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389B1 - 렌치 - Google Patents

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389B1
KR101768389B1 KR1020160113770A KR20160113770A KR101768389B1 KR 101768389 B1 KR101768389 B1 KR 101768389B1 KR 1020160113770 A KR1020160113770 A KR 1020160113770A KR 20160113770 A KR20160113770 A KR 20160113770A KR 101768389 B1 KR101768389 B1 KR 101768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elastic
latch
slid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구
Original Assignee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20160113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389B1/ko
Priority to PCT/KR2016/010698 priority patent/WO201720015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10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 B25B13/12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the jaws being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10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 B25B13/12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the jaws being slidable
    • B25B13/20Arrangements for locking the jaws
    • B25B13/22Arrangements for locking the jaws by ratchet action or toothed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58Jaw attach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6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물의 척킹(chucking) 및 해제가 용이하고, 견고한 척킹(chucking)이 가능한 렌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렌치는, "ㄱ" 형상으로, 일단에 훅조가 마련되고, 타단 일측에 랙기어가 마련되는 슬라이딩훅부, 상기 슬라이딩훅부의 타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홀 형태의 제 1 탄성수용부, 상기 슬라이딩훅부의 타단 타측에 돌기 형태로 마련되는 탄성지지부, 상기 슬라이딩훅부의 타단이 삽입 수용되고, 일단부에 상기 훅조와 맞물리는 형태의 래치조가 형성되는 고정래치부, 상기 고정래치부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탄성지지부가 수용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제 2 탄성수용부, 단차가 형성된 일단부가 상기 제 1 탄성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 1 탄성수용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핀부, 상기 고정래치부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랙기어에 맞물려지는 형태로, 상기 슬라이딩훅부의 슬라이딩을 고정할 수 있는 훅고정부, 상기 고정래치부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핀부의 타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일측을 가압하면 상기 훅조 및 래치조의 간격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상기 핀부를 슬라이딩 시킬 수 있는 레버부, 상기 제 1 탄성수용부에 수용되어 일단부가 상기 핀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단차에 지지되는 제 1 스프링부 및 상기 제 2 탄성수용부에 수용되어 일단부가 상기 탄성지지부에 지지되는 제 2 스프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렌치는, 작업물을 용이하게 척킹 및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렌치는, 작업물을 견고하게 척킹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렌치{Wrench}
본 발명은 렌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물의 척킹(chucking) 및 해제가 용이하고, 견고한 척킹(chucking)이 가능한 렌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 렌치는 작업물을 척킹(chicking)하기 회전식 레버를 이용하여 조(jaw)의 간격을 조절하였다.
따라서 크기가 다양한 파이프를 작업할 때는 상기 조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회전식 레버의 조절이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펜치(pincers, pliers)와 같이 집게 형태로 마련되는 렌치의 경우는, 작업물을 척킹 및 해제하기가 용이하나 작업자의 손힘에 의존해 작업물을 척킹하므로 단단히 고정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작업물의 척킹 및 해제가 용이하고, 견고하게 척킹을 실시할 수 있는 렌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퀵 조정형 파이프렌치'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1033호에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작업물의 척킹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나, 작업물을 견고하게 고정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1033호 (2010.07.1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작업물의 척킹 및 해제가 용이한 렌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물을 견고하게 척킹할 수 있는 렌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렌치는, "ㄱ" 형상으로, 일단에 훅조가 마련되고, 타단 일측에 랙기어가 마련되는 슬라이딩훅부, 상기 슬라이딩훅부의 타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홀 형태의 제 1 탄성수용부, 상기 슬라이딩훅부의 타단 타측에 돌기 형태로 마련되는 탄성지지부, 상기 슬라이딩훅부의 타단이 삽입 수용되고, 일단부에 상기 훅조와 맞물리는 형태의 래치조가 형성되는 고정래치부, 상기 고정래치부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탄성지지부가 수용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제 2 탄성수용부, 단차가 형성된 일단부가 상기 제 1 탄성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 1 탄성수용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핀부, 상기 고정래치부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랙기어에 맞물려지는 형태로, 상기 슬라이딩훅부의 슬라이딩을 고정할 수 있는 훅고정부, 상기 고정래치부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핀부의 타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일측을 가압하면 상기 훅조 및 래치조의 간격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상기 핀부를 슬라이딩 시킬 수 있는 레버부, 상기 제 1 탄성수용부에 수용되어 일단부가 상기 핀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단차에 지지되는 제 1 스프링부 및 상기 제 2 탄성수용부에 수용되어 일단부가 상기 탄성지지부에 지지되는 제 2 스프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렌치는, 작업물을 용이하게 척킹 및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렌치는, 작업물을 견고하게 척킹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렌치의 기본상태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렌치에 작업물을 척킹한 상태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렌치에 작업물을 척킹 후, 견고하게 고정시킨 상태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렌치의 훅조 및 래치조가 완전히 맞물린 상태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렌치의 랙기어 및 랙고정부가 결합되는 결합부 상태를 달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렌치의 미세간격조절부에 의해 유격이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렌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 형상으로, 일단에 훅조(110)가 마련되고, 타단 일측에 랙기어(120)가 마련되는 슬라이딩훅부(100), 상기 슬라이딩훅부(100)의 타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홀 형태의 제 1 탄성수용부(130), 상기 슬라이딩훅부(100)의 타단 타측에 돌기 형태로 마련되는 탄성지지부(140), 상기 슬라이딩훅부(100)의 타단이 삽입 수용되고, 일단부에 상기 훅조(110)와 맞물리는 형태의 래치조(220)가 형성되는 고정래치부(200), 상기 고정래치부(200)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탄성지지부(140)가 수용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제 2 탄성수용부(210), 단차가 형성된 일단부가 상기 제 1 탄성수용부(130)에 수용되고, 상기 제 1 탄성수용부(13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핀부(300), 상기 고정래치부(200)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랙기어(120)에 맞물려지는 형태로, 상기 슬라이딩훅부(100)의 슬라이딩을 고정할 수 있는 훅고정부(400), 상기 고정래치부(200)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핀부(300)의 타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일측을 가압하면 상기 훅조(110) 및 래치조(220)의 간격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상기 핀부(300)를 슬라이딩 시킬 수 있는 레버부(500), 상기 제 1 탄성수용부(130)에 수용되어 일단부가 상기 핀부(300)의 일단부에 형성된 단차에 지지되는 제 1 스프링부(600) 및 상기 제 2 탄성수용부(210)에 수용되어 일단부가 상기 탄성지지부(140)에 지지되는 제 2 스프링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슬라이딩 훅부는, "ㄱ" 형상으로, 일단에 훅조(110)가 마련되고, 타단 일측에 랙기어(120)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ㄱ" 자 형상으로 마련되는 몸체에 일단에는 작업물(A)을 척킹 할 수 있는 조(jaw) 형태의 훅조(110)가 마련되고, 타단은 하기의 고정래치부(200)에 삽입될 수 있는 바 형태로 구성되어, 일측에 랙기어(120)가 마련된다.
상기 훅조(110)는, 하기의 래치조(220)와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척킹부를 형성하여, 파이프를 척킹(Chucking)할 수 있다.
상기 랙기어(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의 훅제동부와 맞물려져 상기 슬라이딩훅부(100)의 슬라이딩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훅부(100)의 타단부에는 하기의 제 1 탄성수용부(130)가 마련된다.
하기의 제 1 탄성수용부(130) 내부에 마련되는, 하기의 핀부(300) 및 제 1 스프링부(600)에 의해, 상기 훅조(110) 및 하기의 래치조(220)의 간격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훅부(100)가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훅부(100)가 슬라이딩 되는 과정은 하기에서 보다 자세히 언급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훅부(100)는, 상기 훅조(110) 및 래치조(220)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미세간격조절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미세간격조절부(1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물(A)을 상기 훅조(110) 및 하기의 래치조(220) 사이에 척킹 시, 미세하게 발생될 수 있는 유격을 줄이기 위한 구조로, 나사부재(151)와 너트부재(152)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훅부(100)는 하기의 고정래치부(200)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제 1 부재(101)와 상기 제 1 부재(101)의 단부에 결합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훅조(110)가 마련되는 제 2 부재(10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부재(101)는 나사산이 마련되는 관통홀이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재(151)가 상기 관통홀로 삽입된다.
상기 제 2 부재(102)의 단부에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결합되는 상기 나사부재(151)를 수용할 수 있는 너트부재(152)가 고정 마련된다.
이때, 상기 너트부재(152)는 나사산 없이, 상기 나사부재(151)가 빠지지 않으며 헛돌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 가능하다.
상기 나사부재(15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부재(102)의 관통홀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상기 제 1 부재(101)와 제 2 부재(102)의 간격이 줄어든다.
이에 따라, 상기 훅조(110) 및 래치조(220)의 간격이 미세하게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훅조(110) 및 래치조(220)의 사이에 상기 작업물(A)을 척킹 시, 발생될 수 있는 미세한 유격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탄성수용부(130)는, 상기 슬라이딩훅부(100)의 타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홀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탄성수용부(130)는, 하기의 제 1 스프링부(600) 및 핀부(300)를 수용하기 위한 부분으로, 단부의 내측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되어, 하기의 제 1 스프링부(600)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지지부(140)는, 상기 슬라이딩훅부(100)의 타단 타측에 돌기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탄성지지부(140)는, 하기의 제 2 탄성수용부(210) 내에서, 하기의 제 2 스프링부(700)에 의해 발생되는 탄성력을 상기 슬라이딩훅부(100)로 전달하기 위해 지지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제 2 스프링부(700)의 단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위한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고, 하기의 제 2 탄성수용부(210)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래치부(200)는, 상기 슬라이딩훅부(100)의 타단이 삽입 수용되고, 일단부에 상기 훅조(110)와 맞물리는 형태의 래치조(220)가 형성된다.
상기 래치조(220)는, 상기 훅조(110)와 마찬가지로, 작업물(A)을 척킹(chucking) 할 수 있는 조(jaw)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슬라이딩훅부(100)가 상기 래치조(220)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 인해, 상기 훅조(110) 및 래치의 간격을 조절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탄성수용부(210)는, 상기 고정래치부(200)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탄성지지부(140)가 수용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탄성수용부(210)는, 상기 탄성지지부(140)와 함께 하기의 제 2 스프링부(700)가 수용되고, 상기 탄성지지부(140)가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탄성수용부(210) 내부에 마련되는 상기 제 2 스프링부(700)는, 상기 제 2 탄성수용부(210)의 타단 내측에 형성되는 내벽과 상기 탄성지지부(14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훅조(110) 및 래치조(220)의 간격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훅부(100)가 슬라이딩 되도록 탄성력이 작용한다.
다음으로, 상기 핀부(300)는, 단차가 형성된 일단부가 상기 제 1 탄성수용부(130)에 수용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래치부(20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 1 탄성수용부(13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상기 핀부(300)는, 타단부가 하기의 제 2 레버지지부(530)와 힌지 결합되고, 하기의 손잡이부(510)를 가압 시, 하기의 제 1 레버지지부(520)와 제 2 레버지지부(530)의 연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훅부(100)의 타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상기 핀부(300)가 상기 슬라이딩훅부(100)의 타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하기의 제 1 스프링부(600)에 힘을 가하게 되어 상기 슬라이딩훅부(100)가 상기 훅조(110) 및 래치조(220)의 간격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다음으로, 상기 훅고정부(400)는, 상기 고정래치부(200)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랙기어(120)에 맞물려지는 형태로, 상기 슬라이딩훅부(100)의 슬라이딩을 고정할 수 있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훅고정부(400)는, 랙고정부(410), 고정가압부(420), 제 3 스프링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랙고정부(410)는, 상기 고정래치부(200)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딩훅부(10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가 낮아지는 형태의 사선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마련되고, 단부에 상기 랙기어(120)와 맞물려 질 수 있는 톱니가 형성된다.
상기 랙고정부(410)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랙고정부(410)의 톱니가 상기 랙기어(120)와 맞물려지면 상기 슬라이딩훅부(100)는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랙고정부(410)의 톱니와 상기 랙기어(120)의 톱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삼각형 형태로 구성되어, 수직한 톱날면이 서로 맞물려지는 형태로 상기 훅조(110) 및 래치조(220)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제한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랙고정부(410)와 상기 랙기어(120)는, 도 5의 (a), (b), (c)에서와 같이, 상기 톱니가 완전히 맞물리지 않더라도 수직한 면끼리만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훅조(110) 및 래치조(220)의 간격이 벌어지는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훅조(110) 및 래치조(220)의 사이에 작업물(A)을 물린 후, 상기 훅고정부(400)를 이용하여 고정 시키면, 상기 톱니 간격에 따른 유격이 없어져 백래쉬(backlash) 없이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가압부(420)는, 상기 고정래치부(200)의 타측에 지렛대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가압부(420)의 일단부가 상기 레버부(500)에 의해 들려지면 타단부가 상기 랙고정부(410)를 상기 랙기어(120)와 물려지는 방향의 사선으로 가압할 수 있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스프링부(430)는, 상기 고정가압부(420)의 내측에 토션스프링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고정가압부(420)의 일단부에 힘이 작용하지 않을 시, 상기 제 3 스프링부(430)에 의해, 상기 고정가압부(420)가 상기 랙고정부(410)에 압력을 가하지 않는 상태로 원위치 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레버부(500)는. 상기 고정래치부(200)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핀부(300)의 타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일측을 가압하면 상기 훅조(110) 및 래치조(220)의 간격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상기 핀부(300)를 슬라이딩 시킬 수 있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버부(500)는, 손잡이부(510), 제 1 레버지지부(520), 제 2 레버지지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손잡이부(510)는, 상기 고정래치부(200)의 타측에 지렛대 형태로 연결되어 일단을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510)의 일단을 가압 시, 타단이 들려지면서, 상기 고정가압부(420)에 힘을 가하여 상기 랙고정부(410)와 랙기어(120)가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510)의 타단부와 상기 고정가압부(420)의 일단부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기본으로 구성하여, 상기 손잡이부(510)가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동될 때에만 상기 고정가압부의 일단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510)가 기설정된 각도 이하로 회동될 시에는, 하기의 제 1 레버지지부(520)와 제 2 레버지지부(530)의 연동에 의해, 상기 핀부(300)만을 상기 슬라이딩훅부(100)의 타단부 방향으로 최대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 인해, 상기 손잡이부(510)의 일단부를 가압하면, 상기 손잡이부(510)의 타단부가 상기 고정가압부(420)의 일단부에 닿기 전 지점까지는, 하기의 제 1 레버지지부(520)와 제 2 레버지지부(530)의 연동에 의해, 상기 핀부(300)만을 상기 슬라이딩훅부(100)의 타단부 방향으로 최대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510)가 더 회동하여 상기 고정가압부(420)의 일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고정가압부(420)를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가압부(420)의 가압에 의해, 상기 랙고정부(410)가 상기 랙기어(120)와 맞물려져 상기 슬라이딩훅부(100)의 슬라이딩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 인해, 상기 손잡이를 가압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작업물(A)을 척킹 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손잡이의 가압을 해제하는 동작만으로 상기 작업물(A)의 척킹을 해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반복적으로 작업물(A)을 척킹 및 해제하는 파이프 조임 등과 같은 공정에 매우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510)가 상기 고정래치부(200)와 이루는 간격이 작업물의 크기와 비례하여 상기 훅조(110) 및 래치조(220)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줄어들지 않고, 상기 손잡이부(510)와 고정래치부(200) 사이의 간격이 크게 벌어지지 않더라도 상기 훅조(110) 및 래치조(220)의 간격이 최대로 벌어진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한손으로 작업하기에 용이하다.
상기 제 1 레버지지부(520)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래치부(200)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고,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타단부가 상기 손잡이부(510)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레버지지부(530)는, 일단부가 상기 제 1 레버지지부(520)의 타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핀부(300)의 타단부와 힌지 결합되게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510)를 가압 시, 상기 제 1 레버지지부(520)의 타단부는, 상기 고정래치부(200)의 내측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 제 1 레버지지부(520)의 타단부는, 상기 제 2 레버지지부(530)의 일단부와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 2 레버지지부(530)의 타단부는, 상기 핀부(300)의 타단부와 힌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핀부(300)는 길이방향으로만 슬라이딩 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손잡이부(510)의 가압을 통해, 상기 핀부(300)가 상기 슬라이딩훅부(100)의 타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스프링부(600)는, 상기 제 1 탄성수용부(130)에 수용되어 일단부가 상기 핀부(300)의 일단부에 형성된 단차에 지지될 수 있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스프링부(600)는, 상기 슬라이딩훅부(100)의 타단부 내측과 상기 핀부(300)의 일단부에 형성된 단차에 지지점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손잡이부(510)의 가압을 통해, 상기 핀부(300)가 상기 슬라이딩훅부(100)의 타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상기 제 1 스프링부(6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훅조(110) 및 래치조(220)의 간격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훅부(100)가 슬라이딩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스프링부(700)는, 상기 제 2 탄성수용부(210)에 수용되어 일단부가 상기 탄성지지부(140)에 지지될 수 있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스프링부(700)는, 상기 제 2 탄성수용부(210)의 타단부 내측과 상기 탄성지지부(140)에 지지점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탄성수용부(210)의 타단부 내측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2 스프링부(700)에 의해, 상기 탄성지지부(140)에 탄성력이 작용하여, 상기 훅조(110) 및 래치조(220)의 간격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훅부(100)가 슬라이딩 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스프링부(600)는, 상기 훅조(110) 및 래치조(220)의 간격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훅부(100)를 가동시킨다.
상기 제 2 스프링부(700)는, 상기 훅조(110) 및 래치조(220)의 간격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훅부(100)를 가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 1 스프링부(600)의 탄성력은, 상기 제 2 스프링부(700)의 탄성력 보다 반드시 높아야 한다.
상기 손잡이부(510)의 가압을 통해, 상기 핀부(300)가 상기 슬라이딩훅부(100)의 타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상기 제 1 스프링부(6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훅조(110) 및 래치조(220)의 간격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훅부(100)가 이동한다.
동시에 상기 제 2 스프링부(700)는, 상기 훅조(110) 및 래치조(220)의 간격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스프링부(600)의 탄성력이 상기 제 2 스프링부(700)의 탄성력 보다 높으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훅조(110) 및 래치조(220)의 간격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훅부(100)를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제 2 스프링부(700)는, 상기 제 1 스프링부(600)에 의한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크기가 줄어들게 된다.
상기 손잡이부(510)의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제 1 스프링부(600)의 압력이 해제 되면, 상기 제 2 스프링부(700)의 압력만이 상기 슬라이딩훅부(100)에 적용되어 상기 훅조(110) 및 래치조(220)의 간격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훅부(100)가 이동하게 된다.
만약, 상기 제 1 스프링부(600)의 탄성력이 상기 제 2 스프링부(700)의 탄성력 보다 낮을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부(510)의 가압을 통해, 상기 핀부(300)를 상기 슬라이딩훅부(100)의 타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려 해도 상기 제 2 스프링부(700)가 상기 훅조(110) 및 래치조(220)의 간격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훅부(100)에 압력을 가하고 있어, 탄성력이 낮은 상기 제 1 스프링부(600)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고, 상기 슬라이동훅부가 이동하지 않고 버티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스프링부(600)의 탄성력이 상기 제 2 스프링부(700)의 탄성력 보다 높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렌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훅조(110) 및 래치조(220)의 사이에 상기 작업물(A)을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510)를 가압한다.
상기 손잡이부(510)가 가압되면, 상기 손잡이부(510)를 지지하고 있던 제 1 레버지지부(520) 및 제 2 레버지지부(530)의 연동에 의해, 상기 핀부(300)가 상기 슬라이딩훅부(100)의 타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상기 핀부(300)가 상기 슬라이딩훅부(100)의 타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게 되면, 상기 제 1 스프링부(6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훅조(110) 및 래치조(220)의 간격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훅부(100)가 슬라이딩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510)의 가압을 통해, 상기 핀부(300)가 상기 슬라이딩훅부(100)의 타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상기 제 1 스프링부(6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훅조(110) 및 래치조(220)의 간격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훅부(100)가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제 2 스프링부(700)는, 상기 훅조(110) 및 래치조(220)의 간격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스프링부(600)의 탄성력이 상기 제 2 스프링부(700)의 탄성력 보다 높으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스프링부(700)가 상기 제 1 스프링부(600)에 의한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크기가 줄어들며, 상기 슬라이딩훅부(100)는 상기 훅조(110) 및 래치조(220)의 간격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훅조(110) 및 래치조(220)의 사이에 상기 작업물(A)이 물려지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훅부(100)는 더 이상 슬라이딩 되지 못하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스프링부(600)의 크기가 줄어들며 상기 슬라이딩훅부(100)가 고정된다.
상기 손잡이부(510)는, 가동 가능한 범위만큼 계속적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손잡이부(510)의 회동을 통해, 상기 손잡이부(510)의 타단부가 상기 고정가압부(420)의 일단부와 접촉된 후, 더 회동하여 상기 고정가압부(420)가 회동되도록 압력을 가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510)의 타단부가 상기 고정가압부(420)를 들어올려, 상기 랙고정부(410)를 상기 랙기어(120)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랙고정부(410)가 상기 랙기어(120)와 맞물려짐으로 인해, 상기 작업물(A)을 물고 있는 훅조(110) 및 래치조(220)의 간격은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손잡이부(510)의 가압을 해제하면, 먼저, 상기 랙고정부(410)와 랙기어(120)의 결합이 해제된다.
다음으로, 상기 핀부(300)에 상기 훅조(110) 및 래치조(220)의 간격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훅부(100)를 슬라이딩 시키던 압력이 해제되므로, 상기 제 1 스프링부(600)에 가해지던 압력 또한 사라지게 되고, 상기 제 2 스프링부(7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훅부(100)는 상기 훅조(110) 및 래치조(220)의 간격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작업물
100 : 슬라이딩훅부 101 : 제 1 부재
102 : 제 2 부재 110 : 훅조
120 : 랙기어 130 : 제 1 탄성수용부
140 : 탄성지지부 150 : 미세간격조절부
151 : 나사부재 152 : 너트부재
200 : 고정래치부 210 : 제 2 탄성수용부
220 : 래치조 300 : 핀부
400 : 훅고정부 410 : 랙고정부
420 : 고정가압부 430 : 제 3 스프링부
500 : 레버부 510 : 손잡이부
520 : 제 1 레버지지부 530 : 제 2 레버지지부
600 : 제 1 스프링부 700 : 제 2 스프링부

Claims (4)

  1. "ㄱ" 형상으로, 일단에 훅조;가 마련되고, 타단 일측에 랙기어;가 마련되는 슬라이딩훅부;
    상기 슬라이딩훅부의 타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홀 형태의 제 1 탄성수용부;
    상기 슬라이딩훅부의 타단 타측에 돌기 형태로 마련되는 탄성지지부;
    상기 슬라이딩훅부의 타단이 삽입 수용되고, 일단부에 상기 훅조와 맞물리는 형태의 래치조;가 형성되는 고정래치부;
    상기 고정래치부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탄성지지부가 수용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제 2 탄성수용부;
    단차가 형성된 일단부가 상기 제 1 탄성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 1 탄성수용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핀부;
    상기 고정래치부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랙기어에 맞물려지는 형태로, 상기 슬라이딩훅부의 슬라이딩을 고정할 수 있는 훅고정부;
    상기 고정래치부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핀부의 타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일측을 가압하면 상기 훅조 및 래치조의 간격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상기 핀부를 슬라이딩 시킬 수 있는 레버부;
    상기 제 1 탄성수용부에 수용되어 일단부가 상기 핀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단차에 지지되는 제 1 스프링부; 및
    상기 제 2 탄성수용부에 수용되어 일단부가 상기 탄성지지부에 지지되는 제 2 스프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프링부의 탄성력이 상기 제 2 스프링부의 탄성력 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고정래치부의 타측에 지렛대 형태로 연결되어 일단을 가압 시, 타단이 상기 훅고정부를 가압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되는 손잡이부;
    일단부가 상기 고정래치부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고,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타단부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되는 제 1 레버지지부;
    일단부가 상기 제 1 레버지지부의 타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핀부의 타단부와 힌지 결합되는 제 2 레버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가압 시, 상기 제 1 레버지지부의 타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 2 레버지지부가 상기 핀부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훅조 및 래치조의 간격을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3.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훅고정부는,
    상기 고정래치부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딩훅부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가 낮아지는 형태의 사선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되는 랙고정부;
    지렛대 형태로 구성되어, 일단부가 상기 레버부에 의해 들려지면 타단부가 상기 랙고정부를 상기 랙기어와 물려지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고정가압부;
    상기 고정가압부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가압부의 일단부에 힘이 작용하지 않을 시, 상기 고정가압부를 원위치 시키킬 수 있는 토션스프링이 마련되는 제 3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훅부는,
    상기 훅조 및 래치조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미세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KR1020160113770A 2016-05-17 2016-09-05 렌치 KR101768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770A KR101768389B1 (ko) 2016-09-05 2016-09-05 렌치
PCT/KR2016/010698 WO2017200150A1 (ko) 2016-05-17 2016-09-23 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770A KR101768389B1 (ko) 2016-09-05 2016-09-05 렌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8389B1 true KR101768389B1 (ko) 2017-08-14

Family

ID=60142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770A KR101768389B1 (ko) 2016-05-17 2016-09-05 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3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84712U1 (ru) * 2018-05-04 2018-11-06 Владимир Васильевич Галайко Универсальный гаечный разводной ключ
CN114055375A (zh) * 2021-11-02 2022-02-18 张洪俊 一种弹性套筒
KR20220000809U (ko) * 2020-10-05 2022-04-12 (주)로멕스테크놀로지 Lng 탱크 선박 건조용 유니버셜 클램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84712U1 (ru) * 2018-05-04 2018-11-06 Владимир Васильевич Галайко Универсальный гаечный разводной ключ
KR20220000809U (ko) * 2020-10-05 2022-04-12 (주)로멕스테크놀로지 Lng 탱크 선박 건조용 유니버셜 클램프
KR200495371Y1 (ko) * 2020-10-05 2022-05-10 (주)로멕스테크놀로지 Lng 탱크 선박 건조용 유니버셜 클램프
CN114055375A (zh) * 2021-11-02 2022-02-18 张洪俊 一种弹性套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389B1 (ko) 렌치
AU2013286648B2 (en) Wrench with grip enhancing apparatus
US9498868B2 (en) Clamping assembly
KR101632705B1 (ko) 길이조절형 스패너
US9352453B2 (en) Multiple-function hand tool
KR20100012820A (ko) 신속 조정식 다중 위치 플라이어
US20080073822A1 (en) Angle corner clamp
KR101687512B1 (ko) 원터치 지그
CA2945772A1 (en) Extension element for improved use of an adjustable wrench
US20100282032A1 (en) Self-adjusting pliers
US20140208898A1 (en) Locking Plier Jaws
US2755541A (en) Plier tool for applying and removing sheet metal fasteners
JP2007229916A (ja) 保護型の強制ガイド部を備えたプライヤ
US20180264634A1 (en) Push-to-connect fitting removal tool
CA2975299C (en) Clamp
US10220502B2 (en) Angle stop combination and tool handle
US10315291B2 (en) Wrench
JP2006334672A (ja) クランプ式手工具
US9156143B2 (en) Adjustable ratcheting socket tool
US3657947A (en) Plier-like tools
US2308105A (en) Clamp
TW201538282A (zh) 具夾掣定位裝置之套筒扳手
TWI542448B (zh) Wrench with clamp device
KR101812413B1 (ko) 렌치
US3748886A (en) Flaring tool strap mou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