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704B1 - 바이스 - Google Patents

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704B1
KR101855704B1 KR1020160077164A KR20160077164A KR101855704B1 KR 101855704 B1 KR101855704 B1 KR 101855704B1 KR 1020160077164 A KR1020160077164 A KR 1020160077164A KR 20160077164 A KR20160077164 A KR 20160077164A KR 101855704 B1 KR101855704 B1 KR 101855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hucking
latch
fixed
l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3231A (ko
Inventor
김태구
Original Assignee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20160077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704B1/ko
Priority to PCT/KR2016/010698 priority patent/WO2017200150A1/ko
Publication of KR20170143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3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02Vices with slid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22Arrangements for turning or tilting 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24Details, e.g. jaws of special shape, slideways
    • B25B1/2405Construction of the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24Details, e.g. jaws of special shape, slideways
    • B25B1/2484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24Details, e.g. jaws of special shape, slideways
    • B25B1/2489Slide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그부분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편리하게 작업물을 고정할 수 있는 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 및 일단부가 개방된 바형상으로 마련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고정부재,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ㅇ하부 및 일단부가 개방된 바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내부에 수용되며, 일단부가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타단부가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측면을 관통하는 장홀 형태의 가이드홀이 마련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조(jaw) 형태로 척킹이 가능한 척킹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는,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는, 작업물을 파지하는 지그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바이스{Vise}
본 발명은 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그부분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편리하게 작업물을 고정할 수 있는 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바이스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하부에 다른 물체를 받치는 형태로 높이 조절을 실시하여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작업물을 고정할 때에는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회전하는 레버를 이용하여 나사 조임을 통해 작업물을 고정하였으나 크기가 다양한 작업물을 고정할 때에는 나사 조임에 의한 가동범위가 커져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바이스장치'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5364호에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공작물의 초기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이후에 견고하게 공작물을 파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으로 높이 조절이 용이하지 않고, 공작물의 파지를 위한 지그 간격조절을 위해 블록이 추가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5364호 (2016.05.2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바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물의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그의 간격조절이 용이하며 견고하게 파지되는 바이스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 및 일단부가 개방된 바형상으로 마련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고정부재,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ㅇ하부 및 일단부가 개방된 바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내부에 수용되며, 일단부가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타단부가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측면을 관통하는 장홀 형태의 가이드홀이 마련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조(jaw) 형태로 척킹이 가능한 척킹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는,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는, 작업물을 파지하는 지그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의 기본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를 사용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에서 작업물을 척킹(chucking)하기 위해 훅조 및 래치조의 간격을 벌린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바이스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척킹부재를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의 높이를 높인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높이를 높인 바이스에서 작업물을 척킹(chucking)하기 위해 훅조 및 래치조의 간격을 벌린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랙기어 및 제 2 랙기어를 상세히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락킹부를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고정톱니부와 제 1 랙기어의 톱날이 맞물리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 및 일단부가 개방된 바형상으로 마련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고정부재(100),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ㅇ하부 및 일단부가 개방된 바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재(100)의 내부에 수용되며, 일단부가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타단부가 상기 고정부재(100)의 타단부와 힌지(10)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측면을 관통하는 장홀 형태의 가이드홀(210)이 마련되는 연결부재(200), 상기 연결부재(2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홀(210)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조(jaw) 형태로 척킹이 가능한 척킹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고정부재(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 및 일단부가 개방된 바형상으로 마련되어 지면에 안착된다.
상기 고정부재(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의 연결부재(200) 및 척킹부재(300)가 수용된 상태로 보관이 용이하게 구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로 사용 시, 안정적으로 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지면과 안정적인 접촉면을 형성하도록 하방으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00)는, 제 1 거치부(110), 제 2 거치부(120), 제 3 거치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 1 거치부(110) 내지 제 3 거치부(130)에 의해, 하기의 척킹부재(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 1 거치부(110)는, 상기 고정부재(100)의 일단부에 지면과 수평한 형태의 노치형태로 마련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200) 및 척킹부재(300)가 높이가 낮은 상태로 지면과 평행하게 구성되어 보관이 용이하도록 부피가 최소화 되게 구성될 때, 하기의 제 2 걸림핀(323)이 걸리도록 마련된다.
하기의 제 2 걸림핀(323)이 상기 제 1 거치부(110)에 거치됨으로 인해, 하기의 척킹부재(300) 및 연결부재(200)가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거치부(120)는,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형성되는 노치 형태로 마련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의 척킹부재(300)의 일단부의 높이를 높였을 때, 하기의 제 2 걸림핀(323)이 거치되도록 마련된다.
이로 인해, 하기의 척킹부재(300)의 타단부가 전ㅇ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고정되어 상기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거치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척킹부재(300)의 높이를 높였을 때, 상기 척킹부재(300)의 타단부가 삽입 거치될 수 있게 하부에 홈 형태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하기의 척킹부재(300)의 타단부가 삽입 또는 거치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거치부(130)에 의해, 하기의 척킹부재(300)의 전ㅇ후방향으로의 회동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연결부재(2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ㅇ하부 및 일단부가 개방된 바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재(100)의 내부에 수용되며, 일단부가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타단부가 상기 고정부재(100)의 타단부와 힌지(10)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측면을 관통하는 장홀 형태의 가이드홀(210)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홀(210)은, 하기의 제 1 걸림핀(322)이 걸쳐져 이동하며, 상기 연결부재(200)의 회동과 함께 하기의 척킹부재(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제 1 걸림부(211), 제 2 걸림부(212), 제 3 걸림부(2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 1 걸림부(211)는, 일단부에 상방으로 형성되는 노치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걸림부(211)에 하기의 제 1 걸림핀(322)이 수용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200) 및 하기의 척킹부재(300)의 일단부가 상방으로 움직여 높이를 높인 상태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걸림부(212)는, 중간 일지점에서 하방으로 형성되는 노치가 마련된다.
상기 제 2 걸림부(212)에 하기의 제 1 걸림핀(322)이 수용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200) 및 하기의 척킹부재(300)가 지면과 평행하며, 낮게 위치된 상태에서 바이스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걸림부(213)는, 타단부에서 하방으로 형성되는 노치가 마련된다.
상기 제 3 걸림부(213)에 하기의 제 1 걸림핀(322)이 수용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00)와 연결부재(200) 및 하기의 척킹부재(300)가 밀착된 상태로 부피가 최소화 되어 보관이 용이한 상태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척킹부재(300)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홀(210)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조(jaw) 형태로 척킹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척킹부재(300)는, 가공 작업하기 위한 작업물을 고정할 수 있는 부분으로, 슬라이딩훅부(310), 고정래치부(320), 락킹부(330), 피니언기어(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슬라이딩훅부(310)는, 'ㄱ'형상으로, 일단에 톱니가 형성되는 훅조(311)가 마련되고, 타단 일측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히 형성되는 제 1 랙기어(312) 및 제 2 랙기어(313)가 마련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 일지점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장홀 형태의 척킹가이드홀(314)이 마련된다.
상기 제 1 랙기어(312)는 하기의 고정톱니부(331)와 맞물릴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하기의 락킹부(330)에 의해, 상기 훅조(311)와 하기의 래치조(321)의 간격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 랙기어(313)는, 상기의 피니언기어(340)와 맞물릴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훅조(311)와 하기의 래치조(321)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훅조(311)와 하기의 래치조(321)의 간격을 조절하거나 고정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한다.
또한, 상기 척킹가이드홀(314)은, 하기의 제 1 걸림핀(322)이 관통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훅부(310)의 가동범위를 제한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래치부(320)는, 상기 슬라이딩훅부(310)의 타단이 삽입 수용되고, 일단에 상기 훅조(311)와 맞물리는 톱니 형태의 래치조(321)가 형성된다.
또한, 일단 측면에 돌기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척킹가이드홀(314) 및 상기 가이드홀(210)에 삽입되는 제 1 걸림핀(322) 및 타단에 상기 제 1 걸림핀(322)과 평행하게 돌기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거치부(110), 제 2 거치부(120), 제 3 거치부(130)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제 2 걸림핀(323)이 마련된다.
다음으로, 상기 락킹부(330)는, 상기 고정래치부(320)의 타단 일측 삽입된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제 1 랙기어(312)와 맞물리는 형태로 상기 훅조(311) 및 래치조(321)의 간격을 고정할 수 있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락킹부(330)는, 고정톱니부(331), 회전레버부(332), 브라켓부(3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고정톱니부(331)는, 일면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사각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일면에 상기 제 1 랙기어(312)에 맞물려지는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래치조(321)의 타단부 방향으로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의 사선으로 위치하여 상기 사선을 따라 전후 회동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고정톱니부(331)가 상기와 같이 사선으로 회동됨으로 인해, 상기 제 1 랙기어(312)의 톱니와 보다 견고하게 맞물려질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톱니부(331)와 상기 제 1 랙기어(312)의 톱니는 직각 삼각형 형태로 구성되어, 수직한 톱날면이 서로 맞물려지는 형태로 상기 훅조(311) 및 래치조(321)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제한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고정톱니부(331)와 상기 제 1 랙기어(312)는, 도 9의 (a), (b), (c)에서와 같이, 상기 톱니가 완전히 맞물리지 않더라도 수직한 면끼리만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훅조(311) 및 래치조(321)의 간격이 벌어지는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이스에 작업물을 물린 후, 상기 락킹부(330)를 통해 고정 시키면, 상기 톱니 간격에 따른 유격이 없어져 백래쉬(backlash) 없이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레버부(332)는, 상기 고정톱니부(331)의 타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형상으로 연결되고 단부에 손잡이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회전레버부(332)는, 상기 고정톱니부(331)의 타측에 유격이 있게 연결되어 상기 회전레버부(332)의 손잡이를 회전시켜도 상기 고정톱니부(331)는 회전하지 않도록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브라켓부(333)는, 내주면에 상기 회전레버부의 봉형상을 수용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레버부(332)와 고정톱니부(331)의 사이에 고정 마련된다.
상기 회전레버부(332)를 회전시키면, 상기 나사산에 의해, 상기 브라켓부(333)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레버부(332)가 상기 사선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고정톱니부(331)가 상기 회전레버부(332)를 따라 상기 사선방향으로 회동된다.
다음으로, 상기 피니언기어(340)는, 상기 고정래치부(320)의 타단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 2 랙기어(313)에 맞물려 상기 슬라이딩훅부(310)의 슬라이딩에 의해 회전 가능한 형태로 마련된다.
이때, 상기 피니언기어(340)는, 중심축 상에 레버를 삽입하여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는 레버홀(341)이 더 마련되고, 상기 레버홀(341)에 의해, 선택적으로 레버를 이용하여 상기 훅조(311) 및 래치조(321)의 간격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버홀(341)에 레버를 삽입 후, 상기 레버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피니언기어(340)를 회전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편리하게 상기 슬라이딩훅부(310)를 슬라이딩 시켜 상기 훅조(311) 및 래치조(321)의 간격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장탈착이 용이한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레버홀(341) 역시 상기 레버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훅부(310)와 상기 고정래치부(320)의 타단부에는 스프링(350)이 마련되어, 보다 용이하게 상기 훅조(311) 및 래치조(321)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훅부(310)의 타단 및 상기 고정래치부(320)의 타단은 스프링(350)으로 연결되어, 상기 훅조(311) 및 래치조(321)의 간격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한다.
상기 슬라이딩훅부(310)에 상기 훅조(311) 및 래치조(321)의 간격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였다가 상기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350)에 의해, 상기 훅조(311) 및 래치조(321)의 간격이 줄어들어 상기 작업물을 용이하게 척킹(chucking)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는,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200)의 내부에 상기 척킹부재(300)가 수용되고, 상기 고정부재(100) 내부에 상기 연결부재(200)가 수용되어 있는 상태로 보관된다.
이때, 상기 훅조(311) 및 래치조(321)는 상기 스프링(350)에 의해 맞물려진 상태이고, 상기 제 1 걸림핀(322)은 상기 제 3 걸림부(213)에 수용된다.
다음으로, 상기 바이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걸림핀(322)이 상기 제 2 걸림부(212)에 수용되도록 상기 척킹부재(300)를 이동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훅부(310)를 상기 훅조(311) 및 래치조(321)의 간격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 후, 상기 작업물을 상기 훅조(311) 및 래치조(321)의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훅부(310)는, 상기 훅조(311) 및 래치조(321)의 간격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힘을 가하여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레버를 상기 레버홀(341)에 삽입 후, 상기 피니언기어(340)를 회동시키는 형태로 상기 슬라이딩훅부(310)의 간격이 벌어지게 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작업물을 상기 훅조(311) 및 래치조(321)의 사이에 물린 후, 상기 슬라이딩훅부(310)에 가해지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350)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훅부(310)가 상기 훅조(311) 및 래치조(321)의 간격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작업물을 고정한다.
상기 작업물을 상기 바이스에 보다 강하게 물리도록 할 때에도 상기 레버홀(341)에 상기 레버를 삽입하여 상기 피니언기어(340)를 회동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상기 작업물을 상기 바이스에 물린 상태로 상기 슬라이딩훅부(310)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레버부(332)를 조이는 형태로 회동시켜 상기 고정톱니부(331)가 상기 제 1 랙기어(312)와 맞물리게 하여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척킹부재(300)의 높이를 높이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걸림핀(322)이 상기 제 1 걸림부(211)에 수용될 수 있도록 움직인 후, 상기 연결부재(200) 및 상기 척킹부재(300)의 일단부를 상향 이동시킨다.
상기 연결부재(200) 및 상기 척킹부재(300)의 일단부를 상향 이동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척킹부재(300)의 훅조(311) 및 래치조(321)의 위치가 높아지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200) 및 상기 척킹부재(300)의 일단부를 상향 이동시킨 후에는, 상기 척킹부재(300)의 타단부를 상기 제 3 거치부(130)에 거치시키고, 상기 제 2 걸림핀(323)을 상기 제 2 거치부(120)에 삽입시켜 고정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척킹부재(300)의 높이를 높인 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훅조(311) 및 래치조(321)의 간격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훅부(310)를 슬라이딩 시켜 상기 작업물을 물릴 수 있다.
상기 작업물을 물린 후, 강하게 조이거나 고정시키는 과정은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힌지 100 : 고정부재
110 : 제 1 거치부 120 : 제 2 거치부
130 : 제 3 거치부 200 : 연결부재
210 : 가이드홀 211 : 제 1 걸림부
212 : 제 2 걸림부 213 : 제 3 걸림부
300 : 척킹부재 310 : 슬라이딩훅부
311 : 훅조 312 : 제 1 랙기어
313 : 제 2 랙기어 314 : 척킹가이드홀
320 : 고정래치부 321 : 래치조
322 : 제 1 걸림핀 323 : 제 2 걸림핀
330 : 락킹부 331 : 고정톱니부
332 : 회전레버부 333 : 브라켓부
340 : 피니언기어 341 : 레버홀
350 : 스프링

Claims (7)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 및 일단부가 개방된 바형상으로 마련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고정부재;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ㅇ하부 및 일단부가 개방된 바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내부에 수용되며, 일단부가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타단부가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측면을 관통하는 장홀 형태의 가이드홀;이 마련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조(jaw) 형태로 척킹이 가능한 척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를 회동하여, 상기 척킹부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척킹부재는,
    'ㄱ'형상으로, 일단에 훅조;가 마련되고, 타단 일측에 나란히 형성되는 제 1 랙기어; 및 제 2 랙기어;가 마련되며, 타단 일지점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장홀 형태의 척킹가이드홀;이 마련되는 슬라이딩훅부;
    상기 슬라이딩훅부의 타단이 삽입 수용되고, 일단에 상기 훅조와 맞물리는 래치조;가 형성되며, 일단 측면에 돌기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척킹가이드홀에 삽입되는 제 1 걸림핀; 및 타단에 상기 제 1 걸림핀과 평행하게 돌기 형태로 돌출되는 제 2 걸림핀;이 마련되는 고정래치부;
    상기 고정래치부의 타단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랙기어와 맞물리는 형태로 상기 훅조 및 래치조의 간격을 고정할 수 있는 락킹부;
    상기 고정래치부의 타단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 2 랙기어에 맞물리는 형태로 회전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훅부의 타단 및 상기 고정래치부의 타단은 스프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훅조 및 래치조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훅부가 슬라이딩 되도록 탄성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스.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일단부에 상기 제 1 랙기어에 맞물려지는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래치조의 타단부 방향으로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의 사선으로 위치하여 상기 사선을 따라 전후 회동되는 고정톱니부;
    회전되는 레버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톱니부의 타단부에 나사 연결되는 회전레버부;
    상기 회전레버부와 고정톱니부의 사이에 너트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회전레버부의 회전을 통해, 나사 조임 및 풀림 형태로 상기 고정톱니부가 상기 사선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브라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스.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는,
    중심축상에 레버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레버홀;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일단부에 상방으로 노치가 형성되는 제 1 걸림부;
    중간 일지점에 하방으로 노치가 형성되는 제 2 걸림부;
    타단부에 하방으로 노치가 형성되는 제 3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스.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타단부에 지면과 수평한 형태의 노치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재 및 척킹부재가 지면과 평행할 시, 상기 제 2 걸림핀이 걸리도록 마련되는 제 1 거치부;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형성되는 노치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척킹부재의 높이를 높였을 때, 상기 제 2 걸림핀이 거치되는 제 2 거치부;
    상기 척킹부재의 높이를 높였을 때, 상기 척킹부재의 타단부가 삽입 거치될 수 있게 하부에 홈 형태로 마련되는 제 3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스.
KR1020160077164A 2016-05-17 2016-06-21 바이스 KR101855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164A KR101855704B1 (ko) 2016-06-21 2016-06-21 바이스
PCT/KR2016/010698 WO2017200150A1 (ko) 2016-05-17 2016-09-23 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164A KR101855704B1 (ko) 2016-06-21 2016-06-21 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3231A KR20170143231A (ko) 2017-12-29
KR101855704B1 true KR101855704B1 (ko) 2018-05-08

Family

ID=60939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164A KR101855704B1 (ko) 2016-05-17 2016-06-21 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7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9404A1 (en) 2008-05-21 2009-11-26 Michael Curt Stark Precision sine vise
US20140061988A1 (en) 2012-08-30 2014-03-06 Emerson Electric Co. Integrated foot vise and wrenc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9404A1 (en) 2008-05-21 2009-11-26 Michael Curt Stark Precision sine vise
US20140061988A1 (en) 2012-08-30 2014-03-06 Emerson Electric Co. Integrated foot vise and wren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3231A (ko) 2017-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96975A (en) Fast acting clamp
AU2012100325A4 (en) Portable Drill Press
US4309120A (en) Compound clamp
JP4908861B2 (ja) ワーク搬送装置
US6135435A (en) Woodworker's vise
KR101687512B1 (ko) 원터치 지그
JP5128361B2 (ja) バイス装置及び卓上丸鋸盤
US8528870B2 (en) Retaining device for stand for sawing machine
US20130306508A1 (en) Tool holder for holding multiple tools of different sizes
US8109494B1 (en) Workholding apparatus having a movable jaw member
WO2009137557A3 (en) Tool holder with ball clamping mechanism
KR101855704B1 (ko) 바이스
KR100971033B1 (ko) 퀵 조정형 파이프렌치
US20190202013A1 (en) Universal tool holder
US20090183585A1 (en) Adjusting distance's device using resiliently lead screw automatically
US10220502B2 (en) Angle stop combination and tool handle
US1208522A (en) Screw and rivet holder.
KR101768389B1 (ko) 렌치
FR2648378A1 (fr) Dispositif de presentation d'outils sur des broches de machines-outils
CN211638849U (zh) 一种自由导向焊接夹具
KR101886497B1 (ko) 바이스
KR101812413B1 (ko) 렌치
CN202592234U (zh) 快速松、紧无螺纹夹具
CN215880527U (zh) 便于调节的夹具
CN110919283A (zh) 一种自由导向焊接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