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675B1 - 반사경이 구비된 지정맥스캐너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반사경이 구비된 지정맥스캐너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675B1
KR101885675B1 KR1020160075196A KR20160075196A KR101885675B1 KR 101885675 B1 KR101885675 B1 KR 101885675B1 KR 1020160075196 A KR1020160075196 A KR 1020160075196A KR 20160075196 A KR20160075196 A KR 20160075196A KR 101885675 B1 KR101885675 B1 KR 101885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finger vein
screen
vein pattern
v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2016A (ko
Inventor
오석언
Original Assignee
(주)코리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센 filed Critical (주)코리센
Priority to KR1020160075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675B1/ko
Publication of KR20170142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측에 측벽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손가락이 안치되는 핑거스크린이 형성되는 지정맥 인식부와; 상기 지정맥 인식부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핑거스크린을 통해 투사되는 지정맥 검출신호를 일정각도로 반사시키는 반사경부재와; 상기 반사경부재의 반사각도 범위내의 측면몸체 위치에 설치되어 반사경부재로부터 반사되는 지정맥 검출신호를 스캔하는 카메라부재와; 상기 카메라부재로부터 스캔한 지정맥 스캔신호를 추출프로그램에 따라 처리하여 지정맥 패턴신호를 산출하고 이 산출된 지정맥 패턴신호를 기 내장된 지정맥 패턴정보와 비교한후 그 인증결과를 처리제어하는 제어처리모듈부를 포함하는 반사경이 구비된 지정맥스캐너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지정맥신호를 스캔하기위해 손가락이 착지되는 손끝과 하단부 위치에 각각 검출센서를 장착시킴과 더불어 몸체의 양측면에 점멸가능한 다수개의 LED를 설치하여 손가락을 정확한 착지위치로 안내하므로써, 지정맥 패턴의 인식을 여러 환경조건에 관계없이 명확하게 인식하여 지정맥 인증작업을 안정적으로 실행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지정맥 인식시스템의 동작안정성과 지정맥 인식품질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사경이 구비된 지정맥스캐너장치 및 그 제어방법{Finger Vein Scanner Device having a Reflec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반사경이 구비된 지정맥스캐너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정맥신호를 스캔하기위해 손가락이 착지되는 손끝과 하단부 위치에 각각 검출센서를 장착시킴과 더불어 몸체의 측면에 점멸가능한 다수개의 LED를 설치하여 손가락을 정확한 착지위치로 안내하므로써, 지정맥 패턴의 인식을 여러 환경조건에 관계없이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하는 반사경이 구비된 지정맥스캐너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회가 발전에 따라 각종 장비나 건물 들에 대한 보안이 강화될 필요성이 제기되어지고 있다. 예컨대, 각종 중요 정보나 프로그램이 저장된 IT장비나 PC 혹은 내부의 시설들이 공개되면 막대한 사업 혹은 공익상의 위험 혹은 내부의 안전을 위해 건물 도어에 보안장비가 설치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보안장비들은 독립적인 형태의 시스템으로 구성되거나 혹은 네트워크를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방어하기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보안장비들은 현재 컴퓨터의 급속한 보급과 인터넷의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보안 문제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진 상태에 있다. 이를 위해 지문이나 홍체 인식을 이용한 침입방지 시스템이나 침입차단 시스템 등 다양한 보안장비들이 현재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보안장비의 일례를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건물 내의 서버장비 예컨대, 각종 중요 정보나 프로그램이 저장된 서버(70) 혹은 내부의 시설들이 공개될 경우 막대한 사업상의 위험 혹은 내부의 안전을 위해 예컨대, 건물의 외벽 등에 설치되는 본체부(71)와;
상기 본체부(71)의 내부에 설치되어 본체부(71)의 외측에 설치된 지정맥 인식부(72)로부터 스캔한 검출신호를 내장된 지정맥정보와 비교한후 그 인증결과를 음성부(73)를 방출시키고 인증될 경우 도어록장치부(74)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보안장비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가 각종 중요 정보나 프로그램이 저장된 서버(70)가 안치된 건물내로 접근하려할 경우 먼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본체부(71)의 지정맥 인식부(72)에 손가락(76)를 안치시킨다. 그러면, 상기 지정맥 인식부(72)는 손가락(76)으로부터 지정맥패턴을 인식하고 이 인식된 지정맥패턴을 하부에 일정거리(D)를 갖고 설치된 카메라(77)에 의해 촬상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77)는 지정맥 인식부(72)의 손가락(76)으로부터 지정맥패널신호를 스캔하여 제어부(75)로 입력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75)는 카메라(77)로부터 입력된 지정맥 패턴신호를 기저장된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인식실패 내용을 음성부(73)를 통해 방출하거나 혹은 인증될 경우 그 결과를 음성부(73)를 통해 방출한 후 도어록장치부(74)의 잠금을 해제시켜 사용자의 건물진입을 허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보안장비는 주변 온도에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데, 예컨대, 사람의 혈관은 외부 온도와 압력차에 의해 수축과 팽창이 심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주변이 온도가 낮을 경우 지정맥 인식부가 손가락의 지정맥패턴를 인식하기가 매우 어려웠으며, 더나아가 사람마다 손가락의 크기나 관절의 위치가 다 다르고 손가락의 착지도 매번 스캔때마다 다르기 때문에 지정맥 인식부에 안치되는 손가락의 착지위치가 부정확한 경우가 빈번하여 그에 따라 지정맥패턴 인식률이 상당히 떨어져 인식성공률도 상당히 저하되었으며, 또한 지정맥 인식부와 그 하부에 위치해야하는 카메라사이에 지정맥패턴을 스캔하기위한 초점을 확보하기위해 일정 이격거리(D)를 항상 유지해야 하므로 그에 따라 지정맥스캐너를 소형화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발명된 것으로, 지정맥신호를 스캔하기위해 손가락이 착지되는 손끝과 하단부 위치에 각각 검출센서를 장착시킴과 더불어 몸체의 양측면에 점멸가능한 다수개의 LED를 설치하여 손가락을 정확한 착지위치로 안내하므로써, 지정맥 패턴의 인식을 여러 환경조건에 관계없이 명확하게 인식하여 지정맥 인증작업을 안정적으로 실행하는 반사경이 구비된 지정맥스캐너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지정맥스캐너의 최하단부에 반사경을 설치함과 더불어 반사경의 반사각도내의 일측 측면몸체 위치에 카메라를 설치하므로써, 지정맥 스캔거리를 짧게하여 지정맥스캐너를 소형화할 수 있게 하는 반사경이 구비된 지정맥스캐너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은 좌,우측에 측벽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손가락이 안치되는 핑거스크린이 형성되는 지정맥 인식부와;
상기 지정맥 인식부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핑거스크린을 통해 투사되는 지정맥 검출신호를 일정각도로 반사시키는 반사경부재와;
상기 반사경부재의 반사각도 범위내의 측면몸체 위치에 설치되어 반사경부재로부터 반사되는 지정맥 검출신호를 스캔하는 카메라부재와;
상기 카메라부재로부터 스캔한 지정맥 스캔신호를 추출프로그램에 따라 처리하여 지정맥 패턴신호를 산출하고 이 산출된 지정맥 패턴신호를 기 내장된 지정맥 패턴정보와 비교한후 그 인증결과를 처리제어하는 제어처리모듈부를 포함하는 반사경이 구비된 지정맥스캐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지정맥스캐너의 제어모듈이 손가락이 핑거스크린의 착지에 정확히 안치되었는 지를 제1 및 제2 터치센서를 통해 확인한후 지정맥 스캔절차를 실행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후에 제어모듈이 반사경부재의 반사각도를 조절하여 지정맥 스캔신호가 카메라부재에 정밀하게 스캔되도록 제어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후에 제어모듈이 카메라부재로부터 출력된 지정맥 스캔신호를 지정맥추출 프로그램에 따라 처리하여 지정맥 패턴신호를 산출하고 이 산출된 지정맥 패턴신호를 메모리부에 저장된 지정맥 패턴정보와 비교한후 그 인증결과를 처리하는 제3 과정을 포함하는 반사경이 구비된 지정맥스캐너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지정맥신호를 스캔하기위해 손가락이 착지되는 손끝과 하단부 위치에 각각 검출센서를 장착시킴과 더불어 몸체의 양측면에 점멸가능한 다수개의 LED를 설치하여 손가락을 정확한 착지위치로 안내하므로써, 지정맥 패턴의 인식을 여러 환경조건에 관계없이 명확하게 인식하여 지정맥 인증작업을 안정적으로 실행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지정맥 인식시스템의 동작안정성과 지정맥 인식품질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본 발명은 지정맥스캐너의 최하단부에 반사경을 설치함과 더불어 반사경의 반사각도내의 일측 측면몸체 위치에 카메라를 설치하므로써, 스캔되는 지정맥 패턴신호를 반사경을 통해 몸체 측면에 위치한 카메라로 입사되는 구조를 가지기때문에 지정맥 스캔거리를 짧게할 수 있게 되므로 그에 따라 지정맥스캐너를 소형화할 수 있음은 물론 공간설계의 효율화를 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보안장비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경이 구비된 지정맥스캐너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정맥스캐너장치를 위방향에서 바라본 설명도.
도 4는 본발명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사경이 구비된 지정맥스캐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경이 구비된 지정맥스캐너장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경이 구비된 지정맥스캐너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정맥스캐너장치를 위방향에서 바라본 설명도이며, 도 4는 본발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경이 구비된 지정맥스캐너장치는, 좌,우측에 측벽부(1A,1B)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손가락(2)이 안치되는 핑거스크린(3)이 형성되는 지정맥 인식부(4)와;
상기 지정맥 인식부(4)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핑거스크린(3)을 통해 투사되는 지정맥 검출신호를 일정각도로 반사시키는 반사경부재(5)와;
상기 반사경부재(5)의 반사각도 범위내의 측면몸체 위치에 설치되어 반사경부재(5)로부터 반사되는 지정맥 검출신호를 스캔하는 카메라부재(6)와;
상기 카메라부재(6)로부터 스캔한 지정맥 스캔신호를 추출프로그램에 따라 처리하여 지정맥 패턴신호를 산출하고 이 산출된 지정맥 패턴신호를 기 내장된 지정맥 패턴정보와 비교한후 그 인증결과를 처리제어하는 제어처리모듈부(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1A,1B)의 일측에는 순차적으로 점멸되는 LED(L1-L7)가 다수개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LED들(L1-L7)과 연동되는 손가락(2)의 접촉부위를 검출하는 손가락부위 검출센서(8)가 다수개 설치되어 손가락(2)의 부위가 핑거스크린(3)에 정확하게 안치되도록 유도하는 LED바(9)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LED들(L1-L7)은 손가락(2)의 접촉부위별로 검출되는 손가락부위 검출센서(8)의 동작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점멸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핑거스크린(3)에는 손가락(2)이 접촉되는 가장자리를 따라 열선(10)이 설치되어 손가락(2)의 안치위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므로 손가락(2)의 혈관의 수축 및 팽창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핑거스크린(3)에는 손가락(2)의 끝부분이 안치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돌기(11)를 형성하여 손가락(2)의 끝이 정확하게 안치되도록 안내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핑거스크린(3)의 다른 실시예로는, 손가락(2)의 끝부분이 안치되는 위치에 제1 터치센서(12)를 설치함과 더불어 손가락(2)의 마디 하단부에 제2 터치센서(13)를 설치하여 손가락(2)의 안치를 정밀하게 유도한다.
한편 상기 제어처리모듈부(7)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측벽부(1A,1B)의 일측에 손가락(2)을 향해 광원(21)에 의해 근적외선이 조사되도록 제어하는 근적외선 광원부(14)와, 상기 근적외선 광원부(14)의 광원(21)에 조사된 근적외선에 의해 핑거스크린(3)에 안치된 손가락(2)으로부터 투사되는 지정맥 검출신호를 반사시키는 반사경부재(5)의 반사각도를 조절하는 액츄에이터(15)와, 상기 지정맥검출신호를 스캔한 카메라부재(6)로부터 출력된 지정맥 스캔신호를 지정맥추출 프로그램에 따라 처리하여 지정맥 패턴신호를 산출하고 이 산출된 지정맥 패턴신호를 메모리부(16)에 저장된 지정맥 패턴정보와 비교한후 그 인증결과를 처리제어하고 손가락(2)의 안치상태를 분석하여 지정맥 스캔절차의 실행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7)과, 상기 제어모듈(17)의 인증결과를 음성신호로하여 외부로 알려주는 음성처리부(18)와, 본발명의 지정맥스캐너장치(20)에 동작전원을 공급시키는 전원부(19)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17)에는 손가락(2)의 안치상태신호를 전송하는 제1 및 제2 터치센서(13) 그리고 손가락부위 검출센서(8)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경부재(5)의 반사각도는 44도 내지 50도 범위, 더 바람직하게는 47도 정도로 할 수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발명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초기상태(S1)에서 제어모듈이 손가락이 핑거스크린의 착지에 정확히 안치되었는 지를 제1 및 제2 터치센서를 통해 확인한후 지정맥 스캔절차를 실행하는 제1 과정(S2)과;
상기 제1 과정(S2)후에 제어모듈이 반사경부재의 반사각도를 조절하여 지정맥 스캔신호가 카메라부재에 정밀하게 스캔되도록 제어하는 제2 과정(S3)과;
상기 제2 과정(S3)후에 제어모듈이 카메라부재로부터 출력된 지정맥 스캔신호를 지정맥추출 프로그램에 따라 처리하여 지정맥 패턴신호를 산출하고 이 산출된 지정맥 패턴신호를 메모리부에 저장된 지정맥 패턴정보와 비교한후 그 인증결과를 처리하는 제3 과정(S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과정(S2)에는 제어모듈(17)이 핑거스크린상에 접촉되는 손가락의 접촉부위 상태를 손가락부위 검출센서(8)를 통해 파악하고 그에 대응되는 LED를 점멸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손가락이 현재 핑거스크린에 정확히 안치되었는지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손가락 안정착지 유도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과정(S2)에는 제어모듈이 제1 터치센서와 제2 터치센서가 모두 정상 검출될경우에만 손가락이 핑거스크린상에 정확히 착지된 것으로 판단하여 지정맥 스캔절차를 실행하는 정밀스캔단계를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과정(S2)에는 제어모듈(17)이 손가락(2)이 접촉되는 핑거스크린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열선(10)을 동작시켜 손가락(2)의 안치위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므로 손가락(2)의 혈관의 수축 및 팽창을 안정화시키는 혈관안정화단계를 더 포함한다.
환언하면, 보안이 요구되는 장비나 장소 혹은 건물에 접근하려할 경우 예컨대, 사용자가 보안건물에 진입하려 한다고 가정할 경우 먼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지정맥 인식부(4)의 핑거스크린(3)상에 자신의 손가락(2)을 안치시켜야한다. 즉, 상기 과정에서 사용자는 핑거스크린(3)의 끝부분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11)를 보고 이 돌기(11)에 자신의 손가락(2)의 끝부분을 안치시키게되는데, 이렇게 할 경우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2)의 끝을 핑거스크린(3)에 정확히 안치시키는데 돌기(11)가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17)은 제1 및 제2 터치센서(13)를 동작시켜 사용자의 손가락(2)이 정확히 착지되는 상태를 검출하게된다. 즉, 제1 터치센서(12)는 손가락(2)의 끝부분이 안치되는 지를 검출하여 제어모듈(17)로 입력시키는 반면, 제2 터치센서(13)는 손가락(2)의 마디 하단부가 안치되었는 지를 검출하여 제어모듈(17)로 입력시킨다. 그런데, 상기 제어모듈(17)은 상기 제1 및 제2 터치센서(13)가 모두 동작할 경우 예컨대, 손가락(2)의 터치를 모두 검출할경우에만 지정맥 스캔절차를 실행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만약 제1 및 제2 터치센서(13)가 모두 동작할 경우 즉, 사용자의 손가락(2)의 모든 부위가 핑거스크린(3)에 안치되었을 경우 제어모듈(17)은 측벽부(1A,1B)의 일측에 설치된 광원(21)을 근적외선 광원부(14)가 동작시켜 근적외선이 손가락(2)의 내부로 조사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광원(21)의 근적외선에 의해 핑거스크린(3)에 안치된 손가락(2)으로부터 지정맥 검출신호가 하부에 위치한 반사경부재(5)로 투사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경부재(5)는 상기 투사되온 지정맥 검출신호를 카메라부재(6)의 렌즈로 반사시킨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재(6)는 상기 반사경부재(5)로부터 반사되어온 지정맥 검출신호를 스캔하여 제어모듈(17)로 입력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7)은 카메라부재(6)로부터 출력된 지정맥 스캔신호를 메모리부(16)에 저장된 지정맥 추출 프로그램에 따라 처리하여 지정맥 패턴신호를 산출하고 이 산출된 지정맥 패턴신호를 메모리부(16)에 저장된 지정맥 패턴정보와 비교한후 그 인증결과를 처리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17)은 인증이 되지 않을 경우 인식실패 내용을 음성처리부(18)를 통해 방출하거나 혹은 인증될 경우 그 결과를 음성처리부(18)를 통해 방출한 후 장비의 사용을 허가하거나 혹은 도어록장치부(도시안됨)의 잠금을 해제시켜 사용자의 건물진입을 허용한다.
따라서, 상기 본발명 지정맥스캐너장치(20)에서와 같이 지정맥인식부(4)의 하단부에 반사경부재(5)를 설치하고 상기 반사경부재(5)의 반사각도내의 일측 측면몸체 위치에 카메라부재(6)를 설치하는 구조를 가질 경우, 스캔되는 지정맥 패턴신호를 반사경부재(5)를 통해 몸체 측면에 위치한 카메라부재(6)로 입사되는 구조를 가지기때문에 지정맥 스캔거리(d)가 매우 짧게할 수 있게 되므로 그에 따라 지정맥스캐너를 소형화할 수 있음은 물론 공간설계의 효율화를 기할수 있다. 종래의 지정맥스캐너는 지정맥 스캔거리(D)가 본 발명의 지정맥 스캔거리(d)보다 길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은 소형화를 이룰수가 없다.
한편 상기 손가락(2)의 터치과정중의 다른 실시예로는 핑거스크린(3)의 좌,우측에 설치된 측벽부(1A,1B)의 일측에 형성되는 손가락부위 검출센서(8)와 연동하는 LED바(9)의 LED들(L1-L7) 예컨대, 좌측 측벽부(1A)에 7개가 설치된 LED들(L1-L7)을 구동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할 경우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2)의 부위를 핑거스크린(3)에 접촉시킬때마다 그 손가락 접촉부위에 대응하는 LED들(L1-L7)이 점등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손가락 부위가 반정도만 핑거스크린(3)에 안치되면 손가락부위 검출센서(8)가 이를 제어모듈(17)로 입력시키고 상기 제어모듈(17)은 상기 LED바(9)의 LED(L1-L3 OR L4)를 앞부터 3개나 4개만 점등되게 한다. 그러나, 상기 손가락(2)이 그 모든 부위가 정확히 핑거스크린(3)에 착지되면 이를 손가락부위 검출센서(8)가 이를 제어모듈(17)로 입력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17)은 현재 손가락(2)의 모든 부위가 정확히 핑거스크린(3)상에 정확히 착지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LED바(9)의 LED(L1-L7)를 모두 점등시킨다. 이렇게 할 경우 손가락(2)의 모든 부위를 핑거스크린(3)에 정확히 착지시킬 수 있어 정밀한 지정맥 스캔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는 제어모듈(17)이 손가락(2)이 접촉되는 핑거스크린(3)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열선(10)을 동작시켜 손가락(2)의 안치위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므로 손가락(2)의 혈관의 수축 및 팽창을 안정화시키므로 정밀한 지정맥 스캔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5)은 액츄에이터(15)를 통해 반사경부재(5)의 반사각도를 44도 내지 50도 범위, 더 바람직하게는 47도 정도로 조절할 수 있다.
1A,1B: 좌,우 측벽부 2 : 손가락
3 : 핑거스크린 4 : 지정맥 인식부
5 : 반사경부재 6 ; 카메라부재
7 : 제어처리모듈부 8 : 손가락부위 검출센서
9 : LED바 10: 열선
11: 돌기 12: 제1 터치센서
13: 제2 터치센서 14: 근적외선 광원부
15: 액츄에이터 16: 메모리부
17: 제어모듈 18: 음성처리부
19: 전원부 20: 지정맥스캐너장치
21: 광원
L1-L7: LED

Claims (10)

  1. 좌,우측에 측벽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손가락이 안치되는 핑거스크린이 형성되는 지정맥 인식부와;
    상기 지정맥 인식부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핑거스크린을 통해 투사되는 지정맥 검출신호를 일정각도로 반사시키는 반사경부재와;
    상기 반사경부재의 반사각도 범위내의 측면몸체 위치에 설치되어 반사경부재로부터 반사되는 지정맥 검출신호를 스캔하는 카메라부재와;
    상기 카메라부재로부터 스캔한 지정맥 스캔신호를 추출프로그램에 따라 처리하여 지정맥 패턴신호를 산출하고 이 산출된 지정맥 패턴신호를 기 내장된 지정맥 패턴정보와 비교한후 그 인증결과를 처리제어하는 제어처리모듈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측벽부의 일측에는 순차적으로 점멸되는 다수개의 LED로 구성되는 LED바가 설치되고, 상기 핑거스크린에는 상기 LED들과 연동되어 손가락의 접촉부위를 검출하는 손가락부위 검출센서가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핑커스크린에는 손가락이 접촉되는 가장자리를 따라 열선이 설치되며;
    상기 핑거스크린에는 손가락의 끝이 정확하게 안치되도록 안내하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핑거스크린에는 손가락의 끝부분이 안치되는 위치에 제1 터치센서를 설치함과 더불어 손가락의 마디 하단부에 제2 터치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반사경부재의 반사각도는 44도 내지 50도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이 구비된 지정맥스캐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지정맥스캐너의 제어모듈이 손가락이 핑거스크린의 착지에 정확히 안치되었는 지를 제1 및 제2 터치센서를 통해 확인한후 지정맥 스캔절차를 실행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후에 제어모듈이 반사경부재의 반사각도를 조절하여 지정맥 스캔신호가 카메라부재에 정밀하게 스캔되도록 제어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후에 제어모듈이 카메라부재로부터 출력된 지정맥 스캔신호를 지정맥추출 프로그램에 따라 처리하여 지정맥 패턴신호를 산출하고 이 산출된 지정맥 패턴신호를 메모리부에 저장된 지정맥 패턴정보와 비교한후 그 인증결과를 처리하는 제3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1 과정에는 제어모듈이 핑거스크린상에 접촉되는 손가락의 접촉부위 상태를 손가락부위 검출센서를 통해 파악하고 그에 대응되는 LED를 점멸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손가락이 현재 핑거스크린에 정확히 안치되었는지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손가락 안정착지 유도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과정에는 제어모듈이 제1 터치센서와 제2 터치센서가 모두 정상 검출될경우에만 손가락이 핑거스크린상에 정확히 착지된 것으로 판단하여 지정맥 스캔절차를 실행하는 정밀스캔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과정에는 제어모듈이 손가락이 접촉되는 핑거스크린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열선을 동작시켜 손가락의 안치위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므로 손가락의 혈관의 수축 및 팽창을 안정화시키는 혈관안정화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이 구비된 지정맥스캐너장치의 제어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075196A 2016-06-16 2016-06-16 반사경이 구비된 지정맥스캐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85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196A KR101885675B1 (ko) 2016-06-16 2016-06-16 반사경이 구비된 지정맥스캐너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196A KR101885675B1 (ko) 2016-06-16 2016-06-16 반사경이 구비된 지정맥스캐너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016A KR20170142016A (ko) 2017-12-27
KR101885675B1 true KR101885675B1 (ko) 2018-08-06

Family

ID=60938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196A KR101885675B1 (ko) 2016-06-16 2016-06-16 반사경이 구비된 지정맥스캐너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6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798B1 (ko) * 2019-12-31 2021-10-19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7652A (ja) * 2005-08-01 2007-02-15 Tokai Rika Co Ltd 個人認証装置
JP4344876B2 (ja) * 2007-08-03 2009-10-14 バイオニクス株式会社 生体認証装置
JP2011177573A (ja) * 2011-05-20 2011-09-15 Hitachi Ltd 血管画像撮影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7652A (ja) * 2005-08-01 2007-02-15 Tokai Rika Co Ltd 個人認証装置
JP4344876B2 (ja) * 2007-08-03 2009-10-14 バイオニクス株式会社 生体認証装置
JP2011177573A (ja) * 2011-05-20 2011-09-15 Hitachi Ltd 血管画像撮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016A (ko) 201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8756B2 (en) 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and adjustment method for position of hand of user in 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EP3012769B1 (en) Controlled access to functionality of a wireless device
KR100601963B1 (ko) 시선을 이용한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TWI254254B (en) Person recognizing apparatus, person recognizing method and passage controller
TWI536272B (zh) 生物辨識裝置及方法
KR100746194B1 (ko) 촬상 장치 또는 개인 인증 장치
JP2002250605A (ja) 自動ドアセンサ
US781353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fingerprint dually
US20100085151A1 (en) Authentication apparatus
EP2138954A2 (en) Finger vein authentication device
US8576071B2 (en) Automatic lock and automatic unlock method for computer system and computer system thereof
KR102077523B1 (ko) 출입관리를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
US20200224483A1 (en) Human Body Safety Protection Laser Sensor for Revolving
US20230313595A1 (en) Access control system comprising a sliding door and visualization of status information
US9639684B2 (en) Remote control method with identity verification mechanism and wearable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1885675B1 (ko) 반사경이 구비된 지정맥스캐너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897831B2 (ja) 認証装置、防犯システム、認証装置による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66185B1 (ko) 정확하고 신속한 안면인식 도어락 장치
JP6945391B2 (ja) 生体認証装置
KR101511916B1 (ko) 다중 인식이 가능한 생체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2111697B1 (ko) 초음파센서를 포함하는 생체인증모듈을 이용한 전자출결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220147731A1 (en) Imaging device, authentication device, and biometric imaging method
JP5182341B2 (ja) 個人認証装置及び方法
CN113591600A (zh) 基于用户识别的烹饪设备控制方法、装置及燃气灶
KR101609731B1 (ko) 방범 기능을 갖는 인터폰 및 그 작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