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229B1 - 적산 열량계 및 이를 이용한 소비 열량 산출 방법 - Google Patents

적산 열량계 및 이를 이용한 소비 열량 산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229B1
KR101886229B1 KR1020170152851A KR20170152851A KR101886229B1 KR 101886229 B1 KR101886229 B1 KR 101886229B1 KR 1020170152851 A KR1020170152851 A KR 1020170152851A KR 20170152851 A KR20170152851 A KR 20170152851A KR 101886229 B1 KR101886229 B1 KR 101886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fluid
flow
impeller
pulse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명훈
홍석표
정호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지트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지트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지트에너지
Priority to KR1020170152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2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9/00Testing or calibrating calori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0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tangential admis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7/00Measuring quantity of heat
    • G01K17/06Measuring quantity of heat conveyed by flowing media, e.g. in heating systems e.g. the quantity of heat in a transporting medium, delivered to or consumed in an expenditure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산 열량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열전달에 사용되는 작동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측정기; 열전달 대상으로 유입되는 상기 작동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공급측 온도센서; 상기 열전달 대상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작동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환수측 온도센서; 상기 유량 측정기로부터 측정된 상기 작동 유체의 유량, 상기 공급측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공급측 작동 유체 온도 및 상기 환수측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환수측 작동 유체 온도를 이용하여 소비 열량을 산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작동 유체의 이력 데이터 및 상기 작동 유체의 사용 기간에 따른 상기 작동 유체의 비열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작동 유체의 이력 데이터 및 상기 작동 유체의 사용 기간에 따른 상기 작동 유체의 비열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된 작동 유체의 비열을 소비 열량 산출에 반영하는 적산 열량계 및 이를 이용한 소비 열량 산출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적산 열량계 및 이를 이용한 소비 열량 산출 방법 {INTEGRATING CALORIMETER AND METHOD FOR CALCULATING CONSUMPTION CALORIES}
본 발명은 적산 열량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전달에 사용되는 작동 유체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작동 유체의 물성 변화를 반영하여 정확한 소비 열량의 산출이 가능한 적산 열량계 및 이를 이용한 소비 열량 산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은 열공급 시스템에 따라 개별난방, 중앙난방 및 지역난방으로 구분된다. 개별난방은 난방이 필요한 방마다 개별의 열원으로부터 열을 공급하는 방식이고, 중앙난방은 한 건물에서 필요한 난방을 한 곳에서 공급하는 방식이며, 지역난방은 지역 내 필요한 열을 동시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난방 시스템에서 공급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적산 열량계가 사용된다. 적산 열량계는 난방수를 열매체로 하여 열부하에 열을 공급하는 시스템에서 난방수의 소비 열량을 측정하는 계기이다.
일반적으로 난방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적산 열량계는 난방수의 유동에 따라 회전하는 임펠러와, 임펠러의 회전에 기초하여 단위 유량 당 펄스를 발생시키는 유량 측정기와, 유량 측정기에서 발생한 펄스를 계산하여 유량을 측정하는 연산부를 구비한다.
지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에서는 지중과 열교환하는 지열 교환부를 구비하는데, 지중과 지열 교환부 사이에서 순환하는 작동 유체로는 일반적으로 물과 에탄올을 포함하는 혼합수가 사용된다. 이러한 혼합수는 사용 기간이 경과함 따라 비열이 점차 감소하는 등 물성이 변하게 되는데, 이는 적산 열량계에서 산출되는 소비 열량의 정확성을 떨어뜨리므로, 소비 열량을 정확하게 산출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363836 "적산 열량계" (2002.12.06.)
본 발명의 목적은 정확한 소비 열량 산출이 가능한 적산 열량계 및 이를 이용한 소비 열량 산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동 유체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물성 변화를 고려하여 정확한 소비 열량의 산출이 가능한 적산 열량계 및 이를 이용한 소비 열량 산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열전달에 사용되는 작동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측정기; 열전달 대상으로 유입되는 상기 작동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공급측 온도센서; 상기 열전달 대상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작동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환수측 온도센서; 상기 유량 측정기로부터 측정된 상기 작동 유체의 유량, 상기 공급측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공급측 작동 유체 온도 및 상기 환수측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환수측 작동 유체 온도를 이용하여 소비 열량을 산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작동 유체의 이력 데이터 및 상기 작동 유체의 사용 기간에 따른 상기 작동 유체의 비열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작동 유체의 이력 데이터 및 상기 작동 유체의 사용 기간에 따른 상기 작동 유체의 비열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된 작동 유체의 비열을 소비 열량 산출에 반영하는 적산 열량계 및 이를 이용한 소비 열량 산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작동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작동 유체의 압력에 따라 작동 유체의 비열을 실시간으로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유량 측정기는 상기 작동 유체의 유동에 따라 회전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근거하여 설정된 단위 유량에서 전기적 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 출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펄스 출력부로부터 발생한 펄스를 계산하여 유량을 산출하며, 상기 펄스 출력부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정방향 유동에 대응하는 회전방향으로 임펠러가 회전하는 경우에 유량을 가산하고, 역방향 유동에 대응하는 회전방향으로 임펠러가 회전하는 경우에 유량을 감산하여 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유량 측정기는 상기 작동 유체의 유동에 따라 회전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근거하여 설정된 단위 유량에서 전기적 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 출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펄스 출력부로부터 발생한 펄스를 계산하여 유량을 산출하며, 상기 펄스 출력부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정방향 유동에 대응하는 회전방향으로 임펠러가 회전하는 경우에 정방향 펄스를 발생시키고, 역방향 유동에 대응하는 회전방향으로 임펠러가 회전하는 경우에 역방향 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작동 유체의 이력 데이터 및 상기 작동 유체의 사용 기간에 따른 상기 작동 유체의 비열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된 작동 유체의 비열이 소비 열량 산출에 반영하므로, 지열 시스템과 같은 열전달 시스템에서 소비 열량이 더욱 정확하게 산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산 열량계가 사용되는 지열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산 열량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량 측정기에 의해 발생되는 펄스 발생의 두 가지 예를 종래의 펄스 발생 방식과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산 열량계를 이용한 소비 열량 산출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산 열량계가 사용되는 지열 시스템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열 시스템은 열원인 지중(H)과 열전달 대상인 지열 교환부(T) 사이를 연결하고 작동 유체를 지열 교환부(T)로 공급하는 공급측 배관(D1)과, 지중(H)과 지열 교환부(T) 사이를 연결하고 작동 유체를 지중(H)으로 환수하는 환수측 배관(D2), 지열 교환부(T)로의 열전달에 사용된 작동 유체 소비열량을 산출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산 열량계(100)를 구비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산 열량계(100)의 구성이 블록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산 열량계(100)는 환수측 배관(D2)에 설치되어서 작동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측정기(110)와, 공급측 배관(D1)에 설치되어서 지열 교환부(T)로 유입되는 작동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공급측 온도센서(120)와, 환수측 배관(D2)에 설치되어서 지열 교환부(T)로부터 배출되는 작동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환수측 온도센서(130)와, 환수측 배관(D2)에 설치되어서 지열 교환부(T)로부터 배출되는 작동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140)와, 소비 열량 산출을 위한 정보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50)와, 유량 측정기(110)와 각 센서(120, 130, 140)로부터 제공된 측정 데이터 및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저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비 열량 산출에 필요한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부(160)와, 소비 열량 등의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170)와, 외부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부(180)와, 유량 측정기(110) 및 각 센서(120, 130, 140)에서 측정된 측정 데이터를 제공받으며 메모리부(150), 연산부(160) 및 통신부(180)를 제어하고 출력부(170)로 출력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유량 측정기(110)는 환수측 배관(D2)에 설치되어서 지열 교환부(T)로의 열전달에 사용된 작동 유체의 유량을 측정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량 측정기(110)는 작동 유체의 유동에 따라 회전하는 임펠러를 구비하며, 임펠러의 회전에 근거하여 전기적 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 출력부를 구비한다. 펄스 출력부에 의해 발생한 펄스는 제어부(190)로 전달된다. 펄스 출력부는 다음 두 가지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첫째, 펄스 출력부는 임펠러의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유동이 정방향(도 1에서 작동 유체가 환수측 배관(D2)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지열 교환부(T)로부터 지중(H) 쪽으로 흐르는 방향)에 대응하는 회전방향으로 임펠러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유량을 가산하고, 유동이 역방향(정방향의 반대방향)에 대응하는 회전방향으로 임펠러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유량을 감산하여 설정된 유량 단위(예를 들어, 100L 또는 10L)로 하나의 펄스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펄스 출력부가 100L당 하나의 펄스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설명한다.
둘째, 펄스 출력부는 설정된 유량 단위(예를 들어, 100L 또는 10L)로 하나의 펄스를 발생시키는데, 임펠러의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유동이 정방향인 경우 정방향 펄스를 발생시키고, 유동이 역방향인 경우 역방향 펄스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펄스 출력부가 100L당 하나의 펄스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3에는 상술한 첫 번째 방식과 두 번째 방식 각각에 대한 펄스 발생 예가 그래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점으로 표시된 지점은 100L의 유량당 발생하는 펄스의 위치를 의미한다. 도 3에서 (c)가 첫 번째 방식에 따른 펄스 발생에 해당하고, (d)가 두 번째 방식에 따른 펄스 발생에 해당한다. 도 3의 (c)와 (d)에는 중간에 역방향 유동이 존재한다. 도 3의 (c)에서는 정방향 유동의 경우 가산하고 역방향 유동의 경우 감산하여 100L당 하나의 펄스를 발생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4개의 펄스가 발생하므로 전체 유량은 400L로 계산될 수 있다. 도 3의 (d)에서는 정방향 펄스가 5개 발생하고 역방향 펄스(d1)가 하나 발생함으로써, 전체 유량은 400L로 계산될 수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방식에서는 정방향과 역방향의 구분없이 모두 6개의 펄스가 발생하므로, 전체 유량이 600L로 계산되어서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측정기를 사용하면 역방향 유동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보정하여 정확한 정방향 유량을 계산할 수 있도록 한다.
공급측 온도센서(120)는 공급측 배관(D1)에 설치되어서 지열 교환부(T)로 유입되는 작동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공급측 온도센서(120)는 백금(Pt)을 이용한 온도센서일 수 있다.
환수측 온도센서(130)는 환수측 배관(D2)에 설치되어서 지열 교화부(T)로부터 배출되는 작동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환수측 온도센서(130)는 백금(Pt)을 이용한 온도센서일 수 있다.
압력센서(140)는 환수측 배관(D2)에 설치되어서 지열 교환부(T)로부터 배출되는 작동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여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메모리부(150)에는 공급측 온도센서(120)에 의해 측정된 공급측 작동 유체 온도, 환수측 온도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환수측 작동 유체 온도,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작동 유체 압력 데이터가 제어부(190)로부터 전달되어서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부(150)에는 작동 유체 이력 데이터 및 작동 유체 사용 기간에 따른 작동 유체의 비열 데이터도 저장된다. 본 발명에서 작동 유체 이력 데이터는 작동 ㅇ유체 사용 기간 및 보충 시기를 포함한다. 작동 유체는 결빙 방지를 위해 물에 에탄올이 혼합된 혼합수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물과 에탄올의 혼합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비열이 점차 감소하게 된다.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작동 유체 이력 데이터 및 작동 유체 사용 기간에 따른 작동 유체의 비열 데이터는 작동 유체 사용 기간을 고려한 작동 유체 비열의 보정에 사용될 수 있다.
연산부(160)는 유량 측정기(110)와 각 센서(120, 130, 140)로부터 제공된 측정 데이터 및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저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순시 열량값을 산출하고, 순시 열량값을 누적하여 적산 열량값을 산출한다. 연산부(160)에서 산출된 순시 열량값 및 적산 열량값은 제어부(190)로 전달된다.
출력부(170)는 제어부(190)에 의해 제어되어서, 연산부(160)에서 계산된 순시 열량값과 적산 연량값을 포함하는 소비 열량 및 작동 유체 보충 시기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작동 유체 보충 시기 정보는 작동 유체 보충까지 남은 기간 및 작동 유체 보충 알림 메시지 등 작동 유체 보충 시기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출력부(170)가 디스플레이 장치인 것으로 설명하는데, 이와는 달리 스피커가 함께 사용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통신부(180)는 제어부(190)에 의해 제어되어서 적산 열량계(100)에서 이용되고 산출되는 모든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고,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입력받는다. 통신부(180)는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수단을 포함한다.
제어부(190)는 유량 측정기(110) 및 각 센서(120, 130, 140)에서 측정된 측정 데이터를 제공받으며 메모리부(150), 연산부(160) 및 통신부(180)를 제어하고 출력부(170)로 출력 데이터를 제공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90)는 유량 측정기(110)에서 발생한 유량 펄스 신호, 공급측 온도 센서(120)에서 측정된 공급측 작동 유체 온도, 환수측 온도센서(130)에서 측정된 환수측 작동 유체 온도, 압력센서(140)에서 측정된 작동 유체의 압력을 연산부(160) 및 메모리부(15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연산부(160)에서 산출된 순시 열량값과 적산 열량값을 포함하는 소비 열량 데이터를 메모리부(150), 출력부(170) 및 통신부(180)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작동 유체 이력 데이터 및 작동 유체 사용 기간에 따른 작동 유체의 비열 데이터를 연산부(160)로 전달한다.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산 열량계를 이용한 소비 열량 산출 방법이 순서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소비 열량 산출 방법은, 유량 측정 단계(S10)와, 온도 측정 단계(S20)와, 압력 측정 단계(S30)와, 작동 유체 이력 확인 단계(S40)와, 비열 계산 단계(S50)와, 소비 열량 산출 단계(S60)와, 소비 열량 출력 단계(S70)와, 작동 유체 보충 주기 도래 확인 단계(S80)와, 안내 단계(S90)를 포함한다.
유량 측정 단계(S10)에서는 지열 교환부(도 1의 T)로의 열전달에 사용되는 작동 유체의 유량이 정확하게 측정된다. 유량 측정 단계(S10)는 유량 측정기(도 2의 110)에서 발생하는 유량 펄스 신호를 연산부(도 2의 160)가 도 3의 (c) 또는 (d)와 같은 방식으로 계산함으로써 수행된다.
온도 측정 단계(S20)에서는 공급측 작동 유체 온도와 환수측 작동 유체 온도가 측정된다. 온도 측정 단계(S20)는 공급측 작동 유체 온도를 측정하는 공급측 온도센서(120)와 환수측 작동 유체 온도를 측정하는 환수측 온도센서(130)에 의해 수행된다.
압력 측정 단계(S30)에서는 지열 교환부(도 1의 T)로의 열교환에 사용되는 작동 유체의 압력이 측정된다. 압력 측정 단계(S30)는 작동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도 2의 140)에 의해 수행된다.
작동 유체 이력 확인 단계(S40)에서는 물과 에탄올을 포함하는 혼합수인 작동 유체의 사용 기간 및 작동 유체 사용 기간에 따른 작동 유체의 비열 데이터가 확인된다. 작동 유체 이력 확인 단계(S40)는 메모리부(도 2의 150)에 저장된 작동 유체 이력 데이터 및 작동 유체 사용 기간에 따른 작동 유체의 비열 데이터를 제어부가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
비열 계산 단계(S50)에서는 지열 교환부(도 1의 T)로의 열전달에 사용되는 작동 유체의 비열이 계산된다. 비열 계산 단계(S50)는 압력센서(도 2의 140)에 의해 측정된 작동 유체의 압력과 메모리부(도 2의 150)에 저장된 작동 유체 이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산부(160)에서 수행된다. 즉, 압력센서(도 2의 140)에 의해 측정된 작동 유체의 실시간 압력에 의한 압력 보정 및 메모리부(도 2의 150)에 저장된 작동 유체 이력 데이터에 의한 작동 유체의 이력이 반영되어서 작동 유체의 비열이 더욱 정확하게 계산된다.
소비 열량 산출 단계(S60)에서는 지열 교환부(도 1의 T)로의 열전달에 사용된 작동 유체의 소비 열량이 산출된다. 소비 열량 산출 단계(S60)는 연산부(도 2의 160)에 의해 수행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연산부(160)가 유량 측정 단계(S10)를 통해 측정된 유량 데이터, 온도 측정 단계(S20)를 통해 측정된 공급측 작동 유체 온도와 환수측 작동 유체 온도의 차이 데이터, 비열 계산 단계(S50)를 통해 계산된 작동 유체의 보정된 실시간 비열 데이터를 이용하여 순시 열량값 및 순시 열량값을 누적하여 적산 열량값을 계산하게 된다.
작동 유체 보충 주기 도래 확인 단계(S80)에서는 작동 유체의 보충 주기 도래 여부가 확인된다. 작동 유체 보충 주기 도래 확인 단계(S80)는 메모리부(도 2의 150)에 저장된 작동 유체 이력 데이터를 제어부(도 2의 190)가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 작동 유체 보충 주기 도래 확인 단계(S80)에서 작동 유체의 보충 주기가 도래한 것으로 확인되면 출력부(도 2의 170)를 통해 보충 주기 도래가 안내된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적산 열량계 110 : 유량 측정기
120 : 공급측 온도센서 130 : 환수측 온도센서
140 : 압력센서 150 : 메모리부
160 : 연산부 170 : 출력부
180 : 통신부 190 : 제어부

Claims (10)

  1. 열전달에 사용되는 작동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측정기;
    열전달 대상으로 유입되는 상기 작동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공급측 온도센서;
    상기 열전달 대상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작동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환수측 온도센서;
    상기 유량 측정기로부터 측정된 상기 작동 유체의 유량, 상기 공급측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공급측 작동 유체 온도 및 상기 환수측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환수측 작동 유체 온도를 이용하여 소비 열량을 산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작동 유체의 이력 데이터 및 상기 작동 유체의 사용 기간에 따른 상기 작동 유체의 비열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작동 유체의 이력 데이터 및 상기 작동 유체의 사용 기간에 따른 상기 작동 유체의 비열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된 작동 유체의 비열을 소비 열량 산출에 반영하는 적산 열량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 유체의 보충 시기를 안내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적산 열량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작동 유체의 압력에 따라 작동 유체의 비열을 실시간으로 보정하는 적산 열량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량 측정기는 상기 작동 유체의 유동에 따라 회전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근거하여 설정된 단위 유량에서 전기적 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 출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펄스 출력부로부터 발생한 펄스를 계산하여 유량을 산출하며,
    상기 펄스 출력부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정방향 유동에 대응하는 회전방향으로 임펠러가 회전하는 경우에 유량을 가산하고, 역방향 유동에 대응하는 회전방향으로 임펠러가 회전하는 경우에 유량을 감산하여 펄스를 발생시키는 적산 열량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량 측정기는 상기 작동 유체의 유동에 따라 회전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근거하여 설정된 단위 유량에서 전기적 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 출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펄스 출력부로부터 발생한 펄스를 계산하여 유량을 산출하며,
    상기 펄스 출력부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정방향 유동에 대응하는 회전방향으로 임펠러가 회전하는 경우에 정방향 펄스를 발생시키고, 역방향 유동에 대응하는 회전방향으로 임펠러가 회전하는 경우에 역방향 펄스를 발생시키는 적산 열량계.
  6. 열전달에 사용되는 작동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측정기; 열전달 대상으로 유입되는 상기 작동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공급측 온도센서; 상기 열전달 대상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작동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환수측 온도센서; 상기 유량 측정기로부터 측정된 상기 작동 유체의 유량, 상기 공급측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공급측 작동 유체 온도 및 상기 환수측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환수측 작동 유체 온도를 이용하여 소비 열량을 산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작동 유체의 이력 데이터 및 상기 작동 유체의 사용 기간에 따른 상기 작동 유체의 비열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적산 열량계를 이용하여 소비 열량을 산출하는 방법으로서,
    열전달에 사용되는 작동 유체의 유량이 측정되는 유량 측정 단계;
    상기 공급측 온도센서에 의해 공급측 작동 유체 온도가 측정되고 상기 환수측 온도센서에 의해 환수측 작동 유체 온도가 측정되는 온도 측정 단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작동 유체의 이력 데이터 및 상기 작동 유체의 사용 기간에 따라 작동 유체의 비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작동 유체의 비열을 보정하는 비열 계산 단계;
    상기 유량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작동 유체의 유량, 상기 온도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공급측 작동 유체 온도와 상기 환수측 작동 유체 온도의 차이 및 상기 비열 계산 단계를 통해 보정된 작동 유체의 비열에 의해 소비 열량이 산출되는 소비 열량 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소비 열량 산출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산 열량계는 상기 작동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열 계산 단계에서는, 상기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작동 유체의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작동 유체의 비열이 추가로 보정되는 소비 열량 산출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량 측정기는 열전달에 사용되는 작동 유체의 유동에 따라 회전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근거하여 설정된 단위 유량에서 전기적 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펄스 출력부로부터 발생한 펄스를 계산하여 유량을 산출하며,
    상기 유량 측정 단계에서는, 상기 펄스 출력부가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정방향 유동에 대응하는 회전방향으로 임펠러가 회전하는 경우에 유량을 가산하고, 역방향 유동에 대응하는 회전방향으로 임펠러가 회전하는 경우에 유량을 감산하여 펄스를 발생시켜서 상기 연산부로 전달하는 소비 열량 산출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량 측정기는 열전달에 사용되는 작동 유체의 유동에 따라 회전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근거하여 설정된 단위 유량에서 전기적 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펄스 출력부로부터 발생한 펄스를 계산하여 유량을 산출하며,
    상기 유량 측정 단계에서는, 상기 펄스 출력부가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정방향 유동에 대응하는 회전방향으로 임펠러가 회전하는 경우에 정방향 펄스를 발생시키고, 역방향 유동에 대응하는 회전방향으로 임펠러가 회전하는 경우에 역방향 펄스를 발생시켜서 상기 연산부로 전달하는 소비 열량 산출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작동 유체는 물과 에탄올을 포함하는 혼합수인 소비 열량 산출 방법.
KR1020170152851A 2017-11-16 2017-11-16 적산 열량계 및 이를 이용한 소비 열량 산출 방법 KR101886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851A KR101886229B1 (ko) 2017-11-16 2017-11-16 적산 열량계 및 이를 이용한 소비 열량 산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851A KR101886229B1 (ko) 2017-11-16 2017-11-16 적산 열량계 및 이를 이용한 소비 열량 산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229B1 true KR101886229B1 (ko) 2018-08-08

Family

ID=63230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851A KR101886229B1 (ko) 2017-11-16 2017-11-16 적산 열량계 및 이를 이용한 소비 열량 산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2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137B1 (ko) * 2019-05-10 2020-08-26 (주)위지트에너지 세대 급수온도 센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열량 측정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48136B1 (ko) * 2019-05-10 2020-08-26 (주)위지트에너지 탱크 급수온도 센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열량 측정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418408B1 (ko) * 2022-01-21 2022-07-06 지에스파워주식회사 열수요 시계열 데이터에 기반한 지역난방열공급망의 실시간 해석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054Y1 (ko) 2005-08-29 2005-11-24 (주)위지트 적산열량계
JP5642965B2 (ja) 2006-08-15 2014-12-17 メトラー−トレド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比熱容量の測定
KR101606057B1 (ko) 2014-08-21 2016-03-24 주식회사 엔박 에너지 표시 가정용 가스미터 및 가스량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054Y1 (ko) 2005-08-29 2005-11-24 (주)위지트 적산열량계
JP5642965B2 (ja) 2006-08-15 2014-12-17 メトラー−トレド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比熱容量の測定
KR101606057B1 (ko) 2014-08-21 2016-03-24 주식회사 엔박 에너지 표시 가정용 가스미터 및 가스량 측정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137B1 (ko) * 2019-05-10 2020-08-26 (주)위지트에너지 세대 급수온도 센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열량 측정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48136B1 (ko) * 2019-05-10 2020-08-26 (주)위지트에너지 탱크 급수온도 센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열량 측정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418408B1 (ko) * 2022-01-21 2022-07-06 지에스파워주식회사 열수요 시계열 데이터에 기반한 지역난방열공급망의 실시간 해석 방법 및 장치
US11953211B2 (en) 2022-01-21 2024-04-09 GS Power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time analysis of district heating pipe network based on time sequence data of heat dema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229B1 (ko) 적산 열량계 및 이를 이용한 소비 열량 산출 방법
KR100737169B1 (ko) 통합형 난방제어시스템
JP2005308353A (ja) 貯湯式給湯システムの給水流量センサの故障検知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貯湯式給湯システム
CN102635894A (zh) 供暖系统平衡控制方法及诊断测量装置
KR101574708B1 (ko) 원격 검침 열량계, 그의 동작 방법 및 시스템
ES2878139T3 (es) Distribuidor de costes de calefacción para detectar la cantidad de calor emitida por un radiador
DK3098575T3 (en) Hot water meter and measuring method therefore
JPH0311385B2 (ko)
AU2014359154B2 (en) A domestic hot water installation
JP2003177037A (ja) ガス流量計およびガス供給システム並びにガス置換方法
KR102148137B1 (ko) 세대 급수온도 센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열량 측정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9098425A1 (ko) 적산 열량계 및 이를 이용한 소비 열량 산출 방법
US20140116130A1 (en) Measuring device, measur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measured quantity
KR101263240B1 (ko) 적산열량계의 측정값을 이용한 오차 보정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00013954A (ko) 적산 열량계를 이용한 지열원 히트펌프 시스템의 성능계수 산출 방법
JP5548154B2 (ja) 積算計のパルス出力確認方法および積算計
KR101508475B1 (ko) 하나의 열원을 사용하는 다수 세대의 난방 ems 시스템
JP3640334B2 (ja) 流量計およびガスメータ
JP2004283755A (ja) 水質管理装置
KR101500943B1 (ko) 난방공급 및 난방환수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난방 연소 제어방법
KR102148136B1 (ko) 탱크 급수온도 센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열량 측정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82405B1 (ko) 급탕계량기
JP5169049B2 (ja) 流量計測装置
JP5915465B2 (ja) ボイラの熱出力計測装置
JPH0274856A (ja) スケールモニ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