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811B1 - Vessel using liquefied fuel gas - Google Patents

Vessel using liquefied fuel ga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811B1
KR101884811B1 KR1020170060669A KR20170060669A KR101884811B1 KR 101884811 B1 KR101884811 B1 KR 101884811B1 KR 1020170060669 A KR1020170060669 A KR 1020170060669A KR 20170060669 A KR20170060669 A KR 20170060669A KR 101884811 B1 KR101884811 B1 KR 101884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fuel gas
bunkering
footrest
supply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6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광용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0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81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8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ship using liquefied fuel gas. The ship using liquefied fuel 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ull; a fuel storage tank provided in the hull; a manifold formed in the hull so as to be connected to a liquefied gas supply line of a supplier when the supplier performs bunkering operation for supplying liquefied fuel gas to the fuel storage tank; and an operation scaffold formed to be rotatable in a side portion of the hull, and supporting an operator when performing the bunkering operation.

Description

액화연료가스를 사용하는 선박{Vessel using liquefied fuel gas}[0001] VESSEL USING LIQUEFIED FUEL GAS [0002]

본 발명은 액화연료가스를 사용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p using liquefied fuel gas.

최근 유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석유보다 값이 싼 액화연료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이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예컨대, 액화연료가스를 사용하는 선박은 액화연료가스를 추진엔진에 연료로 공급하여 추진할 수 있다.Recently, the number of vessels using liquefied fuel gas, which is cheaper than oil, is increasing due to the rise in oil prices. For example, a ship using liquefied fuel gas can be propelled by supplying liquefied fuel gas to the propulsion engine as fuel.

이때, 액화연료가스는 LNG(Liquefied Natural Gas: 액화천연가스), LPG(Liquefied Petroleum Gas: 액화석유가스), CNG(Compressed Natural Gas: 압축천연가스)와 같이 저온상태에서 부피가 감소한 액체상태로 저장탱크에 수용되고, 추진엔진 등에 연료로 공급될 때 기화되어 연소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quefied fuel gas is stored in a low-volume liquid state such as LNG (Liquefied Natural Gas), LPG (Liquefied Petroleum Gas) and CNG (Compressed Natural Gas) Is contained in a tank, and can be vaporized and burned when supplied as fuel to a propulsion engine or the like.

액화연료가스를 사용하는 선박은 항해과정에 필요한 액화연료가스를 연료저장탱크에 충전하게 된다. 그런데, 현재 액화연료가스의 저장시설이 구비된 항구는 많지 않다. 또한, 액화연료가스의 저장시설은 안전을 이유로 항구에서 거리가 먼 장소에 위치하게 된다.The ship using the liquefied fuel gas is charged with the liquefied fuel gas necessary for the navigation process into the fuel storage tank. However, there are not many ports equipped with storage facilities for liquefied fuel gas at present. In addition, storage facilities for liquefied fuel gas are located at distant places from the port for safety reasons.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액화연료가스를 사용하는 선박은 해상에서 벙커링선박을 통해 액화연료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액화연료가스를 사용하는 선박과 벙커링선박 사이 액화연료가스가 전송되는 것을 벙커링이라 한다.Due to such a problem, the ship using the liquefied fuel gas can receive the liquefied fuel gas from the bunker vessel at sea. At this time, the transfer of the liquefied fuel gas between the ship using the liquefied fuel gas and the bunker vessel is referred to as bunkering.

벙커링작업은 액화연료가스를 사용하는 선박의 매니폴드와 벙커링선박의 공급라인이 연결되어 수행되고, 매니폴드는 액화연료가스가 신속히 전송되도록 선체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bunker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connecting the manifold of the ship using the liquefied fuel gas and the supply line of the bunker vessel, and the manifold can be disposed at the edge portion of the hull so that the liquefied fuel gas is rapidly transferred.

이때, 작업자는 벙커링작업 시 매니폴드와 공급라인을 연결하거나 그 연결부위에서 액화연료가스의 누설여부를 육안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 경우, 매니폴드의 위치로 인해, 작업자는 안전한 벙커링작업을 위한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나아가, 작업자가 벙커링작업 과정에 추락하는 사고의 위험도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or can visually monitor the leakage of the liquefied fuel gas o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manifold and the supply line during the bunkering operation. In this case, due to the position of the manifol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operator to secure a sufficient working space for a safe bunkering operation. Furthermore, there is also the risk of an accident where the operator falls during the bunkering proces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작업자가 벙커링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액화연료가스를 사용하는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vessel using liquefied fuel gas in which an operator can safely carry out bunkering operation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 상기 선체에 마련되는 연료저장탱크; 공급처에서 상기 연료저장탱크로 액화연료가스를 공급하는 벙커링작업 시 상기 공급처의 액화가스 공급라인과 연결되도록 상기 선체에 형성되는 매니폴드; 및 상기 선체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벙커링작업 시 작업자를 지지하는 작업발판을 포함하는, 벙커링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ull comprising: a hull; A fuel storage tank provided on the hull; A manifold formed on the hull to be connected to a liquefied gas supply line of the supply source during a bunkering operation for supplying liquefied fuel gas from the supply source to the fuel storage tank; And a work foot which is rotatably formed on the side of the hull and supports the worker in the bunkering work.

상기 작업발판은, 평상시 상기 선체에 대해 접힘동작하고, 벙커링작업 시 상기 선체에서 상기 공급처를 향해 연장되도록 펴짐동작할 수 있다.The work footrest can be normally operated to be folded with respect to the hull, and to be extended so as to extend from the hull to the supply source at the time of bunkering work.

상기 작업발판에는 벙커링작업 시 상기 매니폴드에서 상기 작업발판으로 누설되는 액화연료가스가 아래로 낙하하도록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A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work foot plate so that the liquefied fuel gas leaking from the manifold to the work foot plate may drop down during the bunkering work.

상기 선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작업발판에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작업발판이 접힘동작할 때,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될 수 있다.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hull, a coupling hole is formed on the operation platform, and when the operation platform is folded, the coupling protrusion can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접힘동작 또는 펴짐동작하는 상기 작업발판을 상기 선체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upport line for supporting the operation pedestal for folding operation or expansion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hull.

상기 지지라인에는 상기 지지라인을 상기 선체에 고정하는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작업발판이 접힘동작할 때 상기 지지라인을 상기 선체에 대해 고정하고,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작업발판이 펴짐동작할 때 상기 지지라인을 상기 선체에 대해 고정할 수 있다.The supporting line is provided with a first fixing member and a second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supporting line to the hull, and the first fixing member fixes the supporting line with respect to the hull when the operation footrest is folded , The second fixing member can fix the support line with respect to the hull when the operation foot is extended.

상기 선체에는 상기 작업발판의 접힘동작 또는 펴짐동작에 따라 상기 지지라인을 감거나 푸는 윈치가 형성될 수 있다.A winch may be formed on the hull to wind or unwind the support line according to a folding operation or an expansi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footres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작업발판이 벙커링작업 시 펴짐동작하여 작업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가 작업발판에서 안전하며 효과적으로 벙커링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ork foot which is rotatably formed with respect to the hull is spread out during the bunkering operation to provide a work space, so that the operator can safely and effectively perform bunkering work on the work fo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연료가스를 사용하는 선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연료가스를 사용하는 선박이 벙커링작업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작업발판이 펴짐동작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CC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지지라인을 감거나 푸는 구조의 일 변형례이다.
도 8은 도 7의 윈치가 지지라인을 감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hip using liquefied fuel 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hip using liquefied fuel 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ing bunkering opera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FIG. 1 A.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footrest of Fig. 3 is opened.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B line in Fig. 3 is view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C line of FIG. 4 is view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ig. 7 is a modification of the structure of winding and loosening the support line of Fig. 3;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nch of Fig. 7 is wound around the support line.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terms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the meaning is not limited to itself, and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연료가스를 사용하는 선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연료가스를 사용하는 선박이 벙커링작업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A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작업발판이 펴짐동작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BB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CC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ship using a liquefied fuel 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ship using a liquefied fuel 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ing a bunkering opera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Fig. 1,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operation foot of Fig. 3, Fig. 5 is a view of the BB line of Fig.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C line of FIG. 4 is view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참고로, 도 1 및 도 2에서 +Y축방향은 선체(30)의 우현측 방향을 나타내고, 핸드레일(도 3의 31) 및 지지라인(도 3의 150)이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1 and 2, the + Y axis direction indicates the starboard side direction of the hull 30, and the handrail (31 in FIG. 3) and the support line (150 in FIG. 3) are omitt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연료가스를 사용하는 선박(1)은 LNG 또는 LPG와 같은 액화연료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추진엔진(미도시)이 설치된 선박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ship 1 using liquefied fuel g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ip (not shown) equipped with a propulsion engine (not shown) using liquefied fuel gas such as LNG or LPG as fuel Lt; / RTI >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은 도 2와 같이 해상에서 공급처(2)로부터 액화연료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공급처(2)는 액화연료가스를 저장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과 같이 액화연료가스의 공급이 필요한 곳으로 이동하여 벙커링작업을 통해 저장된 액화연료가스를 공급하는 벙커링선박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The vessel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receive the liquefied fuel gas from the supply source 2 in the sea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supply source 2 stores the liquefied fuel gas, moves to a place where supply of the liquefied fuel gas is required like the ship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supplies the liquefied fuel gas stored through the bunkering operation But is not limited to.

여기서, 벙커링작업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과 공급처(2)가 연결되어 액화연료가스가 이송되는 일체의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벙커링작업은 작업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Here, the bunkering operation may include all operations in which the ship 1 and the supply source 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liquefied fuel gas is transport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uch a bunker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an operator.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화연료가스를 사용하는 선박(1)은 선체(30), 연료저장탱크(50), 매니폴드(70), 및 작업발판(100)을 포함한다.1 to 6, a ship 1 using liquefied fuel ga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ull 30, a fuel storage tank 50, a manifold 70, and a scaffold 100 .

선체(30)에는 연료저장탱크(50)가 마련된다. 연료저장탱크(50)에는 추진엔진(미도시) 등에서 연료로 사용되는 액화연료가스가 저장된다.A fuel storage tank (50) is provided in the hull (30). The fuel storage tank 50 stores liquefied fuel gas used as fuel in a propulsion engine (not shown) or the like.

예컨대, 연료저장탱크(50)는 도 1과 같이 선체(30) 내부에 선체(30)의 길이방향(ex. X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연료저장탱크(50)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연료저장탱크(50)는 선체(30)의 폭방향(ex. Y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uel storage tank 50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g., the X-axis direction) of the hull 30 within the hull 30 as shown in Fig. The fuel storage tank 50 may be provided in plural. The plurality of fuel storage tanks 50 may b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ex. Y-axis direction) of the hull 30.

매니폴드(70)는 도 2와 같이 공급처(2)에서 연료저장탱크(50)로 액화연료가스를 공급하는 벙커링작업 시 공급처(2)의 액화연료가스 공급라인(71)과 연결된다.The manifold 70 is connected to the liquefied fuel gas supply line 71 of the supply source 2 in the bunkering operation for supplying the liquefied fuel gas from the supply source 2 to the fuel storage tank 50 as shown in Fig.

보다 상세히, 매니폴드(70)는 일측부가 선체(30)의 연료저장탱크(50)와 연결되고, 타측부가 공급처(2)의 액화연료가스 공급라인(7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공급처(2)에 저장된 액화연료가스는 액화연료가스 공급라인(71)과 매니폴드(70)를 통해 연료저장탱크(50)로 이송될 수 있다.The manifold 70 may be connected to the fuel storage tank 50 of the hull 30 and the other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liquefied fuel gas supply line 71 of the supply source 2. At this time, the liquefied fuel gas stored in the supply source 2 can be transferred to the fuel storage tank 50 through the liquefied fuel gas supply line 71 and the manifold 70.

매니폴드(70)는 선체(30)에 형성된다. 이때, 매니폴드(70)는 선체(30)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선체(30)와 공급처(2)를 연결하는 액화연료가스 공급라인(71)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공급처(2)의 액화연료가스는 연료저장탱크(50)를 향해 신속하며 효과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The manifold 70 is formed in the hull 30. At this time, the manifold 70 may be disposed at the edge of the hull 30.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liquefied fuel gas supply line 71 connecting the hull 30 and the supply source 2 can be shortened, and the liquefied fuel gas in the supply source 2 can be quickly accelerated toward the fuel storage tank 50 Can be effectively transported.

예컨대, 매니폴드(7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선체(30)의 우현측 상면 가장자리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매니폴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선체의 좌현측에 배치되거나 선체의 양현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nifold 7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side edge portion on the starboard side of the hull 30 as shown in Figs. Or manifolds are not shown, but they may be disposed on the port side of the hull or disposed on the horn side of the hull, respectively.

작업발판(100)은 벙커링작업 시 작업자를 지지한다.The footrest 100 supports the operator during the bunkering operation.

작업발판(100)은 선체(30)의 측부에 형성된다. 이때, 작업발판(100)은 매니폴드(70)가 배치되는 선체(30)의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footrest 10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hull 30. At this time, the footrest 100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hull 30 where the manifold 70 is disposed.

예컨대, 작업발판(1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선체(30)의 우현측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ootrest 100 may be disposed on the starboard side of the hull 30 as shown in Figs.

이때, 작업발판(100)은 벙커링작업 시 도 2와 같이 선체(30)의 우현측에서 공급처(2)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발판(100)은 벙커링작업 시 작업자에 대해 작업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작업발판(100)은 작업자에 대해 상대적으로 넓은 작업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footrest 100 may extend from the starboard side of the hull 30 toward the supply source 2 as shown in FIG. 2 during the bunkering operation. In this case, the scaffolding 100 can provide a work space for the operator in the bunkering operation. In other words, the scaffolding 100 can provide a relatively large work space for the operator.

이 경우, 작업자는 작업발판(100)을 디딘 상태에서 매니폴드(70)와 액화연료가스 공급라인(71)을 연결하는 작업 또는 매니폴드(70)와 액화연료가스 공급라인(71)의 연결부위에서 액화연료가스의 누설여부를 육안으로 모니터링하는 등의 작업을 안전하며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작업자는 벙커링작업 시 작업발판(100)에 지지되어 해상으로 추락하는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perator can perform the operation of connecting the manifold 70 and the liquefied fuel gas supply line 71 in a state where the operation pedestal 100 is stopped or the operation of connecting the manifold 70 and the liquefied fuel gas supply line 71 It is possible to safely and effectively perform operations such as visually monitoring whether the liquefied fuel gas has leaked or not. Furthermore, the operator can be prevented from accidentally falling down to the sea by being supported by the footrest 100 during the bunkering operation.

본 실시예에서, 작업발판(100)은 선체(30)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footrest 100 is rotatably formed on the side of the hull 30.

예컨대, 작업발판(100)의 회전단부는 힌지축(H)을 매개로 선체(30)의 측부에 힌지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발판(10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힌지축(H)을 중심으로 자유단부가 수면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회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otary end of the footrest 100 can be hinged to the side of the hull 30 via the hinge axis H. In this case, the footrest 100 can be rotated about the hinge axis H, as shown in Figs. 3 and 4, such that the free end thereof approaches or falls away from the water surface.

작업발판(100)은 선체(30)가 항해 중인 경우와 같은 평상 시, 도 3과 같이 선체(30)에 대해 접힙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발판(100)은 수면에 대해 가까워지도록 회전할 수 있다.The work footrest 100 can be folded with respect to the hull 30 as shown in Fig. 3 when the hull 30 is in a normal state, such as when the hull 30 is in voyage. In this case, the operation pedestal 100 can be rotated so as to approach the water surface.

접힘동작한 작업발판(100)은 선체(30)의 측벽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접힘동작한 작업발판(100)은 선체(30)의 측벽에 대해 지지될 수 있다.The folding operation footrest 100 may be disposed side by side on the side wall of the hull 30. At this time, the folding operation pedestal 100 can be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side wall of the hull 30.

이 경우, 선체(30)에는 결합돌기(111)가 형성되고, 작업발판(100)에는 결합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 coupling protrusion 111 may be formed on the hull 30, and a coupling hole 112 may be formed on the operation foot plate 100.

결합돌기(111)는 선체(30)의 측벽에서 선체(30)의 폭방향(ex. Y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돌기(111)의 끝단부에는 핀(113)이 삽입되는 핀홀(미도시)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protrusions 111 may protrude from the side wall of the hull 30 in the width direction (e.g., the Y-axis direction) of the hull 30. At this time, a pinhol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pin 113 is inserted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111.

결합돌기(111)는 도 3과 같이 작업발판(100)이 접힘동작할 때 결합홀(11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결합돌기(111)의 끝단부는 작업발판(100)에 대해 돌출되고, 결합돌기(111)의 끝단부에는 핀(113)이 핀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The coupling protrusion 111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12 when the operation foot plate 100 is folded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111 protrudes from the foot plate 100, and the pin 113 is inserted into the pin hole at the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111 and can be coupled.

이 경우, 작업발판(100)은 선체(30)의 측벽에 대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작업발판(100)은 접힘동작한 상태에서 흔들리는 것이 최소화되어, 선체(30)가 요동하는 경우에도 선체(30)의 측벽과 충돌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ootrest 100 can be fixed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side wall of the hull 30. At this time, the shoe 100 is minimally shaken in the folded state, so that collision with the side wall of the hull 30 can be prevented even when the hull 30 swings.

한편, 결합홀(112)은 도 5와 같이 결합돌기(111)가 삽입될 때, 내측면이 결합돌기(111)의 외측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결합홀(112)의 지름은 결합돌기(111)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발판(100)이 회전하는 동안, 결합홀(112)과 결합돌기(111)는 서로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5,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11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11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111 is inserted. In other words, the diameter of the engaging hole 112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engaging projection 111. In this case, the engagement hole 112 and the engagement protrusion 111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while the operation foot 100 rotates.

작업발판(100)은 벙커링작업 시 도 4와 같이 선체(30)에서 공급처(도 2의 2)를 향해 연장되도록 펴짐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발판(100)은 수면에 대해 멀어지도록 회전할 수 있다.The operation footrest 100 can be expanded so as to extend from the hull 30 to the supply source (2 in Fig. 2) as shown in Fig. 4 during the bunkering operation. In this case, the work footrest 100 can be rotated to be away from the water surface.

작업발판(100)은 선체(30)의 폭방향(ex. Y축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작업발판(100)은 도 4에서 볼 때 작업발판(100)의 상면, 즉 작업자가 디디는 면이 선체(30)의 상면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ootrest 100 may be disposed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e.g., the Y-axis direction) of the hull 30. In other words, the operation pedestal 100 can be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pedestal 100, that is, the surface to be worked by the operator,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ull 30 as viewed in FIG.

이와 같이 펴짐동작한 작업발판(100)은 후술하는 지지라인(150)을 통해 펴짐동작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The spread pedal 100 can be maintained in a spreading state through a support line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은 지지라인(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hip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line 150.

지지라인(15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접힘동작 또는 펴짐동작하는 작업발판(100)을 선체(30)에 대해 지지할 수 있다.The support line 150 is capable of supporting the footrest 100 with respect to the hull 30 in a folding or spreading operation as shown in Figs.

지지라인(150)은 체인 또는 로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The support line 150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chain or a rope.

지지라인(150)은 일단부가 작업발판(100)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선체(30)에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라인(15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일단부 작업발판(100)의 자유단부에, 타단부가 선체(30)의 상면 측단에 돌출된 핸드레일(31)의 상단에 지지될 수 있다. 또는, 지지라인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선체 자체에 지지될 수 있다One end of the support line 150 may be supported by the work foot plate 100 and the other end may be supported by the hull 30. 3 and 4, the support line 150 is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handrail 31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ull 30 at the free end of the one end work footrest 100, . Alternatively, the support line may be supported on the hull itself, although not shown

이와 같은 지지라인(150)은 작업발판(100)의 접힘동작 또는 펴짐동작에 따라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The support line 150 may be wound or unwound according to the folding operation or the spread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footrest 100. [

일례로, 지지라인(150)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upport line 150 may be manually wound or unwound by an operator.

이때, 지지라인(150)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지지라인(150)을 선체(30)에 고정하는 제1고정부재(151) 및 제2고정부재(152)가 형성될 수 있다.3 and 4, a first fixing member 151 and a second fixing member 152 for fixing the supporting line 150 to the hull 30 may be formed on the supporting line 150. [

제1고정부재(151) 및 제2고정부재(152)는 후크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외에도 지지라인(150)을 선체(30)에 대해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member 151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152 may be provided in a hook type but may also be provided in various structures in which the supporting line 150 can be fixed to the hull 30.

제1고정부재(151) 및 제2고정부재(152)는 지지라인(150)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고정부재(151)와 제2고정부재(152) 사이 이격된 거리는 접힘동작 또는 펴짐동작하기 위해 회전하는 작업발판(100)의 회전양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member 151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152 may b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upport line 150. [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ing member 151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152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operation pedestal 100 that rotates to perform the folding operation or the spreading operation.

예컨대, 제1고정부재(151) 및 제2고정부재(152)는 작업발판(100)의 접힘동작 또는 펴짐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핸드레일(31)과 결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fixing member 151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152 can selectively engage with the handrail 31 according to the folding operation or the spread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footrest 100. [

작업자는 도 3과 같이 작업발판(100)이 접힘동작할 때 지지라인(150)을 풀 수 있다. 이 경우, 제1고정부재(151)는 핸드레일(31)에 결합되어 지지라인(150)을 선체(30)에 대해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발판(100)은 지지라인(150)에 지지되어 선체(30)에 대해 접힘동작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The operator can release the support line 150 when the footrest 100 is folded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first fixing member 151 may be coupled to the handrail 31 to fix the support line 150 to the hull 30. At this time, the footrest 100 is supported on the support line 150 so that the folding operation state of the hull 30 can be maintained.

작업자는 도 4와 같이 작업발판(100)이 펴짐동작할 때 지지라인(150)을 감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고정부재(152)는 핸드레일(31)에 결합되어 지지라인(150)을 선체(30)에 대해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발판(100)은 지지라인(150)에 지지되어 선체(30)에 대해 펴짐동작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The operator may wind the support line 150 when the operation foot 100 is extended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second fixing member 152 may be coupled to the handrail 31 to fix the support line 150 to the hull 30. At this time, the footrest 100 may be supported on the support line 150 and maintained in the extended operation state with respect to the hull 30.

한편, 지지라인(150)은 도 5 및 도 6에서 볼 때 작업발판(100)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발판(100)의 좌측단부에 제공된 지지라인(150)과 작업발판(100)의 우측단부에 제공된 지지라인(150)은 연동하여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line 150 may be provided at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respectively, of the operation pedestal 100 as seen in Figs. In this case, the support line 150 provided at the left end of the operation pedestal 100 and the support line 150 provided at the right end of the operation pedestal 100 may be wound or unwound together.

다른 예로, 지지라인(150')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선체(30)에 형성되는 윈치(170)에 의해 자동으로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참고로, 도 7은 도 3의 지지라인을 감거나 푸는 구조의 일 변형례이고, 도 8은 도 7의 윈치가 지지라인을 감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As another example, the support line 150 'may be automatically wound or unwound by the winch 170 formed on the hull 30 as shown in Figs. For reference, Fig. 7 shows a modification of the structure for winding up and down the support line of Fig. 3,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nch of Fig. 7 is wound around the support line.

예컨대, 윈치(170)는 선체(3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라인(150')은 일단부가 작업발판(100)에 지지되고, 핸드레일(31)을 거쳐 연장되어, 타단부가 윈치(170)에 지지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winch 17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ull 30. In this case, one end of the support line 150 'is supported by the operation pedestal 100 and extends through the handrail 31, and the other end can be supported by the winch 170.

윈치(170)는 도 7과 같이 작업발판(100)이 접힘동작할 때 지지라인(150')을 풀 수 있다. 이 경우, 윈치(170)는 작업발판(100)의 접힘동작이 완료되면 푸는 동작을 중지하고 지지라인(15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발판(100)은 지지라인(150')에 지지되어 선체(30)에 대해 접힘동작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The winch 170 can release the support line 150 'when the footrest 100 is folded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when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pedestal 100 is completed, the winch 170 can be stopped and the support line 150 'can be fixed. At this time, the footrest 100 is supported on the support line 150 'so that the folding operation state of the hull 30 can be maintained.

윈치(170)는 도 8과 같이 작업발판(100)이 펴짐동작할 때 지지라인(150')을 감을 수 있다. 이 경우, 윈치(170)는 작업발판(100)의 펴짐동작이 완료되면 감는 동작을 중지하고 지지라인(15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발판(100)은 지지라인(150')에 지지되어 선체(30)에 대해 펴짐동작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The winch 170 may be wound around the support line 150 'when the operation pedestal 100 is extended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winch 170 may stop the winding operation and fix the support line 150 'when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pedestal 100 is completed. At this time, the footrest 100 may be supported on the support line 150 'so that the spreading operation state can be maintained with respect to the hull 30.

이외에도, 지지라인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작업발판의 접힘동작 또는 펴짐동작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는 다양한 방법으로 작업발판을 선체에 대해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support line is not shown, the work footrest can be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hull by various methods of winding or unwinding according to the folding or spreading action of the work footrest.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작업발판(10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3 to 6, the footrest 100 may be provided in a plate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작업발판(100)은 벙커링작업에 필요한 작업공간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The pedestal 100 can be provided in various sizes in consideration of a work space required for the bunkering operation.

작업발판(100)의 자유단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라운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벙커링작업 시 선체(30)의 높이가 공급처(도 2의 2)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이 경우, 액화연료가스 공급라인(도 2의 71)은 공급처(도 2의 2)에서 선체(30)의 매니폴드(70)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액화연료가스 공급라인(도 2의 71)은 작업발판(100)의 자유단의 모서리와 간섭되어 꺽임 등이 발생함으로써 파손될 수 있다.The free end of the footrest 100 may be provided in a round shape as shown in Figs. 3 and 4. More specifically, in the bunkering operation, the height of the hull 30 may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upply source (2 in Fig. 2). In this case, the liquefied fuel gas supply line (71 in Fig. 2) can be extended upwardly toward the manifold 70 of the hull 30 in the supply source (2 in Fig. 2). At this time, the liquefied fuel gas supply line (71 in FIG. 2) may be broken by interfering with the edge of the free end of the operation pedestal 100 and causing bending or the like.

이 경우, 작업발판(100)의 자유단이 라운드 형상을 가짐으로써, 액화연료가스 공급라인(도 2의 71)은 작업발판(100)의 모서리에서 매니폴드(70)를 향해 원만하게 연장되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free end of the operation pedestal 100 has a round shape, the liquefied fuel gas supply line (71 in Fig. 2) extends smoothly toward the manifold 70 from the edge of the operation pedestal 100, Can be prevented.

예컨대, 펴짐동작한 작업발판(100)을 도 4와 같이 작업자가 디디는 면에 대해 수직하며 선체(30)의 폭방향(ex. Y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볼 때, 작업발판(100)의 자유단은 공급처(도 2의 2)를 향해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pread pedestal 100 is view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e.g., the Y-axis direction) of the hull 30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to be worked by the operator as shown in FIG. 4, The free end can be provided in a convex circular arc shape toward the supply source (2 in Fig. 2).

본 실시예에서, 작업발판(100)에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벙커링작업 시 매니폴드(70)에서 작업발판(100)으로 누설되는 액체화물이 아래로 낙하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130)가 형성될 수 있다.5 and 6, the operation pedestal 10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through hole 130 so that the liquid cargo leaking from the manifold 70 to the pedestal 100 during the bunkering operation falls downward, Can be formed.

관통구(130)는 도 6에서 볼 때 작업발판(100)의 작업자가 디디는 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관통구(130)는 작업발판(100)의 두께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The through-hole 130 may be formed to penetr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work footplate 100 as seen in FIG. In other words, the through-hole 130 can be formed to penetrat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operation foot plate 100.

보다 상세히, 벙커링작업 시 액화연료가스는 매니폴드(도 2의 70)에서 작업발판(100)으로 누설될 수 있다. 누설된 액화연료가스는 작업발판(100)에 고일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누설된 액화연료가스에 의해 미끄러지는 등 안전한 작업이 곤란할 수 있다. 나아가, 액화연료가스가 극저온의 특성을 가지므로, 작업자는 누설되는 액화연료가스의 특성에 의해 신체가 손상되는 피해를 입을 수 있다.More specifically, liquefied fuel gas may leak from the manifold (70 in FIG. 2) to the footbolt 100 during bunkering operations. The leaked liquefied fuel gas may be accumulated in the operation pedestal 100.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for the operator to perform a safe operation such as slipping by the leaked liquefied fuel gas. Further, since the liquefied fuel gas has a characteristic of a cryogenic temperature, the operator may suffer damage to the bod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ked liquefied fuel gas.

이때, 관통구(130)는 작업발판(100)으로 누설되는 액화연료가스를 작업발판(100)의 아래로(예를 들어, 수면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누설되는 액화연료가스가 작업발판(100)에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액화연료가스가 작업발판(100)으로 누설되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벙커링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hrough hole 130 moves the liquefied fuel gas leaking to the operation pedestal 100 downward (for example, toward the water surface) of the operation pedestal 100, Can be prevented from hanging. In this case, the operator can safely carry out the bunkering operation even when the liquefied fuel gas leaks to the operation pedestal 100.

관통구(130)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구(130)는 도 5와 같이 작업발판(100)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관통구(130)는 누설되는 액화연료가스를 효과적으로 아래로 낙하시킬 수 있다.The through-holes 13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130 may be dispersedly disposed on the operation pedestal 100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130 can drop the leaked liquefied fuel gas effectively.

이와 같은 관통구(130)는 액화연료가스를 통과시킬 수 있으나, 작업자의 신체 또는 작업도구가 통과하기 어려운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rough-hole 130 may pass through the liquefied fuel gas, but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difficult to pass through the body of the operator or the work tool.

한편, 작업발판(100)은 액화연료가스의 저온특성을 견딜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작업발판(100)은 액화연료가스의 저온특성에 의해 형성되는 저온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파괴되기 어려운, 즉 인성(靭性)을 갖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otrest 100 can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withstand the low-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the liquefied fuel gas. In other words, the work footplate 100 may be provided with a material which is hard to be broken by an external force, that is, a material having toughness, at a low temperature state formed by the low temperature characteristic of the liquefied fuel gas.

이 경우, 작업발판(100)은 액화연료가스가 작업발판(100)으로 누설되는 경우에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liquefied fuel gas leaks to the operation pedestal 100, the operation pedestal 100 can be minimized from being damaged by an external force.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액화연료가스를 사용하는 선박(1)은 선체(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작업발판(100)이 벙커링작업 시 펴짐동작하여 작업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가 작업발판(100)에서 안전하며 효과적으로 벙커링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hip 1 using the liquefied fuel ga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work footplate 100 form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hull 30 is expanded during the bunkering operation to provide a work space, Can safely and effectively perform bunkering work on the work foot plate 100. [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many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액화연료가스를 사용하는 선박
2: 공급처
30: 선체
31: 핸드레일
50: 연료저장탱크
70: 매니폴드
71: 액화연료가스 공급라인
100: 작업발판
111: 결합돌기
112: 결합홀
113: 핀
130: 관통구
150, 150': 지지라인
151: 제1고정부재
152: 제2고정부재
170: 윈치
1: Ship using liquefied fuel gas
2: Supply source
30: Hull
31: Handrail
50: Fuel storage tank
70: manifold
71: liquefied fuel gas supply line
100: Operation scaffolding
111: engaging projection
112: coupling hole
113: pin
130: Through hole
150, 150 ': Support line
151: first fixing member
152: second fixing member
170: Winch

Claims (7)

선체;
상기 선체에 마련되는 연료저장탱크;
공급처에서 상기 연료저장탱크로 액화연료가스를 공급하는 벙커링작업 시 상기 공급처의 액화가스 공급라인과 연결되도록 상기 선체에 형성되는 매니폴드; 및
상기 선체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평상시 상기 선체에 대해 접힘동작하고, 상기 벙커링작업 시 상기 선체에서 상기 공급처를 향해 연장되도록 펴짐동작하고, 상기 벙커링작업 시 작업자를 지지하는 작업발판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발판에는 상기 벙커링작업 시 상기 매니폴드에서 상기 작업발판으로 누설되는 액화연료가스가 아래로 낙하하도록 관통구가 형성되는, 액화연료가스를 사용하는 선박.
hull;
A fuel storage tank provided on the hull;
A manifold formed on the hull to be connected to a liquefied gas supply line of the supply source during a bunkering operation for supplying liquefied fuel gas from the supply source to the fuel storage tank; And
And a work footrest which is rotatably formed on the side of the hull and which is normal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hull and spreads so as to extend from the hull to the supply source during the bunkering operation and supports the worker during the bunkering work, ,
Wherei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operation footrest so that the liquefied fuel gas leaking from the manifold to the operation footboard drops downward during the bunkering oper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선체;
상기 선체에 마련되는 연료저장탱크;
공급처에서 상기 연료저장탱크로 액화연료가스를 공급하는 벙커링작업 시 상기 공급처의 액화가스 공급라인과 연결되도록 상기 선체에 형성되는 매니폴드; 및
상기 선체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평상시 상기 선체에 대해 접힘동작하고, 상기 벙커링작업 시 상기 선체에서 상기 공급처를 향해 연장되도록 펴짐동작하고, 상기 벙커링작업 시 작업자를 지지하는 작업발판을 포함하고,
상기 선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작업발판에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작업발판이 접힘동작할 때,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액화연료가스를 사용하는 선박.
hull;
A fuel storage tank provided on the hull;
A manifold formed on the hull to be connected to a liquefied gas supply line of the supply source during a bunkering operation for supplying liquefied fuel gas from the supply source to the fuel storage tank; And
And a work footrest which is rotatably formed on the side of the hull and which is normal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hull and spreads so as to extend from the hull to the supply source during the bunkering operation and supports the worker during the bunkering work, ,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hull,
A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operation footrest,
Wherein the engagement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hole when the operation footrest is folded.
선체;
상기 선체에 마련되는 연료저장탱크;
공급처에서 상기 연료저장탱크로 액화연료가스를 공급하는 벙커링작업 시 상기 공급처의 액화가스 공급라인과 연결되도록 상기 선체에 형성되는 매니폴드;
상기 선체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평상시 상기 선체에 대해 접힘동작하고, 상기 벙커링작업 시 상기 선체에서 상기 공급처를 향해 연장되도록 펴짐동작하고, 상기 벙커링작업 시 작업자를 지지하는 작업발판; 및
접힘동작 또는 펴짐동작하는 상기 작업발판을 상기 선체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라인을 포함하는, 액화연료가스를 사용하는 선박.
hull;
A fuel storage tank provided on the hull;
A manifold formed on the hull to be connected to a liquefied gas supply line of the supply source during a bunkering operation for supplying liquefied fuel gas from the supply source to the fuel storage tank;
A work foot which is rotatably formed on a side of the hull and is normally operated to be folded with respect to the hull and extending to extend from the hull to the supply source during the bunkering operation and to support the operator in the bunkering operation; And
And a support line for supporting the work footrest, which is operated to be folded or spread, with respect to the hul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라인에는 상기 지지라인을 상기 선체에 고정하는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작업발판이 접힘동작할 때 상기 지지라인을 상기 선체에 대해 고정하고,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작업발판이 펴짐동작할 때 상기 지지라인을 상기 선체에 대해 고정하는, 액화연료가스를 사용하는 선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upport line is provided with a first fixing member and a second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supporting line to the hull,
Wherein the first fixing member fixes the support line with respect to the hull when the operation foot is folded,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fixes the support line with respect to the hull when the operation foot is extend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는 상기 작업발판의 접힘동작 또는 펴짐동작에 따라 상기 지지라인을 감거나 푸는 윈치가 형성되는, 액화연료가스를 사용하는 선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hull is formed with a winch that winds up or unwinds the support line in accordance with the folding operation or the spread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footrest.
KR1020170060669A 2017-05-16 2017-05-16 Vessel using liquefied fuel gas KR1018848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669A KR101884811B1 (en) 2017-05-16 2017-05-16 Vessel using liquefied fuel ga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669A KR101884811B1 (en) 2017-05-16 2017-05-16 Vessel using liquefied fuel ga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4811B1 true KR101884811B1 (en) 2018-08-02

Family

ID=63251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669A KR101884811B1 (en) 2017-05-16 2017-05-16 Vessel using liquefied fuel ga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81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4827A (en) * 2013-06-12 2014-1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anifold device
KR20170050382A (en) * 2015-10-30 2017-05-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Marine offload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4827A (en) * 2013-06-12 2014-1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anifold device
KR20170050382A (en) * 2015-10-30 2017-05-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Marine offload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97112B1 (en) Offshore fluid transfer system and method
JP5808431B2 (en) LNG re-vaporization facility using maritime jack-up platform
JP6838795B2 (en) A hull used as the outer shell of a floating hydrocarbon storage plant and / or a floating hydrocarbon processing plant,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hull, a ship equipped with the hul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hip having the hull.
KR20130033003A (en) Pump tower
KR101884811B1 (en) Vessel using liquefied fuel gas
EP3131807B1 (en) Method of integrating new built structural block and sponson with existing lng carrier
AU2022231698A1 (en) Marine vessel comprising LG handling system
JP5894097B2 (en) Connection mechanism for liquefied gas supply
KR20100102265A (en) Membrane type lng tank and its maintenance method and work platform apparatus used for the maintenance method
KR101884844B1 (en) Emergency disconnect apparatus
KR102095252B1 (en) Mooring apparatus
JP2014505842A (en) LNG re-vaporization facility using marine jetty structure
KR20130062743A (en) Working platform for underwater hose connection
KR20190058089A (en) Barrier of offshore structure
KR20110047413A (en) Tank vessel for refueling on the sea and ship refueled by tank vessel
KR20120058262A (en) Side by side mooring apparatus
KR20170136662A (en) Bunkering apparatus for ship
JP6215985B2 (en) Connection mechanism for liquefied gas supply
US6644234B2 (en) Holding apparatus for a floating hose
KR102648125B1 (en) Moving manifold for lng bunkering vessel
RU2694710C1 (en) Vessel with stinger handling system
KR20190000689U (en)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and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
KR102022061B1 (en) Installation crane constructing method for the ocean structure construction
Yimtae et al. Converted Barge for Wellhead Platform Decommissioning
KR102296328B1 (en) Flame Diffusion Prevention Fuel Tank And Flame Diffusion Prevention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