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025B1 - 오일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오일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025B1
KR101885025B1 KR1020170029125A KR20170029125A KR101885025B1 KR 101885025 B1 KR101885025 B1 KR 101885025B1 KR 1020170029125 A KR1020170029125 A KR 1020170029125A KR 20170029125 A KR20170029125 A KR 20170029125A KR 101885025 B1 KR101885025 B1 KR 101885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ilter
container
filtered
treatmen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일
Original Assignee
(유)엠아이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엠아이알 filed Critical (유)엠아이알
Priority to KR1020170029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0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05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internal-combustion engine lubrication or fue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F15/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80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된 오일이 상부로부터 투입되면 필터를 통해 각기 지정된 크기 이상의 불순물을 걸러내어 필터링된 오일을 배출하도록 튜브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일 필터용 용기, 사용하지 않은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 저장용 용기, 및 상기 오일 저장용 용기에 저장된 오일과 상기 오일 필터용 용기에서 배출되는 오일을 기 지정된 비율로 혼합하는 오일 혼합용 용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일 처리 장치{OIL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오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를 포함한 각종 기계 장치에서 사용되는 오일을 배출할 시 청결성과 재활용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오일(Oil)은 안 쓰이는 곳이 없을 정도로 다양한 쓰임새를 보인다.
예컨대 자동차에서는 엔진 오일과 브레이크 오일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공작기계나 가공기계에서는 윤활유나 습동유 등이 사용되고 있다.
참고로 상기 윤활유는 점성이 높고 부착력이 좋아서 기어와 같이 회전하는 부분에 사용하여 일정시간 접착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 습동유는 점성이 너무 높을 경우 운동부의 동작을 방해하게 되므로 점성이 상대적으로 낮고, 얇게 도포되어 슬라이딩하는 면 접촉 기구들의 동작을 부드럽게 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 엔진오일은 엔진 내부의 마찰저항을 저감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오일(즉, 사용된 오일)을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환경문제에 영향을 미치며, 오일을 사용하는 장치(예 : 자동차, 공작기계, 가공기계 등)의 수명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비용적인 면에서도 사용자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68752호(2012.07.19. 등록, 폐엔진 오일 처리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자동차를 포함한 각종 기계 장치에서 사용되는 오일을 배출할 시 청결성과 재활용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오일 처리 장치는, 사용된 오일이 상부로부터 투입되면 필터를 통해 각기 지정된 크기 이상의 불순물을 걸러내어 필터링된 오일을 배출하도록 튜브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일 필터용 용기; 사용하지 않은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 저장용 용기; 및 상기 오일 저장용 용기에 저장된 오일과 상기 오일 필터용 용기에서 배출되는 오일을 기 지정된 비율로 혼합하는 오일 혼합용 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일 처리 장치는, 상기 튜브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일 필터용 용기에서 배출되는 필터링된 오일을 다음 오일 필터용 용기에 투입하기 위한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일 처리 장치는, 상기 튜브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일 필터용 용기 중 최종 필터링된 오일을 배출하는 용기에서 필터링된 오일의 특성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해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필터링된 오일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오일 혼합용 용기에서 혼합할 각 오일의 양이나 비율을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한 혼합할 필터링된 오일 및 사용하지 않은 오일의 양이나 비율에 따라 상기 오일 저장용 용기에서 배출되는 사용하지 않은 오일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할된 필터로 형성되며, 상기 각 용기의 내측면에 나선형의 스크루를 형성하고, 상기 용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분할된 필터가 상기 나선형의 스크루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현하되, 상기 분할된 필터를 끼울 수 있는 필터 받침이 타선형 스크루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자동차를 포함한 각종 기계 장치에서 사용되는 오일을 배출할 시 청결성과 재활용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일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일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오일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필터와 용기의 개략적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일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오일 처리 장치는, 제1 필터(F1)를 포함하는 제1 용기(110), 제2 필터(F2)를 포함하는 제2 용기(120), 제3 필터(F3)를 포함하는 제3 용기(130), 사용하지 않은 오일을 저장하는 제4 용기(140), 및 필터링된 오일과 사용하지 않은 오일을 혼합하기 위한 제5 용기(1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용기(110)는 상부로부터 사용된 오일이 투입되면 제1 필터(F1)를 통해 지정된 제1 크기 이상의 불순물(예 : 먼지, 철가루 등)을 걸러내어 하부로 배출한다.
상기 제2 용기(120)는 상기 제1 용기(110)에서 필터링된 오일이 상부로부터 투입되면 제2 필터(F2)를 통해 지정된 제2 크기 이상의 불순물(예 : 먼지, 철가루 등)을 걸러내어 하부로 배출한다.
상기 제3 용기(130)는 상기 제2 용기(120)에서 필터링된 오일이 상부로부터 투입되면 제3 필터(F3)를 통해 지정된 제3 크기 이상의 불순물(예 : 먼지, 철가루 등)을 걸러내어 하부로 배출한다.
여기서 상기 각 필터(F1, F2, F3)가 필터링할 수 있는 불순물의 크기는 점점 작아진다. 참고로 상기 필터가 포함된 용기(즉, 필터부)는 더 추가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가 포함된 용기(즉, 필터부)가 추가될수록 오일에서 불순물의 제거율은 높아진다.
이때 상기 제3 용기(130)까지 필터링된 오일은 불순물이 상당히 제거된 오일이 된다. 그런데 상기 필터링된 오일은 이미 사용된 오일이기 때문에 본래의 특성(예 : 점성 등)이 변경되거나 약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불순물이 제거되었다고 하더라도 재사용하기에는 본래의 효과를 장담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터링된 오일에 사용하지 않은 오일을 기 지정된 비율로 추가하여 변경되거나 약해진 오일의 특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4 용기(140)는 사용하지 않은 오일을 저장하고 있다가 기 지정된 용량의 오일을 상기 제5 용기(150)에 배출하고, 상기 제5 용기(150)에서 상기 제4 용기에서 배출된 오일과 상기 제3 용기에서 배출되는 필터링된 오일을 혼합한다.
한편 상기 각 용기(110 ~ 150)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내부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자동차를 포함한 각종 기계 장치에서 사용되는 오일을 배출할 시, 오일과 불순물을 분리하여 배출하거나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출되는 폐오일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오일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된 오일에 대한 처리 시 청결성과 재활용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일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오일 처리 장치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오일 처리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110)에서 필터링된 오일을 제2 용기(120)로 투입할 때 제1 펌프(210)를 사용하고, 상기 제2 용기(120)에서 필터링된 오일을 제3 용기(130)로 투입할 때 제2 펌프(210)를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펌프(210, 220)를 사용해 오일을 다음 필터부(즉, 필터가 포함된 용기)에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각 용기(110, 120, 130)를 배치할 때 낙차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배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부(즉, 필터가 포함된 용기)의 배치 자유도가 확장됨으로써 장치의 사이즈 및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오일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오일 처리 장치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오일 처리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3 용기(130)(즉, 최종 필터링된 오일을 배출하는 용기)에서 필터링된 오일의 특성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해 검출하는 센서부(310), 상기 센서부(310)를 통해 검출된 필터링된 오일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제5 용기(150)에서 혼합할 오일의 양(또는 비율)을 산출하는 제어부(320), 및 상기 제어부(320)에서 산출한 혼합할 오일(즉, 필터링된 오일에 대한 사용하지 않은 오일)의 양(또는 비율)에 따라 상기 제4 용기(140)에서 배출되는 오일(사용하지 않은 오일)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 구동부(330)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필터링된 오일의 특성(예 : 점성 등)이 떨어질수록 사용하지 않은 오일의 양(또는 비율)을 증가시키고, 반대로 상기 필터링된 오일의 특성(예 : 점성 등)이 높아질수록 사용하지 않은 오일의 양(또는 비율)을 감소시킨다.
이때 상기 필터링된 오일의 특성(예 : 점성 등)에 따라 혼합할 사용하지 않은 오일의 양(또는 비율)은 룩업 테이블 형태로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상으로 상기 실시예에서는 오일 처리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각 용기(110, 120, 130)에 포함되는 각 필터(F1, F2, F3)의 교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형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필터와 용기의 개략적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용기(110, 120, 130)에 포함되는 각 필터(F1, F2, F3)는 각기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부위(예 : 상부, 하부)별로 불순물에 오염되는 정도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특정 부위(예 : 상부)가 필터링 효과가 없을 정도로 불순물에 오염될 경우에는 필터 전체를 교환해야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단위로 분할된 필터를 밀착시켜 각 용기(110, 120, 130)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느 특정 부위(예 : 상부)의 필터(분할된 필터)가 필터 기능을 상실할 경우에 해당 부분의 필터(분할된 필터)만 교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작은 크기의 필터(분할된 필터)를 교환하면 되므로 교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필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오일 처리 장치에서는 상기 필터를 교환(또는 교체)할 때 사용자가 각 용기(110, 120, 130)를 기울이거나, 또는 사용자가 각 용기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각 필터를 꺼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각 용기의 내측면에 나선형의 스크루를 형성하고(도 4의 (c) 참조), 상기 각 필터(분할된 필터)를 용기 내부에 적재할 때, 상기 나선형의 스크루를 따라 이동(상/하로 이동)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필터(분할된 필터)를 상기 나선형의 스크루 사이에 곧바로 끼워 적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나선형 스크루 사이에 필터는 끼우는 경우)에 상기 필터가 상기 스크루의 나선 구조에 따라 기울어짐이 발생하므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받침이 타선형 스크루를 따라 이동(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상기 필터 받침 사이에 각 필터(분할된 필터)를 끼울 수 있게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각 용기(110, 120, 130)를 회전시키고, 그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각 필터를 용기의 하부로 이동시키거나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교환(또는 교체)이 필요한 필터(분할된 필터)만 보다 간편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150 : 용기
F1 ~ F3 : 필터
210, 220 : 펌프
310 : 센서부
320 : 제어부
330 : 밸브 구동부

Claims (4)

  1. 사용된 오일이 상부로부터 투입되면 필터를 통해 각기 지정된 크기 이상의 불순물을 걸러내어 필터링된 오일을 배출하도록 튜브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일 필터용 용기;
    사용하지 않은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 저장용 용기; 및
    상기 오일 저장용 용기에 저장된 오일과 상기 오일 필터용 용기에서 배출되는 오일을 기 지정된 비율로 혼합하는 오일 혼합용 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할된 필터로 형성되며,
    상기 각 용기의 내측면에 나선형의 스크루를 형성하고, 상기 용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분할된 필터가 상기 나선형의 스크루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현하되,
    상기 분할된 필터를 끼울 수 있는 필터 받침이 나선형의 스크루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처리 장치는,
    상기 튜브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일 필터용 용기에서 배출되는 필터링된 오일을 다음 오일 필터용 용기에 투입하기 위한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처리 장치는,
    상기 튜브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일 필터용 용기 중 최종 필터링된 오일을 배출하는 용기에서 필터링된 오일의 특성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해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필터링된 오일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오일 혼합용 용기에서 혼합할 각 오일의 양이나 비율을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한 혼합할 필터링된 오일 및 사용하지 않은 오일의 양이나 비율에 따라 상기 오일 저장용 용기에서 배출되는 사용하지 않은 오일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처리 장치.
  4. 삭제
KR1020170029125A 2017-03-07 2017-03-07 오일 처리 장치 KR101885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125A KR101885025B1 (ko) 2017-03-07 2017-03-07 오일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125A KR101885025B1 (ko) 2017-03-07 2017-03-07 오일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025B1 true KR101885025B1 (ko) 2018-08-02

Family

ID=63251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125A KR101885025B1 (ko) 2017-03-07 2017-03-07 오일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0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341B1 (ko) * 2018-10-12 2020-02-17 (주)셀텍 수용성 절삭유 탱크 살균 및 청소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7307A (en) * 1994-06-17 1996-04-16 Montegari; Daniel F.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waste lubrication oil for reuse as fuel oil
KR20160061509A (ko) * 2014-11-21 2016-06-01 (주)셀텍 절삭유 재생 및 재활용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7307A (en) * 1994-06-17 1996-04-16 Montegari; Daniel F.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waste lubrication oil for reuse as fuel oil
KR20160061509A (ko) * 2014-11-21 2016-06-01 (주)셀텍 절삭유 재생 및 재활용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341B1 (ko) * 2018-10-12 2020-02-17 (주)셀텍 수용성 절삭유 탱크 살균 및 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025B1 (ko) 오일 처리 장치
CN108167614A (zh) 一种方便移动的机械设备支撑装置
CN105171471B (zh) 一种汽车水泵盖夹具的支撑装置
JP2010005712A (ja) バレル研磨方法および装置
CN217856740U (zh) 一种多效组合式含液气体脱液装置
KR20190095037A (ko)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
KR20130019126A (ko) 스크류식 절삭유 정화장치
CN208115260U (zh) 一种化工废料回收利用装置
CN207771577U (zh) 一种具有抗冲且稳定性强的打磨装置
JP2011240458A (ja) 研削盤
KR101001585B1 (ko) 가공유 공급장치
CN104960222A (zh) 一种榨油机
JP2006087810A (ja) ミシンのオイルタンク
CN208960711U (zh) 一种管件滚槽机
CN201997823U (zh) 可切换两种加工液的供液装置及放电加工机
JP2017217594A (ja) イオン交換ユニット及びイオン交換樹脂の交換方法
JP2000346072A (ja) 液体静圧軸受装置
JP4598095B2 (ja) 研磨装置
KR101684177B1 (ko) 사이펀을 이용한 전동식 액체 배출 장치
KR101990670B1 (ko) 회전 테이블 장치
KR100756559B1 (ko) 대형 세탁기의 세탁유 클리닝 장치
CN109748228A (zh) 液体可选择性存储供给装置及液体切换供给方法
CN109158919A (zh) 夹紧装置
CN107024089A (zh) 一种新型多层中药晒药架
CN105944600A (zh) 一种搅拌釜用过滤式搅拌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