러스의 정량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a는 소독약과 반응한 바이러스의 중화용액을 10배수로 단계별 희석한 후 간이키트에 반응시킨 결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6b는 각 간이키트 양성 검사선(positive test line)에서 분리한 RNA를 이용하여 real-time rPCR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중화액과 간이키트에서 분리한 RNA에서의 바이러스 유전자 정량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간이진단 키트 음성 샘플을 종란에 접종한 결과, 바이러스가 완전히 사멸되어 종란이 폐사하지 않았음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실시예 1: 간이진단 키트를 이용한 소독제 유효성 시험
본 발명자들은 현장에서 바로 소독제의 효력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기 위하여, AI 바이러스(H9N2)가 점적된 담체(107/ml 역가의 AI 바이러스 10 μl씩 10 방울)를 차량 옆면에 부착 (3개)한 후 소독시설을 통과하여 분사된 소독약에 노출시켰다. 소독시설마다 정해진 분사 시간 동안 노출시키고 3분간 추가 반응시간을 주었다. 이후 중화용액(10% FBS) 5 ml가 들어 있는 코니칼 튜브에 담체를 넣고 강력하게 교반을 하여 담체에 남아있는 바이러스를 씻어내었다. 이 용액 50 μl를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하는 AI 간이진단 키트 (One Step AIV Antigen Rapid Test ㈜바이오노트)의 주입부에 주입하였다.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독제에 사멸되지 않은 AI 바이러스는 양성반응이 나타났다. 따라서 간이진단 키트를 이용하면 바이러스의 사멸여부 확인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바이러스 코팅조건별 소독 효력 측정 시험 결과
현장에서의 소독제 효력시험을 위해서는 담체에 코팅된 바이러스의 생존율이 일정한 역가 이상을 유지하여야 한다. 담체(Disk carrier)에 바이러스를 코팅하는 조건에 따른 소독 효력 측정에 적합한 코팅액의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A) 5% FBS, B) 20% 우혈청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 C) 20% 효모 추출물, 및 D) 1% 우혈청 알부민 및 1% 효모 추출물을 각각 포함하는 코팅액으로 107/ml 역가의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희석하였다. 상기 각 코팅액 100 μl solution을 virus control로 하였고; 상기 각 코팅액 10 μl 씩 10 방울을 담체 위에 점적한 후, BSC에서 1시간 동안 건조시킨 것을 inoculum control로 하였으며; inoculum control에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시설을 통과하여 분사된 소독약에 노출시킨 것을 disinfectant treat로 하였다. 상기 각 virus control, inoculum control, 및 disinfectant treat의 바이러스를 회수한 후 역가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virus control과 inoculum control을 비교한 결과 B) 20% 우혈청 알부민, C) 20% 효모 추출물, 및 D) 1% 우혈청 알부민 및 1% 효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팅액의 경우가 코팅액 건조로 인한 바이러스 역가의 감소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또한, inoculum control과 Disinfectant treat를 비교한 결과, B) 20% 우혈청 알부민 코팅액의 경우에는 소독제의 효력이 상쇄되어 소독제 처리에도 불구하고 바이러스 역가의 감소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C) 20% 효모 추출물과, D) 1% 우혈청 알부민 및 1% 효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팅액의 경우에는 소독제의 효력을 방해하지 않아 소독제 처리 후의 바이러스 역가 감소가 104 배수 이상 충분히 나타났다. 한편, 코팅액의 제조에 있어, C) 20% 효모 추출물 코팅액 보다는 D) 1% 우혈청 알부민 및 1% 효모 추출물 코팅액의 제조가 비용이 저렴하고 용해가 쉽게 이루어졌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코팅 용액으로는 가장 제조 방법이 쉽고 비용이 저렴하며, 바이러스 생존에 유리하면서도 소독액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D) 1% 우혈청 알부민 및 1% 효모 추출물 포함 코팅액이 적합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D) 1% 우혈청 알부민 및 1% 효모 추출물 포함 코팅액의 단백질 농도는 12.0 mg/ml로 "소독제 효력시험지침(농림축산검역본부 고시 제2018-16호"의 유기물 조건인 A) 5% FBS (1.2 mg/ml) 보다 가혹한 조건으로서, 이 농도에서 유효성을 나타내는 경우 실제 현장에서 소독제로서 유효성이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상기 유전자 정량 결과로부터 판단해 보건대, 본 발명의 반응 시간별 소독 효력 측정에 가장 적합한 코팅조건은 1% BSA + 1% Yeast extract의 조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Real-time rPCR을 이용한 유전자 정량시험법 개발
바이러스 원액(107/ml)을 10배씩 연속 희석한 후 9~11일령 사이의 종란에 100 μl씩 접종하고 4일 후 요막강액을 채취하여 HA 테스트를 통하여 역가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도4b). 또한 바이러스 원액(107/ml)을 중화용액으로 희석하여 종란접종 및 Real-time rPCR을 실시하여 비교하였다(도4c). Real-time rPCR을 위해 유전자 추출은 AutoXT PGS DNA/RNA Kit (㈜인트론바이오테크놀로지)를 이용하였고, Real-Time PCR은 LilifTM AIV M Real-Time RT-PCR Kit (Cat. No. IPC11009, iNtRON Biotechnology, Korea)를 사용하였다.
도 4a 내지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전자 정량을 통하여 소독제 효력시험을 수행한 결과, 바이러스 역가에 따른 Real-time rPCR의 Ct 값과의 상관관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b 및 도 4c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바이러스 역가 차이 1은 바이러스 희석배수 101에 해당되고, 이는 Ct값으로는 3에 해당되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실시예 4: 중화용액 및 간이키트에서 분리한 바이러스의 정량시험
상기 실시예 2의 조건 D)로 AI 바이러스액을 코팅하고 건조한 담체를 차량에 부착한 후 소독시설에서 소독을 실시하였다. 담체를 회수하여 중화용액(10% FBS) 5 ml가 들어있는 50 ml 튜브에 넣고 교반하여 바이러스를 회수하였다.
중화용액에서 바이러스 RNA를 분리할 경우에는 소독제에 영향을 받지 않은 온전한 바이러스내의 RNA와 소독제에 의하여 깨진 바이러스로부터 유래된 RNA와의 구분이 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었다(도 5a 좌측 모식도 참조). 따라서 온전한 바이러스로부터의 RNA만을 분리하기 위하여, 소독을 실시한 담체를 넣고 교반한 중화용액(10% FBS) 100 μl를 항원 간이진단 키트의 시료주입부에 주입하였다. 간이진단 키트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검사선(test line)으로부터 RNA를 추출하고 real time-qPCR을 이용하여 RNA를 정량하였다(도 5a 우측 양성 검사선).
결과는 도 5b에 나타내었다.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Real-time rPCR 결과 중화용액의 Ct 값은 시간에 따라 상대적으로 일정한 양상을 보였으나, 진단키트의 Ct 값은 시간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소독약에 의해 바이러스가 파괴됨에 따라 간이키트에 의해 검출된 양도 줄어 듦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간이키트를 이용한 바이러스 유전자의 정량시험
상기 실시예 4에서와 같이 간이키트를 이용한 바이러스 유전자의 정량시험이 신뢰할 수 있는 것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실시예 4에서와 같이 소독약과 반응한 바이러스의 중화용액을 10배수로 단계별 희석한 후 간이키트에 반응시키고 양성 검사선(positive test line)에서 분리한 RNA를 이용하여 real-time rPCR을 수행하였다(도 6a). 그 결과 R2 값이 0.9915으로 나와 간이키트를 이용한 바이러스 유전자 정량의 신뢰성이 높으며, 이를 정량을 위한 표준 곡선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6b).
실시예 6: 중화용액과 간이키트에서 분리한 RNA의 Ct value 비교
실시예 5에 이어, 중화용액에서 분리한 RNA에 대한 real-time rPCR의 Ct 값과, 간이키트의 양성 검사선에서 분리한 RNA에 대한 real-time rPCR의 Ct 값을 비교하여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화용액과 간이키트 양성 검사선에서 분리한 RNA의 Ct 값이 약 3정도의 일정한 차이를 보여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간이진단키트에서 음성으로 확인된 샘플을 종란에 접종한 결과,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아서 음성 검사선이 나타난 경우 바이러스가 완전히 사멸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8).

Claims (25)

  1.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평가장치는 데이터 입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소독제, 소독 시설, 소독 대상, 및 병원체의 특성과 관련된 초기 데이터, 및 소독이 완료된 소독 대상으로부터 분리한 병원체에 대한 소독 효과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유효성을 평가하도록 프로그램 된 것인,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데이터는 소독제의 종류, 농도, pH, 노출 시간, 온도, 또는 이들의 조합인,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데이터는 병원체의 종류, 농도, 역가, 또는 이들의 조합인,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데이터는 소독 대상 또는 소독시설에 부착된 디스크 담체의 개수,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데이터는 소독시설의 크기, 소독대상, 유효소독 위치, 소독제 분사노즐의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인,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데이터들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에 의해 수집되는,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데이터들의 적어도 일부는 자동적으로 판독되도록 구성된,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장치.
  8.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 방법:
    1 이상의 디스크 담체(disk carrier)에 소독 효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병원체를 포함하는 용액을 코팅하는 단계;
    1 이상의 디스크 담체를 소독 대상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소독 대상을 평가하고자 하는 소독시설 내에 위치시키고 소독을 실시하는 단계;
    소독이 완료된 소독 대상으로부터 디스크 담체를 회수하는 단계;
    디스크 담체로부터 병원체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 소독 대상, 및 병원체의 특성과 관련된 초기 데이터와, 상기 디스크 담체로부터 분리한 병원체의 결과 데이터를 비교하여 병원체에 대한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소독 효과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제 또는 소독 시설의 소독 효과의 유효 여부는 소독 대상에 부착된 1 이상의 디스크 담체 별로 확인하는 것인,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담체는 스테인리스 스틸, 세라믹, 또는 플라스틱 재질인,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단계는 병원체를 포함하는 수성 용액(aqueous solution)을 디스크 담체에 점적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용액은 0.1-3% BSA 및 0.1-3% 효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성 용액인 것인,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체는 세균, 바이러스, 진균, 또는 기생충인,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 대상은 사람, 사람을 제외한 동물, 또는 사물인 것인, 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담체로부터 병원체를 분리하는 단계는 디스크 담체를 중화용액에 넣고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화용액은 5-20% FBS를 포함하는 수성 용액인 것인, 방법.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 효과의 평가 단계는 분리한 병원체를 병원체 간이진단 키트에 넣고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 효과의 평가 단계는 상기 간이진단 키트의 양성 검사선으로부터 병원체의 DNA 또는 RNA를 분리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 효과의 평가 단계는 상기 분리된 DNA 또는 RNA로부터 병원체의 유전자를 증폭시키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의 증폭은 PCR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인,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PCR은 real time PCR인 것인,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증폭된 유전자의 정량적 결과를 대조군과 비교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23. 제8항에 있어서, 청구항 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장치의 제어부에, 입력부로부터 수집된 소독제, 소독시설, 소독 대상, 및 병원체의 특성과 관련된 초기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2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담체로부터 분리한 병원체의 결과 데이터를 상기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장치의 제어부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담체로부터 분리한 병원체의 결과 데이터를 비교하여, 병원체에 대한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소독 효과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독 효과의 유효여부 판정은 상기 소독제 또는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인, 방법.
KR1020190108474A 2019-09-02 2019-09-02 유전자 정량법을 이용한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방법 KR102379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474A KR102379477B1 (ko) 2019-09-02 2019-09-02 유전자 정량법을 이용한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474A KR102379477B1 (ko) 2019-09-02 2019-09-02 유전자 정량법을 이용한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720A true KR20210027720A (ko) 2021-03-11
KR102379477B1 KR102379477B1 (ko) 2022-03-30

Family

ID=7514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474A KR102379477B1 (ko) 2019-09-02 2019-09-02 유전자 정량법을 이용한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4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3089A1 (en) * 1999-05-03 2002-09-05 Icf Technologies, Inc. System for detecting sterilization effectiveness
KR20080056201A (ko) * 2005-10-05 2008-06-20 에스쥐엠 바이오텍, 인크. 포자 배양 및 모니터링의 자동화 방법 및 장치
JP2016073220A (ja) 2014-10-03 2016-05-12 株式会社シード アカントアメーバの消毒評価方法
KR101887464B1 (ko) * 2018-02-26 2018-08-1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3089A1 (en) * 1999-05-03 2002-09-05 Icf Technologies, Inc. System for detecting sterilization effectiveness
KR20080056201A (ko) * 2005-10-05 2008-06-20 에스쥐엠 바이오텍, 인크. 포자 배양 및 모니터링의 자동화 방법 및 장치
JP2016073220A (ja) 2014-10-03 2016-05-12 株式会社シード アカントアメーバの消毒評価方法
KR101887464B1 (ko) * 2018-02-26 2018-08-1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방역기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hin Hyeon-cheol and 5 others. Development of anti-personnel disinfection equipment for livestock quarantin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Part 1 of 201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9477B1 (ko)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ms Lessons learned from Asian H5N1 outbreak control
Spackman et al. Avian influenza virus isolation, propagation, and titration in embryonated chicken eggs
Sims et al. One health: the Hong Kong experience with avian influenza
Taurel et al. Seroprevalence of Q fever in naturally infected dairy cattle herds
Hood et al. A literature review of the use of environmental sampling in the surveillance of avian influenza viruses
Swayne et al. Avian influenza control strategie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Bedeković et al. Modification of the fluorescent antibody virus neutralisation test—Elimination of the cytotoxic effect for the detection of rabies virus neutralising antibodies
Li et al. The epidemiology of swine influenza
Shahiduzzaman et al. Combination of cell culture and quantitative PCR for screening of drugs against Cryptosporidium parvum
Stephens et al. Thermal Inactivation of avian influenza virus in poultry litter as a method to decontaminate poultry houses
Duvauchelle et al. Risk factors for the introduction of avian influenza virus in breeder duck flocks during the first 24 weeks of laying
Forster et al. The effect of sample type, temperature and RNAlater™ on the stability of avian influenza virus RNA
Kinsley et al. Controlling equine influenza: Traditional to next generation serological assays
Dewulf et al. How to measure biosecurity and the hygiene status of farms.
KR102379477B1 (ko) 유전자 정량법을 이용한 소독시설의 유효성 평가방법
Akanbi et al. Epidemiology and clinicopathological manifestation of resurgent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5N1) virus in Nigeria, 2015
Tanikawa et al. Comparative susceptibility of the common teal (Anas crecca) to infection with high pathogenic avian influenza virus strains isolated in Japan in 2004–2017
Poulson et al. Wild bird surveillance for avian influenza virus
Harder et al. Epidemiology-driven approaches to surveillance in HPAI-vaccinated poultry flocks aiming to demonstrate freedom from circulating HPAIV
Gordy et al. Surveillance of feral cats for influenza A virus in north central Florida
Jung et al. Herd-level seroprevalence of swine-influenza virus in Korea
Chowdhury PATTERNS OF AVIAN INFLUENZA VIRUSES CIRCULATION IN POULTRY SOLD AT LIVE BIRD MARKET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AVIAN INFLUENZA VIRUSES IN BANGLADES
Selleck et al. Avian influenza
Munster et al. Influenza A virus surveillance in wild birds
JP2021502111A (ja) セル・オブジェクトの同定方法及び装置並びにそれに有効な試験化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