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497B1 - 바이스 - Google Patents

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497B1
KR101886497B1 KR1020160077169A KR20160077169A KR101886497B1 KR 101886497 B1 KR101886497 B1 KR 101886497B1 KR 1020160077169 A KR1020160077169 A KR 1020160077169A KR 20160077169 A KR20160077169 A KR 20160077169A KR 101886497 B1 KR101886497 B1 KR 101886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gear
movable
fixed
workpiece
v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3234A (ko
Inventor
김태구
Original Assignee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20160077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497B1/ko
Priority to PCT/KR2016/010698 priority patent/WO2017200150A1/ko
Publication of KR20170143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3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02Vices with slid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24Details, e.g. jaws of special shape, slideways
    • B25B1/2405Construction of the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24Details, e.g. jaws of special shape, slideways
    • B25B1/2484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24Details, e.g. jaws of special shape, slideways
    • B25B1/2489Slide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작물을 바이스에 물리기 용이하고, 물린 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는, 판상으로 지면을 지지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홈부, 상기 베이스부 상부 일측에 마련되어 공작물을 지지하는 고정조부, 상기 베이스부 상부 타측에 마련되는 지지브라켓부, 상기 지지브라켓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레일홈부를 따라 이동하고, 일단부가 상기 고정조부와 맞물리는 형태로 상기 공작물을 고정하는 가동조부, 상기 지지브라켓부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가동조부를 고정하는 락킹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는, 가동척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는, 공작물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바이스{Vise}
본 발명은 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작물을 바이스에 물리기 용이하고, 물린 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이스는 고정되어 있는 고정척 및 슬라이딩 되는 가동척이 마련되어, 상기 고정척 및 가동척 사이에 공작물을 물릴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바이스는 가동척을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나사형태로 조이거나 푸는 형태로 상기 가동척을 움직였는데, 이는 공작물의 두께가 크게 다를 경우 많은 나사회전을 통해 상기 가동척을 이동시켜야 하므로 작업의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바이스장치'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5364호에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5364호 (2016.05.2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동척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바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작물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바이스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는, 판상으로 지면을 지지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홈부, 상기 베이스부 상부 일측에 마련되어 공작물을 지지하는 고정조부, 상기 베이스부 상부 타측에 마련되는 지지브라켓부, 상기 지지브라켓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레일홈부를 따라 이동하고, 일단부가 상기 고정조부와 맞물리는 형태로 상기 공작물을 고정하는 가동조부, 상기 지지브라켓부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가동조부를 고정하는 락킹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는, 가동척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는, 공작물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에서 고정척 및 가동척이 맞물려 졌을 때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의 A-A'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락킹부를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고정톱니부와 제 1 랙기어의 톱니가 맞물리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 지면을 지지하는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홈부(20), 상기 베이스부(10) 상부 일측에 마련되어 공작물을 지지하는 고정조부(30), 상기 베이스부(10) 상부 타측에 마련되는 지지브라켓부(40), 상기 지지브라켓부(40)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레일홈부(20)를 따라 이동하고, 일단부가 상기 고정조부(30)와 맞물리는 형태로 상기 공작물을 고정하는 가동조부(50), 상기 지지브라켓부(40)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가동조부(50)를 고정하는 락킹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베이스부(10)는, 판상으로 지면을 지지한다.
상기 베이스부(10)는, 금속판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태로 구성되거나, 양측으로 지지대가 더 마련되어, 지면과 2점 이상의 추가 접점을 형성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레일홈부(20)는, 상기 베이스부(10)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일홈부(2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이 마련된다.
상기 홈을 따라 하기의 가동조부(50)가 전방 및 후방으로 회동 가능하다.
다음으로, 고정조부(30)는, 상기 베이스부(10) 상부 일측에 마련되어 공작물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조부(30)는, 지면에 수직하게 면이 형성되는 고정척(31)이 마련된다.
상기 고정척(31)과 하기의 가동척(51) 사이에 공작물을 위치시켜 고정한다.
상기 고정척(31)은 상기 공작물을 효과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거나 톱니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조부(30)는, 측면으로 관통하는 고정홀(32)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홀(32)은 철근 등과 같이 길이가 형성되는 공작물을 거치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지브라켓부(40)는, 상기 베이스부(10) 상부 타측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브라켓부(4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하기의 가동조부(50)가 삽입된다.
하기의 가동조부(50)는, 상기 지지브라켓부(40)를 기준으로 지지하여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상기 지지브라켓부(40)의 내부 양측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기어(70)가 마련된다.
상기 피니언기어(70)는, 지면에 평행하고, 하기의 가동조부(50)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회전축이 형성되어, 하기의 제 2 랙기어(53)와 맞물려지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피니언기어(70)는, 중심축 상에 레버가 삽입될 수 있는 레버홀(71)이 마련된다.
상기 레버를 상기 레버홀(71)에 삽입하여 회동시키면, 상기 피니언기어(70)가 회전하여 하기의 가동조부(50)를 전방 및 후방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
상기 레버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공작물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의 고정척(31) 및 하기의 가동척(51)의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로 하기의 가동조부(50)를 신속히 슬라이딩 시킨 후, 보다 강하게 공작물을 압착하기 위해 상기 레버홀(71)에 레버를 삽입 후, 회전시키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버는 다양한 형태의 렌치, 드라이버 등 사용하기 용이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레버홀(71)은 상기 레버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가동조부(50)는, 상기 지지브라켓부(40)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레일홈부(20)를 따라 이동하고, 일단부가 상기 고정조부(30)와 맞물리는 형태로 상기 공작물을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동조부(50)의 일단부면은 가동척(51)이 마련되어, 상기 고정척(31)과 맞물리게 형성된다.
상기 가동척(51)은 상기 고정척(31)과 마찬가지로, 공작물을 효과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거나 톱니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조부(50)는,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톱니가 형성되는 제 1 랙기어(52)와 상부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톱니가 형성되는 제 2 랙기어(53)가 구성된다.
상기 제 1 랙기어(52)는, 하기의 고정톱니부(61)와 맞물려질 수 있게 구성되어, 상기 가동조부(50)를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 2 랙기어(53)는, 상기 피니언기어(70)와 맞물려지게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레버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70)가 회전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가동조부(50)를 전방 및 후방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조부의 타단부는, 손잡이부(54)가 마련된다.
상기 손잡이부(54)는, 사용자가 상기 가동조부(50)를 잡고 신속하게 이동시키기 편리하도록 잡기 용이한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54)가 구성됨으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가동조부(50)를 간단히 신속하게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락킹부(60)는, 상기 지지브라켓부(40) 상부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가동조부(50)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락킹부(60)는, 고정톱니부(61), 회전레버부(62), 너트브라켓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고정톱니부(6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브라켓부(40)의 상부 내측에 수용되는 형태로 마련되는데, 일측이 경사진 형태의 사각형상으로 경사진 일측면에 톱니가 형성된다.
상기 톱니는, 상기 제 1 랙기어(52)와 맞물려지고, 상기 가동조부(50)의 일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의 사선으로 위치한다.
상기 고정톱니부(61)가, 상기 사선을 따라 전후 회동되어, 상기 제 1 랙기어(52)와 맞물려짐으로 인해, 상기 가동조부(50)가 상기 고정조부(3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톱니부(61)와 상기 제 1 랙기어(52)의 톱니는 직각삼각형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직각삼각형의 수직한 면이 서로 맞물려지는 형태로 상기 고정조(31) 및 가동조(51)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제한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고정톱니부(61)와 상기 제 1 랙기어(52)는, 도 6의 (a), (b), (c)에서와 같이, 상기 톱니가 완전히 맞물리지 않더라도 수직한 면끼리만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고정조(31) 및 가동조(51)의 간격이 벌어지는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이스에 공작물을 물린 후, 상기 락킹부(60)를 이용하여 고정 시키면, 상기 톱니 간격에 따른 유격이 없어져 백래쉬(backlash) 없이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레버부(62)는, 상기 고정톱니부(61)의 타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형상으로 연결되고 단부에 손잡이부가 마련된다.
상기 회전레버부(62)는, 상기 고정톱니부(61)의 타측에 유격이 있게 연결되어 상기 회전레버부(62)가 회전해도 상기 고정톱니부(61)는 회전하지 않도록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너트브라켓부(63)는, 상기 회전레버부(62)와 고정톱니부(61)의 사이에 고정되게 마련되어, 상기 회전레버부(62)가 회전 시, 상기 나사산에 의해, 상기 고정톱니부(61)가 상기 사선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레버부(62)의 봉형상에 형성된 나사산이 상기 너트브라켓부(63)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레버부(62)를 회전시키면, 고정되어 있는 상기 너트브라켓부(63)에 의해, 상기 회전레버부(62)가 상기 사선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톱니부(61)가 상기 사선으로 움직이며 상기 제 1 랙기어(52)와 맞물리거나 해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는, 상기 가동척(51) 및 고정척(31)의 간격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조부(50)에 힘을 가하여 슬라이딩 시킨다.
다음으로, 공작물을 상기 가동척(51) 및 고정척(31)의 사이에 위치시킨 후, 상기 가동척(51) 및 고정척(31)의 간격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조부(50)에 힘을 가하여 슬라이딩 시킨다.
상기 가동조부(50)는 사용자가 손으로 신속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상기 가동조부(50)를 슬라이딩 시켜 상기 공작물을 물린 후, 보다 강하게 압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레버홀(71)에 레버를 삽입 후, 회전하여 상기 가동척(51) 및 고정척(31)의 간격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조부(50)를 움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버홀(71)에 레버를 삽입 후, 회동시키면, 상기 피니언기어(70)가 회전하게 되면서 맞물려 있는 상기 제 2 랙기어(53)에 의해 상기 가동조부(50)가 슬라이딩 된다.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홀(71)에 삽입 및 해제가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공작물이 상기 고정척(31) 및 가동척(51)의 사이에 고정된 후에는 상기 락킹부(60)를 이용하여 상기 가동조부(50)가 슬라이딩 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레버부(62) 손잡이의 회전을 통해, 상기 회전레버부(62)가 상기 사선 방향으로 회동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고정톱니부(61)와 상기 제 1 랙기어(52)에 맞물리게 되어, 상기 가동척(51) 및 고정척(31)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조부(50)가 슬라이딩 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베이스부 20 : 레일홈부
30 : 고정조부 31 : 고정척
32 : 고정홀 40 : 지지브라켓부
50 : 가동조부 51 : 가동척
52 : 제 1 랙기어 53 : 제 2 랙기어
54 : 손잡이부 60 : 락킹부
61 : 고정톱니부 62 : 회전레버부
63 : 너트브라켓부 70 : 피니언기어
71 : 레버홀

Claims (3)

  1. 판상으로 지면을 지지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홈부;
    상기 베이스부 상부 일측에 마련되어 공작물을 지지하는 고정조부;
    상기 베이스부 상부 타측에 마련되는 지지브라켓부;
    상기 지지브라켓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레일홈부를 따라 이동하고, 일단부가 상기 고정조부와 맞물리는 형태로 상기 공작물을 고정하는 가동조부;
    상기 지지브라켓부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가동조부를 고정하는 락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조부는,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톱니가 형성되는 제 1 랙기어;
    상부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톱니가 형성되는 제 2 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브라켓부의 내부 양측면에는,
    지면에 평행하고, 상기 가동조부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회전축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랙기어와 맞물려지는 피니언기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는,
    중심축 상에 레버가 삽입될 수 있는 레버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일측이 경사진 형태의 사각형상으로 경사진 일측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랙기어와 맞물려지고, 상기 가동조부의 일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의 사선으로 위치하여 상기 사선을 따라 전후 회동되는 고정톱니부;
    상기 고정톱니부의 타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형상으로 연결되고 단부에 손잡이부;가 마련되는 회전레버부;
    상기 회전레버부와 고정톱니부의 사이에 너트 형태로 고정되어, 상기 회전레버부의 회전을 통해, 상기 고정톱니부가 상기 사선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너트브라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스.
KR1020160077169A 2016-05-17 2016-06-21 바이스 KR101886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169A KR101886497B1 (ko) 2016-06-21 2016-06-21 바이스
PCT/KR2016/010698 WO2017200150A1 (ko) 2016-05-17 2016-09-23 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169A KR101886497B1 (ko) 2016-06-21 2016-06-21 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3234A KR20170143234A (ko) 2017-12-29
KR101886497B1 true KR101886497B1 (ko) 2018-08-07

Family

ID=60939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169A KR101886497B1 (ko) 2016-05-17 2016-06-21 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4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521B1 (ko) * 2020-08-04 2022-11-09 한국덴끼고교 주식회사 시편 절단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9404A1 (en) 2008-05-21 2009-11-26 Michael Curt Stark Precision sine vise
US20140061988A1 (en) 2012-08-30 2014-03-06 Emerson Electric Co. Integrated foot vise and wrench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63819A (en) * 1920-01-17 1920-12-28 Simerson Adjusting mechanism for wrenches and the like
US5823076A (en) * 1996-05-16 1998-10-20 Binkowski; Kazimierz M. Adjustable, ratcheting gear wrench for pipes and bolts
KR101625364B1 (ko) 2015-12-16 2016-05-30 권석보 바이스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9404A1 (en) 2008-05-21 2009-11-26 Michael Curt Stark Precision sine vise
US20140061988A1 (en) 2012-08-30 2014-03-06 Emerson Electric Co. Integrated foot vise and wren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3234A (ko) 2017-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5001B2 (ja) ワークのクランプにおける治具部品
JP6875002B2 (ja) ワークのクランプにおける治具部品
CN103786052B (zh) 一种快速装夹自锁式平口钳
JP5487514B2 (ja) モンキーレンチ
US3575405A (en) Parallel bar clamping device
DE102009047225B4 (de) Werkzeugträgerstruktur mit einstellbarer Endanordnung
KR101555332B1 (ko) 바이스의 급속클램핑장치
KR101886497B1 (ko) 바이스
US9308626B2 (en) Clamp with ratchet device
US9744650B2 (en) Drive assembly for use with the handle grip of a clamping device
US2752960A (en) Work-holding clamps for gauges
JP5537276B2 (ja) 形状倣い機構
KR101599513B1 (ko) 원 웨지 센터링 유압척
ATE522425T1 (de) Arretiervorrichtung für eine verstellbare lenksäule
US20160039074A1 (en) Moving Structure of a Movable Jaw for an Adjustable Wrench
KR20160061099A (ko) 멀티 클램프
US2373637A (en) Turret slide clamp
KR101855704B1 (ko) 바이스
JP5211142B2 (ja) レンチ
KR101375533B1 (ko) 멀티 바이스
JP2011156620A (ja) アジャスタブルレンチ
TWM506677U (zh) 扳手
RU145743U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протягивания отверстия в гаечном ключе
CN205363640U (zh) 一种可快速锁紧的桌钳
US718972A (en) Mortising-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