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532B1 - 강연선 풀림 장치 - Google Patents

강연선 풀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532B1
KR101885532B1 KR1020170016941A KR20170016941A KR101885532B1 KR 101885532 B1 KR101885532 B1 KR 101885532B1 KR 1020170016941 A KR1020170016941 A KR 1020170016941A KR 20170016941 A KR20170016941 A KR 20170016941A KR 101885532 B1 KR101885532 B1 KR 101885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nd
guide
central
wir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성쇼트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성쇼트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성쇼트기계
Priority to KR1020170016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00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Abstract

본 발명은 강연선 풀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이나 지주 등 토목, 건설용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강연선의 표면 코팅을 위해 다수의 소선 가닥으로 꼬여 있는 강연선을 풀어주는 강연선 풀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연선 풀림 장치는, 중앙부가 수평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하우징바디와; 상기 하우징바디 중앙의 관통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며,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강연선이 통과되도록 가이드공이 형성된 가이드바디와; 상기 가이드바디의 후방측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바디의 가이드공을 통과하여 이송되는 강연선의 나선형으로 꼬인 각 주변소선들과 중앙소선을 풀어 상호 이격 분리하는 풀림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강연선 풀림 장치{WIRE UNTY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강연선 풀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이나 지주 등 토목, 건설용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강연선의 표면 코팅을 위해 다수의 소선 가닥으로 꼬여 있는 강연선을 풀어주는 강연선 풀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이나 지주 등 토목, 건설용 구조물은 하중에 의해 처지거나변형,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강연선(와이어)에 의해 지지된다. 도 1 에는 통상적인 강연선(1)의 구조가 도시된다. 강연선(1)은 하중이 매우 큰 구조물을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강도가 가장 우선시 되는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 보강을 위해 중앙에 중앙소선(1a)이 배치되고, 주변에는 주변소선(1b)이 중앙소선(1a)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주변소선(1b)은 꽈배기 처럼 나선형으로 꼬여진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강연선(1)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로 교량이나 지주 등의 외부 구조물에 사용되는바, 하천이나 바다 등 습기가 많은 지역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 습기나 염분, 기타 화학물질 등에 의한 부식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강연선(1)의 부식은 구조물의 강도 부실화를 초래하여 대형 사고로 귀결될 수 있기 때문에 강연선(1)의 부식 방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강연선(1)의 부식 방지를 위해 강연선(1)의 표면을 내식성 도료로 코팅처리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연선(1)이 다수의 소선 가닥들로 구성되고, 중앙소선(1a) 주변에 주변소선(1b)이 나선형으로 꼬여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현 상태 그대로 코팅 작업을 하는 경우 주변소선(1b)에 의해 둘러싸여진 중앙소선(1a) 표면 및 중앙소선(1a)과 맞닿는 주변소선(1b)의 하부 표면에 음영 구역이 발생하여 전체적인 코팅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2455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다수의 소선 가닥이 나선형으로 꼬여져 구성된 강연선의 코팅전 꼬여진 각 소선들을 풀어서 상호 분리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연선 풀림 장치는, 중앙부가 수평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하우징바디와; 상기 하우징바디 중앙의 관통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며,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강연선이 통과되도록 가이드공이 형성된 가이드바디와; 상기 가이드바디의 후방측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바디의 가이드공을 통과하여 이송되는 강연선의 나선형으로 꼬인 각 주변소선들과 중앙소선을 풀어 상호 이격 분리하는 풀림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풀림구는,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관통 형성되어 강연선의 중앙소선이 통과되는 중앙통과홀과; 상기 중앙통과홀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강연선의 주변소선의 갯수만큼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중앙 내벽은 후방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강연선의 주변소선들이 통과되면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확장 분리되도록 안내하는 확장가이드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풀림구의 전방측 중앙 선단에는 강연선의 중앙소선과 각 주변소선들이 중앙통과홀과 인접한 확장가이드홈들로 각각 분리되어 진행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중앙돌출부가 형성되되, 상기 중앙돌출부에는 중앙통과홀과 각 확장가이드홈이 연장 형성되고, 각 확장가이드홈은 전방측은 갈수록 중앙통과홀측으로 수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된 중앙통과홀과 각 확장가이드홈 간의 경계와 각 확장가이드홈들 간의 경계는 날카롭게 형성되어 강연선의 중앙소선과 주변소선들이 풀림구의 초입에서 상호 분리되어 진행되도록 유도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디 내부의 가이드공은 전방 초입 일정 구간에 걸쳐 인입되는 강연선의 전체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으로 구성되고, 그 다음 일정 구간은 후방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바디의 전방측에는 강연선을 가이드바디 내측 가이드공으로 인입시키기 위한 인입관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인입관의 전방측 입구에는 인입되는 강연선을 중앙으로 유도 수렴하여 안내하기 위한 깔대기 형상의 유도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디의 외주면과 하우징바디 내주면 사이에 베어링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바디의 전후방 단부 개구를 덮는 제1커버플레이트와 제2커버플레이트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제1커버플레이트 및 제2커버플레이트와 가이드바디 사이에는 오일씰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소선 가닥이 나선형으로 꼬여져 구성된 강연선의 코팅 전에 꼬여진 각 소선들을 자동으로 풀어서 상호 분리함으로써 코팅시 음영 구역 없이 강연선의 각 소선들 전체 표면에 걸쳐 원활한 코팅이 가능하게 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 은 일반적인 강연선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강연선 풀림 장치의 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강연선 풀림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강연선 풀림 장치 중 풀림구의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강연선 풀림 장치에서 강연선의 풀림이 수행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강연선 풀림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연선 풀림 장치는, 하우징바디(10), 가이드바디(20) 및 풀림구(30)를 포함한다.
하우징바디(10)는 후술하는 가이드바디(20)를 내측에 수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분으로,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단면이 원형인 드럼 형태로 구성되되(단 원형이 아닌 사각 등 다른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 중앙부는 후술하는 가이드바디(20)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구조로 구성된다. 그리고, 외주면 상부 및 하부에는 다른 설비나 장치에 고정 거치될 수 있도록 플랜지 또는 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바디(10)는 단일 몸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측에 제1커버플레이트(12)와 제2커버플레이트(14)가 추가로 결합되어 쓰리피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바디(10) 내부에는 가이드바디(2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바, 상기 가이드바디(2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하우징바디(10)의 내측에는 베어링(24)이 구비되고, 베어링(24)의 윤활 작용을 위한 오일이 뿌려지므로 상기 하우징바디(10)의 전후방 단부 개구를 통하여 베어링(24)이 이탈하거나 오일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커버플레이트(12)와 제2커버플레이트(14)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커버플레이트(12)와 제2커버플레이트(14)는 상기 하우징바디(10)의 단면 형상과 상응하는 단면을 갖도록 대체로 원형의 디스크 형상으로 구성되고 중앙부는 상기 가이드바디(20)의 삽입을 위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커버플레이트(12)와 제2커버플레이트(14)는 상기 하우징바디(10)의 전후방측 단부에 각각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가이드바디(20)는 강연선(1)의 수평 이동 및 풀림시 나선형으로 꼬인 주변소선(1b)이 풀리면서 회전되는 경우 함께 회전됨에 따라 강연선(1)의 원활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바디(20)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원기둥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바디(10)의 중앙 관통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가이드바디(2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상기 가이드바디(20)의 외주면과 바디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는 베어링(2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커버플레이트(12) 및 제2커버플레이트(14)와 가이드바디(20) 사이에는 오일씰(26)이 구비되어 베어링(24)의 윤활을 위한 오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바디(20)의 내부에는 가이드공(21)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공(21)은 강연선(1)이 통과되는 통공으로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초입은 일정 구간(A)에 걸쳐 인입되는 강연선(1)의 전체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으로 구성되어 강연선(1)을 수평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안내하고, 그 다음 일정 구간 후(B)은 후방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게 구성된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풀림구(30)에 의해 강연선(1)의 주변소선(1b)들이 풀리면서 확장되는 경우 원활하게 안내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그 다음 구간(C)은 후술하는 풀림구(30)의 전단부가 삽입 결합(억지끼움 또는 나사 결합) 되도록 직경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바디(20)의 전방측에는 인입관(22)이 추가로 구비된다. 상기 인입관(22)은 강연선(1)을 가이드바디(20) 내측 가이드공(21)으로 인입시키는 부분으로,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바디(20)의 전방측 중앙에 돌출 형성된 관체로 구성되고, 전방측 입구에는 인입되는 강연선(1)을 중앙으로 유도 수렴하여 안내하기 위한 깔대기 형상의 유도가이드(22a)가 형성된다. 이러한 인입관(22)은 상기 가이드바디(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가이드바디(20)의 전방측에 체결구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풀림구(30)는 가이드바디(20)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강연선(1)의 나선형으로 꼬인 각 주변소선(1b)들과 중앙소선(1a)을 풀어주어 상호 이격 분리하는 부분으로,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바디(20)의 후방측에 삽입 결합된다. 도 4 에는 이러한 풀림구(30)의 상세구조가 사시도로 도시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풀림구(30)는 대체로 단면이 원형인 원기둥형으로 구성되되(단, 원형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님),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바디(20) 후방측에 결합되는 부분은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고 강연선(1)이 풀리면서 확장되는 후단부측은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도록 중앙부가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풀림구(30)의 중앙에는 중앙통과홀(32)이 형성된다. 상기 중앙통과홀(32)은 강연선(1)의 중앙소선(1a)이 통과되는 부분으로 상기 풀림구(30)의 중앙에 전체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풀림구(30)의 중앙통과홀(32) 외측에는 확장가이드홈(34)이 형성된다. 상기 확장가이드홈(34)은 중앙소선(1a) 주변에 배치된 주변소선(1b)들이 각각 외측으로 확장되면서 통과되는 부분으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통과홀(32)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주변소선(1b)의 갯수만큼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풀림구(30)의 길이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절개 형성되되, 중앙 내벽은 후방측으로 갈수록 외측(원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확장가이드홈(34)의 중앙 내벽이 후방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강연선(1)의 주변소선(1b)들이 확장가이드홈(34)을 통과하면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확장되어 상호 분리된다. 한편, 상기 확장가이드홈(34)의 좌우 양측벽은 일정 구간 이후 오목하게 단차져서 확장부(34a)가 형성된다. 강연선(1)의 주변소선(1b)들이 확장가이드홈(34)을 통과하면서 확장 분리되는 경우 확장가이드홈(34) 내부가 좁으면 주변소선(1b)들이 확장가이드홈(34)의 내벽에 강하게 마찰되어 진행이 원활하지 못하고 강연선(1)의 마모가 발생하며, 심한 경우 풀림구(30) 내부에 열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상기 오목한 확장부(34a)를 형성함으로써 확장가이드홈(34)의 내부 공간을 확장시킨 것이다.
한편, 상기 풀림구(30)의 전방측 중앙 선단에는 중앙돌출부(33)가 형성된다. 상기 중앙돌출부(33)는 강연선(1)의 중앙소선(1a)과 각 주변소선(1b)들이 중앙통과홀(32)과 인접한 확장가이드홈(34)들로 각각 원활하게 분리되어 진행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중앙돌출부에는 중앙통과홀과 각 확장가이드홈이 연장 형성되고, 각 확장가이드홈은 전방측은 갈수록 중앙통과홀측으로 수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중앙통과홀(32)과 각 확장가이드홈(34)간의 경계와 각 확장가이드홈(34)들간의 경계가 비교적 얇고 날카롭게 형성되어 중앙소선(1a)과 주변소선(1b)들이 풀림구(30)의 초입에서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유도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강연선 풀림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강연선 풀림 장치의 작동 관계에 대해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5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연선 풀림 장치의 인입관(22) 전방측으로부터 강연선(1)이 수평 이동되면서 인입된다. 강연선(1)의 수평 이동은 작업자가 강연선(1)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인입관(22) 입구로 삽입하는 수동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별도의 자동 이송 장치로 강연선(1)을 연속적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평 이동되는 강연선(1)은 인입관(22)의 유도가이드(22a)에 의해 중앙부로 수렴 유도되어 인입관(22) 내부로 인입되고,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관(22)을 거쳐 가이드바디(20)의 중앙 가이드공(21)을 따라 계속 수평 이동된다.
가이드바디(20)의 중앙 가이드공(21)을 따라 수평 이동되던 강연선(1)이 풀림구(30)에 도달하면, 풀림구(30)의 돌출부 초입에서 강연선(1)의 중앙소선(1a)은 풀림구(30)의 중앙통과홀(32)로 진입하여 직진 이동하고, 각 주변소선(1b)들은 서로 다른 확장가이드홈(34)에 각각 진입하여 이동된다. 이때, 상기 확장가이드홈(34)의 중앙 내벽이 후방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테이퍼진 상태에 있으므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주변소선(1b)들은 확장가이드홈(34)을 따라 외측으로 확장, 즉 외측으로 벌려지면서 이동하여 서로 이격 분리된다.
한편, 상기 주변소선(1b)들은 중앙소선(1a) 주변에 나선형으로 꼬여진 상태에 있었기 때문에, 확장가이드홈(34)을 따라 이동되면서 확장 분리되는 경우 나선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풀림구(30)와 가이드바디(20)가 고정되어 있으면 강연선(1)이 확장 및 회전되면서 가이드바디(20)의 확장가이드홈(34) 내벽에 끼인 상태로 뒤틀려서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바디(20)가 하우징바디(1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풀림구(30)도 가이드바디(20)의 후방측에 결합되므로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도 5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연선(1)의 주변소선(1b)들이 확장 분리되면서 강연선(1) 전체가 회전되고, 가이드바디(20)와 풀림구(30)도 함께 회전되어 강연선(1)이 풀린 상태로 계속해서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강연선(1)의 각 소선들이 풀려진 상태에서 별도의 코팅 설비를 이용하여 강연선(1) 전체에 걸쳐 고르게 코팅이 수행되고, 코팅 완료후에는 다시 분리되었던 소선들을 별도의 꼬임 장치를 이용하여 다시 결합하여 교량 등의 구조물 지지용으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 하우징바디 12 : 제1커버플레이트
14 : 제2커버플레이트 20 : 가이드바디
21 : 가이드공 22 : 인입관
22a : 유도가이드 24 : 베어링
26 : 오일씰 30 : 풀림구
32 : 중앙통과홀 33 : 중앙돌출부
34 : 확장가이드홈 34a : 확장부
1 : 강연선 1a : 중앙소선
1b : 주변소선

Claims (9)

  1. 중앙부가 수평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하우징바디와;
    상기 하우징바디 중앙의 관통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며,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강연선이 통과되도록 가이드공이 형성된 가이드바디와;
    상기 가이드바디의 후방측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바디의 가이드공을 통과하여 이송되는 강연선의 나선형으로 꼬인 각 주변소선들과 중앙소선을 풀어 상호 이격 분리하는 풀림구를 포함하며;
    상기 풀림구는,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관통 형성되어 강연선의 중앙소선이 통과되는 중앙통과홀과, 상기 중앙통과홀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강연선의 주변소선의 갯수만큼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중앙 내벽은 후방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강연선의 주변소선들이 통과되면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확장 분리되도록 안내하는 확장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풀림구의 전방측 중앙 선단에는 강연선의 중앙소선과 각 주변소선들이 중앙통과홀과 인접한 확장가이드홈들로 각각 분리되어 진행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중앙돌출부가 형성되되, 상기 중앙돌출부에는 중앙통과홀과 각 확장가이드홈이 연장 형성되고, 각 확장가이드홈은 전방측은 갈수록 중앙통과홀측으로 수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풀림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중앙통과홀과 각 확장가이드홈 간의 경계와 각 확장가이드홈들 간의 경계는 날카롭게 형성되어 강연선의 중앙소선과 주변소선들이 풀림구의 초입에서 상호 분리되어 진행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풀림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디 내부의 가이드공은 전방 초입 일정 구간에 걸쳐 인입되는 강연선의 전체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으로 구성되고, 그 다음 일정 구간은 후방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풀림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디의 전방측에는 강연선을 가이드바디 내측 가이드공으로 인입시키기 위한 인입관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풀림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관의 전방측 입구에는 인입되는 강연선을 중앙으로 유도 수렴하여 안내하기 위한 깔대기 형상의 유도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풀림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디의 외주면과 하우징바디 내주면 사이에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풀림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바디의 전후방 단부 개구를 덮는 제1커버플레이트와 제2커버플레이트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제1커버플레이트 및 제2커버플레이트와 가이드바디 사이에는 오일씰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풀림 장치.
KR1020170016941A 2017-02-07 2017-02-07 강연선 풀림 장치 KR101885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941A KR101885532B1 (ko) 2017-02-07 2017-02-07 강연선 풀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941A KR101885532B1 (ko) 2017-02-07 2017-02-07 강연선 풀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532B1 true KR101885532B1 (ko) 2018-08-06

Family

ID=63252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941A KR101885532B1 (ko) 2017-02-07 2017-02-07 강연선 풀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5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557Y1 (ko) * 1986-12-31 1989-08-22 금성전선 주식회사 알루미늄-강선 복합선재 분리절단 장치
KR200224558Y1 (ko) 2000-12-21 2001-05-15 고려제강주식회사 표면 인덴트가 형성된 분체도장 피씨 강연선
KR100524555B1 (ko) * 2004-01-09 2005-10-28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그라운드 앵커의 피복인장재 제조기용 강연선 가이드와이것을 이용한 강연선 삽입안내장치
JP2007521968A (ja) * 2004-02-13 2007-08-0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金属クラッディングされた金属マトリックス複合体ワイヤ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557Y1 (ko) * 1986-12-31 1989-08-22 금성전선 주식회사 알루미늄-강선 복합선재 분리절단 장치
KR200224558Y1 (ko) 2000-12-21 2001-05-15 고려제강주식회사 표면 인덴트가 형성된 분체도장 피씨 강연선
KR100524555B1 (ko) * 2004-01-09 2005-10-28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그라운드 앵커의 피복인장재 제조기용 강연선 가이드와이것을 이용한 강연선 삽입안내장치
JP2007521968A (ja) * 2004-02-13 2007-08-0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金属クラッディングされた金属マトリックス複合体ワイヤ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18082A (en) Plastics impregnated rope
JP6196464B2 (ja) グロメット
KR101885532B1 (ko) 강연선 풀림 장치
JP2012125023A (ja) ケーブル敷設具
US4246937A (en) Cable structure with cable sheath
GB2526567A (en) Anchor
KR100978004B1 (ko)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관
US11670923B2 (en) Ribbed extruded electrical conduit
EP2469141A2 (de) Dichtschlauch
KR100653387B1 (ko) 케이블 가설공법 및 케이블 가설용 코일
JP2005130547A (ja) ケーブル牽引用ワイヤーネット式プーリングアイ
JPH0221476B2 (ko)
DE102016008410A1 (de) Unterwasserarbeitskabel
US10801160B2 (en) Draw tape for cables or similar flexible elements
CN110173598A (zh) 一种高承压复合材料管道的结构
EP3155309B1 (en) Branch piece to be used in pipe renovation, and method for renovating branch point in pipe assembly
CN215519506U (zh) 预应力筋用连接结构
US8157820B1 (en) End plate mounting system for a braided sleeve with integral flanged end and its associated method of manufacture
US1827239A (en) Pressure-operated device for leading wires through conduits
DE102010010210B4 (de) Brandschutzmanschette
DE10003695A1 (de) Verfahren sowie Kunststoffrohr und LWL-Element und Befestigungseinrichtung zum Bestücken von Freileitungsanlagen mit LWL-Übertragungsleitungen
KR102579655B1 (ko) 롤백 케이블 포설용 치구
KR100782026B1 (ko) 다공관조립체
IT201800021154A1 (it) Sonda passacavi o per elementi flessibili simili
JPS5895565A (ja) パイプの内面ライニング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