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136B1 - 탱크 급수온도 센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열량 측정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탱크 급수온도 센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열량 측정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136B1
KR102148136B1 KR1020190055029A KR20190055029A KR102148136B1 KR 102148136 B1 KR102148136 B1 KR 102148136B1 KR 1020190055029 A KR1020190055029 A KR 1020190055029A KR 20190055029 A KR20190055029 A KR 20190055029A KR 102148136 B1 KR102148136 B1 KR 102148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hold
water supply
supply temperature
temperature senso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혜린
이준구
박형상
Original Assignee
(주)위지트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지트에너지 filed Critical (주)위지트에너지
Priority to KR1020190055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1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7/00Measuring quantity of heat
    • G01K17/06Measuring quantity of heat conveyed by flowing media, e.g. in heating systems e.g. the quantity of heat in a transporting medium, delivered to or consumed in an expenditure device
    • G01K17/08Measuring quantity of heat conveyed by flowing media, e.g. in heating systems e.g. the quantity of heat in a transporting medium, delivered to or consumed in an expenditure device based upon measurement of temperature difference or of a temperature
    • G01K17/10Measuring quantity of heat conveyed by flowing media, e.g. in heating systems e.g. the quantity of heat in a transporting medium, delivered to or consumed in an expenditure device based upon measurement of temperature difference or of a temperature between an inlet and an outlet point, combined with measurement of rate of flow of the medium if such, by integration during a certain time-interv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48Counting of energy consum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4Flow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탱크 급수온도 센서가 측정한 탱크 급수온도 변동값이 미리 설정된 탱크 급수온도 범위를 벗어날 경우, 표본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과 유사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을 각각 확인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탱크 급수온도 센서의 고장을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탱크 급수온도 센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열량 측정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Calorimetry system capable of detecting the failure of tank water temperature senso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탱크 급수온도 센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열량 측정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난방수 탱크로부터 급수되는 탱크 급수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의 이상을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탱크 급수온도 센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열량 측정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은 열공급 시스템에 따라 개별 난방, 중앙 난방 및 지역 난방으로 구분된다. 개별 난방은 난방이 필요한 방마다 개별의 열원으로부터 열을 공급하는 방식이고, 중앙 난방은 한 건물에서 필요한 난방을 한 곳에서 공급하는 방식이며, 지역 난방은 지역내 필요한 열을 동시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난방 시스템에서 공급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적산 열량계가 사용된다. 적산 열량계는 난방수를 열매체로 하여 열부하에 열을 공급하는 시스템에서 난방수의 소비 열량을 측정하는 계기이다.
종래의 적산 열량계는, 난방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측정부와, 공급되는 난방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공급 온도센서와, 회수되는 난방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회수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유량 측정부에서 측정한 유량과, 상기 공급 온도센서와 상기 회수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온도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열량으로 환산한다.
그러나, 온도 센서의 노후화나 상기 온도 센서의 이상 발생시에도 상기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값에 따라 열량을 계산하게 되므로, 정확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363836
본 발명의 목적은, 탱크 급수온도 센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열량 측정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탱크 급수온도 센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열량 측정 시스템은, 난방수 탱크로부터 주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탱크 난방수의 탱크 급수온도를 측정하는 탱크 급수온도 센서와; 건물의 각 세대에 구비되어, 상기 주 공급관으로부터 분기된 복수의 세대 공급관들을 통해 상기 각 세대들로 공급되는 세대 난방수의 세대 급수온도를 측정하는 세대 급수온도 센서들과; 상기 각 세대에 구비되어, 상기 세대로부터 환수되는 세대 난방수의 세대 환수온도를 측정하는 세대 환수온도 센서들과; 상기 각 세대에 구비되어, 상기 세대로부터 환수되는 세대 난방수의 환수 유량을 측정하는 세대 유량센서들과; 상기 탱크 급수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탱크 급수온도 변동값이 미리 설정된 탱크 급수온도 범위를 벗어나면, 미리 설정된 표본 세대의 상기 세대 급수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이 미리 설정된 세대 급수온도 범위를 벗어나는지 비교하고, 상기 표본 세대의 상기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이 상기 세대 급수온도 범위 이내로 정상이면, 상기 표본 세대와 유사 위치군으로 설정된 세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유사 세대로 설정하고, 상기 유사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유사 세대 난방수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을 상기 세대 급수온도 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유사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도 상기 세대 급수온도 범위 이내로 정상이면, 상기 표본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센서와 상기 유사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센서는 정상이고, 상기 탱크 급수온도 센서가 고장이라고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탱크 급수온도 센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열량 측정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탱크 급수온도 센서가 난방수 탱크로부터 주 공급관을 통해 공급하는 탱크 난방수의 탱크 급수온도를 측정하고, 건물의 각 세대에 구비된 세대 급수온도 센서들이 상기 주 공급관으로부터 상기 세대들로 분기된 세대 공급관들을 통해 상기 세대로 공급되는 세대 난방수의 세대 급수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각 세대에 구비된 세대 환수온도 센서들이 상기 세대로부터 환수되는 세대 난방수의 세대 환수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제어부가 상기 탱크 급수온도센서에서 측정된 탱크 급수온도 변동값을 미리 설정된 탱크 급수온도 범위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탱크 급수온도 변동값이 상기 탱크 급수온도 범위를 벗어나서 이상이면, 미리 설정된 표본 세대의 상기 세대 급수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을 미리 설정된 세대 급수온도 범위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표본 세대의 상기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이 상기 세대 급수온도 범위 이내이면, 상기 표본 세대와 유사 위치군으로 설정된 세대 중 적어도 하나를 유사 세대로 설정하고, 상기 유사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센서에 측정된 유사 세대 난방수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을 상기 세대 급수온도 범위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유사 세대 난방수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이 상기 세대 급수온도 범위 이내로 정상이면, 상기 표본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센서와 상기 유사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센서는 정상이고, 상기 탱크 급수온도 센서가 고장이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탱크 급수온도 센서가 측정한 탱크 급수온도 변동값이 미리 설정된 탱크 급수온도 범위를 벗어날 경우, 표본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과 유사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을 각각 확인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탱크 급수온도 센서의 고장을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난방수 공급 시스템의 열량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량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량 측정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난방수 공급 시스템의 열량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량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방수 공급 시스템은, 열교환부(2), 난방수 탱크(4), 열교환 배관(6), 주 공급관(10), 세대 공급관들(11)(12)(13), 주 환수관(20), 세대 환수관들(21)(22)(23)을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부(2)는, 열원과 상기 난방수 탱크(4)사이에 구비되어, 순환매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열교환부(2)와 상기 난방수 탱크(4)는 순환유로(6)로 연결된다.
상기 난방수 탱크(4)는, 난방수가 저장되는 탱크이다. 상기 난방수 탱크(4)는, 건물의 지하나 복수의 건물들이 위치한 단지의 지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주 공급관(10)은, 상기 난방수 탱크(4)에 저장된 난방수를 상기 건물(1)로 공급하기 위한 배관이다.
상기 세대 공급관들(11)(12)(13)은, 상기 주 공급관(10)으로부터 상기 건물(1)의 각 라인들에 대응되게 분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세대 공급관들(11)(12)(13)은, 3개의 제1,2,3세대 공급관들(11)(12)(13)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1,2,3세대 공급관들(11)(12)(13)은, 각 층별 세대들로 난방수를 각각 공급하도록 다시 분기된다.
상기 세대 환수관들(21)(22)(23)은, 상기 건물의 각 세대로부터 난방수를 환수하는 배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세대 환수관들(21)(22)(23)은, 3개의 제1,2,3세대 환수관들(21)(22)(23)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1,2,3세대 환수관들(21)(22)(23)은, 각 층별 세대들로 난방수를 각각 공급하도록 다시 분기된다.
상기 주 환수관(20)은, 상기 제1,2,3세대 환수관들(21)(22)(23)로부터 환수된 난방수를 합하여 상기 난방수 탱크(4)로 환수하는 배관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량 측정 시스템은, 상기 난방수 탱크(4)로부터 상기 건물(1)의 각 세대(G)로 공급되는 난방수의 열량을 측정하는 시스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열량 측정 시스템은, 탱크 급수온도 센서(15), 세대 급수온도 센서들(31), 세대 환수온도 센서들(32), 세대 유량센서들(33), 비열 보정부(34), 열량 산출부(35), 출력부(36), 로컬 제어부(40) 및 중앙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상기 탱크 급수온도 센서(15)는, 상기 주 공급관(10)에 설치되어, 상기 난방수 탱크(4)로부터 공급되는 탱크 난방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상기 탱크 급수온도 센서(15)는 상기 난방수 탱크(4)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세대 급수온도 센서들(31)은, 상기 각 세대(G)마다 구비되어, 상기 제1,2,3세대 공급관들(11)(12)(13)을 통해 상기 각 세대(G)로 공급되는 세대 난방수의 급수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상기 세대 환수온도 센서들(32)은, 상기 각 세대(G)마다 구비되고, 상기 세대로부터 환수되는 세대 난방수의 환수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상기 세대 유량센서들(33)은, 상기 각 세대(G)마다 구비되어, 상기 세대로부터 환수되는 세대 난방수의 환수 유량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세대로 공급되는 공급 유량과 상기 세대로부터 환수되는 환수 유량은 서로 동일하다고 가정하여, 상기 세대 유량센서들(33)은 상기 세대로부터 환수되는 환수 유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급되는 공급 유량을 측정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세대 유량센서들(33)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임펠러를 이용하여 일정 유량의 유출시 발생하는 유량 펄스를 감지하여 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세대 유량센서들(33)에서 측정된 유량은 상기 로컬 제어부(40)를 통해 상기 열량 산출부(35)로 제공된다.
상기 비열 보정부(34)는, 상기 각 세대(G)에 구비되어 상기 세대 급수온도 센서에서 측정한 온도값에 따라 비열(C)을 보정한다. 상기 비열 보정부(34)는 상기 각 세대(G)마다 구비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세대에서 측정한 값을 수집하고 시스템 전체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미도시)에 구비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열량 산출부(35)는, 상기 비열 보정부(34)에서 보정된 비열(C), 상기 세대 유량센서(33)에서 측정한 유량, 상기 세대 급수온도 센서(31)에서 측정한 세대 난방수의 급수온도와 상기 세대 환수온도 센서(32)에서 측정한 세대 난방수의 환수온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세대(G)로 공급되는 난방수의 열량(Q)을 계산한다. 상기 열량 산출부(35)는, 상기 각 세대(G)마다 구비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세대에서 측정한 값을 수집하고 시스템 전체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미도시)에 구비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출력부(36)는, 상기 로컬 제어부(40)의 신호에 따라 센서들의 고장 유무를 소리나 문자 등의 메시지로 표시하거나 산출된 열량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로컬 제어부(40)는, 상기 각 세대(G)마다 구비되어, 상기 세대 급수온도 센서(31), 상기 세대 환수온도 센서(32), 상기 세대 유량센서(33)의 측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비열 보정부(34), 상기 열량 산출부(35), 상기 출력부(36)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로컬 제어부(40)는, 상기 각 세대(G)마다 구비되어, 상기 세대 급수온도 센서(31), 상기 세대 환수온도 센서(32), 상기 세대 유량센서(33)의 측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비열 보정부(34), 상기 열량 산출부(35), 상기 출력부(36)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로컬 제어부(40)는, 해당 세대의 상기 세대 급수온도 센서(31)와 상기 세대 환수온도 센서(32)에서 측정한 온도 변동값에 따라 상기 세대 급수온도 센서(31)의 고장 여부를 판단 체크할수 있다. 상기 로컬 제어부(40)는, 후술하는 중앙 제어부(50)와 유,무선 통신을 한다. 상기 로컬 제어부(40)는, 상기 중앙 제어부(50)를 통해 상기 탱크 급수온도 센서(15), 상기 관리 서버(미도시)나 상기 난방수 공급처(미도시) 등과 유,무선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상기 건물의 관리실 또는 상기 건물을 원격 관리하는 관리처에 구비되어, 상기 로컬 제어부(4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로컬 제어부(40)로부터 고장 의심 세대에 대한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상기 탱크 급수온도 센서(15)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여, 탱크 급수온도의 측정값을 수신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상기 로컬 제어부(40)로부터 고장 의심 세대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탱크 급수온도의 측정값, 유사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 유사 세대의 세대환수온도 변동값 등을 고려하여, 상기 고장 의심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센서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상기 출력부(36)와도 유,무선 통신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로컬 제어부(40)와 상기 중앙 제어부(50)가 하나의 제어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량 측정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건물(1)의 복수의 세대들(G) 중에서 제1라인의 최상층 세대인 제1세대(G1)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상기 건물(1)의 모든 세대들(G)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세대 급수온도, 세대 환수온도, 탱크 급수온도를 측정한다.(S1)
상기 세대 급수온도 센서(31)가 상기 제1세대(G1)로 공급되는 세대 난방수의 세대 급수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세대 급수온도는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을 두고 설정 시간동안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세대 급수온도는 필요시에만 측정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세대 환수온도 센서(32)가 상기 제1세대(G1)로부터 환수되는 세대 난방수의 세대 환수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세대 환수온도는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을 두고 설정 시간동안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세대 환수온도는 필요시에만 측정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탱크 급수온도 센서(15)가 상기 주 공급관(10)을 통해 공급되는 탱크 난방수의 탱크 급수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탱크 급수온도는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을 두고 설정 시간동안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탱크 급수온도는 필요시에만 측정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탱크 급수온도는 상기 중앙 제어부(50)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제1세대(G1)에 구비된 상기 세대 유량센서(33)가 상기 제1세대(G1)로부터 나와 환수되는 세대 난방수의 환수유량을 측정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상기 탱크 급수온도 센서(15)에서 측정한 탱크 급수온도 변동값이 이상인지 판단한다.(S2)
즉, 상기 탱크 급수온도 변동값을 미리 설정된 탱크 급수온도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탱크 급수온도 변동값이 상기 탱크 급수온도 범위를 벗어나 이상인지 판단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상기 탱크 급수온도 변동값이 상기 탱크 급수온도 범위를 벗어나서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로컬 제어부(40)에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을 확인 요청한다. 이 때,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미리 설정된 표본 세대에 구비된 상기 로컬 제어부(40)에 상기 표본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을 확인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표본 세대는, 상기 난방수 탱크(4)로부터 난방수를 세대로 공급하는 동안 온도 변화가 최소인 세대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표본 세대는 하나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가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로컬 제어부(40)는 각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센서의 고장 여부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상기 세대 급수온도 센서가 고장으로 검출된 세대는 상기 표본 세대에서 제외될 수 있다.
상기 로컬 제어부(40)는 상기 표본 세대의 상기 세대 급수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이 이상인지 판단한다.(S3)
상기 로컬 제어부(40)는, 상기 표본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을 미리 설정된 세대 급수온도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이 상기 세대 급수온도 범위를 벗어나 이상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중앙 제어부(50)로 전송한다.
상기 표본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이 상기 세대 급수온도 범위를 벗어나서 이상이면, 상기 로컬 제어부(40)는 상기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의 이상에 대한 신호를 상기 중앙 제어부(50)로 전송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상기 탱크 급수온도 변동값과 상기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이 모두 이상이므로, 상기 탱크 급수온도 센서(15)와 상기 표본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센서(31)는 정상이라고 판단한다.(S4)
즉, 상기 탱크 급수온도 변동값이 상기 탱크 급수온도 범위를 벗어나더라도 상기 탱크 급수온도 센서(15)의 고장 때문이 아니라, 난방수 온도 자체의 변화라고 판단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상기 탱크 급수온도 센서(15)가 고장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로컬 제어부(40)로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로컬 제어부(50)는, 상기 세대 급수온도 센서(31)에서 측정한 온도값에 그대로 이용하여 비열(C)을 보정하도록 상기 비열 보정부(34)를 제어한다.(S5)
상기 비열 보정부(34)가 상기 비열(C)을 보정하고 나면, 상기 로컬 제어부(40)는 상기 열량 산출부(35)가 상기 제1세대(G1)로 공급되는 세대 난방수의 열량(Q)을 산출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열량 산출부(35)는, 상기 비열 보정부(34)에서 보정된 비열(C)과, 상기 세대 급수온도 센서(31)에서 측정한 세대 급수온도와 상기 세대 환수온도 센서(32)에서 측정한 세대 환수온도의 차이, 상기 세대 유량센서(33)에서 측정한 세대 난방수의 환수 유량을 이용하여, 상기 제1세대(G1)로 공급되는 세대 난방수의 열량(Q)을 산출한다.(S6)
상기 열량 산출부(35)에서 산출된 세대 난방수의 열량(Q)은 상기 출력부(36)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열량 산출부(35)에서 산출된 세대 난방수의 열량(Q)은 상기 로컬 제어부(40)와 상기 중앙 제어부(50)로 신호로 전송하고, 상기 로컬 제어부(40)나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상기 출력부(36)에 출력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컬 제어부(40)나 상기 중앙 제어부(50), 또는 상기 관리서버(미도시)는, 상기 열량 산출부(35)에서 산출된 세대 난방수의 열량(Q)과 난방요금 기준값을 이용하여, 난방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난방요금 기준값은, 열원 공급처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S3)에서 상기 로컬 제어부(40)가 상기 표본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이 상기 세대 급수온도 범위 이내로 정상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로컬 제어부(40)는 상기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의 정상에 대한 신호를 상기 중앙 제어부(50)로 전송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상기 탱크 급수온도 변동값과 상기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이 서로 상이하므로, 유사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을 확인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한다.(S7)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상기 표본 세대와 유사 위치군으로 설정된 세대 중 적어도 하나를 유사 세대로 설정하고, 상기 유사 세대에 구비된 상기 로컬 제어부(40)에 상기 유사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을 확인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유사 위치군은,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 상기 중앙 제어부(50), 상기 관리 서버(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에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유사 위치군은, 상기 건물에서 동일한 층에 위치한 세대들을 동일한 군으로 묶어 설정한다. 즉, 세대가 위치한 높이에 따라 온도 변화가 유사하게 생길 수 있으므로, 동일한 층에 위치한 세대들을 비교할 수 있도록 유사 위치군으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유사 세대는, 상기 유사 위치군에 포함된 세대들 중에서 상기 세대 급수온도 센서(31)가 정상이라고 이미 판단된 세대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로컬 제어부(40)가 각 세대마다 구비되어, 각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과 세대 환수온도 변동값을 이용하여 상기 세대 급수온도 센서(31)의 고장 여부를 1차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기 로컬 제어부(40)에서 상기 세대 급수온도 센서(31)가 정상이라고 판단된 세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중앙 제어부(50)나 데이터 베이스에 미리 제공하면, 상기 중앙 제어부(50)가 상기 유사 세대의 선택시 참고할 수 있다.
상기 단계(S7)에서 상기 유사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이 상기 세대 급수온도 범위를 벗어나서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이에 대한 신호를 상기 중앙 제어부(50)로 전송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상기 탱크 급수온도 변동값과 상기 유사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은 모두 이상이고, 상기 표본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만 정상이므로, 상기 탱크 급수온도 센서(15)와 상기 유사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센서(31)는 정상이고, 상기 표본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센서(31)만 고장이라고 판단한다.(S8)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상기 표본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센서(31)의 고장이라고 출력한다.(S8)
한편, 상기 단계(S7)에서 상기 로컬 제어부(40)가 상기 유사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이 상기 세대 급수온도 범위 이내라고 판단하면, 상기 유사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의 정상에 대한 신호를 상기 중앙 제어부(50)로 전송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상기 탱크 급수온도 변동값은 상기 탱크 급수온도 범위를 벗어나서 이상이나, 상기 표본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과 상기 유사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은 모두 정상이므로, 상기 표본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센서와 상기 유사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센서는 모두 정상이나, 상기 탱크 급수온도 센서만 고장이라고 판단한다.(S10)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상기 탱크 급수온도 센서(15)가 고장을 출력한다.(S9)
또한,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상기 표본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센서와 상기 유사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센서는 모두 정상이라는 정상 신호를 상기 로컬 제어부(40)에 송신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50)로부터 정상 신호를 수신받은 상기 로컬 제어부(40)는, 각 세대 급수온도 센서(31)에서 측정한 세대 급수온도를 이용하여 비열을 보정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탱크 급수온도 센서(15)의 고장 등 이상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 급수온도 센서(15)의 고장을 체크하면서, 상기 세대 급수온도 센서(31)의 고장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측정 온도의 오류로 인해 비열 보정이 잘못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컬 제어부(40)와 상기 중앙 제어부(50)가 각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센서의 고장 여부에 대한 신호를 주기적으로 주고 받기 때문에, 유사세대를 설정시 유사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센서가 고장난 경우를 걸러낼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검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4: 난방수 탱크 10: 주 공급관
15: 탱크 급수온도 센서 20: 주 환수관
31: 세대 급수온도 센서 32: 세대 환수온도 센서
33: 세대 유량센서 34: 비열 보정부
35: 열량 산출부 36: 출력부
40: 로컬 제어부 50: 중앙 제어부

Claims (10)

  1. 난방수 탱크로부터 주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탱크 난방수의 탱크 급수온도를 측정하는 탱크 급수온도 센서와;
    건물의 각 세대에 구비되어, 상기 주 공급관으로부터 분기된 복수의 세대 공급관들을 통해 상기 각 세대들로 공급되는 세대 난방수의 세대 급수온도를 측정하는 세대 급수온도 센서들과;
    상기 각 세대에 구비되어, 상기 세대로부터 환수되는 세대 난방수의 세대 환수온도를 측정하는 세대 환수온도 센서들과;
    상기 각 세대에 구비되어, 상기 세대로부터 환수되는 세대 난방수의 환수 유량을 측정하는 세대 유량센서들과;
    상기 탱크 급수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탱크 급수온도 변동값이 미리 설정된 탱크 급수온도 범위를 벗어나면, 미리 설정된 표본 세대의 상기 세대 급수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이 미리 설정된 세대 급수온도 범위를 벗어나는지 비교하고,
    상기 표본 세대의 상기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이 상기 세대 급수온도 범위 이내로 정상이면, 상기 표본 세대와 유사 위치군으로 설정된 세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유사 세대로 설정하고, 상기 유사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유사 세대 난방수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을 상기 세대 급수온도 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유사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도 상기 세대 급수온도 범위 이내로 정상이면, 상기 표본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센서와 상기 유사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센서는 정상이고, 상기 탱크 급수온도 센서가 고장이라고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탱크 급수온도 변동값이 상기 탱크 급수온도 범위를 벗어나고, 상기 표본 세대의 상기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이 상기 세대 급수온도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탱크 급수온도 센서와 상기 세대 급수온도 센서는 각각 정상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탱크 급수온도 변동값이 상기 탱크 급수온도 범위를 벗어나고, 상기 표본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이 상기 세대 급수온도 범위 이내로 정상이고, 상기 유사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은 상기 세대 급수온도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탱크 급수온도 센서는 정상이고, 상기 표본 세대의 상기 세대 급수온도 센서는 고장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표본 세대는, 상기 난방수 탱크로부터 난방수를 공급받는 동안 온도 변화가 최소인 세대로 미리 설정되고,
    상기 유사 위치군은, 상기 주 공급관으로부터 분배된 난방수를 공급받고, 상기 건물에서 동일한 층에 위치한 세대들로 묶어 설정한 탱크 급수온도 센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열량 측정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세대 급수온도 센서가 정상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세대 급수온도 센서에서 측정한 값에 따라 비열을 보정하는 비열 보정부와,
    상기 각 세대에 구비되어, 상기 비열 보정부에서 보정된 비열, 상기 세대 유량 센서에서 측정한 유량, 상기 세대 급수온도 센서와 상기 세대 환수온도 센서에서 측정한 온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세대로 공급되는 세대 난방수의 열량을 계산하는 열량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탱크 급수온도 센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열량 측정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세대에 구비되어, 상기 표본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과 상기 세대 급수온도 범위를 비교하고, 상기 유사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과 상기 세대 급수온도 범위를 비교하는 로컬 제어부와,
    상기 로컬 제어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고, 상기 탱크 급수온도 변동값을 상기 탱크 급수온도 범위와 비교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는 탱크 급수온도 센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열량 측정 시스템.
  7. 탱크 급수온도 센서가 난방수 탱크로부터 주 공급관을 통해 공급하는 탱크 난방수의 탱크 급수온도를 측정하고, 건물의 각 세대에 구비된 세대 급수온도 센서들이 상기 주 공급관으로부터 상기 세대들로 분기된 세대 공급관들을 통해 상기 세대로 공급되는 세대 난방수의 세대 급수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각 세대에 구비된 세대 환수온도 센서들이 상기 세대로부터 환수되는 세대 난방수의 세대 환수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제어부가 상기 탱크 급수온도센서에서 측정된 탱크 급수온도 변동값을 미리 설정된 탱크 급수온도 범위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탱크 급수온도 변동값이 상기 탱크 급수온도 범위를 벗어나서 이상이면, 미리 설정된 표본 세대의 상기 세대 급수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을 미리 설정된 세대 급수온도 범위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표본 세대의 상기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이 상기 세대 급수온도 범위 이내이면, 상기 표본 세대와 유사 위치군으로 설정된 세대 중 적어도 하나를 유사 세대로 설정하고, 상기 유사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센서에 측정된 유사 세대 난방수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을 상기 세대 급수온도 범위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유사 세대 난방수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이 상기 세대 급수온도 범위 이내로 정상이면, 상기 표본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센서와 상기 유사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센서는 정상이고, 상기 탱크 급수온도 센서가 고장이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탱크 급수온도 변동값이 상기 탱크 급수온도 범위를 벗어나고, 상기 표본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도 상기 세대 급수온도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탱크 급수온도 센서와 상기 표본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센서는 정상이라고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탱크 급수온도 변동값이 상기 탱크 급수온도 범위를 벗어나고, 상기 표본 세대의 상기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이 상기 세대 급수온도 범위 이내이고, 상기 유사 세대 난방수의 세대 급수온도 변동값이 상기 세대 급수온도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탱크 급수온도 센서와 상기 유사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센서는 정상이고, 상기 표본 세대의 세대 급수온도 센서는 고장이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본 세대는, 상기 난방수 탱크로부터 난방수를 공급받는 동안 온도 변화가 최소인 세대로 미리 설정되고,
    상기 유사 세대는, 상기 유사 위치군에 포함된 세대들 중에서 상기 세대 급수온도 센서가 정상이라고 판단된 세대로 설정하는 탱크 급수온도 센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열량 측정 시스템의 제어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55029A 2019-05-10 2019-05-10 탱크 급수온도 센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열량 측정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48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029A KR102148136B1 (ko) 2019-05-10 2019-05-10 탱크 급수온도 센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열량 측정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029A KR102148136B1 (ko) 2019-05-10 2019-05-10 탱크 급수온도 센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열량 측정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136B1 true KR102148136B1 (ko) 2020-08-26

Family

ID=72242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029A KR102148136B1 (ko) 2019-05-10 2019-05-10 탱크 급수온도 센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열량 측정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1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836B1 (ko) 2000-03-28 2002-12-06 이재필 적산 열량계
KR20110077467A (ko) * 2009-12-30 2011-07-07 민영모 온도센서 이상 진단기능을 구비한 적산열량계 및 이상 진단방법
KR101738047B1 (ko) * 2016-04-18 2017-05-2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복수의 검침값을 가지는 열량계, 중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86229B1 (ko) * 2017-11-16 2018-08-08 주식회사 위지트에너지 적산 열량계 및 이를 이용한 소비 열량 산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836B1 (ko) 2000-03-28 2002-12-06 이재필 적산 열량계
KR20110077467A (ko) * 2009-12-30 2011-07-07 민영모 온도센서 이상 진단기능을 구비한 적산열량계 및 이상 진단방법
KR101738047B1 (ko) * 2016-04-18 2017-05-2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복수의 검침값을 가지는 열량계, 중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86229B1 (ko) * 2017-11-16 2018-08-08 주식회사 위지트에너지 적산 열량계 및 이를 이용한 소비 열량 산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4951C2 (ru) Измеритель скорости потока, работающий по принципу дифференцированного давления, с резервными датчиками давления, позволяющими обнаружить отказ датчиков и снижение производительности
KR102148137B1 (ko) 세대 급수온도 센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열량 측정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737169B1 (ko) 통합형 난방제어시스템
KR101738047B1 (ko) 복수의 검침값을 가지는 열량계, 중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06373A (ko) 기계실 열사용량과 원격 검침 데이터를 이용한 열량계의 고장 진단 시스템
JP2016211838A (ja) 燃焼最適化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574708B1 (ko) 원격 검침 열량계, 그의 동작 방법 및 시스템
JP2016223690A (ja) ガス発電システム
KR102148136B1 (ko) 탱크 급수온도 센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열량 측정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886229B1 (ko) 적산 열량계 및 이를 이용한 소비 열량 산출 방법
US1003150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degradation in climate control system performance
KR20160139105A (ko) 급탕계량기, 그 계측방법 및 급탕관리서버
WO2010041456A1 (ja) ガス遮断装置
JP2012113581A (ja) 流量制御システムの異常監視方法
DK200101658A (da) Metode til afprøvning af varmesystem
KR101263240B1 (ko) 적산열량계의 측정값을 이용한 오차 보정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4330103A (zh) 一种恒温恒湿系统故障检测装置
KR101284606B1 (ko) 인버터 부스터 펌프 시스템
JPH07167495A (ja) 複合熱源器を備えた大能力給湯システムにおける温度センサのセルフチェック方法
KR102082405B1 (ko) 급탕계량기
KR101673476B1 (ko) 보일러 내 각종 센서의 접지 임피던스 자동 매칭장치 및 그 방법
WO2019098424A1 (ko) 열량 측정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6114311A (ja) 温水ボイラ
KR20220032160A (ko) 열량계, 열량계를 진단하는 중계기 및 서버
WO2019098425A1 (ko) 적산 열량계 및 이를 이용한 소비 열량 산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