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277B1 - 가변 단권 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변 단권 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277B1
KR101887277B1 KR1020160145158A KR20160145158A KR101887277B1 KR 101887277 B1 KR101887277 B1 KR 101887277B1 KR 1020160145158 A KR1020160145158 A KR 1020160145158A KR 20160145158 A KR20160145158 A KR 20160145158A KR 101887277 B1 KR101887277 B1 KR 101887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variable
transformer
autotransform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9466A (ko
Inventor
한문섭
김주락
이장무
창상훈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45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277B1/ko
Publication of KR20180049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3/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13/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tap-changing; by rearranging interconnections of wi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9/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external to the vehicle
    • B60L9/16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external to the vehicle using ac induction motors
    • B60L9/24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external to the vehicle using ac induction motors fed from ac supply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입력 전압이 공급되는 입력단과 부하에 연결된 출력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있는 직렬 변압기, 상기 입력단과 상기 출력단 사이에 병렬 연결되어 있는 가변 단권변압기 및 상기 부하에 대한 측정 전압과 임계 전압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가변 단권변압기의 가변탭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부하로 공급되는 출력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류전기철도의 급전 말단에 설치되어 철도 차량에 공급되는 전압을 저비용으로 안정화시키고, 가변형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실시간 제어를 통해 철도 차량에 공급되는 전압이 최저 전압 이하로 강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철도 차량의 운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 단권 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 및 방법{VOLTAGE STABILIZING APPARATUS USING VARIABLE AUTOTRANSFORMER AND METHOD THEROF}
본 발명은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교류전기철도의 급전 말단에 설치되어 철도 차량에 공급되는 전압을 저비용으로 안정화시키고, 가변형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실시간 제어를 통해 철도 차량에 공급되는 전압이 최저 전압 이하로 강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철도 차량의 운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차의 운행이 증가함에 따라 급전선로에서도 열차 부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열차의 집전 전압 및 말단 전압이 낮아지고 있다.
특히 주말과 같은 열차 운행이 증가된 경우 열차의 최저 전압이 순간적으로 운행 가능 최저 전압보다 낮아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현상은 열차의 안전 운행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한 상황으로서 열차의 집전 전압이 항상 최저 전압 이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한편, 열차의 집전 전압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전철 주변압기의 용량 증대, 선로 말단 전압보상설비 설치 등의 방법이 있으나 비용 및 운용 등의 측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방식들 중에서, 정적 무효전력 보상장치인 단상 SVC(Static Var Compensator)는 캐패시터를 싸이리스터(Thyristor)로 제어하는 방식으로서, 역률 개선 및 전압 안정화에 사용하나 설치 면적이 크고 반응 속도가 낮아 유용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적 인버터식 무효전력 보상장치인 SVG(Static Var Generator)는 인버터를 사용하여 전력을 보상하는 장치로서, 연계용 변압기가 필요하고 운전 손실과 건설비가 과다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1414호(공개일자: 2004년 09월 21일, 명칭: 순시 탭 전환 방식의 자동 전압 조절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2600호(공개일자: 2010년 12월 20일, 명칭: 자동 전압 조절기)
본 발명은 교류전기철도의 급전 말단에 설치되어 철도 차량에 공급되는 전압을 저비용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는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변형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실시간 제어를 통해 철도 차량에 공급되는 전압이 최저 전압 이하로 강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철도 차량의 운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는 입력 전압이 공급되는 입력단과 부하에 연결된 출력단 사이에 2차 코일이 직렬 연결되고, 1차 코일의 일측단은 가변 단권변압기의 중간점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1차 코일의 다른 일측단은 상기 가변 단권변압기의 가변탭에 연결되어 있는 직렬 변압기;
상기 입력단과 상기 출력단 사이에 병렬 연결되어 있는 가변 단권변압기; 및
상기 부하에 대한 측정 전압과 임계 전압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가변 단권변압기의 가변탭의 위치를 중간점 상방이나 하방으로 조정하여 상기 부하로 공급되는 출력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측정 전압이 상기 임계 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기 가변탭의 위치를 중간점의 하방으로 조정하여 상기 출력 전압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측정 전압이 상기 임계 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가변탭의 위치를 중간점의 상방으로 조정하여 상기 출력 전압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임계 전압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값이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압은 교류 전압이고, 상기 출력 전압은 철도차량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입력 전압이 공급되는 입력단과 부하에 연결된 출력단 사이에 2차 코일이 직렬 연결되고, 1차 코일의 일측단은 가변 단권변압기의 중간점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1차 코일의 다른 일측단은 상기 가변 단권변압기의 가변탭에 연결되어 있는 직렬 변압기, 상기 입력단과 상기 출력단 사이에 병렬 연결되어 있는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방법으로서, 상기 부하에 대한 측정 전압을 획득하는 측정 전압 획득단계, 상기 측정 전압과 임계 전압을 비교하는 전압 비교단계 및 상기 측정 전압과 상기 임계 전압 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가변 단권변압기의 가변탭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부하로 공급되는 출력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전압 안정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압 안정화 단계에서는, 상기 측정 전압이 상기 임계 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기 가변탭의 위치를 중간점의 하방으로 조정하여 상기 출력 전압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압 안정화 단계에서는, 상기 측정 전압이 상기 임계 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가변탭의 위치를 중간점의 상방으로 조정하여 상기 출력 전압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임계 전압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값이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압은 교류 전압이고, 상기 출력 전압은 철도차량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류전기철도의 급전 말단에 설치되어 철도 차량에 공급되는 전압을 저비용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는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변형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실시간 제어를 통해 철도 차량에 공급되는 전압이 최저 전압 이하로 강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철도 차량의 운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방법을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가변탭(variable tab)의 이동에 따라 출력전압이 변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는 직렬 변압기(10), 가변 단권변압기(20) 및 제어기(30)를 포함한다.
상 변환 (Phase shift) 변압기는 병렬변압기과 직렬변압기로 구성되며 병렬과 직렬변압기의 전압 위상을 이용하고 직렬변압기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 변환을 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는, 상 변환 변압기를 이용하여 병렬과 직렬변압기의 전압이 같은 위상을 갖고 있을 경우 가변 단권변압기(20)를 병렬변압기로 사용하여 전압을 가감함으로써 부하측 전압을 안정화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구성요소들 및 이들 간의 상호 작용을 설명한다.
직렬 변압기(10)는 1차코일과 2차코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2차코일은 입력 전압이 공급되는 입력단과 부하에 연결된 출력단 사이에 렬 연결되는 한편, 상기 1차 코일의 일측단은 가변 단권변압기의 중간점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1차 코일의 다른 일측단은 상기 가변 단권변압기의 가변탭에 연결되어 있다.
가변 단권변압기(20)는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병렬 연결되어 있다. 단권변압기는 1차코일과 2차코일의 일부분이 공통으로 되어있는 변압기로서, 단권변압기의 단자 b가 권선에 접속되는 점을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해두면, 일정한 전압의 전원에서 가변전압을 끌어낼 수 있는 가변 단권전압기로 동작한다.
제어기(30)는 부하에 대한 측정 전압과 임계 전압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가변 단권변압기(20)의 가변탭의 위치를 조정하여 부하로 공급되는 출력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에서, 가변 단권변압기(20)의 가변탭의 위치가 중간점에 위치하면, 병렬변압기인 가변 단권변압기(20)의 전압은 영이 된다.
하나의 예로, 제어기(30)는, 측정 전압이 임계 전압보다 작은 경우, 가변탭의 위치를 중간점의 하방으로 조정하여 출력 전압을 높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기(30), 측정 전압이 임계 전압보다 큰 경우, 가변탭의 위치를 중간점의 상방으로 조정하여 출력 전압을 낮추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 전압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값이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값일 수 있고, 입력 전압은 교류 전압이고, 출력 전압은 철도차량에 공급되는 전압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변탭(variable tab)의 이동에 따라 출력전압이 변동되는 원리를 도 3을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VS가 - 일 경우의 전압 페이저 도(phaser diagram)이다.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출력 전압(VO)는 입력 전압(VI)과 직렬변압기 전압(VS)의 합이 된다.
[수학식 1]
VO = VI + VS
제어기(30)의 제어에 의해, 가변 단권변압기(20)의 가변탭의 위치가 중간점의 상방으로 조정되면, 전류가 병렬변압기인 가변 단권변압기(20)에 역전류를 흘려 병렬변압기의 전압이 - 가 되어 VS는 - 가 되고, 이에 따라 출력 전압(VO)이 감소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개시된 예와는 반대로, 가변 단권변압기(20)의 가변탭의 위치가 중간점의 하방으로 조정되면, 출력전압(VO)은 +가 된다.
도 2에 개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방법은 도 1에 개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 구조를 전제로 한 것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방법은 입력 전압이 공급되는 입력단과 부하에 연결된 출력단 사이에 2차 코일이 직렬 연결되고, 1차 코일의 일측단은 가변 단권변압기의 중간점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1차 코일의 다른 일측단은 상기 가변 단권변압기의 가변탭에 연결되어 있는 직렬 변압기(10),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병렬 연결되어 있는 가변 단권변압기(20)를 이용하여 출력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방법이다.
상 변환 (Phase shift) 변압기는 병렬변압기과 직렬변압기로 구성되며 병렬과 직렬변압기의 전압 위상을 이용하고 직렬변압기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 변환을 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는, 상 변환 변압기를 이용하여 병렬과 직렬변압기의 전압이 같은 위상을 갖고 있을 경우 가변 단권변압기(20)를 병렬변압기로 사용하여 전압을 가감함으로써 부하측 전압을 안정화시킨다.
직렬 변압기(10)는 입력 전압이 공급되는 입력단과 부하에 연결된 출력단 사이에 2차 코일이 직렬 연결되고, 1차 코일의 일측단은 가변 단권변압기의 중간점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1차 코일의 다른 일측단은 상기 가변 단권변압기의 가변탭에 연결되어 있으며, 가변 단권변압기(20)는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병렬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가변 단권변압기(20)의 가변탭의 위치가 중간점에 위치하면, 병렬변압기인 가변 단권변압기(20)의 전압은 영이 된다.
먼저, 측정 전압 획득단계(S10)에서는, 부하에 대한 측정 전압을 획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측정 전압은 부하에 연결된 전압 측정기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단계 S20에서는, 획득된 측정 전압값을 제어기(30)로 실시간 전달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전압 비교단계(S30)에서는, 제어기(30)가 측정 전압과 임계 전압을 비교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전압 안정화 단계(S40)에서는, 제어기(30)가 측정 전압과 임계 전압 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가변 단권변압기(20)의 가변탭의 위치를 조정하여 부하로 공급되는 출력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전압 안정화 단계(S40)는 단계 S410, 단계 S420, 단계 S430, 단계 S4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압 비교단계(S30)에서의 비교 결과, 측정 전압이 임계 전압보다 작은 경우 단계 S410으로 전환된다.
단계 S410과 단계 S420은 측정 전압이 임계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 수행되며, 단계 S410과 단계 S420에서, 제어기(30)는, 가변탭의 위치를 중간점의 하방으로 조정하여 출력 전압을 상승시킨다.
전압 비교단계(S30)에서의 비교 결과, 측정 전압이 임계 전압보다 큰 경우 단계 S430으로 전환된다.
단계 S430과 단계 S440은 측정 전압이 임계 전압보다 큰 경우에 수행되며, 단계 S430과 단계 S440에서, 제어기(30)는, 가변탭의 위치를 중간점의 상방으로 조정하여 출력 전압을 하강시킨다.
예를 들어, 임계 전압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값이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값일 수 있고, 입력 전압은 교류 전압이고, 출력 전압은 철도차량에 공급되는 전압일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교류전기철도의 급전 말단에 설치되어 철도 차량에 공급되는 전압을 저비용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는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변형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실시간 제어를 통해 철도 차량에 공급되는 전압이 최저 전압 이하로 강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철도 차량의 운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10: 직렬 변압기
20: 가변 단권변압기
30: 제어기
S10: 측정 전압 획득단계
S30: 전압 비교단계
S40: 전압 안정화 단계

Claims (10)

  1.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로서,
    입력 전압이 공급되는 입력단과 부하에 연결된 출력단 사이에 2차 코일이 직렬 연결되고, 1차 코일의 일측단은 가변 단권변압기의 중간점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1차 코일의 다른 일측단은 상기 가변 단권변압기의 가변탭에 연결되어 있는 직렬 변압기;
    상기 입력단과 상기 출력단 사이에 병렬 연결되어 있는 가변 단권변압기; 및
    상기 부하에 대한 측정 전압과 임계 전압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가변 단권변압기의 가변탭의 위치를 중간점 상방이나 하방으로 조정하여 상기 부하로 공급되는 출력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측정 전압이 상기 임계 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기 가변탭의 위치를 중간점의 하방으로 조정하여 상기 출력 전압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측정 전압이 상기 임계 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가변탭의 위치를 중간점의 상방으로 조정하여 상기 출력 전압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전압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값이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압은 교류 전압이고, 상기 출력 전압은 철도차량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
  6. 입력 전압이 공급되는 입력단과 부하에 연결된 출력단 사이에 2차 코일이 직렬 연결되고, 1차 코일의 일측단은 가변 단권변압기의 중간점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1차 코일의 다른 일측단은 상기 가변 단권변압기의 가변탭에 연결되어 있는 직렬 변압기, 상기 입력단과 상기 출력단 사이에 병렬 연결되어 있는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방법으로서,
    상기 부하에 대한 측정 전압을 획득하는 측정 전압 획득단계;
    상기 측정 전압과 임계 전압을 비교하는 전압 비교단계; 및
    상기 측정 전압과 상기 임계 전압 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가변 단권변압기의 가변탭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부하로 공급되는 출력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전압 안정화 단계를 포함하는,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안정화 단계에서는,
    상기 측정 전압이 상기 임계 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기 가변탭의 위치를 중간점의 하방으로 조정하여 상기 출력 전압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안정화 단계에서는,
    상기 측정 전압이 상기 임계 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가변탭의 위치를 중간점의 상방으로 조정하여 상기 출력 전압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전압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값이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압은 교류 전압이고, 상기 출력 전압은 철도차량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방법.
KR1020160145158A 2016-11-02 2016-11-02 가변 단권 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 및 방법 KR101887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158A KR101887277B1 (ko) 2016-11-02 2016-11-02 가변 단권 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158A KR101887277B1 (ko) 2016-11-02 2016-11-02 가변 단권 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466A KR20180049466A (ko) 2018-05-11
KR101887277B1 true KR101887277B1 (ko) 2018-08-10

Family

ID=62185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158A KR101887277B1 (ko) 2016-11-02 2016-11-02 가변 단권 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277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486B1 (ko) 2004-09-02 2005-07-25 (주)에이엔피테크놀러지 순시 탭 전환 방식의 자동 전압 조절기
KR100752413B1 (ko) * 2005-12-05 2007-08-28 (주) 에스아이이 전력안정화장치
KR101101498B1 (ko) * 2009-04-13 2012-01-03 양영철 중성점에 근접한 전압탭을 구비한 교류전철용 단권변압기.
KR101098045B1 (ko) * 2009-05-14 2011-12-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기차용 교류 급전 시스템
KR20100132600A (ko) 2009-06-10 2010-12-20 (주)아토전기 자동 전압 조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466A (ko) 201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776582A3 (ru)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питани нагрузки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RU2393608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отоком мощности в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JP4101788B2 (ja) 電圧調整装置および電圧調整方法
US86393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ltage on a distribution feeder
US78168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voltage
JP2012182897A (ja) 配電系統の電圧調整装置および電力制御システム
JP5978088B2 (ja) 無効電力補償装置
JP5469624B2 (ja) 無効電力補償装置
CN111338411A (zh) 一种交流稳压器及交流供电设备
JP5939894B2 (ja) 配電系統の電圧調整装置、電圧調整方法および電力制御システム
KR100797054B1 (ko) 자동 전압조정 변압 회로
RU2585007C1 (ru) Устройств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реактивной мощности электрической сети (варианты)
KR101887277B1 (ko) 가변 단권 변압기를 이용한 전압 안정화 장치 및 방법
RU2720065C1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напряжения на подстанции при одностороннем питании сети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с нерегулируемой установкой компенсации реактивной мощности
US20060082350A1 (en) 3-Phase electronic tap changer commutation and device
JP5917950B2 (ja) 配電線の電圧調整方法および電圧調整器
US9557753B2 (en) Method for regulating the voltage of a transformer
KR102158490B1 (ko) 직류 전기철도 차량집전전압 제어장치
RU224560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упенчат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яжения
US20230275524A1 (en) An apparatus for regulating the voltage delivered to a load
CN201281825Y (zh) 隔离式无触点交流稳压器
KR200352461Y1 (ko) 자동역률조정 기능이 부가된 전기 절감장치
Sen et al. Fundamental concepts of regulating distribution system voltages
CN110880769B (zh) 静止无功补偿控制装置及系统
McFetridge How to reduce operations on load tap changers at distribution substation transfor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