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849B1 - 대용량 수면적에 대한 물순환과 미생물포설 수질정화를 이용한 수공간 시공구조 - Google Patents

대용량 수면적에 대한 물순환과 미생물포설 수질정화를 이용한 수공간 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849B1
KR101883849B1 KR1020170027916A KR20170027916A KR101883849B1 KR 101883849 B1 KR101883849 B1 KR 101883849B1 KR 1020170027916 A KR1020170027916 A KR 1020170027916A KR 20170027916 A KR20170027916 A KR 20170027916A KR 101883849 B1 KR101883849 B1 KR 101883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mp
line
room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정호
Original Assignee
우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정호 filed Critical 우정호
Priority to KR1020170027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849B1/ko
Priority to PCT/KR2018/002521 priority patent/WO201816002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2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an open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각종 비용 부담도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무엇보다도 대형 호수와 같이 대용량 수면적에도 물순환과 미생물포설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서 각종 물 환경에 따른 수질정화 효과와 친환경적인 자연생태 호수 조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대용량 수면적에 대한 물순환과 미생물포설 수질정화를 이용한 수공간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대형 호수와 같은 수공간의 내,외면부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축조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다수의 여과제층(111)(112)(113)(114)으로 이루어진 지반 지지체형 여과트랩(110)이 형성되고 그 상부 수위선 이상에서는 양질토(121)가 적층되어 식물이나 나무들이 심어지는 인공식생수경녹지(120)(120') 또는 인공섬형수경녹지100)와;
상기 여과트랩(110)에 수직으로 하부면이 저수면 바닥보다 낮게 입설되어지되 습식,건식 혼용형의 펌프룸(210) 및 이의 외면을 감싸고 있는 설비운영룸(220)으로 이루어지는 2중 구조의 하우징(200)과,
상기 여과트랩(110)에 일단이 위치되고, 타단은 하우징(200)의 설비운영룸(220)을 관통하여 펌프룸(210)에 위치토록 설치되어 여과트랩(110)에 의해 여과된 정화수를 펌프룸(210)에 공급하는 다수의 통수관(311)(312)(313)(314)(315)(316)(317)(318)과;
상기 다수의 통수관(311)(312)(313)(314)(315)(316)(317)(318) 중 선택된 통수관(313)(316)의 타단과 그리고, 각각 일단이 개폐용 슬라이드식홀더(411a)(421a)가 구비된 스트레이너(411)(421) 및 인라인수중펌프(412)(422)로 연결된 상태로 타단이 수경시설, 분수, 특정지역에 위치토록 설치되어 스트레이너(411)(421)의 개폐여부에 따라 펌프룸(210)의 운영 형태가 습식 또는 건식방법으로 여과된 정화수를 수경시설, 특정지역으로 보내 순환시키는 제1수질정화 순환라인(410)(420)과;
상기 수공간의 특정지역에 일단이 위치되고, 타단은 하우징(200)의 설비운영룸(220)을 관통하여 펌프룸(210)에 위치토록 설치되어 특정지역의 물을 펌프룸(210)으로 취수하는 다수의 선택취수라인(510)(520)(530)과;
상기 다수의 선택취수라인(510)(520)(530) 중 선택된 선택취수라인(510)의 타단과 그리고, 일단이 개폐용 슬라이드식홀더(611a)가 구비된 스트레이너(611) 및 인라인수중펌프(612)로 연결된 상태로 타단이 수경시설, 특정지역에 위치토록 설치되어 펌프와 연결된 스트레이너(611)의 개폐여부에 따라 펌프룸(210)의 운영 형태가 습식 또는 건식 상태에서 여과된 정화수와 혼입된 혼합수를 수경시설, 특정지역으로 보내 순환시키는 제2수질정화 순환라인(600)과;
상기 펌프룸(210)에 수중펌프(710)가 구비된 일단이 위치되고, 타단이 수경시설, 특정지역에 위치토록 설치되어 펌프룸(210)에 유입된 물을 수경시설, 특정지역으로 보내 순환시키는 제3수질정화 순환라인(700)과;
상기 설비운영룸(220)에 설치된 건식형 부스타펌프(811)와 연계설치되어 일단이 펌프룸(210)에 위치되는 제1흡입라인(812)을 통해 장거리 특정지역에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를 포설할 수 있는 제1장거리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포설라인(810)과;
상기 펌프룸(210)에 설치된 수중형 수중부스타펌프(21)와 연계설치되어 장거리 특정지역에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를 포설할 수 있는 제2장거리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포설라인(820)과;
상기 인공섬형수경녹지(100) 또는 광범위 하게는 계획된 수공간 아랫단 하부에 소정의 규모로 상단부 수공간과 분리되는 또 다른 하나 이상의 공간을 형성하여, 수질정화에 필요한 여과제(115)를 적층하고 별도의 저류기능 공간이 구비되는 저류조형 수공간(130)이 더 형성 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대용량 수면적에 대한 물순환과 미생물포설 수질정화를 이용한 수공간 시공구조{Water space construction using water circulation and microbial water quality purification for large water area}
본 발명은 대용량 수면적에 대한 물순환과 미생물포설 수질정화를 이용한 수공간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호수나 하천 및 각종 수공간 가장자리부 또는 수면내부에 조성되는 시설로서, 각종광물들과 여과재로 혼합 적층되는 여과트랩이 하나의 지형/지반으로 이루어지면서, 그 상부는 녹지로 형성되는 인공식생수경녹지 또는 인공섬형수경녹지등으로 만들어 지고, 그 내부에 습식,건식 혼용형 펌프룸;(이하, 펌프룸이라 한다) 및 이의 외면을 일면 이상으로 감싸고 있으며, 이곳에 각종 밸브와 수공간 운영시스템이 함께 구비되는 설비운영룸(이하, 설비운영룸이라 한다)이 건실로 별도 형성되는 시공구조의 하우징이 입설되며, 이를 이용한 물순환과 수질정화 수공간 전체에 대한 조성공법을 말하는 것이다.
상기 펌프룸에는 펌프들이 물을 흡입 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수관들을 설치한 다음, 펌프룸의 사용 용도와 목적에 맞게 습식유형/건식유형으로 선택 조작하여, 다양한 운영방법을 통해 물순환과 수질정화 효율을 향상시키고, 펌프실에 대한 접근성 및 유지보수의 용이성 및 각종 비용 부담도 최소화 할 수 있어, 경제적임은 물론 무엇보다도 대형 호수와 하천 같이 대용량의 수면적에도 원할한 물순환과 미생물포설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각종 수공간의 효과적인 수질정화와 친환경적인 자연생태 호수 및 하천 조성과 유지관리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대용량 수면적에 대한 물순환과 미생물포설 수질정화를 이용한 수공간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생활권 도심지, 공원, 골프장, 유원지, 아파트 단지, 대형 쇼핑몰 등에는 토목/조경시설물과 관련하여 친수 수리시설/경관/생태환경학적 목적으로 다양한 크기와 형태, 예컨대, 대형 호수/하천과 같은 친수 수리시설 및 호수,연못등 각종 수공간이 조성되어 왔다.
종래에는 이러한 친수환경시설에 특별한 수질정화 수단없이 또는 통상적인 물 관리를 위한 유체순환설비와, 경관을 제공하기 위한 분수, 폭포 등의 각종 수경시설을 설치 하기도 하지만 별도의 수질정화 수단과 결합 없이 설치 되어왔다. 이와 같은 유체순환시설과 수경시설은 펌프의 동력에 의한 힘으로 작동되는 것은 일반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유체순환시설과 수경시설용 운전 펌프들은 수공간 내면부 수중의 집수정형 펌프실에 펌프를 두는 형태로 많이 설치되거나, 또 다른 방법으로는 인라인 펌프실 형태로 수공간과 떨어진 별도의 장소에 설치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호소나 연못의 수면부 내측 임의의 위치에 저수면 바닥보다 낮은 수중 집수정식 펌프실(10)이 설치되고, 이러한 수중 집수정식 펌프실(10) 내부에 수중펌프(20)가 수질에 대한 정화수단 없이 단독하여 독립적으로 설치된다. 이 경우, 펌프실(10) 내부에는 드레인(30) 등의 설비가 함께 구비되며, 펌프실(10)의 상부에는 저수면 바닥 높이로 다공판 구조의 덮개(40)가 설치된다.
수경시설(50)에는 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펌프(60)가 수경시설(50)과 동일한 위치의 수직 하단부 수중에 수경시설(50)과 일체형으로 설치되거나, 수경시설(50)이 인접한 수변부 가장자리 녹지부에서 인라인 펌프를 이용한 건식 펌프실을 별도로 설치하기도 하며, 이 또한 어려울 경우에는 펌프실(10) 없이 저수면 내부 수중에 수경시설(50)과 이격되더라도 임의의 장소에 수중펌프로 노출 설치하거나, 수경시설(50)이 다수일 경우에는 수경시설(50)마다 펌프실(10)과 펌프(60)가 각각 별도 설치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펌프(60)는 수경시설(50)에 물을 공급하는 기능만 할 뿐 수질정화의 목적으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라 펌프를 수공간 내 수중에 설치하거나 수경시설과 함께 일체형으로 설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로, 수중 펌프의 고장으로 인한 설비 교환 작업시 연못수 전체를 강제 퇴수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수자원이 크게 낭비될 뿐 아니라 전력 소모가 크고, 인건비도 과다하게 소요되며, 특히, 장시간에 걸쳐 형성된 생태계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로, 종래의 시공법에서 문제가 되는 녹조, 부영양화 등에 의한 수질오염으로 하천,호수,연못수에 대한 시설의 준설, 오염수의 방류의 경우 환경규제에 따른 2차 환경오염 부담비와 새롭게 시작하여야 하는 수질정화에 많은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셋째로, 펌프가 수중 노출 또는 집수정형 펌프실 내에서 하천,호수,연못 내면부 수중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종 이물질이 쉽게 부착되어 고장이 잦고, 이로 인한 노후화가 빠르게 진행되며, 펌프 설비를 주기적으로 교체해 주어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도 있다.
넷째로, 펌프실이 각종 수공간의 내면부 수중에 매립되어 있기 때문에 펌프실 설비의 운전, 점검, 유지보수시 퇴수 없이는 접근이 어렵고 매우 불편할 뿐 아니라 이로 인해 수공간 관리를 포기하는 심각한 상황도 발생하게 된다.
다섯째로, 수경시설이 많을 경우 수경시설마다 각각의 펌프나 펌프실을 시공하고, 수질정화 수단의 펌프와 펌프실을 별도 설치해야 하므로 펌프실과 전기공사에 과다한 공사비가 소요되는 것은 물론 다수의 펌프실 운영으로 유지 및 관리가 어려워 비경제적이고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각종 비용 부담도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무엇보다도 대형 호수와 같이 대용량 수면적에 물순환과 미생물포설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서 각종 물 환경에 따른 수질정화 효과와 친환경적인 자연생태 하천,호수,연못등 각종 수공간 조성에 경제적으로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대용량 수면적에 대한 물순환과 미생물포설 수질정화를 이용한 수공간 시공구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기재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용량 수면적에 대한 물순환과 미생물포설 수질정화를 이용한 수공간 시공구조는,
대형 하천,호수와 같은 수공간의 내,외면부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에 축조되는 것으로 내부는 다수의 여과제층으로 이루어진 지반 지지체형 여과트랩이 형성되고 그 상부 수위선 이상에서는 양질토가 적층되어 식물이나 나무들이 심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인공식생수경녹지 또는 인공섬형수경녹지와,
상기 인공식생수경녹지 또는 인공섬형수경녹지의 여과트랩 어느 곳에 하부면이 저수면 바닥보다 낮게 입설 되어지되 습식/건식 혼용형의 펌프룸 및 이의 외면을 감싸고 있는 설비운영룸으로 이루어지는 2중 구조의 하우징과,
상기 여과트랩에 일단이 위치되고, 타단은 하우징의 설비운영룸을 관통하여 펌프룸에 위치토록 설치되어 여과트랩에 의해 여과된 정화수를 펌프룸에 공급하는 다수의 통수관과;
상기 다수의 통수관 중 선택된 통수관의 타단과 그리고, 각각 일단이 개폐용 슬라이드식홀더가 구비된 스트레이너 및 인라인수중펌프로 연결된 상태로 타단이 수경시설, 특정지역에 위치토록 설치되어 스트레이너의 개폐여부에 따라 펌프룸의 운영 형태가 습식 또는 건식의 방법으로 여과된 정화수를 수경시설, 특정지역으로 보내 순환시키는 제1수질정화 순환라인과;
상기 수공간의 특정지역에 일단이 위치되고, 타단은 하우징의 설비운영룸을 관통하여 펌프룸에 위치토록 설치되어 특정지역의 물을 펌프룸으로 취수하는 다수의 선택취수라인과;
상기 다수의 선택취수라인 중 선택된 선택취수라인의 타단과 그리고, 일단이 개폐용 슬라이드식홀더가 구비된 스트레이너 및 인라인수중펌프로 연결된 상태로 타단이 수경시설, 특정지역에 위치토록 설치되어 펌프와 연결된 스트레이너의 개폐여부에 따라 펌프룸의 운영 형태가 습식 또는 건식 상태에서 여과된 정화수와 혼입된 혼합수를 수경시설, 특정지역으로 보내 순환시키는 제2수질정화 순환라인과;
상기 펌프룸에 인라인수중펌프가 구비된 일단이 위치되고, 타단이 수경시설, 특정지역에 위치토록 설치되어 펌프룸에 유입된 물을 수경시설, 특정지역으로 보내 순환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수질정화 순환라인과;
상기 설비운영룸에 설치된 건식형 부스타펌프와 연계설치되어 일단이 펌프룸에 위치되는 제1흡입라인을 통해 장거리 특정지역에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를 포설할 수 있는 제1장거리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포설라인과;
상기 펌프룸에 설치된 수중형 수중부스타펌프와 연계설치되어 장거리 특정지역에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를 포설할 수 있는 제2장거리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포설라인;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수면적에 대한 물순환과 미생물포설 수질정화를 이용한 수공간 시공구조는, 대형 하천, 호수 내,외부면에 지반 지지체형 여과트랩과 그 상부에는 다양한 형태의 수경녹지가 형성되도록 구비하고 펌프룸 및 이의 외면을 감싸고 있는 설비운영룸이 형성된 2중 구조의 하우징을 입설하고,
이에 내부에 펌프들과 물을 유입하거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배관라인들을 설치한 다음 인라인수중펌프에 구비된 슬라이드식홀더를 펌프룸의 사용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여과트랩의 여과된 물 또는 선택취수라인을 통해 유입되는 특정지역의 물을 다양한 운영방법으로 취수,배출,순환시켜 평상시는 물론이고 우기나 가뭄 조건에 따라 적절히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수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펌프룸과 운영실의 접근성이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한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각각 용도별로 설치된 펌프의 고장으로 인한 교체 작업시 연못수 전체를 강제 퇴수하지 않고, 펌프룸 내의 물만 퇴수하면 되므로 기 조성된 생태환경을 그대로 유지하고, 수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퇴수전력비, 인건비, 2차 환경오염 부담비 등 각종 유지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이삼중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영시 펌프와 결합된 개폐용 슬라이드식홀더를 조작하여 스트레이너를 개방 또는 밀폐함에 따라 습식 또는 건식방법으로 여과된 물을 수경시설, 분수, 특정지역으로 보내 순환시켜줄 수 있어 설비운영면에서 편리하고,
개폐용 슬라이드식홀더 전방에 브러쉬를 구비하여 이물질 제거수단을 구성하였기 때문에 개폐용 슬라이드식홀더를 이동시키면 자연스럽게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어서 스트레이너가 막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스트레이너에 구비된 개폐용 슬라이드식홀더를 개폐바 또는 유공압실린더를 이용하여 개폐작동되도록 하면 개폐용 슬라이드식홀더를 직접 손으로 잡고 이동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스트레이너의 개폐가 더욱더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장거리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포설라인을 이용하여 여과트랩에서 퍼프룸 내부로 유입되는 여과된 정화수와 이 정화수에 포함된 호기미생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포설할 수 있어 넓은 면적 수공간의 특정지역도 효과적으로 정화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호수 주변에 추가적인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포설라인을 더 형성하고 이를 제1,2장거리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포설라인과 연계설치하여 필요시 소정의 부스타펌프를 추가적로 설치하였기 때문에 대면적형 대용량 호수의 경우에도 수질정화에크게 구애됨이 없이 수면적 전역에 걸쳐서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를 손쉽게 순환 또는 포설할 수 있으므로 수처리의 효율은 극대화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공섬형수경녹지 또는 광범위 하게는 수공간 아랫단 하부에 소정의 규모로 상단부 수공간과 분리되는 또 다른 하나 이상의 수공간을 형성하여, 수질정화에 필요한 여과제를 대량으로 적층하고 별도의 저류기능 공간이 구비되는 저류조형 수공간을 더 형성하였기 때문에 대용량에 흡족한 수질정화 기능과 가뭄으로 인한 물부족 현상이 장기간 발생하여도 이를 활용하여 항상 아름다운 수경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각종 비용 부담도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무엇보다도 대형 호수와 같이 대용량 수면적에도 물순환과 미생물포설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서 각종 물 환경에 대한 수질정화 효과와 친환경적인 자연생태 호수 조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시공법으로서 매우 획기적인 발명이 분명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공간 수처리시스템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공간 수처리시스템의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으로서 인공섬을 보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공간 수처리시스템의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공간 수처리시스템의 요부 확대도.
도 6a,도 6b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트레이너의일 구성상태도로서,
도 6a는 스트레이너를 개방한 상태도.
도 6b는 스트레이너를 밀폐한 상태도.
도 7, 도 8은 본 발명으로서 이물질제거수단이 구비된 스트레이너의 일 구성상태도로서,
도 7은 개폐바로 스트레이너를 개폐토록 구성한 상태도.
도 8은 유공압실린더로 스트레이너를 개폐토록 구성한 상태도.
이하,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기재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일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용량 수면적에 대한 물순환과 미생물포설 수질정화를 이용한 수공간 시공구조는,
대형 호수와 같은 수공간의 내,외면부 어느 한 곳 이상 예컨대 다양한 형태로 조성되는 인공식생수경녹지(120)(120') 또는 인공섬형수경녹지(100)로 축조되는 것이다.
인공식생수경녹지(120)(120') 또는 인공섬형수경녹지(100) 등은 내부에 다수의 여과제층(111)(112)(113)(114)으로 이루어진 여과트랩(110)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양질토(121)가 적층되어 식물이나 나무들이 심어진 상태로 조성된다.
여기서 상기 여과제층(111)(112)(113)(114)을 구성하는 여과제들은 제올라이트, 황토 및 점토 세라믹, 참숯, 광물분쇄석 등과 같이 수질정화 기능이 있는 다양한 종류의 여과제가 사용된다.
한편, 상기 인공식생수경녹지(120)(120') 및 인공섬형수경녹지(100)의 여과트랩(110)부에는 수직으로 하부면이 저수면 바닥보다 낮게 하우징(200)이 입설되는데, 이 하우징(200)은 펌프룸(210) 및 이의 외면을 감싸고 있는 설비운영룸(220)이 형성되어 2중 구조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상기 펌프룸(210)은 펌프룸(210) 내부 호소수를 배수하기 위한 제1배수펌프(210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설비운영룸(220)은 각종 밸브와 수공간 운영시스템이 함께 구비되는 운영실로 사용되는 것이어서 물이 유입되면 않되므로 혹시라도 물이 유입되는 즉시 배출할 수 있도록 바닥면 보다 낮은 위치에 제2배수펌프(220a)가 구비된다.
그러는 한편, 상기 하우징(200)에는 내부로 물을 유입하거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배관라인들 즉 다수의 통수관(311)(312)(313)(314)(315)(316)(317)(318), 선택취수라인(510)(520)(530), 제1수질정화 순환라인(410)(420), 제2수질정화 순환라인(600), 제3수질정화 순환라인(700), 제1장거리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포설라인(810), 제2장거리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포설라인(820)들이 설치되는데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우선, 통수관(311)(312)(313)(314)(315)(316)(317)(318)의 경우에는, 여과트랩(110)에 일단이 위치되고, 타단은 하우징(200)의 설비운영룸(220)을 관통하여 펌프룸(210)에 위치토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여과트랩(110)에 의해 여과된 정화수가 통수관(311)(312)(313)(314)(315)(316)(317)(318)을 통해 펌프룸(210)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제1수질정화 순환라인(410)(420)은, 통수관(311)(312)(313)(314)(315)(316)(317)(318) 중 선택된 통수관(313)(316)의 타단과 각각 일단이 개폐용 슬라이드식홀더(411a)(421a)가 구비된 스트레이너(411)(421) 및 인라인수중펌프(412)(422)로 연결된 상태로 타단이 분수와 같은 각종 수경시설, 특정지역에 위치토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스트레이너(411)(421)의 개폐여부에 따라 펌프룸(210)은 습식 또는 건식으로 운영될 수 있고, 이렇게 여과된 물을 수경시설, 특정지역으로 보내 순환시켜줄 수 있다.
즉, 각각의 개폐용 슬라이드식홀더(411a)(421a)를 조작하여 스트레이너(411)(421)를 개방시키면 펌프룸(210)에 충전된 물을 제1수질정화 순환라인(410)(420)을 통해 수경시설, 특정지역으로 보낼 수 있으며(습식 방법임),
이와는 반대로 각각의 개폐용 슬라이드식홀더(411a)(421a)를 조작하여 스트레이너(411)(421)를 밀폐시킨 후 인라인수중펌프(412)(422)를 가동시키면 통수관(313)(316)으로 유입되는 물을 직접 제1수질정화 순환라인(410)(420)을 통해 수경시설, 특정지역으로 보낼 수 있게 된다(건식 방법임),
그리고, 상기 다수의 선택취수라인(510)(520)(530)의 경우에는, 상기 수공간의 특정지역에 일단이 위치되고, 타단은 하우징(200)의 설비운영룸(220)을 관통하여 펌프룸(210)에 위치토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특정지역의 물을 선택취수라인(510)(520)(530)을 통해 펌프룸(210)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수질정화 순환라인(600)의 경우에는 다수의 선택취수라인(510)(520)(530) 중 선택된 선택취수라인(510)의 타단과 일단이 개폐용 슬라이드식홀더(611a)가 구비된 스트레이너(611) 및 인라인수중펌프(612)로 연결된 상태로 타단이 수경시설, 특정지역에 위치토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또한 스트레이너(611)의 개폐여부에 따라 펌프룸(210)은 습식 또는 건식으로 여과된 물을 수경시설, 특정지역으로 보내 순환시켜줄 수 있다.
즉, 개폐용 슬라이드식홀더(611a)를 조작하여 스트레이너(611)를 개방시키면 펌프룸(210)에 충전된 물을 제2수질정화 순환라인(600)을 통해 수경시설, 특정지역으로 보낼 수 있으며(습식 방법임),
이와는 반대로 개폐용 슬라이드식홀더(611a)를 조작하여 스트레이너(611)를 밀폐시킨 후 인라인수중펌프(612)를 가동시키면 선택취수라인(510)으로 유입되는 물을 직접 제2수질정화 순환라인(600)을 통해 수경시설, 특정지역으로 보낼 수 있게 된다(건식 방법임),
그리고, 상기 제3수질정화 순환라인(700)의 경우에는, 펌프룸(210) 내부의 물속에 수중펌프(710)가 직접 구비된 형태로 위치되고, 타단이 수경시설, 특정지역에 위치토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수중펌프(710)를 가동시켜 펌프룸(210)에 유입된 물을 수경시설, 특정지역으로 보내 순환시킬 수 있다.
그러는 한편, 상기 제1장거리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포설라인(810)의 경우에는, 상기 설비운영룸(220)에 설치된 부스타펌프(811)와 연계설치되는 것으로 펌프룸(210)에 위치되는 제1흡입라인(812)을 통해 장거리 특정지역에 펌프룸(210) 내부의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를 포설할 수 있는데(펌프룸(210)을 습식으로 운영할 경우 방법임),
이때, 상기 제1흡입라인(812)에 이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여과트랩(110)에 위치토록 설치되는 제2흡입라인(813)을 더 구성하게 되면, 개폐밸브(812a)를 조작하여 제1흡입라인(812)을 밀폐하고, 개폐밸브(813a)를 조작하여 제2흡입라인(813)를 개방하면 여과트랩(110)에서 여과된 물을 직접 장거리 특정지역에 포설할 수 있는 것은 물론(펌프룸(210)을 건식으로 운영할 경우 방법임),
개폐밸브(812a)(813a)를 조작하여 상기 제1흡입라인(812)과 제2흡입라인(813)을 전부 개방하면 동시에 펌프룸(210) 내부의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 및 여과트랩(110)에서 여과된 정화수 또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를 장거리 특정지역에 동시에 포설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각각의 제1수질정화 순환라인(410)(420) 및 제2수질정화 순환라인(600)에 각각 설치되는 개폐용 슬라이드식홀더(411a)(421a)(611a)가 구비된 스트레이너(411)(421)(611)에 특히 첨부도면 도 7 내지 도 8에 일 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용 슬라이드식홀더(411a)(421a)(611a) 전방에 브러쉬(901)이 구비된 이물질 제거수단(900)을 구성하였기 때문에 개폐용 슬라이드식홀더(411a)(421a)(611a)를 이동시키면 자연스럽게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어서 스트레이너(411)(421)(611)가 막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스트레이너(411)(421)(611)에 구비된 개폐용 슬라이드식홀더(411a)(421a)(611a)를 개폐바(911) 또는 유공압실린더(912)를 이용하여 개폐작동되도록 하면 개폐용 슬라이드식홀더(411a)(421a)(611a)를 직접 손으로 잡고 이동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더욱더 편리하다.
그러는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호수 주변에 호스 크기에 따라 다수의 서브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포설라인(830)을 더 형성하고 이를 제1장거리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포설라인(410)과 제2장거리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포설라인(420)과 연계설치하고 필요시 소정 갯수의 부스타펌프(831)를 추가로 연계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대용량 호수의 경우에도 크게 구애됨이 없이 호수 주변 전역에 걸쳐서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를 포설할 수 있으므로 수처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공간 하부에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되는 저류조형 수공간(130)을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들수 있는데, 이와 같이 하면 평상시 저류조형 수공간(130)에 많은 양의 빗물등 운영수 물을 저장하여 둘 수 있기 때문에 가뭄으로 인한 물부족 현상이 장기간 발생하여도 이를 활용할 수 있어서 항상 아름다운 수경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형 호수 내,외면부의 임의의 장소 특히, 수질오염이 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장소에 다수의 여과제층(111)(112)(113)(114)으로 이루어진 여과트랩(110)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양질토(121)가 적층되어 식물이나 나무들이 심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인공식생수경녹지(120)(120')나 인공섬형수경녹지(100)를 조성하여, 이의 내부에 펌프룸(210) 및 이의 외면을 감싸고 있는 설비운영룸(220)이 형성되어 2중 구조를 이루는 하우징(200)을 입설하고,
상기 하우징(200)에 내부로 물을 유입하거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배관라인들 즉 다수의 통수관(311)(312)(313)(314)(315)(316)(317)(318), 선택취수라인(510)(520), 제1수질정화 순환라인(410)(420), 제2수질정화 순환라인(600), 제3수질정화 순환라인(700), 제1장거리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포설라인(810), 제2장거리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포설라인(820)들을 설치하되,
각각의 제1수질정화 순환라인(410)(420) 및 제2수질정화 순환라인(600)에 설치되는 각각의 개폐용 슬라이드식홀더(411a)(421a)(611a)가 구비된 스트레이너(411)(421)(611) 및 인라인수중펌프(412)(422)(612)를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통수관(311)(312)(313)(314)(315)(316)(317)(318)을 통해 유입되는 여과트랩(110)의 여과된 물 또는 선택취수라인(510)(520)(530)을 통해 유입되는 특정지역의 물을 습식 또는 건식형의 펌프룸(210) 운영방식에 따라 순환시켜 주거나,
제3수질정화 순환라인(700)에 설치되는 수중펌프(710)를 조작하여 통수관(311)(312)(313)(314)(315)(316)(317)(318)을 통해 유입되는 여과트랩(110)의 여과된 물 또는 선택취수라인(510)(520)(530)을 통해 유입되는 특정지역의 물을 펌프룸(210)의 운영방식에서 습식방법으로 보내 순환시켜 주는 등 전체적으로 다양한 운영방법으로 우기나 가뭄 조건에 따라 적절히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수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제1장거리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포설라인(810) 및 제2장거리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포설라인(820)을 이용하여 펌프룸(210) 내부의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 및 여과트랩(110)에서 여과된 정화수를 장거리 특정지역에 확대 순환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포설할 수 있어 먼거리 특정지역의 수질도 크게 개선시킬 수 있으며,
상기 호수 주변에 서브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포설라인(830)을 더 형성하고 이를 제1장거리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포설라인(810) 및 제2장거리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포설라인(820)과 연계설치하고 필요시 소정 갯수의 부스타펌프(831)를 추가로 연계설치함으로써 대형 대용량,대면적 호수의 경우에도 크게 구애됨이 없이 호수 주변 전역에 걸쳐서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를 손쉽게 포설할 수 있으므로 수처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또한, 전체 수공간 하부에 여과제(115)를 적층한 저류조(130)를 더 구성함으로써 수처리 향상과 가뭄으로 인한 물부족 현상이 장기간 발생하여도 이를 활용하여 항상 아름다운 수경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등 결과적으로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각종 비용 부담도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무엇보다도 대형 호수와 같이 대용량 수면적에서도 물순환과 미생물포설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서 각종 물 환경에 따른 수질정화 효과와 친환경적인 자연생태 호수 조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일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 일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공식생수경녹지, 인공섬형수경녹지는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대형 호수와 같은 수공간의 내,외면부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에 축조가능하며, 상기 인공식생수경녹지, 인공섬형수경녹지에 형성되는 2중구조의 하우징 및 이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는 통수관, 제1,2,3수질정화 순환라인, 인라인수중펌프, 선택취수라인, 제1,2장거리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포설라인, 부스타펌프, 제1흡입라인, 제2흡입라인 등의 각종 장치 및 설비들 그리고 이들을 운용하는 방법 등은 크기나 갯수 연결형태 등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인공섬형수경녹지 110: 여과트랩
111,112,113,114: 여과제층 115:여과제
120,120‘:인공식생수경녹지 130: 저류조형 수공간
200: 하우징 210: 펌프룸
220: 설비운영룸 311,312,313,314,315,316,317,318: 통수관
410,420: 제1수질정화 순환라인 411,421,611: 스트레이너
411a,421a,611a: 개폐용 슬라이드식홀더
412,422,612:인라인수중펌프 510,520,530: 선택취수라인
600: 제2수질정화 순환라인 700: 제3수질정화 순환라인
710:수중펌프 810: 제1장거리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포설라인
811,821: 부스타펌프 812: 제1흡입라인
813: 제2흡입라인 820: 제2장거리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포설라인
900: 이물질제거수단 901: 브러쉬
911: 개폐바 912: 유공압실린더

Claims (6)

  1. 대형 호수로된 수공간의 내,외면부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축조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다수의 여과제층(111)(112)(113)(114)으로 이루어진 지반 지지체형 여과트랩(110)이 형성되고 그 상부 수위선 이상에서는 양질토(121)가 적층되어 식물이나 나무들이 심어지는 인공식생수경녹지(120)(120') 또는 인공섬형수경녹지(100)와;
    상기 여과트랩(110)에 수직으로 하부면이 저수면 바닥보다 낮게 입설되어지되 습식,건식 혼용형의 펌프룸(210) 및 이의 외면을 감싸고 있는 설비운영룸(220)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2중 구조로된 하우징(200)과,
    상기 여과트랩(110)에 일단이 위치되고, 타단은 하우징(200)의 설비운영룸(220)을 관통하여 펌프룸(210)에 위치토록 설치되어 여과트랩(110)에 의해 여과된 정화수를 펌프룸(210)에 공급하는 다수의 통수관(311)(312)(313)(314)(315)(316)(317)(318)과;
    상기 다수의 통수관(311)(312)(313)(314)(315)(316)(317)(318) 중 선택된 통수관(313)(316)의 타단과 그리고, 각각 일단이 개폐용 슬라이드식홀더(411a)(421a)가 구비된 스트레이너(411)(421) 및 인라인수중펌프(412)(422)로 연결된 상태로 타단이 수경시설, 특정지역에 위치토록 설치되어 스트레이너(411)(421)의 개폐여부에 따라 펌프룸(210)의 운영 형태가 습식 또는 건식 방법으로 여과된 정화수를 수경시설, 특정지역으로 보내 순환시키는 제1수질정화 순환라인(410)(420)과;
    상기 수공간의 특정지역에 일단이 위치되고, 타단은 하우징(200)의 설비운영룸(220)을 관통하여 펌프룸(210)에 위치토록 설치되어 특정지역의 물을 펌프룸(210)으로 취수하는 다수의 선택취수라인(510)(520)(530)과;
    상기 다수의 선택취수라인(510)(520)(530) 중 선택된 선택취수라인(510)의 타단과 그리고, 일단이 개폐용 슬라이드식홀더(611a)가 구비된 스트레이너(611) 및 인라인수중펌프(612)로 연결된 상태로 타단이 수경시설, 특정지역에 위치토록 설치되어 펌프와 연결된 스트레이너(611)의 개폐여부에 따라 펌프룸(210)의 운영 형태가 습식 또는 건식 상태에서 여과된 정화수와 혼입된 혼합수를 수경시설, 특정지역으로 보내 순환시키는 제2수질정화 순환라인(600)과;
    상기 펌프룸(210)에 수중펌프(710)로 구비되어 타단이 수경시설, 특정지역에 위치토록 설치되어 펌프룸(210)에 유입된 물을 수경시설, 특정지역으로 보내어 순환시키는 제3수질정화 순환라인(700)과;
    상기 설비운영룸(220)에 설치된 건식형 부스타펌프(811)와 연계설치되어 일단이 펌프룸(210)에 위치되는 제1흡입라인(812)을 통해 장거리 특정지역에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를 포설할 수 있는 제1장거리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포설라인(810)과;
    상기 펌프룸(210)에 설치된 수중형 수중부스타펌프(821)와 연계설치되어 장거리 특정지역에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를 포설할 수 있는 제2장거리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포설라인(82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수면적에 대한 물순환과 미생물포설 수질정화를 이용한 수공간 시공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섬형수경녹지(100) 또는 광범위 하게는 계획된 수공간 아랫단 하부에 소정의 규모로 상단부 수공간과 분리되는 또 다른 하나 이상의 공간을 형성하여, 수질정화 필요한 여과제(115)를 적층하고 별도의 저류기능 공간이 구비되는 저류조형 수공간(130)이 더 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수면적에 대한 물순환과 미생물포설 수질정화를 이용한 수공간 시공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수 가장자리 주변에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포설라인(830)을 더 형성하고 이를 제1장거리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포설라인(810)과 및 제2장거리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포설라인(820)과 연계설치하고 부스타펌프(831)를 이용하여 호수 주변 전역에 걸쳐서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를 포설토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수면적에 대한 물순환과 미생물포설 수질정화를 이용한 수공간 시공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거리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포설라인(810)의 제1흡입라인(812)에는,
    이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여과트랩(110)에 위치토록 설치되는 제2흡입라인(813)을 더 구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수면적에 대한 물순환과 미생물포설 수질정화를 이용한 수공간 시공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2수질정화 순환라인(410)(420)(600)에 설치되는 개폐용 슬라이드식홀더(411a)(421a)(611a)가 구비된 스트레이너(411)(421)(611)는,
    개폐용 슬라이드식홀더(411a)(421a)(611a) 전방에 이물질제거수단(900)을 더 구성하여 개폐용 슬라이드식홀더(411a)(421a)(611a)의 이동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을 하는 대용량 수면적에 대한 물순환과 미생물포설 수질정화를 이용한 수공간 시공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용 슬라이드식홀더(411a)(421a)(611a)가 구비된 스트레이너(411)(421)(611)는,
    개폐용 슬라이드식홀더(411a)(421a)(611a)를 개폐바(911) 또는 유공압실린더(912)를 이용하여 개폐작동 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수면적에 대한 물순환과 미생물포설 수질정화를 이용한 수공간 시공구조.
KR1020170027916A 2017-03-03 2017-03-03 대용량 수면적에 대한 물순환과 미생물포설 수질정화를 이용한 수공간 시공구조 KR101883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916A KR101883849B1 (ko) 2017-03-03 2017-03-03 대용량 수면적에 대한 물순환과 미생물포설 수질정화를 이용한 수공간 시공구조
PCT/KR2018/002521 WO2018160029A1 (ko) 2017-03-03 2018-03-02 대용량 수면적에 대한 물순환과 미생물포설을 이용한 수질정화 및 수공간의 시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916A KR101883849B1 (ko) 2017-03-03 2017-03-03 대용량 수면적에 대한 물순환과 미생물포설 수질정화를 이용한 수공간 시공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3849B1 true KR101883849B1 (ko) 2018-08-01

Family

ID=63227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916A KR101883849B1 (ko) 2017-03-03 2017-03-03 대용량 수면적에 대한 물순환과 미생물포설 수질정화를 이용한 수공간 시공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83849B1 (ko)
WO (1) WO2018160029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1967B2 (ja) 1996-04-15 1999-12-20 治重 荒川 人工培養微生物を応用した中水道システム
KR100360542B1 (ko) 1999-08-05 2002-11-13 보성중공업주식회사 오염된 호소와 폐쇄성 수역의 수질 정화 방법과 이를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1368534B1 (ko) 2012-06-05 2014-03-03 주식회사 엔에프 기능성 펌프실
KR101372569B1 (ko) 2013-10-11 2014-03-13 주식회사 대양환경 분기가능한 분배장치를 가진 침출수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481B1 (ko) * 2009-01-30 2011-10-17 (주)에이아이펠라스 토출박스를 이용한 생태연못 수질 정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1967B2 (ja) 1996-04-15 1999-12-20 治重 荒川 人工培養微生物を応用した中水道システム
KR100360542B1 (ko) 1999-08-05 2002-11-13 보성중공업주식회사 오염된 호소와 폐쇄성 수역의 수질 정화 방법과 이를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1368534B1 (ko) 2012-06-05 2014-03-03 주식회사 엔에프 기능성 펌프실
KR101372569B1 (ko) 2013-10-11 2014-03-13 주식회사 대양환경 분기가능한 분배장치를 가진 침출수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60029A1 (ko) 2018-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534B1 (ko) 기능성 펌프실
CN203212438U (zh) 微动力农村分散式污水处理装置
KR101106778B1 (ko) 공공시설 및 공동주택용 자연정화형 하폐수·빗물처리시설과 이를 이용한 하폐수·빗물처리방법 및 물순환 시스템
CN101838028B (zh) 一种水收集净化储存系统
KR20170128921A (ko) 도시형 레인가든 시스템
CN203152103U (zh) 生态树池
CN107223016A (zh) 双重气力提升装置
CN214033577U (zh) 一种生态海绵城市的水综合循环系统
KR100477532B1 (ko) 연못의 수질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7451863U (zh) 一种模块化分层生物滴滤污水处理系统
KR101883849B1 (ko) 대용량 수면적에 대한 물순환과 미생물포설 수질정화를 이용한 수공간 시공구조
KR101887525B1 (ko) 그레이팅룸이 구비된 수 처리 장치 시공구조 및 그 시공구조가 결합된 다양한 수공간/수경 시설물의 시공법
KR101404215B1 (ko) 빗물저장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
CN112323718A (zh) 一种生态海绵城市的水综合循环系统
JP2007144265A (ja) 雨水濾過調整システム
JP2003175394A (ja) 人工浮島による水質浄化方法及びその水質浄化装置
KR100479957B1 (ko) 오·폐수처리장치
KR20090112622A (ko)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
CN106351307B (zh) 一种多功能雨水生态利用系统及雨水生态利用方法
KR101115183B1 (ko) 여과설비를 구비한 자연생태연못
CN210315814U (zh) 一种景观水系防冰冻系统
CN110981095B (zh) 一种园林集水、供水循环净化系统
KR101554715B1 (ko)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
WO2018026208A1 (ko) 그레이팅룸이 구비된 수 처리 장치 시공구조 및 그 시공구조가 결합된 다양한 수공간/수경 시설물의 시공법
JPH11319861A (ja) 傾斜土槽を用いた水質浄化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水質浄化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