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987B1 -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에어캡 및 이를 이용한 에어캡 제품 - Google Patents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에어캡 및 이를 이용한 에어캡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987B1
KR101885987B1 KR1020170018595A KR20170018595A KR101885987B1 KR 101885987 B1 KR101885987 B1 KR 101885987B1 KR 1020170018595 A KR1020170018595 A KR 1020170018595A KR 20170018595 A KR20170018595 A KR 20170018595A KR 101885987 B1 KR101885987 B1 KR 101885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p
bio
plastic film
produc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979A (ko
Inventor
박은진
최혜민
문상권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US16/314,53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90225763A1/en
Priority to PCT/KR2017/006848 priority patent/WO2018004257A1/ko
Priority to CN201780041011.6A priority patent/CN109415569A/zh
Publication of KR20180003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7/00Compositions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08L97/02Lignocellulosic material, e.g. wood, straw or bagas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olefins obtained by a metallocene or single-site cataly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gases, e.g. oxygen absorbers or desicc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C08K11/005Waste materials, e.g. treated or untreated sewage sludg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pap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32B2262/0284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6Vegetal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32B2266/0228Aromatic vinyl resin,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Polyolef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7Polyam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85Condensation resins of aldehydes, e.g. with phenols, ureas, melam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B32B2471/04M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3/00Packaging equipment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553/02Shock absorbing
    • B32B2553/026Bubble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 B32B2607/02Wall papers, wall cove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J23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Abstract

본 출원은 식품 부산물인 소맥피를 포함한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에어캡 및 이를 이용한 에어캡 제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에어캡 및 이를 이용한 에어캡 제품 {A BIO PLASTIC FILM, AIR CAP AND AN AIR CAP PRODUCT USING THEREFROM}
본 출원은 식품 부산물인 소맥피를 포함한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에어캡 및 이를 이용한 에어캡 제품에 관한 것이다.
택배 배송 과정에서 물건의 손상을 막기 위해서 택배 포장을 하게 되는데, 그 중 의류용 택배 포장의 경우, 1) 부직포 소재를 이용한 행거 타입의 슈트 케이스로 포장하는 방식 2) 투명 폴리비닐로 1차 포장을 하고, 박스에 넣어 포장하는 방식, 3) 투명 폴리비닐로 1차 포장하고, 불투명 폴리비닐에 포장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1) 부직포 소재를 이용한 행거 타입의 슈트 케이스로 포장하는 방식은 코트나 정정류와 같이 옷이 구겨지면 안 되는 의류의 경우에 주로 사용되며, 행거 타입의 슈트 케이스 형태로 포장 운송된다. 이러한 포장 방식에는 포장재로서 PET 계열을 부직포 소재를 슈트 케이스 형태로 가공한 뒤 의류의 확인 및 운송장 부착이 용이하도록 투명필름을 부착하여 외포장을 완성한다.
그리고 2) 박스에 넣어 포장하는 방식이나 3) 불투명 폴리비닐에 포장하는 방식의 경우 쉽게 구겨지지 않는 의류의 경우에 이용가능하며, 제품을 접어서 넣게 되므로 원가 측면에서는 1) 행거 타입의 슈트 케이스로 포장하는 방식에 비하여 2) 박스에 넣어 포장하거나 3) 불투명 폴리비닐에 포장하는 방식이 60%이상 저렴하다.
다만, 최근 온라인을 통한 물건 구매가 급증하면서 구매한 물건을 배송하는 택배 시장도 크게 증가하였고, 그로 인해 택배 포장재의 사용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현재까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9271호에서는 평면필름과 엠보싱 필름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재질의 필름을 사용하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공보 제20-2013-0006038호에서는 저밀도 에틸렌으로 엠보싱을 형성한 엠보싱 캡시트의 일면에 고밀도폴리에틸렌으로 평편하게 성형한 베이스시트필름이 밀착 성형되는 것과 같이 종래의 택배 포장재는 석유 유래의 플라스틱 제품을 사용한 것으로 사용한 택배 포장재는 분리수거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를 소각, 매립하는 경우 유독가스가 발생하여 대기오염을 유발하고, 매립공간의 부족 및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식물 유래의 부산물을 사용한 플라스틱 조성물 개발, 활용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기존의 플라스틱 조성물과 비교하여 신장률, 인장강도 등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기존의 설비를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현재까지도 환경오염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물성이 저하되지 않는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에어캡 제품이 요구되어 왔다.
KR 10-2016-0029271 A1 KR 20-2013-0006038 U1
본 출원은 환경오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식물 유래의 부산물을 사용한 플라스틱 조성물로서 종래 석유 유래 플라스틱 제품에 비하여 물성이 저하되지 않는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및 에어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상기 에어캡 및 부재료를 이용한 에어캡 제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폴리올레핀계 수지, 소맥피 함유 조성물 및 제습제를 포함하는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부틸렌 및 폴리메틸펜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PE) 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PE)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전체 중량 기준 85 ~ 9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의 종류 및 범위 외에는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의 물성이 고르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맥피 함유 조성물은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전체 중량 기준 2 ~ 8 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소맥피 함유 조성물은 제 2 폴리올레핀계 수지, 소맥피, 왁스, 무기물 필러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부틸렌 및 폴리메틸펜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PE)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틸렌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은 메탈로센(Metallocene) 촉매 및 지글러 나타(Zeiggler-Natta) 촉매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촉매하에서 반응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메탈로센(Metallocene) 촉매일 수 있다. 상기 메탈로센 촉매는 지글러 나타 촉매와 달리 단일활성점을 가지고 있고, 단일활성점 촉매 기술로 고분자 구조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특정 합성 과정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다. 특히 M-PE는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합성한 PE를 말한다. M-PE는 다른 PE보다 가공성과 품질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또한, 제2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소맥피 함유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 40 ~ 7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40 중량%보다 적은 경우 조성물의 혼합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고, 필름 제조 시 물성이 고르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70중량%보다 많은 경우 조성물에서 소맥 고유의 컬러가 유지되지 않고, 탄소저감 효과가 미미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범위의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포함되어 조성물이 소맥 고유의 컬러가 유지되면서 필름 제조 시 소맥의 기포가 발생하지 않고, 기존 플라스틱 계열 필름과 동일한 외관,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맥피는 바이오 매스 중 밀가루 생산 후 남은 부산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맥피의 크기는 5 ~ 30㎛, 바람직하게는 10 ~ 25㎛일 수 있다. 상기의 소맥피 크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 분말이 날려서 작업성이 나빠져 수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범위보다 큰 경우 조성물의 용융 지수(MI)가 높아져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펠릿의 경도가 일정하지 못하고, 이를 이용하여 필름 제조 시 필름 가공성이 낮아 홀(hole)이 발생하거나, 필름 물성 (씰링강도, 인장강도, 신율 등)에 편차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소맥피의 입자 균일도 PDI (polydipersity index)값은 2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일 수 있다. PDI는 입자 균일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직경의 표준편차/직경의 평균의 제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소맥 사이즈의 균일도가 상기 범위 이상일 경우 소맥피 함유 조성물의 물성이 고르지 않으며, 분산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맥피는 1 ~ 10%의 수분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의 소맥피 수분함량 범위 보다 낮은 경우 소맥피 가공 공정이 비효율적이고, 범위보다 큰 경우 제조된 조성물의 물성이 나쁘고, 필름 가공정도가 낮아진다.
상기 소맥피는 소맥피 함유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 10 ~ 3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의 범위보다 적은 경우 소맥피 함유 조성물에서 소맥피 고유의 컬러가 발현되지 않을 수 있고, 범위보다 많은 경우에는 미세 크기의 소맥피가 소맥피 함유 조성물 제조과정 중 뭉쳐 기포를 포함할 수 있어 소맥피 함유 조성물로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 시 홀(hole)을 발생시키거나, 제조된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의 물성(씰링강도, 인장강도, 신장율 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소맥피 함유 조성물은 상기 범위의 소맥피가 포함되어 소맥 고유의 컬러가 발현되면서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제조 시 기포가 발생하지 않고, 종래 석유 유래 필름과 동일한 물성,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왁스는 소맥피와 폴리올레핀 수지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며 파라핀 왁스, 유동 파라핀 왁스, 밀납, 몰다 왁스, 칸데릴라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왁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왁스(LDPE WAX)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왁스(HDPE WAX)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왁스는 상기 소맥피 함유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 10 ~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기물 필러는 탄산칼슘, 실라카, 마이카 및 탈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가격이 저렴한 탄산칼슘(CaCO3)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물 필러는 소맥피 함유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 5 ~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보다 적게 포함되는 경우 물성저하와 생산단가가 높아질 수 있고, 상기 범위보다 많이 포함되는 경우 소맥피 함유 조성물 및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의 물성이 나빠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소맥피 표면을 코팅하고 왁스나 폴리올레핀등과 잘 혼합할 수 있게 하며 소맥피가 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스테아린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아라키드산, 올레인산, 리놀렌산 및 경화지방산과 같은 지방산,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솔비톨과 같은 폴리올 계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소맥피 함유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 0.5 ~ 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가 0.5 중량% 미만일 경우 계면활성제의 효과가 미미하며, 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인장 강도 등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물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나타낸다.
상기 제습제는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활성알루미나 등이 있으나, 그 제한이 없이 사용가능하다. 상기 제습제는 소맥피 함유 조성물 내 수분을 흡수하여 필름 제조 시 기포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을 에어캡으로 성형할 때 제습제 첨가로 기포발생을 억제하여야 불량이 생기지 않는다. 상기 제습제는 바이오 필름 전체 중량 기준 3 ~ 8 중량%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범위 보다 적게 제습제를 사용할 경우 첨가제의 기능이 발현되지 않고, 범위 보다 많이 제습제를 사용할 경우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의 물성이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은 종래의 석유 유래 플라스틱 필름을 대체할 수 있는 물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의 씰링강도는 0.7 ~ 1.0kgf이며 찌름강도는 0.13 ~ 0.19kgf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은 1) 제1 폴리올레핀 수지에 소맥피를 함유한 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 2) 제습제를 더 혼합하는 단계 및 3) 상기 혼합물을 티 다이 설비에 토출하여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은 상기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는 에어캡을 제공한다.
상기 에어캡은 씰링강도가 1.5 ~ 2.1kgf이며 내압강도는 0.05 ~ 0.07kgf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캡은 1) 제1 폴리올레핀 수지에 소맥피를 함유한 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 2) 제습제를 더 혼합하는 단계, 3) 상기 혼합물을 티 다이 설비에 토출하여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이 에어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캡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캡 형성하는 단계는 제1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111)과 제2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112)이 동시에 에어캡 성형롤을 통과하는 방식으로 에어캡(110)을 제조할 수 있다 (도 5 참조).
그리고 본 출원은 상기 에어캡 (110)과 부재료 (130)가 합지된 에어캡 제품(100)을 제공한다.
상기 부재료 (130)는 종이, 필름, 발포 폼, 부직포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부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종이는 크라프트 종이, 한지 또는 폴리에틸렌 코팅된 크라프트 종이나 한지일 수 있고, 상기 필름은 나일론, 셀로판, 셀룰로오스,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니리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마이드, 폴리비닐알콜, 폴리우레탄, 아크릴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메틸펜텐 중 선택된 하나 일 수 있으며, 인쇄된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발포 폼은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페놀수지, 폴리염화 비닐, 폴리 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메틸펜텐일 수 있고 상기 부직포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선택될 하나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에어캡 (110)과 부재료 (130)는 점착재료로 형성되는 점착층(120)에 의해서 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재료는 공지의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캡 제품의 완충, 단열, 방음의 기능을 이용하여 포장재, 벽지, 바닥재, 매트, 보온 덮개, 내장재, 조형물, 피복류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장재로서 포장 봉투, 포장 상자에 사용될 수 있고, 매트로서 깔개에 사용될 수 있으며, 피복류로서 의류, 양말 및 모자 중 선택된 하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에어캡 제품의 일 예시로 애어캡 제품의 부재료로서 크라프트 종이 또는 폴리에틸렌 코팅된 크라프트 종이를 사용할 경우 크라프트 에어캡 택배용 의류 포장재가 될 수 있다 (도 7a 참조). 크라프트 종이는 택배 유통 시의 충격을 견디면서 에어캡이 완충재로서 충격을 흡수하므로 박스포장을 대체할 수 있다. 더욱이 완충재가 포장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옷을 펼쳐 행거 형태로 운송할 수 있으므로 옷 구김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종래의 부직포 슈트케이스 대비 30%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에어캡 제품의 부재료로서 한지 또는 폴리에틸렌 코팅된 한지를 이용하면, 한지 에어캡 택배용 의류 포장재가 될 수 있다 (도 7b참조). 한지를 부재료로 사용할 경우 한지의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인해 고급스러운 택배 포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에어캡이 완충재로서 유통 중 발생 가능한 충격 강도를 흡수하므로, 박스나 불투명 비닐백 포장을 대체할 수 있다. 더욱이 완충재가 포장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옷을 펼쳐서 행거 형태로 운송할 수 있으므로, 옷 구김을 방지할 수 있고, 종래의 부직포 슈트케이스 대비하여 20%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에어캡 제품의 부재료로서 인쇄된 필름을 이용하면, 형상이 유지되는 에어캡 택배용 의류 포장재가 될 수 있다 (도 7c 참조). 표면에 인쇄된 내용으로 홍보가 가능하며,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택배 포장으로 적정하고, 에어캡이 완충재로서 유통 중 발생 가능한 충격 강도를 흡수하므로, 불투명 비닐백 포장을 대체할 수 있다. 더욱이 완충재가 포장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옷을 펼쳐서 행거 형태로 운송할 수 있으므로, 옷 구김을 방지할 수 있고, 기존 부직포 슈트케이스 대비하여 40%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예시로 에어캡 제품의 부재료로서 발포폼을 이용하면, 형상이 유지되는 에어캡 택배용 의류 포장재가 된다 (도 7d 참조). 완충재 제작 시 Single Cap 이 아닌 Double Cap으로 형성되어 (도 4 참조), 표면 인쇄가 가능하고, 발포 폼이 내측으로 층을 구성하여, 완충재와 발포폼이 유통 중 발생 가능한 충격 강도를 흡수하므로, 모든 의류 포장을 대체할 수 있다. 완충재와 발포폼이 포장 형태를 유지하게 하여 옷을 펼쳐서 행거 형태로 운송할 수 있으므로, 옷 구김을 방지할 수 있고, 옷의 구김 방지 효과가 확실한 대신, 기존 부직포 슈트케이스 대비하여 5~10%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캡 제품은 에어캡 (110)에 점착재료로 형성된 점착층 (120) 및 부재료 (130)를 라미네이션 하여 에어캡 제품 (100)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라미네이션은 공지의 방법으로 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부재료가 크라프트 종이, 한지인 경우 열 라미네이션일 수 있고, 부재료가 필름인 경우 드라이 라미네이션일 수 있으며, 부재료가 발포 폼인 경우 저온 라미네이션일 수 있다 (도 5 참조).
본 출원에 따르면 석유계 플라스틱 소재의 함량을 적게 사용하여 탄소저감이 가능하고 종래 석유 유래 플라스틱 제품에 비하여 물성이 저하되지 않으므로 기존의 설비를 사용하여 생산할 수 있고, 소맥 고유의 컬러를 가진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기존의 에어캡을 대체할 수 있는 에어캡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르면 종래 석유 유래의 에어캡 제품을 대체하여 완충, 단열, 방음효과를 가져 포장재(포장 봉투, 포장 상자), 벽지, 바닥재, 매트(깔개), 보온 덮개, 내장재, 조형물, 피복류(의류, 양말, 모자)에 사용할 수 있으면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에어캡 제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과 에어캡을 제조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에어캡 (왼쪽)과 종래 폴리에틸렌으로 제작된 에어캡 (오른쪽)을 비교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에어캡 제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에어캡 제품을 행거 타입의 슈트 케이스로 제조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에어캡 제품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Single cap의 단면도와 Double cap의 단면도를 비교한 것이다.
도 7은 실시예 7 내지 10의 에어캡 제품을 나타낸 사진으로서, 도 7a는 부재료로서 폴리에틸렌 코팅된 크라프트 종이를 사용한 에어캡 제품을 나타낸 것이고, 도 7b는 부재료로서 폴리에틸렌 코팅된 한지를 사용한 에어캡 제품을 나타낸 것이며, 도 7c는 부재료로서 인쇄 필름을 사용한 에어캡 제품을 나타낸 것이고, 도 7d는 부재료로서 발포 폼을 사용한 에어캡 제품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본 출원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 예시만을 개시하는 것이므로, 본 출원의 범위가 실시예의 범위로 한정되지 않는다.
< 실시예 >
1. 실시예 1 및 2: 소맥피를 함유한 조성물의 제조
소맥피를 ACM 분쇄기에서 100~200RPM으로 Blade의 모터를 조절하여 자동 건조시켜 수분율을 7% 이하로 분쇄하고 분쇄된 미립자를 분급하여 15㎛, PDI=1인 분말을 생성한 뒤 15㎛, PDI=1인 소맥피 분말 15중량%에 펠렛 또는 파우더 형태의 폴리에틸렌(PE) 60중량%, 충전제로 탄산칼슘 10중량% 및 왁스(LDPE 6중량% 및 HDPE 8중량%) 14중량% 및 계면활성제 1중량%를 160℃~200℃에서 소맥피가 타지 않게끔 온도를 조절하며, 가열혼합하여 실시예 1의 소맥피를 함유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방법에서 소맥피 25중량%과 펠렛 또는 파우더 형태의 폴리에틸렌(PE) 50중량%를 사용하여 실시예 2의 소맥피를 함유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 실시예 3 및 4: 제습제 함유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의 제조
실시예 2의 소맥피 함유 조성물로 제조된 펠릿 25중량% 폴리에틸렌 70중량% (LLDPE 60중량% 및 LDPE 10 중량%)를 혼합하고 혼합물 전체 중량대비 5중량%의 제습제를 더 혼합하고 필름 성형하여 실시예 3의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의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과 동일한 제조방법에서 제습제를 사용하지 않고 혼합, 필름 성형하여 실시예 4의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하였다.
3. 실험예 1: 제습제 함유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의 물성 비교
제습제 함유량이 차이 나는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의 에어캡 이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씰링강도 및 찌름강도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제습제 함유량에 따른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의 물성 비교
실시예 3 실시예 4
제습재 함량 5 중량% 0
씰링강도(kgf) 0.8936 0.9832
찌름강도(kfg) 0.15 0.1618
표 1과 같이 제습제를 5중량% 포함하였을 때는 그렇지 않을 때 보다 씰링강도는 9% 저하되고 찌름강도는 7.3% 저하되나 본 출원의 제습제를 포함한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또한 에어캡으로 제조, 사용되기에 적정한 물성을 보여주어 탄소 저감되고 포장재 내의 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에어캡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 실시예 5 및 6: 에어캡의 제조
실시예 3 및 4의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이 성형롤을 통과하면서 다른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에 부착시켜 에어캡을 형성한 뒤 냉각하여 실시예 5 및 6의 에어캡을 제조하였다.
5. 비교예 1: 기존의 석유 제품 유래 에어캡의 제조
실시예 5와 동일한 제조방법에서 소맥피를 함유한 조성물의 사용 없이 폴리에틸렌만 95중량%와 제습제 5중량%를 혼합하여 필름을 제조하고 에어캡을 제조하였다.
6. 실험예 3: 기존의 에어캡과 본 출원의 에어캡 물성 비교
본 출원의 에어캡이 기존의 석유 제품 유래 에어캡을 대체할 수 있는 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5 및 6과 비교예 1의 에어캡의 씰링강도와 내압강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3에 나타내었다.
기존의 에어캡과 본 출원의 에어캡 물성 비교
비교예 1 실시예 5 실시예 6
씰링강도(kgf) 2.065 1.721 1.564
내압강도(Mpa) 0.068 0.063 0.059
기존의 석유 유래 플라스틱 필름인 비교예 1와 비교하여 본 출원의 에어캡의 씰링강도 및 내압강도가 다소 저하되었으나, 에어캡으로서 활용 가능한 물성범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7. 실시예 7 내지 10: 에어캡 제품의 제조
실시예 5의 에어캡에 점착재료 및 부재료를 라미네이션 하여 에어캡 제품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부재료로서 폴리에틸렌 코팅된 크라프트 종이, 폴리에틸렌 코팅된 한지를 사용하고 열 라미네이션하여 실시예 7 및 8의 에어캡 제품을 제조하였고 (도 7a 및 b), 부재료로서 인쇄 필름을 사용하고 드라이 라미네이션하여 실시예 9의 에어캡 제품을 제조하였으며 (도 7c), 부재료로서 발포 폼을 사용하고 저온 라미네이션하여 실시예 10의 에어캡 제품을 제조하였다 (도 7d).
실시예 7 내지 10의 에어캡 제품은 기존 부직포 슈트케이스 대비하여 5 내지 40%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고, 에어캡을 통해 포장 형태를 유지하며 유통 중 발생 가능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00: 에어캡 제품
110: 에어캡
111: 제 1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112: 제 2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120: 점착층
130: 부재료

Claims (12)

  1. 제 1 폴리올레핀계 수지, 소맥피 함유 조성물 및 실리카겔, 활성알루미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제습제를 포함하는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상기 소맥피 함유 조성물은 제 2 폴리올레핀계 수지, 소맥피, 왁스, 무기물 필러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상기 제습제는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전체 중량 기준 3 ~ 8 중량% 포함되는 것인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부틸렌 및 폴리메틸펜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인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전체 중량 기준 85 ~ 95 중량% 포함되는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맥피 함유 조성물은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전체 중량 기준 2 ~ 8 중량% 포함되는 것인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맥피는 5~30㎛, PDI 2이하의 크기로 소맥피 함유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 10 ~ 30중량% 함유하는 것인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의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는 에어캡.
  10. 제 9항의 에어캡과 부재료를 합지한 에어캡 제품.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료는 종이, 필름, 발포 폼, 부직포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에어캡 제품.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캡 제품의 용도는 포장재, 벽지, 바닥재, 매트, 보온 덮개, 내장재, 조형물 또는 피복류인 것인 에어캡 제품.
KR1020170018595A 2016-07-01 2017-02-10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에어캡 및 이를 이용한 에어캡 제품 KR101885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314,530 US20190225763A1 (en) 2016-07-01 2017-06-28 Bioplastic film, bubble film, and bubble film product using same
PCT/KR2017/006848 WO2018004257A1 (ko) 2016-07-01 2017-06-28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에어캡 및 이를 이용한 에어캡 제품
CN201780041011.6A CN109415569A (zh) 2016-07-01 2017-06-28 生物塑料膜、泡膜和使用其的泡膜产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83392 2016-07-01
KR1020160083392 2016-07-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979A KR20180003979A (ko) 2018-01-10
KR101885987B1 true KR101885987B1 (ko) 2018-08-06

Family

ID=60998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595A KR101885987B1 (ko) 2016-07-01 2017-02-10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에어캡 및 이를 이용한 에어캡 제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225763A1 (ko)
KR (1) KR101885987B1 (ko)
CN (1) CN10941556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5616A (ko) 2019-05-23 2020-12-03 김태형 재활용이 용이한 에어캡 백 및 그 제조장치
KR102233979B1 (ko) 2020-05-21 2021-04-01 주식회사 코리아에어캡 생분해성 에어캡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77830A (ko) 2019-12-17 2021-06-28 권영종 바이오매스-유래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탄소중립형 친환경 에어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7340B1 (ko) 2020-12-04 2021-07-15 주식회사 코리아에어캡 가공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에어캡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9123B1 (ko) 2021-09-14 2022-05-18 박규현 친환경 에어캡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2230A1 (ko) * 2017-03-31 2018-10-04 씨제이제일제당(주) 의류 포장재, 이에 사용되는 에어캡 및 이들의 제조방법
CN107690449A (zh) * 2017-07-17 2018-02-13 Cj第制糖株式会社 包含麦麸的生物塑料组合物及使用其的生物塑料膜
KR102162489B1 (ko) * 2019-04-25 2020-10-06 김재화 고충격용 공기캡 제조방법
WO2022114882A1 (ko) * 2020-11-27 2022-06-02 주식회사 동성케미컬 폐쇄형 셀층을 갖는 시트
WO2022114879A1 (ko) * 2020-11-27 2022-06-02 주식회사 동성케미컬 폐쇄형 셀층을 갖는 시트
WO2022114877A1 (ko) * 2020-11-27 2022-06-02 주식회사 동성케미컬 폐쇄형 셀층을 갖는 시트
WO2022114880A1 (ko) * 2020-11-27 2022-06-02 주식회사 동성케미컬 폐쇄형 셀층을 갖는 시트
WO2024061764A1 (en) * 2022-09-20 2024-03-28 Astortec Ag Spacer for separating surfaces of adjacent articl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448B1 (ko) * 2012-07-31 2012-09-19 김미순 식품포장용 항균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신선도 유지 및 세균성 부패 억제 항균 필름
US20140079935A1 (en) 2012-09-20 2014-03-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exible Thermoplastic Films And Articles
KR101612429B1 (ko) 2015-05-04 2016-04-15 주식회사 브러시월드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1276A (en) * 1965-10-23 1967-05-23 Owens Illinois Inc Preparation of silica gel
US5281681A (en) * 1990-12-27 1994-01-25 Exxon Chemical Patents Inc. Photodegradable and biodegradable polyethylene
US8268913B2 (en) * 2008-06-30 2012-09-18 Fina Technology, Inc. Polymeric blend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200470296Y1 (ko) 2012-04-09 2013-12-06 김종암 포장용 에어캡
KR101525658B1 (ko) * 2013-02-21 2015-06-03 씨제이제일제당 (주) 식품부산물인 소맥피 또는 대두피를 활용한 바이오 매스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매스 필름
KR20150012804A (ko) * 2013-07-26 2015-02-04 주식회사 뉴랩 식물체 바이오매스를 함유하는 박막형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73593A (ko) * 2013-12-23 2015-07-0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맥피를 이용한 탄소중립형 고강도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1634076B1 (ko) * 2014-02-17 2016-06-28 씨제이제일제당(주)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시트용 조성물, 친환경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980586A (zh) * 2014-03-27 2014-08-13 深圳市品创源实业有限公司 生物降解塑料膜的组合物及生物降解塑料膜的制备方法
KR101608001B1 (ko) 2014-09-05 2016-03-31 (주)다호피앤씨 이중 에어캡 구조의 완충 포장재
CN104448468B (zh) * 2014-11-06 2016-08-24 国家林业局竹子研究开发中心 一种生物炭基塑料膜材料及其制备方法
CN105690784A (zh) * 2016-01-28 2016-06-22 海宁长昆包装有限公司 一种高张力双重塑化成型bopp薄膜的制造工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448B1 (ko) * 2012-07-31 2012-09-19 김미순 식품포장용 항균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신선도 유지 및 세균성 부패 억제 항균 필름
US20140079935A1 (en) 2012-09-20 2014-03-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exible Thermoplastic Films And Articles
KR101612429B1 (ko) 2015-05-04 2016-04-15 주식회사 브러시월드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수지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5616A (ko) 2019-05-23 2020-12-03 김태형 재활용이 용이한 에어캡 백 및 그 제조장치
KR20210077830A (ko) 2019-12-17 2021-06-28 권영종 바이오매스-유래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탄소중립형 친환경 에어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3979B1 (ko) 2020-05-21 2021-04-01 주식회사 코리아에어캡 생분해성 에어캡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77340B1 (ko) 2020-12-04 2021-07-15 주식회사 코리아에어캡 가공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에어캡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9123B1 (ko) 2021-09-14 2022-05-18 박규현 친환경 에어캡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25763A1 (en) 2019-07-25
KR20180003979A (ko) 2018-01-10
CN109415569A (zh) 2019-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987B1 (ko)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에어캡 및 이를 이용한 에어캡 제품
US11807440B2 (en) Compostable or recyclable packaging wrap
CN1296432C (zh) 乳酸基树脂组合物
US7083673B2 (en) Biodegradable or compostable containers
KR101304144B1 (ko) 생분해성 시트
CN104004250B (zh) 用于生物质膜的组合物和使用该组合物的生物质膜
CN100404246C (zh) 生物降解性薄膜
CN105966014A (zh) 一种全生物降解复合材料
US20070148384A1 (en) Processes for filming biodegradable or compostable containers
KR101299358B1 (ko) 발포층을 갖는 생분해성 시트
KR101548831B1 (ko) 생분해성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7515757A (ja) 食品包装用発泡トレ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25365B1 (ko)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발포플라스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497713B (zh) 微孔保鲜膜
KR101165342B1 (ko) 이지필 용기
CN102947374A (zh) 包含除氧剂的可生物降解聚合物制品
KR200473372Y1 (ko)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하는 친환경 바닥재 및 벽지
KR20100093466A (ko) 폴리락타이드 코팅된 판지
WO2018004257A1 (ko)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에어캡 및 이를 이용한 에어캡 제품
JP2009293009A5 (ko)
KR20120127115A (ko) Pla 수지를 이용한 생분해성 시트
KR101743966B1 (ko) 전자선 조사를 통해 배리어성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킨 고기능성 복합필름
JP4893978B2 (ja) 脱酸素性容器
CN107915885A (zh) 一种高强度环保降解塑料薄膜
KR101305741B1 (ko) 보드층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