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470B1 - 3차원 세포 배양 스캐폴드 및 이를 이용한 공배양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세포 배양 스캐폴드 및 이를 이용한 공배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470B1
KR101885470B1 KR1020170052237A KR20170052237A KR101885470B1 KR 101885470 B1 KR101885470 B1 KR 101885470B1 KR 1020170052237 A KR1020170052237 A KR 1020170052237A KR 20170052237 A KR20170052237 A KR 20170052237A KR 101885470 B1 KR101885470 B1 KR 101885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scaffold
culture
cells
cell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1450A (ko
Inventor
전누리
류현렬
오수정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52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470B1/ko
Publication of KR20170071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1/00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 C12M21/08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for producing artificial tissue or for ex-vivo cultivation of tissu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45Blood coagulation or fibrinolysis f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45Blood coagulation or fibrinolysis factors
    • C07K14/75Fibrin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8Connective tissue peptides, e.g. collagen, elastin, laminin, fibronectin, vitronectin or cold insoluble globulin [CI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04Flat or tray type, draw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12Well or multiwell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9Vascular Endothelia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2/00Coculture with; Conditioned medium produced b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13/003D cul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Toxic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 자형 루프에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세포를 포함하는 하이드로 젤을 막 형태로 형성한 3차원 세포 배양용 스캐폴드와 이를 이용하여 세포를 공배양하는 방법 및 이를 통한 혈관 모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차원 세포 배양 스캐폴드 및 이를 이용한 공배양 방법 {3D cell culture scaffold and co-cultur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3차원 세포 배양용 스캐폴드 및 이를 이용한 공배양 방법, 및 혈관 모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 비트로 (In vitro) 세포 배양 방법은 잠재적 약물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스크리닝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이용되어 왔다. 3차원 세포 배양 방법 및 장기-칩 (organ-on-a-chip) 장치가 인 비보 (in vivo) 조건에서 더 잘 시뮬레이션되도록 개발되어 왔다. 종래의 2차원 인 비트로 분석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미세 유체 (microfluidics)가 약물 스크리닝에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Chung, B. G.; Lee, K. H.; Khademhosseini, A.; et al., Lab on a chip 2012, 12 (1), 45-59. 2. Huang, C. P.; Lu, J.; Seon, H.; et al., Lab on a chip 2009, 9 (12), 1740-8.).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정확하게 세포의 미세 환경을 제어함으로써, 미세유체소자(microfluidic devices)는 내장, 폐, 신장, 및 다른 장기와 같은 정교한 단일 장기-칩 시스템으로 진화되어 왔다 (Huh, D.; Matthews, B. D.; Mammoto, A.; et al., Science 2010, 328 (5986), 1662-1668. 4. Jang, K. J.; Suh, K. Y., Lab on a chip 2010, 10 (1), 36-42. 5. Kim, H. J.; Huh, D.; Hamilton, G.; et al., Lab on a chip 2012, 12 (12), 2165-74.). 또한, 바디-온-어-칩 (body-on-a-chip) 플랫폼이 독성 분석 방법으로서 제안되어 왔다.
장기에서 가장 중요한 도관인 혈관이 최근 미세유체 플랫폼에서 설계되었다 (Barkefors, I.; Thorslund, S.; Nikolajeff, F.; et al., Lab on a chip 2009, 9, 529-535.). Kim, S.; Lee, H.; Chung, M.; et al., Lab on a chip 2013, 13 (8), 1489-500에서는 폐 섬유아세포 (lung fibroblasts, LF) 및 상피 세포 (epithelial cells, ECs)를 공-배양하여 관류 가능한 혈관 네트워크를 인 비트로로 생성할 수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 생체 외 혈관 구성을 위한 미세유체소자 모델의 경우, 허파 섬유아세포, 진피 섬유아세포, 암세포 등 혈관 형성을 유도하는 성장인자를 배출하는 세포가 혈관내피세포의 조립을 돕도록 정의된 영역에 공동 배양한다.
기존의 다세포 공배양 인 비트로 어세이에서는 실험의 시작부터 끝까지 두 세포가 공존하기 때문에 특정 상황에서 필요 이상의 상호작용을 발생시키며 실험결과를 저해한다. 또한 세포들 사이에 물리적인 간섭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 또한 실험결과의 신뢰성을 떨어트린다. 따라서 공배양을 하지 않고 비슷한 효과를 볼 수 있는 방법으로 성장인자가 담긴 조정배지 (conditioned medium)를 이용하여 대체하지만, 실제 배양 보조 세포의 부재는 관심세포의 기능을 떨어트리기 때문에 큰 실효를 거두지 못하였다.
기존의 장기-칩 (Organ-on a chip) 등, 미세유체소자 기반 인 비트로 모델의 경우, 측분비 효과(paracrine effect)를 나타내는 세포를 영구 배치하여 공배양하므로 초기에 세포들에게 주어진 환경이 실험 종료 시점까지 유지되어 세포의 배열 및 구성을 바꾸거나 제거할 수 없는 비가역적 설계였다. 그러나, 분석시에 관심 세포 외의 측분비인자 (paracrine factor)를 분비하는 배양 보조 세포는 약물 등에 대한 반응을 잘못 유도할 수 있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발생상에 필요한 세포 미세 환경을 조직안정화에 적합한 형태로 바꿔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변형 가능한 공동 배양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O 자형 루프에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세포를 포함하는 하이드로 젤을 막 형태로 가둔 3차원 세포 배양용 스캐폴드를 제공하며, 이를 다른 세포를 배양하는 세포 배양 접시 (플레이트) 또는 미세유체소자에 침지 (dipping)하여 공배양하는 방법 및 이를 통한 혈관 모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3차원 세포 배양용 스캐폴드는 세포가 하이드로젤에 3차원적으로 포함되어 있어 생체와 유사한 환경에서 배양되므로 장기간 높은 생존율을 보이며, 조성하며 필요에 따라 배지를 제공하여 형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세포배양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루프에 고립된 하이드로젤이 세포에게 물리적 장벽으로 작용하며, 세포가 제공하는 성장인자 등의 미세환경을 간섭 없이 조성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3차원 세포 배양용 스캐폴드를 이용한 공배양 방법은 하이드로젤 구조체 상에서 배양 가능한 모든 세포에 대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루프를 단순히 침지했다가 꺼내는 (dipping in and out) 방식은 미세유체소자 안에 동적인 미세환경을 조성할 수 있어 보다 생체 혹은 질병과 유사한 시스템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향후 장기-칩에 적용하여 동물실험 및 임상실험을 대체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루프형 스캐폴드의 내부에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LF(lung fibroblasts) 세포를 포함하는 하이드로젤을 막 형태로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식이다.
도 2는 루프형 스캐폴드의 내부에 형성된 하이드로젤 막에 포함된 세포의 배양 1일차 및 10일차의 세포 생존율을 Live-dead 분석으로 확인한 도이다.
도 3은 미세유체소자의 마이크로-채널 내부에 μBVM (micro-scale blood vessel module) 형성을 유도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식이다.
도 4는 마이크로-채널 내부에 모세혈관을 형성한 HUVEC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의 명시야상 (Bright field image)을 LF와의 공배양 날짜별로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면역-염색한 μBVM와 마이크로비드를 공초점 현미경으로 촬영한 후 3차원 영상으로 디콘볼루션하여 마이크로비드가 혈관 내부에 유입된 것을 확인한 도이다 (스캐일바: 50μm).
도 6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형성된 μBVM을 확장하여, 혈관으로 연결된 다양한 기관의 조직 모델을 각각 다른 세포를 포함한 하이드로젤 루프로 배양하는 것을 나타낸 도식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단일폐곡선 형태의 스캐폴드; 및 상기 스캐폴드의 내부 단일폐곡선 표면을 따라 형성된 막 형태의 하이드로젤을 포함하는 3차원 세포 배양용 스캐폴드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스캐폴드는 루프형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막 형태의 하이드로젤에 세포가 3차원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하이드로젤-세포 혼합물이 루프의 직경 크기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세포의 수는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스캐폴드의 내부 단일폐곡선의 직경이 3.5 mm 내지 4.0 mm일 때 하이드로젤에 포함된 세포의 수는 2×104개 이상 6×104개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캐폴드의 내부 단일폐곡선의 직경이 3.5 mm 내지 4.0 mm일 때, 내부 하이드로젤 막에 포함되는 세포의 수는 2×104개 미만일 때는 측분비인자의 분비가 너무 적어 바람직하지 않고, 6×104개 이상일 때는 하이드로젤이 고화될 때 젤이 수축되어 루프에 고정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스캐폴드의 내부 단일폐곡선의 직경이 3.5 mm 내지 4.0 mm일 때, 내부의 하이드로젤은 10 ㎕ 내지 30 ㎕가 포집될 수 있으며, 10 ㎕ 미만은 표면장력에 따른 하이드로젤 막을 형성할 수 없고, 30 ㎕ 초과는 막 외로 흘러나와 하이드로젤 막 형성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루프의 사이즈 및 부피 (volume)는 LF를 측분비인자 (혈관내피세포 생장인자) 분비 세포로 이용한 HUVEC의 혈관 형성 실험에 대해 최적화되었으며, 다른 배열을 특정 적용을 위해 택할 수 있다. 측분비인자를 분비하는 LF를 루프 내에 위치시키는 것의 주요한 장점은 세포들이 종래에 미세유체소자 내에 실험 내내 영구히 위치했던 LF와 달리 손쉽게 제거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로써, 두 종류의 세포를 공배양하면서도 서로의 물리적 간섭, 오염 등을 배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원하는 때에 두 종류의 세포간의 영향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LF를 루프 내의 하이드로젤에 포집함으로써, 미세유체소자의 마이크로-채널에 존재하는 HUVEC의 생장을 촉진하여 혈관을 형성한 뒤 루프를 제거하여 형성된 혈관이 LF가 분비하는 측분비인자의 영향을 즉시 벗어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하이드로젤 (hydrogel)"은 졸-젤 상변이를 통해 물을 분산매로 하는 액체가 굳어 유동성을 상실하고 다공성 구조를 이루는 물질을 말하며, 세포 부착 및 배양에 적합한 하이드로젤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하이드로젤은 배지 및 공기의 투과가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하이드로젤은 피브린, 피브리노겐 또는 콜라겐일 수 있으며, 생분해성 합성 바이오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합성 바이오젤은 폴리에스터 중합체,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트산-글리콜산의 공중합체, 폴리하이드로옥시부티르산, 폴리하이드로옥시발레르산 및 폴리하이드로옥시부티르산-발레르산의 공중 합체를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생분해성 합성 바이오젤 외에 세포가 부착할 수 있는 다공성 젤이 사용될 수 있다. 이의 예로, sigma-aldrich사에서 제조한 HydroMatrixTM Peptide Cell Culture Scaffold, D.A. Narmoneva, et al. / Biomaterials 26 (2005) 4837-4846에 개시된 올리고펩타이드로 이루어진 젤, 국제공개특허 WO2007/029003에 개시된 하이드로젤 미국 특허 US20070099840에 개시된 하이드로젤, M. Zhou et.,al. Biomaterials, 2009, in press에 개시된 세포 부착용 올리고펩타이드 매트릭스, 4 V. Jayawarna, et al.. Acta Biomaterialia, 2009, in press에 개시된 펩타이드 젤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세포를 부착 또는 지지하면서 공기 및 배지 투과성인 젤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1) 세포와 하이드로젤을 혼합하고; 2) 단일폐곡선 형태의 스캐폴드의 내부 단일폐곡선에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세포 및 하이드로젤 혼합물을 막 형태로 형성하며; 3) 스캐폴드 내부에 형성된 세포 포함 하이드로젤 막을 고화 (solidify)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3차원 세포 배양용 스캐폴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제 1 세포를 하이드로젤에 포함하는 제 1항의 3차원 세포 배양용 스캐폴드를 제 2 세포가 배양되고 있는 세포 접시 또는 미세유체소자의 배지에 침지하여 (dipping) 제 1 세포 및 제 2 세포를 공배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측분비인자 (paracrine factor)"는 자기세포에서 분비되어 주변 세포에 외래성 신호로 작용하여 자신과 다른 주변 세포의 성장에 영향을 주는 물질을 말하며, 그 예로, 혈관형성인자 (angiogenesis factor), 혈관내피세포생장인자 (vascularendothelial cell growth factor), 신경전달물질, 세포증식인자, 시토키닌(cytokinin), 성장인자, 분화인자, 오타코이드 (autacoid) 등이 해당된다.
일 구현예에서, 제 1 세포는 측분비인자를 공여하는 보조세포일 수 있으며, 제 2 세포는 제 1 세포로부터 측분비인자를 수여받는 세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 1 세포인 LF가 분비하는 측분비인자 (예를 들어, 혈관내피세포 생장인자)가 제 2 세포인 HUVEC의 생장을 촉진하여 혈관을 형성하였다.
일 구현예에서, 제 1 세포에서 분비되는 측분비인자가 3차원 세포 배양용 스캐폴드가 담긴 배지를 통해 제 2 세포로 전달될 수 있다.
루프 안쪽에 하이드로젤 막 형태로 세포를 포집함으로써 세포 공배양시 제 1 세포가 분비하는 측분비인자를 제 2 세포로 전달 가능하면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공배양으로 인한 세포간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루프를 미세유체소자의 레저버에 침지했다 꺼내는 것이 용이하여 언제든지 두 종류의 세포를 분리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1) 미세유체소자의 마이크로-채널에 혈관 내피 세포를 포함하는 하이드로젤을 주입하여 고화시키는 단계; 및 2) 미세유체 소자의 마이크로-채널과 배지로 연결된 웰 또는 레저버 (reservoirs)에 혈관 형성을 촉진하는 측분비인자 분비 세포를 포함하는 제 1항의 3차원 세포 배양용 스캐폴드를 침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관 모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혈관 모듈 (blood vessel module)은 마이크로 스캐일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으로 형성된 혈관 모듈의 혈관은 관류 가능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마이크로-채널 제조
Xia, Y.; Whitesides, G. M., SOFT LITHOGRAPHY. Annual Review of Materials Science 1998, 28, 153-184.를 참고하여 소프트리소그래피 (soft lithography) 방법으로 미세유체소자 (Microfluidic device)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플라즈마 처리한 실리콘 웨이퍼를 150μm 두께의 네거티브 포토레지스트 (negative photoresist) SU-8 100 (Microchem, USA)로 스핀-코팅하였다. 65℃에서 10분 동안, 95℃에서 30분 동안 프리-베이킹 (pre-baking)한 뒤, 웨이퍼를 405nm의 UV (Shinu MST, Korea)에 500mJ 동안 노출시켰다. 노출 후에, 웨이퍼를 65℃에서 1분 동안, 95℃에서 10분 동안 베이킹하였다. SU-8 디벨로퍼 (developer) (Microchem, USA)를 사용하여 포토레지스트의 노출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하였다. 상기 웨이퍼를 마스터 몰드 (master mold)로 이용하여, PDMS 전구체, Sylgard 184 (Dow Corning, USA)를 붓고, 베이킹하고 복제하였다 (replicated). 주입구 (inlets) 및 레저버 (reservoirs)를 펀칭한 뒤, 플라즈마 (Femto Science, Korea)를 처리하여 PDMS 블록을 커버슬립 위에 부착하였다. 부착된 기기는 80℃의 건조 오븐에서 하룻밤 동안 가열되어 표면이 소수성이 되었다.
실시예 2. 세포 배양
인간 제대정맥 내피세포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 (Lonza, Switzerland)를 EGM-2 (endothelial growth medium, Lonza, Switzerland) 배지에서 배양되었으며, 계대수 (passage) 4 내지 5의 세포가 사용되었다. 일차 인간 폐 섬유아세포 (human lung fibroblasts, LF) (Lonza, Switzerland)는 FGM-2 (Fibroblast growth medium, Lonza, Switzerland) 배지에서 배양되었으며, 계대수 6 내지 10의 세포가 실험에 이용되었다. 세포를 수득하기 위해, PBS로 헹구고 0.25% Trypsin-EDTA (Gibco, USA)를 처리한 뒤 2분 후에 우태아혈청을 10% 함유하고 있는 M199 (Lonza, Switzerland)를 첨가하여 효소 작용을 중화하였다. 세포를 뗀 후에 수집하여 1,100 rpm에서 2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EGM-2를 첨가하여 원하는 세포 수에 도달하도록 희석하고 부유시켰다.
실시예 3. LF- 하이드로젤 루프 제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LF (lung fibroblasts)를 포함하는 하이드로젤을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루프 형태의 스캐폴더의 내부 표면에 막 형태로 형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외측 직경 6.5 mm 및 내측 직경 약 3.8 mm의 멸균된 루프 형태의 플라스틱 막대 (Loop and Needle, SPL, Korea)를 다듬어 LF 및 피브린 혼합물을 포집하는데 이용하였다. 측분비인자 (paracrine factor)를 분비하는 세포로서 LF를 조직 배양 접시에서 배양하고 수득하여 EGM-2 배지에 4x106 cells/ml가 되도록 부유시켰다. 소 피브리노겐 용액 (0.15 U/ml의 아프로티닌이 함유된 2.5 mg/ml 피브리노겐)을 세포 부유액에 첨가한 뒤 루프 부분의 안쪽에 로딩하기 바로 전에 트롬빈 (0.5 U/ml)과 혼합하였다. 총 20 ㎕의 LF를 포함하는 피브린 (LF 포함 하이드로젤)을 플라스틱 루프의 안쪽 표면에 부드럽게 둘러주었다. 젤이 로딩된 루프를 96 웰에 놓고, 젤이 굳도록 5분 동안 두었다. 젤이 굳었을 때, 배지 200 ㎕을 웰에 채우고 하루 동안 인큐베이션 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쪽 직경 3.8 mm의 루프를 사용하여 3x106 cells/ml의 세포가 포함된 하이드로젤 혼합물을 20 ㎕ 포집하였으며, 하이드로젤-세포 혼합물이 루프의 직경 크기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세포의 수는 조절될 수 있다. 그렇지만 루프 내에 30,000개 또는 60,000개의 LF 세포를 포함하는 하이드로젤을 포집하여 확인해 본 결과, 60,000개의 세포를 포함하는 하이드로젤을 포집한 경우 30,000개의 세포에 비해 젤이 더 수축되어 루프에서 젤이 떨어져 나왔다.
실시예 4. Live/dead 분석
LF가 성장인자를 지속적으로 분비하도록, 루프에서 배양되는 LF의 장기간 생존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LF 포함 피브린을 포집한 루프 샘플들을 이용하여 Live/dead 분석을 수행하여 배양 1일째와 10일째의 세포 생존을 확인 및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Live/dead 분석 키트 (Molecular Probes® L3224, USA)로 배양될 때의 LF-하이드로젤 루프에서의 LF 생존을 정량하였다. LF-하이드로젤 루프를 PBS로 부드럽게 헹구고 항체에 30분 동안 담궈두었다. Hoechst 33342는 핵을 염색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그 후, LF-하이드로젤 루프를 PBS로 헹구었다. 공초점 현미경 (confocal microscopy) FV1000 (Olympus, Japan)을 이용하여 3μm 간격으로 형광 이미지를 촬영하였다. 촬영한 이미지들을 IMARIS (Bitplane, Switzerland)를 이용하여 디콘볼루션 (deconvolution)하여 3차원 이미지를 만들어냈다.
그 결과, 모든 루프에 포집된 젤 내의 세포들이 생존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배양 10일 뒤 (DIV 10)에도 95%의 세포들이 생존하여 DIV 1과 차이가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
실시예 5. 마이크로 스캐일의 혈관 모듈( μBVM ) 제작
LF-하이드로젤 루프에서 LF로부터 분비되는 측분비인자가 공배양하는 미세유체소자의 HUVEC의 생장을 촉진시켜 관류 가능한 혈관을 형성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HUVEC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을 피브리노겐과 혼합하고 마이크로-채널에 주입하였다. 소수성 마이크로-채널의 모서리에서의 표면장력에 의해 HUVEC 포함 젤이 더 진행하지 않고 마이크로-채널 영역에만 채워졌다. 하이드로젤을 고체화하기 위해 5분 동안 상온에서 인큐베이션한 뒤, 배지를 추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LF-하이드로젤 루프를 도 3과 같이 각각의 레저버에 위치시키고 새 배지로 2일마다 바꿔주면서 HUVEC의 혈관 형성을 5일 동안 유도하면서 명시야 상을 얻었다.
그 결과, 루프의 내부에 포집된 하이드로젤에 포함된 LF 세포들과의 공배양에 의해서 HUVEC가 마이크로-채널의 내부에 모세혈관을 형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
실시예 6. 면역 염색 및 이미징을 통한 모세혈관의 관류 특성 확인
상기 실시예 5에서 형성된 모세혈관들을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와 혼합하였다. 그 후 이를 0.15%의 Triton X-100으로 15분 동안 투과성 처리를 하고 3% 우혈청 (BSA; Sigma)을 포함하는 PBS 용액을 처리하였다. 혈관의 루멘을 보이게 하기 위하여, FITC-콘쥬게이션된 Phalloidin (Molecular Probes, USA)을 사용하였다. 핵은 Hoechst 33342 (Molecular Probes, USA)로 염색하였다. 모세혈관의 형광 이미지를 Olympus FV-1000 공초점 현미경으로 촬영하였으며, IMARIS를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들을 3차원 이미지로 디콘볼루션하였다. 또한, 붉은색 형광을 나타내는 7 μm의 마이크로비드를 레저버에 도입하여 μBVM (micro-scale blood vessel module)의 관류능 (perfusability)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배양 5일 이내에, 2 mm 내지 4.5 mm 길이의 마이크로 채널에서 형성된 모세혈관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μBVM의 디콘볼루션 이미지를 통해 모세혈관 내부에 마이크로비드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μBVM의 관류능 (perfusability)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
상기와 같은 모세혈관 형성이 LF가 분비하는 측분비인자 때문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LF-하이드로젤 루프를 레저버에서 분리한 결과, 혈관 성숙 관련 성장인자가 공급되지 않아 하루 만에 루멘의 분해를 초래하였다 (데이터 미도시).
상기의 결과를 통해, 세포-하이드로젤 루프와 미세유체소자 내의 세포를 물리적으로 분리시킨 상태로 공배양이 가능함을 알 수 있으며, LF-하이드로젤 루프로 인해 형성된 미세유체소자의 마이크로-채널 내의 혈관과 특정 조직을 이룰 수 있는 세포를 포함하는 하이드로젤이 막 형태로 포집된 루프를 이용하여 바디-온-어 칩 (body-on-a chip) 플랫폼을 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젤 루프에 포집한 세포 종류를 바꿈으로써, 혈관에 노출된 측분비인자들도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면 혈관과 다른 특정 세포 또는 조직과의 상호작용을 연구할 수 있고, 특정 세포-하이드로젤 루프는 측분비인자 효과가 필요한 다른 종류의 세포들을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공배양하는데 이용될 수 있어 미세유체 연구에서의 조직 및 기관 모델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 세포-하이드로젤 루프와 이를 이용하여 관류 가능한 혈관이 형성된 미세유체소자를 이용하면, 생물학적으로 유도된 모세혈관을 포함하는 μBVM가 다수의 인 비트로 인간 조직 또는 기관 모델 (연속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배양 접시)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바디-온-어 칩 플랫폼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세포배양용 스캐폴드, 및 세포배양 플레이트 또는 미세유체소자를 포함하는 3차원 세포 공배양 장치로서,
    (i) 상기 세포배양용 스캐폴드는, (a) 단일폐곡선 형태의 스캐폴드; 및 (b) 상기 스캐폴드의 내부 단일폐곡선 표면을 따라 막 형태로 형성되고, 제 1 세포를 포함하며, 배지 및 공기의 이동을 허용하나 세포이동을 허용하지 않는 다공성 하이드로젤로 구성되고;
    (ii) 상기 세포배양 플레이트 또는 미세유체소자는 제 2 세포를 포함하며; 및
    (iii) 상기 세포배양용 스캐폴드가 상기 세포배양 플레이트 또는 미세유체소자에 침지, 또는 침지 및 제거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 1 세포 및 제 2 세포의 배양 중에 이들 세포의 배양환경에 변화를 제공 하는 것인,
    3차원 세포 공배양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폴드는 상기 제 1 세포 배양을 위한 배지를 더 포함하는 것인, 3차원 세포 공배양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포와 제 2 세포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배양되는 것인, 3차원 세포 공배양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젤은 피브린, 피브리노겐, 콜라겐, 또는 폴리에스터 중합체,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트산-글리콜산의 공중합체, 폴리하이드로옥시부티르산, 폴리하이드로옥시발레르산 및 폴리하이드로옥시부티르산-발레르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합성 바이오젤인 것인, 3차원 세포 공배양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포는 상기 하이드로젤 전체 부피를 기준으로 500 cells/㎕ 내지 6,000 cells/㎕ 포함되는 것인, 3차원 세포 공배양 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포는 측분비인자 (paracrine factor)를 상기 제 2 세포에 공여하는 측분비인자 분비 세포인 것인, 3차원 세포 공배양 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포 및 제 2 세포를 공배양 하는 동안, 상기 세포배양용 스캐폴드를 상기 세포배양 플레이트 또는 미세유체소자에 침지 및 제거하는 것을 반복 수행하는 것인, 3차원 세포 공배양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배양용 스캐폴드를 상기 세포배양 플레이트 또는 미세유체소자에 침지 및 제거하는 것을 반복 수행하는 동안, 제 1 세포의 종류가 변경되는 것인, 3차원 세포 공배양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 1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배양용 스캐폴드를 제 2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배양 플레이트 또는 미세유체소자에 침지, 또는 침지 및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3차원 세포 공배양 방법으로서,
    상기 세포배양용 스캐폴드는 (a) 단일폐곡선 형태의 스캐폴드; 및 (b) 상기 스캐폴드의 내부 단일폐곡선 표면을 따라 막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세포를 포함하며, 배지 및 공기의 이동을 허용하나 세포이동을 허용하지 않는 다공성 하이드로젤로 구성된 것인,
    3차원 세포 공배양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폴드는 상기 제 1 세포 배양을 위한 배지를 더 포함하는 것인, 3차원 세포 공배양 방법.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포와 제 2 세포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배양되는 것인, 3차원 세포 공배양 방법.
  14.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젤은 피브린, 피브리노겐, 콜라겐, 또는 폴리에스터 중합체,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트산-글리콜산의 공중합체, 폴리하이드로옥시부티르산, 폴리하이드로옥시발레르산 및 폴리하이드로옥시부티르산-발레르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합성 바이오젤인 것인, 3차원 세포 공배양 방법.
  15.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포는 상기 하이드로젤 전체 부피를 기준으로 500 cells/㎕ 내지 6,000 cells/㎕ 포함되는 것인, 3차원 세포 공배양 방법.
  16.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포는 측분비인자 (paracrine factor)를 상기 제 2 세포에 공여하는 측분비인자 분비 세포인 것인, 3차원 세포 공배양 방법.
  17.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배양용 스캐폴드를 상기 세포배양 플레이트 또는 미세유체소자에 침지 및 제거하는 것을 반복 수행하는 것인, 3차원 세포 공배양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배양용 스캐폴드를 상기 세포배양 플레이트 또는 미세유체소자에 침지 및 제거하는 것을 반복 수행하는 동안, 제 1 세포의 종류가 변경되는 것인, 3차원 세포 공배양 방법.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포에 의해 공여되는 측분비인자는 상기 세포배양용 스캐폴드가 담긴 배지를 통해 상기 제 2 세포로 전달되는 것인, 3차원 세포공배양 방법.
  20. 삭제
KR1020170052237A 2017-04-24 2017-04-24 3차원 세포 배양 스캐폴드 및 이를 이용한 공배양 방법 KR101885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237A KR101885470B1 (ko) 2017-04-24 2017-04-24 3차원 세포 배양 스캐폴드 및 이를 이용한 공배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237A KR101885470B1 (ko) 2017-04-24 2017-04-24 3차원 세포 배양 스캐폴드 및 이를 이용한 공배양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658A Division KR20160111683A (ko) 2015-03-17 2015-03-17 3차원 세포 배양 스캐폴드 및 이를 이용한 공배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450A KR20170071450A (ko) 2017-06-23
KR101885470B1 true KR101885470B1 (ko) 2018-08-03

Family

ID=59283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237A KR101885470B1 (ko) 2017-04-24 2017-04-24 3차원 세포 배양 스캐폴드 및 이를 이용한 공배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4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97900A (zh) * 2017-07-14 2020-04-10 多伦多大学管理委员会 用于快速产生用于化合物筛选的类器官/球状体的微流体平台
KR102219063B1 (ko) * 2019-04-24 2021-02-22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장기 미세유체 칩 구조체의 제조 방법 및 다중 장기 미세유체 칩 구조체
KR102419820B1 (ko) * 2020-10-23 2022-07-11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 장기 미세유체 칩 구조체의 제조 방법 및 인공 장기 미세유체 칩 구조체
CN112300904B (zh) * 2020-10-27 2023-11-17 湖北省银丰鼎诚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氧化石墨烯水凝胶附着干细胞浸泡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276B1 (ko) * 2011-07-27 2013-02-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 외 혈관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혈관 생성 방법
KR101304015B1 (ko) 2012-06-15 2013-09-0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직 공학용 하이드로겔-다공성 생체세라믹 융합형 스캐폴드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9459A (ko) * 2011-08-16 2013-02-27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양수-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증식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식용 구조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276B1 (ko) * 2011-07-27 2013-02-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 외 혈관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혈관 생성 방법
KR101304015B1 (ko) 2012-06-15 2013-09-0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직 공학용 하이드로겔-다공성 생체세라믹 융합형 스캐폴드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ellular and Molecular Bioengineering, Vol. 1, pp. 194-204 (2012.02.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450A (ko) 2017-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e et al. Cell-printed 3D liver-on-a-chip possessing a liver microenvironment and biliary system
JP6874062B2 (ja) 三次元組織培養の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Zhang et al. Bioprinting 3D microfibrous scaffolds for engineering endothelialized myocardium and heart-on-a-chip
KR101885470B1 (ko) 3차원 세포 배양 스캐폴드 및 이를 이용한 공배양 방법
Zhang et al. Biodegradable scaffold with built-in vasculature for organ-on-a-chip engineering and direct surgical anastomosis
Vickerman et al. Design, fabrication and implementation of a novel multi-parameter control microfluidic platform for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and real-time imaging
US10231820B2 (en) Fabrication of vascularized tissue using microfabricated two-dimensional molds
Wang et al. Constructing tissuelike complex structures using cell-laden DNA hydrogel bricks
Liu et al. A review of manufacturing capabilities of cell spheroid generation technologies and future development
US110085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mobilizing extracellular matrix material on organ on chip, multilayer microfluidics microdevices, and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systems
ES2672525T3 (es) Módulos de tejido auto-ensamblables
Petta et al. Sound-induced morphogenesis of multicellular systems for rapid orchestration of vascular networks
Cui et al. Fabrication of perfusable 3D hepatic lobule-like constructs through assembly of multiple cell type laden hydrogel microstructures
CN109804057A (zh) 细胞培养装置以及细胞培养方法
Underhill et al. Bioengineering methods for analysis of cells in vitro
CN110709503B (zh) 细胞层叠体的制造方法
Asthana et al. Biophysical microenvironment and 3D culture physiological relevance
KR20190039283A (ko) 세포 조직의 제조 방법, 및 다공 필름
Zheng et al. 3D construction of shape-controllable tissues through self-bonding of multicellular microcapsules
Son et al. Hand-maneuverable collagen sheet with micropatterns for 3D modular tissue engineering
KR20160111683A (ko) 3차원 세포 배양 스캐폴드 및 이를 이용한 공배양 방법
US20200190456A1 (en) Native Extracellular Matrix-Derived Membrane Inserts for Organs-On-Chips, Multilayer Microfluidics Microdevices, Bioreactors, Tissue Culture Inserts, and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Systems
Heath et al. Biomaterials patterned with discontinuous microwalls for vascular smooth muscle cell culture: biodegradable small diameter vascular grafts and stable cell culture substrates
Dånmark et al. Development of a novel microfluidic device for long-term in situ monitoring of live cells in 3-dimensional matrices
Zhang Engineering In Vitro Vascularization On A C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