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966B1 - 전자선 조사를 통해 배리어성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킨 고기능성 복합필름 - Google Patents

전자선 조사를 통해 배리어성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킨 고기능성 복합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966B1
KR101743966B1 KR1020160013263A KR20160013263A KR101743966B1 KR 101743966 B1 KR101743966 B1 KR 101743966B1 KR 1020160013263 A KR1020160013263 A KR 1020160013263A KR 20160013263 A KR20160013263 A KR 20160013263A KR 101743966 B1 KR101743966 B1 KR 101743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density polyethylene
electron beam
low density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원
강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이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이엠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이엠아이
Priority to KR1020160013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9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08J7/123Treatment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B29C47/0021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6Coating with compositions not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96/00Use of specified macromolecular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K2001/00 - B29K2095/00, as moulding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합지되지 않은 필름 또는 합지된 필름으로 전자선을 조사하여, 필름의 배리어성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킨 고기능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선 조사를 통해 배리어성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킨 고기능성 복합필름{HIGH FUNCTIONAL MULTIPLE FILM OF IMPROVED BARRIER PROPERT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USING ELECTRON IRRADIATION}
본 발명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필름,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필름,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필름, 미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아미드(PA) 필름,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PVDC) 필름,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필름 중 선택되는 단층필름
또는 이들 단층필름 표면에 산화물을 증착시킨 증착필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2종 이상의 필름을 합지하여 이루어진 복합필름의 표면으로 전자선을 조사하여, 필름의 배리어성 및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킨 고기능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플라스틱 기판이나 필름의 표면에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규소 등의 금속 산화물의 박막을 포함하는 복수의 층을 적층해서 형성한 가스배리어성 필름은, 수증기나 산소 등의 각종 가스의 차단을 필요로 하는 물품의 포장, 예를 들어 식품이나 공업용품 및 의약품 등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한 포장 용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포장용도 이외에도, 태양 전지 소자, 유기 일렉트로 소자, 액정 표시 소자 등의 플렉시블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전개가 요망되어 많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플렉시블 전자 디바이스에서는 유리 기재 레벨의 매우 높은 가스 배리어성이나 내구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현재는 충분한 성능을 갖는 가스배리어성 필름은 아직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각종물품의 포장을 위하여 여러 가지의 수지 포장재가 사용되고 있다. 수지 포장재로는 예컨대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등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사용한 포장재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수지 포장재는 일반적으로 산소 가스배리어, 탄산 가스배리어성 등의 가스배리어성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특히, 육류, 어패류, 유제품, 김치, 된장류, 과자류, 차, 커피류, 면류, 쌀밥류 등의 식품용 포장재; 약품용 포장재; 등의 용도에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그래서 수지 포장재의 가스 배리어성 필름을 조합한 복합필름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EVOH나 폴리아미드 등의 필름은 고온, 고습하에서 가스배리어성이 대폭 열화 되기 때문에 이들 필름을 함유하는 종래의 복합필름은 레토르트 멸균과 같은 고온·고습 하에서의 처리 공정을 요하는 물품, 특별하게 장기보존을 요구하는 물품 등의 포장재로는 충분하지 못하다.
필름의 차단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는 주로 포장용도에 대하여 진행되어 왔다. 크게 고분자 자체의 특성을 개선하는 초기 방법과 이후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필름 위에 알루미늄이나 금속산화물 박막을 올리는 연구 위주로 기술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필름 자체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90년대 말까지 많은 발표가 있었는데 주로 PVDC, EVA 공중합체와 차단성이 높은 EVOH, PAN 등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
알루미늄 박막을 올리거나 투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금속산화물 또는 Si 산화물을 PE 표면에 올리는 연구나 실록산 화합물을 PE 필름 표면에 플라즈마를 사용하여 올리는 방법 등이 연구되어 왔다.
나노클레이나 graphene을 고분자에 섞어 barrier 필름을 제조하려는 국내 연구가 최근 10여년 정도부터 발표되고 있는데 이 방법은 일본이나 미국에서는 90년대 초부터 연구가 진행되어 왔던 분야로 국내의 연구가 외국에 비해 다소 뒤져 있는 현황이다.
나노클레이의 고분자 내에 분산에 의한 여러 가지 효과에 대한 연구는 80년대부터 미국, 일본을 비롯한 서구에서 이루어져 상업화 단계로 접어든 기술이다.
컴파운딩 방법을 사용하여 박리형 나노복합체를 제조하는 연구는 1993년 코낼대의 연구팀에 의하여 시작이 되었고 이후 1997년 일본의 Toyoda 연구진에 의해 상업화가 이루어졌다.
일본 등의 선진국에서 주로 생산 판매를 하고 있는 고차단성 필름은 PET나 Nylon 필름 위에 산화물을 0.5 micron 이하의 두께로 증착을 시켜 투명성을 가지면서 높은 기체 차단성을 갖는 제품들이다.
이 방법에 의하여 10-4g/㎡day 이상으로 기체 차단성을 더 높이는 것은 어려워 보이는데 이것은 산화알루미늄이나 산화실리콘이 표면에 마이크로 crack이 생기기 쉬워 기체 차단성에 대한 내구성을 갖기 어렵고 증착 과정에서 pinhole 등의 불량을 가질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나노 입자를 분산시킨 resin을 사용하여 필름을 압출할 경우 현재는 연신을 시키지 않는 제품이 대부분이다.
연신을 시킬 경우 일반적인 필름의 경우 기체 차단성이 향상되는 반면, 나노클레이가 포함된 필름은 오히려 기체 차단성이 떨어지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연신에 의해 첨가된 나노클레이 주위에 크랙(crack)이 일어나는 것 때문으로 판단되고 있다. 이런 미흡한 특성 등으로 인하여, 배리어성 및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며, 이 방법을 전자선 조사를 통한 가교 방식으로 발명을 시작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79744(등록일자 2011.10.28)
본 발명의 목적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필름,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필름,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필름, 미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아미드(PA) 필름,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PVDC) 필름,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필름 중 선택되는 단층필름 또는 이들 단층필름 표면에 산화물을 증착시킨 증착필름 중 선택되는 어느 2종 이상의 필름을 합지하여 형성된 복합필름에 전자선을 조사하여 필름을 가교 시킴으로써, 배리어성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킨 복합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전자선 조사에 앞서, 단층필름의 제조를 위한 압출 작업시 복합 무기물로 컴파운딩된 펠렛을 투입함으로써, 전자선 조사 후의 필름의 배리어성과 기계적 물성을 더욱 향상시킨 복합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전자선 가교 방식을 필름에 적용함으로써, 기존 사용상 한계가 있던 필름 층의 구성을 줄일 수 있는 복합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필름,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필름,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필름, 미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아미드(PA) 필름,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PVDC) 필름,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필름 중 선택되는 단층필름
또는 이들 단층필름 표면에 산화물을 증착시킨 증착필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2종 이상의 필름을 합지하여 이루어진 복합필름에 3.1~24.3mA의 전류, 5~10m/min의 속도 조건에서 전자선을 조사하여 배리어성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킨 고기능성 복합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기능성 필름은 수분배리어성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필름,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필름,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필름, 미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아미드(PA) 필름,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PVDC) 필름,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필름 중 선택되는 단층필름
또는 이들 단층필름 표면에 산화물을 증착시킨 증착필름을 선택하여 다층으로 합지(lamination)한 복합 필름 표면으로 전자선을 조사하여 가교를 실시함으로써, 가스 배리어성 및 내열성을 더욱 향상시킨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전자선 가교 방식을 통해, 기존 사용에 한계가 있던 종래 필름의 층 구성을 줄임으로써 사용한계를 해소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리어성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킨 고기능성 필름의 제조를 위해 전자선 조사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이하, 상기의 기술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선 조사를 통해 배리어성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킨 고기능성 복합필름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필름,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필름,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필름, 미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아미드(PA) 필름,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PVDC) 필름,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필름 중 선택되는 단층필름
또는 이들 단층필름 표면에 산화물을 증착시킨 증착필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2종 이상의 필름을 합지하여 이루어진 복합필름에 3.1~24.3mA의 전류, 5~10m/min의 속도 조건에서 전자선을 조사하여 배리어성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킨 다.
상기 단층필름은 전자선 조사 전의 필름 압출 과정에서, 복합무기물을 첨가하여 가교도와 물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즉, 상기 단층필름은 제1필름원료 39.5~65wt%, 복합무기물 34~60wt%, 가소제 0.5~1.5wt%를 컴파운딩한 후, 펠렛타이져를 통해 펠렛을 제조하고,
제2필름원료 90~98wt%, 상기 펠렛 2~10wt%를 필름 성형 압출기에 투입하여 제조한 필름이다.
상기 제1필름원료 및 제2필름원료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미연신 폴리프로필렌(CPP),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미드(PA),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PVDC),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이다.
상기 제1필름원료의 사용량이 39.5wt% 미만인 경우에는 복합무기물의 함량이 높아 필름 성형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65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복합무기물의 사용량이 줄어들어 기계적 물성 저하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제1필름원료의 사용량은 39.5~65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무기물은 플라이애쉬, 탄산칼슘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플라이애쉬(Fly ash) 35~55wt%와, 탄산칼슘 45~65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복합무기물은 상기 범위 내에서 플라이애쉬, 탄산칼슘을 혼합하여 조성함으로써, 복합무기물의 컴파운딩 성능이 가장 용이하게 발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복합무기물의 사용량이 34wt% 미만인 경우에는 필름의 기계적 물성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6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름의 기계적 물성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복합무기물의 사용량은 34~6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시된 범위 내에서 복합무기물을 사용함으로써, 필름의 최적의 기계적 물성을 발현시킬 수 있다.
상기 복합무기물을 구성하는 플라이애쉬의 사용량이 35wt% 미만인 경우에는 탄산칼슘과의 혼합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고, 55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도 혼합성에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플라이애쉬의 사용량은 복합 무기물의 전체 양에 대해 35~55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산칼슘의 사용량이 45wt% 미만인 경우에는 플라이애쉬와의 혼합성에 문제가 있고, 65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도 혼합성에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탄산칼슘의 사용량은 복합 무기물의 전체 양에 대해 45~65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다가 카르복실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프탈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인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계 가소제 중 선택되는 에스테르계를 사용하며, 이때 사용량이 0.5wt% 미만인 경우에는 압출 작업성 및 혼합성에 문제가 있고, 1.5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름 물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상기 가소제의 사용량은 0.1~1.5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필름원료, 복합무기물, 가소제를 컴파운딩 한 후, 펠렛타이져를 통해 펠렛을 제조한 다음,
상기 펠렛을 다시 제2필름원료와 함께 필름 성형 압출기에 투입함으로써 필름으로 성형된다.
이때 제2필름원료 90~98wt%, 상기 펠렛 2~10wt%를 각각 필름성형기에 일정한 속도로 투입하여 필름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 제2필름원료의 사용량이 90wt% 미만인 경우에는, 복합물 펠렛의 첨가량이 증가하게 되어, 필름의 물성 및 성형과정에서 펑크나 압출 작업에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98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제2필름원료의 사용량이 증가하여 필름 성형에는 문제가 없으나, 복합물 펠렛의 함량 감소에 따른 최종 필름의 요구 물성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제2필름원료의 사용량은 90~98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펠렛의 사용량이 2wt% 미만인 경우에는 필름 물성 발현에 문제가 있고, 1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름 성형 및 물성 발현에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펠렛의 사용량은 2~1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선 조사 대상인 복합필름의 구체적인 제조예를 살펴보면 다음의 실시예 1~10과 같다.
[ 실시예 1~8]
폴리에틸렌(PE) 60wt%;
플라이애쉬(Fly ash) 50wt%와, 탄산칼슘 5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복합무기물 100wt% 중 38.5wt%;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계 가소제 1.5wt%;를 컴파운딩한 후, 펠렛타이져를 통해 펠렛을 제조한다.
이때 플라이애쉬(Fly ash)와 탄산칼슘은 비중이 가벼워 날릴 수 있으므로, 필름 성형시 분배/분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플라이애쉬(Fly ash)와 탄산칼슘을 동시에 폴리에틸렌(PE)에 투입하여 컴파운딩 작업을 실시한다.
그리고 앞서 제조된 펠렛 5.5wt%;
폴리에틸렌(PE) 94.5wt%;를 필름성형 압출기에 투입한 후, 일정한 속도로 15분간 블랜딩 후, 필름을 성형한다.
이때 필름은 실린더 1: 180℃, 실린더 2: 180℃, 실린더 3: 180℃, 실린더 4: 180℃, 다이스 1~3: 215℃, 원동기 rpm: 65의 작업조건으로 상향식 필름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시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서, PET, EVOH 필름을 제조한다. 단, 온도조건은 재료마다 차이가 있으므로, 재료에 맞는 온도조건을 설정하여 필름을 제조한다.
AL 증착 PET의 경우에는, 상기 과정을 거쳐 제조된 PET 필름 표면으로 AL을 0.5micron 이하의 두께로 증착하는 과정을 더 거쳐 제조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조된 단독필름 들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dry lamination 방법으로 합지되어 복합필름을 이루게 된다.
상기 복합필름의 구체적인 예로는 AL-증착PET+PET+PE과 AL-증착PET+PE/EVOH/PE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AL-증착PET+PET+PE과 AL-증착PET+PE/EVOH/PE의 복합필름에 전자선을 조사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리어성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킨 고기능성 복합필름을 완성한다.
상기 전자선 조사는 규격화된 전자선량 및 속도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전자선에 복합필름을 노출함으로써, 복합필름의 기계적 물성과 내열성을 높이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류조건 14.2~18.1mA, 속도조건 5~10m/min의 범위 내에서 전자선 조사가 이루어진다.
상기 전류조건과 속도조건 미만인 경우 전자선의 선량이 약하여 요구 물성 미만의 필름이 제조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전류조건과 속도조건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물성 감소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제시된 조건 범위 내에서 전자선 조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필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필름 공급롤(10)로부터 공급되는 복합필름(100)은 전자선 조사라인을 통과하여 복합필름 권취롤(20)로 권취된다.
전자선 조사는 상기 전자선 조사라인을 통과하면서 이루어지며, 전자선 가속기(200)로부터 발생하는 전자선이 복합필름(100)에 조사된다.
상기 전자선의 전류 및 속도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다음의 표 1에 제시한 바와 같다. 즉 상기 표 1의 조건으로 복합필름에 전자선을 조사하여 가교작업을 실시하였다.
상기 표 1에 제시한 전자선 조사 조건은 AL-증착PET+PET+PE의 복합필름(Type 1)을 이용한 전자선 조사(실시예 1~4)와 AL-증착PET+PE/EVOH/PE의 복합필름(Type 2)을 이용한 전자선 조사(실시예 5~8)에 대한 것으로서, 2종류의 복합필름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되는 4가지 전자선 조사 조건을 제시한 것이다.
전자선 조사 조건
실시예 1,5 실시예 2,6 실시예 3,7 실시예 4,8
전류 조건(mA) 14.2 14.2 18.1 18.1
속도 조건(m/min) 5 10 5 10
상기 표 1의 전자선 조사 조건으로 전자선을 조사하여 완성한 2종류(Type 1, 2)의 복합필름(실시예 1~8)에 대해, 기계적 물성(KS M ISO527-1) 및 투습컵(KS A 1013)을 이용한 수분배리어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기계적 물성 및 투습도 테스트 결과( 시험예 1~4)
Type 1 시험예 1 시험예 2 시험예 3 시험예 4
인장강도
(gf/㎟)
8,120
8,950
9,115
9,580
신율(%), MD 289 214 197 154
투습도
(g/㎥. day)
2.1 1.8 1.2 0.8
기계적 물성 및 투습도 테스트 결과( 시험예 5~8)
Type 2 시험예 5 시험예 6 시험예 7 시험예 8
인장강도
(gf/㎟)
6,540 7,890 8,130 8,540
신율(%), MD 320 290 254 209
투습도
(g/㎥. day)
1.3 1.0 0.8 0.6
다층 합지된 필름 al-증착 PET+PET+PE, al-증착 PET+PE/EVOH/PE 타입 2종(Type 1, 2)에 대한 전자선 조사 가교를 실시하여 테스트한 결과, 상기 표 2 및 표 3을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기계적 물성 및 수분 배리어성이 향상되었다.
그리고 복합 무기물을 첨가하지 않은 필름에 비해 인장강도 및 투습도가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선 조사를 통해 배리어성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킨 고기능성 복합필름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필름,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필름,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필름, 미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아미드(PA) 필름,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PVDC) 필름,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필름 중 선택되는 단층필름; 또는 이들 단층필름 표면에 산화물을 증착시킨 증착필름을 선택하여 다층으로 합지(lamination)한 복합 필름 표면으로 전자선을 조사하여 가교를 실시함으로써, 가스 배리어성 및 내열성을 더욱 향상시킨 필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은 전자선 가교 방식을 통해, 기존 사용에 한계가 있던 종래 필름의 층 구성을 줄임으로써 사용한계를 해소할 수 있다는 점에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크다.
10: 복합필름 공급롤
20: 복합필름 권취롤
100: 복합필름
200: 전자선 가속기

Claims (5)

  1.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필름,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필름,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필름, 미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아미드(PA) 필름,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PVDC) 필름,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필름 중 선택되어 단층필름을 이루되, 플라이애쉬와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복합무기물을 첨가하여 이루어진 단층필름;
    또는 이들 단층필름 표면에 산화물을 증착시킨 증착필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2종 이상의 필름을 합지한 복합필름에 전자선을 조사하여 배리어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전자선 조사는 3.1~24.3mA의 전류, 5~10m/min의 속도 조건에서 전자선을 조사하여 배리어성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 조사를 통해 배리어성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킨 고기능성 복합필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복합 무기물은 플라이애쉬(Fly ash) 35~55wt%와, 탄산칼슘 45~65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 조사를 통해 배리어성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킨 고기능성 복합필름.
  4. 청구항 1에 있어서,
    단층필름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미연신 폴리프로필렌(CPP),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미드(PA),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PVDC),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인 제1필름원료 39.5~65wt%; 플라이애쉬(Fly ash) 35~55wt%와, 탄산칼슘 45~65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복합무기물 34~60wt%; 가소제 0.5~1.5wt%;를 컴파운딩 한 후, 펠렛타이져를 통해 펠렛을 제조하고,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미연신 폴리프로필렌(CPP),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미드(PA),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PVDC),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인 제2필름원료 90~98wt%; 상기 펠렛 2~10wt%;를 필름 성형 압출기에 투입하여 제조한 필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 조사를 통해 배리어성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킨 고기능성 복합필름.

  5. 삭제
KR1020160013263A 2016-02-03 2016-02-03 전자선 조사를 통해 배리어성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킨 고기능성 복합필름 KR101743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263A KR101743966B1 (ko) 2016-02-03 2016-02-03 전자선 조사를 통해 배리어성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킨 고기능성 복합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263A KR101743966B1 (ko) 2016-02-03 2016-02-03 전자선 조사를 통해 배리어성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킨 고기능성 복합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966B1 true KR101743966B1 (ko) 2017-06-08

Family

ID=59221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263A KR101743966B1 (ko) 2016-02-03 2016-02-03 전자선 조사를 통해 배리어성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킨 고기능성 복합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9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870B1 (ko) * 2016-11-08 2018-06-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착력이 개선된 고분자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CN114437639A (zh) * 2022-02-28 2022-05-06 上海春宜药品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复合pet/pe薄膜及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5576A (ja) * 2001-12-11 2003-06-24 Japan Polyolefins Co Ltd 包装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76287A (ja) * 2010-09-30 2012-04-19 Dainippon Printing Co Ltd 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積層体、及び包装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5576A (ja) * 2001-12-11 2003-06-24 Japan Polyolefins Co Ltd 包装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76287A (ja) * 2010-09-30 2012-04-19 Dainippon Printing Co Ltd 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積層体、及び包装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870B1 (ko) * 2016-11-08 2018-06-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착력이 개선된 고분자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CN114437639A (zh) * 2022-02-28 2022-05-06 上海春宜药品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复合pet/pe薄膜及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703B1 (ko) 탄산칼슘 장벽 필름 및 그 용도
KR100948723B1 (ko) 락트산계 폴리머 조성물, 상기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품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69358B1 (ko) 향상된 내열성, 침투차단성 및 차광성을 갖는 생분해성 연질 다층 식품포장재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6068109A1 (ja) スキンパック用熱収縮性延伸多層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スキンパック包装体、及びスキンパック用熱収縮性延伸多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8419999B2 (en) Method for producing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resin,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resin, and multilayer structure
WO2012081756A1 (ko) 7층 구조의 공압출 항균 진공포장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11516317A (zh) 一种复合膜及其制备方法
KR101743966B1 (ko) 전자선 조사를 통해 배리어성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킨 고기능성 복합필름
EP2554373B1 (en) Multilayer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S6011342A (ja) 耐熱性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TW202021810A (zh) 含有助滑劑之多層膜及層製品
JP2003305817A (ja) 多層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
CN111234279B (zh) 一种水汽阻隔性生物降解聚合物薄膜及其制备与应用
CN107618245A (zh) 一种复合薄膜及其制备方法
JP3841943B2 (ja) 樹脂組成物の製造法
CN1867619A (zh) 一种取向聚三氟氯乙烯薄膜的生产方法
EP3380322B1 (en) Vinylidene chloride 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sorbate ester
KR102220356B1 (ko) 싱글 항균 수축필름
US10544248B2 (en) Crosslinkable resin composition, crosslinked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and multilayered structure
JP3841942B2 (ja) 樹脂組成物の製造法
KR101784286B1 (ko) 가스 배리어성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가스 배리어성 필름
KR20230143433A (ko) 다층 배리어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재료
KR20230127586A (ko) 다층 배리어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재료
JP2022152666A (ja) 単層体、製造方法、積層体及び成形体
KR20230127587A (ko) 다층 배리어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재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