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296Y1 - 포장용 에어캡 - Google Patents
포장용 에어캡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0296Y1 KR200470296Y1 KR2020120002880U KR20120002880U KR200470296Y1 KR 200470296 Y1 KR200470296 Y1 KR 200470296Y1 KR 2020120002880 U KR2020120002880 U KR 2020120002880U KR 20120002880 U KR20120002880 U KR 20120002880U KR 200470296 Y1 KR200470296 Y1 KR 20047029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nsity polyethylene
- cap
- embossed
- product
- embossing
- Prior art date
Links
- 229920001684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4702 low-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4700 high-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29920001903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1391944 Commicarpus scand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07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용 에어캡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밀도폴리에틸렌으로 엠보싱을 형성한 엠보싱캡시트의 일면에 고밀도폴리에틸렌으로 평편하게 성형한 베이스시트필름이 밀착 성형되어, 제품포장봉투를 만들어 제품을 밀어넣을 때 제품이 잘 들어가고, 외부의 높은 온도에서도 강하여 변형이 쉽게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품포장봉투를 가공시 접착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우수하고, 파손되지 않으며, 쿠션력이 좋아 제품을 보호하기 용이하게 되는 한편,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포장용 에어캡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포장용 에어캡은, 저밀도폴리에틸렌 공급압출기로 공급되는 저밀도폴리에틸렌으로 엠보싱을 갖춘 성형롤러에 의해 엠보싱을 성형한 상태로 형성한 엠보싱캡시트와, 이 엠보싱캡시트의 일면에 밀착되는 베이스시트필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시트필름은 저밀도폴리에틸렌 공급압출기와는 별도로 구비된 고밀도폴리에틸렌 공급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고밀도폴리에틸렌이 엠보싱캡시트와 밀착 성형된 되는 한편, 상기 엠보싱캡시트의 타면에도 저밀도폴리에틸렌 공급압출기와는 별도로 구비된 고밀도폴리에틸렌 공급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고밀도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베이스시트필름이 더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포장용 에어캡은, 저밀도폴리에틸렌 공급압출기로 공급되는 저밀도폴리에틸렌으로 엠보싱을 갖춘 성형롤러에 의해 엠보싱을 성형한 상태로 형성한 엠보싱캡시트와, 이 엠보싱캡시트의 일면에 밀착되는 베이스시트필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시트필름은 저밀도폴리에틸렌 공급압출기와는 별도로 구비된 고밀도폴리에틸렌 공급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고밀도폴리에틸렌이 엠보싱캡시트와 밀착 성형된 되는 한편, 상기 엠보싱캡시트의 타면에도 저밀도폴리에틸렌 공급압출기와는 별도로 구비된 고밀도폴리에틸렌 공급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고밀도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베이스시트필름이 더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포장용 에어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밀도폴리에틸렌으로 엠보싱을 형성한 엠보싱캡시트의 일면에 고밀도폴리에틸렌으로 평편하게 성형한 베이스시트필름이 밀착 성형되어, 제품포장봉투를 만들어 제품을 밀어넣을 때 제품이 잘 들어가고, 외부의 높은 온도에서도 강하여 변형이 쉽게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품포장봉투를 가공시 접착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우수하고, 파손되지 않으며, 쿠션력이 좋아 제품을 보호하기 용이하게 되는 한편, 제조비용이 저렴하도록 된 포장용 에어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캡이란 합성수지 필름 사이에 공기를 주입·압축하여 공기층을 필름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시킨 것으로 에어캡 필름은 특정한 상품의 제한 없이 파손되기 쉬운 제품의 완충을 필요로 하는 경우 주로 사용되며, 에어캡필름 제작에는 주로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이 주로 사용된다.
에어캡은 상기에 서 기술한 바와 같이 파손되기 쉬운 제품의 완충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포장재로 주로 사용되나, 공기층의 단열 효과를 이용하여 단열재로 개발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
이러한 종래의 포장용 에어캡은 등록실용신안 제20-0267371호로 "에어캡 완충시트 제조장치 및 완충시트"가 공지되어 있는바, 등록실용신안 제20-0267371호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지공급부(100)에서 히터(120)의 선단에 형성된 2개의 토출구로 저밀도폴리에틸렌(LDPE)가 토출되면서 엠보싱홈이 형성됨과 더불어 공기를 빨아들이도록 된 성형롤러(180)와 냉각롤러(220)의 사이로 공급되면 엠보싱캡시트와 베이스시트필름가 접착되어 성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히터(120)에 각각 형성한 토출구로 배출되는 시트가 성형롤러(180)와 냉각롤러(220)의 사이로 공급되어 에어캡이 성형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에어캡은 엠보싱을 형성한 엠보싱캡시트와 이 엠보싱캡시트의 일면에 부착되는 베이스시트필름이 모두 저밀도폴리에틸렌으로 밀착성형 제조되므로, 제품포장봉투를 만들어 제품을 밀어넣을 때 마찰력이 높아 제품이 잘 들어가지 않고, 외부의 높은 온도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며, 제품포장봉투를 가공시 접착이 어려워 작업성이 나쁘다.
또한 상술한 에어캡은 파손이 쉽고, 연성이 높아 충격이 집중되므로 쿠션력이 부족하여 제품을 보호하기가 쉽지 않게 되는 한편, 원재료인 저밀도폴리에틸렌의 가격이 높아 제조비용도 높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저밀도폴리에틸렌을 히터로 가열하여 엠보싱이 형성된 성형롤러에 공급하여 제조된 엠보싱캡시트의 일면에 고밀도폴리에틸렌을 히터로 가열하여 냉각롤러로 공급하여 제조된 베이스시트필름이 접착되어 제조되므로, 제품포장봉투를 만들어 제품을 밀어넣을 때 제품이 잘 들어가고, 외부의 높은 온도에서도 강하여 변형이 쉽게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품포장봉투를 가공시 접착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우수하고, 파손되지 않으며, 쿠션력이 좋아 제품을 보호하기 용이하게 되는 한편, 제조비용이 저렴하도록 된 포장용 에어캡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고밀도폴리에틸렌을 성형한 베이스시트필름이 엠보싱캡시트의 양쪽면에 모두 밀착성형되어, 완충효과가 더욱 우수하도록 된 포장용 에어캡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포장용 에어캡은, 저밀도폴리에틸렌 공급압출기로 공급되는 저밀도폴리에틸렌으로 엠보싱을 갖춘 성형롤러에 의해 엠보싱을 성형한 상태로 형성한 엠보싱캡시트와, 이 엠보싱캡시트의 일면에 밀착되는 베이스시트필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시트필름은 저밀도폴리에틸렌 공급압출기와는 별도로 구비된 고밀도폴리에틸렌 공급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고밀도폴리에틸렌이 저밀도폴리에틸렌으로 성형한 상기 엠보싱캡시트와 밀착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엠보싱캡시트의 타면에도 저밀도폴리에틸렌 공급압출기와는 별도로 구비된 고밀도폴리에틸렌 공급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고밀도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베이스시트필름이 더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포장용 에어캡에 의하면, 저밀도폴리에틸렌으로 엠보싱을 형성한 엠보싱캡시트의 일면에 고밀도폴리에틸렌으로 평편하게 성형한 베이스시트필름이 밀착 성형되어, 제품포장봉투를 만들어 제품을 밀어넣을 때 제품이 잘 들어가고, 외부의 높은 온도에서도 강하여 변형이 쉽게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품포장봉투를 가공시 접착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우수하고, 파손되지 않으며, 쿠션력이 좋아 제품을 보호하기 용이하게 되는 한편,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포장용 에어캡에 의하면, 엠보싱캡시트의 양쪽면에 고밀도폴리에틸렌으로 평편하게 성형한 베이스시트필름이 밀착 성형되어, 같은 두께여도 강도가 크고, 앞뒤면이 열에 강하며, 완충력이 한층 우수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에어캡의 설명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에어캡의 설명도,
도 3은 본 고안의 포장용 에어캡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4는 종래 포장용 에어캡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에어캡의 설명도,
도 3은 본 고안의 포장용 에어캡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4는 종래 포장용 에어캡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에어캡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에어캡(1000)은, 도 1과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저온의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공급압출기로 공급되는 저밀도폴리에틸렌으로 엠보싱을 갖춘 성형롤러에 의해 엠보싱(1110)을 성형한 상태로 형성한 엠보싱캡시트(1100)와, 이 엠보싱캡시트의 일면에 밀착되는 베이스시트필름(120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시트필름(1200)은 저밀도폴리에틸렌 공급압출기와는 별도로 구비된 저렴한 가격의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공급압출기로부터 고온으로 배출되는 고밀도폴리에틸렌이 저밀도폴리에틸렌으로 성형한 상기 엠보싱캡시트(1100)와 밀착 성형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도 3에서 저온의 제1압출기(2000)를 통해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이 공급되어 연결관(1410)과 블로워(1420)에 연결된 성형롤러(1400)에 의해 엠보싱(1110)이 형성된 엠보싱캡시트(1100)가 냉각롤러(1500)의 사이로 배출되고, 또 고온의 상기 제2압출기(300)를 통해 고밀도폴리에틸렌(HDPE)이 공급되어 냉각롤러(1500)와 성형롤러(1400)의 사이로 공급되므로 고밀도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베이스시트필름(1200)이 엠보싱캡시트(1100)에 밀착되어 에어캡(1000)으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고밀도폴리에틸렌(HDPE)으로 성형한 베이스시트필름(120)에 의해 에어캡(100)을 제조하므로, 제품포장봉투를 만들어 제품을 밀어넣을 때 제품이 잘 들어가고, 저밀도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되었을 경우에는 80도에서도 변형이 일어났지만 90도 정도의 높은 온도에서도 변형이 쉽게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품포장봉투를 가공시 접착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우수하고, 파손되지 않으며, 쿠션력이 좋아 제품을 보호하기 용이하게 되는 한편,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엠보싱캡시트(110)의 타면에도 저밀도폴리에틸렌 공급압출기와는 별도로 구비된 고밀도폴리에틸렌 공급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고밀도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베이스시트필름(130)이 더 밀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강도가 우수한 상기 베이스시트필름(130)에 의해 넓은 부분에 압력이 가해지므로 한층 더 완충력이 우수하게 된다.
물론 상기 베이스시트필름(1300)을 베이스시트필름(1200)과는 추가로 성형하는 것은 도 3에서 제2압출기의 반대쪽에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공급압출기를 추가로 설치하게 되면 간단하게 성형이 가능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포장용 에어캡 1100: 엠보싱캡시트
1200,1300: 베이스시트필름
1200,1300: 베이스시트필름
Claims (2)
- 저밀도폴리에틸렌 공급압출기로 공급되는 저밀도폴리에틸렌으로 엠보싱을 갖춘 성형롤러에 의해 엠보싱을 성형한 상태로 형성한 엠보싱캡시트와, 이 엠보싱캡시트의 일면에 밀착되는 베이스시트필름으로 이루어진 포장용 에어캡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시트필름(1200)은 저밀도폴리에틸렌 공급압출기와는 별도로 구비된 고밀도폴리에틸렌 공급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고밀도폴리에틸렌이 저밀도폴리에틸렌으로 성형한 상기 엠보싱캡시트(1100)와 밀착 성형되는 한편, 상기 엠보싱캡시트(1100)의 타면에도 저밀도폴리에틸렌 공급압출기와는 별도로 구비된 고밀도폴리에틸렌 공급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고밀도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베이스시트필름(1300)이 더 밀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에어캡.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2880U KR200470296Y1 (ko) | 2012-04-09 | 2012-04-09 | 포장용 에어캡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2880U KR200470296Y1 (ko) | 2012-04-09 | 2012-04-09 | 포장용 에어캡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6038U KR20130006038U (ko) | 2013-10-18 |
KR200470296Y1 true KR200470296Y1 (ko) | 2013-12-06 |
Family
ID=50750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2880U KR200470296Y1 (ko) | 2012-04-09 | 2012-04-09 | 포장용 에어캡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0296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5245B1 (ko) | 2020-03-20 | 2020-08-20 | 대영합성 주식회사 | 바이오 매스를 이용한 포장용 에어 캡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5987B1 (ko) | 2016-07-01 | 2018-08-06 | 씨제이제일제당 (주) |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에어캡 및 이를 이용한 에어캡 제품 |
KR200483600Y1 (ko) * | 2016-10-19 | 2017-06-05 | 대영합성 주식회사 | 포장용 에어 캡 |
KR102180730B1 (ko) * | 2019-01-15 | 2020-11-19 |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 식품 포장용 파우치 및 그의 제조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24947U (ko) * | 1994-02-16 | 1995-09-15 | 김경진 | 이중 완충 포장재 |
JP2010018282A (ja) * | 2008-07-08 | 2010-01-28 | Kawakami Sangyo Co Ltd | 包装用袋 |
-
2012
- 2012-04-09 KR KR2020120002880U patent/KR20047029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24947U (ko) * | 1994-02-16 | 1995-09-15 | 김경진 | 이중 완충 포장재 |
JP2010018282A (ja) * | 2008-07-08 | 2010-01-28 | Kawakami Sangyo Co Ltd | 包装用袋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5245B1 (ko) | 2020-03-20 | 2020-08-20 | 대영합성 주식회사 | 바이오 매스를 이용한 포장용 에어 캡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6038U (ko) | 2013-10-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0296Y1 (ko) | 포장용 에어캡 | |
KR101416337B1 (ko) | 에어캡 단열시트 제조장치 | |
MY159552A (en) | Continuous packing product of absorbent articles, exterior shee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ntinuous packing product of absorbent articles | |
CA2797763A1 (en) | Packaging for a tea pouch | |
CN102481753A (zh) | 充气交叉层合体及其制造方法和设备 | |
TWI404630B (ko) | ||
CN207128294U (zh) | 一种三层结构包装袋的覆合设备 | |
CN205652630U (zh) | 一种防震空气组合袋 | |
CN204957310U (zh) | 一种避光包装纸 | |
CN104443741B (zh) | 功能性瓶口封口垫片中间体及制作方法 | |
JP2008296988A (ja) | プラスチック製の空気袋緩衝材とその製造方法 | |
CN203780919U (zh) | 一种可再密封吸塑容器 | |
CN204288692U (zh) | 防加热转移标贴 | |
CN203345422U (zh) | 一种新型气囊包装袋 | |
CN206796699U (zh) | 一种耐高温气泡膜 | |
CN215795701U (zh) | 一种铝箔复合隔热气泡袋 | |
CN215473630U (zh) | 一种多层塑料复合共挤片材 | |
CN206827031U (zh) | 一种热塑胶封口机的封口结构 | |
KR200492955Y1 (ko) | 휴대용 케이스 | |
CN212322533U (zh) | 一种耐温耐压的防刮模内标签 | |
CN201111492Y (zh) | 一种热封合包装袋 | |
WO2021077376A1 (zh) | 一种新型环保纸质袋体 | |
CN214491941U (zh) | 单一材质可回收彩印包装膜袋 | |
CN210823483U (zh) | 一种纸气泡保护结构及保护袋 | |
CN100374355C (zh) | 一种塑料薄膜锁口袋及其制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